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818A -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818A
KR20230063818A KR1020210158879A KR20210158879A KR20230063818A KR 20230063818 A KR20230063818 A KR 20230063818A KR 1020210158879 A KR1020210158879 A KR 1020210158879A KR 20210158879 A KR20210158879 A KR 20210158879A KR 20230063818 A KR20230063818 A KR 2023006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nit
pressing
transfer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로우
Publication of KR2023006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가압지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위치에 귀끈을 접합할 수 있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개시한다.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는 마스크의 상측에 배치되고, 클램핑 유닛에 의해 하강되면서 마스크의 표면에 배치된 귀끈을 가압하여 귀끈을 마스크에 용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접합유닛을 포함하고, 접합유닛은, 가압지점들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Mask ear strap welding device that can be positioned freely}
본 발명은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등과 같은 호흡기 감염질환의 확산 방지를 위해 일회용 마스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마스크는 필터지를 성형하여 마스크 본체를 형성한 후, 마스크 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귀끈을 용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한편, 마스크 본체에 귀끈을 용착시키는 공정은 귀끈 용착 접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귀끈 용착 접합 장치는 마스크 본체에 놓인 귀끈을 가압하여 귀끈을 마스크 본체에 용착시키는 용착유닛과, 용착유닛에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진동자와, 용착유닛을 승강시키는 프레스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용착유닛은 귀끈의 양단을 가압하기 위한 두 개의 용착봉과, 두 개의 용착봉을 지지하는 지그를 구비한다.
지그에 지지된 두 개의 용착봉은 마스크의 사이즈와, 마스크의 밀착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귀끈의 용착지점에 대응되는 위치로 세팅되고, 이를 통해 지그가 하강되면 설정된 귀끈의 용착지점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두 개의 용착봉이 설정된 세팅값에 의해 지그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귀끈의 용착지점이 변경될 경우 용착봉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귀끈의 용착지점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용착유닛을 별도 제작하여 귀끈 용착 접합 장치에 장착해야만 하고, 이에 제조비용 및 설비 세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용착유닛을 교체할 경우, 장비의 교체와, 교체된 장비를 새로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 및 원부자재가 소요되어 생산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652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지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위치에 귀끈을 접합할 수 있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를 추가 제작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장비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귀끈의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장비의 교체 및 세팅으로 인한 생산지연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는, 마스크의 상측에 배치되고, 클램핑 유닛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마스크의 표면에 배치된 귀끈을 가압하여 상기 귀끈을 상기 마스크에 용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접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닛은, 가압지점들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 유닛에 의해 승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귀끈의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혼 조립체;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혼 조립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귀끈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혼 조립체 및 상기 제2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 상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거나, 상기 제1 이송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1 이송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면서 제1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면서 상기 제1 가압지점과 다른 제2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장공; 상기 제1 이송부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2 이송부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이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장공; 상기 제2 이송부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이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홈;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장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 너트; 및 상기 제1 혼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이송 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혼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상기 제1 혼부재를 상기 제1 이송 너트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혼부재는, 내부에 상기 제1 이송 볼트가 관통되는 제1 보조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이드 장공에 의해 상기 제1 이송 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상에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1 이송 볼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면서 상기 제1 가압지점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압지점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단부에 상기 귀끈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귀끈의 일부분을 상기 마스크에 용착시키는 격자 형상의 제1 용착돌기들이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 너트; 및 상기 제2 혼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이송 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혼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상기 제2 혼부재를 상기 제2 이송 너트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 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혼부재는, 내부에 상기 제2 이송 볼트가 관통되는 제2 보조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가이드 장공에 의해 상기 제2 이송 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상에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2 이송 볼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상기 제2 가압지점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2 가압지점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단부에 상기 귀끈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귀끈의 다른 일부분을 상기 마스크에 용착시키는 격자 형상의 제2 용착돌기들이 형성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송 볼트와 상기 제1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1 와셔; 및 상기 제1 이송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송 볼트와 상기 제1 와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 볼트 및 상기 제1 