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110A -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110A
KR20230085110A KR1020227033804A KR20227033804A KR20230085110A KR 20230085110 A KR20230085110 A KR 20230085110A KR 1020227033804 A KR1020227033804 A KR 1020227033804A KR 20227033804 A KR20227033804 A KR 20227033804A KR 20230085110 A KR20230085110 A KR 2023008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ction
heating
time
targ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지 후지타
타테키 스미이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과제] 흡인 장치를 사용한 체험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흡인 장치.

Description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담배 및 네블라이저 등의,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香味)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 등을 포함하는 기재(基材)를 사용하여,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흡인 장치는, 가열 동작을 규정한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가열 프로파일은, 흡인 장치를 사용한 체험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여러 가지 가열 프로파일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가열 개시 후 우선 최고 온도에 도달하고, 그 후 서서히 강온(降溫)하는 가열 프로파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20/084773호
그러나, 흡인 장치를 사용한 체험의 질은 더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하는 것은, 흡인 장치를 사용한 체험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時系列)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의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終期)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부에 급전(給電)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흡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상기 시간 구간의 시기(始期)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 제1의 듀티비(duty ratio)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2의 듀티비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1의 듀티비는 상기 제2의 듀티비보다도 커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와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해도 된다.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먼저 초기 승온(昇溫)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초기값보다도 높아도 된다.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1의 승온 구간 다음의 제2의 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초기값과의 차를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의 차를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어도 된다.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아도 된다.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을 마지막으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해도 된다.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보다도 뒤에 재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아도 된다.
상기 재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과 승온 구간을 교호로(번갈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하고, 상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아도 된다.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해도 된다.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해도 된다.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의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크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초기값과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재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재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어도 된다.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의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길어도 된다.
상기 흡인 장치는,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챔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기재가 삽입되는 개구와, 상기 기재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기재의 일부를 압압(狎壓)하는 압압부와, 비(非)압압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압압부의 외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시간 구간인 슬롯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슬롯에는, 복수의 전환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에 설정된 상기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경우에 상기 슬롯을 전환하고, 전환 후의 상기 슬롯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와의 괴리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의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의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 장치를 사용한 체험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된다.
[도 1]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의 물리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내는 히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4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5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7] 스틱형 기재가 보지부에 보지된 상태의, 비압압부를 포함하는 챔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8] 스틱형 기재가 보지부에 보지된 상태의, 압압부를 포함하는 챔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도 8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7-7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표 1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實溫度)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 표 2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표 3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표 4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 표 5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표 6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 표 6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표 6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흡인 장치는,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이, 에어로졸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 밖에,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은, 기체여도 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40), 보지부(60), 및 단열부(70)를 포함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마이크로폰 콘덴서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값을 취득한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통지부(113)는, 예를 들면, 발광하는 발광 장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 출력 장치, 또는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보지부(60)는,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보지부(60)는, 흡인 장치(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80)을 외부 공간으로 연통하는 개구(52)로부터 내부 공간(80)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吸口)부(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에어로졸원이 무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물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담배 유래 또는 비(非)담배 유래의 향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가 네블라이저 등의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액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여도 된다.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80)에 수용되고,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5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52)로부터 돌출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하면,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이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40)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일례로서, 가열부(40)는, 필름 모양으로 구성되고, 보지부(60)의 외주를 덮듯이 배치된다. 그리고, 가열부(40)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가 외주로부터 가열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40)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단열부(70)는, 가열부(40)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로의 전열(傳熱)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단열부(70)는, 진공 단열재, 또는 에어로겔 단열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하는 것을, 단순히 「흡인」 또는 「퍼프」라고도 칭한다. 또한, 유저가 흡인하는 동작을, 이하에서는 퍼프 동작이라고도 칭한다.
<<2. 기술적 특징>>
(1) 기재를 압압하면서 가열하는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면서 가열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의 물리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흡인 장치(100)는, 가열부(40) 및 보지부(60)를 포함하는, 히터 어셈블리(30)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스틱형 기재(150)가 히터 어셈블리(30)(보다 상세하게는,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히터 어셈블리(30)와 스틱형 기재(150) 사이에 공극(空隙)이 존재한다. 유저가 스틱형 기재(150)를 물고 흡인하면,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해당 공극을 경유하여 기재부(151)의 단부로부터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로 유입되고, 흡구부(152)의 단부로부터 유저의 구내로 유출된다. 즉, 유저가 흡입하는 공기는, 공기류(190A), 공기류(190B), 공기류(190C)의 순서로 흐르고, 스틱형 기재(15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과 혼합된 상태로, 유저의 구강 내로 안내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히터 어셈블리(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히터 어셈블리(30)는, 탑 캡(32)과, 가열부(40)와, 챔버(50)를 가진다. 챔버(50)는, 스틱형 기재(1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40)는, 챔버(50)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탑 캡(32)은, 챔버(50)에 스틱형 기재(150)를 삽입할 때의 가이드의 기능을 가짐과 더불어, 챔버(50)를 흡인 장치(100)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4는, 챔버(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4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5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는 개구(52)와,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하는 보지부(60)를 포함한다. 챔버(50)는, 스틱형 기재(15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80)을 둘러싸는, 중공(中空) 부재로서 형성된다. 중공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중공 부재는 바닥이 없는 통상체(筒狀體)여도 된다. 챔버(5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텐레스 스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챔버(50)로부터 스틱형 기재(150)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60)는,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압압하는 압압부(62)와, 비압압부(66)를 포함한다. 압압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가진다. 비압압부(66)는, 내면(66a)과, 외면(66b)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압압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는, 압압부(62)의 외면(62b)에 빈틈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50)의 개구(52)는,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지 않고 수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50)의 길이 방향, 환언하면 스틱형 기재(150)가 챔버(50)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챔버(50)의 측면 전체로서 신장(伸長)하는 방향, 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챔버(50)의 개구(52) 형상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되지만,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50)는, 압압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 이상 가진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60)의 2개의 압압부(62)는, 서로 대향한다. 2개의 압압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스틱형 기재(150)의 압압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와 같이, 압압부(62)의 내면(62a)은 평면이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압압부(62)의 내면(62a)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평면 형상의 평면 압압면을 가지고, 비압압부(66)의 내면(66a)은, 한 쌍의 평면 압압면의 양단(兩端)을 접속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곡면 형상의 곡면 비압압면을 가진다. 도시와 같이, 곡면 비압압면은, 챔버(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 전체적으로 원호(圓弧)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보지부(60)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 통상체에 의해 구성된다.
