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148A -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148A
KR20230074148A KR1020237010005A KR20237010005A KR20230074148A KR 20230074148 A KR20230074148 A KR 20230074148A KR 1020237010005 A KR1020237010005 A KR 1020237010005A KR 20237010005 A KR20237010005 A KR 20237010005A KR 20230074148 A KR20230074148 A KR 2023007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slot
parts
fixing
parts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카라 다카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95Maintenance systems or processes, e.g. indicating need f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파츠 피더(13)는, 부품 취출 위치(13K)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41)와, 피더 베이스(22)에 설치한 슬롯을 따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롯 삽입부(42)와, 본체부로부터 한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피더 베이스(22)에 설치된 고정 기구(31)에 고정되는 피고정 부재(51)와, 고정 기구(31)에 의한 피고정 부재(51)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고정 기구(31)를 조작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52)와,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53)와, 조작 부재의 변위를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전달 기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본 개시는,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슬롯 홈에 부착하여 이용되는 파츠 피더 및 이 파츠 피더를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판에 부품을 장착하는 부품 장착 장치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부로서 기능하는 파츠 피더는, 부품 공급구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의 하부에 슬롯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롯 삽입부가 피더 베이스에 형성된 슬롯 홈에 대해 수평으로 삽입됨으로써 피더 베이스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에는 레버형상의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슬롯 삽입부가 슬롯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 부재와 링크 기구로 연결된 클램프 부재가 작동하고, 피더 베이스에 설치된 피클램프부를 클램프함으로써, 파츠 피더가 피더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14-3160호 공보
부품 장착 장치에서는, 부품을 탑재하는 기판의 종류 변경에 수반하여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의 배치 또는 대수 등을 변경하는 교환 작업이 발생한다. 부품 장착 장치를 사용하는 제조 공장에서는 기판 종류의 변경(기종 변경)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파츠 피더의 교환 작업에 대해 효율화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또, 파츠 피더의 교환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도 검토되어 있으며, 자동화에 적합한 조작으로 교환 작업이 가능한 것이 요망된다.
이에 본 개시는, 피더 베이스에 대한 파츠 피더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파츠 피더는,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슬롯에 부착하여 이용되는 파츠 피더로서,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장착 헤드가 부품을 꺼내는 부품 취출(取出) 위치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 삽입부와, 본체부로부터 한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슬라이드에 의해 피더 베이스에 설치된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피고정 부재와 고정 기구에 의한 피고정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피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기구를 조작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와,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의 변위를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전달 기구를 구비했다.
본 개시의 부품 장착 장치는, 부품을 공급하는 파츠 피더와, 파츠 피더를 장착 가능한 슬롯을 갖는 피더 베이스와, 슬롯에 장착된 파츠 피더로 공급된 부품을 픽업하여 기판에 장착하는 장착 헤드를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로서, 피더 베이스에 파츠 피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설치하고, 파츠 피더는, 장착 헤드가 부품을 꺼내는 부품 취출 위치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 삽입부와, 본체부로부터 한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슬라이드에 의해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피고정 부재와, 피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기구를 조작하여 고정 기구에 의한 피고정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와,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의 변위를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전달 기구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피더 베이스에 대한 파츠 피더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와, 이것에 부착되는 파츠 피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고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고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에 파츠 피더가 장착되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에 파츠 피더가 장착되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슬롯 홈에 파츠 피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슬롯 홈에 파츠 피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의 전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의 전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가 구비하는 피고정 부재와 클램프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에 장착할 때의 고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에 장착할 때의 고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에 장착할 때의 고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d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에 장착할 때의 고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로부터 파츠 피더가 떼내어지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로부터 파츠 피더가 떼내어지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한 고정 해제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한 고정 해제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3c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한 고정 해제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13d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한 고정 해제 조작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부품 장착 장치(1)는 상류 공정측으로부터 반입한 기판(KB)에 부품(BH)을 장착하여 하류 공정 측에 반출하는 부품 장착 작업을 반복 실행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품 장착 장치(1)에 있어서의 기판(KB)의 반송 방향을 따른 수평축을 X축으로 하고, X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Y축, X축과 Y축에 직교하는 상하축을 Z축으로 한다. 또, 작업자(OP)로부터 봤을 때 X축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 Y축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작업자(OP)로부터 먼 쪽을 「전」, 가까운 쪽을 「후」라고 표현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품 장착 장치(1)는, 기대(11), 기판 반송로(12), 파츠 피더(13), 장착 헤드(14), 헤드 이동 기구(15), 부품 인식 카메라(16) 및 제어 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 반송로(12)는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12a)로 이루어지고, 기대(11) 상을 X축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기판 반송로(12)는, 상류 공정측으로부터 보내져 온 기판(KB)을 반입하고, 소정의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도 1에 있어서, 기대(11)의 작업자(OP)로부터 본 앞쪽, 즉 기대(11)의 후단부에는, 피더 대차(21)가 연결되어 있다. 피더 대차(21)는, 상부에 피더 베이스(22)가 설치되어 있다. 파츠 피더(13)는 피더 베이스(2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작업자(OP)로부터 본 안쪽, 즉 전부에 설치된 부품 공급구(13K)에 부품(BH)을 공급한다. 피더 베이스(22)에는 복수의 파츠 피더(13)를 X축을 따라 늘어서서 부착할 수 있다. 피더 대차(21)를 기대(11)에 연결시키면, 피더 베이스(22)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파츠 피더(13)가 일괄하여 기대(11)에 접속된다.
