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34Y1 -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34Y1
KR200492934Y1 KR2020200001577U KR20200001577U KR200492934Y1 KR 200492934 Y1 KR200492934 Y1 KR 200492934Y1 KR 2020200001577 U KR2020200001577 U KR 2020200001577U KR 20200001577 U KR20200001577 U KR 20200001577U KR 200492934 Y1 KR200492934 Y1 KR 200492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space
housing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2020200001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Abstract

벽걸이형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진공발생유도장치; 및 연결호스에 의해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와 연결되고, 오물을 포집하는 오물포집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진공청소기{Wall mounted typ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s}
본 고안은 벽걸이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청소대상면에 있는 머리카락, 먼지 등의 오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포집통에 포집한다.
종래, 진공청소기는 모터 및 포집통이 일체로 구성되고, 청소대상면으로 이동시켜 청소작업을 수행하고, 청소작업이 종료되면 별도의 보관공간으로 이동시켜 보관된다.
한편, 공중화장실 또는 공장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설로서, 안전 또는 청결 등의 이유로 수시로 청소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진공청소기는 청소작업할 때마다 보관장소에서 다중이용시설의 청소대상면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무거운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는 작업자에 대한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작업자에 대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고정되는 진공발생유도장치; 및 연결호스에 의해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와 연결되고, 오물을 포집하는 오물포집장치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진공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일부를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제1공간부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팬; 상기 팬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가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는 호스가 결합되는 흡기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가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호스가 연결되는 배기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1공간부를 제외한 제2공간부에 배치되는 모터몸체; 및 일단부가 상기 모터몸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구획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부로 연장되어 상기 팬과 결합하는 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2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모터몸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제2-1영역과 상기 모터몸체를 냉각한 가열공기가 배출되는 제2-2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모터몸체는, 상기 모터몸체의 냉각공기유입구가 상기 제2-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몸체의 가열공기배출구가 상기 제2-2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발생유도장치가 청소대상면에 연결되는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청소작업을 할 때마다 진공발생유도장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 대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발생유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오물포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필터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필터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진공발생유도장치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진공청소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진공발생유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오물포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상측은 진공발생유도장치(100) 및 오물포집장치(200)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1 및 도 2에서는 흡기구(도 3의 111), 배기구(도 3의 112), 유입홀(도 3의 114c), 및 배출홀(도 3의 110d)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의 내부 구조가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오물포집장치(200)의 내부 구조가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진공청소기(10)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 및 오물포집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청소대상면(C)에 있는 오물을 진공압을 이용하여 흡입하고 포집함으로써, 청소대상면(C)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오물은 먼지 또는 머리카락 또는 청소대상면(C)에 고인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공중화장실 또는 물건을 제조하는 공장과 같이 다중이용시설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대상면(C)은 다중이용시설의 바닥면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발생유도장치(100)는 벽면(W)에 고정된다. 이 경우, 진공발생유도장치(100)는 청소대상면(C)에 연결되는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가 청소대상면(C)에 연결되는 벽면(W)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청소작업을 할 때마다 진공발생유도장치(1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 대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진공발생유도장치(100)는 후술하는 오물포집장치(200)와 연결되어 오물포집장치(200)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발생유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우징(110), 제1구획부재(120), 팬(150), 및 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벽면(W)에 고정된다. 하우징(110)은 청소대상면(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벽면(W)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다중이용이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3과 같이 내부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유닛(1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우징유닛(115)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하우징유닛(115) 중 벽면(W)과 마주보는 하우징유닛(115)은 고정브라켓(미도시)을 매개로 벽면(W)에 볼트결합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10)에는 도 3과 같이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가 형성된다.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는 각각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흡기구(111)는 후술하는 팬(150)이 회전할 때 하우징(110) 외부에서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 사용되고, 배기구(112)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서 하우징(110)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는 도 3과 같이 각각 하우징(110)의 하측벽 중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흡기구 및 배기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의 좌우측벽 등 하우징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11)가 위치하는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흡기커넥터(116)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커넥터(116)에는 흡기구(111)와 연결되는 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기커넥터(116)에는 청소작업을 할 때 연결호스(300)가 결합될 수 있다.