도 7은,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의, 비압압부(66)를 포함하는 챔버(50)의 종(縱)단면도이다. 도 8은,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의, 압압부(62)를 포함하는 챔버(50)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7-7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압압부(62)에 있어서 스틱형 기재(150)가 압압되는 것이 알기 쉽도록, 압압되기 전 상태의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난, 비압압부(66)의 내면(66a)과 스틱형 기재(150) 사이의 공극(67)은,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되고, 스틱형 기재(150)가 압압부(62)에 의해 압압되어 변형되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이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부여된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端面)(도 7 및 도 8 중 하측의 단면, 즉 기재부(151)의 단면)과 연통할 수 있다. 이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부여되어 챔버(50)의 개구(52)에서 먼 쪽으로 위치 부여된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도 7 및 도 8 중 하측의 단면, 즉 기재부(151)의 단면)에 연통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챔버(50) 외에 위치 부여된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도 7 및 도 8 중 하측의 단면, 즉 흡구부(152)의 단면)에 걸쳐, 공극(67) 및 스틱형 기재(150)의 내부를 경유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에 공급되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로를 흡인 장치(100)에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흡인 장치(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압압부(66)의, 공극(67)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소가 노출되므로, 유로의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극(67)을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가열되므로, 가열부(40)에 의한 방열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가열 효율을 높임과 함께, 퍼프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 의한 스틱형 기재(150)의 과도한 강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부(40)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퍼프에 따른 스틱형 기재(150)의 강온에 기인하는 향미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통기 저항의 관점 등에서, 비압압부(66)의 내면(66a)과 스틱형 기재(150) 사이의 공극(67)의 높이는, 0.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mm 이상 0.5m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압압부(62)의 내면(62a)과 스틱형 기재(150)의 중심의 거리(LA)는, 비압압부(66)의 내면(66a)과 스틱형 기재(150)의 중심의 거리(LB)보다도 짧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압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 가열부(40)와 스틱형 기재(150)의 중심의 거리를, 압압부(6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저부(底部)(56)를 가진다. 저부(56)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저벽(底壁)(56a)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저부(56)는, 노출한 스틱형 기재(150)의 단면이 공극(67)과 연통하도록,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저벽(56a)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챔버(50)의 저부(56)는, 저벽(56a)을 가지고, 이에 더하여 측벽(56b)을 가져도 된다. 측벽(56b)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저부(56)의 폭은, 저벽(56a)을 향하여 작아져도 된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보지부(60)의 비압압부(66)의 내면(66a)은, 챔버(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만곡(灣曲)되어 있다.
비압압부(66) 내면(66a)의 챔버(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형상은, 챔버(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개구(52)의 형상과, 챔버(50)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비압압부(66)의 내면(66a)은, 개구(52)를 형성하는 챔버(50)의 내면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개구(52)와 보지부(60)의 사이에 통 형상의 비보지부(5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비보지부(54)와 스틱형 기재(1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내듯이, 보지부(60)의 외주면은, 보지부(60)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보지부(6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보지부(60)의 외주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개구(52)를 형성하는 챔버(50)의 내면과 압압부(62)의 내면(62a)을 접속하는 테이퍼면(tapered surface)(58a)을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를 가진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면 히팅 트랙(heating track)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듯이, 압압부(62)의 외면(62b)과 비압압부(66)의 외면(66b)은, 각도를 가지고 서로 접속되며, 압압부(62)의 외면(62b)과 비압압부(66)의 외면(66b) 사이에 경계(71)가 형성될 수 있다. 히팅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경계(71)가 연장되는 방향(챔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경계(71)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전기 절연 부재(4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기 절연 부재(44)는, 보지부(60) 외면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전기 절연 부재(44)는, 챔버(50)의 길이 방향의 제1 가이드부(58) 측에 있어서 보지부(6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52)와 압압부(62)의 사이에 제1 가이드부(58)가 설치되므로, 챔버(5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챔버(50)의 외면의 형상 및 챔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챔버의 외주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절연 부재(44)가 보지부(60)의 외면 위에 배치됨으로써, 느슨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열부(40)는, 개구(52)와 제1 가이드부(58) 사이의 챔버(50)의 외면, 즉 비보지부(54)의 외면, 제1 가이드부(58)의 외면, 및 비압압부(66)의 외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40)는, 압압부(62)의 외면(62b)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흡인 장치(100)는, 가열부(40)로부터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전극(48)을 가진다. 띠 형상의 전극(48)은, 압압부(62)의 외면(62b)에 가열부(40)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평면인 압압부(62)의 외면(62b)으로부터 압압부(62)의 외면(62b)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개구(52)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40a)와, 개구(52)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40b)을 가진다. 제2 부분(40b)의 히터 전력 밀도는, 제1 부분(40a)의 히터 전력 밀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2 부분(40b)의 승온 속도는, 제1 부분(40a)의 승온 속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2 부분(40b)의 가열 온도는 임의의 동시간에 있어서, 제1 부분(40a)의 가열 온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분(40b)은,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6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흡연 가능물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흡연 가능물의 1/2 이상에 대응하는 보지부(60)의 외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챔버(5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압압부(62)를 가지고 있지만, 챔버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챔버(50)는, 하나의 압압부(62)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압압부(62)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압압부(62)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면서 보지하고, 가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여러 가지의 효과가 나타난다.
