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57A -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 Google Patents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57A
KR20230077157A KR1020210164113A KR20210164113A KR20230077157A KR 20230077157 A KR20230077157 A KR 20230077157A KR 1020210164113 A KR1020210164113 A KR 1020210164113A KR 20210164113 A KR20210164113 A KR 20210164113A KR 20230077157 A KR20230077157 A KR 2023007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late
outer case
post
child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716B1 (ko
Inventor
김영호
박희석
정나영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7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 난간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내부에 보행자의 동작은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발광을 하도록 하는 LED바를 구성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중에도 보행자를 인식시켜주도록 하여 속도감속, 불법주정차 방지와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길이의 하단 고정지주와; 일정 길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크기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는 동작감지센서가 구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개구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도광판과,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며 LED바가 구성되고 상단부에는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가 구성되어 LED바가 도광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LED내장부재로 이루어져, 하단 고정지주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지주와; 상단 조립지주의 상단부에 씌워져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와 동작감지센서를 보호하도록 하는 기둥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동작감지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LED바의 LED가 켜져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Guardrail post using LED pannel}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 난간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내부에 보행자의 동작은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발광을 하도록 하는 LED바를 구성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행중에도 보행자를 인식시켜주도록 하여 속도감속, 불법주정차 방지와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와 인도를 경계하는 도로 난간은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 설치한 방호책으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뿐만 아니라 도로 난간은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구역, 높은 축대, 다리,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도로에서 인도 또는 도로의 일측으로 통행하는 보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주택이나 유치원 및 초, 중, 고등학교 건물의 경계용, 어린이보호구역 등에 설치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도로 난간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난간대로 구성되고, 학교 등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어린이보호구역'이 적힌 식별판을 지주 또는 난간대의 수평프레임에 부착하도록 하여 차량 등에 인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어린이보호구역 등의 식별문구가 반사판 등을 이용하여 구비되더라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268756호 "반사판이 부착된 도로 난간 지주"(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난간 지주(4)의 상부나 캡(1) 둘레에 반사판(2)을 부착시켜 차량의 전조등에서 비치는 빛을 반사시키므로써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캡(1)의 외측 둘레에 반사판(2)이 부착되는 설치부(3)가 형성되고, 이 설치부(3)의 상, 하부에는 반사판(2)의 돌출을 방지하고 지주(4)상단에 끼워져 걸리는 상,하 돌출테(5,6)가 형성되며, 캡(1)하단은 지주(4)의 상단 내측에 끼워지는 슬리이브(7)가 형성되고, 이 슬리이브(7)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벳 구멍(8)이 천공되며, 반사판(2)은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되어 제작되어 캡(1)의 설치부(3)에 수지접착제로 부착되도록 하여, 차도와 인도사이에 설치되어 반사관에 의한 빛의 반사로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경게를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은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것을 막고 보행자는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어린이보호구역 등의 식별문구가 반사판 등을 이용하여 구비되더라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지 못하고 주의하지 않은 채 그냥 지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위험도 높아질 수 밖에 없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268756호 "반사판이 부착된 도로 난간 지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차량 운전자가 주행중 주간 및 야간 모든 시간대에 보행하는 보행자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과속이나 불법주정차 방지와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줄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하단 고정지주와; 일정 길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크기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는 동작감지센서가 구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개구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도광판과,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며 LED바가 구성되고 상단부에는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가 구성되어 LED바가 도광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LED내장부재로 이루어져, 하단 고정지주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지주와; 상단 조립지주의 상단부에 씌워져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와 동작감지센서를 보호하도록 하는 기둥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동작감지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LED바의 LED가 켜져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LED내장부재는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가 설치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가 고정판이 접하도록 한 쌍이 구성되며, 외부케이스는 LED바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부재는 고정판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LED내장부재는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가 설치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방향 일정각도로 각각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가, 인접한 단위부재가 지지판이 접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며, 외부케이스는 LED바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부재는 지지판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LED내장부재의 상단부에는 외부케이스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다 일정크기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의 설치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설치플레이트의 상부면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와 동작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와 동작감지센서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접한 단위부재의 보강판과 보강판의 사이에는 길이방향 전체 높이에 대하여 보강 서포트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단 고정지주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원판형의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와,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의 지름보다 일정 크기 작은 지름을 