배기구(112)가 위치하는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배기커넥터(117)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커넥터(117)에는 배기구(112)와 연결되는 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
흡기커넥터(116) 및 배기커넥터(117)는 각각 호스와 결합 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커넥터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흡기커넥터(116) 및 배기커넥터(117)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각각 하우징(110)의 하측벽에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구획부재(120)는 도 3과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제1구획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부(110a) 및 제2공간부(110b)로 구획한다. 이때, 제1공간부(110a)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 일부가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와 연결된 영역이고, 제2공간부(110b)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 제1공간부(110a)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다시 말해, 제1공간부(110a)는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의 하측벽 일부 영역과 제1구획부재(120)로 둘러싸인 공간이고, 제2공간부(110b)는 하우징(110)의 나머지 측벽과 제1구획부재(120)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구획부재(120)는 도 3과 같이 하우징(110)의 하측벽을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획부재(120)는 개방된 측부가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하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공간부(110a)를 경유하여 배기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구획부재(120)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패킹(121)이 개재될 수 있다. 패킹(121)은 제1구획부재(120)와 하우징(110) 사이 완충작용을 하고, 제1공간부(110a)를 제2공간부(110b)에 대해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패킹(121)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팬(150)은 도 3과 같이 제1공간부(110a)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팬(150)은 후술하는 모터(13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회전하는 팬(150)은 제1공간부(110a)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키고 배출시킨다. 다시 말해, 제1공간부(110a)의 공기는 팬(150)이 회전할 때 배기구(112)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이동하고,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는 흡기구(111)를 통해 제1공간부(110a)로 이동할 수 있다(도 3의 실선화살표 참조).
팬(150)은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 팬(15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청소대상면(C)에 대한 청소작업을 할 때 회전한다.
이때, 흡기구(111)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연결호스(300)를 통해 후술하는 오물포집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다. 오물포집장치(200)의 내부 공기는 연결호스(300)를 통해 제1공간부(110a)로 배출되고 오물포집장치(20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된다. 오물포집장치(200)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을 통해 오물이 오물포집장치(200)로 흡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팬은 에어건 효과를 발생시킬 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배기구(112)에는 오물포집장치(200)에서 분리된 후술하는 연결호스(300) 또는 흡입호스(400)가 연결되거나 별도의 보조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구(112)에 연결된 호스(즉, 연결호스 또는 흡입호스 또는 보조호스)는 팬(150)의 회전으로 인해 배기구(11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에어건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기구(112)에 연결된 호스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구(11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청소대상면에 고인 물 등을 하수구로 이동시키거나, 작업자의 복장 또는 장비 등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다중이용시설이 공장인 경우, 작업자 또는 장비 등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에어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다중이용시설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130)는 모터몸체(131) 및 모터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몸체(131)는 도 3과 같이 제2공간부(110b)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몸체(13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몸체(131)는 작동하는 과정에 하우징(110)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몸체(131)는 작동하는 과정에 가열되어 고장 또는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모터몸체(131)를 냉각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저온인 공기(이하, 냉각공기라 한다.)가 하우징(110) 외부에서 제2공간부(110b)로 유입되는 유입홀(114c)이 형성되고, 모터몸체(131)를 냉각하며 가열된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이하, 가열공기라 한다.)가 제2공간부(110b)에서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110d)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공간부(110b)는 도 3과 같이 제2구획부재(140)에 의해 제2-1영역(110b-1)과 제2-2영역(110b-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구획부재(14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구획부재(140)의 양측단부는 각각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영역(110b-1)은 제2공간부(110b) 중 제2구획부재(140)의 상측면과 제2공간부(110b)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일부 측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제2-2영역(110b-2)은 제2-1영역(110b-1)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2공간부(110b) 중 제2구획부재(140)의 하측면, 제2공간부(110b)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나머지 측벽, 및 제1구획부재(120)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제2-1영역(110b-1)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측벽에는 유입홀(114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영역(110b-1)은 제2공간부(110b) 중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2영역(110b-2)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측벽에는 배출홀(110d)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2영역(110b-2)은 제2공간부(110b) 중 가열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모터몸체(131)에는 냉각공기가 제2공간부(110b)에서 모터몸체(131)로 유입되는 냉각공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가열공기가 모터몸체(131)에서 제2공간부(110b)로 배출되는 가열공기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몸체(131)는 냉각공기유입구 제2-1영역(110b-1)에 위치하며, 가열공기배출구가 제2-2영역(110b-2)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공기는 유입홀(114c)을 통해 제2-1영역(110b-1)으로 유입되어 냉각공기유입구로 이동하여 모터몸체(131)를 냉각시키고, 가열공기는 가열공기배출구에서 제2-2영역(110b-2)으로 이동하여 배출홀(110d)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3의 점선화살표 참조).