우선, 가열부(40)로부터 스틱형 기재(150)로의 열전도율이 향상된다. 즉,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를 목표 온도에 빨리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예비 가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열부(40)의 온도 변화에 대한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에어로졸의 생성량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유저에 의한 퍼프에 따라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저하됐다 해도, 곧 원래의 온도로 되돌릴 수 있다. 세 번째로, 외기 온도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네 번째로, 후술하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와 마찬가지의 온도 변화를 스틱형 기재(150)에 있어서 실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섯 번째로,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재승온 구간의 효과인 향미 향상의 효과를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면서, 외주(外周)부터 가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 내의 에어로졸원의 형상에 관계없이, 상술한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의 향상, 및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의 추종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균일에 기인하는, 스틱형 기재(150)의 형상 또는 크기의 오차에 관계없이, 상술한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의 향상, 및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의 추종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스틱형 기재(150)에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를 삽입하고, 스틱형 기재(150)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구성을 취하는 비교예에서는, 이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곤란하다. 왜냐하면, 해당 비교예에 있어서, 가령 스틱형 기재(150)를 외주로부터 압압했다고 해도,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와 스틱형 기재(150) 내의 에어로졸원을 잘 접촉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서는, 단열부(70)는, 가열부(40)를 외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 경우, 압압부(62)의 외면(62b)이 비압압부(66)의 외면(66b)과 비교하여 내부 공간(80)의 중심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압압부(62)의 외면(62b)과 단열부(7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혹은, 압압부(62)에 중첩되는 단열부(70)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부(70)에 의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가열 프로파일
흡인 장치(100)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가열 프로파일이란, 가열부(40)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정보이다. 흡인 장치(100)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규정된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실현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가열 프로파일에 의해 계획된 대로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 프로파일은, 전형적으로는,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했을 때에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최적이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유저가 맛보는 향미를 최적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규정된 목표 온도와 가열부(40)의 실제의 온도(이하, 실온도라고도 칭한다)와의 괴리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와, 실온도와의 괴리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정의된 가열부(40)의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와 같아지도록, 가열부(40)의 온도를 제어한다.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는, 예를 들면 공지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6)는, 전원부(111)로부터의 전력을, 펄스폭 변조(PWM) 또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에 의한 펄스의 형태로, 가열부(40)에 공급시킨다. 그 경우, 제어부(116)는, 전력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피드백 제어에서는, 제어부(116)는, 실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분(差分) 등에 근거하여, 가열부(40)로 공급하는 전력, 예를 들면 상술한 듀티비를 제어하면 된다. 피드백 제어는, 예를 들면 PID 제어(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이어도 된다. 혹은, 제어부(116)는, 단순한 ON-OFF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6)는, 실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을 실행하고, 실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고, 실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아지면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을 다시 실행해도 된다.
가열부(40)의 온도는, 예를 들면, 가열부(40)를 구성하는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 또는 추정하는 것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이것은,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은,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에서의 전압 강하량을 측정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에서의 전압 강하량은, 발열 저항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압 센서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가열부(40)의 온도는, 가열부(40) 부근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은,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실시된 것이 검출된 타이밍부터 개시된다.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의 일례는, 흡인 장치(100)에 설치된 버튼의 눌림이다.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의 다른 일례는, 퍼프 동작이다.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의 다른 일례는, 스마트폰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이다.
가열 개시 후, 시간 경과와 더불어 기재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은 서서히 감소해간다. 전형적으로는, 에어로졸원이 고갈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에서,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이 정지된다. 에어로졸원이 고갈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의 일례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이다. 에어로졸원이 고갈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의 일례는, 소정 횟수의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이다. 에어로졸원이 고갈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의 일례는, 흡인 장치(100)에 설치된 버튼이 눌린 타이밍이다. 이러한 버튼은, 예를 들면, 유저가 충분한 향미를 느낄 수 없게 되었을 때에 눌린다.
또한,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한다고 상정되는 기간은, 퍼프 가능 기간이라고도 불린다. 다른 한편,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은, 예비 가열 기간이라고도 불린다. 예비 가열 기간에 있어서 실시되는 가열은, 예비 가열이라고도 불린다.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되는 타이밍 및 종료되는 타이밍이, 유저에게 통지되어도 된다. 그 경우, 유저는, 이러한 통지를 참고하여, 퍼프 가능 기간에 있어서 퍼프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보지부(60)에 의한 스틱형 기재(150)의 보지 상태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6)는,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가 보지부(60)의 압압부(62)에 의해 압압된 상태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스틱형 기재(150)가 가열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6)는,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가 보지부(60)의 압압부(62)에 의해 압압된 상태에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에 따라 가열부(40)로의 급전량을 조정하고, 가열부(40)에 의한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을 제어한다. 그때, 제어부(116)는, 압압부(62)에 의한 압압의 강도에 따라 급전량을 더 조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16)는,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가 보지부(60)의 압압부(62)에 의해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을 실시하지 않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예를 들면,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실시하지 않는다). 압압함으로써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이 향상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의 가열 효율의 향상 정도에 따라,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質)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의 시간 구간의 각각에는,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복수의 시간 구간 중,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실온도의 괴리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의 각각의 종기까지,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프로파일은,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순서대로 포함한다. 표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초기 승온 구간은, 가열 프로파일의 개시로부터 35초 후까지의 구간이다. 도중 강온 구간은, 초기 승온 구간의 종기로부터 10초 후까지의 구간이다. 재승온 구간은,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로부터 310초 후까지의 구간이다. 가열 프로파일이, 이들의 시간 구간을 포함함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듯이,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부터 마지막에 걸쳐,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저의 퍼프 체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기 승온 구간은,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에 포함되는 시간 구간이다.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초기값보다도 높다. 초기값이란, 가열 개시 전의 가열부(40)의 온도로서 상정되는 온도이다. 초기값의 일례는, 0℃ 등의 임의의 온도이다. 초기값의 다른 일례는, 기온에 대응하는 온도이다.
도중 강온 구간은, 가열 프로파일의 도중에 포함되는 시간 구간이다.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도 낮다. 표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230℃는, 하나 전의 시간 구간인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295℃보다도 낮다.
재승온 구간은, 가열 프로파일의 마지막에 포함되는 시간 구간이다.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도 높다. 표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260℃는 하나 전의 시간 구간인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230℃보다도 높다.