와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프링 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이송 볼트와 상기 제2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부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2 와셔; 및 상기 제2 이송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이송 볼트와 상기 제2 와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 볼트 및 상기 제2 와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프링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는, 축방향을 따라 단면의 폭이 가변되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복수의 구간 중 가장 큰 폭의 크기를 갖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과 다른 폭의 크기를 갖는 제2 구간과, 상기 복수의 구간 중 가장 작은 폭의 크기를 갖는 제3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이동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이동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혼부재는, 상기 제1 이동부에 수용되는 제1 결합너트; 및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이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너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가압부를 상기 제1 이동부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1 결합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1 결합 지지편; 상기 제1-1 결합 지지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너트 및 상기 제1 결합볼트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1-1 결합 지지편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형태의 제1-1 요철 지지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1 결합 지지편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2 결합 지지편; 상기 제1-2 결합 지지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볼트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2 관통홀; 및 상기 제1-2 결합 지지편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1 요철 지지면에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형태의 제1-2 요철 지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혼부재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수용되는 제2 결합너트; 및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이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너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가압부를 상기 제2 이동부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2 결합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1 결합 지지편; 상기 제2-1 결합 지지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너트 및 상기 제2 결합볼트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1 결합 지지편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형태의 제2-1 요철 지지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가압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1 결합 지지편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2 결합 지지편; 상기 제2-2 결합 지지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볼트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2 관통홀; 및 상기 제2-2 결합 지지편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1 요철 지지면에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형태의 제2-2 요철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혼부재는, 상기 제1 이동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이송 볼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보조 가이드 장공에 수용된 상기 제1 이송 볼트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1 가압판; 상기 제1 이동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제1-1 가압판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가압부를 상기 제1 이송 볼트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조절볼트; 상기 제1 이송 볼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가압판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가이드 장공에 수용된 상기 제1 이송 볼트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2 가압판; 및 상기 제1 이동부에 형성된 제1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2 가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조절볼트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2 가압판에 반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가압부를 상기 제1 이송 볼트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제1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제2 혼부재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이송 볼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이동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조절 유닛은, 상기 제2 보조 가이드 장공에 수용된 상기 제2 이송 볼트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1 가압판; 상기 제2 이동부에 형성된 제2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제2-1 가압판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를 상기 제2 이송 볼트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조절볼트; 상기 제2 이송 볼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1 가압판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가이드 장공에 수용된 상기 제2 이송 볼트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2 가압판; 및 상기 제2 이동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2-2 가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 조절볼트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2 가압판에 반력을 가하여 상기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를 상기 제2 이송 볼트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제2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지점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귀끈을 접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마스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장비를 추가 제작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장비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귀끈의 접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비의 교체 및 세팅으로 인한 생산지연을 최소화하므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의 제1 혼부재와, 제2 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WD)(이하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WD)'라 함)는 접합유닛(100)과, 접합유닛(100)에 결합되어 접합유닛(100)을 지지하고, 접합유닛(100)을 승강시키는 클램핑 유닛(200)과, 접합유닛(100)에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접합유닛(100)은 마스크(M)의 상측에 배치되고, 클램핑 유닛(200)에 의해 하강되면서 마스크(M)의 표면에 배치된 귀끈(ES)을 가압하여 귀끈(ES)을 마스크(M)에 용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합유닛(100)은 마스크(M)의 사이즈와, 마스크(M)의 밀착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귀끈(ES)의 용착지점에 대응되는 위치로 세팅되고, 클램핑 유닛(200)에 구비된 서보모터의 하강을 통해 하강되어 설정된 귀끈(ES)의 용착지점을 정밀하게 가압할 수 있다.