도 1에 있어서, 장착 헤드(14)는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노즐(14N)을 구비하고 있다. 각 노즐(14N)은 승강 동작과 Z축 둘레의 회전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는 진공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이 공급됨으로써, 하단에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헤드 이동 기구(15)는, 예를 들면 XY 테이블 기구로 이루어지고, 기대(11)의 상방의 영역에서 장착 헤드(14)를 수평면(XY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1에 있어서, 부품 인식 카메라(16)는 기대(11) 상에 있어서의 기판 반송로(12)와 피더 대차(21)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부품 인식 카메라(16)는 촬상광축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있다. 부품 인식 카메라(16)는, 노즐(14N)로 부품(BH)을 흡착한 장착 헤드(14)가 상방을 통과할 때에, 각 부품(BH)을 촬상한다.
제어 장치(17)는, 부품 장착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7)는, 기판 반송로(12)에 의한 기판(KB)의 반송 동작과 작업 위치에 대한 위치 결정 동작을 제어하여, 각 파츠 피더(13)에 의한 부품(BH)의 공급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17)는, 장착 헤드(14)가 구비하는 복수의 노즐(14N) 각각의 승강 및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각 노즐(14N)의 하단에 부품(BH)의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 장치(17)는, 헤드 이동 기구(15)를 작동시켜, 장착 헤드(14)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17)는 또, 부품 인식 카메라(16)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부품 장착 장치(1)가 부품 실장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먼저, 상류 공정측으로부터 보내져 온 기판(KB)을 기판 반송로(12)가 수취하여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기판(KB)이 위치 결정되면 헤드 이동 기구(15)가 작동하여 장착 헤드(14)를 파츠 피더(13)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장착 헤드(14)는 복수의 노즐(14N) 각각에 부품(BH)을 흡착시킨다. 노즐(14N)에 부품(BH)을 흡착시킨 장착 헤드(14)는 부품 인식 카메라(16)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이동되고, 부품 인식 카메라(16)는 각 부품(BH)을 인식한다.
부품 인식 카메라(16)가 부품(BH)을 인식하면, 헤드 이동 기구(15)는 장착 헤드(14)를 기판(KB)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장착 헤드(14)는 기판(KB) 상에 설정된 목표 장착 좌표에 부품(BH)을 장착시킨다. 이러한 부품(BH)의 흡착, 인식 및 장착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이 반복 실행되어, 기판(KB)에 장착되어야 할 모든 부품(BH)이 장착되면, 기판 반송로(12)가 작동하여, 기판(KB)을 하류 공정측에 반출한다. 이에 의해 기판(KB)의 1장당 부피 장착 작업이 종료된다.
이러한 구성의 부품 장착 장치(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츠 피더(13)의 구성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 그 설명을 행한다.
먼저, 파츠 피더(13)가 부착되는 피더 베이스(2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부품 장착 장치(1)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22)와 이것에 부착되는 파츠 피더(1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피더 베이스(22)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피더 베이스(22)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에는 복수의 슬롯 형성 부재(23)가 X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슬롯 형성 부재(23)는, 피더 베이스(22)에 파츠 피더(13)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나의 슬롯 형성 부재(23)는,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의 전방 영역(작업자(OP)로부터 봤을 때 먼 쪽의 상면 영역)에 배치된 제1 슬롯 형성 부재(23A)와, 후방 영역(작업자(OP)로부터 봤을 때 가까운 쪽의 상면 영역)에 배치된 제2 슬롯 형성 부재(23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슬롯 형성 부재(23A)는 T자 단면을 갖는 Y축을 따라 가늘고 긴 봉형상 부재이며, 제2 슬롯 형성 부재(23B)는 YZ 평면에 평행한 측면을 갖는 블록형상 부재이다. 제1 슬롯 형성 부재(23A)와 제2 슬롯 형성 부재(23B)는,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인접한 다른 제1 슬롯 형성 부재(23A)와 제2 슬롯 형성 부재(23B)로 하나의 슬롯(슬롯 홈(23S))을 형성하고 있다.
도 7a는 제1 슬롯 형성 부재(23A)와 피더 베이스(22)의 XZ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거리 MH1만큼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제1 슬롯 형성 부재(23A)는, 단면 역T자형의 제1 슬롯 홈(23SA)을 형성하고 있다. 도 7b는 제2 슬롯 형성 부재(23B)와 피더 베이스(22)의 XZ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거리 MH2만큼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제2 슬롯 형성 부재(23B)는, 폭 MH2의 제2 슬롯 홈(23SB)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슬롯 홈(23SA)과 제2 슬롯 홈(23SB)은 Y축을 따라 직렬하여 하나의 슬롯 홈(23S)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슬롯 홈(23S)이 하나의 슬롯을 구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슬롯은 두 개의 슬롯 형성 부재(23)의 측면과 두 개의 슬롯 형성 부재(23) 사이로부터 노출되는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상방으로 열린 홈이다.
