KR20230091550A - 휠 소터장치 - Google Patents

휠 소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550A
KR20230091550A KR1020210180754A KR20210180754A KR20230091550A KR 20230091550 A KR20230091550 A KR 20230091550A KR 1020210180754 A KR1020210180754 A KR 1020210180754A KR 20210180754 A KR20210180754 A KR 20210180754A KR 20230091550 A KR20230091550 A KR 2023009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nit
coupled
lower modul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190B1 (ko
Inventor
문성훈
김영종
박찬경
방종현
임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18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2Magnetic gearings, i.e. assembly of gears, linear or rotary, by which motion is magnetically transferred without physical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휠 소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를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휠 유닛과,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이송용 휠 유닛에 연결되어 이송용 휠 유닛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휠용 회전유닛은,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휠용 구동모터부와, 휠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휠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와, 이송용 휠 유닛 각각에 결합되며 휠용 구동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 소터장치{wheel sorter}
본 발명은, 휠 소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구동하면서 이송대상물의 분기(sorting)가 가능하고 여러 각도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는 휠 소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피이송물을 짧은 구간 사이에 연속적으로 운반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피이송물의 특성이나 사용분야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단순히 위치이동을 위한 것으로부터 이송 중에 가공을 가하기 위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이송시키고자하는 이송대상물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에는 이송대상물을 각각 지정된 창구로 분리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휠 소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휠 소터장치에 의해 분류된 이송대상물은 각 창구에는 대기하고 있는 운반차량 등에 적재된 후 표시된 목적지로 보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휠 소터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조립체가 이송롤러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으로 이루는 방향전환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킨다.
종래기술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링크기구를 통해 롤러조립체의 방향을 전환시켰었다. 그런데 링크기구를 통해 롤러조립체를 방향전환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롤러조립체의 회전각도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향(예를 들어, 진입방향에 대해 90도를 이루는 방향 등)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벨트 및 회전차를 통해 롤러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03호, (2017.04.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휠 소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를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휠 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용 휠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용 휠 유닛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휠용 구동모터부; 상기 휠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 및 상기 이송용 휠 유닛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를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와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휠용 연결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휠용 연결기어부는,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와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 각각에 치합되는 제2 휠용 연결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휠용 연결기어부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휠 유닛은, 상기 휠용 회전유닛에 연결되는 휠 하부모듈; 및 상기 휠 하부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 상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하부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모듈용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모듈용 관통홀을 관통하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및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주동 마그넷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마그넷기어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 마그넷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시키는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는, 상기 종동 마그넷기어부와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 중 일측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타측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시키는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용 회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회전축용 구동모터부; 상기 회전축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각각에 결합되는 종동풀리부; 및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종동풀리부에 연결되는 모터용 전동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각각에는 다수개의 종동풀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용 회전유닛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중 일측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된 종동풀리부와 타측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된 상기 종동풀리부에 연결되는 연결용 전동벨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휠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와 휠용 구동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를 포함하고, 휠용 구동기어부와 휠용 종동기어부를 통해 이송용 휠 유닛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휠용 구동기어부와 휠용 종동기어부와 제1 휠용 연결기어부 및 제2 휠용 연결기어부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이송용 휠 유닛dl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도 11의 상부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이송롤러부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휠용 구동기어부와 휠용 종동기어부와 제1 휠용 연결기어부 및 제2 휠용 연결기어부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이송용 휠 유닛dl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도 11의 상부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이송롤러부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이를 위해 회전축용 회전유닛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공급용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이송대상물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을 분기(sorting)시킨다. 이러한 분기과정에서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이 전환된다. 휠 소터장치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이송대상물은 별도의 배출용 컨베이어(미도시)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휠 소터장치에 의한 이송대상물의 방향 전환 각도는, 공급용 컨베이어(미도시)에서 이송대상물이 휠 소터장치로 진입하는 진입방향에 대해서 30도 내지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이송대상물의 방향 전환 각도는 일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상술한 각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R)를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휠 유닛(100)과, 메인 프레임(M)에 지지되며 이송용 휠 유닛(100)에 연결되어 이송용 휠 유닛(100)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200)을 포함한다.
