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853A -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 Google Patents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853A
KR20230074853A KR1020237017298A KR20237017298A KR20230074853A KR 20230074853 A KR20230074853 A KR 20230074853A KR 1020237017298 A KR1020237017298 A KR 1020237017298A KR 20237017298 A KR20237017298 A KR 20237017298A KR 20230074853 A KR20230074853 A KR 2023007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reflectance
stratum corneum
sampl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마스다
에이이치로 야기
도모히로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23007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윤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 및 상기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은,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경면 반사율과 확산 반사율을 구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이다. 피부 윤기 향상제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트리메틸글리신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제공한다.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은, 표면 거칠기의 유의한 감소를 지표로 함으로써,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료를 탐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METHOD FOR EVALUATING GLOW OF SKIN, METHOD FOR EXAMINING SKIN GLOW IMPROVERS, AND SKIN GLOW IMPROVER}
본 발명은,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의 외관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투명감을 지표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피부의 투명감은, 필요에 따라 피부 외용제를 도포한 후에, 미용 기술자의 시각에 의해 관능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피부의 투명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랜 경험을 필요로 하는 것에 더하여, 경험이 풍부한 피험자가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더라도, 평가의 편차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곤란했다.
예컨대, 종래에는, 피부 표면에 P 편광을 입사시켜 S 편광 성분의 반사광을 수광함과 동시에, 피부 표면에 S 편광을 입사시켜 P 편광 성분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얻어지는 S 편광 성분 및 P 편광 성분의 2가지 반사광의 반사율의 합계치에 기초하여 피부의 투명감을 평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4-215991호 참조).
한편, 미백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서, 알콕시살리실산 및/또는 그 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6-40886호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4-2159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6-4088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13-18939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제2013-40114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제2000-63255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제2012-6902호 공보
그러나, 피부의 윤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없었다. 이 때문에,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피부의 윤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 즉, 피부 윤기 향상제 및 상기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감안하여,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 및 상기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1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의 표면에 상기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2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사율 및 상기 제2 반사율로부터,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확산 반사율 및 상기 경면 반사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에 있어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각질층 세포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료가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피부 윤기 향상제에 있어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트리메틸글리신을 포함하는 피부 윤기 향상제.
[2] 상기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인, 항목 1에 기재된 피부 윤기 향상제.
[3] 0.5%∼3%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을 포함하는, 항목 2에 기재된 피부 윤기 향상제.
[4] 2%∼10%의 트리메틸글리신을 포함하는, 항목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윤기 향상제.
[5]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각질층 세포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료가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6]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1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의 표면에 상기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2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사율 및 상기 제2 반사율로부터,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확산 반사율 및 상기 경면 반사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7] 상기 제1 반사율 및 상기 제2 반사율을 측정하기 전의 피부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6에 기재된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8] 피부 윤기 향상제 또는 경면 반사율 증가제의 제조를 위한,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트리메틸글리신의 사용.
[9] 상기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인, 항목 8에 기재된 사용.
[10] 0.5%∼3%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을 포함하는, 항목 9에 기재된 사용.
[11] 2%∼10%의 트리메틸글리신을 포함하는, 항목 8∼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용.
[12] 피부 윤기 향상 방법, 경면 반사율 증가 방법, 또는 미용 방법으로서,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트리메틸글리신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상기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인, 항목 12에 기재된 방법.
[14] 0.5%∼3%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을 포함하는, 항목 13에 기재된 방법.
