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861A -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861A
KR20230076861A KR1020237016080A KR20237016080A KR20230076861A KR 20230076861 A KR20230076861 A KR 20230076861A KR 1020237016080 A KR1020237016080 A KR 1020237016080A KR 20237016080 A KR20237016080 A KR 20237016080A KR 20230076861 A KR20230076861 A KR 2023007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vinyl alcohol
soluble film
soluble
option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373B1 (ko
Inventor
플로렌스 캐서린 코르체이
스티븐 지. 프리드리히
레지네 라베크
쉬겡 리
루카 비티엘로
Original Assignee
모노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노졸, 엘엘씨 filed Critical 모노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7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8All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11D11/001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C11D17/045Multi-compar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2Degradable water-solu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4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4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관련 방법.

Description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들의 제조 및 사용 방법.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선호한다. 이러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종종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 물에 첨가될 때, 필름은 용해/분해되어 내부 내용물을 주변 물로 방출하여 세탁액을 생성한다.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은 필름이 벗겨지거나 찢어지지 않아 저장 및 운송 동안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조기 파열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 주기 동안 적절하게 용해되어 세척 작업이 끝날 때 불필요한 필름 잔류물을 최소화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이중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폴리비닐 알코올로 구성된 필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제1 수용성 필름을 금형으로 변형시켜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고, 개방 캐비티를 세제 조성물로 충전한 다음, 개방 캐비티를 제2 수용성 필름으로 폐쇄하고, 제1 및 제2 수용성 필름을 함께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것이다.
더 짧은 세탁 주기 및 더 낮은 세탁 온도와 같은 보다 환경 친화적인 조건에서 패브릭을 세탁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전통적인 수용성 필름(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함)을 사용하여 제조된 단위 투여 물품은 세탁 주기 동안 불완전한 용해를 겪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용해되지 않은 필름 물질이 남아 세척할 물품에 침착될 수 있다.
이전에도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미국 특허 번호 제10,619,042호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PVOH)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기술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제1 PVOH 폴리머 내에 약 3 mol.% 내지 6 mol.%의 양으로 존재하고, 제2 PVOH 폴리머는 본질적으로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며, 제1 PVOH 폴리머는 필름 내 총 PVOH 폴리머의 약 10wt.% 내지 약 70wt.%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우수한 용해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허용 가능한 필름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지만,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제1 양태는 적어도 두 개의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드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ii. 약 8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평균 점도가 약 12mPa.s 미만인,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c. 제3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위치되며;
단, 물품이 구획 내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경우, 조성물은 세탁 조성물이 이니며 자동 식기 세척 조성물이 아니다.
다른 양태는 본원의 개시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3 수용성 필름을 개별적으로 변형시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d. 단계 (c)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e.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d)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f. 제3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
g. 단계 (f)의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및
h. 제1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성분, 이의 조성 범위, 치환기, 조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특징은 본원에 제공된 다양한 양태들, 실시예들 및 예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 양태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필름, 단위 투여 물품 및 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가능하지만,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본원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이해와 함께 특정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다.
도 2는 % 파우치 강도 통과률 및 % 밀봉 결함 테스트의 기본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미국 특허 번호 제10,619,042호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PVOH 수지 블렌드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기술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제1 PVOH 폴리머 내에 약 3 mol.% 내지 6 mol.%의 양으로 존재하고, 제2 PVOH 폴리머는 본질적으로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며, 제1 PVOH 폴리머는 필름 내 총 PVOH 폴리머의 약 10wt.% 내지 약 70wt.%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위 투여 물품에서 문제가 발견되었는데, 특히 필름 자체의 구조적 무결성의 결함보다는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의 밀봉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밀봉 결함은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조기 파열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특허 번호 제10,619,042호와 비교하여 감소된 밀봉 결함을 제공하면서도 필름 자체의 구조적 무결성 및 미국 특허 번호 제10,619,042호에 필적하는 용해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있다.
놀랍게도 이하에 기술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 이를 달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제2 수용성 필름이 더 높은 수준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고, 당업자가 짧고 차가운 세척 주기 하에서 감소된 용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훨씬 더 놀라운 일이다.
추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며, 밀봉 전에 용매 밀봉 용액이 수용성 필름 상에 균일하게 침착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두 개의 필름이 함께 밀봉되도록 의도된 경우, 용매 밀봉 용액은 상기 필름 중 저어도 하나에 도포될 필요가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이 적용되는 필름에 균질한 층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두 필름 사이의 밀봉이 더 약해져 밀봉 결함 및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조기 파열을 초래할 수 있다. 놀랍게도 하기 설명된 단위 투여 물품에서, 밀봉될 수용성 필름 사이에 용매 밀봉 용액의 보다 균일한/균질한 층이 얻어져 밀봉 결함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용성 필름, 단위 투여 물품 및 방법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요소, 특징 및 단계(도면에 도시된 것을 포함)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본 개시의 제1 양태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 및 선택적으로는 구획 내에 수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조성물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선택적인 제3 수용성 필름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최종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단위 투여 물품이 수용성 필름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내부 구획을 포함하도록 성형된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원의 개시의 일 양태로서 고려되는 중간 구성은 예를 들어 최종 충전 전에 조성물을 중간 구조물에 제공할 수 있도록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물품의 요소 또는 물품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조성물이 보관 동안 구획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 물과 접촉하면, 수용성 필름이 용해되어 내부 구획의 내용물을, 예를 들어 세척액, 벌크 물 또는 기타 환경으로(예를 들어, 농업용 조성물의 경우 토양에) 방출한다.
최종 단위 투여 물품의 구획은 존재할 때 조성물을 보유하는 단위 투여 물품 내의 폐쇄된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구획에는 조성물이 없거나, 또는 예를 들어 용해되기 전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어느 정도의 부력을 갖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만을 포함하는 그 내부에 배치된 고체 또는 액체 유형의 조성물이 없을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선태적인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2 구획을 생성하고,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혼합을 통해, 예를 들어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거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물의 용매 밀봉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 또는 100%를 포함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용액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또는 실질적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아닐록스 롤러, 고무(예를 들어, EPDM)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닥터 블레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접촉 전달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밀봉 용액은 드로우다운 바, 메이어 바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액은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펠트, 합성 펠트,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체, 스폰지, 초극세사, 면, 폴리에스테르, 압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웹 등을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패드 또는 롤러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밀봉 용액은 투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 및 장치 중 임의의 조합이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접촉 전달 방법이 고려되며; 선택적으로는 예를 들어 펠트 롤 도포기를 사용하여 연속 공정에서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용매 밀봉 용액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 즉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과 대면하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된다.
제2 수용성 필름 및 선택적인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혼합, 예를 들어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거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의 용매 밀봉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 또는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용액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또는 실질적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아닐록스 롤러, 고무(예를 들어, EPDM)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닥터 블레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접촉 전달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밀봉 용액은 드로우다운 바, 메이어 바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액은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펠트, 합성 펠트,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체, 스폰지, 초극세사, 면, 폴리에스테르, 압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웹 등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패드 또는 롤러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밀봉 용액은 투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방법 및 장치의 조합이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접촉 전달 방법이 고려되며; 선택적으로는 예를 들어 펠트 롤 도포기를 사용하여 연속 공정에서 고려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 즉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과 대면하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수용성 필름에 용매 밀봉 용액을 첨가하면 얇은 발포층을 생성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 얇은 발포층은 두 필름의 최적의 밀봉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예를 들어 결과적으로 용매 밀봉 용액의 불균일한 층이 수용성 필름에 존재한다. 이렇게 수정된 밀봉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대적으로 약하여 예를 들어, 스트레스 조건에서 조기 밀봉 결함을 초래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성 필름에 용매 밀봉 용액을 첨가하면 발포층이 감소하거나 심지어 부재하고, 따라서 밀봉 결함의 경우에 이러한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선택적으로, 단위 투여 물품은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포함한다.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고, 추가로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구획, 또는 제2, 제3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및 제3 구획, 또는 제2, 제3 및 제4 구획은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구획 중 일부는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일부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한 부류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구획을 포함한다. 이 유형의 실시예는 아래에 더 설명된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적어도 두 개의 구획 및 선택적으로는 구획 중 하나 이상 내에 수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조성물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최종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단위 투여 물품이 수용성 필름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두 개의 내부 구획을 포함하도록 성형된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원의 개시의 양태들로서 고려되는 중간 구성은 예를 들어 구획 각각의 최종 충전 전에 조성물을 중간 구조물에 제공할 수 있도록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물품의 요소 또는 물품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중간 구조는 제1 밀봉된 구획과 충전 준비가 된 부분적으로 개방된 제2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둘 이상의 조성물이 보관 동안 둘 이상의 구획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물에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 추가되면, 수용성 필름이 용해되어 내부 구획의 내용물을 예를 들어 세척액, 벌크 물 또는 기타 환경으로 방출한다.
최종 단위 투여 물품의 구획은 존재할 때 조성물을 보유하는 단위 투여 물품 내의 폐쇄된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구획에는 예를 들어 용해되기 전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어느 정도의 부력을 갖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그 내부에 배치된 조성물이 없을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혼합을 통해, 예를 들어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거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물의 용매 밀봉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 또는 100%를 포함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용액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또는 실질적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아닐록스 롤러, 고무(예를 들어, EPDM)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닥터 블레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접촉 전달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밀봉 용액은 드로우다운 바, 메이어 바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액은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펠트, 합성 펠트,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체, 스폰지, 초극세사, 면, 폴리에스테르, 압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웹 등을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패드 또는 롤러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밀봉 용액은 투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방법 및 장치의 조합이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접촉 전달 방법이 고려되며; 선택적으로는 예를 들어 펠트 롤 도포기를 사용하여 연속 공정에서 고려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 즉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과 대면하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혼합을 통해, 예를 들어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물의 용매 밀봉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98%, 또는 심지어 적어도 99%, 또는 심지어 100%를 포함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용액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또는 실질적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아닐록스 롤러, 고무(예를 들어, EPDM)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닥터 블레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접촉 전달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밀봉 용액은 드로우다운 바, 메이어 바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액은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펠트, 합성 펠트,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체, 스폰지, 초극세사, 면, 폴리에스테르, 압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웹 등을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패드 또는 롤러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밀봉 용액은 투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방법 및 장치의 조합이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접촉 전달 방법이 고려되며; 선택적으로는 예를 들어 펠트 롤 도포기를 사용하여 연속 공정에서 고려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 즉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과 대면하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위 투여 물품은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포함한다.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고, 추가로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구획, 또는 제2, 제3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및 제3 구획, 또는 제2, 제3 및 제4 구획은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구획 중 일부는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일부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 하나의 구획에만 구성될 수 있거나, 두 구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심지어 세 구획으로 구성되거나 심지어 네 구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구획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조성물은 모두 동일한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형태, 예를 들어 고체, 분말, 젤, 페이스트, 액체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1)을 개시한다. 밀봉 영역(4)에서 함께 밀봉되는 제1 수용성 필름(2) 및 제3 수용성 필름(3)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수용성 필름(2)과 제3 수용성 필름(3)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용성 필름은 도시되지 않았다. 조성물(5)은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1) 내에 포함된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윤활제로 코팅될 수 있다. 윤활제는 예를 들어 활석, 산화아연, 실리카, 실록산, 제올라이트, 규산, 알루미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구연산나트륨, 삼인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삼인산칼륨,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전분, 변성 전분, 점토, 고령토, 석고,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제1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수용성 필름은 물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최대 공극 크기가 20 미크론인 유리 필터를 사용한 후 본원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의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5g ± 0.1g의 필름 재료를 미리 계량한 3L 비이커에 추가하고 2L ± 5ml의 증류수를 추가한다. 이는 30분 동안 30℃에서 600rpm으로 설정된, 자기 교반기(Labline 모델 번호 1250 또는 이와 동등물) 및 5cm 자기 교반기에서 강하게 교반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은 위에서 정의된 기공 크기(최대 20 미크론)를 갖는 폴딩된 정성적 소결 유리 필터(folded qualitative sintered-glass filter)를 통해 필터링된다.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집된 여과액으로부터 물이 건조되고, 나머지 재료의 중량이 결정된다(이는 용해 또는 분산 분획됨). 그런 다음, 백분율 용해도 또는 분산성이 계산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료의 주조, 취입 성형(blow-moulding), 압출 또는 취입 압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용매 주조 수용성 필름일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90/10 내지 10/90, 또는 80/20 내지 20/80, 또는 70/30 내지 50/50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약 1 mol.% 내지 약 10 mol.%, 또는 약 2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존재한다.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설폰화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예를 들어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말레에이트가 특히 고려된다.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이다.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존재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호모폴리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단일 모노머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특정 경우에 대해, "호모폴리머"라는 용어는 가수분해도에 따라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의 분포를 갖는 코폴리머(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더 포함한다. 100% 가수분해의 경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단위만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랜덤 코폴리머로서든, 블록 코폴리머 등으로서든, 둘 이상의 상이한 모노머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 폴리머의 특정 경우에 대해, "코폴리머"(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가수분해도에 따라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의 분포를 갖는 코폴리머,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노머 단위, 예를 들어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3중(ter)-(또는 그 이상의) 폴리머 사슬)를 포함할 수 있다. 100% 가수분해의 경우,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단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노머 단위를 갖지만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는 갖지 않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음이온성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음이온부(anionic moiety)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갖는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일반 부류는 모노카르복실산 비닐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비닐 설폰산 모노머 및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금속 염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예로는 비닐 아세트산,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모노알킬 푸마레이트, 디알킬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이타콘산 무수물, 비닐 설폰산, 알릴 설폰산, 에틸렌 설폰산,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 전술한 것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기타 알칼리 금속 염), 전술한 것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틸, 에틸 또는 기타 C1-C4 또는 C6 알킬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여러 유형의 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동일한 음이온성 모노머의 동등한 형태)를 포함하는 비닐 음이온성 모노머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아미도 메틸프로판설폰산(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이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의 범위,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범위, 80% 내지 약 98% 범위,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범위, 또는 약 85% 내지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범위, 또는 80% 내지 약 98% 범위,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 또는 약 87% 내지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점도는 영국 표준 EN ISO 15023-2:2006 Annex E Brookfield 테스트 방법에 설명된 바와 같이 UL 어댑터가 있는 Brookfield LV 유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새로 만든 용액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20℃에서 4%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탈이온수에서)의 점도를 명시하는 것은 국제 관행이다.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선택적으로 약 90/10 내지 약 10/90 범위,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범위,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은 다음과 같이 모듈러스(MOD) 테스트에 따라 인장 응력에 대해 특성화되거나 테스트될 수 있다. 이 절차에는 ASTM D 882("얇은 플라스틱 시트의 인장 특성에 대한 표준 테스트 방법") 또는 이에 상응하는 방법에 따라 10% 연신율에서 모듈러스의 결정이 포함된다. 필름 데이터 수집을 위해 INSTRON 인장 테스트 장치(모델 5544 인장 시험기 또는 이와 동등한 장치)가 사용된다. 치수 안정성과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절단 도구로 각각 절단된 최소 3개의 테스트 표본이 각 측정에 대해 기계 방향(MD)(해당되는 경우)으로 테스트된다. 테스트는 23 ± 2.0℃ 및 35 ± 5 % 상대 습도의 표준 실험실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두께가 75μm인 단일 필름 시트의 1인치 너비(2.54cm) 샘플이 준비된다. 그런 다음 샘플이 INSTRON 인장 시험기로 옮겨져 35%의 상대 습도 환경에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인장 시험기는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준비되고 500N 로드 셀이 장착되고 교정된다. 올바른 그립과 면이 장착되어 있다(고무 코팅되어 있으며 폭이 25mm이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모델 번호가 2702-032 면인 INSTRON 그립). 샘플은 인장 시험기에 장착되고 분석하여 100% 모듈러스(즉, 100% 필름 신장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응력)를 결정하기 위해 분석된다.