도 3에 있어서 각 파츠 피더(13)는, 이들 복수의 슬롯 홈(23S)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부착된다. 이때 파츠 피더(13)는 슬롯 홈(23S)의 작업자(OP)로부터 봤을 때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슬라이드하여 삽입된다. 이후, 이 슬라이드 방향을 장착 방향(도 4의 파선 화살표 At)이라 부른다. 또, 파츠 피더(13)를 슬롯 홈(23S)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파츠 피더(13)를 장착 방향(At)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도 4의 파선 화살표 Re)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피더 베이스(22)의 안쪽 단부에는 슬롯 홈(23S)에 삽입된 파츠 피더(13)를 위치 결정하는 피더 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다. 피더 스토퍼(24)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각 슬롯 홈(23S)에 대응한 배치로 상측 핀 삽입 구멍(24A)과 하측 핀 삽입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지만, 파츠 피더(13)는 그 선단부에 상측 핀(43)과 하측 핀(44)을 구비하고 있고, 파츠 피더(13)가 슬롯 홈(23S)에 삽입되어 장착 방향(At)으로 이동하면 상측 핀(43)은 상측 핀 삽입 구멍(24A)에, 하측 핀(44)은 하측 핀 삽입 구멍(24B)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파츠 피더(13)의 선단부의 적어도 Z축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높이 위치)와 X축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피더 베이스(22)의 후부(작업자(OP)로부터 본 앞쪽)의 하면에는, 피더 베이스(22)의 후측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브래킷(25)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래킷(25)은 피더 베이스(22)의 하면에 장착된 제1 부재(25A)와 제1 부재(25A)의 하면에 장착된 제2 부재(2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25A)는 Y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후단면에는 각 슬롯 홈(23S)에 대응한 배치로 소켓(26)이 설치되어 있다. 소켓(26)은 전기 배선용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한쪽의 부재이다. 또, 제2 부재(25B)는 Y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그 후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단면 L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에는, 각 슬롯 홈(23S)에 대응한 배치로 결합 핀(27)이 설치되어 있다. 소켓(26)과 결합 핀(27)은 모두 Y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피더 베이스(22)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지지부(22B)가 X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부(22B)는, 인접한 지지부(22B) 사이에 끼인 공간이 슬롯 홈(23S)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지지부(22B) 사이에 끼인 공간에는, 각 슬롯 홈(23S)에 대응한 배치로 고정 기구(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a는, 고정 기구(31)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고정 기구(31)의 평면도이다. 고정 기구(31)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32)과 탄성 가압 스프링(36)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32)의 중간부에는 X축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축(22J)이 관통하고 있다. 지지축(22J)은 그 양단이 지지부(22B)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22B) 사이에 끼인 공간에 있어서 아암(32)을 지지한다. 따라서 아암(32)은 지지축(22J)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부(22B)에 지지되어 있다.
아암(32)은 한 쌍의 프레임(32a)과, 한 쌍의 프레임(32a)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피조작부(35)와, 한 쌍의 프레임(32a)의 중간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고정자(34)와, 한 쌍의 프레임(32a)의 전부을 연결한 받이부(33)를 갖는다. 아암(32)은 지지축(22J)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자(34)를, 고정자(34)로부터 더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피조작부(35)를 갖고 있다. 즉 피조작부(35)는 고정자(34)보다 지지축(22J)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자(34) 및 피조작부(35)는 표면이 매끄러운 핀, 또는 X축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베어링)로 구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고정 기구(31)의 탄성 가압 스프링(36)은 브래킷(25)의 제1 부재(25A)에 장착되어 있고, 아암(32)의 받이부(33)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슬롯 홈(23S)에 파츠 피더(1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암(32)은 탄성 가압 스프링(36)에 의해 요동하여, 받이부(33)가 피더 베이스(22)의 하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정지(靜止)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 기구(31)는, 한 방향(장착 방향(At))에 대해 수평으로 교차하는 축(지지축(22J))을 중심으로 요동하며, 축으로부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Re)으로 연장된 아암(32)을 갖는다. 아암(32)은 축보다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자(34)와, 고정자(34)로부터 이탈 방향(Re)으로 떨어진 위치에 캠 팔로어부로서의 피조작부(35)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조작부(35)는, 고정자(34)보다, 고정 기구(31)의 요동 지점인 지지축(22J)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파츠 피더(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파츠 피더(13)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파츠 피더(13)의 저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파츠 피더(13)는, 전체적으로 YZ면을 따른 L자형 형상의 본체부(41)를 갖고 있다. 본체부(41)는 선단 쪽의 상부에 상술한 부품 공급구(13K)를 갖고 있으며, 내부에는, 부품 공급구(13K)에 부품(BH)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1)의 후부의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은 연결부(46)로 되어 있다. 파츠 피더(13)의 일례로서는, 부품을 수납한 캐리어 테이프를 반송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테이프 피더나, 카세트에 수납된 부품을 일렬로 늘어서서 반송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벌크 피더여도 된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본체부(41)의 선단부에는, 제1 결합부로서의 상측 핀(43)과 하측 핀(44)이 각각 전방을 향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측 핀(43)은 본체부(41)의 전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측 핀(44)은 본체부(41)의 전단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41)의 전부 하면에는, 슬롯 삽입부(42)와 결합 돌기(45)가 설치되어 있다. 슬롯 삽입부(42)는, 피더 베이스(22)에 설치된 제1 슬롯 홈(23SA)에 삽입 가능한 형상(단면이 역T자형인 형상)을 갖고 있다. 슬롯 삽입부(42)는 제1 슬롯 홈(23SA)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본체부(41)는 그 전단부가 피더 베이스(22)에 설치된 피더 스토퍼(24)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도 7a는, 제1 슬롯 홈(23SA)에 삽입된 슬롯 삽입부(42)를 피더 베이스(22)와 함께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슬롯 삽입부(42)의 상단부의 폭 방향 치수(W1)는 제1 슬롯 홈(23SA)의 홈폭(MH1)보다 좁지만 하단부의 폭(W2)은 홈폭(MH1)보다 넓어져 있어, 그 단면 형상은 제1 슬롯 홈(23SA)의 역T자형의 단면 내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결합 돌기(45)는 피더 베이스(22)에 설치된 제2 슬롯 홈(23SB)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 돌기(45)의 하방으로부터 본 외경 형상은 원통형의 핀이며, 본체부(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결합 돌기(45)는 슬롯 삽입부(42)의 연장선상, 즉 슬롯 삽입부(42)의 Y축을 따른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결합 돌기(45)는, 슬롯 삽입부(42)가 제1 슬롯 홈(23SA)에 삽입되면 그것에 안내되면서 제2 슬롯 홈(23SB)에 삽입된다.
