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254A -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 Google Patents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254A
KR20230074254A KR1020237014088A KR20237014088A KR20230074254A KR 20230074254 A KR20230074254 A KR 20230074254A KR 1020237014088 A KR1020237014088 A KR 1020237014088A KR 20237014088 A KR20237014088 A KR 20237014088A KR 20230074254 A KR20230074254 A KR 2023007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ewage tank
sewage
ga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타이 바이
Original Assignee
키우 로보틱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우 로보틱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키우 로보틱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7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가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오수탱크 구조는 제1 유로(110a)와 제2 유로(110b)가 구비되는 오수탱크(110)로 구성되며, 제1 유로(110a)는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유체를 오수탱크(110)에서 헤지하며; 제2 유로(110b)는 오수탱크(110)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사용된다.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를 통해 여러 분지로 분류된 후에,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의 각 분지는 하방향으로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액분리가 일어나며, 분리과정에서 가스가 섞인 오수의 각 분지는 오수탱크(110) 내에서 헤지되어 가스가 섞인 오수의 각 분지의 운동에너지가 헤지로 인해 서로 감소, 상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됨으로써 오수 폐기물이 원활하게 오수탱크로 유입되며, 분리된 가스는 다른 유체 분지 중의 가스와 오수탱크에서 헤지되어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흡력 발생 장치가 분리된 가스를 제2 유로(110b)를 통해 흡입하기 쉽게 한다.

Description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본 출원은 청소 전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에 관한 것이다.
오수탱크는 습식 청소기의 중요한 부재 중 하나로 주로 흡입된 오수 폐기물을 수집하는 데 사용된다. 이 중에 기존 오수탱크의 흡입구는 보통 오수탱크의 바닥에 개설되고, 오수탱크 내부로 돌출된 기둥형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오수탱크 안의 기류가 액체를 휘젓기 쉽게 하며 오수탱크 안의 오수가 모터로 흡입되는 것을 초래하여 모터가 쉽게 고장날 뿐 아니라 오수가 습식 청소기 외부로 불어 나갈 수 있다.
본 출원의 각종 실시예들에 의하면,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를 제공하는 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갖는 오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 유로는 모두 상기 오수탱크의 내·외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오수탱크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상기 오수탱크 내에서 여러 분지의 상기 유체를 헤지(
Figure pct00001
)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오수탱크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로에는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분류 출구가 구비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수탱크는, 수용 캐비티를 가지며 일단에 상기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기 제1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탱크 본체의 상기 개구에 근접한 단부 또는 상기 덮개에 개설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로의 분류 출구는 상기 탱크 본체의 측벽을 향하여 분포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로의 입구는 상기 탱크 본체의 측벽을 향하여 분포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로의 입구와 상기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유로의 분류 출구와 상기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의 상기 수용 캐비티의 바닥에 근접한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대하여 분포되어 있는 고단, 저단을 갖으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고단에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저단에 개설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로의 입구와 상기 제1 유로의 분류 출구가 서로 어긋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에는 제2 개구, 제3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의 내부로 돌출된 분류부, 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분류부에 개설되어 상기 제2 개구와 통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배기부에 개설되어 상기 제3 개구와 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와 분류부는 상기 탱크 본체의 축선 양측에 분포되고, 상기 제2 유로의 입구는 상기 배기부의 상기 분류부로부터 떨어진 벽에 개설되어 상기 제1 유로의 분류 출구의 방향과 다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부는 배플(1131)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1131)은 상기 제2 개구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개구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플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덮개 또는 상기 배기부에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의 일단은 상기 제2 유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굴곡 돌출되어 있고, 그 중에 상기 제1 유로의 분류 출구는 상기 분류부의 상기 배플의 굴곡축 방향으로 분포하는 단부에 개설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는 하우징 구조이고, 상기 배기부의 내부 캐비티는 상기 제2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3 개구에 덮어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 본체의 내벽은 매끄럽고 평탄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수탱크 구조는 상기 오수탱크에 설치된 필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를 필터하기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수탱크에는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는 유출 챔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오수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 챔버에 대응하는 중공부를 갖는 브라켓과 상기 중공부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수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청소 장비의 연결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마련된다.
일단에 자신의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기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본체의 상기 덮개에 근접한 단부 또는 상기 덮개에는 제1 유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탱크 본체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상기 유체를 상기 탱크 본체 내에서 헤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기체와 이상 중에 어느 하나에 따른 오수탱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탱크 구조가 상기 기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기체에 설치된 흡력 발생 장치, 바닥 솔 및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단,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이 상기 바닥 솔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이 상기 오수탱크 구조의 오수탱크의 제1 유로의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흡력 발생 장치의 흡입구는 상기 오수탱크의 제2 유로의 출구와 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력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유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흡력 발생 장치의 흡입구는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에 대응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오수탱크 구조와 상기 연결관의 제2 단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제1 유로의 입구의 둘레에 둘러싼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오수탱크 구조와 상기 기체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의 둘레에 둘러싼다.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된 도면 및 설명에서 제시된다.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명세서, 첨부된 도면 및 청구 범위로부터 분명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출원의 실시예 및/또는 예시를 보다 잘 설명하고 살펴보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 세부 사항 또는 예시는 개시된 출원, 현재 설명된 실시예 및/또는 예시 및 현재 이해되는 출원의 최적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범위의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의 구조개략도;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의 분해도;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 청소 장비의 구조개략도;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 청소 장비가 작업 상태하의 단면도;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제공되는 오수탱크 구조와 기체 사이의 조립개략도이다.
그 중에, 도면의 부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00, 오수탱크 구조; 110, 오수탱크; 110a, 제1 유로; 110b, 제2 유로; 110c, 제1 유로의 분류 출구; 110d, 제2 유로의 입구; 110e, 수용홈, 111, 탱크 본체; 112, 덮개; 112a, 제2 개구; 112b, 제3 개구; 113, 분류부; 1131, 배플; 1132, 장착판; 114, 배기부; 120, 필터 어셈블리; 121, 브라켓; 122, 필터부재; 130, 버클; 140, 탄성부재; 150, 핸들; 200, 기체; 300, 흡력 발생 장치; 400, 바닥 솔; 500, 연결관; 610, 제1 실링부재; 620, 제2 실링부재; 700, 전원; 800, 청수탱크; 900, 손잡이.