제1 수용성 필름은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약 20 N/mm2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MOD 값은 이들이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생산 동안 또는 최종 소비자 패킹 시 서로 위에 적재될 때 변형되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더 낮은 파우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 연신율에서의 MOD 값은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필름이 느슨해지고 처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을 유지하는 필름의 능력에 해당한다. 특히, 더 높은 MOD 값을 갖는 필름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덜 연화되고 느슨하고 처진 외관을 취하는 파우치에 해당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최소 약 20, 21, 22, 23, 24, 25 또는 27 N/mm2 및/또는 최대 약 24, 25, 27, 28, 29 또는 30 N/mm2(예를 들어, 약 20N/mm2 내지 약 30N/mm2, 또는 약 20N/mm2 내지 약 28N/mm2, 또는 약 22N/mm2 내지 약 25N/mm2)의 MOD 값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5%, 또는 약 0.1% 내지 약 2.5% 범위, 또는 약 1% 내지 약 2% 범위, 또는 약 0.5% 내지 약 2%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쌍성 이온성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3차 아세틸렌 글리콜 및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물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 4차 암모늄 염 및 4차화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산화 아민, N-알킬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쌍성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아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산 에스테르, 소듐 알킬 황산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아세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아세틸화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Karl Fischer titration)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약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의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윤활제/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이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산 및 이의 염, 지방 알코올,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아민,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 및 지방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이형제는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윤활제/이형제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2% 내지 약 1.5%, 또는 약 0.1% 내지 약 1% 범위에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 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변성 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실리카,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및 운모를 포함한다. 전분, 변성 전분,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이 특히 고려된다.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5%, 또는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2% 내지 약 8%, 또는 약 3% 내지 약 5%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분이 없는 경우,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4 중량%, 또는 약 6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프린트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영역은 표준 기술,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혐오제, 예를 들어 고미제(bitter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고미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린진, 수크로스 옥타아세테이트, 퀴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수준의 혐오제가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수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1ppm 내지 약 5000ppm, 또는 약 100ppm 내지 약 2500ppm, 또는 약 250ppm 내지 약 2000ppm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 및 그의 각각의 개별 성분은 독립적으로 0ppm 내지 약 20ppm, 또는 0ppm 내지 약 15ppm, 또는 0ppm 내지 약 10ppm, 또는 0ppm 내지 약 5ppm, 또는 0ppm 내지 약 1ppm, 또는 0ppb 내지 약 100ppb, 또는 0ppb 디옥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수용성 필름 및 그 성분 내에서 디옥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기술을 알고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제1 수용성 필름의 서브타입이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제1 수용성 필름은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모든 수용성 필름, 뿐만 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각각의 조성물 및 본원에 설명된 각각의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이 제1 수용성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최대 공극 크기가 20 미크론인 유리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의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료의 주조, 취입 성형, 압출 또는 취입 압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용매 주조 수용성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의 범위, 또는 약 50% 내지 약 80량% 범위,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이다.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 약 3mol.% 내지 약 6mol.% 범위,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범위,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범위,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일반 부류는 모노카르복실산 비닐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비닐 설폰산 모노머 및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금속 염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예로는 비닐 아세트산,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모노알킬 푸마레이트, 디알킬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이타콘산 무수물, 비닐 설폰산, 알릴 설폰산, 에틸렌 설폰산,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 전술한 것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기타 알칼리 금속 염), 전술한 것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틸, 에틸 또는 기타 C1-C4 또는 C6 알킬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여러 유형의 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동일한 음이온성 모노머의 동등한 형태)를 포함하는 비닐 음이온성 모노머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아미도 메틸프로판설폰산(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이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수지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선택적으로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세탁 및 자동 식기세척 조성물, 또는 일반적으로 패브릭 및 홈케어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적어도 65 중량%를 가질 수 있으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양은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또는 6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 또는 65 중량% 초과 내지 약 95 중량%, 또는 65 중량% 초과 내지 약 85 중량%, 또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약 20 N/mm2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MOD 값은 이들이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생산 동안 또는 최종 소비자 패킹 시 서로 위에 적재될 때 변형되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더 낮은 파우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 연신율에서의 MOD 값은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필름이 느슨해지고 처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을 유지하는 필름의 능력에 해당한다. 특히, 더 높은 MOD 값을 갖는 필름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덜 연화되고 느슨하고 처진 외관을 취하는 파우치에 해당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최소 약 20, 21, 22, 23, 24, 25 또는 27 N/mm2 및/또는 최대 약 24, 25, 27, 28, 29 또는 30 N/mm2(예를 들어, 약 20N/mm2 내지 약 30N/mm2, 또는 약 20N/mm2 내지 약 28N/mm2, 또는 약 22N/mm2 내지 약 25N/mm2)의 MOD 값을 갖는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5% 범위, 또는 약 0.1% 내지 약 2.5% 범위, 또는 약 1% 내지 약 2% 범위, 또는 약 0.5% 내지 약 2%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쌍성 이온성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3차 아세틸렌 글리콜 및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물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 4차 암모늄 염 및 4차화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산화 아민, N-알킬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쌍성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아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산 에스테르, 소듐 알킬 황산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아세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아세틸화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범위, 또는 약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수용성 필름의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의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윤활제/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이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산 및 이의 염, 지방 알코올,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아민,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 및 지방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이형제는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윤활제/이형제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약 0.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 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변성 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실리카,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및 운모를 포함한다. 전분, 변성 전분,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이 특히 고려된다.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분이 없는 경우,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4 중량%, 또는 약 6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프린트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영역은 표준 기술,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성 필름은 혐오제, 예를 들어 고미제(bitter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고미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린진, 수크로스 옥타아세테이트, 퀴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수준의 혐오제가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수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1ppm 내지 약 5000ppm, 또는 약 100ppm 내지 약 2500ppm, 또는 약 250ppm 내지 약 2000ppm을 포함한다.
제1 수용성 필름 및 그의 각각의 개별 성분은 독립적으로 0ppm 내지 약 20ppm, 또는 0ppm 내지 약 15ppm, 또는 0ppm 내지 약 10ppm, 또는 0ppm 내지 약 5ppm, 또는 0ppm 내지 약 1ppm, 또는 0ppb 내지 약 100ppb, 또는 0ppb 디옥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수용성 필름 및 그 성분 내에서 디옥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기술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제2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제2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수용성 필름은 물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최대 공극 크기가 20 미크론인 유리 필터를 사용한 후 본원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의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5g ± 0.1g의 필름 재료를 미리 계량한 3L 비이커에 추가하고 2L ± 5ml의 증류수를 추가한다. 이는 30분 동안 30℃에서 600rpm으로 설정된, 자기 교반기(Labline 모델 번호 1250 또는 이와 동등물) 및 5cm 자기 교반기에서 강하게 교반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은 위에서 정의된 기공 크기(최대 20 미크론)를 갖는 폴딩된 정성적 소결 유리 필터(folded qualitative sintered-glass filter)를 통해 필터링된다.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집된 여과액으로부터 물이 건조되고, 나머지 재료의 중량이 결정된다(이는 용해 또는 분산 분획됨). 그런 다음, 백분율 용해도 또는 분산성이 계산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료의 주조, 취입 성형(blow-moulding), 압출 또는 취입 압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주조 수용성 필름일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 또는 약 5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60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15 중량% 미만을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예를 들어, 약 1 중량% 내지 15 중량% 미만,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 존재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이다.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본원에 설명된 양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음이온성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일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적어도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제2 수용성 필름의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20℃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를 특징으로 할 수 있거나, 또는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의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이러한 점도와 평균 가수분해도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카르복실화 음이온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말레에이트 단위는 선택적으로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들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범위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약 90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예를 들어 100 중량% 범위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의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호모폴리머 또는 제1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는 20℃의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으로 측정된, 약 8mPa.s 이상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8.5mPa.s 이상 및 12mPa.s 미만, 또는 약9mPa.s 이상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9.5mPa.s 이상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10mPa.s 이상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10.5mPa.s 이상 및 12mPa.s 미만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제1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으로 측정된, 약 8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8.5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9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9.5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10.5mPa.s 내지 약 11.5mPa.s, 또는 약 8mPa .s 내지 약 11mPa.s, 또는 약 8mPa.s 내지 약 10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선택적으로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mPa.s 내지 약 20mPa.s, 또는 약 11mPa.s 내지 약 18mPa.s, 또는 약 11mPa.s 내지 약 15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mPa.s 내지 약 10mPa.s 범위, 선택적으로 약 5mPa.s 내지 약 10mPa.s 범위, 선택적으로 약 6mPa.s 내지 약 10mPa.s 범위, 선택적으로 약 7mPa.s 내지 약 10mPa.s 범위, 선택적으로 약 8mPa.s 내지 약 10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사이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범위,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 범위이다. 임의의 유형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범위, 또는 80% 내지 약 95% 범위,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가질 수 있다. 가수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테스트 방법은 표준 방법 JIS K6726에 따른다.
제2 수용성 필름은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20 N/mm2 미만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MOD 값(예를 들어, 20 N/mm2 이상)은 이들이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생산 동안 또는 최종 소비자 패킹 시 서로 위에 적재될 때 변형되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더 낮은 필름에 해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0% 연신율에서의 MOD 값은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필름이 느슨해지고 처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을 유지하는 필름의 능력에 해당한다. 특히, 더 높은 MOD 값을 갖는 필름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덜 연화되고 느슨하고 처진 외관을 취하는 파우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은 유리하게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더 낮은 100%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첩된 파우치 구성에서 중간 필름으로 사용될 때, 상대적으로 더 낮은 MOD 값 및 그에 따른 필름의 처짐 경향은 파우치의 구성에 의해 상쇄되며, 제2 필름은 본질적으로 전적으로 파우치 제품 내에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약 20N/mm2 미만, 또는 약 19N/mm2 미만, 또는 약 18N/mm2 미만, 또는 약 17N/mm2 미만, 또는 약 16N/mm2 미만, 또는 약 15N/mm2 미만, 또는 약 14N/mm2 미만,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약 9N/mm2, 또는 적어도 약 10N/mm2, 또는 적어도 약 11N/mm2, 적어도 약 12N/mm2, 또는 적어도 약 13N/mm2, 예를 들어 약 10N/mm2 내지 약 16N/mm2, 또는 약 11N/mm2 내지 약 15N/mm2, 또는 약 12N/mm2 내지 약 14N/mm2 범위의 MOD 값을 가질 수 있다. 관련 양태에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수용성 필름의 100% 모듈러스 값과 다른 적어도 약 1N/mm2, 또는 적어도 약 2N/mm2, 또는 적어도 약 3N/mm2, 또는 적어도 약 4N/mm2, 또는 적어도 약 5N/mm2, 또는 적어도 약 6N/mm2, 또는 적어도 약 7N/mm2, 또는 적어도 약 10N/mm2, 또는 적어도 약 20N/mm2, 또는 적어도 약 25N/mm2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100% 모듈러스 값과 다른 적어도 약 1N/mm2, 또는 적어도 약 2N/mm2, 또는 적어도 약 3N/mm2, 또는 적어도 약 4N/mm2, 또는 적어도 약 5N/mm2, 또는 적어도 약 6N/mm2, 또는 적어도 약 7N/mm2, 또는 적어도 약 10N/mm2, 또는 적어도 약 20N/mm2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의 둘 모두의 100% 모듈러스 값과 다른 적어도 약 1N/mm2, 또는 적어도 약 2N/mm2, 또는 적어도 약 3N/mm2, 또는 적어도 약 4N/mm2, 또는 적어도 약 5N/mm2, 또는 적어도 약 6N/mm2, 또는 적어도 약 7N/mm2, 또는 적어도 약 10N/mm2, 또는 적어도 약 20N/mm2인 100%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3.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쌍성 이온성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3차 아세틸렌 글리콜 및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물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 4차 암모늄 염 및 4차화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산화 아민, N-알킬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쌍성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아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산 에스테르, 소듐 알킬 황산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아세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아세틸화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적어도 약 4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의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용성 필름은 윤활제/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이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산 및 이의 염, 지방 알코올,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아민,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 및 지방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이형제는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에서 윤활제/이형제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약 0.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 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변성 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실리카,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및 운모를 포함한다. 전분, 변성 전분,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이 특히 고려된다. 제2 수용성 필름에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분이 없는 경우,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4 중량%, 또는 약 6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프린트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영역은 표준 기술,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성 필름은 혐오제, 예를 들어 고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고미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린진, 수크로스 옥타아세테이트, 퀴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수준의 혐오제가 제2 수용성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수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1ppm 내지 약 5000ppm, 또는 약 100ppm 내지 약 2500ppm, 또는 약 250ppm 내지 약 2000ppm을 포함한다.
제2 수용성 필름 및 그의 각각의 개별 성분은 독립적으로 0ppm 내지 약 20ppm, 또는 0ppm 내지 약 15ppm, 또는 0ppm 내지 약 10ppm, 또는 0ppm 내지 약 5ppm, 또는 0ppm 내지 약 1ppm, 또는 0ppb 내지 약 100ppb, 또는 0ppb 디옥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수용성 필름 및 그 성분 내에서 디옥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기술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제3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수용성 필름은 물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최대 공극 크기가 20 미크론인 유리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의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료의 주조, 취입 성형(blow-moulding), 압출 또는 취입 압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주조 수용성 필름일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90/10 내지 10/90, 또는 80/20 내지 20/80, 또는 70/30 내지 50/50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약 1 mol.% 내지 약 10 mol.%, 또는 약 2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존재한다.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설폰화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예를 들어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말레에이트가 특히 고려된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들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이다.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일반 부류는 모노카르복실산 비닐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비닐 설폰산 모노머 및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금속 염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예로는 비닐 아세트산,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모노알킬 푸마레이트, 디알킬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이타콘산 무수물, 비닐 설폰산, 알릴 설폰산, 에틸렌 설폰산,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 전술한 것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기타 알칼리 금속 염), 전술한 것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틸, 에틸 또는 기타 C1-C4 또는 C6 알킬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여러 유형의 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동일한 음이온성 모노머의 동등한 형태)를 포함하는 비닐 음이온성 모노머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아미도 메틸프로판설폰산(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이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 또는 약 5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60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범위, 80% 내지 약 98% 범위,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범위, 또는 약 85% 내지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범위, 또는 80% 내지 약 98% 범위,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 또는 약 87% 내지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선택적으로 약 90/10 내지 약 10/90 범위,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범위,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약 20 N/mm2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MOD 값은 이들이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생산 동안 또는 최종 소비자 패킹 시 서로 위에 적재될 때 변형되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더 낮은 파우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 연신율에서의 MOD 값은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필름이 느슨해지고 처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을 유지하는 필름의 능력에 해당한다. 특히, 더 높은 MOD 값을 갖는 필름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덜 연화되고 느슨하고 처진 외관을 취하는 파우치에 해당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최소 약 20, 21, 22, 23, 24, 25 또는 27 N/mm2 및/또는 최대 약 24, 25, 27, 28, 29 또는 30 N/mm2(예를 들어, 약 20N/mm2 내지 약 30N/mm2, 또는 약 20N/mm2 내지 약 28N/mm2, 또는 약 22N/mm2 내지 약 25N/mm2)의 MOD 값을 갖는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3.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쌍성 이온성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3차 아세틸렌 글리콜 및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물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 4차 암모늄 염 및 4차화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산화 아민, N-알킬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쌍성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아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산 에스테르, 소듐 알킬 황산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아세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아세틸화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Karl Fischer titration)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제3 수용성 필름의 적어도 4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의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윤활제/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이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산 및 이의 염, 지방 알코올,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아민,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 및 지방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이형제는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윤활제/이형제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에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 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변성 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실리카,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및 운모를 포함한다. 전분, 변성 전분,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이 특히 고려된다.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분이 없는 경우,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4 중량%, 또는 약 6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프린트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영역은 표준 기술,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혐오제, 예를 들어 고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고미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린진, 수크로스 옥타아세테이트, 퀴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수준의 혐오제가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수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1ppm 내지 약 5000ppm, 또는 약 100ppm 내지 약 2500ppm, 또는 약 250ppm 내지 약 2000ppm을 포함한다.