[15] 2%∼10%의 트리메틸글리신을 포함하는, 항목 8∼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 및 상기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의 탐색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확산 반사율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확산 반사율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하기 전후의 확산 반사율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하기 전후의 경면 반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의 농도를 변화시켜 첨가한 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9는, 트리메틸글리신(TMG)의 농도를 변화시켜 첨가한 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0은,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단독, 및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및 트리메틸글리신(TMG)의 조합을, 농도를 변화시켜 첨가한 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1은, 시료 1-1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료 1-1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시료 1-1, 1-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시료 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시료 2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시료 3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시료 3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시료 4-1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료 4-1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시료 4-1, 4-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시료 5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시료 5 및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후보 화장료 연속 사용 후에 있어서의 앙케이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4는, 후보 화장료 연속 사용 후 3개월째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도 25는, 후보 화장료 연속 사용 후 3개월째에 있어서의 살결 화소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6은, 후보 화장료 연속 사용 후 3개월째에 있어서의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피부 윤기란, 피부의 성상 중 하나로서,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성상이다.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피부 표면의 성상으로는, 투명감, 윤기 등을 들 수 있다. 투명감은, 피부의 색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투명감에는, 피부에 있어서의 빛의 확산 반사가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피부의 투명감 측정과 그 대응 화장품의 유용성 평가: J. Soc. Cosmet. Chem. Japan, 2005; 39: 201-208), 미백을 행하는 것에 의해 피부에 있어서의 빛의 확산 반사가 증대됨으로써, 투명감이 증가한다. 미백 이외에도, 보습이나 혈행 촉진도 투명감의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윤기는, 피부의 광택을 가리키는데,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성상인 번들거림(glossy 또는 greasy shine)도 광택과 관련이 있고, 구별하여 평가하는 것이 곤란한 점에서, 윤기의 적절한 평가는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확산 반사가 증대된 투명감이 있는 피부에 있어서, 더욱 경면 반사를 증대함으로써, 윤기 피부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어 있고(도 3), 윤기 피부는, 확산 반사와 경면 반사의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 윤기에는 몇가지의 표현이 있고, 예컨대 빛남(glow, luminous, sheen), 광택(luster), 윤기(sheen)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윤기 향상제는, 피부의 빛남 또는 광택 향상제라고 할 수도 있다.
피부에 입사한 빛의 일부가 반사되어 반사광이 된다. 반사광은, 경면 반사와 확산 반사로 대별된다. 경면 반사란, 일방향으로부터의 빛이 다른 일방향으로 반사되는 것을 말하며, 피부에 있어서의 경면 반사는, 주로 피부의 표면에서 생기는 반사를 말한다. 피부에 있어서의 경면 반사는, 피부의 광택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피부의 광택에 관한 피부 성상으로서는, 윤기뿐만 아니라, 번들거림도 포함된다. 윤기는,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성상인 한편, 번들거림은, 대량으로 분비된 피지에 의해 초래되는 점에서,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성상으로 생각되고 있다. 확산 반사는, 입사광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것을 말하며, 피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반사를 말한다. 피부에 있어서의 확산 반사는, 피부의 투명감에 기여하고 있어, 확산 반사가 적은 피부는 칙칙한 인상을 준다(도 3).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단순히 경면 반사를 높인 경우에는, 번들거림이 생겨 버리는 한편, 확산 반사가 높은 투명감이 있는 피부에 있어서, 경면 반사를 높인 경우에 한하여, 윤기가 있는 피부가 되는 것이 밝혀졌다(도 3). 이들 지견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 및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을 지표로 한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본 발명의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은,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키는 공정,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평행 반사광) 및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수직 반사광)을 측정하는 공정,
평행 반사광 및 수직 반사광의 반사율을 계산하는 공정,
평행 반사율 및 수직 반사율에 기초하여 피부 윤기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한다.
평행 반사율 및 수직 반사율에 기초하여 피부 윤기를 결정하는 공정은, 미리 결정된 평행 반사율 및 수직 반사율과 피부 윤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평행 반사율 및 수직 반사율에 기초하여 피부 윤기를 결정하는 공정은, 평행 반사율 및 수직 반사율로부터,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을 계산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과 피부 윤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미용 기술자의 시각에 의지하는 관능 평가에 의해서밖에 평가할 수 없었던 피부 윤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에 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1 반사율(평행 반사율)을 측정한다(S01).
또,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이란, 입사한 편광이 피부의 표면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반사한 경우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2 반사율(수직 반사율)을 측정한다(S02). 여기서, 편광을 입사시키는 피부의 표면 및 피부의 표면에 입사시키는 편광은, S01과 동일하다.
또,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란, 입사한 편광이 피부의 표면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반사한 경우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 S01 및 S02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반사율 및 제2 반사율로부터,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한다(S03).