갖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크기로 절개되어 복수의 고정절개부가 형성되는 상단지주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상단 조립지주의 인접한 단위부재 간의 마감판과 마감판이 고정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단 조립지주의 외부케이스가 상단지주고정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의 LED바는 LED가 켜졌을때 차도에 접하는 부분과 인도에 접하는 부분의 색상이 다르게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도광판에는 안내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는 지주의 내부에 보행자의 동작은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발광을 하도록 하는 LED바를 구성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간 및 야간 모든 시간에 주행중 보행자를 인식시켜주도록 하여 속도감속, 불법주정차 방지와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 사고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으며, 지주를 지면에 고정설치하는 하단 고정지주와 하단 고정지주에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상단 조립지주로 구성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에서 동작감지 센서 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1)는 일정 길이의 하단 고정지주(10)와,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지주(20)와 상단 조립지주(20)의 상부를 마감하는 기둥 캡(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1)는 보행자와 차량을 구분하는 위치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는 난간대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도로 난간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에서 동작감지 센서 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도 4에서는 편의상 LED내장부재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하단 고정지주(10)는 본 발명의 도로 난간용 LED지주(1)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상단 조립지주(20)는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210)와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내재되며 LED바(229)가 구성되는 LED내장부재(220)와, 개구부(211)를 폐합하는 도광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외부케이스(210)는 일정 길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크기로 개구부(211)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 개구부(211)는 LED바(229)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도광판(230)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광판(230)은 내부의 LED바(229)에서 발광하는 빛을 고루 전달하여 발산하도록 하는데, 특히, 도광판(230)에는 보행자주의, 속도 감속 등 안내문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LED가 구성되는 LED바(229)가 동작감지센서(212)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켜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람이나 차량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감지센서(212)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하며, 외부케이스(210)에는 동작감지센서(212)가 구성된 부분에 구멍을 뚫고 이를 다시 마감창(217)으로 막아 위치설정 및 인식을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는 LED내장부재(220)가 삽입되어 내장되도록 하는데, LED내장부재(220)에는 LED바(229)가 구성되며 LED내장부재(220)의 상단부에는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가 구성되어 LED바(229)의 온/오프 작동을 하도록 하며, 특히, 동작감지센서(212)에 의해 LED바(229)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LED내장부재(220)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때, LED바(229)가 도광판(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LED바(229)의 LED가 켜지면 도광판(230)을 통하여 도광판(230)의 전체면에 빛을 전달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LED내장부재(220)가 삽입된어 구성되는 상단 조립지주(20)는 상단부에 기둥 캡(30)을 씌워 내부의 오염이나 빗물 등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기둥 캡(30)은 상단 조립지주(20)의 상단부를 덮어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1)는 일예로 동작감지센서(212)가 보행자가 지나가는 위치쪽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보행자가 지나가면 동작감지센서(212)에 의해 동작을 감지하여 LED바(229)의 LED가 켜지도록 하여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주행하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동작감지센서(212)가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설정되면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여 인도에서 보행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구성되는 LED내장부재(220)를 복수의 단위부재(220a)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복수의 LED바(229)를 구성하면서도 유지보수시에 단위부재(220a) 단위로 교체나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위부재(220a)는 강판을 절곡하여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229)가 설치되는 고정판(221)과, 고정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방향 일정각도로 각각 연장되는 지지판(222)과, 지지판(222)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224)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판(221)은 LED바(229)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지지판(222)은 고정판(221)을 지지하는 역할과 각 단위부재(220a)의 LED바(229)의 조광 범위를 한정해주는 구획판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단위부재(220a) 간의 결합시 접하는 한 쌍의 지지판(222)에 의해 강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LED내장부재(220)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복수의 단위부재(220a)를 구성하였을때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한다.
도 3b에서와 같이,LED내장부재(220)는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229)가 설치되는 고정판(221)과, 고정판(221)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224)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220a)가, 인접한 단위부재(220a)가 고정판(221)이 접하도록 한 쌍이 구성되며, 외부케이스(210)는 LED바(229)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개구부(2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3a에서와 같이, 단위부재(220a)의 고정판(221)의 양측에 구성되는 지지판(222)은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3개의 단위부재(220a)를 지지판(222) 끼리 접하도록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조립하면 하나의 원형단면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LED바(229)도 3개가 구성되고, 각 LED바(229)가 발광되는 각도는 양측의 지지판(222)에 의하여 120도로 이루어져 도광판(23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외부에서의 인식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도 3c에서와 같이, 단위부재(220a)의 고정판(221)의 양측에 구성되는 지지판(222)은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4개의 단위부재(220a)를 지지판(222) 끼리 접하도록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조립하면 하나의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이와 같이, 3개의 단위부재(220a)로 LED내장부재(220)를 구성하여 3방향에 LED바(229)가 구성되면, 하나의 LED바(229)는 인도쪽을 향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하고, 나머지 두개의 LED바(229)는 각각 차량의 일측과 타측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도록 하여, 인도에 인접한 도로에서의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건너편 도로에서의 차량의 진행방향 까지도 동작감지센서(212)에서 감지하여 LED바(229)를 작동시켜 보행자가 이동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차량이 이동하면 보행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양방향으로 차량과 보행자 모두에게알림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동작감지센서(212)는 도광판(230)의 상부에 각각 구성되도록 한다.