접합유닛(100)은 가압지점들(WP1, WP2)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지점들(WP1, WP2)은 마스크(M)의 표면에 배치된 귀끈(ES)을 가압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접합유닛(100)은 베이스(10), 제1 혼 조립체(20) 및 제2 혼 조립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클램핑 유닛(200)에 결합되고, 클램핑 유닛(200)에 의해 승강되면서, 제1 혼 조립체(20)와 제2 혼 조립체(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혼 조립체(20)는 베이스(10)에 결합되고, 베이스(10)에 의해 승강되면서 귀끈(ES)의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혼 조립체(30)는 베이스(10)에 결합되어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혼 조립체(20)에 대향 배치되고, 베이스(10)에 의해 승강되면서 귀끈(ES)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혼 조립체(20)와 제2 혼 조립체(30)는 베이스(10)의 하면 상에서 개별적으로 가압지점(WP1, WP2)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혼 조립체(20)는 제1 이송부(21)와, 제1 혼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1)는 베이스(10)에 결합되어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혼부재(22)는 베이스(10)의 하면에 접하고, 제1 이송부(21)에 의해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거나, 제1 이송부(21)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제1 이송부(21)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제1 가압지점(WP1)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혼 조립체(30)는 제2 이송부(31)와, 제2 혼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부(31)는 베이스(10)에 결합되어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혼부재(32)는 베이스(10)의 하면에 접하고, 제2 이송부(31)에 의해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거나, 제2 이송부(31)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제2 이송부(31)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제1 가압지점(WP1)과 다른 제2 가압지점(WP2)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1 이송부(21)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이송부(21)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장공(11)과, 제1 이송부(21)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이송부(21)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홈(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제2 이송부(31)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이송부(31)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장공(13)과, 제2 이송부(31)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이송부(31)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클램핑 유닛(200)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베이스(10)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장공들(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1)는 제1 가이드 홈(12)에 수용되고, 제1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 너트(211)와, 제1 혼부재(22)와 제1 가이드 장공(11)을 관통하여 제1 이송 너트(211)에 체결되고, 제1 가이드 장공(11)을 따라 이동되면서 베이스(10)의 폭 방향으로 제1 혼부재(22)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제1 혼부재(22)를 제1 이송 너트(211) 측으로 가압하여 제1 혼부재(2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 볼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21)는 제1 이송 볼트(212)에 결합되어 제1 이송 볼트(212)와 후술할 제1 혼부재(22)의 제1 이동부(221)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이동부(221)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1 와셔(213) 및 제1 이송 볼트(212)에 결합되어 제1 이송 볼트(212)와 제1 와셔(213)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이송 볼트(212) 및 제1 와셔(2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프링 와셔(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이동부(221)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혼부재(22)는 제1 이동부(221)와, 제1 가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는 내부에 제1 이송 볼트(212)가 관통되는 제1 보조 가이드 장공(221A)이 형성되고, 제1 보조 가이드 장공(221A)에 의해 제1 이송 볼트(212)를 중심으로 베이스(10)의 하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제1 이송 볼트(2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제1 가압지점(WP1)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222)는 제1 이동부(221)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1 가압지점(WP1)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단부에 귀끈(ES)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귀끈(ES)의 일부분을 마스크(M)에 용착시키는 격자 형상의 제1 용착돌기들(2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와, 제2 가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가압부(222)는 축방향을 따라 단면의 폭이 가변되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간은 복수의 구간 중 가장 큰 폭의 크기를 갖는 제1 구간(S1)과, 제1 구간(S1)의 과 다른 폭의 크기를 갖는 제2 구간(S2)과, 복수의 구간 중 가장 작은 폭의 크기를 갖는 제3 구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31)는 제2 가이드 홈(14)에 수용되고, 제2 가이드 홈(14)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 너트(311)와, 제2 혼부재(32)와 제2 가이드 장공(13)을 관통하여 제2 이송 너트(311)에 체결되고, 제2 가이드 장공(13)을 따라 이동되면서 베이스(10)의 폭 방향으로 제2 혼부재(32)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제2 혼부재(32)를 제2 이송 너트(311) 측으로 가압하여 제2 혼부재(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 볼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31)는 제2 이송 볼트(312)에 결합되어 제2 이송 볼트(312)와 후술할 제2 혼부재(32)의 제2 이동부(32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이동부(321)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2 와셔(313) 및 제2 이송 볼트(312)에 결합되어 제2 이송 볼트(312)와 제2 와셔(31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이송 볼트(312) 및 제2 