제3 수용성 필름 및 그의 각각의 개별 성분은 독립적으로 0ppm 내지 약 20ppm, 또는 0ppm 내지 약 15ppm, 또는 0ppm 내지 약 10ppm, 또는 0ppm 내지 약 5ppm, 또는 0ppm 내지 약 1ppm, 또는 0ppb 내지 약 100ppb, 또는 0ppb 디옥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수용성 필름 및 그 성분 내에서 디옥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기술을 알고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제3 수용성 필름의 서브타입이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제3 수용성 필름은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1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모든 수용성 필름, 뿐만 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각각의 조성물 및 본원에 설명된 각각의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제3 수용성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최대 공극 크기가 20 미크론인 유리 필터를 사용한 후 본원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5%의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5g ± 0.1g의 필름 재료를 미리 계량한 3L 비이커에 추가하고 2L ± 5ml의 증류수를 추가한다. 이는 30분 동안 30℃에서 600rpm으로 설정된, 자기 교반기(Labline 모델 번호 1250 또는 이와 동등물) 및 5cm 자기 교반기에서 강하게 교반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은 위에서 정의된 기공 크기(최대 20 미크론)를 갖는 폴딩된 정성적 소결 유리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다.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집된 여과액으로부터 물이 건조되고, 나머지 재료의 중량이 결정된다(이는 용해 또는 분산 분획됨). 그런 다음, 백분율 용해도 또는 분산성이 계산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머 재료의 주조, 취입 성형(blow-moulding), 압출 또는 취입 압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주조 수용성 필름일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 또는 약 5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60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들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이다.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 약 3mol.% 내지 약 6mol.% 범위,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범위,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범위,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호모폴리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단일 모노머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특정 경우에 대해, "호모폴리머"라는 용어는 가수분해도에 따라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의 분포를 갖는 코폴리머(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더 포함한다. 100% 가수분해의 경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단위만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랜덤 코폴리머로서든, 블록 코폴리머 등으로서든, 둘 이상의 상이한 모노머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 폴리머 사슬)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 폴리머의 특정 경우에 대해, "코폴리머"(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가수분해도에 따라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의 분포를 갖는 코폴리머,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형의 모노머 반복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노머 단위, 예를 들어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3중(ter)-(또는 그 이상의) 폴리머 사슬)를 포함할 수 있다. 100% 가수분해의 경우,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단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노머 단위를 갖지만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는 갖지 않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음이온성 코폴리머"라는 용어는 음이온부(anionic moiety)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갖는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일반 부류는 모노카르복실산 비닐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실 모노머,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비닐 설폰산 모노머 및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알칼리 금속 염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의 예로는 비닐 아세트산,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모노알킬 푸마레이트, 디알킬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이타콘산 무수물, 비닐 설폰산, 알릴 설폰산, 에틸렌 설폰산,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 전술한 것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기타 알칼리 금속 염), 전술한 것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틸, 에틸 또는 기타 C1-C4 또는 C6 알킬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여러 유형의 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동일한 음이온성 모노머의 동등한 형태)를 포함하는 비닐 음이온성 모노머에 대응하는 비닐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아미도 메틸프로판설폰산(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2-메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이의 알칼리 금속 염(예를 들어,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a. 20℃에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 내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g. 20℃에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탈이온수에서); 또는
h.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i.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수지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선택적으로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세탁 및 자동 식기세척 조성물, 또는 일반적으로 패브릭 및 홈케어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적어도 65 중량%를 가질 수 있으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으로부터 유도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양은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또는 6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 또는 65 중량% 초과 내지 약 95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65 중량% 초과 내지 약 85 중량%, 또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약 20 N/mm2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MOD 값은 이들이 더 큰 강성을 가지며 생산 동안 또는 최종 소비자 패킹 시 서로 위에 적재될 때 변형되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더 낮은 파우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 연신율에서의 MOD 값은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필름이 느슨해지고 처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을 유지하는 필름의 능력에 해당한다. 특히, 더 높은 MOD 값을 갖는 필름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하는 액체 파우치 내용물과 접촉할 때 덜 연화되고 느슨하고 처진 외관을 취하는 파우치에 해당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최소 약 20, 21, 22, 23, 24, 25 또는 27 N/mm2 및/또는 최대 약 24, 25, 27, 28, 29 또는 30 N/mm2(예를 들어, 약 20N/mm2 내지 약 30N/mm2, 또는 약 20N/mm2 내지 약 28N/mm2, 또는 약 22N/mm2 내지 약 25N/mm2)의 MOD 값을 갖는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3.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쌍성 이온성 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3차 아세틸렌 글리콜 및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물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 4차 암모늄 염 및 4차화 폴리옥시에틸렌화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산화 아민, N-알킬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쌍성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 아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락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산 에스테르, 소듐 알킬 황산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아세틸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아세틸화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은 제3 수용성 필름의 적어도 4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범위,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의 가소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윤활제/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이형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산 및 이의 염, 지방 알코올, 지방 에스테르, 지방 아민,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 및 지방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이형제는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지방 아민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윤활제/이형제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 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변성 전분,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실리카,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활석 및 운모를 포함한다. 전분, 변성 전분,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이 특히 고려된다.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의 양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분이 없는 경우, 적합한 충전제, 증량제, 블로킹 방지제, 점착제거제 또는 이들의 혼합은 선택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4 중량%, 또는 약 6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프린트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영역은 표준 기술,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3 수용성 필름은 혐오제, 예를 들어 고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고미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린진, 수크로스 옥타아세테이트, 퀴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수준의 혐오제가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수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1ppm 내지 약 5000ppm, 또는 약 100ppm 내지 약 2500ppm, 또는 약 250ppm 내지 약 2000ppm을 포함한다.
제3 수용성 필름 및 그의 각각의 개별 성분은 독립적으로 0ppm 내지 약 20ppm, 또는 0ppm 내지 약 15ppm, 또는 0ppm 내지 약 10ppm, 또는 0ppm 내지 약 5ppm, 또는 0ppm 내지 약 1ppm, 또는 0ppb 내지 약 100ppb, 또는 0ppb 디옥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수용성 필름 및 그 성분 내에서 디옥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기술을 알고 있을 것이다.
필름 제조 방법
본 개시 필름의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수용성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용매 주조, 취입 성형, 압출 및 취입 압출을 포함한다. 용매 주조를 위한 공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필름 형성 공정에서, 수지 및 2차 첨가제는 용매, 일반적으로 물에 용해되고, 표면에 계량되고, 실질적으로 건조(또는 강제 건조)되어 주조 필름을 형성한 다음, 생성된 주조 필름이 주조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공정은 배치식(batchwise)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연속 공정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연속 필름의 형성 시, 이동되는 주조 표면,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금속 드럼 또는 벨트에서 수지와 이차 성분의 용액을 계량하여, 용매가 액체에서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자립형 주조 필름이 형성된 다음 주조 표면으로부터 생성된 주조 필름을 벗겨내는 것이 통상적인 관행이다. 용액은 선택적으로 캐리어 필름, 이형 라이너 또는 탈착식 배킹 상에 계량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용매 제거 후, 생성된 주조 필름 또는 코팅이 캐리어 필름, 이형 라이너 또는 탈착식 배킹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즉시 건조 시 또는 이후 시점, 예를 들어 사용 전에) 또는 캐리어 필름, 이형 라이너 또는 탈착식 배킹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캐리어 필름, 이형 라이너 또는 탈착식 배킹에 준비된 필름 또는 코팅은 자립형 또는 비자립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추가 수지 및/또는 필름 주조를 위한 2차 성분의 계량 용액에서 물의 양은 용액이 주조 온도로 가열될 때 용액이 점도 변곡점 아래에서 가장 높은 고체 수준을 갖도록 선택된다. 점도 변곡점에서 고체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계량된 용액의 수분 함량은 전형적인 주조 용액에서 주조하기에 적합한 용액을 제공하도록 60 내지 85% 사이의 물 또는 60 내지 75% 사이의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주조 용액의 점도는 예를 들어 185°F(85℃)에서 적어도 약 20,000cps, 185°F(85℃)에서 적어도 30,000cps, 예를 들어 185°F(85℃)에서 약 40,000cps 내지 약 50,000cps일 수 있다.
용액은 건조 동안 필름이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105℃범위의 온도를 갖도록 임의의 적합한 온도에서 주조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주조 용액 및 필름 온도가 약 50℃ 미만으로 감소함에 따라, 필름을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이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하고, 주조 용액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건조 챔버의 길이가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용액 및 필름 온도가 약 105℃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용매가 필름에서 빠르게 증발하여, 완성된 필름의 구명(hole) 또는 물집(blister)과 같은 필름 표면의 결함을 초래하고/하거나 인접한 PVOH 백본 체인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촉진하여 용해도가 감소된 필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연속 또는 반연속 주조 공정에서, 이동되는 주조 표면은 약 5m/분 내지 약 50m/분 범위의 라인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라인 속도는 최종 필름의 특성,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두께, 잔류 수분 함량 및 필름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인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생성된 필름의 두께는 증가할 것이고, 라인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필름의 두께는 용액의 전달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감소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인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조기에서 필름의 체류 시간이 감소함으로써, 건조 온도를 높여야 하므로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건조 결함이나 점착이 발생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라인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건조기에서 필름의 체류 시간이 증가한다.
본원의 개시에 따른 제1, 제2, 제3 또는 추가 필름 중 어느 하나는 용매 주조에 의해, 예를 들어 용매 밴드 주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연속 밴드(예를 들어, 금속 밴드)가 드럼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도록 인장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회전 드럼을 갖는 밴드 주조 기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선택적인 2차 첨가제를 갖는, 폴리머 용액을 혼합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시팅 다이(sheeting die)는 탱크의 폴리머 용액을 금속 밴드에 도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팅 다이의 금속 밴드 다운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건조 챔버는 이가 금속 밴드 상의 박막 시트에서 이동됨에 따라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추가로, 이형 코팅은 필름 및/또는 공정에 하나 이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 코팅은 생성된 폴리머 필름의 기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거나, 이형 코팅은 주조 표면으로부터 생성된 필름의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 코팅 및 밴드 일부의 공급과 연통하는 롤 코터 이형 코팅 도포기 및 밴드의 일부와 연통하는 롤 코터 이형 코팅 도포기는 밴드에 폴리머 용액의 도포 전에 유체 이형 코팅을 주조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 밴드 주조 시스템 및 관련 재료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6/0081176 A1호에 추가로 설명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일반적으로, 주조 표면은 당업자에게 폴리머 필름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재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재는 주조 롤러 또는 드럼, 주조 벨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기재는 폴리머 수지 또는 폴리머 수지 용액으로부터 폴리머 필름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기재는 기재 표면을 포함하며, 기재 표면은 이형 코팅으로 코팅된다. 폴리머 수지 용액은 기재가 이동된는 동안, 예를 들어, 회전되는 동안 기재 상에 주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재는 주조 드럼이다. 실시예들에서, 기재는 주조 벨트이다. 기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스테인리스스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기재는 선택적으로 도금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예를 들어 크롬 도금, 니켈 도금, 아연 도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형 코팅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선택적인 캐리어,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코팅은 예를 들어 플루오로계면활성제, 비플루오르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플루오르화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음이온성 또는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은 비-플루오르화될 수 있고 C6-C30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C6-C30 포스페이트 디에스테르, C6-C30 카르복실레이트, C6-C30 디카르복실레이트, C6-C30 황산염, C6-C30 디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비플루오르화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비플루오르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비플루오르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6-C30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또는 C8-C16 인산 에스테르, C6-C60 인산 디에스테르, C16-C32 포스페이트 디에스테르, C6-C30 카르복실레이트, C6-C30 디카르복실레이트, C6-C30 황산염, C6-C30 디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비플루오르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6-C30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또는 C6-C18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C6-C60 포스페이트 디에스테르, C18-C32 포스페이트 디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6-계 암모늄 플루오로지방족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POE-12; 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POE-3; 라우레스-11 카르복실산; 크립토-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라우레스-6 카르복실산; 또는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POE-4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비플루오르화"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총 분자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미만의 플루오르, 또는 화합물의 총 분자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미만의 플루오르, 또는 화합물의 총 분자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미만의 플루오르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플루오로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 함유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플루오로계면활성제는 ZONYL FSP 계면활성제(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코팅에서 약 0.05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계면활성제 범위가 고려된다. 적절한 웨팅(wetting)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밴드에 코팅되는 필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제품은 이형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더 높은 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단단한 표면 확산 웨팅은 계면활성제 용액이 임계 미셀 농도(CMC)에 도달할 때까지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을수록 더 효율적일 것이다. 이 농도는 추가 계면활성제가 웨팅 확산에서 더 이상 효율성을 생성하지 않는 임계값을 나타낸다. 그러나, CMC 이상으로 농도를 증가시키면 폴리머 용액에 의한 웨팅이 개선되고 일부 필름 제제의 이형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후속하여 표면 코팅된 기재 상에 폴리머 수지 또는 폴리머 수지 용액을 주조하기 전에 건조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 표면 상의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기재 표면에 도포될 때 약 1 내지 약 5의 pH를 가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비플루오르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플루오르화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 표면 상의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기재의 표면에 도포될 때 약 1 내지 약 8의 pH 또는 약 1 내지 약 5의 p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 도포될 때, 약 1, 약 1.5, 약 2, 약 2.5, 약 3, 약 3.5, 약 4, 약 5, 약 6, 약 7, 또는 약 8의 pH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기재의 표면에 도포될 때 약 1 내지 약 7, 또는 약 1 내지 약 6, 또는 약 1 내지 약 4, 또는 약 1 내지 약 3, 또는 약 2 내지 약 7, 또는 약 2 내지 약 6, 또는 약 2 내지 약 5, 또는 약 2 내지 약 4, 또는 약 2 내지 약 3, 또는 약 3 내지 약 7, 또는 약 3 내지 약 5, 또는 약 1.5 내지 약 3.5, 또는 약 4 내지 약 7의 pH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형 코팅은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중량% 내지 약 10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약 0.001중량% 내지 약 2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3 중량%, 또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또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중량% 내지 약 4.0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키기 전에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중량% 내지 약 2.0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킨 후,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중량% 내지 약 10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킨 후, 이형 코팅은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약 4.7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 상에서 이형 코팅을 건조시킨 후,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7중량% 내지 약 100중량% 범위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 코팅은 이형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ZONYL 계면활성제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이형 코팅은 약 1 내지 약 30 범위의 친수성-친유성 밸런스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약 1 내지 약 20, 또는 약 1 내지 약 18, 또는 약 1 내지 약 17, 또는 약 1 내지 약 16, 또는 약 1 내지 약 15, 또는 약 2 내지 약 17, 또는 약 3 내지 약 17,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약 5 내지 약 12, 또는 약 8 내지 약 12 범위의 친수성-친유성 밸런스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약 1 내지 약 20 범위의 친수성-친유성 밸런스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약 3 내지 약 17 범위의 친수성-친유성 밸런스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서 약 0.1 nm 내지 약 100 n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서 약 0.1 nm 내지 약 80 nm, 또는 약 0.1 nm 내지 약 60 nm, 또는 약 0.1 nm 내지 약 40 nm, 또는 약 0.1 nm 내지 약 40 nm, 또는 약 0.1 nm 내지 약 20 nm, 또는 약 0.1 nm 내지 약 10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10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5 n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서 약 0.1 nm 내지 약 40 n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들에서, 이형 코팅은 기재의 표면에서 약 0.1 nm 내지 약 10 nm의 두께를 갖는다.
파우치 또는 패킷과 같은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 양태에서, 방법은 선택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예를 들어 몰드에서 필름을 열성형)하여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예를 들어, 세제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수용성 필름으로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및 제2 수용성 필름을 제1 수용성 필름에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 및 패킷과 같은 단위 투여 물품은 임의의 적합한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구획 파우치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직 형태 충전, 수평 형태 충전 또는 회전식 드럼 충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연속적이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따러서, 몰드는 필름에 대해 임의의 원하는 배향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편리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몰드는 변형된 필름으로 내용물의 중력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름 아래에 있다. 필름이 적셔지고/지거나 가열되어 그의 가단성(malleability)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용성 필름은 열판, 적외선 램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변형에 앞서 예열될 수 있으며, 특히 적외선 램프의 사용이 고려된다. 방법은 또한 진공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필름을 적절한 몰드로 인발하는 것이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을 몰브로 인발하기 위한 진공은 예를 들어 필름이 몰드 표면상에 있으면, 임의의 적절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0.2 내지 약 5초, 또는 약 0.3 내지 약 3초, 또는 약 0.5 내지 약 1.5초 동안 적용될 수 있다. 이 진공은 예를 들어 10 mbar 내지 1000 mbar 범위, 또는 100 mbar 내지 600 mbar 범위의 언더-압력(under-pressure)을 제공하도록 될 수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은 자동화된 제조 공정 장비 및 단계,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일련의 컨베이어 벨트, 드럼, 일련의 드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은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순서 또는 단계가 수동으로 수행되는 수동 제조 단계를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정은 수동 및 자동 단계 들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완전히 자동화된 공정도 고려된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 또는 공정의 일부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 또는 공정의 일부는 중간 또는 배치(batch) 공정일 수 있다. 연속적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고려된다.
물품이 제조될 수 있는 몰드는 파우치의 필요한 치수에 따라 모양, 길이, 너비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몰드는 원하는 경우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단위 투여 물품의 부피는 약 5ml 내지 약 300ml, 또는 약 10ml 내지 150ml, 또는 약 20ml 내지 약 100ml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몰드 크기가 조정된다.
열성형
필름의 변형은 예를 들어 열성형, 예를 들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기 위해 몰드의 제1 수용성 필름의 열성형을 포함할 수 있다. 열성형 필름은 열과 힘을 가하여 성형될 수 있는 필름이다. 필름의 열성형은 필름을 가열하고, 이를 (예를 들어 몰드에서) 성형한 다음, 필름을 냉각시키는 공정이며, 그 결과 필름은 그 모양(예를 들어 몰드의 형상)을 유지할 것이다. 열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은 표면에 공급하기 전에 또는 표면에 한 번 공급하기 전에 가열 요소 아래 또는 뜨거운 공기를 통해 필름을 통과시켜 직접 가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표면을 가열하거나 필름 위에 뜨거운 아이템을 도포하여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적외선을 사용하여 필름이 가열될 수 있다. 필름은 약 50℃ 내지 약 150℃, 약 50℃ 내지 약 120℃, 약 60℃ 내지 약 130℃, 약 70℃ 내지 약 120℃, 또는 약 60℃ 내지 약 90℃ 범위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열성형은 다음 단계 및 공정, 즉 몰드 위에 열 연화 필름의 수동 드레이핑, 또는 몰드에 대한 연화 필름의 압력 유도 성형(예를 들어, 진공 성형), 또는 정확하게 알려진 온도를 가진 새로 압출된 시트의 성형 및 트리밍 스테이션으로의 자동 고속 인덱싱, 또는 필름의 자동 배치, 플러그 및/또는 공압 스트레칭 및 가압 성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필름은 예를 들어 본원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에 공급하기 전에 또는 표면에 한 번 공급하기 전에, 또는 표면을 간접적으로 웨팅시키거나 필름 표면 상에 웨팅된 품목을 도포함으로써,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웨팅제(물, 필름 조성물 용액, 필름 조성물용 가소제 또는 상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함)를 필름 상에 직접 분무함으로써 웨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은 웨팅된 흡수 부재가 필름 표면에 도포되는 접촉 전달 방법에 의해 웨팅될 수 있다.