제어부(116)가 표 1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 경우의,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표 1에 나타내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의 실온도는, 초기 승온 구간에서 상승하고, 초기 승온 구간의 종기에서 목표 온도인 295℃에 도달하고 있다. 가열부(40)의 실온도가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스틱형 기재(150)의 온도가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상정된다. 초기 승온 구간은,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으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가열부(40)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초기 온도로부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인 295℃까지 단번에 승온된다. 또한, 초기 온도란,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 개시시의 가열부(40)의 실온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비 가열을 조기에 끝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16)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실온도가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116)는, 초기 온도로부터 295℃를 목표로 가열부(40)의 온도를 제어한다. 가열 개시부터 35초가 경과하기 전에 실온도가 295℃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16)는, 295℃를 유지하도록 가열부(40)의 온도를 제어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의 실온도는, 도중 강온 구간에서 강하하고,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에서 목표 온도인 230℃에 도달하고 있다. 도중 강온 구간은, 초기 승온 구간의 다음에 설정된다. 그 때문에, 가열부(40)는,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초기 승온 구간의 설정 온도로부터 도중 강온 구간의 설정 온도까지 일단 강온하게 된다. 가열부(40)를 초기 승온 구간의 목표 온도와 같은 높은 온도인 채로 유지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급속하게 소비되어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너무 강해져 버리는 등이 불편이 발생한다. 그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중 강온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그러한 불편을 회피하여, 유저의 퍼프 체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가열부(40)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정지하고,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40)의 실온도를 가장 빨리 강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도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인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의 실온도는, 재승온 구간에서 상승하고, 재승온 구간의 종기에서 목표 온도인 260℃에 도달하고 있다. 재승온 구간은,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으로, 가열 프로파일의 마지막에 설정된다. 그 때문에, 가열부(40)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도중 강온 구간의 설정 온도로부터 재승온 구간의 설정 온도까지 다시 승온되고, 그 후 가열을 정지한다. 초기 승온 구간 후에 가열부(40)를 계속 강온시키면, 스틱형 기재(150)도 강온하므로, 에어로졸의 생성량이 저하되고,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열화(劣化)되어 버릴 수 있다. 그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중 강온 구간의 뒤에 재승온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가열 프로파일의 후반에 있어서도 유저가 맛보는 향미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16)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실온도가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116)는, 260℃를 목표로 가열부(40)의 온도를 제어한다. 재승온 구간의 개시로부터 310초가 경과하기 전에 실제 온도가 260℃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16)는, 260℃을 유지하도록 가열부(40)의 온도를 제어한다.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커도 된다. 초기 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초기값과의 차(差)의 절대값을 초기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도중 강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예를 들면,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의 차의 절대값을 도중 강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재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예를 들면,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의 차의 절대값을 재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또한,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초기 승온 구간에서 급속히 승온하고, 도중 강온 구간에서 고온인 상태로부터 조기에 벗어나, 재승온 구간에서 천천히 승온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 가열을 조기에 끝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으로부터 마지막에 걸쳐,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복수의 시간 구간의 전환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부(40)의 실온도에 근거하여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6)는, 초기 승온 구간으로부터 도중 강온 구간으로의 전환, 및 재승온 구간의 종료를, 각각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가열부(40)의 실온도와의 괴리가 소정의 문턱값 이내가 된 것에 근거하여 판정해도 된다.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복수의 시간 구간의 전환 중 적어도 일부를,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의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가열 프로파일에서는, 도중 강온 구간은 10초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을 개시하고 나서 10초 경과한 경우에, 재승온 구간으로의 전환을 판정하고, 가열부(40)에 의한 가열을 재개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40)의 온도를 측정하지 않고 도중 강온 구간으로부터 재승온 구간으로의 전환을 판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6)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열부(40)를 구성하는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여도,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정지하면서, 재승온 구간으로의 전환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가열부(40)의 실온도는, 외기 온도 등의 외부 환경에 의존하여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경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가열부(40)의 실온도는,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220℃가 되고,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240℃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시간 구간(즉, 재승온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가열부(40)의 실온도와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가열부(40)의 실온도가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 제1의 듀티비로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실시한다. 다른 한편,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 다음의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가열부(40)의 실온도가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2의 듀티비로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실시한다. 여기서, 제1의 듀티비는, 제2의 듀티비보다도 크다. 여기서의 듀티비란, 소정 기간에서 차지하는 가열부(40)로의 급전이 계속되는 기간의 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해 가열부(40)의 목표 온도와 실온도의 사이에서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여도, 해당 괴리를 신속하게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처리의 흐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우선, 흡인 장치(100)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초기 온도로부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가열부(40)를 승온시킨다(스텝 S102).
그 다음에, 흡인 장치(100)는,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정지하고,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가열부(40)를 강온시킨다(스텝 S104).
다음으로, 흡인 장치(100)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가열부(40)를 승온시킨다(스텝 S106).
그리고, 흡인 장치(100)는, 재승온 구간이 종료됨과 동시에,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정지한다(스텝 S108).
<<3. 변형예>>
<3. 1. 제1의 변형예>
초기 승온 구간에서는, 예비 가열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에어로졸이 충분히 발생하는 온도까지 스틱형 기재(150)가 급격하게 승온된다. 그 결과, 스틱형 기재(150)가 과도하게 승온해 버리는, 오버 슈트(overshoot)라고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져 버린다. 오버 슈트가 발생하면, 스틱형 기재(150)의 수명(상세하게는, 퍼프 가능 기간의 길이)을 줄여 버리거나, 유저에게 조악한 향미를 송달해 버린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제1의 변형예에서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체감(遞減)하는 가열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오버 슈트를 회피하여, 유저의 퍼프 체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도 12는, 표 2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나타내듯이, 초기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 및 제1의 승온 구간의 다음의 제2의 승온 구간을 포함한다. 제1의 승온 구간, 및 제2의 승온 구간 각각에는, 다른 목표 온도가 설정된다. 그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제1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 목표 온도인 290℃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음으로 제2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 목표 온도인 295℃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초기 승온 구간의 도중에 마일스톤(milestone)으로서 기능하는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온도 제어함으로써,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실제 온도를 초기 승온 구간의 목표 온도에 도달시키는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의 승온 구간 및 제2의 승온 구간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하다. 제1의 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초기값의 차를 제1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초기값을 0℃로 하면, 표 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의 제1의 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290-0)/17≒17이다. 제2의 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제2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를 제2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표 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의 제2의 승온 구간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295-290)/18≒0.3이다.