특히, 복수의 LED바(229)가 구성되는 경우는 LED가 켜졌을때 차도에 접하는 부분과 인도에서 보행자가 접하는 부분의 LED 색상이 다르게 구현되도록 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가 각각 서로의 존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위부재(220a)는 박판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지지판(222)의 외측단부에서는 다시 둔각으로 보강판(223)이 연장되도록 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보강판(223)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224)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단위부재(220a)에서 보강판(223)과 마감판(22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인접한 단위부재(220a)의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사이에는 길이방향 전체 높이에 대하여 강봉, 각봉,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서포트부재(227)가 구성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보강 서포트부재(227)는 단위부재(220a)에 용접, 접착제, 볼트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단위부재(220a)가 지지판(222)이 접하도록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가 구성되면, 외부케이스(210) 역시 LED바(229)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개구부(211)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 도광판(230)이 구성된다.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는 LED내장부재(220)가 삽입되기 때문에, 복수의 단위부재(220a)로 이루어지는 LED내장부재(220)가 원형단면을 갖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LED내장부재(220)의 상단부에는 상단부에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다 일정크기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의 설치플레이트(226)가 형성되고, 설치플레이트(226)의 상부면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가 설치되도록 하여, LED내장부재(220)를 외부 케이스(210)에 삽입시에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 단면의 크기와 동일한 설치플레이트(226)에 의하여 삽입된 이후에는 흔들림이나 유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와 동작감지센서(212)가 위치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부에 상단 조립지주(20)를 설치하면, 덮개(30) 만을 제거하여 내부의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를 점검할 수도 있으며, 덮개(30)와 외부케이스(210)를 상부로 빼내서 내부의 LED내장부재(220)를 노출시켜 유지보수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단 고정지주(10)와 상단 조립지주(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단부를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원판형의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와, 원기둥 형상의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설치되는 높이를 결정하는 것으로 다양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면은 원형, 각형 등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는 지지부(110)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외부케이스(210)의 하단부가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은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지름보다 일정 크기 작은 지름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외부케이스(210)의 하단부에 이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이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의 외주면의 지름은 외부케이스(210)의 내주면의 지름과 같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은 일정크기로 절개되어 복수의 고정절개부(131)가 형성되도록 하여, 복수의 단위부재(220a)로 이루어지는 LED내장부재(220)가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안착시에 인접한 단위부재(220a) 간의 마감판(224)과 마감판(224)이 고정절개부(131)에 위치하도록 하여 ED내장부재(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판(224)의 외측 단부는 고정절개부(131)의 단부와 일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는 지주의 내부에 보행자의 동작은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발광을 하도록 하는 LED바를 구성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간 및 야간 모든 시간에 주행중 보행자를 인식시켜주도록 하여 속도감속, 불법주정차 방지와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 사고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으며, 지주를 지면에 고정설치하는 하단 고정지주와 하단 고정지주에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상단 조립지주로 구성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10 : 하단 고정지주
20 : 상단 조립지주
210 : 외부케이스
220 : LED내장부재
220a : 단위부재
229 : LED바
230 : 도광판
30 : 기둥 캡

Claims (10)

  1. 일정 길이의 하단 고정지주(10)와;
    일정 길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크기로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내부에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는 동작감지센서(212)가 구성되는 외부케이스(210)와, 외부케이스(210)의 개구부(211)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도광판(230)과,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며 LED바(229)가 구성되고 상단부에는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가 구성되어 LED바(229)가 도광판(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LED내장부재(220)로 이루어져, 하단 고정지주(10)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지주(20)와;
    상단 조립지주(20)의 상단부에 씌워지는 기둥 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동작감지센서(212)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LED바(229)의 LED가 켜져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LED내장부재(220)는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229)가 설치되는 고정판(221)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220a)가 고정판(221)이 접하도록 한 쌍이 구성되며,
    외부케이스(210)는 LED바(229)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단위부재(220a)는 고정판(221)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224)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LED내장부재(220)는 수직판형상으로 내측면에 LED바(229)가 설치되는 고정판(221)과, 고정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방향 일정각도로 각각 연장되는 지지판(222)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220a)가,