도 7b는, 제2 슬롯 홈(23SB)에 결합 돌기(45)가 삽입된 상태를 XZ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결합 돌기(45)의 홈폭 방향의 치수(D)(직경(D))는, 제2 슬롯 홈(23SB)의 홈폭(MH2)에 대해 "헐거운 끼워 맞춤(clearance fit)"이 되는 공차분만큼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돌기(45)는 제2 슬롯 홈(23SB) 내에서는 Y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X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해 구속된다. 또, 결합 돌기(45)는 제2 슬롯 형성 부재(23B) 사이에 있어서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슬롯의 상면)에 맞닿는다. 파츠 피더(13)가 고정 기구(31)에 의해 피더 베이스(22)에 고정되면, 파츠 피더(13)에는 고정 기구(31)에 의한 하향의 힘이 작용하는데, 그 힘의 대부분은 결합 돌기(45)와 피더 베이스(22)가 접촉하는 좁은 접촉면에 집중한다. 이에 의해 결합 돌기(45)는 피더 베이스(22)에 강한 힘으로 눌러지게 되므로, 파츠 피더(13)는 피더 베이스(22)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2a에 있어서, 연결부(46)에는, 피고정 부재(51)와 전기 배선용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47)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47)는 본체부(41)가 피더 베이스(22)에 부착되었을 때에, 피더 베이스(22) 측에 설치된 소켓(26)(도 4 참조)과 접속된다.
도 2a에 있어서, 연결부(46)의 하단, 즉 피고정 부재(51)보다 하방의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바닥판(48)이 부착되어 있다. 바닥판(48)의 선단부는 상방으로 굴곡한 굴곡부(48K)로 되어 있으며, 굴곡부(48K)의 중앙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멍(48H)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부품 장착 장치(1)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22)에 파츠 피더(13)가 장착되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삽입부(42)가 제1 슬롯 홈(23SA)의 안쪽까지 삽입되면, 결합 핀(27)이 결합 구멍(48H)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도 8 및 도 9는, 파츠 피더(13)의 전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2a, 도 2b,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본체부(41)의 연결부(46)에는 피고정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 부재(51)는 전체적으로 Y축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피고정 부재(51)는, 후단측이 본체부(41)에 고정되어 있고, 전단측이 연결부(4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피고정 부재(51)의 선단부(51F)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51K)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1K)는 선단으로 갈수록 상승 구배가 되어 있는 경사면(51T)을 갖고 있다. 피고정 부재(51)의 오목부(51K)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상방을 향해 열린 형상의 간극부(5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51K)로부터 간극부(51H)에 걸친 상측 가장자리는, 오목부(51K)로부터 간극부(51H)를 향해 오르막이 되는 경사면 형상의 캠면(51C)이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연결부(46)에는 클램프 해제 부재(52)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연결부(46)에 양단이 부착되어 X축을 따라 연장된 핀(52P)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핀(52P)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선단부에는 핀(52P)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클램프 해제 클로(52T)로 되어 있다.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피고정 부재(51)에 대해 X축을 따른 방향으로 인접해 있으며, 클램프 해제 클로(52T)의 위치는 간극부(51H)의 거의 바로 옆에 위치한다.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후단부는 핀(52P)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제3 풀리(63)가 장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본체부(41)의 후단부에는, 조작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3)는 본체부(4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3)는, 그 후부를 본체부(4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조작 부재(53)는, 본체부(41) 내의 전방 위치(도 8)와, 전방 위치로부터 본체부(41) 내를 후방으로 이동한 후방 위치(도 9)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53)는, 본체부(41)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전방 맞닿음부에 후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전방 위치에 위치하고, 본체부(4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후방 맞닿음부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후방 위치에 위치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본체부(41) 내에는, 조작 부재(53)와 피고정 부재(51)를 연결하는 와이어(60)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60)의 일단은, 상측 와이어 고정부(60A)를 통해 조작 부재(53)에 부착되어 있고, 와이어(60)의 타단은, 하측 와이어 고정부(60B)를 통해 연결부(46)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부(46K)에 부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와이어(60)의 중간부는 복수의 풀리(제1 풀리(61), 제2 풀리(62) 및 제3 풀리(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풀리(61)는 본체부(4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제2 풀리(62)는 연결부(46)에 부착되어 있다. 제3 풀리(63)는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1 풀리(61)와 제2 풀리(62)는 연결부(4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데 반해, 제3 풀리(63)는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요동과 함께 상하로 위치를 변화시킨다. 