위에서 언급한 본 출원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설명에서는 본 출원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하지만 본 출원은 여기에 설명된 것과는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의미를 위반하지 않는 경우 유사한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은 아래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중심’, ‘세로’, ‘가로’, ‘길이’, ‘폭’, ‘두께’, ‘상’, ‘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톱’, ‘바닥’, ‘내’, ‘외’,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축방향’, ‘경방향’, ‘둘레방향’ 등의 용어가 지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 표시된 장치나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한 방위로 구성하고 조작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또한 ‘제1’, ‘제2’라는 용어는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이에 의해, ‘제1’, ‘제2’로 한정되는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특징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의 의미는 달리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제한이 없는 한 적어도 2개, 예를 들어 2개, 3개 등이다.
본 출원에서 ‘장착’, ‘접속’, ‘연결’, ‘고정’ 등의 용어는 달리 명시적인 규정 및 제한이 없 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도 되고 , 착탈식 연결도 되고, 일체형 연결도 가능하고;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도 가능하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명확한 제한이 없는 한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가 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특정 상황에 따라 이 출원에서 위에서 언급한 용어의 특정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달리 명시적 규정 및 제한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상방’ 및 ‘상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방 또는 비스듬한 상방에 있거나, 제1 특징의 수준이 제2 특징보다 높다고 의미할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 ‘아래’, ‘하방’ 및 ‘하면’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방 또는 비스듬한 하방에 있거나 제1 특징의 수준이 제2 특징보다 낮다고 의미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 또는 ‘설치’한다고 할 때는 다른 소자 위에 직접 위치할 수 있거나 중간에 위치하는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설명해야 한다.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다른 소자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위치한 소자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수직적', '수평적', '상', '하', '좌', '우'라는 용어 및 이와 유사한 표현은 단지 설명의 목적일 뿐, 유일한 실시 방식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도1 및 도2와 같이 청소 정비용 오수탱크 구조(100)를 제공하며,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는 제1 유로(110a)와 제2 유로(110b)를 갖는 오수탱크(110)를 포함하며, 제1 유로(110a)와 제2 유로(110b)는 모두 오수탱크(110)의 내·외부에 연통하고, 제1 유로(110a)는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여 여러 분지의 유체를 오수탱크(110) 내에서 헤지하며; 제2 유로(110b)는 오수탱크(110)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사용된다.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 제2 유로(110b)에는 모두 입구, 출구가 마련된다는 점을 설명해야 한다. 그 중에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는 청소 장비(예를 들면 습식청소기)의 기체(2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례로 도3~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장비는 기체(200), 및 기체(200)에 설치된 흡력 발생 장치(300)와, 바닥 솔(400)과, 연결관(500)을 포함하고, 연결관(500)은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단, 제2 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이 바닥 솔(400)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오수탱크 구조(100)의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의 입구에 연결되며,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입구는 오수탱크(110)의 제2 유로(110b)의 출구와 통한다. 도 4의 부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에 이외의 화살표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며; 도 5의 점선 화살표는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부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에 이외의 실선 화살표는 가스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설명해야 한다.
청소 장비가 지면을 청소할 때에, 흡력 발생 장치(300)가 작동하여 진공 흡력을 생성하여 지면의 오수 폐기물을 연결관(500)을 통해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의 입구로 흡입한다. 상기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제1 유로(110a)를 거쳐 여러 분지로 분류된 후 오수탱크(110) 내부로 흐른다.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하방향으로 오수탱크(110) 내부로 흘러드는 과정에서, 오수 폐기물과 가스의 무게 차이로 인해 오수 폐기물과 가스가 분리되게 하고, 분리과정에서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는 오수탱크 내에서 헤지되어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의 운동에너지가 헤지로 인해 서로 감소, 상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하여 오수 폐기물을 원활하게 오수탱크(110)로 유입시켜, 분리된 가스는 다른 유체 분지 중의 가스와 함께 오수탱크(110)에서 헤지된다. 나아가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흡력 발생 장치(300)가 분리된 가스를 제2 유로(110b)를 통해 흡입하기 더 쉽게 하며, 가스가 계속 흘러내리고 오수 폐기물과 혼합되어 오수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을 피하며,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 폐기물이 청소 장비의 외부로 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수탱크(11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오수탱크 구조(100)는 청소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는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유체 중의 가스를 오수탱크(110) 내에서 헤지할 수 있으며, 그럼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를 거쳐 여러 분지로 분류된 후,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하방향으로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액분리가 일어나며, 분리과정에서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은 오수탱크 내에서 헤지되어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의 운동에너지가 헤지로 인해 서로 감소, 상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하여, 오수 폐기물을 원활하게 오수탱크(110)로 유입시킨다. 분리된 가스는 다른 유체 분지 중의 가스와 함께 오수탱크(110)에서 헤지되어 나아가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흡력 발생 장치(300)가 분리된 가스를 제2 유로(110b)를 통해 흡입하기 더 쉽게 하며, 가스가 계속 흘러내리고 오수 폐기물과 혼합되어 오수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을 피하며,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 폐기물이 청소 장비의 외부로 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회전기류의 운동에너지의 증대를 강조하는 작동방식에 비해 오수탱크(110) 내의 교란된 물/기류 분지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쉽게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 확률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제1 유로(110a)에는 간격을 두어 분포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분류 출구(110c)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오수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출구(110c)의 수에 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이 수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2개, 4개, 6개 등 짝수일 수도 있고, 물론 예를 들면 3개, 5개, 7개 등 홀수일 수도 있다.
