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232A -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232A
KR20230069232A KR1020237013463A KR20237013463A KR20230069232A KR 20230069232 A KR20230069232 A KR 20230069232A KR 1020237013463 A KR1020237013463 A KR 1020237013463A KR 20237013463 A KR20237013463 A KR 20237013463A KR 20230069232 A KR20230069232 A KR 2023006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ydroxytyrosol
olive
kal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후스
이밍 루
로사나 란자
Original Assignee
바넷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넷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바넷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6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서 높은 항산화력을 갖는 조성물을 예시한다. 이 조성물은 올리브 및 케일인 2가지 천연 슈퍼푸드 생성물에서 유래한 2가지 핵심 성분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기술은 케일 전체가 아닌 케일의 새싹을 하나의 성분으로 활용한다. 올리브 추출물과 관련해서는 천연 폴리페놀, 특히 높은 함량의 하이드록시티로솔이 풍부한 올리브 나무 및 잎의 농축된 액체 시럽 형태이거나, 순수한 액체 하이드록시티로솔 형태이다. 케일 새싹을 올리브 잎 추출물과 함께 결합시키면 향상된 항산화력이 관찰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본 출원은 "SYNERGISTIC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HYDROXYTYROSOL AND AT LEAST ONE SULFORAPHANE"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20년 9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82,19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최근 몇 년 동안 화장품 업계에서는 식품 관련 성분을 포함하는 경향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는 개념이 생겨났다. 이러한 식품과 화장품 양자의 융합은 커뮤니티가 새로운 기회를 찾고 기존 화장품 제품 및 응용 분야에 대한 새로운 성분과 자원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크게 장려한다. 화장품에 식품 성분을 포함시키는 방안 중 하나는 일상적인 소비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을 공급하는 슈퍼푸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설포라판이 특히 풍부한 2가지 고기능성 슈퍼푸드 성분인 올리브 및 케일 새싹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에서 항산화, 항염증 및 노화 방지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케일과, 양배추, 무, 브로콜리 등과 같은 다른 십자화과(Brassicaceae) 채소에는 항산화제와 비타민이 매우 풍부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유도체에 속하는 설포라판이라고 명명되는 식물성 화학 물질 중 하나는 이 십자화과 속에 고유하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설포라판은 다세포 유기체가 가진 고유의 보호 메커니즘을 강화하여 시험관 내에서 잠재적인 항염증 및 피부 회복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포라판은 Keap1-Nrf2-항산화 반응 요소 경로를 통해 세포 보호 단백질의 유전자 코딩을 매개하고 유도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에 대한 피부 민감성을 조절하고 감소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설포라판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피부 노화를 예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성숙한 케일 채소에도 일정 함량의 설포라판이 있지만, 케일의 새싹은 성숙한 식물보다 더 높은 함량을 갖는다. 따라서 항산화 잠재력이 더 높은 새싹을 성숙한 식물보다 더 이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올리브 및 이와 관련된 생성물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면 관상동맥 심장 질환과 암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하이드록시티로솔, 티로솔 및 올레우로페인과 같은, 올리브 나무에서 유래한 주요 식물성 화합물은 페놀 구조의 존재로 인해 라디칼 포착제로서 높은 항산화력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티로솔은 UV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에 상당한 화학적 보호 효과가 있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은 DNA 가닥 파괴를 감소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예방한다. 또한, 하이드록시티로솔은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은 염증성 부종과 통각 과민증을 억제한다. 또한 동물 모델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한다.
현재 케일 새싹을 올리브 추출물과 함께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한 사례는 거의 없다. 본 발명은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 회복을 도우며 피부에 대한 강력한 보호를 제공하는 능력을 갖는, 케일 새싹 및 올리브 나무/잎 추출물 양자 모두를 함유한 조성물을 입증한다.
