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652A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652A
KR20230081652A KR1020220160200A KR20220160200A KR20230081652A KR 20230081652 A KR20230081652 A KR 20230081652A KR 1020220160200 A KR1020220160200 A KR 1020220160200A KR 20220160200 A KR20220160200 A KR 20220160200A KR 20230081652 A KR20230081652 A KR 2023008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butting
fishing line
return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5Guiding members on rotor forward of spool
    • A01K89/01086Guiding members on rotor forward of spool with rotor drive shifting the guiding member to unwind and wind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1Guiding members on rotor axially rearward of spool
    • A01K89/01082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 A01K89/01083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to wind position by rotor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킨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회동축(60)이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부(62), 베어링부(6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63), 장출부(63)로부터 회동축(6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5)를 구비한다. 장출부(63)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가이드(51)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63a)를 구비하고, 돌출부(65)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 가이드(51)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65a)를 구비한다. 가이드(51)는 제1 맞닿음부(63a)가 맞닿는 제1 가이드면(54a), 제2 맞닿음부(65a)가 맞닿는 제2 가이드면(54b)을 구비한다. 가이드(51)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1 가이드면(54a)까지의 거리 L1, 가이드(51)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2 가이드면(54b)까지의 거리 L2가, L1>L2의 관계를 충족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은, 핸들의 권취 조작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로터와, 핸들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전후 이동하는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는, 한 쌍의 지지 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일 지지 부재를 갖고 있다. 베일 지지 부재에는, 낚싯줄을 픽업하기 위한 베일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베일 지지 부재(베일)를 낚싯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반전 기구는, 단부가 베일 지지 부재에 연결된 가이드와, 로터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에 맞닿고,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는 베일 지지 부재를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반전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 방출 위치에 베일 지지 부재(베일)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핸들이 회전 조작되면,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용 맞닿음 부재가 가이드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02133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동에 의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이며,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에 구비되는 로터에 마련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설치되고,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로 회동 가능한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낚싯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전 기구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에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암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와, 회동축을 통하여 상기 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로터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에 맞닿고,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어링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와, 상기 장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측을 향하여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출부에는,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1 맞닿음부가 맞닿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제2 맞닿음부가 맞닿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상기 제1 가이드면까지의 거리를 L1, 상기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상기 제2 가이드면까지의 거리를 L2로 한 경우에, L1>L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가이드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 가이드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의 2개의 맞닿음부를 복귀용 맞닿음 부재가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제1 맞닿음부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에 있어서, 회동축이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부의 직경 방향의 연장 상에 있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의 제1 가이드면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맞닿음부와 제1 가이드면의 맞닿음 시에, 회동축에 대하여 베어링부가 기우는 일이 없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원활한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1 가이드면까지의 거리 L1과,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2 가이드면까지의 거리 L2의 관계가, L1>L2로 되어 있으므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보다도 큰 맞닿음력을 필요로 하는 회동 전반에 있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에는, 제2 맞닿음부가 제2 가이드면에 맞닿으므로, 가이드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은, 회동 전반에 비하여 큰 맞닿음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2 맞닿음부가 제2 가이드면에 맞닿는 구성이더라도, 회동축에 대하여 베어링부가 기우는 일이 없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맞닿음부의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가이드면은, 상기 회동축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평행하게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맞닿음부로부터 제1 가이드면에 맞닿음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의하면,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낚싯줄 권취 위치에 있어서의 암부 및 베일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암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의 암부 및 베일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암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복귀용 맞닿음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낚싯줄 권취 위치에 있어서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 (b)는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각도를 바꾸어서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권취 위치의 중간 위치인 데드 포인트 부근에 있어서의 암부 및 베일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암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의 암부 및 베일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암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맞닿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스풀에 대해서,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전후」를 말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방향, 「좌우」를 말할 때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낚시용 스피닝 릴(R1)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다리부(1A)가 형성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로터(2)와, 이 로터(2)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풀(10)을 갖는다.