예컨대, 모터몸체(131)는 도 3과 같이 제2구획부재(140)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공기유입구는 제2-1영역(110b-1)에 위치하는 모터몸체(13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가열공기배출구는 제2-2영역(110b-2)에 위치하는 모터몸체(13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축(132)은 도 3과 같이 일단부가 모터몸체(131)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구획부재(12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a)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축(132)은 제1구획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모터축(132)의 타단부는 팬(1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축(132)은 모터몸체(131)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팬(150)은 회전하는 모터축(132)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공간부(110b)에는 흡음재가(160)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음재(160)는 제2-1영역(110b-1) 및 제2-2영역(110b-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흡음재(160)는 모터(130)가 작동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소음 또는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오물포집장치(200)는 청소대상면(C)에 배치될 수 있다.
오물포집장치(200)는 청소작업을 할 때 연결호스(300)에 의해 진공발생유도장치(100)와 연결된다.
이때, 연결호스(300)의 일단부는 오물포집장치(200)에 결합되고, 연결호스(300)의 타단부는 흡기커넥터(1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호스(300)는 오물포집장치(200)와 진공발생유도장치(100)의 제1공간부(110a)를 연결할 수 있다.
오물포집장치(200)는 오물을 포집한다. 이 경우, 오물포집장치(200)는 팬(150)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을 통해 오물을 흡입하고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오물포집장치(200)는 청소작업을 종료할 때, 진공발생유도장치(100)와 분리되고, 연결호스(300)와 함께 별도의 보관장소(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물포집장치(200)는 도 4와 같이 오물포집몸체(210) 및 필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포집몸체(210)는 연결호스(200)에 의해 진공발생유도장치(100)와 연결된다. 오물포집몸체(210)의 내부에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의 작동으로 인해 진공압이 발생하고,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오물을 흡입한다.
오물포집몸체(210)에는 도 4와 같이 오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0a)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유입구(210a)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흡입호스(4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210a)가 위치하는 오물포집몸체(210)의 외측에는 흡입커넥터(220)가 형성되고, 흡입호스(410)의 일단부는 흡입커넥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호스(410)의 타단부에는 청소대상면(C)에 배치되는 흡입본체(42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대상면(C)의 오물은 공기와 함께 흡입본체(420)를 통해 흡입호스(410)로 흡입되어 유입구(210a)로 이동하여 오물포집몸체(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도 4의 실선화살표 참조).
오물포집몸체(210)에는 도 4와 같이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0b)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오물포집몸체(210) 내부로 유입된 오물과 공기 중 오물은 후술하는 필터부(240)에 의해 포집되고, 나머지 공기는 배출구(210b)를 통해 오물포집몸체(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4의 점선화살표 참조).
배출구(210b)가 위치하는 오물포집몸체(210)의 외측에는 배출커넥터(230)가 형성되고, 연결호스(300)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210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공간부(110a)로 이동할 수 있다.
오물포집몸체(210)는 내식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오물포집몸체(210)는 도 4와 같이 수용부(211)와 커버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1)는 내부에 수용공간(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211a)에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의 작동으로 인해 진공압이 발생하고, 발생된 진공압을 통해 오물이 흡입된다.