본 발명은 2가지 주요 슈퍼푸드 성분 또는 이의 추출물, 용매/공용매 및 증점제로 구성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2가지 슈퍼푸드 성분은 올리브 나무/잎 추출물 및 케일 새싹이다. 두 성분 모두 항산화력이 높고 피부에 유익하다. 본 발명에 제시된 조성물은 소정 범위의 사용 수준을 갖는 임의의 화장품 제형에 사용하도록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화장품 제형은 주로 스킨 케어 제품의 형태이지만 립스틱, 립밤,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목욕 및 샤워 젤, 샴푸, 컨디셔너, 헤어 스프레이, 크림, 보습제, 로션, 클렌저 및 면도 제품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올리브 나무/잎 추출물은 2가지 형태이다. 하나는 점성이 있는 액체 시럽으로, 전형적인 특징적인 과일 향이 있다. 이 시럽은 지용성이 아니라 높은 수용성이다. 다른 하나의 형태는 순수한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액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리브 나무/잎의 시럽은 다량의 하이드록시티로솔, 올레우로페인, 티로솔 및 기타 폴리페놀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액체 시럽 내 하이드록시티로솔의 농도는 0.01% 내지 25%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액체 하이드록시티로솔은 99.5% 초과의 순도를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케일 새싹은 고체 입자로서 건조 분말로 분쇄되며, 수용성도 지용성도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케일 새싹 분말은 메쉬 수가 400인 원형 메쉬 스크린을 통과할 때 특정 입자 크기가 38μ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일 새싹 분말은 높은 수준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며, 실온에서 물로 추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케일 새싹 분말 내 설포라판의 ppm 농도는 1ppm 내지 8000ppm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몇 가지 처리 단계를 완료해야 한다. 하나의 단계는 고체 분말을 탈이온수와 미리 혼합하여 수용성 화합물을 수성 상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전체 혼합물을 여과지 또는 여과백을 통해 여과하여 고체 폐기물로서 고체 케일 새싹 입자를 제거한다. 여과액은 후속 단계에서 다른 성분을 첨가할 때 원액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조성물을 제형화하기 위해 몇 가지 다른 공용매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공용매는 디올, 트리올 및 폴리올에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1,3-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린은 조성물에서 대표적인 공용매이다. 그러나, 공용매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다른 액상 디올, 트리올 또는 심지어 폴리올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증제는 점도 조절제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증점제는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알지네이트/알긴산, 펙틴, 곤약 검, 로커스트콩 검 또는 식물 유래의 기타 증점제와 같은 다당류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조성물 내의 증점제는 잔탄 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특허에 제공된 조성물은 장기간에 걸쳐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며, 이는 산소 자유-라디칼 포착제 분석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케일 새싹 분말과 올리브 잎 추출물을 결합할 경우 항산화력에 시너지 효과(향상)가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특허에 제시된 조성물은 소정 범위의 사용 수준을 갖는 임의의 화장품 제형에 사용하도록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제시된 조성물은 2가지 기회를 제공한다: 첫째, 슈퍼푸드를 화장품 원료의 잠재적인 유효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둘째, 특히 십자화과 속 유래의 종자 새싹(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다른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슈퍼푸드 후보가 십자화과 채소 속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채소의 일반적인 예로는 서양고추냉이, 양배추, 방울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겨잣잎, 순무 및 무가 있다. 특히, 케일, 브로콜리, 무, 겨잣잎 및 방울양배추에는 설포라판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설포라판은 강력한 천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케일, 브로콜리 및 무의 새싹 분말과 같은 여러 새싹 분말 중 하나가 주요 성분으로서 선택된다. 케일, 브로콜리, 무의 성숙한 식물에 비해, 이들 식물의 종자 새싹은 설포라판 함량이 높다. 