    인접한 단위부재(220a)가 지지판(222)이 접하도록 복수개가 구성되며,
    외부케이스(210)는 LED바(229)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단위부재(220a)는 지지판(222)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외측단부에서 내측의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마감판(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6. 청구항 4에 있어서,
    LED내장부재(220)의 상단부에는 외부케이스(210)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다 일정크기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의 설치플레이트(226)가 형성되고, 설치플레이트(226)의 상부면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가 설치되며,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LED컨트롤러 및 안정기(222)와 동작감지센서(212)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인접한 단위부재(220a)의 보강판(223)과 보강판(223)의 사이에는 길이방향 전체 높이에 대하여 보강 서포트부재(22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하단 고정지주(10)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원판형의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와,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하부 축고정 플레이트(120)의 지름보다 일정 크기 작은 지름을 갖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크기로 절개되어 복수의 고정절개부(131)가 형성되는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으로 이루어져,
    상단 조립지주(20)의 인접한 단위부재(220a) 간의 마감판(224)과 마감판(224)이 고정절개부(131)에 위치하도록 상단 조립지주(20)의 외부케이스(210)가 상단지주고정 브라켓(1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LED바(229)는 LED가 켜졌을때 차도에 접하는 부분과 인도에 접하는 부분의 색상이 다르게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도광판(230)에는 안내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20210164113A 2021-11-25 2021-11-25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261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13A KR102611716B1 (ko) 2021-11-25 2021-11-25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13A KR102611716B1 (ko) 2021-11-25 2021-11-25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57A true KR20230077157A (ko) 2023-06-01
KR102611716B1 KR102611716B1 (ko) 2023-12-07

Family

ID=8677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113A KR102611716B1 (ko) 2021-11-25 2021-11-25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163B1 (ko) * 2023-07-03 2024-04-03 케이플랜 주식회사 신호등 연동 볼라드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756B1 (ko) 1994-12-16 2000-10-16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리드프레임의 분리형 다이패드구조
KR20090010935A (ko) * 2007-07-24 2009-01-30 윤철주 보행자 보호 장치
KR100883344B1 (ko) * 2008-08-08 2009-02-12 김현민 Led 조명램프
KR20110088728A (ko) * 2010-01-29 2011-08-04 최진선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JP3179145U (ja) * 2012-08-06 2012-10-18 コスモケミカル株式会社 自発光式視線誘導灯
KR20120129067A (ko) *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KR20160087506A (ko) *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대경기업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펜스
KR20200014058A (ko) * 2018-07-31 2020-02-10 유니콘스(주) 안전 휀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145B2 (ja) * 1991-08-26 2001-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756B1 (ko) 1994-12-16 2000-10-16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리드프레임의 분리형 다이패드구조
KR20090010935A (ko) * 2007-07-24 2009-01-30 윤철주 보행자 보호 장치
KR100883344B1 (ko) * 2008-08-08 2009-02-12 김현민 Led 조명램프
KR20110088728A (ko) * 2010-01-29 2011-08-04 최진선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KR20120129067A (ko) *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JP3179145U (ja) * 2012-08-06 2012-10-18 コスモケミカル株式会社 自発光式視線誘導灯
KR20160087506A (ko) *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대경기업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펜스
KR20200014058A (ko) * 2018-07-31 2020-02-10 유니콘스(주) 안전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163B1 (ko) * 2023-07-03 2024-04-03 케이플랜 주식회사 신호등 연동 볼라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716B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65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20230077157A (ko)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100646683B1 (ko)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KR100647060B1 (ko) 건축단지 내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볼라드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200452730Y1 (ko) 개폐형 볼라드
KR102461501B1 (ko) 회전 안내장치가 구성된 어린이보호구역 난간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WO2004031487A1 (de) Nebelwarn- und -leiteinrichtung
KR101787290B1 (ko) 다기능 차선규제봉
KR200420392Y1 (ko) 어린이 보호구역용 펜스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KR200412269Y1 (ko) 보행인식발광볼라드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20090045982A (ko) 차선규제봉
KR101182551B1 (ko) 센서가 부설되는 볼라드 및 상기 볼라드의 배치 구조
KR102114774B1 (ko) 교통신호등 추돌 방지장치
KR100467284B1 (ko)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KR102106391B1 (ko) 도로 교통 신호 통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