와셔(3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프링 와셔(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이동부(321)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혼부재(32)는 제2 이동부(321)와, 제2 가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321)는 내부에 제2 이송 볼트(312)가 관통되는 제2 보조 가이드 장공(321A)이 형성되고, 제2 보조 가이드 장공(321A)에 의해 제2 이송 볼트(312)를 중심으로 베이스(10)의 하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제2 이송 볼트(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제2 가압지점(WP2)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압부(322)는 제2 이동부(321)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제2 가압지점(WP2)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단부에 귀끈(ES)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여 귀끈(ES)의 다른 일부분을 마스크(M)에 용착시키는 격자 형상의 제2 용착돌기들(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 가압부(322)는 축방향을 따라 단면의 폭이 가변되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간은 복수의 구간 중 가장 큰 폭의 크기를 갖는 제1 구간(S1)과, 제1 구간(S1)의 과 다른 폭의 크기를 갖는 제2 구간(S2)과, 복수의 구간 중 가장 작은 폭의 크기를 갖는 제3 구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의 제1 혼부재와, 제2 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압부(222)는 제1 이동부(2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가압부(322)는 제2 이동부(3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혼부재(22)는 제1 이동부(221)에 수용되는 제1 결합너트(224)와, 제1 가압부(222)와 제1 이동부(221)를 관통하여 제1 결합너트(224)에 체결되면서 제1 가압부(222)를 제1 이동부(221)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1 결합볼트(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는 제1 이동부(22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1 결합 지지편(221B)과, 제1-1 결합 지지편(221B)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결합너트(224) 및 제1 결합볼트(225)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1 관통홀(221C)과, 제1-1 결합 지지편(221B)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형태의 제1-1 요철 지지면(2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22)는 제1 가압부(22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1-1 결합 지지편(221B)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2 결합 지지편(222A)과, 제1-2 결합 지지편(222A)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결합볼트(225)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2 관통홀(222B)과, 제1-2 결합 지지편(222A)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1 요철 지지면(221D)에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형태의 제1-2 요철 지지면(22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2 혼부재(32)는 제2 이동부(321)에 수용되는 제2 결합너트(324)와, 제2 가압부(322)와 제2 이동부(321)를 관통하여 제2 결합너트(324)에 체결되면서 제2 가압부(322)를 제2 이동부(321)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2 결합볼트(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321)는 제2 이동부(32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1 결합 지지편(321B)과, 제2-1 결합 지지편(321B)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결합너트(324) 및 제2 결합볼트(325)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1 관통홀(321C)과, 제2-1 결합 지지편(321B)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형태의 제2-1 요철 지지면(3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압부(322)는 제2 가압부(32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2-1 결합 지지편(321B)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2 결합 지지편(322A)과, 제2-2 결합 지지편(322A)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결합볼트(325)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2 관통홀(322B)과, 제2-2 결합 지지편(322A)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1 요철 지지면(321D)에 맞물려 결합되는 요철형태의 제2-2 요철 지지면(32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혼부재(22)는 제1 보조 조절 유닛(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조절 유닛(226)은 제1 이동부(221)에 수용되고, 제1 이송 볼트(2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이동부(221)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조절 유닛(226)은 제1 보조 가이드 장공(221A)에 수용된 제1 이송 볼트(212)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1 가압판(226A)과, 제1 이동부(221)에 형성된 제1 체결홀(221E)에 체결되고, 제1-1 가압판(226A)을 가압하면서 제1 이동부(221) 및 제1 가압부(222)를 제1 이송 볼트(212)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조절볼트(22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조절 유닛(226)은 제1 이송 볼트(212)를 사이에 두고 제1-1 가압판(226A)에 대향 배치되고, 제1 보조 가이드 장공(221A)에 수용된 제1 이송 볼트(212)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2 가압판(226C)과, 제1 이동부(221)에 형성된 제1 수용홈(221F)에 수용되어 제1-2 가압판(226C)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제1 조절볼트(226B)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1-2 가압판(226C)에 반력을 가하여 제1 이동부(221) 및 제1 가압부(222)를 제1 이송 볼트(212)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제1 탄성조절부재(226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2 혼부재(32)는 제2 보조 조절 유닛(3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조절 유닛(326)은 제2 이동부(321)에 수용되고, 제2 이송 볼트(3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2 이동부(321)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조절 유닛(326)은 제2 보조 가이드 장공(321A)에 수용된 제2 이송 볼트(312)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1 가압판(326A)과, 제2 이동부(321)에 형성된 제2 체결홀(321E)에 체결되고, 제2-1 가압판(326A)을 가압하면서 제2 