다음으로, S03에서 구해진 확산 반사율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을 작성한다(S04). 여기서,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때, 복수의 예비 피험자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함과 동시에, 복수의 예비 피험자의 피부의 윤기를 미용 기술자의 시각에 의해 관능 평가함으로써, 판정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확산 반사율이 소정치 이상임과 동시에, 경면 반사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확산 반사율은, 통상, 25% 이상이고, 2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경면 반사율은, 통상, 10% 이상이고,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반사율, 제1 반사율 및 제2 반사율을 측정하는 피부의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볼(특히, 볼 상부의 눈꼬리 바로 아래(광대뼈부))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1 반사율 및 제2 반사율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4-215991호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은, 제1 반사율 및 제2 반사율을 측정하기 전의 피부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시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전후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함으로써, 피부 윤기 향상제를 탐색할 수 있다.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의 산출 방법>
제1 반사율(평행 반사율) 및 제2 반사율(수직 반사율)을, 각각 x1[%] 및 x2[%]로 하면, 확산 반사율은, 식(1):
2x2 ···(1)
로부터 산출할 수 있고, 경면 반사율은, 식(2):
x1 - x2 ···(2)
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의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윤기 향상제를 탐색하는 방법보다 간편한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피부의 윤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의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피부의 확산 반사율은, 일반적으로, 살결이 촘촘하고, 멜라닌·헤모글로빈량이 적고, 각질층 수분량이 많은 피부에서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미백제(알부틴, 에틸비타민 C), 혈행 촉진제(비타민 E 아세테이트), 보습제(글리세린 외)를 배합한 화장료를 도포하면, 피부의 확산 반사율이 상승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J. Soc. Cosmet. Chem. Jpn. 39(3)201-208(2005) 참조).
한편, 피부의 경면 반사율에 관해서는, 피부의 어떠한 특성에서 기인하고 있는지가 알려져 있지 않고,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상승시키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피부 윤기 향상제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 즉,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경면 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피부의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도 7).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피부의 표면 거칠기란, 피부소구나 피부소릉에 의해 나타나는 요철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아니라, 더욱 작은 피부소릉 상의 각질층 세포의 표면의 요철을 가리키고 있다. 이론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소릉부의 표면의 요철이 평활화됨으로써, 입사광의 난반사가 감소하고, 경면 반사율이 증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질층 평활화 작용은, 경면 반사율 증대 작용이라고도 할 수 있고, 각질층 평활화제를, 경면 반사율 증가제라고 할 수도 있다.
피부의 표면 거칠기는, 테이프 스트립 등에 의해 채취된 각질층 세포 표면을, 현미경, 예컨대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피부의 표면 거칠기는,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된 3D 스캔 화상을 자작(自作)의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값폭 2 ㎛ 가우시안 필터 적용 화상을 감산함으로써, 3D 형상의 기울기를 보정하고, 표시하고, XY 각 좌표에 있어서의 Z 좌표의 절대치의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ISO25178에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의 탐색 방법에 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측정한다(S11). 다음으로, 각질층 세포에 시료를 도포한다(S12). 또한,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측정한다(S13). 다음으로,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에 대한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구한다(S14). 여기서,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에 대하여,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시료가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를 탐색하는 지표로서,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가 이용되고 있지만,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의 탐색 방법을 이용하여 스크리닝을 행한 결과,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제로서 하기의 약제를 선별할 수 있었다. 경면 반사율 향상제는, 투명감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약제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또는 경면 반사율 향상제 자체가, 투명감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경우, 혹은 원래 충분한 투명감의 피부를 갖는 대상에 이용되는 경우에, 윤기 향상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경면 반사율 향상제는, 윤기 향상제라고 할 수도 있다.
<피부 윤기 향상제>
피부 윤기 향상제는, 예컨대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살리실산나트륨(2-히드록시벤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메톡시살리실산칼륨(2-히드록시-4-메톡시벤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은, 각질 박리 작용,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 턴 오버의 정상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 미용 성분이고, 주로 미백 작용을 강조한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이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13-189396호 및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제2013-40114호). 미백 작용은, 확산 반사를 높여 피부의 투명감의 향상에 기여하지만,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의 경면 반사율 향상 작용 및 윤기 향상 작용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의 배합량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화장료 중에 0.5 질량%∼5 질량%의 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윤기 향상 작용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효과의 약제인 점에서, 윤기 향상 작용이 발휘되는 한에 있어서 배합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기 향상 작용을 발휘하면서, 배합량을 적게 하는 점에서, 1 질량%∼3 질량%, 예컨대 1 질량%, 1.5 질량%, 2 질량%, 2.5 질량%, 또는 3 질량%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윤기 향상제는, 트리메틸글리신을 더욱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피부의 윤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트리메틸글리신은,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는 경우가 많다(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제2000-63255호, 및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제2012-6902호 참조). 한편, 본 발명자들의 시험에 의해, 트리메틸글리신은, 각질층 평활화 효과를 갖지 않고, 윤기 향상 작용은 갖지 않았다(도 9). 본 발명자들이,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 4-메톡시살리실산칼륨과, 트리메틸글리신을 배합한 바, 놀랍게도, 각질층 평활화 효과에 관해서 상승 효과가 보였다(도 10).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은, 고가의 약제인 점에서, 윤기 향상 작용을 유지하면서,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긴요하다.