물론,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의 수는 1개일 수 있으며, 상기 분류 출구(110c)의 방향은 자신의 둘레를 향해 분포되며, 이러한 상황은 제1 유로(110a)가 자신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류 출구(110c)를 설치하고, 인접한 두 개의 분류 출구(110c)가 서로 인접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오수탱크(110)는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며 일단에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111)와, 탱크 본체(111)의 제1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 덮개(112)를 포함하되, 제1 유로(110a), 제2 유로(110b)는 탱크 본체(111)의 개구에 근접한 단부 또는 덮개(112)에 개설되어 있다. 덮개(112)는 탱크 본체(1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탱크 본체(111)를 분해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와 같이,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는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해 분포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를 통해 유출된 후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의 바닥으로 곧장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탱크 본체(111) 내의 액면이 용솟음치는 것을 피하고 억제할 수 있으며, 오수 폐기물이 가스에 의해 흩어져 흡력 발생 장치(300)로 반입되거나 외부 환경으로 반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한다. 그리고,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를 통해 유출된 후 탱크 본체(111)의 측벽에 충돌하도록 하며, 기체와 오수 폐기물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분리된 기체가 탱크 본체(111)의 측벽에 부딪혀 다시 방향을 바꾸어 서로 대향하는 사이클론 가스의 충돌을 발생시켜, 이에 의해 기체가 탱크 본체(111) 내의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과 같이,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해 분포된다. 이와 같이, 탱크 본체(111) 내의 파도가 제2 유로(110b)의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더 잘 방지하고, 탱크 본체(111) 내의 오수 폐기물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탱크 본체(111)의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오수탱크(110)가 탱크 본체(111)와 덮개(112)를 포함한다는 전제 하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유로(110b)의 입구와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는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와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청소 장비가 지면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에 오수 폐기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청소 장비가 이동하면 탱크 본체(111) 내부에 저장된 오수가 파도를 발생하도록 하며, 제2 유로(110b)와 탱크 본체(111)의 바닥 사이의 거리를 증대함으로써 파도가 제2 유로(110b)의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더 잘 방지하여 탱크 본체(111)의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덮개(112)의 수용 캐비티 바닥에 근접한 측면은 경사면이고, 경사면은 상대하여 분포된 고단, 저단이 구비되며, 제 2 유로(110b)가 고단, 제 1 유로(110a)가 저단에 개설되어 있다. 제2 유로(110b)를 덮개(112)의 경사면의 고단에 개설함으로써,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제한된 공간에서 탱크 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가능하게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오수탱크(110)가 탱크 본체(111)와 덮개(112)를 포함한다는 전제 하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유로(110b)의 입구와 제 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가 서로 어긋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b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제2 유로(110b)의 입구에서 직접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덮개(112)에 제 2 개구(112a), 제3 개구(112b)를 구비하며; 덮개(112)에는 수용 캐비티의 내부로 돌출된 분류부(113), 배기부(114)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유로(110a)는 분류부(113)에 개설되어 제2 개구(112a)와 통하고, 제2 유로(110b)는 배기부(114)에 개설되어 제3 개구(112b)와 통한다. 이와 같이 하면, 덮개(112)의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덮개(112)에서 제1 유로(110a) 및 제2 유로(110b)를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제1 유로(110a)의 입구는 덮개(112)의 제2 개구(112a)와 통하고, 제1 유로(110a)의 출구는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와 통하며;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탱크 본체(111)의 내부 캐비티와 통하고, 제2 유로(110b)의 출구는 덮개(112)의 제3 개구(112b)와 통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탱크 본체(111)의 내벽은 매끄럽고 평평하다. 이러한 탱크 본체(111)의 내부에는 어떠한 구조도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존의 오수탱크의 입구는 일반적으로 오수탱크의 바닥에 개설되어 오수탱크 내부로 돌출된 기둥형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출원의 오수탱크(11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오수 폐기물의 양이 증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시 오수탱크를 자주 반복적으로 비우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류부(113), 배기부(114)는 일체화 성형 방식으로 덮개(112)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과 같이 배기부(114)와 분류부(113)는 탱크 본체(111)의 축선 양측에 분포되어 있으며,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배기부(114)의 분류부(113)로부터 멀어진 벽에 개설되어 있으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의 방향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오수 폐기물에서 분리된 가스의 탱크 본체(111) 내에 흐름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가스와 다른 유체 분지 내의 가스 간의 충돌 시간을 연장하며, 가스의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분류부(113)는 도 1과 같이 배플(1131)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1131)은 제2 개구(112a)의 하방에 위치하며, 제2 개구(112a)와 사이의 공간이 제1 유로(110a)를 형성하며; 배플(1131)의 적어도 일단은 덮개(112) 또는 배기부(114)에 연결된다. 섞인 오수 폐기물이 덮개(112)의 제2 개구(112a)를 거쳐 분류부(113)의 배플(1131)에 충돌하여 자신이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상쇄시킨 후, 흡력 발생 장치(300)의 작용으로 배플(1131)의 상이한 단을 향해 흐르면서 분류가 이루어진다. 그 중에 분류부(113)의 배플(1131)도 오수탱크(110 )중의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를 통해 오수탱크(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플(1131)의 형상은 ‘L’자형이며, 배플(1131)의 수직 세그먼트는 덮개(112)에 연결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도 배플(1131)의 형상은 ‘ㅡ’자형이며, 배플(1131)의 일단은 배기부(114)에 연결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 1과 같이 배플(1131)의 일단은 제2 유로(110b)의 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중에, 배플(1131)의 일단은 제2 개구(112a)를 향해 굴곡 돌출되어 있고,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는 분류부(113)의 배플(1131)의 일단굴곡축 방향으로 분포하는 단부에 개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력 발생 장치(300)가 작동을 정지한 후, 제1 유로(110a)로 흡입된 잔류 오수 폐기물은 이러한 구조의 분류부(113)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자체 중력에 의해 비스듬히 아래로 흐를 수 있다. 또한, 분류부(113)는 배플(1131)과 덮개(112) 사이에 연결되는 장착판(1132)을 더 포함한다. 물론, 다른 예시에서 배플(1131)의 일단은 탱크 본체(111)의 측벽에 부착될 때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기부(114)는 도 1과 같이 하우징 구조이고 배기부(114)의 내부 캐비티는 제2 유로(110b)를 구성하고 제3 개구(112b)에 덮어둔다. 이러한 구조의 배기부(114)는 가공이 용이하고 덮개(112)의 제3 개구(112b)에 장착하기도 용이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오수탱크 구조(100)는 오수탱크(110)에 설치된 필터 어셈블리(120)를 더 포함하고, 필터 어셈블리(120)는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를 필터하는 데 사용된다. 오수 폐기물과 분리된 가스는 제2 유로(110b)를 거쳐 배출된 후 다시 필터 어셈블리(120)를 통과하여 필터되어 가스를 더욱 정화할 수 있고 가스에 섞인 오수나 쓰레기가 가스에 의해 나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된 가스는 불순물을 운반하여 흡력 발생 장치(300)를 막고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오수탱크(110)에는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대응하는 유출 챔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 1과 같이 필터 어셈블리(120)는 오수탱크(110)에 설치되고 유출 챔버에 대응하는 중공부를 갖는 브라켓(121)과 중공부에 설치된 필터부재(122)를 포함한다. 중공부가 설치된 브라켓(121)은 필터부재(122)를 안정하게 승재하여 필터부재(122)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할 수 있는 한편, 제2 유로(110b)에서 유출된 가스가 브라켓(121)의 중공부를 통과한 후 필터부재(122)를 통해 다시 필터된 후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선택적으로 필터부재(122)는 우수한 탄성, 높은 필터 효율, 낮은 가스 저항, 반복적인 세척 가능 및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는 필터 스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를 효과적으로 필터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필터부재(122)의 형상이 규칙적인 형상이고 외벽이 매끄럽고 둥글어 필터부재(122) 및 덮개(112)의 세척에 유리하다. 