초기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 뒤의 승온 구간은, 앞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다. 즉, 제2의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다. 그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듯이, 초기 승온 구간의 후반으로 진행됨에 따라 천천히 승온하게 되므로, 초기 승온 구간의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실온도의 추이를 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버 슈트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 및 제1의 승온 구간으로 설정되는 목표 온도, 및 제2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 및 제2의 승온 구간으로 설정되는 목표 온도는, 제2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제1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일례로서, 제2의 승온 구간의 길이는, 제1의 승온 구간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표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의 승온 구간의 길이는 18초이며, 제1의 승온 구간의 길이인 17초보다도 길다. 다른 일례로서, 제2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 폭은, 제1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 폭보다도 작아도 된다. 표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 폭은 295℃-290℃=5℃이며, 초기값을 일례로 하여 0℃로 했을 때의 제2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 폭인 290℃-0℃=290℃보다도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의 승온 구간으로서, 승온 폭에 대해 충분한 시간 길이의 시간 구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오버 슈트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기 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의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도 13은, 표 3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에 나타내듯이, 초기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 및 제2의 승온 구간에 추가하여, 온도 유지 구간을 마지막으로 포함한다.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17초간의 제1 승온 구간에 있어서 290℃까지 승온하고, 후속하는 18초간의 제2 승온 구간에 있어서 295℃까지 승온하고, 더 후속하는 10초간의 온도 유지 구간에 있어서 295℃를 유지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온도 유지 구간에 있어서 스틱형 기재(150)를 내부까지 충분히 승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기재(150)가 내부까지 충분히 승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후속하는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유저에게 조악한 끽미(喫味)를 송달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초기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승온 구간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초기 승온 구간은, 3개 이상의 승온 구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초기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승온 구간에 있어서, 나중의 승온 구간일수록, 앞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아진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제1의 승온 구간이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는,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제1의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열부(40)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급속히 승온하고,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고온인 상태로부터 조기에 벗어나,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천천히 승온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 가열을 조기에 끝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부터 마지막에 걸쳐,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초기 승온 구간에 온도 유지 구간이 포함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초기 승온 구간과 도중 강온 구간과의 사이에, 온도 유지 구간이 포함된다고 인식되어도 된다. 즉, 가열 프로파일은, 초기 승온 구간, 온도 유지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여도, 상기 설명한 효과가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물론, 초기 승온 구간의 마지막에 온도 유지 구간이 설정되고, 초기 승온 구간과 도중 강온 구간의 사이에도 온도 유지 구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3. 2. 제2의 변형예>
스틱형 기재(150)가 급격하게 승온하면, 스틱형 기재(15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급속히 소비되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너무 강하거나, 에어로졸원이 일찌감치 고갈해 버리거나 한다라는 불편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제2의 변형예에서는, 목표 온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시간 구간인 단계적 승온 구간을 포함하는 가열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의 급격한 승온을 방지하여 상술한 불편을 방지하고, 유저의 퍼프 체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도 14는, 표 4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표 4에 나타내듯이, 가열 프로파일은, 단계적 승온 구간으로서의 재승온 구간을 포함한다. 단계적 승온 구간은,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단계적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 이상(즉, 동일 또는 보다 크다)이다. 표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재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첫 번째의 온도 유지 구간의 목표 온도는, 도중 강온 구간의 목표 온도와 같은 230℃이다. 재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승온 구간의 목표 온도는, 첫 번째의 온도 유지 구간의 목표 온도보다 큰 260℃이다. 재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두 번째의 온도 유지 구간의 목표 온도는, 재승온 구간의 목표 온도와 같은 260℃이다. 그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첫 번째의 온도 유지 구간에 있어서 230℃을 유지하고, 승온 구간에 있어서 260℃까지 승온하며, 두 번째의 온도 유지 구간에 있어서 260℃을 유지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에어로졸이 천천히 생성되게 되므로, 스틱형 기재(150)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에 따라, 재승온 구간의 마지막까지, 충분한 향미를 스틱형 기재(150)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계적 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과 승온 구간을 교호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동일하다. 승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도 높다. 표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재승온 구간의 처음에 135초간의 온도 유지 구간이 설정되고, 다음으로 80초간의 승온 구간이 설정되고, 마지막에 95초간의 온도 유지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되는 목표 온도는,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되는 목표 온도와 동일하므로, 가령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있어서 실제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여도, 온도 유지 구간에 있어서 실온도를 목표 온도에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단계적 승온 구간의 전체를 통하여, 목표 온도에 대한 실온도의 추종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적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승온 구간의 수는,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여도 된다. 그 경우의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도 15는, 표 5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온도 유지 구간에 「M」이 부여되고,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 구간에 「U」가 부여되어 있다.
표 15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은, 단계적 승온 구간으로서, 온도 유지 구간(M)과 승온 구간(U)을 교호, 또한 복수 포함하는 재승온 구간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복수 단계로 나누어 서서히 가열부(40)를 승온시킨다. 제어부(116)는, 승온 구간(U)에 있어서의 소정의 승온 폭의 승온이 종료된 경우에, 다음의 온도 유지 구간(M)을 개시시킨다. 1개의 승온 구간(U)에 있어서의 소정의 승온 폭은 수℃~십수℃ 정도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온 구간(U)으로 설정되는 목표 온도는, 재승온 구간의 목표 온도인 26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승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틱형 기재(150)의 수명을 헛되이 줄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온 구간(U)에 있어서의 승온 폭은, 재승온 구간 전체에 걸쳐서 동일해도 되고, 예를 들면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승온 폭이 작아지는 등, 상이해도 된다.