필름이 가열 및/또는 웨팅되면, 선택적으로 진공을 사용하여 적절한 몰드으로 인발될 수 있다. 몰딩된 필름의 충전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방법의 선택은 제품 형태와 필요한 충전 속도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성형 필름은 인라인 충전 기술로 충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충전된 개방 패킷이 폐쇄되어,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2 필름을 사용하여 파우치를 형성한다. 이는 예를 들어 수평 위치에 있고 연속적이고 일정한 모션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패킷이 동시에, 예를 들어, 다수의 캐비티를 갖는 모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폐쇄는 충전된 개방 패킷 상에 및 위로 제2 수용성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한 다음, 일반적으로 몰드 캐비티 사이 및 따라서 패킷 사이의 영역에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함께 밀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밀봉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혼합을 통해, 예를 들어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 밀봉 용액은 선택적으로는 물의 용매 밀봉 용액의 적어도 95 중량%, 또는 심지어 적어도 98 중량%, 또는 심지어 적어도 99 중량%, 또는 심지어 100 중량%를 포함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용액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또는 실질적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아닐록스 롤러, 고무(예를 들어, EPDM)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닥터 블레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접촉 전달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밀봉 용액은 드로우다운 바, 메이어 바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용액은 흡수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펠트, 합성 펠트,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체, 스폰지, 초극세사, 면, 폴리에스테르, 압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 웹 등을 포함하는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패드 또는 롤러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펠트 롤을 통한 용매 밀봉 용액의 도포가 특히 고려된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밀봉 용액은 투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방법 및 장치의 조합이 고려된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접촉 전달 방법이 고려된다. 용매 밀봉 용액은 제1 수용성 필름 또는 제3 수용성 필름에 밀봉하기 위해,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용액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 즉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과 대면하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될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용매 밀봉 용액이 필름 1 제곱미터당 약 1g 내지 약 30g 범위, 또는 필름 1 제곱미터당 밀봉 용액의 약 5g 내지 약 20g 범위의 양의 수용성 필름 상에 도포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한 유형의 방법은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 밀봉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밀봉을 형성할 영역만 용매로 처리된다. 용매는 두 필름 중 하나에 도포될 수 있는데,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는 폐쇄 필름 상에 도포되고, 일반적으로는 밀봉을 형성할 영역에만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열이 또한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 밀봉 방법은 예를 들어 분무, 인쇄 또는 접촉 도포에 의해 몰드 캐비티 사이의 영역 또는 폐쇄 필름 상에 용매를 선택적으로 도포한 다음, 이들 영역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봉 롤 및 벨트(선택적으로는 열 제공)가 압력을 인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에 의해 제2 수용성 필름에 밀봉된다. 실시예들에서, 밀봉 용맥은 물을 포함하고, 1,2-에탄디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5-판탄디올(펜타메틸렌 글리콜), 1,6-헥산디올(헥사메틸렌 글리콜),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다양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올 및/또는 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밀봉 용액은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만니톨, 소르비톨, 갈락티톨, 푸시톨, 이디톨, 이노시톨, 볼레미톨, 이소말트, 말티톨, 락티톨을 포함한다.
밀봉 용액은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을 접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양으로 제1 수용성 필름의 계면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코팅 중량"이라는 용어는 필름 1 제곱미터당 용액의 그램 단위로 필름에 도포되는 밀봉 용액의 양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밀봉 용매의 코팅 중량이 너무 낮은 경우, 필름이 적절하게 접착되지 않고 이음매에서 파우치 파손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밀봉 용매의 코팅 중량이 너무 높은 경우, 계면 영역에서 용매가 이동하는 위험이 증가하여, 파우치 측면에 에칭 구멍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코팅 중량 창은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하고 에칭 구멍의 형성을 방지하면서 주어진 필름에 도포될 수 있는 코팅 중량의 범위를 지칭한다. 더 넓은 범위의 작업에서 견고한 밀봉을 제공하는 더 넓은 범위의 코팅 중량 창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코팅 중량 창은 적어도 약 3g/m2, 또는 적어도 약 4g/m2, 또는 적어도 약 5g/m2, 또는 적어도 약 6g/m2의 양을 포함한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절단
예를 들어, 파우치와 같은 단위 투여 물품은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절단은 임의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절단은 또한 연속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라인 속도로, 바람직하게는 수평 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절단 장치는 예를 들어 날카로운 아아템, 뜨거운 아이템 또는 레이저일 수 있으며, 이로써 후자의 경우 뜨거운 아이템 또는 레이저가 필름/밀봉 영역을 통해 '연소된다'. 절단은 하나 이상의 회전 나이프로 수행될 수 있다.
다중 구획 파우치 성형 및 충전
다중 구획 파우치의 상이한 구획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타일 또는 동심원 스타일로 함께 만들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결합된 파우치는 절단에 의해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구획은 별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구획을 형성하는 단계(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음); (b) 단계 (a)에서 형성된 폐쇄 구획의 일부 또는 전부 내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제1 구획 위에 겹쳐진 제2 몰딩된 구획을 생성하는 단계; (c) 제3 필름에 의해 제2 구획을 충전하고 폐쇄하는 단계; (d) 제1, 제2 및 제3 필름을 밀봉하는 단계; 및 (e) 필름을 절단하여 다중 구획 파우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단계 (b)에서 형성된 리세스는 단계 (a)에서 준비된 구획에 진공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2 및/또는 제3 구획(들)은 예를 들어, 그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08101442.5호 또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3/240388 A1호 또는 미국 특허 번호 제7,964,549 B2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별도의 단계에서 만들어진 다음 제1 구획과 결합될 수 있다.
단위 투여 물품은, (a)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수용성 필름을 몰드에서 변형시켜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 (b) 제1 수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b)로부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고,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1)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및 (2) 약 85중량% 내지 약100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고;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8mPa.s 내지 12mPa.s 미만 범위의 20℃의 이온화수에서 평균 4% 용액 점도를 갖는, 약 85중량% 내지 약100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폐쇄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용매 밀봉을 통해, 제1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파우치 생산 방법은, (a)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수용성 필름을 몰드에서 변형시켜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 수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개별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3 수용성 필름을 몰드에서 변형시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d) 조성물(예를 들어, 단계(b)의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함)로 제3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충전하는 단계; (e)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d)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 또는 캐비티들을 폐쇄하는 단계; (f) 선택적으로 용매 밀봉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 (g) 단계 (f)의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및 (h) 선택적으로 용매 밀봉을 통해, 단계 (g)의 폐쇄 중간체의 제2 수용성 필름에 제1 수용성 필름 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이 방법의 사용은 예를 들어 중첩되는 조성물의 구획(예를 들어, 다른 구획에 대해 중첩된 하나 이상의 구획)을 갖는 단위-투여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밀봉 단계 중 어느 하나는 용매 밀봉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밀봉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용매 밀봉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용성 각각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실시예들에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열성형 전에 동일할 수 있으며, 즉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이라는 용어는 표준 공정 내에서 규격 변화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의 밀봉은 예를 들어 접촉 웨팅 방법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봉 용액으로 웨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의 밀봉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접촉 웨팅 방법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봉 용액으로 웨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선택적으로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선택적으로 제1 구획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의 밀봉은 예를 들어 접촉 웨팅 방법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봉 용액으로 웨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투여 물품은, (a) 선택적으로 열 및/또는 진공을 사용하여 제1 성형 기계에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필름을 사용하여 제1 구획을 형성하는 단계; (b) 제1 구획을 제1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성형 기계에서, 선택적으로 열 및 진공을 사용하여,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3 필름을 변형시켜 제2 및 선택적으로는 제3 몰딩 구획을 제조하는 단계; (d) 제2 및 선택적으로는 제3 구획을 충전하는 단계; (e)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2 필름을 사용하여 제2 및 선택적으로는 제3 구획을 밀봉하는 단계; (f) 밀봉된 제2 및 선택적으로는 제3 구획을 제1 구획에 배치하는 단계; (g) 제1 필름을 제2 필름에 밀봉함으로써 제1, 제2 및 선택적으로 제3 구획을 밀봉하는 단계; 및 (h) 필름을 절단하여 다중 구획 파우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의 밀봉은 예를 들어 접촉 웨팅 방법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봉 용액으로 웨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의 밀봉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접촉 웨팅 방법을 통해, 제2 수용성 필름을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밀봉 용액으로 웨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성형 기계는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성형 기계는 예를 들어 수평 성형 기계 및/또는 회전식 드럼 성형 기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성형 기계는 수평 성형 기계일 수 있고, 제2 성형 기계는 예를 들어 제1 성형 기계 위에 위치된 회전식 드럼 성형 기계일 수 있다.
폐쇄 중간체는 예를 들어 회전 드럼 또는 수평 벨트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 드럼이 고려된다. 단계 (a) 및 (b)에서 충전된 개방 캐비티는 수평 벨트 또는 회전 드럼 상에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평 벨트가 고려된다. 회전 드럼이 사용되는 경우, 수용성 필름은 진공을 통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벨트가 사용되는 경우, 수용성 필름은 진공을 통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단위 투여 물품은 편평한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러한 공정은 단위 투여 물품의 수용성 웹을 생성하기 위해 변형되지 않은 필름에 의해 함께 결합된 복수의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변형되지 않은 필름은 단위 투여 물품 사이의 수용성 웹의 편평한 영역이다. 따라서, 편평한 영역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함께 밀봉된 둘 이상의 수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필름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변형되지 않은 채로 남겨두면서 필름 물품의 일부를 변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편평한 영역을 통해 연결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결과 웹은 절단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절단되어 개별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할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절단 스테이션은 기계 방향 및 교차 기계 방향으로 웹의 편평한 영역을 절단한다. 절단은 회전 칼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적절한 공급 스테이션의 사용에 의해, 다수의 상이하거나 독특한 조성물 및/또는 상이하거나 독특한 형태의 조성물, 예를 들어 고체(분말, 과립, 정재 또는 기타), 액체, 겔 또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중 구획 파우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필름 및/또는 파우치는 활성제, 윤활제, 혐오제 또는 이들의 혼합과 같은 적합한 물질로 분무되거나 분진될 수 있다. 필름 및/또는 파우치는 예를 들어 잉크 및/또는 활성제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수직 형태, 충전 및 밀봉
실시예들에서, 밀봉된 단위 투여 제품은 수직 형태, 충전 및 밀봉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VFFS(Vertical Form, Fill, and Seal) 공정은 기존의 자동화 공정이다. VFFS에는 수직으로 배향된 공급 튜브 주위에 단일 필름 조각을 감싸는 어셈블리 기계와 같은 장치가 포함된다. 기계는 필름의 반대쪽 가장자리를 열 밀봉하거나 아니면 고정하여 측면 밀봉을 만들고 중공 필름 튜브를 형성한다. 이후, 기계는 하단 밀봉을 열 밀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생성함으로써, 상단 밀봉이 나중에 형성될 개방 상단을 갖는 용기 부분을 정의한다. 기계는 개방 상단을 통해 지정된 양의 유동성 제품을 용기 부분으로 도입한다. 용기에 원하는 양의 제품이 포함되면, 기계는 예를 들어 상단 밀봉을 생성하기 위해 필름을 다른 열 밀봉 장치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기계는 충전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단 밀봉 바로 위에서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로 필름을 이동시킨다.
작동 동안, 어셈블리 기계는 롤에서 필름을 이동시켜 패키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필름은 기계를 통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기계 어셈블리에 달라붙지 않거나 가공 중에 부서질 정도로 부서지기 쉬워야 한다. 이러한 형성된 패키지는 다른 필름 및/또는 패키지와 결합되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FFS-생산 패키지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2 필름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3 필름으로부터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하나 이상의 추가 충전된 캐비티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VFFS-생산 패키지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2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필름 또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3 필름으로부터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하나 이상의 추가 충전된 캐비티와 결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제1, 제2 및 제3 필름을 형성하고 충전하는 조합의 다른 순열도 고려된다.
조성물
가정용 케어 조성물
실시예들에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세탁 세제 겔, 표백 조성물, 세탁 첨가제, 패브릭 강화제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탁 및 자동 식기세척 조성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비-세탁 및 비-자동 식기세척 조성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표백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비-세탁 및 비-자동 식기세척 조성물 또는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혼합인 기타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패브릭을 웨팅시키고 처리할 수 있는 액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세탁 세제 조성물을 지칭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체, 겔, 페이스트, 분산액 등을 포함한다. 액체 조성물은 적절하게 세분된 형태의 고체 또는 기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액체 조성물은 정제 또는 과립과 같이 전체적으로 유체가 아닌 형태를 제외한다.
액체 세제 조성물은 패브릭 손세탁 작업에 사용될 수 있거나 자동 기계 패브릭 세척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15중량% 내지 55중량%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20% 내지 55%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사이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는 C10-C16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C11-C14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벤젠 설포네이트는 아민 중화된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알칼리 금속 중화된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이다. 아민은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알칼리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1중량% 내지 40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40중량%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6중량% 내지 35중량% 사이의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콕실화 알킬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차 또는 2차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1차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킬 설페이트는 에톡실화 알킬 설페이트, 프로폭실화 알킬 설페이트, 혼합된 에톡실화/프로폭실화 알킬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킬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킬 설페이트는 0.1 내지 5 사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사이의 평균 에톡실화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킬 설페이트는 8 내지 18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사이의 평균 알킬 사슬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알킬 사슬은 선형, 분기형 또는 이들의 혼합이다. 바람직하게는, 분기형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기형 1차 알킬 설페이트, 분기형 2차 알킬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분기형 1차 알킬 설페이트이며, 분기는 바람직하게는 2-위치에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는 알킬 사슬 더 아래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알킬 사슬 위에 분산된 분기를 갖는 다중 분기일 수 있다.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 평균 분기도는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일 수 있다. 대안으로,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 평균 분기도는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은 천연 유도 물질, 합성 유도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유도 물질은 옥소 합성 물질, 지글러 합성 물질, 게르베 합성 물질, 피셔-트롭쉬 합성 물질, 이소-알킬 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옥소 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1중량% 내지 25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30중량%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6중량% 내지 20중량% 사이의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및 알콕시화 알킬 설페이트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대 알콕시화 알킬 설페이트의 중량비는 1:2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7:1,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1,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1이다.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2.5중량% 내지 30중량%의 비-비누 계면활성제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1 내지 13:1, 바람직하게는 1.25:1 내지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7.5:1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알코올을 포함하며, 알콕실화 알코올은 합성 알코올, 천연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유도된다. 알콕시화 알코올은 1차 알콕시화 알코올, 2차 알콕시화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1차 알콕시화 알코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코올은 에톡실화 알코올, 프로폭실화 알코올, 혼합 에톡실화/프로폭실화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코올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알콕실화 알코올은 또한 부톡시기와 같은 고차 알콕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된 알콕시기인 경우, 알콕시기는 랜덤으로 배열되거나 블록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블록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혼합 에톡시(EO)/프로폭시(PO)기는 EO/PO 블록, PO/EO 블록, EO/PO/EO 블록 또는 PO/EO/PO 블록으로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코올은 0.1 내지 20 사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사이, 가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사이의 평균 에톡실화도를 갖는다. 프로폭실화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평균 프로폭실화도는 0.1 내지 25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코올은 8 내지 18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사이의 평균 알킬 사슬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코올의 알킬 사슬은 선형, 분기형 또는 이들의 혼합이며, 분기형 알킬옥실화 알코올은 분기형 1차 알콕실화 알코올, 분기형 2차 알콕실화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분기형 1차 알콕실화 알코올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코올의 중량 평균 분기도는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다. 분기는 2-알킬 위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알킬 사슬의 더 아래에 있을 수 있거나, 알킬 사슬 위에 분산된 개별 분기로 다중 분기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유도 물질은 옥소 합성 물질, 지글러 합성 물질, 게르베 합성 물질, 피셔-트롭쉬 합성 물질, 이소-알킬 분기형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 바람직하게는 옥소 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0.2중량% 내지 20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5중량%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12중량% 사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알코올로 구성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알콕실화 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신체 오염물 세척 및 오염물 현탁의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비이온성의 중량비는 1:1 내지 20:1, 1.5:1 내지 17.5:1, 2:1 내지 15:1, 또는 2.5:1 내지 13:1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중화 지방산 비누,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민 중화 지방산 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민은 더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알칸올아민이다. 액체 세제 조성물은 1.5 중량% 내지 20 중량% 사이, 2 중량% 내지 15 중량% 사이, 3 중량% 내지 12 중량% 사이, 또는 4 중량% 내지 10 중량%의 지방산의 액체 세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1중량% 내지 20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15중량% 사이의 물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10중량% 내지 40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30중량% 사이의 비수성 용매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수성 용매는 1,2-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빌더, 향료, 효소, 구연산염, 표백제, 표백제 촉매, 염료, 색조 염료, 광택제, 알콕시화 폴리아민 및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세정 폴리머, 오염 방출 폴리머, 양이온성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양이온성 폴리글루칸을 포함한 패브릭 케어 폴리머, 계면활성제, 용매, 염료 전달 억제제, 킬레이트제, 캡슐화된 향료, 폴리카르복실레이트, 구조화제, pH 트리밍제, Ralox 35를 포함한 항산화제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탁 세제 조성물은 헤미셀룰라아제, 퍼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자일라나아제,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에스테라아제, 큐티나아제, 펙티나아제, 케라타나아제, 리덕타아제, 옥시다아제, 페놀옥시다아제, 리폭시게나아제, 리그니나아제, 풀루라나아제, 탄나아제, 펜토사나아제, 말라나아제, β-글루카나아제, 아라비노시다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콘드로이티나아제, 락카아제, 자일로글루카나아제, 만나나아제 및 아밀라아제, 뉴클레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가 효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리파아제, 자일로글루카나아제, 만나나아제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효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효소는 리파아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리파아제라는 용어는 지방(지질)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효소를 포함한다. 리파아제는 에스테라아제의 하위 부류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리파아제는 포스포리파제, 아실트랜스퍼라제 또는 과가수분해효소, 예를 들어 칸디다 안타르티카 리파아제 A에 대한 상동성을 갖는 아실트랜스퍼라제,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로부터의 아실트랜스퍼라제, CE 7 계열로부터의 과가수분해효소, 및 M. 스메그마티스 과가수분해효소의 변이체, 특히 Huntsman Textile Effects Pte Ltd의 시판 제품 Gentle Power Bleach에 사용되는 S54V 변이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리파아제 및 큐티나아제는 박테리아 또는 진균원의 것을 포함한다. 화학적으로 변형되거나 단백질 조작된 돌연변이 효소가 포함된다. 예들에는 Thermomyces의, 예를 들어 T. lanuginosus(이전에 Humicola lanuginosa로 명명됨)의 리파아제, Humicola의, 예를 들어 H. insolens의 큐티나아제, Pseudomonas 균주의, 예를 들어 P. alcaligenes 또는 P. pseudoalcaligenes, P. cepacia, P. sp. strain SD705, P. wisconsinensis의 리파아제(이들 중 일부는 현재 Burkholderia로 개명됨), GDSL 유형 Streptomyces 리파아제, Magnaporthe grisea의 큐티나아제, Pseudomonas mendocina의 큐티나아제, Thermobifida fusca의 리파아제,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리파아제, Bacillus subtilis의 리파아제, 그리고 Streptomyces griseus 및 S. pristinaespiralis의 리파아제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리파아제 효소는 효소 활성 단백질 조성물의 0.001중량% 내지 0.03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5중량% 내지 0.025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내지 0.02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효소는 효소 및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로 공급된다. 효소 그 자체는 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본원에서 효소 활성 단백질이란 관련 반응을 능동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효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6 내지 1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9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 사이의 pH를 가지며, 세탁 세제 조성물의 pH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10% 제품 농도로 측정된다.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뉴턴형 또는 비뉴턴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비뉴턴형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비뉴턴형 액체는 뉴턴형 액체의 특성과 다른 특성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뉴턴형 액체의 점도는 전단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뉴턴형 액체는 적용된 전단 속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점도를 갖는다. 비뉴턴형 액체에 대한 전단 적용 시 감소된 점도는 액체 세제 용해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에 설명된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배합된 성분 및 조성물의 목적과 같은 인자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자동 식기세척 세제 구성:
처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빌더, 설폰화/카르복실화 폴리머, 실리콘 거품 억제제, 실리케이트, 금속 및/또는 유리 보호제, 효소,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표백 촉매, 알칼리성 소스, 향료, 염료, 용매, 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자동 식기 세척 세제 조성물일 수 있다.