예시적으로 필터부재(122)의 형상은 반원형이고, 이에 대응하여 브라켓(121)의 중공부도 반원형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오수탱크(110)의 외벽에는 청소 장비의 연결관(5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0d)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홈(110d)은 연결관(500)을 탱크 본체(111)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탱크 본체(111)의 톱에서 밀어 넣어 청소 장비 전체의 콤팩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를 제공하고, 도1 및 도2와 같이, 이 오수탱크 구조는 일단에 자신의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111)와, 탱크 본체(111)의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112)를 포함하며; 탱크 본체(111)의 덮개(112)에 근접한 단부 또는 덮개(112)에는 탱크 본체(111)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유체를 탱크 본체(111)내에서 헤지하기 위한 제1 유로(110a)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오수탱크 구조(100)는 청소 장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는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유체 중의 가스를 오수탱크(110) 내에서 헤지할 수 있으며, 그럼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를 거쳐 여러 분지로 분류된 후,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하방향으로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액분리가 일어나며, 분리과정에서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 은 오수탱크 내에서 헤지되어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의 운동에너지가 헤지로 인해 서로 감소, 상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하여, 오수 폐기물을 원활하게 오수탱크(110)로 유입시킨다. 분리된 가스는 다른 유체 분지 중의 가스와 함께 오수탱크(110)에서 헤지되어 나아가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흡력 발생 장치(300)가 분리된 가스를 제2 유로(110b)를 통해 흡입하기 더 쉽게 하며, 가스가 계속 흘러내리고 오수 폐기물과 혼합되어 오수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을 피하며,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 폐기물이 청소 장비의 외부로 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회전기류의 운동에너지의 증대를 강조하는 작동방식에 비해 오수탱크(110) 내의 교란된 물/기류 분지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쉽게 흡입되지 않도록 하므로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 확률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체(200) 및 상술한 어느 하나에 따른 오수탱크 구조(100)를 포함하는 청소 장비를 제공하며, 오수탱크 구조(100)는 기체(200)에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청소 장비는 습식 청소기일 수 있다.
일례로 오수탱크 구조(100)와 기체(200)는 걸림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걸림구조는 버클(130), 스프링(140) 및 걸림홈(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 버클(130)은 스프링(140)을 통해 오수탱크(110)의 덮개(120)에 연결되며, 걸림홈은 기체(200)의 버클(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버클(130)과 걸림홈이 걸려 연결되어 있어 연결이 견고하고 착탈하기 용이한 특징이 있다. 오수탱크 구조(100)는 기체(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오수탱크 구조(100)를 클리닝해야 할 경우 기체(200)에서 오수탱크 구조(100)를 분리하여 즉시 클리닝할 수 있어 분해가 용이하고 장착도 용이한 특징이 있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오수탱크(110)의 탱크 본체(111)의 외벽에는 핸들(15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핸들(150)이 오수탱크(110)을 밀어당기기 쉽고 오수탱크(110)의 착탈하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 장비에 있어서, 오수탱크 구조(100)의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가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여 여러 분지의 유체 중의 가스를 오수탱크(110)내에서 헤지할 수 있으며, 그럼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를 거쳐 여러 분지로 분류된 후,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하방향으로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액분리가 일어나며, 분리과정에서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는 오수탱크 내에서 헤지되어 각 분지의 가스가 섞인 오수의 운동에너지가 헤지로 인해 서로 감소, 상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하여, 오수 폐기물을 원활하게 오수탱크(110)로 유입시킨다. 분리된 가스는 다른 유체 분지 중의 가스와 함께 오수탱크(110)에서 헤지되어 나아가 자신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흡력 발생 장치(300)가 분리된 가스를 제2 유로(110b)를 통해 흡입하기 더 쉽게 하며, 가스가 계속 흘러내리고 오수 폐기물과 혼합되어 오수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을 피하며,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 폐기물이 청소 장비의 외부로 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회전기류의 운동에너지의 증대를 강조하는 작동방식에 비해 오수탱크(110) 내의 교란된 물/기류 분지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오수탱크(110) 내의 오수 폐기물이 흡력 발생 장치(300)에 쉽게 흡입되지 않도록 하므로 흡력 발생 장치(300)의 손상 확률을 감소시킨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장비는 기체(200)에 설치된 흡력 발생 장치(300), 바닥 솔(400) 및 연결관(500)을 더 포함하며; 연결관(500)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단, 제2단을 포함하고, 제1 단이 바닥 솔(400)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오수탱크 구조(100)의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의 입구에 연결되며;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입구는 오수탱크(110)의 제2 유로(110b)의 출구와 통한다. 바닥 솔(400) 에 의해 세척 후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입력에 의해 연결관(500)을 따라 제1 유로(110a)를 통해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로 들어갈 수 있으며, 분리된 가스는 제2 유로(110b)를 통해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에서 배출되고 나서 흡력 발생 장치(300)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청소 장비에는 기체(200) 내에 설치되고 바닥 솔(400) 및 흡력 발생 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700)도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업 전원을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는 점을 설명해야 하며, 여기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기체(200)에는 용납 캐비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흡력 발생 장치(300와 전원(700)은 모두 용납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흡력 발생 장치(300)는 제2 유로(110b)의 상방에 위치하며, 발생 장치(300)의 흡입구는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대응한다. 이에 의해, 흡력 발생 장치(300)가 오수탱크(110) 중의 가스를 흡입하기에 도움이 된다. 이 중에, 기체(200)의 밑단에는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공형 또는 그물형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200)에는 용납 캐비티와 연통하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와 같이, 청소 장비는 오수탱크 구조(100)와 연결관(500)의 제2 단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1 실링부재(610)를 더 포함하고, 제1 실링부재(610)는 제1 유로(110a)의 입구의 둘레에 둘러싼다. 제1 실링부재(610)의 설치에 의해 연결관(500)과 오수탱크 구조(100) 사이의 연결 부위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오수 폐기물에 섞인 가스가 연결관(500)과 오수탱크 구조(100)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중에, 상기 제1 실링부재(610)는 연결관(500)의 제2 단의 개구에 설치하거나 필터 어셈블리(120)의 브라켓(121)에 설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실링부재(610)는 고무 링일 수 있으며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와 같이, 청소 장비는 오수탱크 구조(100)와 기체(200)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2 실링부재(620)를 더 포함하고, 제2 실링부재(620)는 제2 유로(110b)의 출구의 둘레에 둘러싼다. 상기 제2 실링부재(620)는 필터 어셈블리(120)의 브라켓(121)에 설치되거나 기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620)의 설치에 의해 오수탱크 구조(100)의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기체(200)과의 연결 부위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착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청소 장비에는 청수탱크(800)가 더 포함되며, 청수탱크(800)는 기체(2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관을 통해 바닥 솔(400)에 연결되어 바닥 솔(400)에 물을 분사하여 바닥을 세척하는 수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청소 장비에는 기체(200)의 톱에 설치된 손잡이(900)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청소 시 잡기 편리하고 사용감이 향상되게 한다.
