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551A - 피부용수 - Google Patents

피부용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551A
KR20080021551A KR1020070088144A KR20070088144A KR20080021551A KR 20080021551 A KR20080021551 A KR 20080021551A KR 1020070088144 A KR1020070088144 A KR 1020070088144A KR 20070088144 A KR20070088144 A KR 20070088144A KR 20080021551 A KR20080021551 A KR 2008002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ater
people
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요시나리
마사키 다카이
마코토 하토리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건성 피부 등의 피부의 건강 상태를 안전하게 개선할 수 있는 피부용수는,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이 부여된 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소망에 따라 향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피부용수는, 예를 들어 입욕 등의 방법에 의해 피부에 대해서 적용하면, 화학 물질을 사용한 피부용제에 흔히 있는 부작용을 주지 않고 피부의 윤기를 높이고, 피부의 수분량, 탄력성 및 살결 밀도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피부용수는, 피부의 보습제, 건성 피부의 개선제, 피부의 소양감 개선제, 피부의 인비늘 개선제 및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제로서 유효하다.

Description

피부용수{CONDITIONED WATER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피부용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의류, 특히 화학 섬유를 사용한 의류와의 마찰, 직사 광선, 산성비, 부엌 일이나 입욕시에 있어서의 피지의 용해 및 공기 조절기에 의해 인공적으로 설정된 건조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서 건강 상태가 손상되는 일이 많다. 구체적으로는, 거칠어지거나 건조되거나 하고, 또한, 정도가 진행되면 소양감이나 인비늘을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피부는, 노화에 의해 보습성이 상실되어 건조되기 쉬워지고, 소양감이나 인비늘 증상이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피부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염의 발증에 의해, 건강 상태가 손상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건강 상태가 손상된 피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용제가 각종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보르네올을 사용한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11713호), 방선균 배양액을 사용한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5053호), 도코사헥사엔산 (DHA) 이나 리놀렌산 등의 유지를 사용한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90812호) 및 아세로라 종자 추출물을 사용한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17542호)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각종 피부용제는, 모두, 천연물 유래의 것이라고 해도 화학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줄 위험성이 있고, 또한, 이 부작용은 체질에 따라 현저화 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건강 상태를 안전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사용하는 「피부」 의 용어는, 점막이나 각막을 포함한 개념이다.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이 부여된 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피부에 대해서 적용하면, 당해 물의 작용에 의해, 부작용을 주지 않고 피부의 윤기를 높여서 그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피부용수는, 예를 들어, 피부의 보습제, 건성 피부의 개선제, 피부의 소양감 개선제, 피부의 인비늘 개선제 및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한다.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이 부여된 물 (이하, 「기능수」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함유하고 있다. 이 기능수는, 수돗물, 지하수, 하천수, 호소수 및 우물물 등의 물 (원수) 을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처리하여, 원수에 함유되는 칼슘 이온 (2 가의 양이온), 마그네슘 이온 (2 가의 양이온), 구리 이온 (2 가의 양이온), 철 이온 (2 가 및 3 가의 양이온) 및 알루미늄 이온 (3 가의 양이온) 등을 이온 교환 수지측의 나트륨 이온 (1 가의 양이온) 과 교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는, 가교된 삼차원의 고분자의 모체, 예를 들어 스티렌과 디비닐벤젠과의 공중합체에 대해, 술폰산기를 도입한 합성 수지로, 술폰산기 부분이 나트륨 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기능수에 있어서, 다가 양이온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0.2mmol/ℓ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인 제로 레벨을 의미하는 측정 한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가 양이온의 농도는, ICP 발광 분광 분석법에 기초하여 측정했을 경우의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기능수에 있어서, 나트륨 이온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0.3mmol/ℓ 이상 500mmol/ℓ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mmol/ℓ 이상 200mmol/ℓ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나트륨 이온의 농도는, ICP 발광 분광 분석법에 기초하여 측정했을 경우의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상기 서술한 기능수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시키지 