수용부(211)에는 유입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10a)는 수용부(211)의 상부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물과 공기는 유입구(210a)를 통해 수용공간(2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수용부(211)는 상단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커버부(212)는 수용부(211)의 개방된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212)는 수용부(2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212)는 청소작업을 할 때 수용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211a)으로 유입된 오물이 수용부(211)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커버부(212)는 청소작업을 종료할 때 수용부(2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211a)으로 유입된 오물은 수용부(2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부(212)는 토글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부(2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부(212)에는 배출구(210b)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0b)는 커버부(21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도 4와 같이 오물포집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필터부(240)는 수용부(211)의 수용공간(211a)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오물을 포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오물과 공기 중 오물은 필터부(240)에 포집되고, 나머지 공기는 필터부(240)를 통과하여 커버부(212)에 형성된 배출구(21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여과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240)는 오물을 포집하며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헤파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240)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터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물을 포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도 4와 같이 커버부(21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12)에는 필터부(240)가 지지되는 지지부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커버부(212)의 내측벽에서 수용부(211)의 수용공간(211a)을 향해 돌출되며, 중앙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40)와 지지부재(25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240)는 오물이 많이 포집되어 오염된 경우 지지부재(250)에서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240)는 도 4와 같이 지지부재(250)의 외측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된 필터부(240)와 지지부재(250)는 고정부재(25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240) 및 지지부재(250)에는 각각 고정부재(251)가 관통하는 관통홀(240a, 250a)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40) 및 지지부재(250)를 관통한 고정부재(251)는 지지부재(250)의 바닥면에 걸림으로써 필터부(240)와 지지부재(2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50)의 측벽에는 다수의 장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장공은 지지부재(250)의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240)를 통과한 공기는 장공을 통과하여 배출구(210b)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240)와 유입구(210a) 사이에는 도 4와 같이 방향전환가이드부재(260)가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전환가이드부재(260)는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과 공기가 수용부(21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210a)를 통과한 오물과 공기는 직접 필터부(240)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필터부(240)는 유입구(210a)를 마주보는 영역만이 오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방향전환가이드부재(260)는 커버부(212)의 내측벽에서 수용부(21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전환가이드부재(26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오물포집몸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 잡고 이동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청소대상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저면에 바퀴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가 청소대상면(C)에 연결되는 벽면(W)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청소작업을 할 때마다 진공발생유도장치(1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 대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오물포집장치(200)를 진공발생유도장치(100)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청소작업을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구성이 형성된 진공발생유도장치가 오물포집장치와 이격되어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청소작업 중 오물포집장치만 이동시키면 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청소작업 중 이동시키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청소작업 중 작업자에 대한 전기감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필터부(240')가 집진봉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4의 필터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필터부(240')는 도 5와 같이 집진봉투(241) 및 연결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봉투(241)는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집진봉투(241)는 연결관(242)에 의해 유입구(210a)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오물과 공기는 연결관(242)을 통해 집진봉투(241) 내부로 이동하고, 오물과 공기 중 오물은 집진봉투(241) 내부에 포집되고, 나머지 공기는 집진봉투(241)를 통과하여 배출구(210b)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필터부(240")는 물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4의 필터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필터부(240")는 물(246)과 유입안내관(247)을 포함할 수 있다.
물(246)은 수용부(211)의 수용공간(211a) 하부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유입안내관(247)은 수용부(2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안내관(247)은 일단부가 유입구(210a)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수용공간(211a)의 하부영역에 수용된 물(246)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210a)를 통해 유입된 오물과 공기는 유입안내관(247)을 통해 수용공간(211a)의 하부영역의 물로 이동하고, 오물과 공기 중 오물은 물(246)에 포집되고, 나머지 공기는 물(246)을 통과하여 배출구(210b)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유입안내관(247)의 타단부에는 교란부(24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란부(248)는 물(246)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교란부(248)는 일단부가 유입안내관(247)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유입안내관(247)의 타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교란부(248)의 타단부 중 일부 영역은 교란부(248)의 연장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란부(248)의 타단부는 유입안내관(247)에서 교란부(248)를 경유하여 물(246)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흔들리며 물(246)을 교란시키고, 물(246)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물(246)이 교란됨으로써 효과적으로 물(246)을 통과할 수 있다.