선택적으로 청소 장비에는 손잡이에 설치된 전원 키가 더 포함되며, 전원 키는 청소 장비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전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오수탱크 구조(100)를 제공하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는 탱크 본체(111) 및 탱크 덮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 중에 탱크 덮개 어셈블리는 탱크 본체(111)의 톱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탱크 본체(111)에는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 본체(111)는 구체적으로 컵 모양과 같을 수 있으며,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에는 별도의 구조가 없으며 수용 캐비티의 내벽이 세척이 용이하도록 매끄럽고 둥글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 본체(111)의 일단(구체적으로는 톱)에는 수용 캐비티에 연통하는 개구가 개설되고, 탱크 덮개 어셈블리는 덮개(112)와 제1 유로(110a)를 포함하고, 덮개(112)는 탱크 본체(111)의 개구에 근접한 일단(구체적으로는 톱)에 설치되며,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덮개(112)는 탱크 본체(111)를 밀폐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탱크 본체(111)에 덮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덮개(112)는 구체적으로 탱크 본체(1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탱크 본체(111)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제1 유로(110a)는 덮개(112) 및 수용 캐비티에 연통되어 있고, 제1 유로(110a)의 끝단에는 짝수개의 분류 출구(110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유로(110a)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분류 출구(110c)와 동일한 수의 유체 분지로 분류되어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체 분지를 형성하며, 각 복수의 유체 분지에 의해 운반되는 운동에너지는 쌍으로 동일하다. 각 복수 유체 분지에 의해 운반되는 운동에너지가 쌍으로 동일한 경우는 각 복수 유체 분지에 의해 운반되는 운동에너지가 쌍으로 완전히 동일하거나 대체로 동일하다는 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해야 한다.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의 작동원리는 대략 다음과 같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는 흡력에 의해 덮개(112)에 들어간 후 제1 유로(110a)를 거쳐, 제1 유로(110a)의 내관벽에 충돌하여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을 제1 유로(110a)에서 분류하고, 분류 출구(110c)를 통해 분류 출구(110c)와 동일한 수의 유체 분지로 분류하여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체 분지를 형성한다. 각 복수의 유체 분지는 수용 캐비티 내로 흘러들어 서로 헤지하여 오수 폐기물에 섞인 가스가 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이 중에 오수 폐기물은 중력의 관성에 의해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바닥으로 들어가면서 가스는 외부 환경으로 배출된다.
요약하면, 이 오수탱크 구조(100)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오수탱크 구조(100)는 탱크 본체(111)에 덮인 덮개(112)에 제1 유로(110a)를 설치하여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가 제1 유로(110a)에서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가스를 오수 폐기물에서 분리하여 외부환경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제1 유로(110a)는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덮개(112)에 설치함으로써 탱크 본체(111)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용 공간을 줄이며 청소하기 용이하다. 또한,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는 흡력의 작용으로 덮개(112)에서 제1 유로(110a)를 거쳐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를 통해 분류 출구(110c)와 동일한 수의 유체 분지로 분류되어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체 분지를 형성하고, 각 복수의 유체 분지는 수용 캐비티로 흘러들어 서로 헤지하여 대향하는 사이클론 가스의 충돌을 발생시킴으로써 가스와 오수 폐기물이 탱크 본체(111)내에서의 상호 운동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고,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내에 액면의 용솟음침을 억제하여 오수 폐기물이 가스에 의해 흩어져 모터로 반입되거나 외부환경으로 반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하고, 가스와 오수 폐기물의 분리도를 높인다. 요컨대,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장공간이 넓으며 청소가 용이하고 가스와 오수 폐기물의 분리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덮개 어셈블리는 덮개(112) 및 수용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2 유로(110b)를 더 포함하며;
수용 캐비티 내에 복수의 유체 분지는 서로 헤지하여 그 안에 섞인 가스를 이로부터 분리하도록 하고, 분리된 가스는 제2 유로(110b)를 통해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제2 유로(110b)는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덮개(112)에 설치되어 탱크 본체(111)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용 공간을 줄이며 청소하기 용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복수의 유체 분지는 수용 캐비티로 유입되고 서로 헤지하여 오수 폐기물에 섞인 가스가 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이 중에 오수 폐기물은 중력의 관성에 의해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바닥으로 들어가고 가스는 제2 유로(110b)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제1 유로(110a)의 모든 분류 출구(110c)는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한다.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는 흡력에 의해 덮개(112)에서 제1 유로(110a)로 유입되며, 흡력 및 오수 폐기물 중력의 관성에 의해 제1 유로(110a)로 들어가는 오수 폐기물이 제1 유로(110a)의 내관벽에 충돌할 때 분류 출구(110c)와 동일한 수의 유체 분지로 분류되어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체 분지를 형성하고, 각각 대응하는 분류 출구(110c)를 통해 수용 캐비티로 유입된다. 수용 캐비티로 유입된 후 각 복수의 유체 분지의 유체 분지는 탱크 본체(111)의 측벽에 발사된 후 다시 방향을 바꾸어 서로 대향하는 사이클론 가스의 충돌을 발생시켜, 이를 통해 탱크 본체(111)에서 가스와 오수 폐기물의 상호 운동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고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내에 액면의 용솟음침을 억제하며, 오수 폐기물이 가스에 의해 흩어져 모터로 반입되거나 외부환경으로 반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하고 물과 가스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하므로 탱크 본체(111) 내의 파도가 제2 유로(110b)의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더 잘 방지하여 탱크 본체(111)의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유로(110b)의 입구와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는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에서 유출된 유체가 제2 유로(110b)의 입구에서 직접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어긋난다는 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덮개(112)의 톱 단면은 경사면이고, 덮개(112)는 저단 및 이 저단에 연결된 고단을 포함하며, 제2 유로(110b)는 덮개(112)의 고단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덮개(112)의 저단은 덮개(112)의 톱 단면이 탱크 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가장 짧은 일단을 의미하며, 덮개(112)의 고단은 덮개(112)의 톱 단면이 탱크 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가장 긴 일단을 의미한다는 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청소기와 같은 청소 장비는 청소 과정에서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에 오수 폐기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청소기가 이동하면 탱크 본체(111) 내부에 저장된 오수가 파도를 발생시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제2 유로(110b)의 입구가 제한된 공간에서 탱크 본체(111)의 바닥에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제2 유로(110b)를 덮개(112)의 고단에 설치함으로써 파도가 제2 유로(110b)의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잘 방지할 수 있어 탱크 본체(111)의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덮개 어셈블리는 도 1과 같이 필터 어셈블리(120)를 더 포함하고, 필터 어셈블리(120)는 브라켓(121) 및 필터부재(12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 2 유로(110b)의 출구 위치에 대응하여, 탱크 본체(111)로부터 멀어지는 덮개(112)의 일단에는 분리된 가스가 유출되기 위한 유출 챔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브라켓(121)은 덮개(112)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21)은 덮개(11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분리된 구조일 수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브라켓(121)에는 중공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필터부재(122)는 브라켓(121)의 중공부에 설치된다. 