특히, 케일의 새싹 분말은 최대 8000ppm에 달할 수 있는 높은 설포라판 함량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올리브 잎 추출물은 잠재적인 슈퍼푸드 성분의 또 다른 공급원으로 선택된다. 올리브 잎 추출물은 2가지 형태이다. 하나는 호박색/갈색 시럽이며 폴리페놀이 매우 풍부하다. 이 시럽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강력한 항산화제이고 피부에 유익한 활성 성분인 하이드록시티로솔의 함량이 높다는 것이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의 농도는 25%로 높으며 폴리페놀 농도의 총량은 40%를 넘는다. 다른 하나의 형태는 액체 하이드록시티로솔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액체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순도는 99.5%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조성물은 2가지 항산화제, 용매/공용매, 및 증점제의 4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내성이 있는 다량의 공용매로 인해 별도의 방부제나 방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한 방부력은 수분 활성도 테스트 및 마이크로 챌린지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슈퍼푸드 성분은 케일의 새싹 분말이며, 농도는 0.1% 내지 5% 범위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다른 하나의 슈퍼푸드 성분은 시럽 형태의 올리브 잎 추출물이다. 농도는 0.1% 내지 5% 범위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순수한 하이드록시티로솔이 시럽의 대체물로 사용된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의 농도는 0.005% 내지 0.5%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주요 용매는 물이고 농도는 10% 내지 50%이다. 공용매는 1,3-프로판디올과 글리세린의 조합이다. 농도는 5% 내지 40%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다당류 증점제인 잔탄 검의 농도는 0.1% 내지 0.5%이다. 이 조성물은 조성물 A 로 지정되며, 이는 다음 문맥에서 참조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 A를 성공적으로 제형화하기 위해서는 2가지 주요 단계가 필요하다. 제1 단계에서는 케일의 새싹 분말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단계에서는 다른 모든 성분을 여과된 원액에 순차적으로 첨가될 것이다.
실시예: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조성물 A의 항산화력을 논의/조사하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다. 결과는 분석 테스트를 기반으로 논의된다.
조성물 A의 항산화력(AP)은 전자스핀공명(ESR) 분광법으로 결정한다. 다른 항산화 능력 측정과 마찬가지로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DPPH) 라디칼이 사용된다. 그러나, ESR 분광법은 샘플 색상뿐만 아니라 샘플 탁도와 무관하게 측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비색/UV-Vis 분광법보다 더 선호되는 방법이다. 항산화력은 항산화 단위(AU)로 표시되며, 1 AU는 비타민 C 벤치마크 용액 1ppm의 활성에 해당한다. 결과에 따르면, 올리브 잎 추출물을 3% 사용한 조성물 A의 항산화력은 3500의 AU 수치를 갖는다. 한편, AP의 장기 안정성을 또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40℃의 승온에서 테스트한다. 데이터에 따르면 조성물 A의 AP 값은 온도 또는 인큐베이션 시간에 관계없이 3500 내지 4500의 범위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도 1). 새싹 분말(케일)이 없는 경우, 24시간 및 48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승온에서 AP 값이 상당히 더 낮다. 이는 케일 새싹 분말이 장시간 및 승온에서 올리브 잎 추출물의 AP 값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2). 조성물 A의 항산화력은 또한 널리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인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에 대해 테스트된다. 조성물 A의 AP 값은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HT보다 약 40% 높다(도 3). 이 결과는 조성물 A가 피부 보호를 위한 항산화제로서의 잠재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조성물 A의 안정성 평가는 수중유(O/W) 에멀젼 베이스와의 결합을 통해 수행한다. 그러나, 화장품 제형 베이스는 최종 응용 목적에 따라 어떤 제형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O/W 에멀젼의 제조법은 다음 표에 예시되어 있다:
INCI 명칭 %
w/w
상 A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수소화 레시틴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 미리스테이트 토코페롤
세틸 알코올 0.50
바틸 알코올 0.70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4.00
상 B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염 0.2
81.47
글리세린 5
상 C
페녹시 에탄올 0.40
상 D
아르기닌 10% a.q. 0.73
이소펜틸디올 5.00
조성물 A 1.00
절차:
1. 상 A의 성분을 배합하고 80℃에서 가열한다. 모든 고체 입자가 용해될 때까지 프로펠러 믹서로 150rpm으로 혼합한다.