자동 식기세척 세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성분(예를 들어, 거품 억제제)와 조합하여 거품을 적게 발생시키는 것이다. 비이온성 알콕실화 계면활성제(특히 C6-C18 1차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톡실레이트), 에톡실화-프로폭실화 알코올(예를 들어, Olin Corporation의 POLY-TERGENT® SLF18), 에폭시-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예를 들어, Olin Corporation의 POLY-TERGENT® SLF18B), 에테르-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BASF- Wyandotte Corp., Wyandotte, Michigan에 의한 PLURONIC®, REVERSED PLURONIC®, and TETRONIC®와 같은 블록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머 화합물; C12-C20 알킬 아민 옥사이드(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아민 옥사이드는 라우릴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및 헥사데실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를 포함함)와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및 MIRANOLTM C2M과 같은 알킬 암포카르복실산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 및 술타인과 같은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여, 낮은 및 높은 클라우드 포인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0.2중량%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중량%의 수준의 세제 조성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빌더는 시트레이트,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및 폴리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및 트리폴리인산나트륨 6수화물, 트리폴리인산칼륨 및 혼합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및 칼륨 염을 포함하는 수용성 빌더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소에는 CAREZYME® 및 CELLUZYME®(Novo Nordisk A/S)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및 진균 셀룰라아제; 과산화효소; AMANO-P®(Amano Pharmaceutical Co.), M1 LIPASE® 및 LIPOMAX®(Gist-Brocades) 및 LIPOLASE® 및 LIPOLASE ULTRA®(Novo)를 포함하는 리파제; 큐티나아제; ESPERASE®, ALCALASE®, DURAZYM® 및 SAVINASE® (Novo) 및 MAXATASE®, MAXACAL®, PROPERASE® 및 MAXAPEM® (Gist-Brocades)을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PURAFECT® OX AM(Genencor) 및 TERMAMYL®, BAN®, FUNGAMYL®, DURAMYL® 및 NATALASE®(Novo)를 포함하는 □□ 및 □□ 아밀라아제; 펙티나아제; 및 이들의 혼합이 포함된다. 효소는 본원에서 프릴, 과립 또는 공동과립으로서 전형적으로 세정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2% 순수 효소 범위의 수준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거품 억제제는 낮은 클라우드 포인트(cloud point)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클라우드 포인트"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면활성제가 덜 용해되는 결과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잘 알려진 특성이며, 두 번째 상의 출현이 관찰될 수 있는 온도를 "클라우드 포인트"이라고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낮은 클라우드 포인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클라우드 포인트가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0℃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 미만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시스템 성분으로 정의된다. 낮은 클라우드 포인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 특히 1차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톡실레이트,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PO/EO/PO) 역 블록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낮은 클라우드 포인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에톡실화-프로폭실화 알코올(예를 들어, BASF POLY-TERGENT® SLF18) 및 에폭시-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예를 들어, BASF POLY-TERGENT® SLF18B 시리즈의 비이온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세제 조성물에 사용기에 적합한 기타 성분은 재침착 방지, 오염물 방출 또는 기타 세정 특성을 갖는 세정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하기 위한 재침착 방지 폴리머는 SOKALAN® PA30, PA20, PA15, PA10 및 SOKALAN® CP10(BASF GmbH), ACUSOL® 45N, 480N, 460N(Rohm and Haas)와 같은 아크릴산 함유 폴리머, SOKALAN® CP5와 같은 아크릴산/말레산 코폴리머, 및 아크릴/메타크릴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폴리머는 선택적으로 4차화될 수 있는,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예를 들어, PEI600 EO20 및/또는 에톡시황화 헥사메틸렌 디아민 디메틸 쿼트)과 같은 아민계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오염물 방출 폴리머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및 이들의 코폴리머, 및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의 테레프탈레이트 에스테르를 기반으로 하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중금속 격리제 및 결정 성장 억제제는 또한, 세제, 예를 들어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포네이트) 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에틸렌 디포스포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렌-1,1-디포스포네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N,N'-디숙시네이트를 염 및 유리산 형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원에 설명된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또한 부식 억제제, 예를 들어 유기 은 코팅제(특히 독일 잘츠베르겐에 소재하는 Wintershall에서 판매하는 WINOG® 70과 같은 파라핀), 질소 함유 부식 억제제 화합물(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 및 벤즈마다졸) 및 Mn(II) 화합물, 특히 유기 리간드의 Mn(II) 염이다.
본원의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성분은 효소 안정화제, 예를 들어 칼슘 이온, 붕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적합한 헹굼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식기세척용 상업용 헹굼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거품이 적은 지방 알코올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가용화제(예를 들어 큐멘 설포네이트), 유기산(예를 들어 시트르산) 및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의 혼합이다. 이러한 헹굼 보조제의 기능은 후속 건조 과정 후 물 방울, 줄무늬 또는 막이 남지 않도록 헹굼된 표면으로부터 얇고 응집력 있는 막 형태로 배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물의 계면 장력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
단위 투여 물품에 포함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선박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용 조성물, 및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세척 및 이러한 용도에 적용 가능한 세제 조성물 포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농약,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살곤충제, 살진균제, 제초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기피제, 유인제, 고엽제, 식물 성장 조절제, 비료, 살균제, 미량영양소 및 미량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농약 및 보조제는 미국 특허 번호 제6,204,223호 및 제4,681,228호 및 유럽 제0989803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제초제는 파라콰트 염(예를 들어 파라콰트 디클로라이드 또는 파라콰트 비스(메틸설페이트), 디쿼트 염(예를 들어 디콰트 디브로마이드 또는 디쿼트 알기네이트) 및 글리포세이트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예컨대 설포세이트로도 알려진, 글리포세이트 이소프로필암모늄, 글리포세이트 세스키소듐 또는 글리포세이트 트리메슘)를 포함한다. 호환되지 않는 작물 보호 화학물질 쌍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5,558,22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챔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호환되지 않는 작물 보호 화학물질 쌍에는 예를 들어, 벤술푸론 메틸 및 몰리네이트; 2,4-D 및 티펜술푸론 메틸; 2,4-D 및 메틸 2-[[[[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N-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2,4-D 및 메트술푸론 메틸; 마네브 또는 만코젭 및 베노밀; 글리포세이트 및 메트술푸론 메틸; 모노크로토포스 또는 디메토에이트와 같은 트라로메트린 및 임의의 유기인산염; 브로목시닐 및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에틸술포닐)-2-피리딘-술폰아미드; 브로목시닐 및 메틸 2-[[[[(4-메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 브로목시닐 및 메틸 2-[[[[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N-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술포닐]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관련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오염물과 함께 하나 이상의 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8,333,033호에 설명된 유형의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멀치, 모래, 이탄 이끼, 물 젤리 결정 및 비료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수처리제이다. 이러한 제제에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4/0110301호 및 미국 특허 번호 제8,728,593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공격적인 산화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살균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및 차아염소산리튬과 같은 차아염소산염;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디클로르" 또는 디클로로-s-트리아진트리온, 1,3-디클로로-1,3,5-트리아지난-2,4,6-트리온이라고도 함) 및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트리클로르" 또는 1,3,5-트리클로로-1,3,5-트리아지난-2,4,6-트리온이라고도 함)과 같은 염소화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화합물의 염 및 수화물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은 무엇보다도 나트륨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나트륨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산 이수화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브롬 함유 소독제는 또한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인(DBDMH),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DBNPA), 디브로모시아노 아세트산 아미드,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및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과 같은 단위 투여 패키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산화제는 미국 특허 번호 제7,476,325호에 설명된 것, 예를 들어 과산화일황산수소칼륨(potassium hydrogen peroxymonosulfate)일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8/018534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pH 조절 화학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이 물과 접촉할 때 발포성이고 물 pH를 조정하도록 산성 성분 및 알칼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성분은 중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술팜산, 유기 카르복실산, 술폰산 및 인산이수소칼륨을 포함한다. 버퍼 블렌드는 예를 들어 붕산, 탄산나트륨, 글리콜산 및 옥손 모노퍼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처리제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4/012445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응집제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응집제는 폴리머 응집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 디알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ADMAC),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MAEM), 3-메틸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MAPTAC) 또는 아크릴산의 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음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중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 옥시에틸렌;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인산; 폴리스티렌 술폰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응집제는 키토산 아세테이트, 키토산 락테이트, 키토산 아디페이트, 키토산 글루타메이트, 키토산 숙시네이트, 키토산 말레이트, 키토산 시트레이트, 키토산 푸마레이트, 키토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수처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인산염 제거 물질, 예를 들어 지르코늄 화합물, 희토류 란타나이드염, 알루미늄 화합물, 철 화합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06/017291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라임스케일 제거 조성물, 예를 들어, 구연산 또는 말레산 또는 이들의 황산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일 수 있다.
미립자, 예를 들어 솜깃털(예를 들어 제US RE29059 E호에 기술됨); 고흡수성 폴리머(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4/0144682호 및 제2006/0173430호에 기술됨); 안료 및 틴터(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3,580,39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1/0054111호에 기술됨); 브레이징 플럭스(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플루오로알루미네이트, 알칼리 금속 플루오로실리케이트 및 알칼리 금속 플루오로아연산염)(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8,163,104호에 기술됨); 섭취 가능한 식품 및 식품 품목(예를 들어, 커피 분말 또는 건조 수프)(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7/0003719호에 기술됨); 및 상처 드레싱(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4,466,431호에 기술됨)을 포함하여, 본원에 설명된 단위 투여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유형의 조성물이 고려된다.
활성제
다른 양태에서, 단위 투여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그 내부에 활성제, 예를 들어 개인용 케어 활성제, 미용 효과 활성제, 피부 관리 활성제, 모발 케어 활성제, 패브릭 케어 활성제, 식기세척 활성제, 경질 표면 활성제,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개인용 케어 활성제"는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한 영향 없이 포유류 케라틴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케라틴 조직"은 포유류의 최외측 보호 덮개로서 배치된 케라틴 함유 층을 의미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 모발, 두피 및 네일을 포함한다.
포유류의 케라틴 조직과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미용 효과"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세정, 피지 억제, 피부 및/또는 모발의 유성 및/또는 빛나는 외관 감소, 건조함, 가려움증 및/또는 박편 감소, 피부 모공 크기 감소, 각질 제거, 박리, 케라틴 조직의 외관 개선, 컨디셔닝, 매끄럽게 하기, 피부 탈취 및/또는 발한 억제 효과 제공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미용 효과 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미용 효과을 전달할 수 있는 활성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피부 관리 활성제"는 피부에 적용될 때 피부에 대한 이점 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피부 관리 활성제는 피부뿐만 아니라 모발, 두피, 네일 및 기타 포유류의 케라틴 조직에도 유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모발 케어 활성제"는 포유류의 모발에 적용될 때 모발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모발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의 비제한적 예에는 부드러움, 정전기 제어, 모발 복구, 비듬 제거, 비듬 저항성, 모발 착색, 형태 유지, 모발 유지 및 모발 성장이 포함됩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패브릭 케어 활성제"는 패브릭에 적용될 때 패브릭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패브릭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의 비제한적 예에는 세척(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에 의한), 얼룩 제거, 얼룩 감소, 주름 제거, 색상 복원, 정전기 제어, 주름 방지, 영구 압착, 마모 감소, 내마모성, 알약 제거, 알약 저항성, 오염물 제거, 오염물 저항성(오염물 방출 포함), 형태 유지, 수축 감소, 부드러움, 향료, 항균, 항바이러스, 냄새 저항 및 냄새 제거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식기세척 활성제"는 식기, 유리 제품, 냄비, 팬, 기구 및/또는 요리용 시트에 적용될 때 식기, 유리 제품, 냄비, 팬 및/또는 요리용 시트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식기, 유리 제품, 냄비, 팬, 주방 기구 및/또는 요리용 시트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식품 및/또는 오염물 제거, 세척(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에 의해), 얼룩 제거, 얼룩 감소, 기름때 제거, 물때 제거 및/또는 물때 방지, 광채 및 광택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경질 표면 활성제"는 바닥, 조리대, 싱크대, 창문, 거울, 샤워기, 욕조 및/또는 화장실에 적용될 때 바닥, 조리대, 싱크대, 창문, 거울, 샤워기, 욕조 및/또는 화장실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바닥, 조리대, 싱크대, 창문, 거울, 샤워기, 욕조 및/또는 화장실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식품 및/또는 오염물 제거, 기름때 제거, 물때 제거 및/또는 물때 방지, 광채 및 광택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농업 활성제"는 작물 및/또는 식물에 적용될 때 작물 및/또는 식물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살충제, 제초제, 비료, 가뭄 방지제는 단위 투여 물품에 함유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농업 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본원에 사용된 "섭취 가능한 활성제"는 동물, 예를 들어 인간과 같은 포유류가 입, 코, 눈, 귀, 피부 모공, 직장, 질, 또는 동물의 기타 구멍 또는 상처(예를 들어, 상처 드레싱에 의한 활성제 전달)을 통해 섭취 및/또는 소모하기에 적합한 활성제를 의미한다. 섭취 가능한 활성제의 비제한적 예에는 여성 위생 활성제, 베이비 케어 활성제, 구강 케어 활성제, 의약 활성제, 비타민, 식이 활성제(예를 들어 새로운 식품 형태로 전달됨), 애완동물 케어 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액체 처리 활성제"는 물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액체에 적용될 때 액체에 대한 이점 및/또는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염소 및/또는 기타 수영장 화학물질은 적합한 액체 처리 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예에서, 상업적 물 여과 및/또는 PUR®과 같은 수처리 기술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물 정화 및/또는 물 소독 활성제는 단위 투여 물품에 함유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액체 처리 활성제의 비제한적 예이다. 또한, 오일 분산제 및/또는 오일 제거제는 다른 적합한 액체 처리 활성제의 비제한적 예이다.
본원에 사용된 "산업용 활성제"는 제조 물품 내에서 이점을 제공하는 활성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객체 사이에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글루 및/또는 접착제, 하우징 단열재와 같은 단열재에 포함된 살충제, 식품 및/또는 부패하기 쉬운 상품의 패키징에 포함된 산소 제거 활성제, 곤충을 퇴치하기 위해 인간이 사용하는 물품에 포함된 방충제, 및 건조제에 포함된 수분 제거제는 단위 투여 물품에 함유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업용 활성제의 비제한적 예이다.