유입안내관(247)의 측벽에는 도 6과 같이 혼합부(249)가 형성될 수 있다. 혼합부(249)는 물(246) 속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부(249)는 교란부(248)에서 배출되는 오물과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물(246) 속으로 이동하는 오물은 혼합부(249)에 충돌하며 물(246)과 용이하게 혼합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물(246)에 포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물은 혼합부(249)에 충돌하며 물(246)과 용이하게 섞일 수 있다.
혼합부(249)는 연결부재(249a) 및 충돌부재(249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49a)는 교란부(248)의 상측에서 유입안내관(247)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49a)는 수용부(2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충돌부재(249b)는 연결부재(249a)에서 수용부(2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충돌부재(249b)는 교란부(248)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충돌부재(249b)는 교란부(248)에서 배출되는 오물과 효과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충돌부재(249b)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충돌부재(249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49a) 및 충돌부재(249b)는 각각 플레이트 형태 또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수용부(211) 내부에는 부유부재(27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유부재(270)는 오물의 유입 등에 의해 수용공간(211a)에 수용된 물(246)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물(246)의 부력에 의해 이동하여 배출구(210b)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211a)의 물(246)이 배출구(210b)를 통해 진공발생유도장치(도 3의 100 참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 팬(도 3의 150 참조) 또는 모터(도 3의 130 참조) 등이 물(246)에 의해 고장 또는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부유부재(270)는 고무와 같이 부유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부재(270)는 커버부(212)에 형성되는 지지부재(25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250)의 바닥면에는 승강가이드부재(27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부유부재(270)는 승강가이드부재(27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선 실시예와 같이 헤파필터(도 4의 240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진공발생유도장치(110')가 팬하우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3의 진공발생유도장치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팬하우징(170)은 팬(15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팬하우징(17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팬하우징(170)은 제1공간부(110a')에 배치된다. 이 경우, 팬하우징(170)은 제1공간부(110a')를 제1-1영역(110a-1) 및 제1-2영역(110a-2)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1영역(110a-1)은 제1공간부(110a') 중 팬하우징(170)의 내부 영역으로, 팬(150)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2영역(110a-2)은 제1공간부(110a') 중 팬하우징(170)의 외부 영역으로, 즉 제1-1영역(110a-1)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팬하우징(170)에는 보조흡기구(170a) 및 보조배기구(170b)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흡기구(170a)는 팬하우징(170)의 측벽 중 흡기구(111)를 마주보는 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보조배기구(170b)는 팬하우징(170)의 측벽에서 제1-2영역(110a-2)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하는 팬(150)에 의해 흡기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보조흡기구(170a)를 통해 제1-1영역(110a-1)으로 유입되고, 제1-1영역(110a-1)을 경유하여 보조배기구(170b)를 통해 제1-2영역(110a-2)을 이동하여 배기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실선화살표 참조). 이 경우, 청소대상면(도 1의 C 참조)의 오물은 제1공간부(110a')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팬하우징(170)과 하우징(110)의 측벽 및 팬하우징(170)과 제1구획부재(120) 사이에는 패킹(121)이 개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진공청소기(10)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와 오물포집장치(200)가 분리되어 설계,제작, 설치됨으로써, 화장실, 식품공장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제품의 부식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가 벽에 걸린 상태로 청소가 진행되어 물이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에 튀지 않아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의 부식이 방지되고,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물이 있는 청소대상면에 닫지 않아 감전으로부터 안전하다.
