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227B1 -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27B1
KR0179227B1 KR1019960000570A KR19960000570A KR0179227B1 KR 0179227 B1 KR0179227 B1 KR 0179227B1 KR 1019960000570 A KR1019960000570 A KR 1019960000570A KR 19960000570 A KR19960000570 A KR 19960000570A KR 0179227 B1 KR0179227 B1 KR 017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frame
stripper
win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76A (ko
Inventor
안정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227B1/ko
Publication of KR97006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코일 권선 장치가 복수의 권단을 가진 권선 틀에 코일을 권선 도중에 권단을 변경할 때 순간 정지 현상이 발생되고, 권단 길이에 의해 코일 턴 수가 한정될 뿐 아니라 권단에 권선된 코일을 코일 삽입 틀에 삽입시키는 구동 메커니즘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을 권선하는 플라이어의 회전에 동기되어 작동되는 서보 모터가 상기 권선 틀을 지속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권단 변경시의 순간 정지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이 1턴될 때마다 스트리퍼부에 의해 상기 코일이 상기 권선 틀 하측의 상기 코일 삽입 틀에 삽입시킴으로써 코일 턴 수의 증가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코일 권선 방법과, 스트리퍼부의 작동으로 상기 권선 틀의 권단에 코일이 1턴 될 때마다 상기 권선 틀에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구동 메커니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진 코일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 장치의 도면으로서,
(a)는 플라이어 부분의 외관 사시도.
(b)는 코일 삽입 틀이 플라이어부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코일 권선 장치의 플라이어 부의 도면으로서,
(a)는 종래의 플라이어 부의 정 단면도.
(b)는 종래의 플라이어가 90도 회전된 상태인 (a)의 K-K선의 단면도.
(c)는 (a)의 'Z-Z선의 부분 단면도.
(d)는 종래의 플라이어 부분의 배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 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 장치의 플라이어 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플라이어 부분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이송부 35 : 플라이어부
38 : 연결봉 41 : 스플라인
43 : 권선 틀 44 : 플라이어
45 : 플라이어 회전부 48 : 스트리퍼부
50 : 회전판 55 : 편심 하우징
59 : 스트리퍼 63 : 요동부
본 발명은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선시 플라이어의 회전과 동시에 스트리퍼가 작동되어 코일을 코일 삽입 틀에 삽입시키고, 권선 틀에 코일 권선시 상기 권선 틀의 각 권단 이동시 순간 정지 현상없이 권선시키는 코일 권선 방법과, 코일 권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일 권선 장치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 틀(1)과, 상기 권선 틀(1)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미도시)와, 회전되면서 상기 권선 틀(1)에 코일을 권선하는 플라이어(2)와, 상기 플라이어(2)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권선 틀(1)의 하측에 취치되어 상기 권선 틀(1)에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 틀(3)로 구성된다.
상기 권선 틀(1)은 고정 권선 틀(1A)과, 가동 권선 틀(1B)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권선 틀(1A)과 가동 권선 틀(1B)은 각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코일 권경이 확대되는 복수개의 권단으로 되어 있고, 각 권단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테이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선 틀(1)의 상부에는 베이스면(1A',1B')이 있고, 상기 가동 권선 틀(1B)에는 상기 코일 삽입 틀(3)의 블레이드(3a)가 삽입되도록 피난 홀(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면(1A',1B')을 관통해서 각 권단의 외측을 통해 4개의 스트리퍼(4)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트리퍼(4)의 하단부에는 상기 권선 틀(1)의 안내홀을 따라 움직이는 스트리퍼 판(5)이 방사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트리퍼(4)는 구동판(6)에 취부되어 있다. 또 상기 권선 틀(1)은 지지판(7)에 취부되고, 상기 지지판(7)은 상기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구동축(8)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8)의 상부에 연결판(9)이 외삽되어 상기 구동축(8)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축(8)의 상측에는 스플라인(10)이 요동되고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미도시)와 타이밍 벨트로 연결된 종동 풀리(1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2A,12B)에 상기 플라이어(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12A,12B)은 그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12B)에 설치된 코일 가이드 롤러(13)가 삽입시킨 코일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10)에는 베어링(14)이 외삽되고, 상기 베어링(14)의 외측에는 상측 연결판(15)이 취부되고, 상기 상측 연결판(15)의 하측에는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 판(16)이 상기 구동축(8)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판(16)에 상기 스트리퍼(4)가 취부된 상기 구동판(6)이 고정되어 상기 스플라인(10)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4)가 작동된다.