필름, 단위 투여 물품 및 방법의 다양한 양태들은 번호가 매겨진 단락을 사용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양태 A
A1. 수용성 필름으로서,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 중량% 미만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수용성 혼합물을 포함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적어도 8mPa.s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9mPa.s 내지 12mPa.s 미만, 또는 약 10mPa.s 내지 12mPa.s 미만의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수용액 점도를 갖거나,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는 적어도 8mPa.s 및 12mPa.s 미만, 또는 약 9mPa.s 내지 12mPa.s 미만, 또는 약 10mPa.s 내지 12mPa.s 미만의 20℃에서 탈이온수에서 가중 평균 4% 수용액 점도를 갖는다.
A2. A1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를 포함한다.
A3. A1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기준으로 약 90 중량% 내지 약 99중량%, 또는 약 90 중량% 내지 약 100 중량%, 또는 100 중량% 범위의 농도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성분,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약 0 중량% 내지 약 10 중량%,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0 중량% 범위의 농도로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성분을 포함한다.
A4.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는 적어도 8 mPa.s 내지 약 11.5 mPa.s, 또는 적어도 8.5mPa.s 내지 약 11.5 mPa.s, 또는 적어도 9mPa.s 내지 약 11.5 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11.5 mPa.s의 20℃에서 평균 4% 수용액 점도를 갖는다.
A5.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A6. A5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갖는다.
A7. A5 또는 A6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사이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mPa.s 내지 약 10mPa.s 범위, 또는 약 3mPa.s 내지 약 8mPa.s 범위이다.
A8. A5 내지 A7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각각은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A9. A5 내지 A8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은 약 35% RH에서 MOD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20N/mm2 미만, 선택적으로는 약 19N/mm2 미만, 또는 약 18N/mm2 미만, 또는 약 17N/mm2 미만, 또는 약 16N/mm2 미만, 또는 약 15N/mm2 미만, 또는 약 14N/mm2 미만,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약 9N/mm2, 또는 적어도 약 10N/mm2, 또는 적어도 약 11N/mm2, 적어도 약 12N/mm2, 또는 적어도 약 13N/mm2, 예를 들어 약 10N/mm2 내지 약 16N/mm2, 또는 약 11N/mm2 내지 약 15N/mm2, 또는 약 12N/mm2 내지 약 14N/mm2 범위의 100% 모듈러스 값을 특징으로 한다.
A10. A1 내지 A9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다.
A11. A10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으로부터 유도된다.
A12. A10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선택적으로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들의 염(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다.
A13. A1 내지 A12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존재한다.
A14.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60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수용성 필름에 존재한다.
A15. A1 내지 A14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3.5 중량%,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A16. A1 내지 A15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은 칼 피셔 적정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중량%,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A17. A1 내지 A16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및 혐오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한다.
A18. A17의 수용성 플름에 있어서,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총량으로 가소제를 포함한다.
A19. A17 또는 A18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가소제는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테르 폴리올,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만니톨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을 포함한다.
A20. A19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을 포함한다.
A21. A1 내지 A20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은 약 20 내지 약 150 미크론, 또는 약 35 내지 약 125 미크론, 또는 약 50 내지 약 110 미크론, 또는 약 76 미크론 범위의, 임의의 변형 전,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A22. A1 내지 A21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있어서, 필름은 용매 주조 필름이다.
A23.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A1 내지 A22 중 어느 하나의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A24. A23의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구획 및 구획에 수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양태 B
B1. 적어도 두 개의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ii.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8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9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10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c. 제3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PVOH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1 PVOH 폴리머;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되며; 단, 조성물이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경우, 조성물은 가정용 케어 조성물이 아니다.
B2. B1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약 100%, 선택적으로는 약 100%,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선택적으로는 약 0%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B3. B1 내지 B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B4. B3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이다.
B5. B3 내지 B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B6. B1 내지 B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c.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3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d. 특징 (a) 내지 (c)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한다.
B7. B1 내지 B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의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개별적으로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되며, 선택적으로는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개별적으로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PVOH 폴리머 각각에 존재한다.
B8. B1 내지 B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및 이의 염, 선택적으로는 이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한다.
B9. B1 내지 B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 내의 각각의 제1 PVOH 폴리머는 독립적으로,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 내의 각각의 제2 PVOH 폴리머는 독립적으로,
d.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e.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f.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B10. B1 내지 B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B11. B1 내지 B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다.
B12. B1 내지 B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 내지 약 3.5 %, 또는 약 0.5 % 내지 약 2 %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갖는다.
B13. B1 내지 B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약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B14. B1 내지 B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B15. B14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B16. B1 내지 B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며; 및/또는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한다.
B17. B1 내지 B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단위 투여 물품은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B18. B1 내지 B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패키지는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한다.
B19. B18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패키지는 각 구획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한다.
B20. B18 또는 B19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B21. B1 내지 B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몰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선택적으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몰드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을 개별적으로 변형시켜 선택적으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d. 단계 (c)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e.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d)로부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f. 제3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에 도포되며, 제1 면은 제3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
g. 단계 (f)의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h. 제2 수용성 필름에 제1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되며, 제2 면은 제1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22. B21에 따른 공정에 있어서, 단계(a)의 제1 수용성 필름 및 단계(c)의 제3 수용성 필름은 변형되기 전에 동일하다.
양태 C
C1. 적어도 제1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및
ii.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8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9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10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1 구획을 생성하며;
단, 물품이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할 때,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5%, 또는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또는 6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 또는 65 중량% 초과 내지 약 95 중량% 또는 65 중량% 초과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65 중량% 초과 내지 약 85 중량%, 또는 약 7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범위에 있을 수 있다.
C2. C1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100%, 선택적으로는 약 100%,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선택적으로는 약 0%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C3. C1 내지 C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90/10 내지 약 10/90, 또는 80/20 내지 약 20/80, 또는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C4. C3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이다.
C5. C3 내지 C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C6. C1 내지 C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c.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한다.
C7. C1 내지 C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되며,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PVOH 폴리머에 존재한다.
C8. C1 내지 C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한다.
C9. C1 내지 C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수지 내의 제1 PVOH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수용성 수지 내의 제2 PVOH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C10. C1 내지 C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C11. C1 내지 C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다.
C12. C1 내지 C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 내지 약 3.5 %, 또는 약 0.5 % 내지 약 2 %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갖는다.
C13. C1 내지 C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C14. C1 내지 C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C15. C14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16. C1 내지 C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한다.
C17. C1 내지 C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단위 투여 물품은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 선택적으로 적어도 제3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제1 구획 및 제2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1 구획, 제2 구획 및 제3 구획은 서로 나란히 위치되며, 선택적으로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3개, 또는 심지어 4개, 또는 심지어 5개의 나란히 있는 구획을 포함한다.
C18. C1 내지 C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한다.
C19. C1 내지 C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세탁 세제 겔, 표백 조성물, 세탁 첨가제, 패브릭 강화제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 예를 들어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20. C1 내지 C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며,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는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21. C1 내지 C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몰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선택적으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 수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수용성 필름으로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d. 제2 수용성 필름에 제1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되는,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22. C1 내지 C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제2 수용성 필름의 일부에 제1 수용성 필름의 일부를 밀봉하여 개방 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b.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수용성 필름의 추가 부분에 제1 수용성 필름의 추가 부분을 밀봉하여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고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단계(a)에서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의 일부를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되며,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단계(c)에서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의 추가 일부를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된다.
양태 D
D1. 적어도 제1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및
ii. 약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8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9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10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1 구획을 생성하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을 포함한다.
D2. D1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100%, 선택적으로는 약 100%,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선택적으로는 약 0%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D3. D1 내지 D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D4. D3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이다.
D5. D3 내지 D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D6. D1 내지 D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c.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한다.
D7. D1 내지 D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되며,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PVOH 폴리머에 존재한다.
D8. D1 내지 D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한다.
D9. D1 내지 D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제1 PVOH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수용성 필름 내의 제2 PVOH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D10. D1 내지 D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는,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D11. D1 내지 D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다.
D12. D1 내지 D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 내지 약 3.5 %, 또는 약 0.5 % 내지 약 2 %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갖는다.
D13. D1 내지 D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D14. D1 내지 D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D15. D14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16. D1 내지 D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한다.
D17. D1 내지 D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단위 투여 물품은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 선택적으로 적어도 제3 구획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제1 구획 및 제2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1 구획, 제2 구획 및 제3 구획은 서로 나란히 위치되며, 선택적으로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3개, 또는 심지어 4개, 또는 심지어 5개의 나란히 있는 구획을 포함한다.
D18. D1 내지 D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한다.
D19. D1 내지 D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세탁 세제 겔, 표백 조성물, 세탁 첨가제, 패브릭 강화제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 예를 들어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20. D1 내지 D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며,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는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21. D1 내지 D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몰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선택적으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 수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수용성 필름으로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d. 제2 수용성 필름에 제1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되는,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22. D1 내지 D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제2 수용성 필름의 일부에 제1 수용성 필름의 일부를 밀봉하여 개방 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b.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수용성 필름의 추가 부분에 제1 수용성 필름의 추가 부분을 밀봉하여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고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단계(a)에서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의 일부를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되며,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단계(c)에서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의 추가 일부를 함께 밀봉하기 전에 제2 수용성 필름에 도포된다.
양태 E
E1. 적어도 두 개의 구획 및 선택적으로는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및
ii. 약 8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8 mPa.s 및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9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10 mPa.s 내지 약 12 mPa.s 미만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c. 제3 수용성 필름으로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되며;
단, 물품이 구획 내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경우, 조성물은 세탁 조성물이 아니며 자동 식기 세척 조성물이 아니다.
E2. E1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100%, 선택적으로는 약 100%,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선택적으로는 약 0%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E3. E1 내지 E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E4. E3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이다.
E5. E3 내지 E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E6. E1 내지 E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c.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3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d.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한다.
E7. E1 내지 E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3 수용성 필름, 또는 둘 다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제3 수용성 필름, 또는 둘 다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E8. E7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약 1 mol.% 내지 약 10 mol.%, 또는 약 2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존재한다.
E9. E7 내지 E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설폰화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예를 들어,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카르복실화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예를 들어 말레에이트로부터 선택된다.
E10. E1 내지 E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고,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한다.
E11. E1 내지 E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 내지 약 3.5 %, 또는 약 0.5 % 내지 약 2 %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한다.
E12. E1 내지 E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E13. E1 내지 E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E14. E13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E5. E1 내지 E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며;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한다.
E16. E1 내지 E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단위 투여 물품은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예를 들어,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E17. E1 내지 E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표백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E18. E1 내지 E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에 있어서, 물품은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며,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는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E19. E1 내지 E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몰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몰드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을 개별적으로 변형시켜 열 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d. 단계 (c)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e.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c)로부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f.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에 앞서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에 도포되며, 제1 면은 제3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
g. 단계 (f)의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h.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에 앞서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되며, 제2 면은 제1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20. E19에 따른 공정에 있어서, 단계(a)의 제1 수용성 필름 및 단계(c)의 제3 수용성 필름은 변형되기 전에 동일하다.
양태 F
F1.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 수용성 필름을 몰드에서 변형시켜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
b. 제1 수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b)로부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로서,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고,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및
ii. 8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8mPa.s 내지 12mPa.s 미만, 또는 약 9mPa.s 내지 12mPa.s 미만, 또는 10mPa.s 내지 12mPa.s 미만 범위의 20 ℃의 이온화수에서 평균 4% 용액 점도를 갖는, 상기 폐쇄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용매 밀봉을 통해, 제1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2. F1의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고,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단계(c) 전에,
e. 개별적으로 제3 수용성 필름을 몰드에서 변형시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및 제2 PVOH 수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3 PVOH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
f. 단계 (e)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g.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f)로부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h. 선택적으로 용매 밀봉을 통해, 제3 수용성 필름에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 단계 (c)에 따라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는 단계 (h)의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을 포함하고;
j.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1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단계 (d)의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계(h)의 폐쇄 중간체의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3. F2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1 수용성 필름과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제2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배치된다.
F4. F1 내지 F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필름에 제1 필름의 밀봉, 또는 제2 필름에 제3 필름의 밀봉, 또는 제2 필름에 제1 필름의 밀봉과 제2 필름에 제3 필름의 밀봉 둘 모두는 용매 밀봉을 포함한다.
F5. F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밀봉 용액을 접촉 방법을 통해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6. F4 내지 F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흡수성 부재를 사용하여 밀봉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7. F4 내지 F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밀봉 용액을 연속 공정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8. F1 내지 F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F9. F8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PVOH 폴리머를 더 포함하며,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F10. F2 내지 F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다.
F11. F10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PVOH 폴리머를 더 포함하며,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다.
F12. F2 내지 F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단계(a)의 제1 수용성 필름 및 단계(e)의 제3 수용성 필름은 변형되기 전에 동일하다.
F13. F1 내지 F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약 100%, 또는 약 100% 범위의 양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한다.
F14. F1 내지 F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한다.
F15. F14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사이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약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 범위이다.
F16. E14 내지 E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다.
F17. F2 내지 F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a.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에 존재하거나,
b.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에 존재하거나,
c.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3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에 존재하거나,
d.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한다.
F18. F4 내지 F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의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개별적으로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되며, 선택적으로는 각각의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개별적으로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제1 PVOH 폴리머 각각에 존재한다.
F19. F1 내지 F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다이알칼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약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한다.
F20. F19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들의 염, 선택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로부터 유도된다.
F21. F4 내지 F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 내의 각각의 제1 PVOH 폴리머는 독립적으로,
a.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0mPa.s 내지 약 40mPa.s,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또는 약 14mPa.s 내지 약 20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 내의 각각의 제2 PVOH 폴리머는 독립적으로,
c.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3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7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0mPa.s 내지 약 30mPa.s 범위, 또는 약 12mPa.s 내지 약 25mPa.s 범위의 평균 점도, 또는
d.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또는 약 87%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e.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F22. F4 내지 F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은,
a. 약 10mPa.s 내지 12mPa.s 미만 범위의 20℃에서 평균 4% 용액 점도, 또는
b.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8%, 또는 약 83%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2%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 또는
c.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F23. F4 내지 F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제1 수용성 수지 및 제3 수용성 수지에서, 제1 PVOH 폴리머 및 제2 PVOH 폴리머의 상대 중량비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에 있다.
F24. F4 내지 F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5%, 또는 약 0.5% 내지 약 2%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갖는다.
F25. F4 내지 F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용성 필름, 제2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다.
F26. F1 내지 F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의 군에서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F27. F26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약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F28. F4 내지 F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2 수용성 필름과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고, 제2 구획 및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제2 구획, 제3 구획 및 제4 구획은 제1 구획 위에 위치된다.
F29. F1 내지 F2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은 세탁 또는 자동 식기세척 조성물이 아닌 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되, 단 제1 수용성 필름 및 제3 수용성 필름은,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로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ii. 제2 PVOH 폴리머로서, 제2 PVOH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이고,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PVOH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F30. F29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표백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31. F1 내지 F2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은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한다.
F32. F3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각 치수는 인용된 값과 해당 값을 둘러싼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를 대안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약 40mm"로 개시된 치수는 "40mm"의 암시적 개시이며 이로써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다음을 따르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걸쳐, "포함하다(comprise)"라는 단어 및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변형은 명시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그룹 또는 단계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다른 정수 도는 단계 또는 정수나 단계의 그룹을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조성물이 성분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 조성물은 또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인용된 성분 또는 재료의 임의의 조합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마찬가지로, 방법이 특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방법은 또흔 인용된 단계의 임의의 조합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본원에 예시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실행 및 이의 개별 단계는 수동으로 및/또는 전자 장비의 도움으로 또는 전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화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방법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다양한 단계의 순서는 방법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개별 단계는 결합, 생략 또는 추가 단계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특허, 공보 및 참고문헌은 참조로 본원에 완전히 포함된다. 본 개시와 포함된 특허, 공보 및 참고문헌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경우, 본 개시가 통제되어야 한다.
예들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존재 대 부재의 효과, 뿐만 아니라 폴리머 수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내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폴리머 수용액(탈이온수)의 4% 점도로 표현되는 다양한 평균 분자량의 효과는 1) 밀봉 용매 도포 시 필름 표면에 발포층을 생성하는 해당 수용성 필름의 민감도, 2) 최종 밀봉 및 단위 투여 물품 강도, 뿐만 아니라 3) 필름/단위 투여 물품 용해 프로파일에 대해 연구되었다.
테스트 재료:
수용성 필름:
MonoSol LLC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유형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다른 용매 주조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제공했다. 테스트 필름은 65%의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 구성되었으며, 나머지는 물, 가소제, 계면활성제 및 일반적으로 수용성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기타 물질이다. 테스트 필름은 상기에 본 발명의 일부로서 설명된 "제2 수용성 필름"에 대해 고려된 방식으로 밀봉되어, 상기에 본 발명의 일부로서 설명된 "제2 수용성 필름"에 대해 고려된 방식으로 구조를 생성하였다. 따라서, 상기에 설명된 "제2 수용성 필름"의 범위를 벗어나는 테스트 필름을 비교예로 특징지어진다.