브라켓(121)에 유출 챔버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중공부가 설치된 브라켓(121)은 필터부재(122)를 안정하게 승재하여 필터부재(122)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제2 유로(110b)에서 유출된 가스가 브라켓(121)의 중공부를 통과한 후 필터부재(122)를 통해 다시 필터된 후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오수 폐기물과 분리된 가스는 제2 유로(110b)를 통해 배출된 후 필터부재(122)를 통해 다시 필터되어 가스를 더욱 정화할 수 있고 나아가 가스에 섞인 오수나 쓰레기가 가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122)는 우수한 탄성, 높은 필터 효율, 낮은 가스 저항, 반복적인 세척 가능 및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는 필터 스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를 효과적으로 필터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재(122)의 형상은 반원형이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21)의 중공부도 반원형이다.
상술한 오수탱크 구조(100)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청소기를 더 제공하는 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청소기는 기체(200)와 상술한 오수탱크 구조(100)를 포함하고, 오수탱크 구조(100)는 기체(200)에 세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수탱크 구조(100)와 기체(200)는 걸림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구조는 버클(130), 스프링(140) 및 걸림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는 점을 설명해야 한다. 이 중에 버클(130)은 스프링(140)을 통해 덮개(112)에 연결되며, 버클(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걸림홈이 기체(200)에 설치되며, 버클(130)과 걸림홈이 걸려 연결되어 있어 연결이 견고하고 착탈하기 용이한 특징이 있다. 오수탱크 구조(100)는 기체(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오수탱크 구조(100)를 클리닝해야 할 경우 기체(200)에서 오수탱크 구조(100)를 분리하여 즉시 클리닝할 수 있어 분해가 용이하고 장착도 용이한 특징이 있다.
요약하면, 이 청소기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청소기는 상술한 오수탱크 구조(100)를 채택하며 탱크 본체(111)에 덮인 덮개(112)에 제1 유로(110a)를 설치하여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가 제1 유로(110a)에서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가스를 오수 폐기물에서 분리하여 외부환경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제1 유로(110a)는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덮개(112)에 설치함으로써, 탱크 본체(111)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용 공간을 줄이며 청소하기 용이하다. 또한,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과 같은 유체는 흡력의 작용으로 덮개(112)에서 제1 유로(110a)를 거쳐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를 통해 분류 출구(110c)와 동일한 수의 유체 분지로 분류되어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체 분지를 형성하고, 각 복수의 유체 분지는 수용 캐비티로 흘러들어 서로 헤지하여 대향하는 사이클론 가스의 충돌을 발생시킴으로써 가스와 오수 폐기물이 탱크 본체(111)내에서의 상호 운동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고,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내에 액면의 용솟음침을 억제하여 오수 폐기물이 가스에 의해 흩어져 모터로 반입되거나 외부환경으로 반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하고, 가스와 오수 폐기물의 분리도를 높인다. 요컨대, 상기 청소기(100)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장공간이 넓으며 청소가 용이하고 가스와 오수 폐기물의 분리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3 및 도4와 같이 청소기는 바닥 솔(400), 연결관(500), 흡력 발생 장치(300)를 더 포함하며, 바닥 솔(400), 오수탱크 구조(100) 및 흡력 발생 장치(300)는 아래에서 위로까지 순차로 기체(200)에 장착하는 바, 그 중에, 바닥 솔(400)은 바닥을 세척하는 데 사용되며, 오수탱크 구조(100)는 바닥을 세척한 후의 오수 및 쓰레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흡력 발생 장치(300)는 바닥 솔(400)에 의해 세척한 후의 오수 폐기물 그리고 가스가 오수탱크 구조(100)로 들어가게 하고 오수탱크 구조(100)에서 흘러나오도록 흡입력을 발생한다. 기체(200)에는 용납 캐비티(도시하지 않음)가 있고, 흡력 발생 장치(300)와 전원(700)은 용납 캐비티에 수용되며,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착구는 기체(200)의 밑단에 얼라인되며; 제2 유로(110b)의 출구 위치에 대응하여 기체(200)의 밑단은 중공형 또는 그물형 구조를 형성하고, 기체(200)에는 용납 캐비티와 연통하는 가스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설명해햐 한다. 연결관(500)은 제1 단 및 제1 단과 대향하여 연결하는 제2단, 즉 연결관(500)의 대향 양단을 포함하고, 연결관(500)의 제1 단은 바닥 솔(400)에 연결되고, 연결관(500)의 제2단은 오수탱크 구조(100)의 탱크 덮개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연결관(500)의 제2단은 제1 유로(110a)의 입구와 연통하여 설치되며, 바닥 솔(400)에 의해 세척 후의 가스가 섞인 오수 폐기물은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력 작용에 의해 연결관(500)을 따라 제1 유로(110a)를 통해 탱크 본체(111)의 수용 캐비티 내로 들어가 서로 헤지하는 액류를 형성하며, 가스가 이로부터 분리되어 수용 캐비티의 상부로 상승시키고, 제2 유로(110b)를 통해 오수탱크 구조(100)에서 배출한 후 용납 캐비티로 들어가 가스 배출구를 통해 유출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1 및 도2와 같이 구조적 콤팩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탱크 본체(111)의 가장자리가 탱크 본체(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여 연결관(500)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110e)를 형성하며, 연결관(500)을 탱크 본체(111)에 밀착하여 설치하고 탱크 본체(111)의 톱에서 밀어 넣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도 4와 같이 기체(200) 내에 설치된 전원(700)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700)은 바닥 솔(400) 및 흡력 발생 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기는 또한 상업 전원을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햐 하며, 여기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도 5와 같이, 연결관(500)과 탱크 덮개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6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재(610)는 구체적으로 연결관(500)의 개구에 설치되거나 탱크 덮개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햐 한다. 제1 실링부재(610)의 설치에 의해, 연결관(500)과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연결 부위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오수 폐기물에 섞인 가스가 연결관(500)과 탱크 덮개 어셈블리의 연결 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도 5와 같이 제2 실링부재(620)를 더 포함하고, 제2 실링부재(620)는 제2 유로(110b)의 출구 위치에 오수탱크 구조(100)와 기체(200)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실링부재(620)는 구체적으로 제2 유로(110b)의 출구 위치 또는 기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햐 한다. 제2 실링부재(620)의 설치에 의해 오수탱크 구조(100)의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기체(200)과의 연결 부위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착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과 같이, 청소기는 청수탱크(800)도 포함하며, 청수탱크(800)는 기체(2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관을 통해 바닥 솔(400)에 연결되어 바닥 솔(400)에 물을 분사하여 바닥을 닦는 수원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과 같이, 청소기는 기체(200)의 톱에 설치된 손잡이(900)를 더 포함하여 청소 시 잡기 편리하고 사용감이 향상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소기에는 손잡이(900)에 설치된 전원 키도 포함되며 전원 키는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으며,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고 간주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몇 가지 실시 방식만 나타내며, 이의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 인해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면 안 된다. 해당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 본 출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한다.