와이어(60)는, 상측 와이어 고정부(60A)로부터 제1 풀리(61)까지의 사이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1 풀리(61)로 하방으로 구부러진다. 제1 풀리(61)로 하방으로 구부러진 와이어(60)는 제2 풀리(62)로 상방으로 구부러지고, 제3 풀리(63)로 하방으로 구부러져 하측 와이어 고정부(60B)에 이른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46K)에는, 스프링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64)는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후단부를 상시 상방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로 인해,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제3 풀리(63)에 의해 와이어(60)가 완전히 신장되는 위치까지 요동하여 정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거의 수평이 되고, 선단부의 클램프 해제 클로(52T)는 피고정 부재(51)의 간극부(51H)의 저면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3)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와이어(60)에 의해 끌어당겨져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클램프 해제 클로(52T)의 상면은 캠면(51C)보다 높은 위치(클램프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53)는, 스프링 부재(64)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60)에 의해 끌어당겨져 본체부(41)의 내부로 끌여들어가기 때문에 항상 전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작업자(OP)에 의해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을 받으면 후방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부재(53)가 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작업자(OP)가 조작 부재(53)를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하면(도 9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P), 상측 와이어 고정부(60A)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풀리(61)와 제2 풀리(62) 사이의 와이어(60)는 끌어당겨 올려지고, 클램프 해제 부재(52)의 후단부는 제3 풀리(63)를 통해 와이어(60)에 의해 하방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로 인해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스프링 부재(64)를 압축하면서 핀(52P)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도 9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R), 선단부의 클램프 해제 클로(52T)는 대기 위치로부터 클램프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60)가,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53)의 변위를 고정 해제 부재인 클램프 해제 부재(52)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가 되어 있다. 또한, 전달 기구로서의 와이어(60) 이외에 링크 등의 다른 기계 요소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OP)는, 조작 부재(53)를 전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조작 부재(53)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슬롯 삽입부(42)의 선단부를, 슬롯 홈(23S)에 삽입한다. 그리고, 파츠 피더(13)를 슬롯 홈(23S)을 따라 장착 방향(At)(도 6a의 화살표 At)으로 슬라이드시켜, 본체부(41)의 선단부가 피더 스토퍼(24)에 맞닿을 때까지 본체부(41)를 피더 베이스(22)의 안쪽으로 밀어넣어 간다(도 6a→도 6b). 이에 의해 파츠 피더(13)의 피고정 부재(51)는, 피더 베이스(22)에 설치한 고정 기구(31)(도 11a~도 11d 참조)에 의해 고정된다. 피더 베이스(22)에 고정된 파츠 피더(13)의 상측 핀(43)은 피더 스토퍼(24)의 상측 핀 삽입 구멍(24A)에 끼워넣어지고, 하측 핀(44)은 하측 핀 삽입 구멍(24B)에 끼워넣어진다. 또, 결합 돌기(45)는 제2 슬롯 홈(23SB)(도 7b 참조)에 삽입되고, 피더 베이스(22) 측의 결합 핀(27)은, 파츠 피더(13) 측의 결합 구멍(48H)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결합 구멍(48H)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결합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부」란, 본체부(41)의 슬롯 삽입부(42)보다 후방의 위치에 설치되고, 슬롯 삽입부(42)가 슬롯 홈(23S)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더 베이스(22)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 핀(27))와 결합하는 부분을 말한다.
또, 파츠 피더(13)의 장착 방향(At)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파츠 피더(13)의 플러그(47)는 피더 베이스(22) 측에 설치한 소켓(26)에 끼워넣어지며, 파츠 피더(13)와 부품 장착 장치(1)의 제어 장치(17)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어 장치(17)로부터의 파츠 피더(13)의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1a~도 11d를 참조하면서 고정 기구(31)에 의한 피고정 부재(51)의 고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도 11d는,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에 장착할 때의 고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파츠 피더(13)의 슬롯 삽입부(42)를 피더 베이스(22)의 슬롯 홈(23S)의 안쪽에 삽입하면, 파츠 피더(13)가 구비하는 피고정 부재(51)의 캠면(51C)이, 고정 기구(31)의 피조작부(35)에 맞닿는다(도 11a→도 11b). 피고정 부재(51)의 선단부(51F)에 있어서의 최고점(51G)은 피조작부(35)보다 낮은 위치를 통과하기 때문에, 캠면(51C)이 최초로 고정 기구(31)의 피조작부(35)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파츠 피더(13)가 추가로 장착 방향(At)으로 슬라이드하면, 캠면(51C)은 그 경사면 형상에 의해 피조작부(35)를 밀어올리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아암(32)은 탄성 가압 스프링(3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축(22J) 둘레로 요동한다(도 11c 화살표 M). 아암(32)이 캠면(51C)에 의해 밀어올려져 요동하면, 이와 함께 고정자(34)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캠면(51C)의 후단의 최고점(51CG)이 피조작부(35)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면, 선단부(51F)의 최고점(51G)은 고정자(34)의 바로 아래 또는 고정자(34)의 중심을 장착 방향(At)으로 약간 통과한 위치까지 도달한다(도 11c).