않을 정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그레이프후르츠 오일, 스페어민트 오일, 육두구 오일 및 만다린 오일 등의 향료나,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에리토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및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향료나 산화 방지제는, 2 종 이상의 것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원수를 상기 서술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처리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기능수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서술한 다른 성분을 적절하게 첨가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용수를 적용할 수 있는 피부는, 점막 및 각질막을 포함하는 신체 전체의 피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에 대한 적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입욕, 샤워, 세안, 손씻기 및 스프레이에 의한 분사 등의, 피부용수에 의해 피부를 충분히 습윤시킬 수 있는 방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용수가 적용된 피부는, 그대로 건조시켜도 되지만, 통상적으로는 수분을 닦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능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체질을 신경 쓰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화학 물질을 사용한 피부용제에 흔히 있는 부작용을 주지 않고 피부의 윤기를 높여서, 피부의 수분량, 탄력성 (팽팽함) 및 살결 밀도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 효과는, 팔꿈치, 무릎 및 발뒤꿈치 등의 각질층, 건성 피부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띠고 있는 피부 등에 대해 본 발명의 피부용수를 적용했을 경우에 현저하고, 건성 피부에서 보이는 인비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중도의 건성 피부에서 호소되는 경우가 많은 소양감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피부용수는, 피부의 보습제, 건성 피부의 개선제, 피부의 소양감 개선제, 피부의 인비늘 개선제 및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덧붙여서, 상기 서술한 각종 효과는, 피부에 대해서 본 발명의 피부용수를 계속적으로 적용했을 경우, 특히, 1 주일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적용한 경우에 달성되기 쉽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능수로서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이 부여된 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능수는,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 이외의 알칼리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칼륨 이온이 부여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기능수는, 상기 서술한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술폰산기 부분이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고, 이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원수를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A]
본 발명의 피부용수에 의한 입욕 (전신욕) 을 4 주일에 걸쳐 매일 계속한 8명의 피험자에 대해, 피부의 개선 상황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모두 건성 피부라고 진단된, 연령이 30 세 내지 47 세의 여성 (평균 연령 36.9 세) 이다. 여기서 사용한 피부용수는, 수돗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처리해서 얻어진 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가 양이온의 농도가 0.2mmol/ℓ 미만이며, 또한,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0.3mmol/ℓ 이상 500mmol/ℓ 미만인 조건을 만족한 것이다.
평가 1
피험자 전원의 각질층 수분량, 피부 탄력성 및 살결 밀도의 각 항목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각 항목의 평균치를 시험 개시일, 시험 개시 2 주일 후 및 시험 개시 4 주일 후에 비교했다.
(각질층 수분량)
각질층 수분량 측정 장치 (Courage+Khazaka사 제조의 상품명 "Corneometer CM825") 를 사용하여 피부의 전기적 특성, 즉 피부 표면의 캐퍼시턴스 (전기 용량) 를 측정하여, 각질층 수분량을 계측했다. 계측은 3 회 실시하여,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피부 탄력성)
흡인구를 구비한 측정 프로브, 즉 음압 흡인 장치 및 압센서 그리고 그들을 조작하거나 데이터 처리하는 컴퓨터를 구비한 피부 탄력성 측정 장치 (Courage+Khazaka사 제조의 상품명 "Cutometer SEM575") 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 측정에서는, 프로브를 피부 표면에 대고 계측을 개시하면, 프로브 흡인구에 음압이 걸려, 동 부위의 피부가 흡인구에 흡인된다. 그리고, 흡인된 피부의 높이를 광 센서가 마찰이나 기계적 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비접촉적으로 측정한다. 계측은 4 회 실시하여,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살결 밀도)
화인옵트사 제조의 상품명 "마이크로스코프 VI-27" 을 사용하여 취득한 피부의 컬러 화상에 대해, 살결의 분포 상황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화상 해석 소프트 (Inforward사 제조의 상품명 "피구 (皮溝) 해석 소프트") 를 적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컬러 화상에 대해, 상기 화상 해석 소프트에 의해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살결 부위를 강조 추출하여, 살결 부분의 길이의 종합계 (단위는 「pixel」 ) 를 구했다. 그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살결 밀도는, 취득한 컬러 화상 면적에 있어서의 살결의 길이의 비율 (%) 이며, 실질적으로 「살결의 길이 (pixel)」 =「살결 밀도 (%)」 의 관계에 있다.