이동부(321) 및 제2 가압부(322)를 제2 이송 볼트(312)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조절볼트(32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조절 유닛(326)은 제2 이송 볼트(312)를 사이에 두고 제2-1 가압판(326A)에 대향 배치되고, 제2 보조 가이드 장공(321A)에 수용된 제2 이송 볼트(312)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2 가압판(326C)과, 제2 이동부(321)에 형성된 제2 수용홈(321F)에 수용되어 제2-2 가압판(326C)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제2 조절볼트(326B)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2-2 가압판(326C)에 반력을 가하여 제2 이동부(321) 및 제2 가압부(322)를 제2 이송 볼트(312)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제2 탄성조절부재(32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지점들(WP1, WP2)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귀끈(ES)을 접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마스크(M)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장비를 추가 제작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장비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귀끈(ES)의 접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비의 교체 및 세팅으로 인한 생산지연을 최소화하므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WD.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100. 접합유닛
10. 베이스
11. 제1 가이드 장공
12. 제1 가이드 홈
13. 제2 가이드 장공
14. 제2 가이드 홈
15. 제3 가이드 장공들
20. 제1 혼 조립체
21. 제1 이송부
211. 제1 이송 너트
212. 제1 이송 볼트
213. 제1 와셔
214. 제1 스프링 와셔
22. 제1 혼부재
221. 제1 이동부
221A. 제1 보조 가이드 장공
221B. 제1-1 결합 지지편
221C. 제1-1 관통홀
221D. 제1-1 요철 지지면
221E. 제1 체결홀
221F. 제1 수용홈
222. 제1 가압부
222A. 제1-2 결합 지지편
222B. 제1-2 관통홀
222C. 제1-2 요철 지지면
223. 제1 용착돌기들
224. 제1 결합너트
225. 제1 결합볼트
226. 제1 보조 조절 유닛
226A. 제1-1 가압판
226B. 제1 조절볼트
226C. 제1-2 가압판
226D. 제1 탄성조절부재
30. 제2 혼 조립체
31. 제2 이송부
311. 제2 이송 너트
312. 제2 이송 볼트
313. 제2 와셔
314. 제2 스프링 와셔
32. 제2 혼부재
321. 제2 이동부
321A. 제2 보조 가이드 장공
321B. 제2-1 결합 지지편
321C. 제2-1 관통홀
321D. 제2-1 요철 지지면
321E. 제2 체결홀
321F. 제2 수용홈
322. 제2 가압부
322A. 제2-2 결합 지지편
322B. 제2-2 관통홀
322C. 제2-2 요철 지지면
323. 제2 용착돌기들
324. 제2 결합너트
325. 제2 결합볼트
326. 제2 보조 조절 유닛
326A. 제2-1 가압판
326B. 제2 조절볼트
326C. 제2-2 가압판
326D. 제2 탄성조절부재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S3. 제3 구간
WP1. 제1 가압지점
WP2. 제2 가압지점
M. 마스크
ES. 귀끈
200. 클램핑 유닛

Claims (3)

  1. 마스크의 상측에 배치되고, 클램핑 유닛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마스크의 표면에 배치된 귀끈을 가압하여 상기 귀끈을 상기 마스크에 용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접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닛은,
    가압지점들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 유닛에 의해 승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귀끈의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혼 조립체;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혼 조립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귀끈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혼 조립체 및 상기 제2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 상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거나, 상기 제1 이송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1 이송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제1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되면서 상기 제1 가압지점과 다른 제2 가압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혼부재;를 포함하는,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KR1020210158879A 2021-11-02 2021-11-17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KR20230063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845 2021-11-02
KR20210148845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18A true KR20230063818A (ko) 2023-05-09

Family

ID=8640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879A KR20230063818A (ko) 2021-11-02 2021-11-17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8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288B1 (ko)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288B1 (ko)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7165B (zh) 贴合装置及贴合方法
KR20230063818A (ko) 자유자재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귀끈 접합 장치
KR20190062573A (ko) 접합 방법, 접합 장치, 및 유지 부재
WO2016157465A1 (ja) 加圧ユニット
KR20130124667A (ko) 패널 이송용 흡착기
KR20190024748A (ko) 홀딩노즐, 홀딩헤드 및 이송장치
US20100209826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mask, methods of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ocessing photomask
JP2017092313A (ja) 半導体製造装置。
KR20120003005A (ko) 스프링들에 의해 안정화된 진공 그리퍼 조립체
US20170157738A1 (en) Polishing Apparatus
JP2023080131A (ja) 部品
CN106061740B (zh) 丝网印刷装置及丝网印刷方法
CN107685412A (zh) 成型模、树脂成型装置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KR200480179Y1 (ko) 반도체 칩 이송 장치
CN110937405B (zh) 一种具有电磁吸附式压缩机芯上下料装置
JP5743604B2 (ja) 空気ばね装置
JP639094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10510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97143B1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KR20130074138A (ko) 연성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장치
JP2009123655A (ja) 可動接点付きシートおよびスイッチ装置
WO2017163758A1 (ja) リニアブレーキの支持方法、リニアブレーキ組付体及びリニアブレーキアダプタ
KR20210029786A (ko) 반송 장치
CN110957522A (zh) 电芯上胶装置
JP2015044459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