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359A -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359A
KR20230083359A KR1020210170788A KR20210170788A KR20230083359A KR 20230083359 A KR20230083359 A KR 20230083359A KR 1020210170788 A KR1020210170788 A KR 1020210170788A KR 20210170788 A KR20210170788 A KR 20210170788A KR 20230083359 A KR20230083359 A KR 2023008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insert tool
winding devi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호텍
Priority to KR102021017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359A/ko
Publication of KR2023008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툴의 측방에 누름부가 구비되어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며, 포마부와 턴테이블을 동시에 제어하여 2극 이상의 코일을 안정적으로 권선하여 생산성 향상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특히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여 코일 제작에 대한 불량률을 크게 줄이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모터의 코일을 권선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인서트툴(21)과, 상기 인서트툴(21)을 회전과 승강시키는 턴테이블(22)이 구비되는 인서트부(20); 상기 프레임부(10)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을 제작하는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부(30);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부(40); 상기 파지부(40) 측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권선부(3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로 코일을 제작하는 포마부(50); 상기 포마부(50)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측을 걸어 하부로 밀어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시키는 푸셔(60); 상기 턴테이블(2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부(20) 상부에서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상기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누름부(70); 상기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Motor coil winding device with anti-loosening function}
본 발명은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툴의 측방에 누름부가 구비되어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며, 포마부와 턴테이블을 동시에 제어하여 2극 이상의 코일을 안정적으로 권선하여 생산성 향상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특히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여 코일 제작에 대한 불량률을 크게 줄이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역학적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모터(motor)를 포함하여 말한다.
여기서, 전동기는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전동기는 다시 3상교류용과 단상교류용으로 구분되는데 오늘날에는 3상교류용 전동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기 내부의 고정자에 코일을 감는 방법은 고정자에 직접 감는 방식과 일정 형태로 먼저 코일을 감아서 고정자 내벽에 형성된 티스와 티스 사이에 형성된 슬롯(slot)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성능의 모터일수록 극 수가 다양해지고, 코일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권선 수가 증가하므로, 인력에 의한 한계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9227호“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에서는 권선틀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틀에 안치하여 모터 코일의 공정 효율을 향상하는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1극 씩 권선하면서 코일을 삽입하였으므로 여러 극이 필요한 경우에는 삽입된 코일의 단부를 용접하여 연결하였으므로 와이어의 저항이 증가되어 모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극 이상의 다극성 코일을 와이어의 절단없이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이 권선 작업중에 풀리지 않도록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9227호 (1996.01.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극 이상의 코일을 제작함에 있어서, 1극의 코일이 인서트툴에 안착된 후에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연속해서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을 제작하며,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이 권선 작업중에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인서트툴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정렬하여 모터 코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모터의 코일을 권선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인서트툴(21)과, 상기 인서트툴(21)을 회전과 승강시키는 턴테이블(22)이 구비되는 인서트부(20); 상기 프레임부(10)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을 제작하는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부(30);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부(40); 상기 파지부(40) 측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권선부(3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을 제작하는 포마부(50); 상기 포마부(50) 일측에 구비되어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측을 걸어 하부로 밀어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시키는 푸셔(60); 상기 턴테이블(2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부(20) 상부에서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상기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누름부(70); 상기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는 일측에 실린더의 진퇴 동작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공급부(30)와 상기 권선부(51) 사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와이어커버(1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이 상기 푸셔(60)를 통하여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상기 와이어커버(11)를 동작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공급부(30)의 이동으로 상기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11)의 받침부(12)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툴(21)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중심부가 중공되어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누름부(70)는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상기 코일을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커버(71)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이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상기 지지커버(71)를 동작하여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함으로써 권선부(31)의 회전에 상기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60)를 통하여 상기 인서트툴(21)에 코일을 안착시키고, 상기 누름부(70)를 동작한 후에 상기 포마부(50)의 회전에 대응하도록 상기 턴테이블(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인서트툴(21)과 상기 포마부(50) 사이의 와이어가 꼬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2극 이상의 코일을 제작함에 있어서, 1극의 코일이 인서트툴에 안착된 후에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연속해서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을 제작하며,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이 권선 작업중에 풀리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 꼬임에 대한 불량률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서트툴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정렬하여 모터 코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마부에 1극의 코일이 권선되는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가 구비되지 않은 권선장치에서 1극의 코일이 권선되고 다음 극의 코일을 권선을 준비하는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가 구비된 권선장치에서 1극의 코일이 권선되고 다음 극의 코일을 권선을 준비하는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가 코일을 지지하고, 다음 극의 코일이 권선되는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코일이 권선이 제작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가 구비되지 않은 권선장치에서 1극의 코일이 권선되고 다음 극의 코일을 권선을 준비하는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크게 프레임부(10)과, 인서트부(20)와, 와이어공급부(30)와, 파지부(40)와, 포마부(50)와, 푸셔(60)와, 누름부(7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모터의 코일을 연속하여 권선한다.