평가 2
평가 1 의 각 항목을 측정한 것과 같은 날에, 의사의 진단에 의해, 각 피험자의 피부의 건조 상황 및 인비늘의 유무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 있어서, 각 항목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건조 상황)
없음 :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경미 : 아주 조금 증상이 보인다.
경도 : 조금 증상이 보인다.
중간 정도 : 명확한 증상이 보인다.
중도 : 현저한 증상이 보인다.
(인비늘의 유무)
없음 :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경미 : 아주 조금 증상이 보인다.
경도 : 조금 증상이 보인다.
중간 정도 : 명확한 증상이 보인다.
중도 : 현저한 증상이 보인다.
없음 경미 경도 중간 정도 중도
건조 상황 시험 개시일 O 명 1 명 5 명 2 명 0 명
시험 개시 2 주일 후 0 명 5 명 3 명 O 명 O 명
시험 개시 4 주일 후 O 명 7 명 1 명 O 명 O 명
인비늘의 유무 시험 개시일 1 명 6 명 1 명 O 명 O 명
시험 개시 2 주일 후 1 명 7 명 0 명 0 명 0 명
시험 개시 4 주일 후 7 명 O 명 1 명 O 명 0 명
평가 3
평가 1 의 각 항목을 측정한 것과 같은 날에, 의사의 진단에 의해, 피험자 각자가 느끼는 피부의 소양감을 판정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에 있어서, 소양감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없음 :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경미 : 아주 조금 증상이 보인다.
경도 : 조금 증상이 보인다.
중간 정도 : 명확한 증상이 보인다.
중도 : 현저한 증상이 보인다.
없음 경미 경도 중간 정도 중도
소양감 시험 개시일 3 명 1 명 3 명 1 명 0 명
시험 개시 2 주일 후 6 명 2 명 0 명 0 명 0 명
시험 개시 4 주일 후 8 명 0 명 0 명 0 명 0 명
평가 4
시험 개시 전과 시험 종료 후에 각 피험자에 대해서 실시한, 각자 피부의 자기 평가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생각된다 조금 생각된다 보통 별로 생각되지 않는다 생각되지 않는다
입욕 후에 땅기는 감이 있음 시험 개시 전 3 명 2 명 - 1 명 2 명
시험 종료 후 0 명 0 명 - 4 명 4 명
피부는 건조함 시험 개시 전 4 명 2 명 2 명 0 명 0 명
시험 종료 후 1 명 3 명 1 명 2 명 1 명
피부는 매끈매끈함 시험 개시 전 0 명 3 명 2 명 1 명 2 명
시험 종료 후 2 명 4 명 1 명 0 명 1 명
피부에 팽팽함이나 탄력성이 있음 시험 개시 전 0 명 0 명 5 명 1 명 2 명
시험 종료 후 0 명 3 명 4 명 0 명 1 명
피부결은 고운편임 시험 개시 전 0 명 2 명 4 명 1 명 1 명
시험 종료 후 0 명 5 명 2 명 1 명 0 명
[실시예 B]
본 발명의 피부용수에 의한 입욕 (전신욕) 을 4 주일에 걸쳐 매일 계속한 18 명의 피험자에 대해, 피부의 개선 상황을 조사했다. 피험자는, 모두 일본 피부과 학회편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가이드 라인 : 2004년 개정판」 의 기준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의 피진의 중증도가 경증 이하라고 진단된, 연령이 21 세내지 39 세의 일본인 여성 (평균 연령 25.8 세) 이다.
여기서 사용한 피부용수는, 수돗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처리해서 얻어진 물로만 이루어진 물이고, 다가 양이온의 농도가 0.2mmol/ℓ 미만이며, 또한,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0.3mmol/ℓ 이상 500mmol/ℓ 미만인 조건을 만족한 것이다. 또한, 피험자는, 시험 기간 중, 다음 사항을 준수했다.