상기 연결판(9)에는 상기 구동축(8)과 직교되는 수평축(17)이 설치되어 구동 레버(18)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레버(18)는 상기 구동판(6)의 상측에 형성된 캠판(25)의 홈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구동 레버(18)의 상단에 가이드 롤러(19)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레버(18)의 하단에는 제1연결핀(20)에 의해 링크(21)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21)의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8)에 의해 요동되는 요동봉(23)의 상부와 제2연결핀(22)으로 연결되고, 상기 요동봉(23)의 하부에는 하측 연결판(24)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 권선 틀(11A)의 내면에는 상기 하측 연결판(24)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레버(18)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상기 권선 틀(11)에 코일이 권선될 때 권단 사이의 단차를 메워주는 코일 가이드 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코일 권선 장치는 상기 구동축(8)이 하강되어 가동 권선 틀(1B)의 피난 홀(1B)에 상기 코일 삽입 틀(3)의 블레이드(3a)가 소정량 삽입되어 상기 권선 틀(1)의 최하측의 권단의 권선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구동 레버(18)의 가이드 롤러(19)가 상기 캠판(25)의 상측 홈에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모터(미도시)가 작동되어 타이밍 벨트로 연결된 상기 종동 풀리(11)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12A)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12A,12B)이 고속 회전되면 상기 회전판(12B) 하측의 상기 플라이어(2)도 고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코일 가이드 롤러(13)를 통해 공급되는 코일을 상기 권선 틀(1)에 권선하게 된다.
상기 권선 틀(1)의 최하측 권단의 코일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플라이어(2)의 회전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상기 구동축(8)이 하강되어 상기 권선 틀(1)을 하강시킴으로써 다음 권단에 코일이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권선 틀(1)에 권선된 코일은 테이퍼진 권단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코일 삽입 틀(3)에 대부분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8)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결판(9)도 함께 하강되어 상기 연결판(9)에 조립된 상기 수평축(17)을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수평축(17)이 하강되면서 상기 구동 레버(18)의 가이드 롤러(19)가 상기 캠판(25)의 중간부 홈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 레버(18)와 연결된 상기 링크(21)와 상기 요동봉(23) 및 상기 하측 연결판(24)이 하강되면서 상기 코일 가이드 판(26)을 상기 권선 틀(1)에 비해 빠르게 하강시켜 상기 권선 틀(1)의 권단 사이의 단차를 메워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이 반복되어 상기 권선 틀(1)에 코일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스플라인(10)이 하강되어 상기 스트리퍼(4)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권선 틀(1)에 잔류된 전선을 상기 코일 삽입 틀(3)에 삽입시킴으로써 모든 작업은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의 코일 권선 장치는 상기 구동축(8)이 상기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권선 틀(1)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권단 변경시 순간 정지 현상이 발생되고, 코일 턴 수의 증가시 상기 권선 틀의 각 권단의 길이에 따라 턴 수가 한정되고, 구동 레버(18) 등의 구동 메커니즘으로 인해 내구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권선 틀의 변경시 순간 정지 현상이 없고, 코일 턴 수의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코일 권선 방법과, 상기의 코일 권선 방법이 사용되고 내부 구조가 간단한 코일 권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 방법은 플라이어의 회전과 동기되어 작동되는 서보 모터에 의해 권선 틀이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을 권선할 때 스트리퍼부가 진동되어 코일 1턴 마다 코일 삽입 틀에 바로 삽입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코일 권선 장치는 상기 서보 모터에 의해 상기 권선 틀을 하강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에 삽입시키는 스크리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 방법과 코일 권선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 방법은 플라이어(44)가 회전되어 권선 틀(43)의 하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1과정과, 상기 플라이어(44)의 회전에 동기되어 가동된 서보 모터(33)에 의해 상기 권선 틀(43)이 서서히 하강되어 권단이 변경되는 제2과정과, 상기 플라이어(44)가 회전되어 상기 권선 틀(43)의 상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권선 틀(43)의 최상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될 때까지 반복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과정과 상기 제3과정은 동시에 수행된다.