슬롯 홈(23S)에 삽입된 파츠 피더(13)가 추가로 장착 방향(At)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부가 피더 스토퍼(24)에 맞닿으면, 피고정 부재(51)의 간극부(51H)가 피조작부(35)의 바로 아래에 도달함과 더불어 오목부(51K)도 고정자(34)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다. 이때, 캠면(51C)에 의한 지지를 잃은 피조작부(35)가 간극부(51H)로 떨어짐으로써 아암(32)은 지지축(22J)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요동한다(도 11d 화살표 N). 그리고 고정자(34)는, 아암(32)의 요동에 수반하여 하강하고, 그 바로 아래로 이동해온 오목부(51K)에 눌러진다(도 11d). 이에 의해 고정 기구(31)는 고정자(34)를 피고정 부재(51)에 결합(클램프)시켜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고정한다(도 6b).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 장치는, 피더 베이스(22)의 슬롯 홈(23S)에 파츠 피더(13)의 슬롯 삽입부(42)를 삽입하여 장착 방향(At)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기구(31)는, 파츠 피더(13)를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클램프력을 발휘하는 강력한 탄성 가압 스프링(36)을 구비하고 있으며,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고정할 때에는 파츠 피더(13)의 부재로 고정 기구(31)를 탄성 가압 스프링(36)에 저항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츠 피더(13)에 설치한 피고정 부재(51)에 고정 기구(31)를 조작하기 위한 캠면(51C)을 형성했다.
여기서, 고정 기구(31)는 고정자(34)와 피조작부(35)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한 방향(장착 방향(At))에 대해 수평으로 교차하는 축(핀(52P))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아암(32)에 장착되어 있다. 아암(32)은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Re)으로 연장되어 있고, 핀(52P)보다 이탈 방향(Re)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자(34)를, 추가로 고정자(34)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피조작부(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피고정 부재(51)는 피조작부(35)를 캠면(51C)으로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캠면(51C)은 이탈 방향(Re)을 향해 높아지는 경사면이며 피고정 부재(51)가 한 방향(장착 방향(At))으로 이동하면 피조작부(35)를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즉, 고정자(34)를 캠면(51C)에 의해 직접 밀어올리는 것이 아닌, 피조작부(35)를 조작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조작부(35)의 부착 위치는, 고정자(34)의 부착 위치보다 지지축(22J)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고 있으므로, 피고정 부재(51)는, 고정자(34)를 직접 밀어올리는 경우보다 작은 힘으로 고정자(34)를 피고정 부재(51)의 선단부(51F)의 최고점(51G)과 간섭하지 않는 높이까지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캠면(51C)에 의한 배력 작용과 함께,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밀어넣을 때의 고정 기구(31)로부터의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밀어넣을 때의 압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고정 부재(51)가 고정자(34)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서는, 본체부(41)의 선단부에 설치된 제1 결합부(상측 핀(43) 및 하측 핀(44))가 피더 베이스(22) 측의 제1 피결합부(피더 스토퍼(24))에 결합할 뿐만 아니라, 제2 결합부로서의 결합 구멍(48H)이 제2 피결합부(결합 핀(27))와 결합한다(도 6). 제1 피결합부와 제2 피결합부는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을 상하로 끼우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파츠 피더(13)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이들에 결합시킴으로써, 부품 공급구(13K)(부품 취출 위치)의 좌우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피고정 부재(51)가 고정자(34)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서는, 결합 돌기(45)가 슬롯 홈(23S)에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45)의 직경(D)은, 제2 슬롯 홈(23SB)의 홈폭(MH2)에 대해 소정의 공차분만큼 작으므로 횡방향의 덜컹거림은 문제 없는 레벨이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돌기(45)에 의해서도 파츠 피더(13)의 좌우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결합 돌기(45)는 고정자(34)가 피고정 부재(51)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슬롯의 상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더 베이스(22)의 상면)에 강하게 눌러지므로, 안정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더 베이스(22)에 부착된 상태의 파츠 피더(13)의 좌우 흔들림에 대한 강성은 매우 높아져 있다. 이로 인해, 부품 장착 장치(1)의 가동 중에 장착 헤드(14)가 빈번히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고, 이에 의해 파츠 피더(13)가 큰 가진력으로 가진된 경우여도, 파츠 피더(13)의 좌우 흔들림은 억제되어, 부품 공급구(13K)의 좌우 흔들림의 진폭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피더 베이스(22)로부터 파츠 피더(13)가 떼내어지기 전후의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d는,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로부터 떼어낼 때의 고정 해제 부재인 클램프 해제 부재(52)에 의한 고정 해제 조작의 설명도이다. 작업자(OP)는, 피더 베이스(22)에 부착되어 있는 파츠 피더(13)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53)를 후방(이탈 방향(Re))으로 끌어당김 조작한다(도 9, 도 12a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P). 이에 의해 조작 부재(53)는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이동하여, 와이어(60)를 통하여 클램프 해제 부재(52)가 후단측을 낮추는 방향으로 요동한다(도 13a→도 13b). 이로 인해, 간극부(51H) 내의 피조작부(35)가 클램프 해제 클로(52T)에 의해 밀어올려져, 간극부(51H)에 인접한 캠면(51C)의 최고점(51CG)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게 들어올려진다(도 13b). 또, 이에 수반하여 고정자(34)는 오목부(51K)로부터 이탈하여 고정자(34)에 의한 클램프 상태가 해제된다.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고정 기구(31)를 조작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Re)의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53)의 변위(도 9, 도 12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P)를 와이어(60)(전달 기구)에 연동하여 고정 해제 조작, 즉, 고정자(34)를 오목부(51K)로부터 이탈시켜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13)의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조작 부재(53)의 끌어당김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피고정 부재(51)를 고정한 고정자(34)를 피고정 부재(5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 부재(53)와 클램프 해제 부재(52)는 와이어(6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조작 부재(53)가 본체부(41)의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되면 클램프 해제 부재(52)가 요동하여 고정자(34)를 피고정 부재(5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와이어(60)를 사용함으로써 힘의 방향의 변환이 용이하며, 조작 부재(53)에 의해 클램프 해제 부재(52)를 작동시키는 기구를 경량 또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OP)는, 조작 부재(53)를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하여, 피고정 부재(51)에 의한 고정자(34)의 클램프가 해제된 후에도, 조작 부재(53)를 본체부(41)의 후방으로 계속해서 끌어당긴다. 