2. 상 B의 성분을 배합하고 80℃까지 가열한다. 균일하고 일관된 수상이 형성될 때 균질화기에서 30분 동안 3000rpm으로 혼합한다.
3. 상 A의 혼합물을 상 B에 80℃에서 첨가하고 균질화기에서 30분 동안 4000 rpm으로 혼합한다.
4. 균질화된 에멀젼(단계 3 후)을 스위핑 블레이드를 150rpm으로 사용하여 40℃아래로 서서히 식힌다.
5. 상 C를 첨가하고 스위핑 블레이드로 150rpm으로 5분 동안 계속 혼합한다.
6. 상 D의 성분을 하나씩 첨가하고 스위핑 블레이드로 150rpm으로 10분 동안 계속 혼합한다.
7. 제형의 최종 pH는 pH 5 내지 5.5이어야 한다. pH가 원하는 범위에 속할 때까지 아르기닌(10% a.q.)으로 최종 제형의 pH를 조정한다.
1% 조합물 A를 사용한 상기 에멀젼의 안정성은 25℃, 45℃ 및 55℃의 세 가지 상이한 온도에서 평가된다. 25℃ 및 45℃에서의 인큐베이션 시간은 2개월이다. 55℃에서는 1개월 동안만 지속된다. 에멀젼은 모든 온도에서 일관되게 안정성이 우수하다. 폴리페놀 함량의 존재로 인해 45℃ 및 55℃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에멀젼 베이스의 색상이 변한다. 25℃ 샘플의 경우, 색상 변화가 크지 않다. 조성물 A는 항상 최종 제형에 후첨가되어야 한다. 또한, 조성물 A는 폴리페놀의 존재로 인해 pH에 민감하고 온도에도 민감하다. 최종 화장품 제형에 조성물 A를 후첨가할 때, 권장 pH(pH 5.5 이하) 및 40℃ 미만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한다. 조성물 또는 최종 화장품 제형은 실온에서 보관해야 한다. 유사한 제형 지침에 따라, 조성물 A는 또한 다른 2가지 화장품 베이스에도 혼입된다. 하나는 투명한 카보머 겔이고, 다른 하나는 레시틴 기반 에멀젼이다. 조성물 A가 포함된 두 베이스의 항산화력은 ESR 분광법으로 평가된다. 데이터는 일관되며 조성물 A가 베이스 제형에 상당한 항산화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정성으로 상이한 베이스에서도 항산화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16)

  1. 2가지 슈퍼푸드 성분, 용매/공용매 및 증점제로 구성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지 슈퍼푸드 성분은 케일 및 올리브에서 유래한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은 새싹 분말 형태이고, 올리브는 액체 시럽 형태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hydroxytyrosol) 형태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시럽은 폴리페놀이 매우 풍부한 조성물.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은 주로 하이드록시티로솔, 티로솔 및 올레우로페인(oleuropein)인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시럽은 적어도 25%의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함유하는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티로솔은 99.5%를 초과하는 순도를 갖는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 새싹 분말은 올리브 추출물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의 항산화력을 향상시킨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공용매는 물, 디올, 트리올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탈이온화된 것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트리올 및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헥실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력을 갖는 화장료 베이스를 제공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BHT보다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력은 실온에서 동일한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력은 승온에서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하지 않은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스프레이, 폼, 고체 스틱, 샴푸, 헤어 컨디셔너, 래커(lacquer), 메이크업 또는 자외선 차단제의 형태로 광범위한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
KR1020237013463A 2020-09-23 2021-09-21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9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2198P 2020-09-23 2020-09-23
US63/082,198 2020-09-23
PCT/US2021/051275 WO2022066626A1 (en) 2020-09-23 2021-09-21 Synergistic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hydroxytyrosol and at least one sulforaph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232A true KR20230069232A (ko) 2023-05-18

Family

ID=8074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463A KR20230069232A (ko) 2020-09-23 2021-09-21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96708B2 (ko)
EP (1) EP4216919A1 (ko)
JP (1) JP2023542975A (ko)
KR (1) KR20230069232A (ko)
CN (1) CN116194075A (ko)
AU (1) AU2021349204A1 (ko)
CA (1) CA3193639A1 (ko)