휠용 회전유닛(200)은 메인 프레임(M)에 지지된다. 휠용 회전유닛(200)은 이송용 휠 유닛(100)에 연결되어 이송용 휠 유닛(1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휠용 회전유닛(20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용 회전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에 장착된 휠용 구동모터부(210)와, 휠용 구동모터부(210)에 결합되며 휠용 구동모터부(210)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이송용 휠 유닛(100) 각각에 결합되며 휠용 구동기어부(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230)와,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에 치합되는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와,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휠용 종동기어부(230) 각각에 치합되는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를 포함한다.
휠용 구동모터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에 결합된다. 이러한 휠용 구동모터부(210)의 회전축에는 휠용 구동기어부(220)가 결합된다.
휠용 구동기어부(220)는 휠용 구동모터부(2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휠용 구동모터부(2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휠용 구동기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스퍼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휠용 종동기어부(230)는 이송용 휠 유닛(100) 각각의 후술할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휠용 종동기어부(230)는 휠용 구동기어부(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휠용 종동기어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는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의 일측는 휠용 구동기어부(220)에 치합되고 타측은 휠용 종동기어부(230)에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스퍼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휠용 구동기어부(220)와와 휠용 종동기어부(230)에 치합되는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가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휠용 종동기어부(230)가 휠용 주동기어부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는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휠용 종동기어부(230)들 각각에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스퍼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휠용 종동기어부(230)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휠용 종동기어부(230) 각각에 치합되는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가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휠용 종동기어부(23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휠용 종동기어부(230)들 모두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를 구비하는 기어구조를 이용하여 이송용 휠 유닛(10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급용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이송용 휠 유닛(100)은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이송용 휠 유닛(10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유닛은,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용 회전유닛(200)에 연결되는 휠 하부모듈(110)과, 휠 하부모듈(110)에 결합되며 이송롤러부(R)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 상부모듈(120)을 포함한다.
휠 하부모듈(110)은 휠용 회전유닛(200)에 연결된다. 이러한 휠 하부모듈(110)은,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모듈용 관통홀(H)이 형성된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와,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모듈용 관통홀(H)을 관통하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와,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되는 주동 마그넷기어부(113)를 포함한다.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는 베어링(BR)을 통해 메인 프레임(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의 중앙영역에는 하부모듈용 관통홀(H)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의 외주벽에는 휠용 종동기어부(230)가 결합된다.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는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의 하부모듈용 관통홀(H)을 관통한다. 이러한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는 베어링(BR)을 통해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의 하부분에는 후술할 종동풀리부(330)가 결합된다.
주동 마그넷기어부(113)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된다. 이러한 주동 마그넷기어부(113)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의 상부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동 마그넷기어부(113)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후술할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에 자기력을 인가하여 휠 상부모듈(120)의 종동 마그넷기어부(122)를 회전시킨다.
휠 상부모듈(120)은 휠 하부모듈(110)의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휠 상부모듈(120)은,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에 결합되며 이송롤러부(R)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와,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와, 이송롤러부(R) 각각에 결합되며 종동 마그넷기어부(1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와,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결합되며 이송롤러부(R)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노출공(126a)이 형성된 커버부(126)와,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를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시키는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와,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 중 일측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타측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를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시키는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를 포함한다.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는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는 이송롤러부(R)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송롤러부(R)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롤러부(R)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종동 마그넷기어부(122)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종동 마그넷기어부(122)는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자기력)에 의해 회전된다.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는 이송롤러부(R)들 각각에 결합된다. 이러한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는 종동 마그넷기어부(1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의 회전에 의해 이송롤러부(R)가 회전된다.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는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자기력)에 의해 회전되고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를 자기적 상호작용(자기력)에 의해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는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와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 중 일측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의 자기적 상호작용(자기력)에 의해 회전되고 타측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를 자기적 상호작용(자기력)을 통해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와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와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 및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는 자성체(magnetic)를 구비한다. 또한,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와 종동 마그넷기어부(122)와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와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 및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는 상호 비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이송롤러부(R)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비접촉방식의 마그넷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파티클 및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마모에 의한 파손에서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커버부(126)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126)에는 이송롤러부(R)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노출공(126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26)는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11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이송롤러부(R)를 부분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이물질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연결되어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용 회전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축용 회전유닛(300)은, 도 1, 도 3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에 장착된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와,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에 결합되며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부(320)와,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 각각에 결합되는 종동풀리부(330)와, 구동풀리부(320)와 종동풀리부(330)에 연결되는 모터용 전동벨트부(340)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 중 일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된 종동풀리부(330)와 타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된 종동풀리부(330)에 연결되는 연결용 전동벨트부(350)를 포함한다.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는 메인 프레임(M)에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부(320)가 결합된다.