트리메틸글리신의 배합량은,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윤기 향상 작용에 관한 상승 작용을 발휘시키는 한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화장료 중에 1 질량%∼10 질량%의 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과의 윤기 향상 작용에 관한 상승 효과를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2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안정성, 사용성의 관점에서, 8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피부 윤기 향상제 또는 경면 반사율 증가제의 제조를 위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사용에도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윤기 향상제 또는 경면 반사율 증가제의 제조를 위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트리메틸글리신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약제 및 그 농도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피부 윤기 향상 방법 또는 경면 반사율 증가 방법으로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는, 더욱 트리메틸글리신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대상으로는, 임의의 대상이어도 좋고, 예컨대 피부의 윤기 향상 또는 경면 반사율의 증가를 희망하는 대상이고, 예컨대 칙칙함, 번들거림 등의 피부 트러블을 갖는 대상, 및 피부의 투명감을 갖는 대상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약제 및 그 농도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다. 임의의 방식으로 적용 가능한데, 경피, 경구, 경장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특히 도포에 의한 경피 적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미용 방법으로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콕시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는, 더욱 트리메틸글리신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대상으로는, 임의의 대상이어도 좋고, 예컨대 피부의 윤기 향상 또는 경면 반사율의 증가를 희망하는 대상, 예컨대 칙칙함, 번들거림 등의 피부 트러블을 갖는 대상, 및 피부의 투명감을 갖는 대상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약제 및 그 농도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다.
피부 윤기 향상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장료에 배합되어도 좋다. 또한,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할 수도 있고, 특히 피부 외용제에 배합할 수 있다. 이들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약제, 예컨대 보습제, 미백제, 산화 방지제, 유성 성분, 자외선 흡수제, 계면 활성제, 증점제, 알콜류, 착색제, 향료, 물, 용매, 방부제, 보존제, pH 조정제, 겔화제, 기타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언급되는 모든 문헌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본 발명의 변경, 예컨대,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의 추가, 삭제 및 치환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피부 윤기의 평가
피부 광택 측정 장치 삼바 페이스(SAMBA FACE)(Bossa Nova Technologies사 제조)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2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윤기가 있는 볼, 번들거림이 있는 볼, 투명감이 있는 볼 및 칙칙함이 있는 볼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했다. 이 때, 조사 광원의 전면 및 수광 카메라의 전방부에, 각각 편광 필터를 설치했다. 여기서, 수광 카메라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이 조사 광원에 있어서의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하여, 평행 편광 화상 및 직교 편광 화상을 취득하고, 식 (1) 및 (2)로부터,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했다. 또한, 볼의 윤기, 번들거림, 투명감, 칙칙함의 분류는, 복수의 미용 기술자의 시각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함으로써 결정했다.
또,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과 평행(또는 수직)인 방향이란, 편광 필터를 통과한 편광이 피부의 표면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반사한 경우의 편광 방향과 평행(또는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에, 확산 반사율에 대하여 경면 반사율을 플롯하고, 그 피험자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더불어 표시했다.
도 3으로부터, 윤기가 있는 볼은, 확산 반사율이 30% 이상임과 동시에, 경면 반사율이 12%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연대별의 피험자에 있어서의 윤기의 평가
피부 광택 측정 장치 SAMBA FACE(Bossa Nova Technologies사 제조)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20, 30대, 40, 50대 및 60, 70대의 각각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볼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구했다.
도 4에, 확산 반사율에 대하여 경면 반사율을 플롯하고, 그 피험자의 연대를 더불어 표시했다.
[실시예 3] 화장료의 도포에 의한 윤기의 변화
[화장수의 조제]
물(잔여), 에탄올(5 질량%), 글리세린(10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10 질량%), 폴리옥시에틸렌(10)메틸글루코시드(1 질량%), 에리트리톨(1 질량%), 트레할로오스(1 질량%), 히알루론산나트륨(0.1 질량%), 폴리옥시에틸렌(14)폴리옥시프로필렌(7)디메틸에테르(1 질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1 질량%), 가성칼리(적량),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0.2 질량%),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0.1 질량%),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0.2 질량%), 이소스테아릴알콜(0.1 질량%), 이소스테아르산(0.1 질량%), 에데트산삼나트륨(적량), 페녹시에탄올(적량) 및 향료(적량)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유액의 조제]
물(잔여), 에탄올(5 질량%), 글리세린(4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5 질량%), 히알루론산나트륨(0.1 질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1 질량%), 잔탄검(0.1 질량%), 가성칼리(적량), 이소스테아르산(0.5 질량%), 스테아르산(0.5 질량%), 베헨산(0.5 질량%),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1 질량%),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1 질량%), 베헤닐알콜(1 질량%), 바셀린(3 질량%),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5 질량%), 올레핀 올리고머(3 질량%),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2 질량%), 에데트산삼나트륨(적량), 메타인산소다(적량), 페녹시에탄올(적량) 및 향료(적량)를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피험자의 볼에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하면, 물리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언뜻 보아 윤기가 증가한 것으로 느껴졌다.
