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979A -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979A
KR20230070979A KR1020210157119A KR20210157119A KR20230070979A KR 20230070979 A KR20230070979 A KR 20230070979A KR 1020210157119 A KR1020210157119 A KR 1020210157119A KR 20210157119 A KR20210157119 A KR 20210157119A KR 20230070979 A KR20230070979 A KR 2023007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all
store display
prefabricated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씨피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씨피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씨피오피
Priority to KR102021015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979A/ko
Publication of KR2023007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cardboard, textile, paper, or the like, e.g. with separate frame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매장 진열대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일 측면의 상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일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타 측면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타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PREFABRICATED DISPLAY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아래의 설명은, 보관 및 운반시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조립 현장에서 사용자가 단순히 펼치는 작업만으로 주요한 조립이 완성되어, 보관 및 운반, 그리고 조립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약국, 편의점 등 다양한 진열 환경에 맞춰 맞춤형 진열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맞춤형 진열대는 통상, 매대(賣臺, display stand)를 말하며, 그 의미는 상품 따위를 벌여 놓을 수 있게 만든 대(臺)를 말한다.
이와 같은 매대에는 주로 과자 등의 상품이 진열되고, 최근에는 건전지, 청소도구 등을 비롯해 약품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상품들이 진열, 전시되고 있다.
매대는 보통 종이, 특히 골판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볍고, 저렴하며, 설치 및 해체하기 쉽다.
이러한 매대는 선반형(Shelf Type)과 아일랜드형(Island Type), 파렛트형(Pallet Displays Type)으로 구별되며, 선반형은 가장 일반적인 독립형 진열대로서 다수의 선반과 상단 광고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아일랜드형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진열대로서 내부에 마구잡이로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말하며, 파렛트형은 짧은 기간 행사를 위해 설치되는 판형 진열대를 말한다.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선반형 매대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선반형 매대는, 설치시 조립설명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조립해야 하여 조립이 쉽지 않고, 설치 시간도 20~30분으로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별도의 고정 장치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고정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상당한 힘이 요구되어, 손가락에 무리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고정 장치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분해하는 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서, 선반형 매대의 폐기시 재활용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US 20110226717 A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보관 및 운반시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조립 현장에서 사용자가 단순히 펼치는 작업만으로 주요한 조립이 완성되어, 보관 및 운반, 그리고 조립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매장 진열대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일 측면의 상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일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타 측면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타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타공홀을 구비하는 내측벽; 및 상기 타공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상기 측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공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상기 내측벽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벽; 및 일면이 상기 연결부에 접착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의 타면은, 상기 타공홀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벽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는, 상기 2개의 측벽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 1 후방벽 및 제 2 후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방벽의 단부에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후방벽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맞물릴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제작 방법은, 제 1 판재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1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부에 선반의 제 1 측면을 연결시키는 단계; 제 2 판재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2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상기 선반의 제 2 측면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판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판재에 대하여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매장 진열대가 작은 부피를 갖는 반조립 상태로 보관 및/또는 운반될 수 있으므로, 물류비 상승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벽 및 선반 사이에, 타공 구조를 이용한 결합 형상 및/또는 양면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해체 및 재활용에 용이하고, 결과적으로 친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그 뿐만 아니라, 이상의 새로운 결합 방식에 의하면, 측벽 및 선반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종래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 장치를 별도로 사용한 조립식 매장 진열대에 비하여, 오히려 더욱 강한 지지력(선반당 약 15 kg)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방벽에 퍼즐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틀어짐 및/또는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매장 진열대를 반조립 상태(보관 및/또는 운반 상태)에서 완전 조립 상태(사용 상태)로 조립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성인 1명이 혼자 3분 이내 조립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조립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가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하여 반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양측이 제 1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양측이 제 2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를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가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하여 반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110)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측벽(122L, 122R)을 구비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선반(11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조립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보관 또는 운반시에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현장에서 사용자가 단순히 펼치는 작업만으로 주요한 조립이 완성되어, 보관 및 운반, 그리고 조립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110)의 일 측면(예: 좌측면)의 상측 테두리는 2개의 측벽(122L, 122R) 중 제 1 측벽(122L)에 연결되고, 선반(110)의 타 측면(예: 우측면)의 하측 테두리는 2개의 측벽(122L, 122R) 중 제 2 측벽(122R)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2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 1 측벽(122L)에 대하여, 제 2 측벽(122R)을 높이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예: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2개의 측벽(122L, 122R) 사이에서 선반(110)이 특정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2개의 측벽(122L, 122R)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좌측벽(122L) 및 우측벽(122R)으로 기능하게 된다.