릴 본체(1)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하여 핸들축(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의 돌출 단부에는, 권취 조작되는 핸들(4)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3)에는, 축통이 회전 방지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축통에는, 로터(2)를 권취 구동하기 위한 내치가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 기어(6)는 핸들축(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공동부를 갖는 구동축 통(7)의 피니언 기어(7a)에 맞물려 있다.
구동축 통(7)은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공동부에는, 핸들축(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선단측에 스풀(10)이 설치되는 스풀 축(8)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스풀 축(8)의 후단부에는, 스풀 축(8)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공지된 오실레이팅 기구(9)가 구비된다.
구동축 통(7)은 스풀(10)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고, 그의 전단부에 로터(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 통(7)은 도시하지 않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역전 방향의 회전(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로터(2)는 스풀(10)의 스커트부(10a) 내에 위치하는 원통부와, 한 쌍의 암부(20A, 20B)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암부(20A, 20B)의 전단부에는, 베일 지지 부재(30A, 30B)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베일 지지 부재(30A, 30B) 사이에는, 방출 상태에 있는 낚싯줄을 픽업하는 베일(31)이 배치되어 있다. 베일(31)은 한쪽의 기단부가 베일 지지 부재(30A)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라인 롤러(32)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기단부가 베일 지지 부재(30B)에 설치되어 있다. 암부(20A)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전 기구(50)가 마련되어 있다. 반전 기구(50)의 상세는 후기한다.
스풀(1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커트부(10a)와 전방측 플랜지(10b)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낚싯줄 권회 동체부(10c)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 스피닝 릴(R1)에 있어서, 핸들(4)을 권취 조작하면, 로터(2)가 드라이브 기어(6) 및 피니언 기어(7a)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또한 스풀(10)이 피니언 기어(7a) 및 오실레이팅 기구(9)를 통하여 전후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라인 롤러(2g)를 통하여 스풀(10)의 낚싯줄 권회 동체부(10c)에 균등하게 권회된다.
이어서, 암부(20A) 및 암부(20A)에 구비되는 반전 기구(5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부(20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본체부(21)와, 암 본체부(21)를 덮는 커버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암 본체부(21)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로터(2)의 후단으로부터 스풀(10)의 스커트부(10a)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암 본체부(21)와 커버 부재(22) 사이에는, 반전 기구(50)를 구성하는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 스페이스(S)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 기구(50)는 베일(31)(도 1 참조)이 낚싯줄 방출 위치로 일으켜진 상태에서, 핸들(4)(도 1 참조)의 권취 조작에 의해 로터(2)가 회전한 경우에, 베일 지지 부재(30A)를 반전시켜서 베일(31)을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반전 기구(50)는 가이드(51)와,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51)는 샤프트(52)와, 가이드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52)는 가이드 부재(53)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전단부가 연결 축(35)을 통하여 베일 지지 부재(30A)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52)에는, 가이드 부재(53)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52a)이 가압력을 갖는 상태로 압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축부(53a)를 통하여 암 본체부(2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에는, 샤프트(52)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52), 코일 스프링(52a) 및 가이드 부재(53)에 의해, 베일(31)(베일 지지 부재(30A, 30B))을 낚싯줄 권취 위치 또는 낚싯줄 방출 위치로 가압하여 할당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반전 기구(50)의 가이드 부재(53) 및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53)는 축부(53a)가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기부(53b)와, 기부(53b)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맞닿음부(53c)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맞닿음부(53c)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맞닿아지는 부위이다. 가이드 맞닿음부(53c)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53a)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부(53b)의 중심선(O1)에 대하여 우측(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배치되는 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어, 우측방에 배치되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에 근접되어 있다.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우측면에는,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맞닿는 맞닿음면으로서 기능하는, 제1 가이드면(54a) 및 제2 가이드면(5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맞닿음부(53c)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다른 2개의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이드면(54a)은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우측면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평평한 맞닿음면이다. 제1 가이드면(54a)은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후기하는 회동축(60)의 중심축(O2)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가이드면(54a)은 선단을 향하여 약간 오므라들어 있어, 선단을 향하여 면 폭이 작게 되어 있다. 제1 가이드면(54a)은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후기하는 제1 맞닿음부(63a)에 대한 맞닿음면으로서 기능한다.