피부 광택 측정 장치 SAMBA FACE(Bossa Nova Technologies사 제조)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볼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구했다. 다음으로, 피험자의 볼에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볼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했다.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하기 전후의 확산 반사율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하기 전후의 경면 반사율의 변화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화장수 및 유액을 도포함으로써, 볼의 경면 반사율이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수 및 유액의 도포 전후에서 확산 반사율의 변화는 적은 한편, 경면 반사율은 도포 후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화장수나 유액은, 피부에 습기를 부여하는 결과, 각질층 표면의 요철을 일시적으로 평활화하기 때문에, 경면 반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화장수나 유액 등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면 반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제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에 관해서 하기와 같이 검토했다.
[실시예 4] 피부의 경면 반사율에 상관하는 지표의 탐색
피부 광택 측정 장치 SAMBA FACE(Bossa Nova Technologies사 제조)를 이용하여, 피부 외용제를 도포하지 않은 20, 30대, 40, 50대 및 60, 70대의 각각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볼의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했다.
한편, 포스트·잇(3M사 제조)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볼로부터 각질층 세포를 박리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글라스에 양면 테이프를 첩부한 후, 박리한 각질층 세포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전사했다. 또한, 3CCD 리얼 컬러 콘포컬 현미경 OPTELICS H1200A(레이저테크사 제조)에 장착되어 있는 AFM을 이용하여, 5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했다.
도 7에,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에 대한 경면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로부터,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와 경면 반사율 사이의 상관 계수가 -0.222로, 부(負)의 상관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가 저하됨으로써, 경면 반사율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지표로서 이용하여, 피부의 경면 반사율 향상제를 탐색했다.
[실시예 5] 경면 반사율 향상제의 스크리닝
포스트·잇(3M사 제조)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볼로부터 각질층 세포를 박리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글라스에 양면 테이프를 첩부한 후, 박리한 각질층 세포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전사했다. 또한, 3CCD 리얼 컬러 콘포컬 현미경 OPTELICS H1200A(레이저테크사 제조)에 장착되어 있는 AFM을 이용하여, 5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했다. 다음으로, 각질층 세포에 후보 시료 100 μL를 적하한 후,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했다. 또한, 상기한 5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동일하게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했다. 후보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료가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했다.
후보 시료로서, 화장품 소재 9종에 관해서 스크리닝을 행한 결과,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살리실산나트륨, 및 글리콜산을 경면 반사율 향상제로서 스크리닝할 수 있었다. 스크리닝에 의해 얻어진 후보 시료를 하기의 처방으로 더욱 분석을 행했다.
[시료의 조제 1]
0 질량%, 0.1 질량%, 1.0 질량%, 3.0 질량%, 및 10.0 질량% 농도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의 후보 시료를 조제했다.
후보 시료를 첨가하기 전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도 8에 나타낸다.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은, 3.0 질량%까지 용량 의존적으로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이 증가하고, 각질층 세포의 표면이 평활화되고 있는 것이 밝혀진다. 이에 따라, 경면 반사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은, 미백 효과를 갖는 화합물인 점에서, 투명도와, 경면 반사율의 양쪽을 증가시킴으로써, 윤기 향상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시료의 조제 2]
0 질량%, 5 질량% 및 10 질량% 농도의 트리메틸글리신(TMG)의 후보 시료를 조제했다.
후보 시료를 첨가하기 전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도 9에 나타낸다. 트리메틸글리신은, 어떤 농도에 있어서도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에 차는 없었다.
[시료의 조제 3]
상기 시료의 조제 1에 더하여, 1.0 질량% 농도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및 1 질량% 농도의 트리메틸글리신(TMG), 1.0 질량% 농도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및 3 질량% 농도의 트리메틸글리신(TMG), 1.0 질량% 농도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4-MSK) 및 5 질량% 농도의 트리메틸글리신(TMG)을 포함하는 후보 시료를 조제했다.