먼저, 프레임부(10)는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구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인서트부(20)는 프레임(10) 상면에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모터의 코일이 안착되는 인서트툴(21)과 인서트툴(21)을 회전과 승강시키는 턴테이블(22)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와이어공급부(30)는 프레임부(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코일을 제작하는 와이어(w)를 공급한다.
그리고, 파지부(40)는 프레임부(10)의 외곽방향에서 하방으로 설치되며, 와이어(w)를 파지한다.
또한, 포마부(50)는 파지부(40) 측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하방으로 형성된 권선부(5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와이어로 코일을 제작한다.
여기서, 파지부(40)와 포마부(50)는 같은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동시에 회전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는 권선부(51)에 권선되는 와이어의 경로가 겹치지 않도록 와이어공급부(30)를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푸셔(60)는 포마부(50) 상부 중심측에 위치하며, 권선된 코일의 상측을 걸어 하부로 밀어내며 인서트툴(21)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전원공급과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전술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도 충분히 언급하고 있고, 코일(c)과 와이어(w)는 별도의 구성이 아닌 와이어(w)가 감겨 복수의 와이어(w)의 층이 코일(c)이 되는것은 자명한 것이므로 본원에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인서트부(20)와 누름부(70) 및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종래기술은 와이어공급부(30)에서 와이어를 절단한 후에 푸셔(60)를 통하여 인서트툴(21)에 코일(c)을 밀어 안착하여 1극의 코일을 제작하였고, 복수 극을 가지는 코일을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 1극으로 제작된 코일의 일측을 상호 용접하여 연결하였는데, 용접되어 연결되는 와이어는 그 저항값 증가가 불가피하였으므로 모터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코일을 권선하고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코일을 연속적으로 권선하기 위하여, 포마부(50)를 따라 인서트부(20)와 같이 회전시키고, 와이어공급부(30)를 포마부(50)의 하단부부터 상승하며 권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공급부가 상승하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코일이 풀리며 인서트툴(21) 외부로 빠지고, 풀린 와이어는 포마부(50)와 인서트툴(21)의 회전에 의해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본 발명의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턴테이블(22) 일측에 설치되어 인서트부(20) 상부에서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누름부(70)를 구비하여 인서트부(20)와 포마부(50)가 회전하며 코일이 꼬이지 않도록 하며, 프레임부(10)의 양 측면에 실린더의 진퇴 동작을 통하여 와이어공급부(30)와 권선부(51)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와이어 커버(11)를 통하여 안착된 코일이 와이어공급부(30)에 의해 잡아당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파지부(40)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w)는 포마부(50)가 회전하고 와이어공급부(30)가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며 권선부(51)의 상부에서 하부로 와이어(w)가 권선되므로 코일이 형성되는데, 파지부(40)의 위치는 고정되어있고, 와이어공급부(30)는 권선부(51)의 길이에 대응하여 하부로 이동하였으므로 권선부(51)에 권선된 와이어(w)의 일측은 파지부(40)와 권선부(51)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며, 타측은 권선부(51)의 하부와 하방으로 이동한 와이어공급부(30)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턴테이블(22)이 상승하며 인서트툴(21)이 포마부(50) 내부로 삽입된 후에 푸셔(60)가 코일의 일측을 걸어 하부로 밀어 인서트툴(2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에 되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코일을 