Claims (24)

  1. 제1 유로(110a)와 제2 유로(110b)를 갖는 오수탱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110a), 상기 제2 유로(110b)는 모두 상기 오수탱크(110)의 내·외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1 유로(110a)는 상기 오수탱크(1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상기 오수탱크(110) 내에서 여러 분지의 상기 유체를 헤지하며;
    상기 제2 유로(110b)는 상기 오수탱크(110)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110a)에는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분류 출구(110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110)는, 수용 캐비티를 가지며 일단에 상기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111)와 상기 탱크 본체(111)의 상기 제1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 덮개(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110a), 상기 제2 유로(110b)는 상기 탱크 본체(111)의 상기 개구에 근접한 단부 또는 상기 덮개(112)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는 상기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하여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상기 탱크 본체(111)의 측벽을 향하여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110b)의 입구와 상기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와 상기 수용 캐비티 바닥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12)의 상기 수용 캐비티의 바닥에 근접한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대하여 분포되어 있는 고단, 저단을 갖으며, 상기 제2 유로(110b)는 상기 고단에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110a)는 상기 저단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110b)의 입구와 상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12)에는 제2 개구(112a), 제3 개구(112b)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112)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의 내부로 돌출된 분류부(113), 배기부(1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110a)는 상기 분류부(113)에 개설되어 상기 제2 개구(112a)와 통하며, 상기 제2 유로(110b)는 상기 배기부(114)에 개설되어 상기 제3 개구(112b)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114)와 상기 분류부(113)는 상기 탱크 본체(111)의 축선 양측에 분포되고, 상기 제2 유로(110b)의 입구는 상기 배기부(114)의 상기 분류부(113)로부터 떨어진 벽에 개설되어 상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의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113)는 배플(1131)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1131)은 상기 제2 개구(112a)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개구(112a)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1 유로(110a)를 형성하며;
    상기 배플(1131)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덮개(112) 또는 상기 배기부(11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1131)의 일단은 상기 제2 유로(110b)의 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1131)의 일단은 상기 제2 개구(112a)를 향해 굴곡 돌출되어 있고, 그 중에 상기 제1 유로(110a)의 분류 출구(110c)는 상기 분류부(113)의 상기 배플(1132)의 일단 굴곡축 방향으로 분포하는 단부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114)는 하우징 구조이고, 상기 배기부(114)의 내부 캐비티는 상기 제2 유로(110b)를 구성하고, 상기 제3 개구(112b)에 덮어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111)의 내벽은 매끄럽고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는 상기 오수탱크(110)에 설치된 필터 어셈블리(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상기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를 필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110)에는 상기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대응하는 유출 챔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상기 오수탱크(110)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 챔버에 대응하는 중공부를 갖는 브라켓(121)과 상기 중공부에 설치된 필터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110)의 외벽에는 상기 청소 장비의 연결관(5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0d)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탱크 구조.
  19. 일단에 자신의 수용 캐비티와 통하는 개구를 갖는 탱크 본체(111)와, 상기 탱크 본체(111)의 상기 개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112)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본체(111)의 상기 덮개(112)에 근접한 단부 또는 상기 덮개(112)에는 제1 유로(11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로(110a)는 상기 탱크 본체(111)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러 분지로 분류하고 여러 분지의 상기 유체를 상기 탱크 본체(111) 내에서 헤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20. 기체(200)와 제1항 내지 제19항 중에 어느 하나에 따른 오수탱크 구조(1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가 상기 기체(20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기체(200)에 설치된 흡력 발생 장치(300), 바닥 솔(400) 및 연결관(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500)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단,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이 상기 바닥 솔(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이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의 오수탱크(110)의 제1 유로(110a)의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입구는 상기 오수탱크(110)의 제2 유로(110b)의 출구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력 발생 장치(300)는 상기 제2 유로(110b)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흡력 발생 장치(300)의 흡입구는 상기 제2 유로(110b)의 출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와 상기 연결관(500)의 제2 단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1 실링부재(6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재(610)는 상기 제1 유로(110a)의 입구의 둘레에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비는 상기 오수탱크 구조(100)와 상기 기체(200)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제2 실링부재(6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재(620)는 상기 제2 유로(110b)의 출구의 둘레에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비.