후보 시료를 첨가하기 전후에 있어서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변화율을 도 10에 나타낸다. 1.0 질량%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과 비교하면, TMG를 더욱 첨가한 경우, 용량 의존적으로 Sa 감소율이 증가했다. 트리메틸글리신 단독에서는, Sa 감소율에 영향이 없었던 한편, 4-메톡시살리실산칼륨과 조합하면 유의하게 Sa 감소율이 증가하고 있어, 상승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시료 1-1의 조제]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3 질량% 및 물 97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1-1을 얻었다.
[시료 1-2의 조제]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10 질량% 및 물 90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1-2를 얻었다.
도 11에, 시료 1-1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1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2에, 시료 1-1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2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시료 1-1은, 물과 비교하여,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 시료 1-1, 1-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3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3으로부터, 시료 중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의 농도가 3∼10 질량%이면,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 2의 조제]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1 질량%, 트리메틸글리신 5 질량% 및 물 94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2를 얻었다.
도 14에, 시료 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1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5에, 시료 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5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5로부터, 시료 2는, 물과 비교하여,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트리메틸글리신 단독에서는, 피부의 경면 반사율이 향상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시료 3의 조제]
살리실산나트륨 3 질량% 및 물 97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3을 얻었다.
도 16에, 시료 3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3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7에, 시료 3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7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7로부터, 시료 3은, 물과 비교하여,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료 4-1의 조제]
글리콜산 4 질량% 및 물 96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4-1을 얻었다.
[시료 4-2의 조제]
글리콜산 40 질량% 및 물 60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4-2를 얻었다.
도 18에, 시료 4-1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8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9에, 시료 4-1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9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19로부터, 시료 4-1은, 물과 비교하여,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에, 시료 4-1, 4-2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0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20으로부터, 피부 외용제 중의 글리콜산의 농도가 4∼40 질량%이면,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 5의 조제]
글리콜산 2 질량%, 트리메틸글리신 5 질량% 및 물 93 질량%를 혼합하여, 시료 5를 얻었다.
도 21에, 시료 5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21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22에, 시료 5를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2에는, 물을 도포하기 전후의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의 감소율도 더불어 나타낸다.
도 22로부터, 시료 5는, 물과 비교하여, 각질층 세포의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피부에 대한 적용 시험
31세∼59세의 여성 피험자 60명을 3군으로 나누고, 후보 미용액을, 입욕 후 1일 1회, 3개월간, 얼굴에 적용했다. 적용 개시 전, 적용 개시 후 1개월째, 2개월째, 및 3개월째에 있어서, 앙케이트를 행했다. 또한, 동시에 각질층 시료를 취득하여, 살결 및 각질층 거칠기를 측정했다. 또한 삼바 페이스(Samba Face)에 의해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을 측정하여 윤기를 평가했다.
[후보 미용액]
후보 미용액으로서 하기의 것을 이용했다:
A: 약제 무배합의 유액상 미용액(대조군)
B: 1%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 5% 트리메틸글리신 배합의 유액상 미용액(1% 4-MSK + 5% TMG 군)
C: 3%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배합의 유액상 미용액(3% 4-MSK 군)
유액상 미용액으로는, 하기의 미용액을 이용했다:
(배합 성분) (질량%)
에탄올 5%
글리세린 2%
디프로필렌글리콜 4%
1,3-부틸렌글리콜 2%
잔탄검 0.1%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1%
신유형(新油型)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2%
바틸알콜 1%
베헤닐알콜 2.5%
메틸폴리실록산 5%
경화유 2.5%
호호바유 3%
에틸헥산산세틸 3%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Na 적량
EDTA-3Na 적량
메틸파라벤 적량
물 잔여
100%
[앙케이트]
앙케이트의 항목은, 피부의 윤기가 좋아졌음: 5점, 약간 좋아졌음: 4점, 변함없음: 3점, 약간 나빠졌음: 2점, 나빠졌음: 1점으로 하여, 그 평균점을 계산했다. 1개월째, 2개월째, 및 3개월째의 결과를 도 23에 나타낸다.
[각질층 거칠기 측정]
피험자의 피부로부터, 포스트잇(등록상표)(3M사)을 이용하여 표면의 각질층 시료를 박리했다.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산술 평균 거칠기(Sa)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적용 개시 전으로부터의 감소율의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살결의 측정]
피험자의 피부로부터, 포스트잇(등록상표)(3M사)을 이용하여 표면의 각질층 시료를 박리했다.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대(臺)의 카본 테이프에 전사하고, SEM으로 촬영했다. 화상 처리(Skin Res Technol 2014; 20: 299-306 참조)를 이용하여, 살결 화소수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25에 나타낸다.