(1) 종래부터 복용하고 있는 내복약 및 외용제의 사용은 계속해도 되지만, 새로운 내복약 및 외용제의 사용 (복용이나 도포) 은 하지 않는다.
(2)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클렌징, 화장수, 유액, 파운데이션, 보디 크림, 샴푸, 보디 비누 등) 의 사용은 계속해도 되지만, 이들의 화장품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지 않는다.
(3) 과도한 일광욕 행위를 하지 않는다.
(4) 후기하는 관찰 부위의 털을 면도하지 않는다.
평가 1
피험자 전원에 대해, 시험 개시일, 시험 개시 2 주일 후 및 시험 개시 4 주일 후에 관찰 부위 (팔뚝 및 종아리의 피부) 의 진찰, 각질층 수분량 측정, 경표피 수분 증발량 측정 및 피부 탄력성 측정 (단, 팔뚝만) 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진찰)
피부 전문의의 관찰 및 문진에 의해, 관찰 부위의 건조 상태, 인비늘 발생 상태, 붉은 반점 및 소양감을 판정했다.
(각질층 수분량)
실시예 A 의 평가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경표피 수분 증발량)
경표피 수분 증발량 측정 장치 (키스톤사 제조의 상품명 "VAPO METER") 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2 회 실시하여,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피부 탄력성)
실시예 A 의 평가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
각 항목에 대해, 18 명 피험자의 평균치를 실시일간으로 비교했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표 4 에 나타낸 평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개선되었다.
◎ : ○ 의 상태보다 더욱 개선되었다.
× : 개선이 보이지 않는다.
← : ○ 의 상태는 유지되고 있지만, 보다 이상의 개선은 보이지 않는다.
팔뚝 종아리
2주일 후 4 주일 후 2주일 후 4 주일 후
건조 상태
인비늘 발생 상태
붉은 반점 ×
소양감
각질층 수분량
경표피 수분 증발량 × ×
피부 탄력성 - -
표 4 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피부용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평가 2
피험자 전원에 대해, 시험 개시 전 및 시험 개시 4 주일 후에 자기 피부의 감각에 관한 앙케이트 조사를 했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생각된다 조금 생각 된다 변화 없음·보통 별로 생각되 지 않는다 생각되지 않는다
입욕 후에 땅기는 감이 있음 시험 개시 전 50 50 0 0 0
시험 종료 후 0 11 6 50 33
피부는 부드러운 편임 시험 개시 전 0 11 45 33 11
시험 종료 후 6 11 49 28 6
피부는 건조함 시험 개시 전 83 17 0 0 0
시험 종료 후 22 56 11 11 0
피부는 매끈매끈함 시험 개시 전 0 17 17 38 28
시험 종료 후 6 49 17 17 11
피부가 거칠어짐 시험 개시 전 56 33 11 0 0
시험 종료 후 17 22 50 0 11
피부에 팽팽함이 나 탄력성이 있음 시험 개시 전 6 0 28 44 22
시험 종료 후 6 33 33 17 11
피부결은 고운 편임 시험 개시 전 6 0 39 33 22
시험 종료 후 6 28 32 17 17
주간에 피부에 간지럼을 느낌 시험 개시 전 43 28 17 6 6
시험 종료 후 11 33 11 28 17
야간에 피부에 간지럼을 느낀다 시험 개시 전 39 33 6 11 11
시험 종료 후 11 22 17 28 22
(단위 : %)
[실시예 C]
시험예 1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발병한 10 마리의 NC/Nga 마우스 (임상 피부염 스코어가 7∼8 정도의 것) 의 등을 본 발명의 피부용수와 세제를 사용하여 1 일 1 회의 비율로 3 주일 (토요일, 일요일을 제외한다) 세정했다. 여기서 사용한 피부용수는, 수돗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처리해서 얻어진 물로만 이루어진 물로, 다가 양이온의 농도가 0.2mmol/ℓ 미만이며, 또한,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0.3mmol/ℓ 이상 500mmol/ℓ 미만인 조건을 만족한 것이다. 또한 세제는, 미요시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액체 비누 (지방산 칼륨 수용액) 를 피부용수에서 2 배로 희석한 것이다.