제2 가이드면(54b)은 제1 가이드면(54a)의 후단부에 연속하는 평평한 맞닿음면이며, 기부(53b)의 중심선(O1)과 대략 평행한 면이다.
제1 가이드면(54a)은 제2 가이드면(54b)(중심선(O1))에 대하여 우측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고, 우측방의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를 향하여 더욱 근접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53a)의 중심부터 제1 가이드면(54a)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축부(53a)의 중심부터 제2 가이드면(54b)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를 L2로 한 경우, 이들의 관계는, L1<L2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본체부(21)의 후단부에 회동축(60)으로 축지지되고, 회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핸들(4)의 회전 조작에 의한 로터(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부재(53)의 가이드 맞닿음부(53c)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을 가이드 부재(53)에 전달하는 것이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가이드 맞닿음부(53c)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63a) 및 제2 맞닿음부(65a)를 구비하고 있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도 4의 (a), (b),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60)이 삽입 관통되는 환상의 베어링부(62)와, 회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베어링부(6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63)와, 장출부(63)로부터 가이드 부재(53)를 향하여 회동축(6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장출부(63)와 대략 반대측으로 장출되는 롤러 지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 지지부(64)에는, 롤러(64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부(62)는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60)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부(62a)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부(62)는 구멍부(62a)를 둘러싸는 환상을 나타내고 있고, 축방향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호 형상의 보강벽(62b)을 갖고 있다.
장출부(63)는 도 2의 (a), (b),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권취 위치에 있어서, 회동축(60)의 중심축(O2)의 대략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장출부(63)는 도 3의 (a), (b),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 회동축(60)의 중심축(O2)의 우측에 배치된다.
장출부(63)의 측면에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맞닿음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맞닿음부(63a)는 베어링부(6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베어링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는 R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회동에 추종하여 제1 맞닿음부(63a)가 제1 가이드면(54a)에 적합하게 맞닿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맞닿음부(63a)는 회동축(60)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회동축(60)의 중심축(O2)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맞닿음부(63a)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제1 가이드면(54a)에 대략 평행하게 맞닿아진다.
이러한 제1 맞닿음부(63a)는 낚싯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회동할 때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제1 가이드면(54a)에 대하여 맞닿아지게 되어 있다.
한편, 돌출부(65)의 측면에는,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맞닿음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맞닿음부(65a)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맞닿음부(63a)보다도 축방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돌출부(65)의 전단 모퉁이부를 비스듬히 절결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맞닿음부(65a)의 상단부에는 R면(65a1)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맞닿음부(65a)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권취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제2 가이드면(54b)에 맞닿아진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60)의 둘레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66)에 의해, 장출부(63) 및 돌출부(65)가 가이드 맞닿음부(53c)를 향하여 맞닿아지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다.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롤러(64a)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어서, 로터(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릴 본체(1)의 전방부의 외주부(26)에 미끄럼 접촉된다. 외주부(26)에는, 롤러(64a)에 간섭하는 위치에 복귀용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복귀용 부재(25)는 핸들(4)의 회전 조작에 의한 로터(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 시에 롤러(64a)에 간섭하여, 낚싯줄 권취 위치로 베일 지지 부재(30A, 30B)를 복귀시키기 위한 회동력을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에 부여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낚싯줄 권취 위치로부터 낚싯줄 방출 위치로 베일 지지 부재(30A, 30B)를 수동으로 일으킬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낚싯줄 권취 위치로부터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낚싯줄 방출 위치로 베일 지지 부재(30A, 30B)를 수동으로 일으키면, 베일 지지 부재(30A, 30B)의 회동에 수반하여, 가이드 부재(53)가 축부(53a)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가이드 맞닿음부(53c)가 복귀용 맞닿음 부재(61)를 누른다.
이 경우, 수동으로 일으킬 때의 일으키기 조작 전반에는,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제2 가이드면(54b)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제2 맞닿음부(65a)를 누르고, 일으키기 조작 후반에는, 가이드 맞닿음부(53c)의 제1 가이드면(54a)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제1 맞닿음부(63a)를 누른다. 이들 누르는 동작을 거쳐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회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롤러(64a)가 릴 본체(1)의 전방부의 외주부(26)에 미끄럼 접촉된다.