WO (1) WO2022066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15B1 (ko) 2022-08-02 2023-07-04 주식회사 미피션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8310A1 (en) * 2000-09-01 2002-03-07 Creagri, Inc. Method of obtaining a hydroxytyrosol-rich composition from vegetation water
US20040202684A1 (en) * 2003-04-08 2004-10-14 David Djerassi Personalized interactive natural cosmetics
MY142017A (en) * 2004-03-19 2010-08-16 Nestec Sa Composition comprising all essential nutrients of a fruit or a plant material with increased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and process of forming the same
ES2283191B1 (es) * 2005-09-02 2008-10-16 Antas Pharma, S.A. Biomasa de pulpa de oliva con alto contenido en antioxidantes fenolicos, procedimiento de obtencion, formulaciones y usos de las mismas.
CN101516364B (zh) * 2006-07-14 2011-12-28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组合物及其用于治疗、共治疗或预防炎性病症的用途
WO2016046727A1 (en) 2014-09-23 2016-03-31 Dom Terry International S.R.L. Prebiotic inulin based preparation
US20170189326A1 (en) 2015-12-31 2017-07-06 Nicholas V. Perricone Topical Antiaging Polyphenol Compositions
US10590278B2 (en) * 2017-04-10 2020-03-17 Nanophase Technologies Corporation Coated powders having high photostability
KR101905009B1 (ko) * 2018-04-06 2018-10-08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49204A9 (en) 2024-02-08
CA3193639A1 (en) 2022-03-31
AU2021349204A1 (en) 2023-05-11
CN116194075A (zh) 2023-05-30
US11896708B2 (en) 2024-02-13
JP2023542975A (ja) 2023-10-12
EP4216919A1 (en) 2023-08-02
US20220087925A1 (en) 2022-03-24
WO2022066626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ES2862173T3 (es) Extracto de hoja de olivo y método de producción del mismo
Haerani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Muntingia calabura, Syzygium cumini, Ocimum basilicum, and Eleutherine bulbosa using DPPH Method
Sudhir et al. Nigella sativa seed, a novel beauty care ingredient: A review
JP6138317B2 (ja) 皮膚外用剤
KR20230069232A (ko)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EP0866715B1 (fr) Association extrait de myrte et antifongiques
KR100941133B1 (ko) 방부활성과 항염 활성을 가지는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과 노간주나무 추출물 부추 추출물과 산들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2401A (ko)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928A (ko) 깔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9225B1 (ko) 왕가시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0110B1 (ko)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530412A (ja) 皮膚皺改善用キサントリゾールの使用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l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antidandruff shampoo.
Gajewska et al. Effect of storage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Plantago lanceolata L. and Plantago major L. alcoholic extracts
Bahari et al.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erlis sunshine mango seed flour body scrub
JP2010013383A (ja) ピタンガまたはテリハバンジロウなどの抽出物からなる抗酸化剤
Konrade CAROTENOID EXTRACT AND OIL FROM PUMPKIN (CUCURBITTA SPP.) BY-PRODUCTS FOR FACIAL CREAM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KR101899917B1 (ko) 꽃고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Galav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Leaves of Terminalia Bellirica (Combretace)
KR101738009B1 (ko) 개오동나무 및 싸리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64112A (ja) 過酸化水素ダメージ抑制剤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