제어부(116)는,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을 실시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다음의 승온 구간(U)을 개시시켜도 된다. 즉,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는, 유저가 퍼프를 실시할 때마다 승온되어도 되고, 퍼프와 퍼프 사이, 온도가 유지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퍼프를 실시한 타이밍에서, 승온되어, 향미의 추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프로파일의 후반에 있어서도 유저가 맛보는 향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퍼프 동작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제어부(116)는, 온도 유지 구간(M)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에 따라, 해당 온도 유지 구간(M)을 종료시키고, 다음의 승온 구간(U)을 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는, 온도가 소정 시간 유지된 후에 승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퍼프 동작을 검출하지 않고도 승온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어부(116)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유저가 과거에 실시한 퍼프와 퍼프의 간격과 동등한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상술한, 유저가 퍼프를 실시할 때마다 승온하는 경우와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재승온 구간(보다 상세하게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이 가장 작고,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열부(40)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급속히 승온하고,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고온인 상태로부터 조기에 벗어나,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천천히 승온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 가열을 조기에 끝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부터 마지막에 걸쳐,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3. 제3의 변형예>
유저에 의해 실시되는 퍼프의 간격에는, 개인차가 있다. 그 때문에, 획일적인 가열 프로파일에서는, 유저에 따라서는 충분한 향미를 맛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의 간격이 짧은 경우,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승온이 충분히 실시되기 전에 스틱형 기재(150)의 수명이 다해버려, 재승온에 의한 향미 향상의 효과를 유저가 실감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제3의 변형예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가변(可變)인 가열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저에게 적합한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떤 유저에 대해서도, 충분한 퍼프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시간 구간인 슬롯을 복수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슬롯(이하, 현재의 슬롯이라고도 칭한다)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슬롯에는, 슬롯의 종기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가 설정된다. 슬롯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슬롯의 종기에 있어서, 실온도가 슬롯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것을 가리킨다. 제어부(116)는, 슬롯을 전환한 경우, 전환 후의 슬롯에 설정된 목표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슬롯에는, 복수의 전환 조건이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슬롯에 설정된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경우에 슬롯을 전환하고, 전환 후의 슬롯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현재의 슬롯에 설정된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경우에, 현재 슬롯의 다음 슬롯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전환 조건에 근거하는 유연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슬롯에 설정되는 복수의 전환 조건은, 슬롯의 시간 길이의 분만큼 시간이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16)는, 현재의 슬롯으로 전환된 후, 현재의 슬롯의 시간 길이의 분만큼 시간이 경과한 경우, 현재의 슬롯으로부터 다음의 슬롯으로 전환한다.
슬롯에 설정되는 복수의 전환 조건은,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이 검출된 것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16)는,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에, 다음의 슬롯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현재의 슬롯에 근거하는 제어가 중단되고, 다음의 슬롯으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16)는,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이 검출된 경우,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를 단축한다.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란,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는 기간의 길이이다. 그때, 제어부(116)는,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이 검출된 타이밍부터 해당 타이밍에 대응하는 슬롯의 종기까지의 남은 시간 길이의 분만큼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를 단축한다. 예를 들면, 현재 슬롯의 시간 길이가 20초이고, 현재의 슬롯으로 전환된 후 5초가 경과한 타이밍에서 퍼프 동작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6)는, 20-5=15초분,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를 단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퍼프 동작의 간격이 짧을수록,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가 단축된다. 따라서, 퍼프 동작이 다수 회 실시되어 에어로졸원이 조기에 고갈한 경우여도,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이 계속되어 유저에게 조잡한 향미를 송달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 중, 연속하는 4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부분을 발췌한 예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도 16~도 18은, 표 6에 나타낸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동작한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초)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40)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선(21)은,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16에서는, 슬롯(S1~S4)의 각각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의,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나타나 있다.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슬롯(S1~S4)의 각각은, 슬롯의 시간 길이의 분만큼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다음의 슬롯으로 전환된다. 슬롯(S1)의 전에는, 목표 온도를 230℃로 하는 다른 슬롯이 연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듯이, 슬롯(S1)에 있어서, 230℃로부터 235℃로 승온된다. 마찬가지로, 슬롯(S2)에 있어서 240℃로 승온되고, 슬롯(S3)에 있어서 240℃로 유지되며, 슬롯(S4)에 있어서 245℃로 승온된다.
여기서, 슬롯(S1)에 포함되는 시각(t1)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이 검출된 것으로 한다. 도 17에서는, 슬롯(S1)에 포함되는 시각(t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된 경우의,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나타나 있다. 슬롯(S1)에 포함되는 시각(t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6)는, 시각(t1)에 있어서 슬롯(S1)를 종료시켜 슬롯(S2)으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도 17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변환 후의 슬롯(S2)의 종기에 가열부(40)의 실온도가 목표 온도 240℃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듯이, 슬롯(S1)이 도중에 중단되므로, 그 분만큼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슬롯(S3)에 포함되는 시각(t2)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이 검출된 것으로 한다. 도 18에서는, 슬롯(S1)에 포함되는 시각(t1) 및 슬롯(S3)에 포함되는 시각(t2)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의, 가열부(40)의 실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나타나 있다. 슬롯(S3)에 포함되는 시각(t2)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6)는, 시각(t2)에 있어서 슬롯(S3)을 종료시켜 슬롯(S4)으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도 18에 나타내듯이, 제어부(116)는, 전환 후의 슬롯(S4)의 종기에 가열부(40)의 실온도가 목표 온도 240℃에 도달하도록,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듯이, 슬롯(S3)이 도중에 중단되므로, 그 분만큼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길이가 단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슬롯에 설정된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것에 따라 슬롯을 전환하면서,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변형예에서는,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이 검출된 것에 따라 슬롯을 전환하면서, 가열부(40)의 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퍼프 간격에 따라, 세세한 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연속하는 2개의 슬롯의 사이에서 목표 온도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슬롯(S1)의 목표 온도는 235℃이며, 슬롯(S2)의 목표 온도는 235℃와는 상이한 240℃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퍼프를 실시할 때마다 가열부(40)를 계속 승온시킬 수 있으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연속하는 2개의 슬롯의 사이에서 목표 온도가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슬롯(S2)의 목표 온도는 240℃이며, 슬롯(S4)의 목표 온도는 동일하게 240℃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퍼프를 실시해도 가열부(4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틱형 기재(150)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롯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해당 슬롯의 앞에 연속하는 다른 슬롯에 설정된 슬롯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의 슬롯에 설정되어 있는 목표 온도와 비교하여, 뒤의 슬롯에 설정되어 있는 목표 온도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지 않고, 같은 값 또는 큰 값이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저가 퍼프를 실시할 때마다 온도 유지 또는 승온시켜, 유저가 맛보는 향미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롯의 수는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의 수가 너무 적으면, 세세한 온도 제어가 곤란하게 되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열화해 버릴 수 있다. 그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롯의 수가 너무 적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롯의 수는 15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의 수가 너무 많으면, 그만큼 슬롯의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해 버려, 제어부(116)에 걸리는 처리 부하가 증대한다. 그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롯의 수가 너무 많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6)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롯의 시간 길이는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의 시간 길이가 너무 짧으면, 그만큼 슬롯의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해 버려, 제어부(116)에 걸리는 처리 부하가 증대한다. 그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롯의 시간 길이가 너무 짧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6)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롯의 시간 길이는 25초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의 시간 길이가 너무 길면, 세세한 온도 제어가 곤란하게 되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가 열화해 버릴 수 있다. 그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롯의 시간 길이가 너무 길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맛보는 향미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2개의 슬롯의 시간 길이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세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진다.