이에 의해 슬롯 삽입부(42)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피더 베이스(22)로부터 빠져나오므로,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사이에, 피고정 부재(51)의 오목부(51K)는 고정자(34)의 하방으로부터 이탈 방향(Re)으로 떨어진다. 한편, 피조작부(35)는 피고정 부재(51)의 캠면(51C)을 따라 이동하여(도 13b→도 13c), 캠면(51C)으로부터 이탈한다(도 13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13)에서는, 조작 부재(53)가 본체부(41)의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클램프 해제 부재(52)가 피고정 부재(51)에 의한 고정자(34)의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작동한 후, 추가로 조작 부재(53)가 본체부(41)에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되면, 그 인장력에 의해 슬롯 삽입부(42)가 슬롯 홈(23S)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작업자는 조작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동작과 피더 베이스로부터 파츠 피더를 수평 방향으로 빼내는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 노동력 절약을 목적으로 하여 파츠 피더를 피더 베이스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로봇으로 행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로봇으로 하여금 파츠 피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동작축 이외에, 상술한 레버형상의 조작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동작축이 필요해진다. 그렇다면, 로봇의 구조나 동작은 복잡해져,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OP)는 조작 부재(53)를 이탈 방향(Re)으로 끌어당기는 조작으로 파츠 피더(13)의 고정의 해제와 떼어냄 양쪽의 작업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13)(및 부품 장착 장치(1))에서는, 본체부(41)에 설치된 슬롯 삽입부(42)를 피더 베이스(22)의 슬롯 홈(23S)에 삽입하면, 그 동작에 의해 피고정 부재(51)가 피더 베이스(22)에 설치된 피클램프 유닛인 고정 기구(31)의 고정자(34)에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53)를 본체부(41)의 후방으로 끌어당김 조작하면, 그 조작에 의해 클램프 해제 부재(52)가 작동하여, 고정자(34)에 클램프된 피고정 부재(51)를 피고정 부재(5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더 베이스(22)에 대한 파츠 피더(13)의 고정 및 그 해제 조작은 매우 단순하며, 게다가 그 조작 방향은 파츠 피더(13)가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이들 조작을 로봇으로 하여금 행하게 하는 경우여도 단순한 조작으로 끝나, 복잡한 동작을 필요로 하는 고가의 로봇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츠 피더(13)에서는, 피고정 부재(51)는, 하방으로 탄성 가압된 고정자(34)를 직접 밀어올리는 것이 아닌, 고정자(34)의 후방에 위치한 피조작부(35)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고, 고정자(34)를 클램프하기 위한 준비 조작으로서의 고정자(34)의 밀어올림을, 보다 작은 힘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파츠 피더(13)를 피더 베이스(22)에 밀어넣을 때의 압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해 왔는데, 본 개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슬롯이 홈(슬롯 홈(23S))이었으나, 슬롯의 형상은 홈 이외의 구조(예를 들면 레일)여도 된다.
피더 베이스에 대한 파츠 피더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부품 장착 장치 12: 기판 반송로
13: 파츠 피더 13K: 부품 공급구(부품 취출 위치)
14: 장착 헤드 22: 피더 베이스
23S: 슬롯 홈 23SA: 제1 슬롯 홈
23SB: 제2 슬롯 홈 24: 피더 스토퍼(제1 피결합부)
27: 결합 핀(제2 피결합부) 31: 고정 기구
34: 고정자 35: 피조작부
41: 본체부 42: 슬롯 삽입부
43: 상측 핀(제1 결합부) 44: 하측 핀(제1 결합부)
45: 결합 돌기 48H: 결합 구멍(제2 결합부)
51: 피고정 부재 51K: 오목부
52: 클램프 해제 부재 53: 조작 부재
60: 와이어 BH: 부품

Claims (18)

  1.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피더 베이스의 슬롯에 부착하여 이용되는 파츠 피더로서,
    상기 부품 장착 장치가 구비하는 장착 헤드가 부품을 꺼내는 부품 취출(取出) 위치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 삽입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한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피더 베이스에 설치된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피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상기 피고정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피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고정 기구를 조작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와,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변위를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전달 기구
    를 구비한, 파츠 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압하(押下)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고정자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자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아짐으로써 상기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파츠 피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한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을 갖고, 상기 아암은, 상기 축보다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로부터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해 아래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피조작부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캠면과, 상기 캠면의 상기 이탈 방향의 종단에 인접하며, 상기 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캠면을 통과한 상기 피조작부를 하방으로 풀어주는 간극부를 갖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피조작부가 상기 간극부에 도달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아암이 요동하여 상기 고정자를 상기 오목부에 맞닿게 하는, 파츠 피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해제 부재는, 상기 고정 해제 조작에 의해 상기 간극부에 위치하는 상기 피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아암을 요동시켜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고정자를 들어올리는, 파츠 피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으로의 변위를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고정 해제 부재로 하여금 상기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파츠 피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적어도 와이어를 포함하는, 파츠 피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롯 삽입부가 상기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피더 베이스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제1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피고정 부재보다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슬롯 삽입부가 상기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피더 베이스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제2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
    를 더 구비한, 파츠 피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구비한, 파츠 피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슬롯 삽입부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고정 부재가 상기 고정 기구에 고정되면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슬롯의 상면에 눌러지는, 파츠 피더.