선반(110) 및 지지대(120)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의 전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양측이 제 1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양측이 제 2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20)는, 제 1 측벽(122L) 및 제 2 측벽(122R)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벽(122L) 및 제 2 측벽(122R) 중 하나 이상의 측벽(122L, 122R)은,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판재를 절개 및/또는 절곡시키는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재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일 수 있다.
제 1 측벽(122L)은, 제 1 내측벽(1222L), 제 1 연결부(1224L), 제 1 외측벽(1226L) 및 제 1 후방벽(1228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측벽(1222L), 제 1 연결부(1224L), 제 1 외측벽(1226L) 및 제 1 후방벽(1228L)은 모두 하나의 판재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측벽(1226L)은, 제 1 내측벽(1222L) 및 제 1 후방벽(1228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판재의 절단면이 고객을 향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측벽(122R)은, 제 2 내측벽(1222R), 제 2 연결부(1224R), 제 2 외측벽(1226R) 및 제 2 후방벽(1228R)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제 1 측벽(122L) 및 그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 2 측벽(122R) 및 그 하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내측벽(1222L)은, 타공홀(H)을 구비할 수 있다. 타공홀(H)은, 제 1 내측벽(1222L)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써, 예를 들면, 제 1 연결부(1224L)를 형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제 1 연결부(1224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타공홀(H)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선반(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 1 연결부(1224L)는, 선반(110)을 제 1 측벽(122L)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연결부(1224L)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타공홀(H)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1224L)의 형상은 타공홀(H)의 형상과 동일하고, 제 1 연결부(1224L)의 두께는 타공홀(H)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반(110)에 연결된 돌출부위(즉, 제 1 연결부(1224L))와 일치하도록, 제 1 측벽(122L)에 홈(즉, 타공홀(H))을 파서 가공하는 기법을 "홀 타공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 타공 기법"에 의하면, 조립 과정에서 선반(110)이 올바른 위치에 정렬되도록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도, 선반(1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조립 편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1224L)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제 1 판재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는 방식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1224L)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연결부(1224L)는, 제 1 판재 중 제 1 내측벽(1222L)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부에서, 3개의 변을 절개하고 나머지 1개의 변을 기준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선반(11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연결부(1224L)를 제 1 판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연결부(1224R)를 제 2 판재에 대하여 하측으로 절곡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한편, 제 1 연결부(1224L)의 양면 중 일면은 상기 선반(110)에 접착되고, 타면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T)가 접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양면 접착 테이프(T)의 일면은, 제 1 연결부(1224L)에 접착될 수 있다.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T)의 타면은, 타공홀(H)을 통과하여 제 1 외측벽(1226L)에 접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 제 1 연결부(1224L)가 타공홀(H)에 맞물리는 구조와, (ii) 양면 접착 테이프(T)의 접착력에 의하면, 제 1 측벽(122L) 및 선반(1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선반(110) 당 약 15 kg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종래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 장치를 별도로 사용한 조립식 매장 진열대보다도 뛰어난 수준이었다.