구동풀리부(320)는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종동풀리부(330)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 각각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 각각에는 2개의 종동풀리부(330)가 결합된다. 이러한 종동풀리부(330)는 상하방향으로 위치한다.
모터용 전동벨트부(340)는 구동풀리부(320)와 종동풀리부(3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모터용 전동벨트부(340)에 의해 회전축용 구동모터가 공급하는 회전력이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전달된다.
연결용 전동벨트부(35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 중 일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된 종동풀리부(330)와 타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결합된 종동풀리부(3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용 전동벨트부(350)에 모터용 전동벨트부(340)에 의해 일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에 전달된 회전력이 타측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공급용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복수의 이송용 휠 유닛(100)들이 도 1의 Z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이송용 휠 유닛(100)들의 회전은 휠용 회전유닛(20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휠용 구동모터부(210)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이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제1 휠용 연결기어부(24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와 제2 휠용 연결기어부(250)를 거쳐 이송용 휠 유닛(100)들에 전달되어 1열의 이송용 휠 유닛(100)들의 회전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의 하면은 이송롤러부(R)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롤러부(R)가 회전하여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킨다. 이송롤러부(R)는 롤러용 마그넷기어부(123)와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4)와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125)와 종동 마그넷기어부(122) 및 주동 마그넷기어부(113)에 의해 전달된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하부모듈용 회전축부(112)는 회전축용 구동모터부(310)가 공급한 회전력을 구동풀리부(320)와 종동풀리부(330)와 모터용 전동벨트부(340) 및 연결용 전동벨트부(35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소터장치는, 휠용 구동모터부(210)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구동기어부(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230)를 포함하고, 휠용 구동기어부(220)와 휠용 종동기어부(230)를 통해 이송용 휠 유닛(100)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전달받은 이송대상물을 다양한 방향(각도)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이송용 휠 유닛 110: 휠 하부모듈
111: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 112: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113: 주동 마그넷기어부 120: 휠 상부모듈
121: 상부모듈용 프레임부 122: 종동 마그넷기어부
123: 롤러용 마그넷기어부 124: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
125: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 200: 휠용 회전유닛
210: 휠용 구동모터부 220: 휠용 구동기어부
230: 휠용 종동기어부 240: 제1 휠용 연결기어부
250: 제2 휠용 연결기어부 300: 회전축용 회전유닛
310: 회전축용 구동모터부 320: 구동풀리부
330: 종동풀리부 340: 모터용 전동벨트부
350: 연결용 전동벨트부 H: 하부모듈용 관통홀
M: 메인 프레임 R: 이송롤러부
BR: 베어링

Claims (15)

  1.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를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휠 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용 휠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용 휠 유닛을 회전시키는 휠용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휠용 구동모터부;
    상기 휠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휠용 구동기어부; 및
    상기 이송용 휠 유닛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용 종동기어부를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와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휠용 연결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용 연결기어부는,
    상기 휠용 구동기어부와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소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 각각에 치합되는 제2 휠용 연결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용 연결기어부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휠용 종동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소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유닛은,
    상기 휠용 회전유닛에 연결되는 휠 하부모듈; 및
    상기 휠 하부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 상부모듈을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부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모듈용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모듈용 관통홀을 관통하는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및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주동 마그넷기어부를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마그넷기어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 마그넷기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동 마그넷기어부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시키는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는,
    상기 종동 마그넷기어부와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소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휠용 회전유닛은,
    상기 휠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용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 중 일측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고 타측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를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시키는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용 마그넷기어부는,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용 마그넷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소터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용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용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회전축용 구동모터부;
    상기 회전축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용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부;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각각에 결합되는 종동풀리부; 및
    상기 구동풀리부와 상기 종동풀리부에 연결되는 모터용 전동벨트부를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각각에는 다수개의 종동풀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용 회전유닛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 중 일측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된 종동풀리부와 타측 상기 하부모듈용 회전축부에 결합된 상기 종동풀리부에 연결되는 연결용 전동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휠 소터장치.