상기 서보 모터(43)에 의해 상기 권선 틀(43)이 하강되는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서보 모터(43)가 회전되어 볼 스크루(36)를 구동시키는 제1소과정과, 상기 볼 스크루(36)가 구동되어 연결봉(38)과 상기 연결봉(38)의 하측의 스플라인(41)을 하강시키는 제2소과정과, 상기 스플라인(41)이 하강되어 상기 권선 틀(43)이 하강되는 제3소과정으로 되어 있다.
또,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코일을 1번씩 삽입시키는 코일 권선 방법은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이 상기 권선 틀(43)의 하측에 위치되어 블레이드(미도시)가 상기 권선 틀(43)의 피난 홀(43C)에 삽입되는 제1과정과, 상기 플라이어(44)가 회전되어 천천히 하강되는 상기 권선 틀(43)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2과정과, 상기 플라이어(44)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삽입된 스트리퍼부(48)에 의해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3과정은 상기 플라이어(44)를 회전시키는 회전판(50)과 결합된 편심 하우징(55)이 회전되는 제1소과정과, 상기 편심 하우징(55)에 연결된 스트리퍼 지지단(57)의 좌·우측이 상하로 요동되면서 요동 강구(60)를 함께 요동시키는 제2소과정과, 상기 요동 강구(60)의 하측에 설치된 스트리퍼(59)가 상하로 요동되면서 상기 스트리퍼(59)의 하측에 형성된 스트리퍼 판(64)에 의해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을 밀어 내리는 제3소과정과,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4소과정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코일 권선 방법들을 이용한 본 발명의 코일 권선 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갈수록 다음 단의 권경이 확대되는 복수의 권단을 가진 권선 틀(43)과, 상기 권선 틀(43)에 코일을 권선하는 플라이어(44)를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어부(35)와, 상기 권선 틀(43)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 틀(미도시)과, 상기 플라이어(44)의 회전에 동기되어 작동되는 서보 모터(33)와, 상기 플라이어(44)를 회전시키는 플라이어 모터(30)와, 상기 서보 모터(33)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권선 틀(43)을 일정 속도로 하강시키는 이송부(34)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이어부(35)는 상기 플라이어부(35)를 지지하는 권선 헤드 지지(46)판과, 플라이어부 지지 베어링(47)과, 상기 플라이어(44)를 회전시키는 플라이어 회전부(45)와,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1번씩 삽입시키는 스트리퍼부(48)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이어 회전부(45)는 상기 플라이어 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풀리(49)와, 상기 종동 풀리(49)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50)과,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는 회전판 베어링(51)과, 상기 회전판(5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50)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플라이어(44)가 고정되는 플라이어 고정판(52)과, 상기 회전판(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코일 가이드 롤러(53)와, 상기 코일 가이드 롤러(53)를 빠져 나온 상기 플라이어(44)로 보내주는 코일 가이드(54)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34)는 상기 플라이어(44)의 회전에 동기되어 작동되는 상기 서보 모터(33) 측의 회전에 따라 하강되는 볼 스크루(36)와, 상기 볼 스크루(36)에 설치되는 이송부 상판(37)과, 상기 이송부 상판(37)에 설치되어 하강되는 연결봉(38)과, 상기 연결봉(38)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부 하판(39)과, 상기 이송부 하판(39)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와, 상기 연결봉(38)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 틀(43)을 하강시키는 스플라인(41)과, 상기 스플라인(41)을 지지하는 2개의 오일리스 베어링(42)으로 되어 있다.
상기 권선 틀(43)의 상측에는 상기 권선 틀(43)을 지지하는 권선 틀 지지판(65)이 위치되고, 상기 권선 틀 지지판(65)은 상기 스플라인(41)에 스플라인 콜렉터(61)와 스플라인 키(62)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트리퍼부(48)는 상기 플라이어(44)를 회전시키는 회전판(50)에 설치된 편심 하우징(55)과, 상기 편심 하우징(55)에 연결되어 좌·우측이 상하로 요동되는 스트리퍼 지지판(57)과,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57)을 지지하는 편심 베어링(56)과,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57)에 의해 상하 요동되어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로 밀어 내리는 요동부(63)로 되어 있다.