비교예 1 내지 4는 중간 필름(필름 2)에 음이온성 코폴리머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0%으로 구성되었다. 비교예 5 내지 7은 상이한 평균 점도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균 점도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한다. 추가 수지는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Figure pct00001
수지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수지의 중량%):
o 비교예 1 : 7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13mPa.s, dH 86%)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30%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90% dH)
o 비교예 2 : 85%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13mPa.s, dH 86%)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15%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90% dH)
o 비교예 3 : 85%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8 mPa.s, dH 88%)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15%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90% dH)
o 비교예 4 : 85%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18 mPa.s, dH 88%)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15%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90% dH)
Figure pct0000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코폴리머로 구성된 수지(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수지의 중량%):
o 비교예 5 : 10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레미(13 mPa.s, dH 86%)
o 비교예 6 : 8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13 mPa.s, dH 86%) - 2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8 mPa.s, dH 88%) - 평균 점도 : 12 mPa.s
o 비교예 7 : 8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13 mPa.s, dH 86%) - 2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18 mPa.s, dH 88%) - 평균 점도 : 14 mPa.s
o 비교예 1 : 6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13 mPa.s, dH 86%) - 4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8 mPa.s, dH 88%) - 평균 점도 : 11 mPa.s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이러한 수용성 테스트 필름은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6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23 mPa.s, dH 87%) 및 40%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 mPa.s, 90% dH)(MonoSol 회사에서 제공)는 진공의 영향 하에 2개의 나란한 캐비티를 포함하는 몰드로 인발되어 개방 구획을 생성하였다. 세제 조성물은 이러한 개방 구획의 내부에 투여된 다음, 충전된 개방 구획을 상기 테스트 필름 각각으로 개별적으로 폐쇄하였다. 나란한 구성은 도 1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상단 구획 구성을 나타낸다. 두 개의 필름은 물로 함께 밀봉되었고, 밀봉수는 프리Ÿ‡된(pre-wetted) 펠트 롤을 통해 제1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테스트 필름의 표면에 미리 도포되었다. 타겟 밀봉 워터 코트 중량은 수용성 필름 1제곱미터당 물 9g이었다. 제1 수용성 필름과 동일한 조성물의 제3 수용성 필름은 진공의 영향 하에서 단일 캐비티를 포함하는 별도의 몰드로 인발되어 개방 구획을 생성하였다. 도 1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갖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기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나란한 구획 단위 투여 물품과 함께 개방 구획을 폐쇄하기 전에 개방 구획 내부에 세제 조성물이 투여되었으며 2020년 7월 영국의 Procter and Gamble 회사에서 Fairy NonBio 브랜드로 판매되었지만, 서로 다른 필름을 가진 것도 판매되었다. 제3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테스트 필름의 표면에 프리Ÿ‡된 펠트 롤을 통해 테스트 필름에 밀봉 수가 미리 도포되었다. 타겟 밀봉 워터 코트 중량은 수용성 필름 1제곱미터당 물 13g이었다. 사용된 모든 수용성 필름은 물품 생성 전에, 예를 들어 변형되기 건에 시작 두께가 76 미크론이었다.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섹션에 설명된 개별 구획에 첨가된 각각의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이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은 배치 공정에서 개별 성분의 혼합을 통해 제조되었다.
액체 세탁 세제 제형
100% 활성 하단 구획 상단 구획 1 상단 구획 2
Neodol 24/7 에톡시화 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2 1.8 1.5
선형 알킬벤젠 술폰산 27.6 21.8 17.7
MEA-A24E3S 7.9 11.5 8.9
구연산 0.7 0.6 0.5
지방산 11.4 4.7 3.7
에톡시화 폴리에틸렌이민* 1.6 1.4 1.1
쌍성 이온성 폴리아민 ** 1.6 1.6 1.3
HEDP 0.7 2.0 1.6
텍스케어 SRA300 - 4.4 -
폴리쿼터늄 10*** - - 7.8
FWA 49 0.3 0.1 0.1
소포제(AF8017) 0.3 - -
1,2-프로판디올 15.6 24.1 23.2
클리세롤 5.3 7.6 3.3
PPG (MW 400) - - 12.7
모노에탄올아민(pH 트리밍제) 9.6 9.5 7.3
K2SO3 0.5 0.4 0.4
MgCl2 0.1 0.3 0.2
1.9 8.6 8.7
아쿠솔 880 - - 0.6
수소화 피마자유 0.1 0.8 0.2
마이너(향수, 염료, 항산화제, ...) 100%로 밸런스 100%로 밸런스 100%로 밸런스
pH(10% 수용액) 7.4 7.4 7.4
* EO 사슬당 평균 에톡실화도가 20이고 MW가 약 600인 폴리에틸렌이민 백본을 갖는 에톡실화 폴리에틸렌이민
** Lutensit Z96: 부분적으로 황산염 폴리에톡실화 헥사메틸렌디아민, BASF 사에서 구입 가능
*** 프리믹스 조성물: 37중량% 양이온성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60중량% PPG400, 3중량% Acusol 880 - 위 화학식 조성물에 반영된 프리믹스 성분
테스트 결과
발포층의 존재 대 부재:
수용성 테스트 필름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3 수용성 필름과 접촉하기 전에 테스트 필름에 밀봉수 도포 단계 후에 수용성 필름 표면에 생성된 발포층의 존재 대 부재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되었다. 하기 표 2에 요약된 결과는 15 내지 30%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비교예 1 내지 4)이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블렌드)로 이루어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5 내지 7)과 달리, 밀봉수 도포시 수용성 필름의 표면에서 발포층 생성에 민감함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발포층은 밀봉수의 불균일한 확산을 유발하여, 밀봉 품질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밀봉이 약한 스폿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발포층의 존재 대 부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발명 실시예 1
발포층 존재 존재 존재 존재 부재 부재 부재 부재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
테스트 방법:
이 테스트 방법은 Mark-10 테스트 기기 ESM750SLCE(j.j. bos b.v., Marconistraat 1, NL-2809 PH Gouda, The Netherlands)를 사용하여 최대 100 kN(kilo Newton)의 로드 셀을 사용하여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외부 압축력의 영향 하에서, 파우치가 변형되어 필름과 밀봉 영역 모두에 응력이 쌓인다. 파우치의 내부 압력은 전체 파우치 표면적에 가해지는 외부 힘에 따라 달라진다. 파우치 강도(뉴턴 단위)는 파열 지점까지 파우치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 개의 평행 플레이트에 필요한 최대 압축력으로 정의된다. 밀봉 영역에서 파열된 파우치는 18회 반복에 걸쳐 % 밀봉 결함율(밀봉 결함 = 1, 밀봉 결함 없음 = 0) 계산에 사용되는 "봉인 결함"으로 보고된다. 300N 미만의 압축에 의해 생성된 압력과 동일한 압력에서 파열된 파우치는 18회 반복에서 % 파우치 강도 통과율(결함 = 0, 통과 = 1) 계산에 사용되는 "결함"으로 보고된다.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은 수용성 파우치를 주변 조건에서 7일 동안 보관하고 23℃/50% RH에서 16-24시간 동안 사전 컨디셔닝한 후에 측정되었다. 이 방법은 40-50% 상대 습도(RH) 사이의 실내 환경과 22-24℃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수용성 파우치는 사전 컨디셔닝에서 꺼낸 후 1시간 이내에 테스트된다.
도 2는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 테스트의 기본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을 측정하기 위해, 파우치(510)를 플라스틱 백(500)에 넣은 후 파우치 파열시 작업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마개가 있는 150mm × 124mm, 두께 60미크론 - 예를 들어 Raja 그립 RGP6B)된다. 파우치(510)는 백(500)의 중앙에 위치하며, 기구의 2개의 압축 플레이트(520, 530) 사이에 배치된다. 파우치(510)는 직립 위치에 배치되어, 폭 밀봉 치수(540)(예를 들어, 밀봉 영역을 막 둘러싸는 정의된 직사각형 평면 내의 가장 작은 치수, 테스트된 실제 파우치에서 41mm)가 압축 플레이트(x 방향) 사이에 있어서 폭 밀봉에 응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압축 플레이트의 직경은 파우치가 변형될 때 끼이지 않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여기서 D=116mm). 압축을 위해, 플레이트(520 및 530)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속도는 200mm/분으로 설정된다. 테스트 레그당 18회 반복이 수행되고, 이러한 18회 반복에 걸쳐 % 파우치 강도 통과율 및 % 밀봉 결함 데이터가 보고된다.
테스트 결과:
표 3에 요약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평균 점도 프로파일을 갖는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발명 실시예 1)이 비교예 5 내지 7에 따른 평균 점도 프로파일을 갖는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이루어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과 비교하여, 뿐만 아니라 15% 내지 30%의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과 비교할 때(비교예 1 내지 4) 우수한 파우치 강도 및 밀봉 결함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파우치 강도 및 밀봉 결함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발명 실시예 1
% 파우치 강도 통과율* 0 13 100 42 46 54 63 100
% 밀봉 결함** 100 96 4 75 67 63 63 0
*높을수록 좋음
**낮을수록 좋음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용해 - 필름 잔류물
테스트 방법:
이 테스트 방법은 용해되지 않은 수용성 필름 잔류물의 양을 평가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용해 테스트를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방법은 스트레스를 받는 세탁기 조건 하에서 세탁물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상대적인 용해 특성을 평가하도록 고안된다. 이 방법의 경우, 면과 폴리면 조각이 혼합된 밸러스트 로드를 포함하는 Electrolux 프로그래밍 가능한 세탁기 유형 W565H(Calderon Textiles, LLC 6131 W 80th Street Indianapolis, IN 46278)이 사용되었다. 밸러스트 로드는 약 50×50cm 크기의 면과 폴리면 니트, 이중 겹 견본으로 구성된다.
주황색 파우치: Calderon 50×50cm의 새 코튼 화이트 밸러스트 로드를 최대 3.0kg(밸러스트 코튼 ~25개 품목)의 부분으로 나누고 시판되는 염색 용액을 사용하여 세탁기 염색 공정을 통해 주황색으로 염색되도록 준비했다. 로드에 착색하기 위해, 40℃에서 표준 면 사이클을 사용하는 표준 가정용 세탁기가 사용될 수 있다. 350g의 Dylon 프레쉬 주황색 머신 염료 올인원이 세탁기의 드럼에 추가된다. 염료 패키지 지침에 따라. 소금이 추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염료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드럼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수동으로 이동했다. 결과적으로 25개 품목의 면 밸러스트(50cm × 50cm 크기)가 품목이 접히지 않고 드럼 위에 고르게 분포되었다. 40℃에서 표준 면 사이클을 15gpg의 물 경도에서 실행했다. 사이클 완료 후 75g의 Ariel Professional 분말을 디스펜서에 넣고 40℃에서 일반 면 사이클를 15gpg(갤런당 곡물)의 물 경도에서 실행했다. 이 사이클이 완료된 후, 세제 없이 40℃에서 2번의 추가 일반 면 사이클를 15gpg의 물 경도로 실행한 다음 품목을 라인 건조했다.
참고: 새 칼데론 로드는 25개 품목을 프론트 로딩 밀레 세탁기에 추가하고 아리엘 민감 분말 50g과 15gpg의 물 경도로 60℃에서 짧은 면 사이클(약 1시간 30분 지속)을 2회 실행한 후,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 경도가 15gpg인 60℃에서 짧은 면 사이클(약 1시간 30분의 지속)을 2회 더 실행한 후, 텀블 건조를 수행하여 품목을 컬러링하기 전에 디사이징해야 한다.
그런 다음 주황색 패브릭을 48×48cm 조각으로 자르고, 반으로 접은 다음, 반으로 자르고, 윗면이 열린 상태에서 측면을 22×22cm 크기의 4개의 동등한 파우치로 봉합제되었다. 사전 컨디셔닝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의 테스트 제품 하나를 주황색 파우치의 오른쪽 하단 코너에 놓고, 파우치를 봉제하여 닫는다.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은 테스트 전에 23℃, 50%rH에서 최소 2주 동안 사전 컨디셔닝되어야 한다.
로드: 혼합 면(13개)과 폴리면(10개) 3kg 4개를 사용하기 전에 디사이징되어 물 경도 15gpg의 아리엘 프로페셔널 세제 79g으로 60℃의 짧은 면 사이클로 세탁한 후, 물 경도 15gpg에서 어떠한 세제도 없이 60℃에서 다른 짧은 면 사이클에서 세탁한 다음, 최종적으로 회전식 건조되었다. 3.0kg의 각 로드는 "프리Ÿ‡(prewet)" 사이클에서 4개의 Ariel 포드로 세탁하여 2번 전처리한 다음, 아래에 설명된 "용해 프로그램"에서 세제 없이 세탁하고, 최종적으로 회전식 건조된다.
Electrolux W565 프로그래밍 가능 세탁기는 2개의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되었다. 제1 프로그램은 로드를 균일하게 웨팅시키도록 설계되었다(프리Ÿ‡ 프로그램). 제2 프로그램(용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유럽 스트레스 사이클 설정의 15분을 시뮬레이션한 후, 물을 펌핑하고 1100rpm에서 3분의 회전을 시작했다.
Figure pct00003
Electrolux W565 세탁기에 50×50cm 면 13장과 27×27cm 폴리면 10장(무게 3.0 +/- 0.15kg)으로 구성된 로드를 골고루 투입하고 프리Ÿ‡ 프로그램을 2회 진행하였다.
프리Ÿ‡ 프로그램 후, Ÿ‡ 밸러스트를 드럼에서 꺼내고 각기 다른 테스트 레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주황색 파우치를 드럼 바닥에 정렬했으며, 따라서 테스트 환경을 테스트 레그 전체에서 최대한 재현할 수 있도록 4개의 각기 다른 테스트 제품이 동일한 세탁기에서 한 번에 테스트된다. 디스펜서에 거품억제제(Dowsil GP-4314 실리콘 거품억제제, Dow Corning사에서 시판) 10g을 첨가하고, 드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 웨팅된 로드를 주황색 파우치 위에 올려놓았다. 용해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이 끝나면, 주황색 파우치를 채점실(D65 조명 조건을 갖춤)로 옮겨 전문가 채점자가 잔류물을 평가했다.
주황색 파우치는 0에서 7까지의 스케일(0= 필름 잔류물 없음, 7=완전 파우치 잔류물)에 따라 각 실행 종료 후 30분 이내에 육안으로 절단하고 등급이 매겨진다. 최종 점수는 4번의 외부 반복, 즉 4번의 서로 다른 세탁기 작동 및 2회 반복(평균 8점)의 평균으로 계산된다.
테스트 결과:
표 4에 요약된 결과는 본 발명(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평균 점도 프로파일을 갖는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테스트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이 비교예 5 내지 6에 따른 평균 점도 프로파일을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이루어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테스트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과 비교하여, 뿐만 아니라 15% 내지 30%의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테스트 필름을 포함하는 테스트된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과 비교할 때(비교예 2 내지 3), 파우치 강도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용해 타협을 보여주지 않는, 우수한 파우치 강도 및 밀봉 결함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필름 잔류물 등급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5 비교예 6 발명 실시예 1
평균 필름 잔류물 등급* 1.44 1.50 1.91 1.72 1.38
*낮을수록 좋음
테스트 방법:
이 방법론은 용액으로 밀봉된 수용성 필름(봉인 박리 강도)을 박리하는 데 필요한 인장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필름 데이터 수집에는 INSTRON 인장 테스트 장치 또는 이와 동등한 장치가 사용된다. 아닐록스 롤러 140/10이 있는 ESIPROOF 프루핑 장치 또는 이와 동등한 장치를 사용하여 탈이온수로 두 장의 필름을 고정한다. 치수 안정성과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절단 도구로 각각 절단된 최소 3개의 테스트 표본이 각 측정에 대해 기계 방향(MD)으로 테스트된다. 테스트는 23±2.0℃ 및 35±5% 상대 습도의 표준 실험실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밀봉 박리 강도 결정을 위해, 기계 방향(MD)(해당되는 경우)에서 치수가 12인치(30.5cm)인 두 개의 4″× 12″(10.2cm × 30.5cm) 필름 시트를 절단하여 테스트 표본을 준비한다. 한 장의 경우, 네 개의 코너는 필름 무광택 표면이 위를 향하도록 표면에 테이핑된다. 다른 시트는 무광택 표면이 접촉되도록 테이프 시트 중 하나 위에 겹쳐진다. 상단 시트의 4인치(10.2cm) 끝을 테이프로 고정하여 하단 시트에 고정한다. 상단 시트의 느슨한 끝 부분은 140/10 아닐록스 롤러를 사용하여 ESIPROOF 프루핑 롤러를 통과한다. 테스트 밀봉 용액(물) 0.5mL 양을 닥터 블레이드에 도포한다. 롤러를 일정한 속도(3″, 초당 7.6cm)로 당겨 상부 필름을 코팅하고 이를 하부 시트에 고정한다. 필름은 약 10분에서 15분의 기간 동안 용접되도록 하여 밀봉을 형성하지만 후속 박리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표본의 한쪽 끝에 두 개의 밀봉되지 않은(자유) 필름 플랩을 남긴다. 그런 다음 밀봉된 샘플이 INSTRON 인장 시험기로 옮겨져 35%의 상대 습도 환경에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인장 시험기는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준비되고 500N 로드 셀이 장착되고 교정된다. 올바른 그립과 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박리 테스트의 경우, 고무 그립 사이에 0.50인치(1.27cm) 간격이 있으며, 4개 모두 평평하고 정사각형이다. 3개(또는 그 이상)의 1인치 폭(2.54cm) 샘플을 기계 방향(MD)으로 절단된다. 각 샘플의 밀봉되지 않은 플랩을 시험기의 그립에 놓고, 표본이 그립과 정렬되고 그립과 평행하고, 표본이 테스터의 턱에서 너무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로드가 균형을 이루고 장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테스트가 시작된다. 테스트가 끝나면, 층을 찢거나 분리하는 데 필요한 Absolute Positive Force(뉴턴 단위의 APF)가 밀봉 박리 강도로 기록된다.