[윤기의 평가]
피험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을 측정했다. 적용 전의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에 대한 3개월 후의 경면 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의 결과를 도 26에 나타낸다.
앙케이트 결과 및 윤기 평가 결과의 양쪽에 있어서, 1% 4-MSK + 5% TMG 군 및 3% 4-MSK 군의 양쪽에서, 피부 윤기의 개선이 보였고, 그 개선도는, 1% 4-MSK + 5% TMG 군 쪽이 우수한 것이 밝혀졌다. 또한, 각질층 거칠기에 의한 윤기의 평가에 있어서도, 동일한 경향이 보였다. 또한, 살결의 측정 결과로부터, 1% 4-MSK + 5% TMG 군 및 3% 4-MSK 군의 양쪽에서 살결이 촘촘해졌다는 결과를 얻었다. 경면 반사율은, 살결이 거칠어지는 것에 의해서도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1% 4-MSK + 5% TMG 및 3% 4-MSK는, 각각 살결을 거칠게 하지 않고 경면 반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Claims (3)

  1.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각질층 세포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시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상기 시료가 도포된 각질층 세포의 표면 거칠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료가 피부의 경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2. 피부의 표면에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편광하고 있는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1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의 표면에 상기 편광을 입사시킨 후, 상기 입사한 편광의 편광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제2 반사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사율 및 상기 제2 반사율로부터, 확산 반사율 및 경면 반사율을 구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확산 반사율 및 상기 경면 반사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피부에 윤기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율 및 상기 제2 반사율을 측정하기 전의 피부에 시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KR1020237017298A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KR20230074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8494 2014-11-10
JPJP-P-2014-228494 2014-11-10
PCT/JP2015/081615 WO2016076313A1 (ja) 2014-11-10 2015-11-10 皮膚のツヤの評価方法、皮膚のツヤ向上剤の探索方法及び皮膚のツヤ向上剤
KR1020177010725A KR20170082516A (ko)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25A Division KR20170082516A (ko)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853A true KR20230074853A (ko) 2023-05-31

Family

ID=559543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298A KR20230074853A (ko)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KR1020177010725A KR20170082516A (ko)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25A KR20170082516A (ko) 2014-11-10 2015-11-10 피부 윤기의 평가 방법, 피부 윤기 향상제의 탐색 방법 및 피부 윤기 향상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81267B2 (ko)
EP (1) EP3219302A4 (ko)
JP (3) JP2016094413A (ko)
KR (2) KR20230074853A (ko)
CN (1) CN107072905B (ko)
TW (2) TWI727936B (ko)
WO (1) WO2016076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3401B2 (ja) * 2015-09-10 2019-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肌の光沢評価装置、光沢評価方法および光沢評価プログラム
EP3530179A1 (en) * 2018-02-27 2019-08-28 Koninklijke Philips N.V. Obtaining images for use in determining one or more properties of skin of a subject
US10732100B2 (en) 2018-06-29 2020-08-04 L'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un protection factor of sunscreen formulations in vitro
CN110890156A (zh) * 2018-09-10 2020-03-17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人脸面部光泽度分类装置、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DE102018222122A1 (de) * 2018-12-18 2020-06-18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m bestimmen von glanz eines abschnitts einer haut eines benutzers
CN112603259B (zh) * 2019-09-18 2022-04-1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皮肤粗糙度检测方法及电子设备
CN118234475A (zh) * 2021-11-11 2024-06-21 株式会社资生堂 皮肤外用剂组合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886A (ja) 1992-05-15 1994-02-1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0063255A (ja) 1998-08-12 2000-02-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4215991A (ja) 2003-01-16 2004-08-05 Shiseido Co Ltd 皮膚の透明感評価方法
JP2012006902A (ja) 2010-05-25 2012-01-12 Shiseido Co Ltd 肌改善のための外用剤セ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美容方法
JP2013040114A (ja) 2011-08-12 2013-02-2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皮膚美白化粧料
JP2013189396A (ja) 2012-03-14 2013-09-26 Shiseido Co Ltd 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5959B1 (fr) * 1990-08-16 1994-01-14 Oreal Appareil destine a permettre d'evaluer la brillance d'une surface, en particulier de la peau.