가열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적어도 2개의 슬롯의 시간 길이는, 동일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롯의 전환이 간단하고 쉬워지므로, 제어부(116)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형적으로는, 슬롯은,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다. 그 경우,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재승온 구간이 압축되고, 퍼프가 실시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승온 타이밍이 앞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유저의 퍼프 간격이 짧은 경우여도,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충분히 승온시킬 수 있으므로, 재승온에 의한 향미 향상의 효과를 유저에게 실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어떠한 패스 스타일의 유저에 대해서도, 충분한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재승온 구간(보다 상세하게는,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이 가장 작고,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열부(40)는, 초기 승온 구간에 있어서 급속히 승온하고,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고온인 상태로부터 조기에 벗어나, 재승온 구간에 있어서 천천히 승온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 가열을 조기에 끝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가열 프로파일의 처음부터 마지막에 걸쳐, 유저에게 만족스럽게 충분한 질의 퍼프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보충>>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양해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중 강온 구간의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가 판정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16)는,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가열부(40)의 실제의 온도의 차에 근거하여,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6)는, 가열부(40) 부근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한 측정을 소정 주기로 실행하면서, 가열부(40)의 실온도를 감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16)는, 측정된 실온도가 도중 강온 구간의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도중 강온 구간으로부터 재승온 구간으로의 전환을 판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기 온도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하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에 도중 강온 구간으로부터 재승온 구간으로의 전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116)는, 목표 온도와 실온도의 괴리에 따라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례로서, 제어부(116)는, 현재의 실온도와 현재의 시간 구간(즉,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가열부(4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으로 설정된 목표 온도의 괴리에 따라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즉, 표 1 및 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가열 개시로부터 10초 후의 가열부(40)의 실온도가 100℃였을 경우, 제어부(116)는, 100℃와 295℃의 괴리인 195℃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제어부(116)는, 현재의 실온도와 현재의 목표 온도의 괴리에 따라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즉, 표 1 및 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가열 개시로부터 10초 후의 가열부(40)의 실온도가 100℃였을 경우, 현재의 목표 온도는 어림해서 295÷35×10=84℃가 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116)는, 100℃와 84℃의 괴리인 -16℃에 근거하여, 가열부(40)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현재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도 현재의 실온도가 낮은 경우에 실시되는, 승온을 위한 가열부(40)의 동작은,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러한 승온을 위한 가열부(40)의 동작은, 시간 구간의 종기까지의 남은 시간과, 실온도와 목표 온도의 괴리에 근거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즉, 표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가열 개시로부터 10초 후의 가열부(40)의 실온도가 100℃였을 경우, 제어부(116)는, 25초 후에, 앞으로 195℃ 승온하도록, 가열부(40)로 급전되는 전력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이러한 승온을 위한 가열부(40)의 동작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어부(116)는, 승온 시에는, 가열부(40)로 급전되는 전력 펄스의 듀티비를, 예를 들면 항상 최대로 해도 된다.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하는 타이밍의 통지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서,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하는 타이밍의 통지는, 초기 승온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초기 승온 구간의 마지막에 온도 유지 구간이 포함되는 경우,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하는 타이밍의 통지는, 초기 승온 구간에 포함되는 온도 유지 구간의 시기에 있어 실시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초기 승온 구간과 도중 강온 구간의 사이에 온도 유지 구간이 포함되는 경우,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하는 타이밍의 통지는, 이러한 온도 유지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어셈블리(30)와 스틱형 기재(1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이, 스틱형 기재(150)에 공기를 도입하는 유로로서 기능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히터 어셈블리(30)의 저벽에, 외기와 연통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퍼프가 실시된 때에는, 이러한 개구로부터 스틱형 기재(150)로 공기가 도입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한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즉, 제1의 변형예, 제2의 변형예, 및 제3의 변형예 중, 적어도 2개가 조합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제1의 변형예 및 제2의 변형예가 조합되어도 된다. 즉,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한 복수의 승온 구간을 포함하는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목표 온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재승온 구간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제1의 변형예 및 제3의 변형예가 조합되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한 복수의 승온 구간을 포함하는 초기 승온 구간, 도중 강온 구간, 및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재승온 구간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장치에 의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각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기록 매체(비일시적인 매체: non-transitory media)에 미리 격납(저장)된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한 실행시에 RAM에 읽혀져서 C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이다. 또한, 상기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로우차트 및 시퀀스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는, 반드시 도시된 순서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몇 개의 처리 스텝은,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추가적인 처리 스텝이 채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처리 스텝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흡인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흡인 장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상기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 제1의 듀티비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2의 듀티비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1의 듀티비는 상기 제2의 듀티비보다도 큰,
상기 (2)에 기재된 흡인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6)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먼저 초기 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초기값보다도 높은,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7)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다음의 제2의 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초기값의 차를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를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인,
상기 (6)에 기재된 흡인 장치.
(8)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은,
상기 (7)에 기재된 흡인 장치.
(9)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을 마지막으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한,
상기 (6)~(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10)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보다도 뒤에 재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은,
상기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11)
상기 재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과 승온 구간을 교호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하고,
상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은,
상기 (10)에 기재된 흡인 장치.