상기 요동부(63)는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57)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57)의 요동시 상하 진동되는 스트리퍼(59)와, 상기 스트리퍼(59)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57)의 요동시 함께 요동되는 요동 강구(60)와, 상기 권선 틀 지지판(65)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리퍼(59)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리퍼 하우징(58)과, 상기 스트리퍼(59)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을 밀어내리는 스트리퍼 판(64)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권선 틀(43)은 고정 권선 틀(43A)과 가동 권선 틀(43B)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보 모터(33)가 일시 구동되어 상기 이송부(34)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플라인(41)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 권선 틀(43A)의 피난 홀(43C)에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의 블레이드가 삽입되면 상기 권선 틀(43)의 최하부 권단에서부터 코일과 권선이 시작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플라이어 모터(30)가 구동되어 구동 풀리(31)와 타이밍 벨트(32)로 연결된 상기 종동 풀리(49)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 풀리(49)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5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판(50) 하측의 상기 플라이어 지지판(52)도 회전되어 상기 플라이어(44)가 상기 권선 틀(43)에 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50)과 결합된 상기 편심 하우징(55)이 히전되어 상기 요동 강구(60)를 요동시키게 되고, 상기 요동 강구(60) 하측의 상기 스트리퍼(59)가 진동되면서 상기 권선 틀(43)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삽입시키게 되는데 상기 플라이어(44)가 1회전되어 상기 권선 틀(43)에 코일이 1번 권선될 때마다 상기 스트리퍼(59)가 상하로 1회 진동되면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미도시)에 밀어 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플라이어(44)의 회전에 동기된 상기 서보 모터(33)가 계속 회전되어 상기 이송부(34)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상기 스플라인(41)의 하강에 따라 상기 권선 틀(43)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하강된다. 상기 권선 틀(43)의 최하부 권단의 권선이 완료되고 그 상부 권단으로 전이될 때에도 상기 플라이어(44)는 쉬지 않고 회전되어 코일을 상기 권선 틀(43)에 동일한 속도로 권선토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의 권선시 플라이어의 회전에 동기되어 작동되는 서보 모터에 의해 권선 틀이 지속적으로 하강되므로 권단 전이시 일시 정지 현상이 없어지고,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이 1턴 권선될 때마다 스트리퍼부에 의해 코일 삽입 틀로 코일을 밀어내리게 되므로 권선 턴 수의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어와 상기 권선 틀을 작동시키는 플라이어 부분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지는 또 다른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상방향으로 갈수록 다음 단의 권경이 확대되는 복수의 권단을 가진 권선 틀이 1단씩 하강되고, 회전되는 플라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코일이 순차적으로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이 상기 권선 틀의 하측에 위치된 코일 삽입 틀에 밀려내려가 삽입되도록 하는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어가 회전되어 천천히 하강되는 상기 권선 틀의 하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1과정과, 상기 플라이어의 회전에 동기되어 가동된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된 이송부가 상기 권선 틀을 1단 하강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플라이어가 회전되어 상기 권선 틀의 상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권선 틀의 최상부 권단에 코일이 권선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과 제3과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서보 모터가 회전되어 볼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제1소과정과, 상기 볼 스크루가 구동되어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하측의 스플라인을 하강시키는 제2소과정과, 상기 스플라인이 하강되어 상기 권선 틀이 하강되는 제3소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방법.
  4. 상방향으로 갈수록 다음 단의 권경이 확대되는 복수의 권단을 가진 권선 틀이 1단씩 하강되고, 회전되는 플라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코일이 순차적으로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이 상기 권선 틀의 하측에 위치된 코일 삽입 틀에 밀려내려가 삽입되도록 하는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 삽입 틀이 상기 권선 틀의 하측에 위치되어 그 상단이 상기 권선 틀의 피난 홀에 삽입되는 제1과정과, 상기 플라이어가 회전되어 천천히 하강되는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2과정과, 상기 플라이어이 회전축에 편심되게 삽입된 스트리퍼부에 의해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 틀에 삽입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플라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판과 결합된 편심 베어링이 회전되는 제1소과정과, 상기 편심 베어링에 연결된 스트리퍼 지지단의 좌·우측이 상하로 요동되면서 요동 강구를 함께 요동시키는 제2소과정과, 상기 요동 강구의 하측에 설치된 스트리퍼가 진동되면서 상기 스트리퍼의 하측에 형성된 스트리퍼 면에 의해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을 밀어 내리는 제3소과정과, 상기 코일이 상기 코일 삽입 틀에 삽입되는 제4소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방법.