나아가 벽걸이형 진공청소기(10)는 진공발생유도장치(100, 100')와 오물포집장치(200)가 분리되어 설계, 제작, 설치됨으로써, 물, 먼지, 오염물 제거 작업이 편리하고, 오물포집장치(200)의 세척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 벽면
C: 청소대상면
10: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100, 110': 진공발생유도장치
110: 하우징
111: 흡기구
112: 배기구
110a, 110a': 제1공간부
110a-1: 제1-1영역
110a-2: 제1-2영역
110b: 제2공간부
110b-1: 제2-1영역
110b-2: 제2-2영역
116: 흡기커넥터
117: 배기커넥터
120: 제1구획부재
130: 모터
131: 모터몸체
132: 모터축
140: 제2구획부재
150: 팬
170: 팬하우징
200: 오물포집장치
210: 오물포집몸체
210a: 유입구
210b: 배출구
211: 수용부
212: 커버부
220: 흡입커넥터
230: 배출커넥터
240, 240', 240": 필터부

Claims (4)

  1. 벽면에 고정되는 진공발생유도장치; 및
    연결호스에 의해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에 의해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물을 포함하는 오물을 포집하는 오물포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포집장치는 청소 작업 시 청소 대상면에 배치되고, 청소 작업 종료 시 보관 장소에 보관되고,
    상기 청소 대상면은 공중화장실 또는 공장의 바닥면이고,
    상기 진공발생유도장치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며,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일부를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제1공간부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팬; 및
    상기 팬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1공간부를 제외한 제2공간부에 배치되는 모터몸체; 및
    일단부가 상기 모터몸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구획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부로 연장되어 상기 팬과 결합하는 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2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모터몸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제2-1영역과 상기 모터몸체를 냉각한 가열공기가 배출되는 제2-2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모터몸체는 상기 제2구획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1영역과 상기 제2-2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모터몸체의 냉각공기유입구는 상기 제2-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몸체의 가열공기배출구는 상기 제2-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오물포집장치는,
    물을 포함하는 오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오물포집몸체;
    상기 오물포집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포집하는 필터부; 및
    상기 오물포집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물포집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부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수용된 물속에 위치하는 유입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안내관의 타단부에는 교란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란부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안내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유입안내관의 타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란부의 타단부 중 일부 영역은 교란부의 연장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교란부의 타단부는 상기 유입안내관에서 상기 교란부를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흔들리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교란시키고,
    상기 유입안내관의 측벽에는 상기 교란부에서 배출되는 오물과 충돌하는 혼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부와 충돌한 오물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 혼합되어 포집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교란부의 상측에서 상기 유입안내관의 측벽에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교란부의 타단부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충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가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와 결합되는 흡기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가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호스와 결합 가능한 배기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호스가 상기 배기커넥터에 결합될 때, 상기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커넥터에 결합된 호스에 가이드되어 상기 청소대상면에 고인 물을 이동시키거나 작업자의 복장 또는 장비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1577U 2020-05-11 2020-05-11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KR200492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77U KR200492934Y1 (ko) 2020-05-11 2020-05-11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77U KR200492934Y1 (ko) 2020-05-11 2020-05-11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34Y1 true KR200492934Y1 (ko) 2021-01-06

Family

ID=7413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77U KR200492934Y1 (ko) 2020-05-11 2020-05-11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3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029U (ja) * 1998-06-16 1998-12-22 泰仁 阿部 掃除機
KR20030043805A (ko) * 2003-02-22 2003-06-02 김종민 청소기
KR20050019270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029U (ja) * 1998-06-16 1998-12-22 泰仁 阿部 掃除機
KR20030043805A (ko) * 2003-02-22 2003-06-02 김종민 청소기
KR20050019270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17401B (zh) 分离装置和清洁设备
US3877902A (en) Floor surface treating apparatus
RU2323675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RU2181254C1 (ru) Пылесоб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RU2401046C2 (ru)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мусор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US7406744B2 (en) Central vacuum system with secondary airflow path
RU2520051C2 (ru) Пылесос со съем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тделения пыли
US8707510B2 (en) Extraction cleaner and centrifugal air/water separator therefor
KR20070068941A (ko) 진공청소기
JP2006204882A (ja) 汚物逆流防止部材を備えた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230074254A (ko) 청소 장비용 오수탱크 구조 및 청소 장비
US9351620B2 (en) Vacuum cleaner
KR200492934Y1 (ko)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KR20090034493A (ko) 로봇청소기
RU2416355C2 (ru) Моющий пылесос
EA021774B1 (ru) Пылесос с емкостью для воды, не имеющий средств крепления указанной емкости
US3559383A (en) Bench structure with built-in dust collector
KR20210074161A (ko)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US3146081A (en) Central vacuum cleaning unit
JP2007190234A (ja) 空気清浄機能付き塵埃収集装置
KR20060101082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90079146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04019745A1 (en) Central vacuum cleaner and its central unit
WO2023155286A1 (zh) 一种布局紧凑的清洗机
KR100628044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