(12)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상기 (6)을 인용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흡인 장치.
(13)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한,
상기 (6)을 인용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흡인 장치.
(14)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크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초기값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재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재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인,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흡인 장치.
(15)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상기 (12)~(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16)
상기 흡인 장치는,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챔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기재가 삽입되는 개구와, 상기 기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기재의 일부를 압압하는 압압부와, 비압압부를 포함하는,
상기 (1)~(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17)
상기 가열부는, 상기 압압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상기 (16)에 기재된 흡인 장치.
(18)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시간 구간인 슬롯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슬롯에는, 복수의 전환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에 설정된 상기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경우에 상기 슬롯을 전환하고, 전환 후의 상기 슬롯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19)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의 괴리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1)~(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 장치.
(20)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1)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실행시키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30 히터 어셈블리
32 탑 캡
40 가열부
40a 제1 부분
40b 제2 부분
42 가열 요소
44 전기 절연 부재
48 전극
50 챔버
52 개구
54 비보지부
56 저부
56a 저벽
56b 측벽
58 제1 가이드부
58a 테이퍼면
60 보지부
62 압압부
62a 내면
62b 외면
66 비압압부
66a 내면
66b 외면
67 공극
70 단열부
80 내부 공간

Claims (21)

  1.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흡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흡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다음의 상기 시간 구간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 제1의 듀티비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2의 듀티비로 상기 가열부로의 급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1의 듀티비는 상기 제2의 듀티비보다도 큰,
    흡인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하는,
    흡인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의 차에 근거하여,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종기를 판정하는,
    흡인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먼저 초기 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초기값보다도 높은,
    흡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다음의 제2의 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 및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서로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상이하고,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초기값의 차를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은,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를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인,
    흡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승온 구간은, 상기 제1의 승온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 시간당의 승온 폭이 작은,
    흡인 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을 마지막으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한,
    흡인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보다도 뒤에 재승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은,
    흡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재승온 구간은, 온도 유지 구간과 승온 구간을 교호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하고,
    상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높은,
    흡인 장치.
  12. 청구항 6을 인용하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흡인 장치.
  13. 청구항 6을 인용하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온도 유지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온도 유지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온도 유지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동일한,
    흡인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 각각의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을 비교한 경우,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작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다음으로 작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가장 크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초기 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초기값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이며,
    상기 재승온 구간의 상기 단위 시간당의 상기 목표 온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은, 상기 재승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재승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재승온 구간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인,
    흡인 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승온 구간, 상기 도중 강온 구간, 및 상기 재승온 구간 각각의 시간 구간의 시간 길이를 비교한 경우,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이 가장 짧고, 상기 초기 승온 구간이 다음으로 짧고, 상기 재승온 구간이 가장 긴,
    흡인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챔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기재가 삽입되는 개구와, 상기 기재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기재의 일부를 압압하는 압압부와, 비압압부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압압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흡인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시간 구간인 슬롯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슬롯에는, 복수의 전환 조건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에 설정된 상기 복수의 전환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된 경우에 상기 슬롯을 전환하고, 전환 후의 상기 슬롯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흡인 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가열부의 실제의 온도의 괴리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흡인 장치.
  20.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1.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가열부를 가지는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가열부의 온도의 목표값인 목표 온도의 시계열 추이가 규정된 가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실행시키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시간 축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간 구간 각각에는, 상기 시간 구간의 종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가열 프로파일은, 도중에 도중 강온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도중 강온 구간의 하나 전의 시간 구간에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보다도 낮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중 강온 구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급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KR1020227033804A 2020-10-12 2020-10-12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851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8422 WO2022079751A1 (ja) 2020-10-12 2020-10-12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110A true KR20230085110A (ko) 2023-06-13

Family

ID=8120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804A KR20230085110A (ko) 2020-10-12 2020-10-12 흡인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02855A1 (ko)
EP (1) EP4226795A1 (ko)
JP (1) JPWO2022079751A1 (ko)
KR (1) KR20230085110A (ko)
CN (1) CN115666301A (ko)
TW (1) TW202214128A (ko)
WO (1) WO2022079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WO2024009435A1 (ja) * 2022-07-06 2024-01-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773A (ja) 2018-11-15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262A (en) * 1991-03-11 1997-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Tubular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article
TWI608805B (zh) * 2012-12-28 2017-12-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產生具有一致性質的氣溶膠之方法
US9423152B2 (en) * 2013-03-15 2016-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CN105636466B (zh) * 2013-09-30 2018-09-1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型香味吸取器
WO2018202403A1 (en) * 2017-05-03 2018-11-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in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190010433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보정 방법
JP7344199B2 (ja) * 2017-10-05 2023-09-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連続的な電力調整を有する電気的に作動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GB201803648D0 (en) * 2018-03-07 2018-04-25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PL3777574T3 (pl) * 2018-03-26 2024-04-15 Japan Tobacco Inc. Urządzenie wytwarzające aerozol, sposób sterowania i program
CN108618207A (zh) * 2018-05-31 2018-10-09 绿烟实业(深圳)有限公司 控制气雾生成装置中气雾产生的方法和气雾生成装置
US12016387B2 (en) * 2018-10-12 2024-06-2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WO2020084773A1 (ja) 2018-10-26 2020-04-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773A (ja) 2018-11-15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6301A (zh) 2023-01-31
JPWO2022079751A1 (ko) 2022-04-21
TW202214128A (zh) 2022-04-16
WO2022079751A1 (ja) 2022-04-21
US20230102855A1 (en) 2023-03-30
EP4226795A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79753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02855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WO2020084776A1 (ja)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WO2021260894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079749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20084775A1 (ja)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WO2022079752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079750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316286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4316290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3073920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吸引装置の制御方法
KR20240095443A (ko) 흡인 장치, 기재, 및 흡인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062788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制御方法
JP7184958B2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吸引システム
WO2022130493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73931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制御方法
WO2023073932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制御方法
WO2023112247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WO2024024004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121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8128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81280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37445A1 (ja) 吸引装置、基材、及び制御方法
JP2022031844A (ja)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KR20240090486A (ko) 유도 가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