KR1020237014088A 2020-09-30 2021-08-11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KR20230074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058746.X 2020-09-30
CN202011058746.XA CN112075877A (zh) 2020-09-30 2020-09-30 一种污水箱结构及吸尘器
CN202110277181.2A CN112773250A (zh) 2020-09-30 2021-03-15 用于清洁设备的污水箱结构及清洁设备
CN202110277181.2 2021-03-15
PCT/CN2021/112010 WO2022068415A1 (zh) 2020-09-30 2021-08-11 用于清洁设备的污水箱结构及清洁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254A true KR20230074254A (ko) 2023-05-26

Family

ID=7373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088A KR20230074254A (ko) 2020-09-30 2021-08-11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19976B1 (ko)
EP (1) EP4223193A1 (ko)
JP (1) JP2023543642A (ko)
KR (1) KR20230074254A (ko)
CN (3) CN112075877A (ko)
DE (1) DE202021100324U1 (ko)
GB (1) GB2614182A (ko)
WO (2) WO2022068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5877A (zh) * 2020-09-30 2020-12-15 深圳市启为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污水箱结构及吸尘器
CN114947641B (zh) * 2021-08-23 2023-05-09 苏州简单有为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清洁设备
CN114376469B (zh) * 2021-09-01 2022-12-23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的防浪涌装置、回收存储部及表面清洁设备
CN113975920B (zh) * 2021-10-12 2022-12-23 广东维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汽分离装置及其洗地毯机
WO2023083382A1 (zh) * 2021-11-15 2023-05-1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水箱及表面清洁设备
CN114190846B (zh) * 2021-12-17 2022-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污水箱及洗地机
CN114224249B (zh) * 2021-12-17 2022-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分离器、污水箱及洗地机
CN114601394A (zh) * 2022-02-09 2022-06-10 深圳市启为机器人技术有限公司 清洁设备
CN114960065B (zh) * 2022-06-09 2024-04-30 佛山市萌小七科技有限公司 布艺清洗机
CN115104970B (zh) * 2022-07-22 2023-06-30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549A (en) * 1990-04-25 1991-05-07 Williams William H Side loading dual pail wet vacuum with flow divider
JP2008099855A (ja) * 2006-10-19 2008-05-0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CN100536747C (zh) * 2007-04-28 2009-09-09 金日清洁设备(苏州)有限公司 湿式清洁设备
EP2323528A2 (fr) * 2008-08-11 2011-05-25 Winddrop Aspirateur a filtration a eau
EP3021726B1 (de) * 2013-07-18 2017-08-3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Tragbares hartflächenreinigungsgerät
CN104323741B (zh) * 2014-10-03 2016-09-07 张周新 一种干湿两用吸尘器
AU2016101525A4 (en) * 2015-09-14 2016-09-2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07520094U (zh) * 2017-03-14 2018-06-22 周昕薇 一种新型干湿两用吸头
CN207627255U (zh) * 2017-06-30 2018-07-2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集尘筒及具有其的吸尘器
CN108378777B (zh) * 2018-03-07 2020-09-29 添可电器有限公司 回收桶及其吸尘器
CN110537870A (zh) * 2018-05-28 2019-12-0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以及清洁装置的工作方法
CN108720726B (zh) * 2018-07-27 2024-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干湿两用型旋风分离组件及吸尘器
CN109199225B (zh) * 2018-09-30 2023-10-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209346881U (zh) * 2018-11-01 2019-09-06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脏污收集附属装置、地面吸嘴装置以及手持式吸尘器
CN209966272U (zh) * 2018-12-13 2020-01-21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地刷及其真空吸尘湿式清洗两用机
CN111389850A (zh) * 2019-01-03 2020-07-10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
CN210043932U (zh) * 2019-04-12 2020-02-11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污液回收装置以及干湿两用吸尘设备
CN112075877A (zh) * 2020-09-30 2020-12-15 深圳市启为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污水箱结构及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304592D0 (en) 2023-05-10
CN215605373U (zh) 2022-01-25
DE202021100324U1 (de) 2021-04-26
US11019976B1 (en) 2021-06-01
JP2023543642A (ja) 2023-10-17
WO2022068415A1 (zh) 2022-04-07
EP4223193A1 (en) 2023-08-09
CN112075877A (zh) 2020-12-15
GB2614182A (en) 2023-06-28
CN112773250A (zh) 2021-05-11
WO2022068015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4254A (ko)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US20060090428A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CN113243839B (zh) 分离组件、污水储存装置、吸取装置和表面清洁设备
WO2017101255A1 (zh) 用于除尘设备的过滤液箱及具有其的除尘设备
US11234573B1 (en) Water tank for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equipment thereof
JP2016521185A (ja) 掃除機
CN115738495A (zh) 带有气液分离装置的表面清洁装置
CN113440071A (zh) 一种清洁设备用水箱及清洁设备
CN114190843A (zh) 清洁设备及其集污箱
CN113440070A (zh) 清洁设备用污水箱及清洁设备
CN215820806U (zh) 一种用于洗地机的污水箱及洗地机
CN214437809U (zh) 气液分离装置、污水箱及表面清洁装置
CN214433975U (zh) 带有柔性管的表面清洁装置
CN216628441U (zh) 污水箱及洗地机
KR20180006214A (ko) 습식 공기청정기
CN219070151U (zh) 一种液体回收装置
CN114190848B (zh) 污水箱及洗地机
US11344167B1 (en) Water tank for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equipment thereof
CN215820799U (zh) 清洁设备用污水箱及清洁设备
CN114052597A (zh) 污水箱及洗地机
CN216628439U (zh) 清洁设备及其集污箱
CN109008793B (zh) 进风机构及吸尘器
KR200492934Y1 (ko)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CN216256877U (zh) 一种箱体及具有其的清洁设备
KR20210074161A (ko) 벽걸이형 진공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