마우스의 등의 세정은, 피부용수로 적신 후에 비누를 함침시킨 면봉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피부용수를 함침시킨 탈지면으로 3 회 세정하여 세제를 제거한 후, 건면을 사용하여 수분을 닦아내는 것으로 실시했다. 또한, 상기 기간 중 및 상기 기간 종료 후에, 마우스가 사망하는 등의 부작용 증상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시험예 2
피부용수 및 세제를, 각각, 도쿄도 후츄시의 수돗물 및 미요시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액체 비누 (지방산 칼륨 수용액) 를 동 수돗물로 2 배로 희석한 것으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마우스를 세정했다.
평가
시험예 1 및 시험예 2 의 세정을 실시한 각각의 마우스군에 대해, 임상 피부염 스코어, 긁는 행동 및 경표피 수분 증발량을 각각 측정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의 개선 상황을 조사했다. 각 항목의 측정 방법 및 결과는 하기와 같다. 또한, 각 결과에 있어서는, 시험예 1 및 시험예 2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10 마리 마우스로서, 전혀 처치가 이루어져 있지 않는 것 (무처치) 의 결과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임상 피부염 스코어)
Immunogenetics53 : 15-21 (2001) 「A major determinant quantitative-trait locus responsible for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is located on Chromosome 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시험 개시부터 매주 월요일, 수요일 및 금요일에 측정했다.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 4 의 결과는, 10 마리의 마우스의 평균치±표준 오차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험예 2 에 대한 시험예 1 의 유의차 검정에는, Dunnett형 다중 비교 검정을 사용했다. 통계적 유의차는, 위험률 p<O.01 의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했다. 도 4 에 의하면, 시험예 1 은, 시험예 2 및 무처치에 비해, 16 일째 이후에 임상 피부염 스코어에 유의한 저하가 확인된다.
(긁는 행동)
유한회사 노벨테크사의 SCLABA 시스템 (상품명) 에 의해, 마우스가 소정 시간 (20 분) 동안 등을 긁는 횟수와 동일한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긁는 시간의 합계를 시험 개시 전 및 시험 종료 후에 측정했다. SCLABA 시스템 (상품명) 은, 마우스의 머리와 뒷다리를 비자극성인 각각의 색의 형광 색소로 표지하고, 이 마우스의 행동을 일정 시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데이터 처리한다. 데이터 처리에서는, 표지된 2 색 간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에 근접하는 것을 통하여 긁는 행동이라고 간주하고, 또한, 마우스의 일어남 등의 오인식 프레임을 삭제한다. 이로써, 이 시스템은, 마우스의 긁는 행동에 특화하여 검출 및 정량화를 할 수 있다.
긁는 횟수의 결과를 도 5 에, 긁는 시간의 합계를 도 6 에 각각 나타낸다. 도 5, 도 6 의 결과는, 10 마리 마우스의 평균치±표준 오차로서 나태내고 있다. 또한, 시험예 2 및 무처치에 있어서의 각각의 시험 개시 전과 시험 종료 후의 각 유의차 검정에는, Dunnett형 다중 비교 검정을 사용했다. 통계적 유의차는, 위험률 p<0.05 의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했다. 도 5 및 도 6 에 의하면, 시험 종료 후의 긁는 횟수 및 긁는 시간의 합계는, 시험예 1 에 있어서 시험 개시 전에 비해 모두 감소된 반면에, 시험예 2 및 무처치 에 있어서는 시험 개시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경표피 수분 증발량)
경표피 수분 증발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 개시 전 및 시험 종료 후에 측정했다.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의 결과는, 10 마리 마우스의 평균치±표준 오차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험예 1 의 시험 개시 전과 시험 종료 후의 유의차 검정에는, Dunnett형 다중 비교 검정을 사용했다. 통계적 유의차는, 위험률 p<0.05 의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했다. 도 7 에 의하면, 시험예 1 에서는, 유의한 경표피 수분 증발량의 저하가 확인된다.