KR1020210180754A 2021-12-16 2021-12-16 휠 소터장치 KR10266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54A KR102660190B1 (ko) 2021-12-16 2021-12-16 휠 소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54A KR102660190B1 (ko) 2021-12-16 2021-12-16 휠 소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50A true KR20230091550A (ko) 2023-06-23
KR102660190B1 KR102660190B1 (ko) 2024-04-24

Family

ID=8699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754A KR102660190B1 (ko) 2021-12-16 2021-12-16 휠 소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387A (ja) * 2002-06-20 2004-03-11 Asahi-Seiki Mfg Co Ltd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2005350171A (ja) * 2004-06-08 2005-12-22 Okura Yusoki Co Ltd ローラコンベヤ
JP2008074505A (ja) * 2006-09-19 2008-04-03 Maruyasu Kikai Kk 振り分けコンベヤ
KR20170036303A (ko) 2015-09-24 2017-04-03 우양정공주식회사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20180125134A (ko) * 2017-05-14 2018-11-22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이송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2099107B1 (ko) * 2019-07-09 2020-04-09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387A (ja) * 2002-06-20 2004-03-11 Asahi-Seiki Mfg Co Ltd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2005350171A (ja) * 2004-06-08 2005-12-22 Okura Yusoki Co Ltd ローラコンベヤ
JP2008074505A (ja) * 2006-09-19 2008-04-03 Maruyasu Kikai Kk 振り分けコンベヤ
KR20170036303A (ko) 2015-09-24 2017-04-03 우양정공주식회사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20180125134A (ko) * 2017-05-14 2018-11-22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이송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2099107B1 (ko) * 2019-07-09 2020-04-09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190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379B2 (en) Cross belt sort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sorting piece goods
US6012344A (en) Inspection machine for containers
US4180150A (en) Multi-directional transfer device
CN106044163A (zh) 物流分拣变向输送装置
KR101753252B1 (ko) 소화물용 고속구분기
JP2015506323A (ja) 多方向ローラ組立体
CN110546088B (zh) 输送装置和输送方向改变装置
JP2003341830A (ja) 分岐設備
US4509636A (en) Diverting roller system
KR20230091550A (ko) 휠 소터장치
JP3828108B2 (ja) コンベア装置
JPS6164621A (ja) 搬送物の向き変更コンベア
JPH0336103A (ja) ローラーコンベヤーの多方向運搬装置
JP3466005B2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及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20010110566A (ko) 상이한 이송속도를 가지는 컨베이어 구조
CN109160240A (zh) 输送转向机构及分拣机
CN220722346U (zh) 一种差速转弯输送机
JPH10218322A (ja) 行路変更用コンベア
CN214113957U (zh) 一种可旋转的行走输送机
KR102513558B1 (ko)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듈화된 휠소타 장치
CN218433381U (zh) 移载机
JPH1087060A (ja) 仕分けコンベヤ
JP2706663B2 (ja) 搬送装置
JP6931848B2 (ja) 移動装置
JPS63300043A (ja) ウエハ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