  10. 부품을 공급하는 파츠 피더와, 상기 파츠 피더를 장착 가능한 슬롯을 갖는 피더 베이스와, 상기 슬롯에 장착된 상기 파츠 피더로 공급된 상기 부품을 픽업하여 기판에 장착하는 장착 헤드를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로서,
    상기 피더 베이스에 상기 파츠 피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파츠 피더는,
    상기 장착 헤드가 상기 부품을 꺼내는 부품 취출 위치에 상기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기구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 삽입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한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피고정 부재와,
    상기 피고정 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고정 기구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상기 피고정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고정 해제 부재와,
    외력을 받아 변위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를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전달 기구
    를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압하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고정자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방으로 열린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자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아짐으로써 상기 고정 기구에 고정되는, 부품 장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한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을 갖고, 상기 아암은, 상기 축보다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로부터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의해 아래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피조작부를 갖고,
    상기 피고정 부재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이탈 방향으로 떨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캠면과, 상기 캠면의 상기 이탈 방향의 종단에 인접하며, 상기 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캠면을 통과한 상기 피조작부를 하방으로 풀어주는 간극부를 갖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피조작부가 상기 간극부에 도달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아암이 요동하여 상기 고정자를 상기 오목부에 맞닿게 하는, 부품 장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해제 부재는, 상기 고정 해제 조작에 의해 상기 간극부에 위치하는 상기 피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아암을 요동시켜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고정자를 들어올리는, 부품 장착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이탈 방향으로의 변위를 상기 고정 해제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고정 해제 부재로 하여금 상기 고정 해제 조작을 행하게 하는, 부품 장착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적어도 와이어를 포함하는, 부품 장착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더 베이스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제1 피결합부와, 상기 피더 베이스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제2 피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츠 피더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기 제1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피고정 부재보다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
    를 더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츠 피더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구비한, 부품 장착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슬롯 삽입부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고정 부재가 상기 고정 기구에 고정되면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슬롯의 상면에 눌러지는, 부품 장착 장치.
KR1020237010005A 2020-09-30 2021-09-21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KR20230074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5119 2020-09-30
JPJP-P-2020-165119 2020-09-30
PCT/JP2021/034450 WO2022071004A1 (ja) 2020-09-30 2021-09-21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装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148A true KR20230074148A (ko) 2023-05-26

Family

ID=8095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005A KR20230074148A (ko) 2020-09-30 2021-09-21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37409A1 (ko)
JP (1) JPWO2022071004A1 (ko)
KR (1) KR20230074148A (ko)
CN (1) CN116326233A (ko)
TW (1) TW202215935A (ko)
WO (1) WO202207100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160A (ja) 2012-06-19 2014-01-09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パーツ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パーツフィーダ引き抜き規制解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330B2 (ja) * 2005-12-26 2011-06-2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8091386A (ja) * 2006-09-29 2008-04-17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の保持構造、並びに表面実装機
JP2009094234A (ja) * 2007-10-05 2009-04-30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12069669A (ja) * 2010-09-22 2012-04-05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フィーダ,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5846628B2 (ja) * 2011-09-15 2016-01-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フィーダ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160A (ja) 2012-06-19 2014-01-09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パーツ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パーツフィーダ引き抜き規制解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1004A1 (ja) 2022-04-07
CN116326233A (zh) 2023-06-23
JPWO2022071004A1 (ko) 2022-04-07
TW202215935A (zh) 2022-04-16
US20230337409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5323B (zh) 元件供给装置
CN112292921B (zh) 更换装置
WO2016135909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装着機
KR20230074148A (ko) 파츠 피더 및 부품 장착 장치
WO2008038784A1 (fr) Structure de maintien d'un appareil de distribution de composant, et appareil de montage en surface
CN108136595B (zh) 元件供给系统及分散元件的拾取装置
JP2011171318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CN107615908B (zh) 元件安装装置及元件安装方法
CN112292920B (zh) 更换装置
WO2022071173A1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4661796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作業ヘッドの取り付け方法
CN114340372A (zh) 零件馈送器以及部件装配装置
JP2009239108A (ja) 部品供給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表面実装機
JP7229405B2 (ja) 部品装着システム
CN113044277B (zh)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安装装置
JP5845418B2 (ja) 部品挿入装置および部品挿入方法
JP2023072752A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2023072751A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装着装置
WO2022149204A1 (ja) アキシャルフィーダ、及びアキシャルリード部品を保持する方法
CN115484809A (zh) 部件供给装置、部件安装机以及部件供给方法
JPH11151622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4218999A (ja) 実装機への部品供給装置
JP2023053305A (ja) 部品装着システム
JP2022191891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部品実装機、並びに、部品供給方法
JP2022191882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部品実装機、並びに、部品供給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