권선하여 다극성의 코일을 제작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부는 푸셔(60)를 통하여 인서트툴(21)에 코일을 안착시키고, 누름부(70)를 동작한 후에 턴테이블(22)을 하강하고 포마부(50)를 회전시키며, 포마부(50)의 회전에 대응하도록 턴테이블(22)을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인서트툴(21)과 포마부(50) 사이의 와이어가 꼬이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는 와이어공급부(30)를 권선부(51)의 하부 끝부분까지 상승시키고, 권선부(51) 사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걸림부(미도시)에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에 포마부(50)를 회전시킴으로써 코일과 코일 사이의 와이어 길이를 줄여 제작되는 모터의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턴테이블(22) 상면에 누름부(70)를 구비하며, 누름부(70)는 인서트부(20)의 상부에서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하여, 누름부(70)는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코일을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커버(71)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코일이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지지커버(71)를 동작하여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함으로써 권선부(31)의 회전에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지지커버(71)가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되, 코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지지커버(71)는 소정의 높이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커버(71)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커버(71)는 인서트툴(21)의 내부를 통과하는 코일의 상방을 지지하도록 지지커버(71)의 폭이 인서트툴(21)의 블레이드(미도시) 사이 거리보다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부(10)는 인서트툴(21)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프레임측에 실린더의 진퇴 동작을 통하여 와이어공급부(30)와 권선부(51)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와이어커버(11)가 구비되며, 제어부는 코일이 푸셔(60)를 통하여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와이어커버(11)를 동작함으로써 와이어공급부(30)의 상승하는 이동으로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코일이 풀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커버(11)는 인서트툴(21)과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코일의 높이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수직실린더(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와이어커버(11)와 수직실린더(13)의 동작을 에어실린더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나 진퇴 동작이 가능한 LM가이드 또는 모터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진퇴동작을 수행하는 엑츄에이터 및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통한 설계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커버(11)와 수직실린더(13)를 에어실린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커버(11)는 와이어가 상방으로 풀리지 않도록 와이어를 지지하는 받침부(12)가 구비되며, 받침부(12)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고, 인서트툴(21)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중심부가 중공되어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한다.
다시 말하여, 와이어커버(11)는 와이어공급부(30)가 상승하며 발생하는 코일풀림현상과 턴테이블(22)이 회전하며 발생하는 코일 풀림 현상을 인서트툴(21)의 외곽에서 방지하는 장치이며, 지지커버(71)는 턴테이블(22)이 회전하며 발생하는 코일 풀림 현상을 인서트툴(21)의 내부에서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코일을 권선하였고, 와이어공급부(30)는 모터의 사양에 대응하는 극성을 가지는 코일을 권선을 완료한 후에 와이어를 절단하여 코일을 완성한다.