제 1 외측벽(1226L)은, 내측벽(1222)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제 1 외측벽(1226L)은,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측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후방벽(1228L)은, 제 1 외측벽(1226L)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후방벽(1228L)은,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후방벽(1228L)의 단부에는, 돌출부(P) 및/또는 함몰부(D)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P)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D)는, 돌출부(P)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후방벽(1228R)의 단부에는, 제 1 후방벽(1228L)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P) 및/또는 함몰부(D)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함몰부(D) 및/또는 돌출부(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돌출부 및 함몰부(D)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제 1 후방벽(1228L) 및 제 2 후방벽(1228R)이 높이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거나,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 부위의 견고성과 틀어짐 방지를 위해 톱니 모양으로 재단하는 기법을 "퍼즐식 커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를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반조립 상태로 배송되어진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립 현장에서 제 1 측벽(122L) 및 제 2 측벽(122R)을 각각 왼손 및 오른손으로 잡고,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화살표 참조), 혼자서도 2~3초 만에 도 6의 마지막 단계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 1 연결부(1224L) 및 제 2 연결부(1224R)는 각각 인접한 타공홀(H)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부(1224L) 및 제 2 연결부(1224R) 각각에 양면 접착 테이프(T)를 설치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양면 접착 테이프(T)의 보호 시트는 제거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반조립 제품을 배송 받은 사용자는 보호 시트를 제거하는 과정 없이, 빠른 시간 내에 도 6의 마지막 단계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조립 제품 전체가 포장되어 보관 및 운반되는 만큼,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T) 상에 이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점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후방벽(1228L) 및 제 2 후방벽(1228R)을 되접는 작업을 통해, 제 1 후방벽(1228L) 및 제 2 후방벽(1228R)을 각각 선반(110)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110)의 후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T)를 설치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후방벽(1228L) 및 제 2 후방벽(1228R)은, 퍼즐식 커팅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P) 및 함몰부(D)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전체 조립식 매장 진열대(1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의 마지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 선반(110) 및 지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해, 가림판(1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매장 진열대(예: 도 1의 100)의 제작 방법은, 제 1 판재를 재단하여 제 1 내측벽, 제 1 외측벽 및 제 1 후방벽을 형성하는 단계(S11)와, 제 1 판재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1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12)와, 제 1 연결부에 선반의 제 1 측면을 연결하는 단계(S13)와, 제 2 판재를 재단하여 제 2 내측벽, 제 2 외측벽 및 제 2 후방벽을 형성하는 단계(S21)와, 제 2 판재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2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S22)와, 제 2 연결부에 선반의 제 2 측면을 연결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조립식 매장 진열대
110: 선반
120: 지지대
122: 측벽
1222: 내측벽
1224: 연결부
1226: 외측벽
1228: 후방벽
130: 가림판
H: 타공홀
T: 양면 접착 테이프
P: 돌출부
D: 함몰부

Claims (5)

  1.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일 측면의 상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일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타 측면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타 측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타공홀을 구비하는 내측벽; 및
    상기 타공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상기 측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공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상기 내측벽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벽; 및
    일면이 상기 연결부에 접착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의 타면은, 상기 타공홀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벽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매장 진열대는,
    상기 2개의 측벽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 1 후방벽 및 제 2 후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방벽의 단부에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후방벽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맞물릴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
  5.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판재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1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부에 선반의 제 1 측면을 연결시키는 단계;
    제 2 판재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제 2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상기 선반의 제 2 측면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판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판재에 대하여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장 진열대의 제작 방법.
KR1020210157119A 2021-11-15 2021-11-15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KR20230070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119A KR20230070979A (ko) 2021-11-15 2021-11-15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119A KR20230070979A (ko) 2021-11-15 2021-11-15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79A true KR20230070979A (ko) 2023-05-23

Family

ID=8654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119A KR20230070979A (ko) 2021-11-15 2021-11-15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9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6717A1 (en) 2007-09-17 2011-09-22 Ferran Mestres Armengol Self-expanding folding structure for a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6717A1 (en) 2007-09-17 2011-09-22 Ferran Mestres Armengol Self-expanding folding structure for a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796B1 (en) Display crate and kit of parts therefor
US20030034319A1 (en) Apparatus for compartmentalizing a shelf
KR20230070979A (ko) 조립식 매장 진열대 및 그 제작 방법
KR20090009338U (ko) 상품 진열대
JP5462519B2 (ja) 組立式展示用ユニット、展示用ユニット組み立てキット
US20060273083A1 (en) Modular bin system and bin
JP2021184045A (ja) 情報表示物ホルダ
JP3126895U (ja) スタンド式ディスプレイ装置
US7398914B1 (en) Consumer kiosk/survey box construction
KR200420226Y1 (ko) 디스플레이용 쇼케이스
JP3117531U (ja) 商品陳列用具
JP6867058B1 (ja) 情報表示物ホルダ
JP4959969B2 (ja) 販売台
JP5072924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装置へのパネルの取付け方法
JP6679838B2 (ja) 陳列台システム
JP3050403U (ja) 商品陳列台
JP3215052U (ja) 商品陳列用スタンド
JP6031627B1 (ja) 商品展示体
JPH0810056A (ja) 区分棚
JP6041653B2 (ja) 物品陳列台
KR200365459Y1 (ko) 상품 진열대
US20080105631A1 (en) Shelving display
JP5430045B1 (ja) 陳列具
JP4951253B2 (ja) Dvd等の陳列具
KR200267076Y1 (ko) 필름진열판매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