이어서, 반전 기구(5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일 지지 부재(30A, 30B)가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핸들(4)이 회전 조작되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롤러(64a)가 릴 본체(1)의 전방부의 외주부(26) 상에서 이동하여,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용 부재(25)의 캠면(25a)에 올라 앉는다.
이 롤러(64a)의 올라 앉기에 의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회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에 수반하여,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3)의 제1 가이드면(54a)이 제1 맞닿음부(63a)에 의해 눌린다.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53)가 축부(53a)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요동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30A)를 회동시키는 힘이 샤프트(52)를 통하여 전달되어, 베일 지지 부재(30A)가 낚싯줄 권취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53)의 요동 전반에는, 가이드 부재(53)의 제1 가이드면(54a)이 제1 맞닿음부(63a)에 의해 눌리는 상태가 계속되고, 제1 맞닿음부(63a)의 맞닿음력이 가이드 부재(53)의 제1 가이드면(54a)에 적합하게 전달된다.
그 후,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롤러(64a)가 복귀용 부재(25)의 캠면(25a)을 올라타서, 정상면(25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회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되고, 이 회동에 수반하여, 가이드 부재(53)를 누르는 부분이 제1 맞닿음부(63a)로부터 제2 맞닿음부(65a)로 변경된다.
즉, 가이드 부재(53)의 요동 후반에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51)의 코일 스프링(52a)에 의한 가압력의 배분 포인트(데드 포인트) 부근에서, 가이드 부재(53)를 누르는 부분이 제1 맞닿음부(63a)로부터 제2 맞닿음부(65a)로 변경되고, 변경 후에는 제2 맞닿음부(65a)의 맞닿음력이 가이드 부재(53)의 제2 가이드면(54b)에 적합하게 전달된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스프링 부재(66)에 의한 가압력도 제2 맞닿음부(65a)의 맞닿음력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일 지지 부재(30A)는 이러한 제1 맞닿음부(63a) 및 제2 맞닿음부(65a)에 의한 맞닿음력을 받아서 낚싯줄 권취 위치로 적합하게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53)의 제1 가이드면(54a)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63a)와,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53)의 제2 가이드면(54b)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65a)의 2개의 맞닿음부를 복귀용 맞닿음 부재(61)가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제1 맞닿음부(63a)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에 있어서, 회동축(60)이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부(6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6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부(62)의 직경 방향의 연장 상에 있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맞닿음력을 가이드 부재(53)의 제1 가이드면(54a)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맞닿음부(63a)와 제1 가이드면(54a)의 맞닿음 시에, 회동축(60)에 대하여 베어링부(62)가 기우는 일이 없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원활한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맞닿음력을 가이드 부재(5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핸들(4)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요동의 중심(축부(53a)의 중심)부터 제1 가이드면(54a)까지의 거리 L1과, 가이드 부재(53)의 요동의 중심(축부(53a)의 중심)부터 제2 가이드면(54b)까지의 거리 L2의 관계가, L1>L2로 되어 있으므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후반보다도 큰 맞닿음력을 필요로 하는 회동 전반에 있어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맞닿음력을 가이드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후반에는, 제2 맞닿음부(65a)가 제2 가이드면(54b)에 맞닿으므로, 가이드 부재(53)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회동 후반은, 회동 전반에 비교하여 큰 맞닿음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2 맞닿음부(65a)가 제2 가이드면(54b)에 맞닿는 구성이더라도, 회동축(60)에 대하여 베어링부(62)가 기우는 일이 없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맞닿음력을 가이드 부재(5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맞닿음부(63a)의 맞닿음면 및 제1 가이드면(54a)은 회동축(60)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평행하므로, 제1 맞닿음부(63a)로부터 제1 가이드면(54a)에 맞닿음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의 회전 조작에 의한 복귀 시의 조작감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의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장출부(63)는 베어링부(6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어서 제1 맞닿음부(63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여러가지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복귀용 맞닿음 부재(61)의 돌출부(65)는 장출부(63)로부터 가이드(51)측을 향하여 회동축(6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제2 맞닿음부(65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여러가지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는 제1 맞닿음부(63a)가 맞닿는 제1 가이드면(54a), 및 제2 맞닿음부(65a)가 맞닿는 제2 가이드면(54b)을 구비하고, 또한 L1>L2의 관계를 구비하는 것이면 되고, 여러가지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면(54a)의 중앙부를 거리 L1의 기준점으로 할 필요는 없고, 또한, 제2 가이드면(54b)의 중앙부를 거리 L2의 기준점으로 할 필요도 없다. 거리 L1, 거리 L2의 기준점은, 제1 가이드면(54a) 및 제2 가이드면(54b)의 적당한 위치에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귀 시의 데드 포인트를 넘을 때쯤부터, 가이드 부재(53)를 누르는 부분이 제1 맞닿음부(63a)로부터 제2 맞닿음부(65a)로 변경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복귀 시의 데드 포인트의 전후에 있어서 변경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1: 릴 본체