즉,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와이어커버(11)와 지지커버(71)를 구비함으로써,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의 와이어공급부(30) 방향의 와이어(w)를 절단하지 않고 다음 극을 권선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다음 극을 권선할 때 발생하는 코일 풀림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2극 이상의 코일을 제작함에 있어서, 1극의 코일이 인서트툴에 안착된 후에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연속해서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을 제작하며, 인서트툴에 안착된 코일이 권선 작업중에 풀리지 않도록 하여 꼬임에 대한 불량률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인서트툴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상부에서 지지하여 정렬함으로써 모터 코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프레임부
11: 와이어커버 12: 받침부
13: 수직실린더
20: 인서트부
21: 인서트툴 22: 턴테이블
30: 와이어공급부
31: 권선부
40: 파지부
50: 포마부
51: 권선부
60: 푸셔
70: 누름부
71: 지지커버
c: 코일
w: 와이어

Claims (5)

  1.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10);
    상기 프레임부(10) 상면에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인서트툴(21)과, 상기 인서트툴(21)을 회전과 승강시키는 턴테이블(22)이 구비되는 인서트부(20);
    상기 프레임부(10)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을 제작하는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부(30);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부(40);
    상기 파지부(40) 측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권선부(5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을 제작하는 포마부(50);
    상기 포마부(50) 일측에 구비되어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측을 걸어 하부로 밀어내며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시키는 푸셔(60);
    상기 턴테이블(2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부(20) 상부에서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상기 코일의 풀림을 방지하는 누름부(70);
    상기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1극 이상의 극성을 가지는 모터의 코일을 권선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는 일측에 실린더의 진퇴 동작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공급부(30)와 상기 권선부(51) 사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와이어커버(1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이 상기 푸셔(60)를 통하여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상기 와이어커버(11)를 동작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공급부(30)의 이동으로 상기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커버(11)의 받침부(12)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툴(21)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중심부가 중공되어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70)는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상기 코일을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커버(71)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이 상기 인서트툴(21)에 안착된 후에 상기 지지커버(71)를 동작하여 상기 코일을 하방으로 지지함으로써 권선부(31)의 회전에 상기 코일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셔(60)를 통하여 상기 인서트툴(21)에 코일을 안착시키고, 상기 누름부(70)를 동작한 후에 상기 포마부(50)의 회전에 대응하도록 상기 턴테이블(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인서트툴(21)과 상기 포마부(50) 사이의 와이어가 꼬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1020210170788A 2021-12-02 2021-12-02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2023008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88A KR20230083359A (ko) 2021-12-02 2021-12-02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88A KR20230083359A (ko) 2021-12-02 2021-12-02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359A true KR20230083359A (ko) 2023-06-12

Family

ID=867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788A KR20230083359A (ko) 2021-12-02 2021-12-02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227B1 (ko) 1996-01-12 1999-05-15 구자홍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227B1 (ko) 1996-01-12 1999-05-15 구자홍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36B2 (en) Apparatus for wire coil lead placement in machinery for producing dynamo electric machine components
WO2019093515A1 (ja) コイルセグメント加工方法、コイルセグメント加工装置及びコイルセグメントの接続構造
US887538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machine
KR101632361B1 (ko)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CN104319957B (zh) 定子绕线方式及定子、电机
WO2018070160A1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KR100207754B1 (ko) 고정자코일의 권선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11545881B2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coil winding method and a coi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CN110190715B (zh) 无损伤拆除电机定子绕组的装置及定子绕组拆除方法
KR20230083359A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100790301B1 (ko) 코일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664482B1 (ko)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정된 인서트 툴
US6923399B1 (en)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dynamo-machine component wire coil leads
JP6694621B1 (ja) 渡り線形成装置及び渡り線形成方法
CN216141041U (zh) 一种转向电机绕线机用绕线盘的固定结构
KR20230044064A (ko) 권선 범위가 확장된 모터 코일 권선 장치
KR102420108B1 (ko) 전동기 코일 권선기
KR102664484B1 (ko) 코일 간격이 유지되는 모터 코일 권선 장치
KR102664478B1 (ko)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102636432B1 (ko) 모터 코일의 와이어 정렬 장치
KR102636421B1 (ko) 인서트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동기 코어 슬롯 내부에 코일을 삽입하는 장치
CN218159978U (zh) 一种高效的电磁线生产用绕线器
JP7347971B2 (ja) 巻線機
CN221042603U (zh) 压缩机定子绕线装置
CN216122145U (zh) 一种罩极电机定子绕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