  6. 상방향으로 갈수록 다음 단의 권경이 확대되는 복수의 권단을 가진 권선 틀과, 상기 권선 틀에 코일을 권선하는 플라이어와, 상기 권선 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 삽입 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일 권선 장치에 있어서,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권선 틀을 일정 속도로 하강시키는 이송부와, 플라이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라이어를 회전시키는 플라이어 회전부와,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에 1번씩 삽입시키는 스트리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라이어의 회전에 동기되어 작동되는 서보 모터와, 상기 서보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하강되는 볼 스크루와, 상기 볼 스크루에 설치되는 이송부 상판과, 상기 이송부 상판에 설치되어 하강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부 하판과, 상기 이송부 하판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연결봉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선 틀을 하강시키는 스플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어 회전부는 상기 플라이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는 회전판 베어링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플라이어가 고정되는 플라이어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코일 가이드 롤러와, 상기 코일 가이드 롤러를 빠져 나온 상기 플라이어로 보내주는 코일 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부는 상기 플라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에 설치된 편심 베어링과, 상기 편심 베어링에 연결되어 좌·우측이 상하로 요동되는 스트리퍼 지지판과,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에 의해 상하 요동되어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틀로 밀어 내리는 요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는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의 요동시 상하 진동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리퍼 지지판의 요동시 함께 요동되는 요동 강구와, 권선 틀 지지판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리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리퍼 하우징과, 상기 스트리퍼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 틀에 권선된 코일을 밀어내리는 스트리퍼 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 장치.
KR1019960000570A 1996-01-12 1996-01-12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KR017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570A KR0179227B1 (ko) 1996-01-12 1996-01-12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570A KR0179227B1 (ko) 1996-01-12 1996-01-12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6A KR970060276A (ko) 1997-08-12
KR0179227B1 true KR0179227B1 (ko) 1999-05-15

Family

ID=1944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570A KR0179227B1 (ko) 1996-01-12 1996-01-12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384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야호텍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KR20230083359A (ko) 2021-12-02 2023-06-12 주식회사 야호텍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20230083361A (ko) 2021-12-02 2023-06-12 주식회사 야호텍 코일 간격이 유지되는 모터 코일 권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429B1 (ko) * 2000-12-13 2002-11-07 주식회사 야호텍 권선기의 플라이어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384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야호텍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KR20230083359A (ko) 2021-12-02 2023-06-12 주식회사 야호텍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20230083361A (ko) 2021-12-02 2023-06-12 주식회사 야호텍 코일 간격이 유지되는 모터 코일 권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6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2837A1 (en) Winding machine
US3822830A (en) Stator core winding machine
KR0179227B1 (ko)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JP4873911B2 (ja) パラ巻線方法及びパラ巻線装置
JP4881599B2 (ja) パラ巻線方法及びパラ巻線装置
US5864940A (en) Method for producing a winding of a stator coil
US56874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hairpin tube to a heat exchanger
EP1750355B1 (en) Coil winding and discharge
JPH06303748A (ja) 波形状巻線製造方法および波形状巻線製造装置
CN211331427U (zh) 一种用于多孔筛板的打孔机
US42179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dynamoelectric machine windings
JP2001008418A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JP4409751B2 (ja) 巻き線装置及び巻き線方法
US471994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coils
CN116213535A (zh) 一种高端装备制造用钣金件冲压设备
KR100352458B1 (ko) 너트 탭핑 시스템
JPH09127295A (ja) 被切断構造物からブロックを切り出す方法とワイヤーガイド装置
EP0462081B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force-fitting drilled, shaped elements onto a shaft
EP0143319A1 (fr) Dispositif électromécanique de bobinage avec fixation aux extrémités
JPS6314575B2 (ko)
JP4401072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JP2717433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CN114530294B (zh) 方便绕线辊更换的电缆生产用管绞机
CN208166219U (zh) 一种摆动放料装置
JPH11164531A (ja) ステータコイルのレーシ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