본 발명은, 그 취지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A 의 평가 1 에 있어서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실시예 A 의 평가 1 에 있어서 피부 탄력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실시예 A 의 평가 1 에 있어서 살결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C 에 있어서 측정한 임상 피부염 스코어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실시예 C 에 있어서 측정한 긁는 횟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실시예 C 에 있어서 측정한 긁는 시간의 합계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실시예 C 에 있어서 측정한 경표피 수분 증발량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다가 양이온이 제거되고 또한 나트륨 이온이 부여된 물을 함유하는 피부용수.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의 보습제인 피부용수.
  3. 제 1 항에 있어서,
    건성 피부의 개선제인 피부용수.
  4.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의 소양감 개선제인 피부용수.
  5.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의 인비늘 개선제인 피부용수.
  6. 제 1 항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제인 피부용수.
KR1020070088144A 2006-09-04 2007-08-31 피부용수 KR20080021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8580 2006-09-04
JPJP-P-2006-00238580 2006-09-04
JP2007116385A JP2008088155A (ja) 2006-09-04 2007-04-26 皮膚用水
JPJP-P-2007-00116385 2007-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51A true KR20080021551A (ko) 2008-03-07

Family

ID=3866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44A KR20080021551A (ko) 2006-09-04 2007-08-31 피부용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57139A1 (ko)
EP (1) EP1897528A1 (ko)
JP (1) JP2008088155A (ko)
KR (1) KR20080021551A (ko)
CA (1) CA2600224A1 (ko)
TW (1) TW2008150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151A (ja) * 2006-10-25 2008-05-08 Miura Co Ltd 洗浄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4265A (en) * 1968-11-27 1972-01-11 Us Army Skin cleaner requiring no addition of water for cleaning therewith
CA1031084A (en) * 1973-03-12 1978-05-09 Robert Kunin Water conditioning process
US20040052826A1 (en) * 2000-09-11 2004-03-18 Elena Fernandez-Kleinle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FR2869535B1 (fr) * 2004-04-28 2009-10-09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sel, une cyclodextrine et un tensioactif et leurs utilis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7528A1 (en) 2008-03-12
CA2600224A1 (en) 2008-03-04
JP2008088155A (ja) 2008-04-17
US20080057139A1 (en) 2008-03-06
TW200815036A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384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compromised skin barrier function
Levin et al. A guide to the ingredients and potential benefits of over-the-counter cleansers and moisturizers for rosacea patients
JP2021168947A (ja) 皮膚への適用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6554540B2 (ja)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US11911498B2 (en)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araf et al. Comparative measurement of hydration effects of herbal moisturizers
EA015357B1 (ru) Осветляющая кожу композиция
US10281267B2 (en) Method for evaluating flow of skin, method for examining skin glow improvers, and skin glow improver
CN108836884A (zh) 一种皂基洁面膏及其制备方法
JP2001510783A (ja) α−ヒドロキシエステルの混合物を含む有効薬剤組成物
Smith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α‐hydroxy acids on skin properties
JP3020278B2 (ja) 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
CN115487086A (zh) 用于提升后续护肤品皮肤保湿性能的组合物及化妆品
JP2007008912A (ja) 生活リズム恒常性維持のための美容施術方法
KR20080021551A (ko) 피부용수
JPS62209010A (ja) 化粧料
KR20200135807A (ko) 미용적 국소 적용을 위한 건조 필름의 용도
Maes et al. Main finished products: moisturizing and cleansing creams
JP2001064149A (ja) 抗老化皮膚化粧料
CN117503638A (zh) 一种沐浴啫喱组合物及其制备方法
Ortonne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ardia® Lipo Line on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surfactants using the repeated open‐application test
Swarnlata Saraf et al. Comparative measurement of hydration effects of herbal moisturiz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