추가 테스트 재료:
용매 주조 수용성 테스트 필름은 다양한 수준의 코폴리머 함량으로 제조되었다. 테스트 필름은 하기에 설명된 비율의 약 65% 내지 77%의 하나 이상의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 구성되었으며, 나머지는 물, 가소제, 계면활성제 및 일반적으로 수용성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기타 물질이다. 비교예 8-9의 테스트 필름은 상기의 발명의 일부로서 설명된 "제1 수용성 필름" 또는 "제3 수용성 필름"에 대해 고려된 방법으로 밀봉되었으며,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비교예 1의 필름 또는 발명 실시예 1의 필름으로 밀봉하였다.
o 비교예 8 : 60%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23 mPa.s, dH 87%)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40%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dH 90%).
o 비교예 9 : 3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23 mPa.s, dH 88%)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블렌드 - 68%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mPa.s, dH 90%).
o 비교예 10 : 75%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23 mPa.s, dH 88%) - 25%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6 mPa.s, dH 88%)
o 비교예 11 : 100% 메틸 말레에이트계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4% 음이온성 치환, 18 mPa.s, dH 90%).
테스트 결과:
비교예 1에 밀봉된 각각의 비교예 8 내지 11, 및 발명 실시예 필름 1에 밀봉된 각각의 비교예 8 내지 11의 박리 강도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각 경우에, 발명 실시예 1의 필름은, 보다 높은 평균 밀봉 박리 강도를, 즉 제1 수용성 필름이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함량을 함유하지 않는지, 100%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함량을 함유하지 않는지, 또는 중간량의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함량을 함유하지 않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전반적인 결론:
상이한 실시예에 걸쳐 요약된 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점도 프로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로 이루어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이 밀봉 용매 도포 시 발포층을 형성하지 않아, 본 발명의 범위 밖의 비교용 수용성 필름 조성물과 비교하여 용해 타협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밀봉 및 파우치 강도 프로파일을 초래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20)

  1. 적어도 두 개의 구획 및 선택적으로는 상기 구획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a. 제1 수용성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성 필름은 제1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b. 제2 수용성 필름으로서,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i.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15 중량% 미만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상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ii. 약 8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서, 상기 호모폴리머는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8 mPa.s 및 약 12 mPa.s 미만, 또는 약 9 mPa.s 내지 12 mPa.s 미만, 또는 약 10 mPa.s 내지 12 mPa.s 미만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c. 제3 수용성 필름으로서,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제3 PVOH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선택적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구성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상기 제1 수용성 필름과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제1 구획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이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밀봉되어 상기 제2 수용성 필름과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에 적어도 제2 구획을 생성하며, 상기 제2 구획은 상기 제1 구획 위에 위치되며;
    단, 상기 물품이 구획 내에 수용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세탁 조성물이 아니며 자동 식기 세척 조성물이 아닌,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블렌드의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0% 내지 100%, 선택적으로는 약 100%,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 비닐 알코올 모노머 단위 및 선택적으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의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선택적으로는 약 0%를 포함하며, 상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말레산,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디알킬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멤버로부터 유도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에서,
    a.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1 mPa.s 내지 약 20 mPa.s, 또는 약 11 mPa.s 내지 약 15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b.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20℃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약 1 mPa.s 내지 약 10 mPa.s, 또는 약 5 mPa.s 내지 약 10 mPa.s 범위의 평균 점도를 가지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및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의 평균 점도 차이는 20°C에서 탈이온수에서 4%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 용액으로 측정된, 적어도 1mPa.s, 또는 약 2 내지 약 10mPa.s, 또는 약 3 내지 약 8mPa.s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는 독립적으로 약 75% 내지 약 99%, 또는 약 80% 내지 약 95%, 또는 약 85% 내지 약 95% 범위의 평균 가수분해도를 갖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b.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c. 상기 제3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5%,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60% 내지 약 7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거나;
    d.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또는 둘 다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또는 둘 다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상기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약 90/10 내지 약 10/90, 또는 약 80/20 내지 약 20/80, 또는 약 70/30 내지 약 50/50 범위의 상대 중량비로 존재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상기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에 약 1 mol.% 내지 약 10 mol.%, 또는 약 2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는 설폰화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예를 들어,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독립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호모폴리머 및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폴리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카르복실화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예를 들어 말레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이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선택된 모노알킬 말레에이트 단위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는 적어도 3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6mol.%, 또는 약 3mol.% 내지 약 5mol.%, 또는 약 3.5mol.% 내지 약 4.5mol.%, 또는 약 4mol.% 내지 약 4.5mol.% 범위의 평균 양으로 카르복실화 음이온성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에 존재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상기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5%, 또는 약 0.5% 내지 약 2% 범위의 계면활성제 함량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각각은 독립적으로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용성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 또는 약 4% 내지 약 15%, 또는 약 5% 내지 약 10% 범위의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가소제, 가소제 상용화제, 윤활제, 이형제, 충전제, 증량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항산화제, 점착제거제, 소포제, 나노입자, 표백제, 혐오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은 독립적으로 개별 필름의 중량을 중심으로 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40%, 또는 약 20% 내지 약 30%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폴리올, 당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는 폴리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최대 400MW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당 알코올은 이소말트, 말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아도니톨, 둘시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만니톨,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 알코올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가소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 열 밀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용매 밀봉 용액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용매 밀봉 용액은 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예 있어서, 상기 단위 투여 물품은 적어도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과 상기 제3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적어도 제3 및 제4 구획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2 구획 및 상기 제3 구획,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획, 상기 제3 구획 및 상기 제4 구획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2 구획 및 상기 제3 구획,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2 구획, 상기 제3 구획 및 상기 제4 구획은 상기 제1 구획 위에 배치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량 액체 세제 조성물, 중량 액체 세제 조성물,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 표백 조성물, 샴푸, 바디 워시, 기타 개인용 케어 조성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상기 적어도 제1 구획에 수용된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비가정용 케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는 농업용 조성물, 자동차용 조성물, 항공용 조성물, 식품 및 영양용 조성물, 산업용 조성물, 가축용 조성물, 해양용 조성물, 의료용 조성물, 상업용 조성물, 군용 및 준군사용 조성물, 사무실 조성물,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조성물, 애완동물 조성물, 수처리 조성물, 농업 활성제, 섭취 가능한 활성제, 액체 처리 활성제, 산업용 활성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a. 몰드에서 제1 수용성 필름을 변형시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개방 캐비티를 상기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c. 몰드에서 제3 수용성 필름을 개별적으로 변형시켜 열성형, 진공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생성하는 단계;
    d. 단계 (c)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캐비티를 조성물로 충전하는 단계;
    e.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으로 단계(d)의 상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f.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에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2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상기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에 앞서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의 제1 면에 도포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폐쇄 중간체를 생성하는 단계;
    g. 단계 (f)의 상기 폐쇄 중간체로 단계 (b)의 상기 충전된 개방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h.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에 상기 제1 수용성 필름을 밀봉하여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및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은 용매 밀봉을 통해 밀봉되고, 더욱 선택적으로는 용매 밀봉 용액은 상기 필름을 함께 밀봉하기에 앞서 상기 제2 수용성 필름의 제2 면에 도포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수용성 필름과 대면하는 면인, 상기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20. 제19항에 있어서, 단계(a)의 상기 제1 수용성 필름 및 단계(c)의 상기 제3 수용성 필름은 변형되기 전에 동일한, 공정.
KR1020237016080A 2020-12-15 2021-12-15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2650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4215.4A EP4015567A1 (en) 2020-12-15 2020-12-15 Water-soluble films,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0214215.4 2020-12-15
PCT/US2021/063431 WO2022132853A1 (en) 2020-12-15 2021-12-15 Water-soluble films,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861A true KR20230076861A (ko) 2023-05-31
KR102650373B1 KR102650373B1 (ko) 2024-03-22

Family

ID=7414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080A KR102650373B1 (ko) 2020-12-15 2021-12-15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186159A1 (ko)
EP (2) EP4015567A1 (ko)
JP (1) JP2023549366A (ko)
KR (1) KR102650373B1 (ko)
CN (1) CN116438049A (ko)
AR (1) AR124355A1 (ko)
AU (1) AU2021402996A1 (ko)
CA (1) CA3196098C (ko)
ES (1) ES2954243T3 (ko)
HU (1) HUE062706T2 (ko)
MX (1) MX2023007114A (ko)
PL (1) PL4015572T3 (ko)
TW (1) TW202231747A (ko)
WO (1) WO2022132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5569A1 (en) * 2020-12-15 2022-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EP4353808A1 (en) * 2022-10-10 2024-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multicompartment unit dose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11A (ko) * 2013-03-15 2015-11-11 모노졸, 엘엘씨 지연 방출용 수용성 필름
KR20180133417A (ko) * 2016-04-13 2018-12-14 모노졸, 엘엘씨 수용성 필름, 파우치, 및 용기 시스템
KR20180135442A (ko) * 2016-04-13 2018-12-20 모노졸, 엘엘씨 수용성 필름, 필름을 사용하는 패킷,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US20200308515A1 (en) * 2019-04-01 2020-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 water-soluble film comprising a water soluble polyvinyl alcohol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390A (en) 1968-02-20 1971-05-25 Nat Gypsum Co Plaster colorant system
USRE29059E (en) 1972-03-20 1976-12-07 Holubar Mountaineering, Ltd. Method of manufacture of down insulated goods
US4466431A (en) 1981-05-09 1984-08-21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Limited Dressings, manufacture and use
NL8500076A (nl) 1985-01-14 1986-08-01 Leer Koninklijke Emballage Verpakking gevuld met een in water oplosbaar giftig poeder- of korrelproduct.
JPH07507998A (ja) 1992-05-29 1995-09-07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配合禁忌の作物防護用化学物質の輸送のための水溶性ポリマー包装物
DE69719013T2 (de) 1996-01-30 2003-10-09 Syngenta Ltd Verpackte agrochemische zusammensetzungen
WO1998057541A1 (en) 1997-06-16 1998-12-23 Rhone Poulenc Agro Delivery device for agricultural pesticides
US20040144682A1 (en) 2003-01-27 2004-07-29 Altmayer Scott Anthony Waste material solidification pouch
WO2004089593A2 (en) 2003-04-02 2004-10-21 Monosol, Llc Surfactant applicator for solution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a film
GB0320997D0 (en) 2003-09-09 2003-10-08 Stanelco Fibre Optics Ltd Food sachets
DE10359222A1 (de) 2003-12-17 2005-07-28 Solvay Fluor Gmbh Flußmittel
EP1679362A1 (en) 2005-01-10 2006-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for washing-up or washing machine
US20060173430A1 (en) 2005-02-03 2006-08-03 Baosheng Lee Fluid-absorbing products comprising superabsorbent material in a water-soluble pouch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476325B2 (en) 2005-08-09 2009-01-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eatment of recreational water
US7745517B2 (en) 2006-05-02 2010-06-29 Sekisui Specialty Chemicals America, Llc Polyvinyl alcohol film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oxidizing chemicals
US20080185347A1 (en) 2006-10-24 2008-08-07 Thomas Peter Tufano pH-adjusting compositions in water-soluble pouches
PL2380965T3 (pl) 2008-02-08 2014-08-29 Procter & Gamble Sposób wytwarzania rozpuszczalnej w wodzie saszetki
CN101983225A (zh) 2008-04-04 2011-03-02 阿克佐诺贝尔国际涂料股份有限公司 包封的调色料
EP2133410B1 (en) 2008-06-13 201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artment pouch
US8333033B2 (en) 2010-01-20 2012-12-18 Gary Michael Bell Device and method for growing vegetation
JP6178848B2 (ja) * 2012-06-23 2017-08-09 リデュー マシーナリー インク 可溶性のパウチの回転可能な連続成型動作の改良
TWI548655B (zh) 2012-10-22 2016-09-11 積水特殊化學美國有限責任公司 用於嚴苛化學品包裝的聚乙烯吡咯啶酮(pvp)共聚物
CN104968609B (zh) 2012-11-01 2018-03-20 哈洛资源公司 水处理组合物和使用它的方法
TWI689547B (zh) * 2014-10-13 2020-04-01 美商摩諾索公司 具有塑化劑摻合物的水溶性聚乙烯醇膜、相關方法及相關物品
EP3138898A1 (en) * 2015-09-04 2017-03-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ater-soluble detergent articles wrapped in a film with an aversive agent mainly in the flanges or skirt thereof
JP6709856B2 (ja) * 2016-04-13 2020-06-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水溶性パウチを含む容器システム
CA3019343C (en) * 2016-04-13 2021-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uches having water-soluble films made from polyvinyl alcohol polymer blends
US10443024B2 (en) * 2016-06-13 2019-10-15 Monosol, Llc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made from a combination of different films
BR112018075203B1 (pt) * 2016-06-13 2023-10-24 Monosol, Llc Artigos de dose unitária hidrossolúveis produzidos a partir de uma combinação de filmes diferentes
CN109153950A (zh) * 2016-06-13 2019-01-04 宝洁公司 由不同膜的组合制成的且含有家用护理组合物的水溶性单位剂量制品
EP3441412A1 (en) * 2017-08-11 2019-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n amphiphilic graft polymer and a polyester terephthalate
CA3098544A1 (en) * 2018-05-02 2019-11-07 Monosol, Llc Water-soluble polyvinyl alcohol blend film, related methods, and related articles
US10858619B2 (en) * 2018-06-08 2020-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made from extruded films and containing household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719109A1 (en) * 2019-04-01 2020-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 water-soluble film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 polymer comprising an anionic monomer unit
EP4015569A1 (en) * 2020-12-15 2022-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11A (ko) * 2013-03-15 2015-11-11 모노졸, 엘엘씨 지연 방출용 수용성 필름
KR20180133417A (ko) * 2016-04-13 2018-12-14 모노졸, 엘엘씨 수용성 필름, 파우치, 및 용기 시스템
KR20180135442A (ko) * 2016-04-13 2018-12-20 모노졸, 엘엘씨 수용성 필름, 필름을 사용하는 패킷,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US20200308515A1 (en) * 2019-04-01 2020-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omprising a water-soluble film comprising a water soluble polyvinyl alcohol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402996A1 (en) 2023-06-01
HUE062706T2 (hu) 2023-11-28
CA3196098C (en) 2024-05-07
CN116438049A (zh) 2023-07-14
US20220186159A1 (en) 2022-06-16
TW202231747A (zh) 2022-08-16
PL4015572T3 (pl) 2023-10-23
CA3196098A1 (en) 2022-06-23
MX2023007114A (es) 2024-03-20
KR102650373B1 (ko) 2024-03-22
AR124355A1 (es) 2023-03-22
ES2954243T3 (es) 2023-11-21
EP4015567A1 (en) 2022-06-22
JP2023549366A (ja) 2023-11-24
WO2022132853A1 (en) 2022-06-23
EP4015572B1 (en) 2023-06-07
EP4015572A1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0847C1 (ru) Мешки, содержащие водорастворимую пленку, изготовленную из полимерных смесей поливиниловых спиртов
KR101939738B1 (ko) 기능성 과립을 포함하는 세탁용 시트
KR102650373B1 (ko)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2650371B1 (ko) 수용성 필름, 수용성 단위 투여 물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N107108920A (zh) 水溶性聚乙烯醇掺合物膜、相关方法和相关物品
JP7372266B2 (ja) 水溶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ブレンドフィルム、関連方法、および関連物品
JP7372265B2 (ja) 水溶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ブレンドフィルム、関連方法、および関連物品
CN105189724A (zh) 含有酶和抑制剂的水溶性膜
CN110343580A (zh) 一种高含水量的单位剂量洗涤剂制品
EP4015571A1 (en)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WO2020074143A1 (de) Mehrkomponenten-waschmittel mit catechol-metallkomplex
RU2815315C1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пленки,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изделия единичной дозы,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RU2817797C2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пленки,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изделия единичной дозы,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DE102018217398A1 (de) Flüssigwaschmittel mit Dihydroxyterephthalsäurediamid-Verbindung
CN110343578A (zh) 一种自动洗碗机洗涤剂组合物
RU2783026C2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ая пленка из смеси поливинилового спирта, связанные методы и связанные изделия
RU2810334C2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ая пленка из смеси поливинилового спирта, связанные методы и связанные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