2: 로터
20A, 20B: 암부
30A, 30B: 베일 지지 부재
50: 반전 기구
51: 가이드
54a: 제1 가이드면
54b: 제2 가이드면
60: 회동축
61: 복귀용 맞닿음 부재
62: 베어링부
63: 장출부
63a: 제1 맞닿음부
65: 돌출부
65a: 제2 맞닿음부
L1: 거리(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1 가이드면까지의 거리)
L2: 거리(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제2 가이드면까지의 거리)

Claims (2)

  1. 릴 본체에 구비되는 로터에 마련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설치되고,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로 회동 가능한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낚싯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 기구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에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암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와,
    회동축을 통하여 상기 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로터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에 맞닿고,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어링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장출되는 장출부와, 상기 장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측을 향하여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출부에는,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전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복귀용 맞닿음 부재의 회동 후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1 맞닿음부가 맞닿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제2 맞닿음부가 맞닿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상기 제1 가이드면까지의 거리를 L1,
    상기 가이드의 요동의 중심부터 상기 제2 가이드면까지의 거리를 L2로 한 경우에,
    L1>L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맞닿음부의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가이드면은, 상기 회동축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평행하게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220160200A 2021-11-30 2022-11-25 낚시용 스피닝 릴 KR20230081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3991 2021-11-30
JP2021193991A JP2023080570A (ja) 2021-11-30 2021-11-30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652A true KR20230081652A (ko) 2023-06-07

Family

ID=8436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200A KR20230081652A (ko) 2021-11-30 2022-11-25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65232A1 (ko)
EP (1) EP4190150A1 (ko)
JP (1) JP2023080570A (ko)
KR (1) KR20230081652A (ko)
CN (1) CN116195559A (ko)
AU (1) AU2022279446A1 (ko)
TW (1) TWI81780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2133A (ja) 2015-04-28 2016-12-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964A (ja) * 2010-04-23 2011-11-10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1244752A (ja) * 2010-05-27 2011-12-08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048452B2 (ja) * 2018-08-24 2022-04-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2133A (ja) 2015-04-28 2016-12-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0150A1 (en) 2023-06-07
CN116195559A (zh) 2023-06-02
TWI817804B (zh) 2023-10-01
US20230165232A1 (en) 2023-06-01
AU2022279446A1 (en) 2023-06-15
TW202322691A (zh) 2023-06-16
JP2023080570A (ja)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7162A (en) Fishing reel
US5678781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US4337905A (en) Bail latching and releas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of outside spool type
KR20230081652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H0753496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軸受機構
EP0768030A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H05336865A (ja) 魚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往復動構造
JP200914222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18459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555512B2 (en) Spinning reel
JP201620213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223102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524484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6224006B1 (en) Spinning reel having tapered spool and compact reel body
JP729165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25612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99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H0914030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JP350484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7255335A (ja) 釣用後方ドラグ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往復装置
JP615927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80008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5617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10857Y2 (ko)
JPH06205628A (ja) 釣り用リール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