JP3659818B2 (ja) * 1998-09-29 2005-06-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肌の透明感の測定方法
JP4842424B2 (ja) * 2000-07-07 2011-12-2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皮膚の質感の測定法及び評価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り有効性を示す組成物の使用
US6861050B2 (en) 2001-06-08 2005-03-01 Shiseido Company, Ltd. Method of preventing darkening of skin or inhibiting melanization of melenin monomer and polymerization inhibitor of biological dihydroxyindole compound
JP2003252718A (ja) * 2002-03-01 2003-09-10 Shiseido Co Ltd 生体内ジヒドロキシインドール化合物の重合抑制剤
JP2003047597A (ja) 2001-08-08 2003-02-18 Noevir Co Ltd 皮膚の透明感の評価方法
JP2005239623A (ja) * 2004-02-26 2005-09-08 Shiseido Co Ltd 角質細胞微絨毛様突起改善剤
JP2005320263A (ja) * 2004-05-06 2005-11-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4827433B2 (ja) * 2005-04-21 2011-11-3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4679350B2 (ja) 2005-11-24 2011-04-27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WO2007060823A1 (ja) 2005-11-24 2007-05-31 Shiseido Company, Ltd. 皮膚外用剤
JP2008156326A (ja) * 2006-12-26 2008-07-10 Shiseido Co Ltd 化粧料
US20080194928A1 (en) * 2007-01-05 2008-08-14 Jadran Bandi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rmal imaging
JP2008212189A (ja) * 2007-02-28 2008-09-18 Noevir Co Ltd 皮膚の透明感の簡易的な測定方法
JP2008230995A (ja) * 2007-03-19 2008-10-02 Shiseido Co Ltd 化粧料
JP5449664B2 (ja) * 2007-10-25 2014-03-19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10071096A1 (ja) 2008-12-16 2010-06-24 ボッシュ株式会社 動力取出機構装備車の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動力取出機構装備車用エンジン制御装置
WO2011067162A1 (en) * 2009-12-02 2011-06-09 Unilever Pl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easuring skin age
JP5340907B2 (ja) 2009-12-22 2013-11-13 花王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89026B2 (ja) * 2010-06-17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5999304B2 (ja) * 2012-02-17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40076754A (ko) * 2012-12-13 2014-06-23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윤기 평가방법
CN103822976B (zh) * 2013-10-15 2015-05-27 辽宁省食品药品检验所 一种测定化妆品中4-甲氧基水杨酸钾的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886A (ja) 1992-05-15 1994-02-1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0063255A (ja) 1998-08-12 2000-02-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4215991A (ja) 2003-01-16 2004-08-05 Shiseido Co Ltd 皮膚の透明感評価方法
JP2012006902A (ja) 2010-05-25 2012-01-12 Shiseido Co Ltd 肌改善のための外用剤セ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美容方法
JP2013040114A (ja) 2011-08-12 2013-02-2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皮膚美白化粧料
JP2013189396A (ja) 2012-03-14 2013-09-26 Shiseido Co Ltd 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9302A4 (en) 2018-10-03
CN107072905B (zh) 2020-09-04
TWI727936B (zh) 2021-05-21
US20190212136A1 (en) 2019-07-11
WO2016076313A1 (ja) 2016-05-19
EP3219302A1 (en) 2017-09-20
JP2022033864A (ja) 2022-03-02
JP2016094413A (ja) 2016-05-26
JP7267387B2 (ja) 2023-05-01
JP6987903B2 (ja) 2022-01-05
CN107072905A (zh) 2017-08-18
US10281267B2 (en) 2019-05-07
US20170336199A1 (en) 2017-11-23
TW201944981A (zh) 2019-12-01
KR20170082516A (ko) 2017-07-14
JP2020073933A (ja) 2020-05-14
TW201620522A (zh)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7903B2 (ja) 皮膚のツヤ向上剤の探索方法
KR102114892B1 (ko) 피부 상태의 치료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US11911498B2 (en)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583488B2 (en)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20140170089A1 (en) Photoprotective eye cream and methods
Bağcı et al. Effects of short-term moisturizer application in different ethnic skin types: noninvasive assessment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Jerajani et al. The effects of a daily facial lotion containing vitamins B3 and E and provitamin B5 on the facial skin of Indian women: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EP2852373B1 (en) Vegetable-based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replacement for petrolatum
Hawkins et al. Cleansing, moisturizing, and sun‐protection regimens for normal skin, self‐perceived sensitive skin, and dermatologist‐assessed sensitive skin
Banov et al.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evaluating the effects of two facial serums on skin aging
JP2005172654A (ja) 肌状態の分析結果の表示方法
US2024013908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a and lauroyl lysine
CN116681661A (zh) 一种评价人体面部毛孔改善程度的方法及应用
KR20240087727A (ko) 늘어진 모공 개선제
KR20080021551A (ko) 피부용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