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667A - 패널 이송용 흡착기 - Google Patents

패널 이송용 흡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667A
KR20130124667A KR1020120047950A KR20120047950A KR20130124667A KR 20130124667 A KR20130124667 A KR 20130124667A KR 1020120047950 A KR1020120047950 A KR 1020120047950A KR 20120047950 A KR20120047950 A KR 20120047950A KR 20130124667 A KR20130124667 A KR 2013012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panel
frame
pr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839B1 (ko
Inventor
코세이 타나하시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39B1/ko
Priority to US13/615,944 priority patent/US20130291377A1/en
Publication of KR2013012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61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패널 이송용 흡착기는 흡착부, 프레임, 및 PCB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는 패널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착부를 지지한다. 상기 PCB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를 지지하는 PCB 지지부 및 상기 PCB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PCB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에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 PCB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PCB를 고정 시키므로, 패널 이송시 상기 패널과 상시 PCB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이송용 흡착기 {PANEL CARRING VACUUM HOLDER}
본 발명은 패널 이송용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더욱 뛰어난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존 브라운관 텔레비젼(cathode ray tube: CRT)이 성능이나 가격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널리 사용되었으나,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 CRT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들은 액정의 특정한 분자 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분자 배열을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의 변환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완성된 표시패널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완성시키는 반제품 공정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 내에서 상기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지그(jig)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패널 이송 시에 패널에 부착된 연성회로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는 흡착부, 프레임, 및 PCB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는 패널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착부를 지지한다. 상기 PCB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를 지지하는 PCB 지지부 및 상기 PCB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PCB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패널에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 PCB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는 상기 PCB 가압부에 연결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패널에 상기 흡착부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몸체, 접촉부 및 압력 조절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널과 접촉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PCB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압력 조절 스프링은 상기 PCB 고정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PCB를 누를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과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방향은 상기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센서부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었는지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면,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과 상기PCB 홀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패널이 미리 정해진 위치범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PCB 가압부를 움직여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과 접촉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PCB 가압부를 움직여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지지부는 상기 PCB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PCB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는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단면이 L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단면이 U 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 상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PCB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경사진 쐐기 모양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홀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조절부는 상기 제3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PCB 홀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상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조절부는 상기 좌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PCB 홀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상기 패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흡착판들 및 상기 제3 프레임 하부에 배치된 제3 및 제4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PCB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에 연결되고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패널에 상기 흡착부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상기 및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제3 링크에 연결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에 연결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에 따르면, 상기 패널에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 PCB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PCB를 고정 시키므로, 패널 이송시 상기 패널과 상시 PCB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PCB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PCB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제1 프레임 및 흡착판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프레임 및 흡착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흡착 작용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분리 작용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측단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흡착판 및 패드 인서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6의 로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3는, 도 6에서 공기소통용 피스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은, 도 6에서 안내봉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6에서 분리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는 흡착부,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제3 프레임(230), 제4 프레임(240) 및 PCB 홀더(400)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는 패널(도 5의 panel 참조) 이송을 위해 상기 패널(panel)을 흡착한다. 상기 흡착부는 복수개의 흡착판(1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착판(100)은 고무 소재로된 패드로서 진공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panel)을 흡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6내지 도15에서 후술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상기 흡착부(100)와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 6내지 도15에서 후술한다.
상기 제2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방향(D2)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 (D1)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2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제3 프레임(230)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0, 220)을 연결한다. 상기 제3 프레임(230)에는 상기 PCB 홀더(400)가 배치된다.
상기 제3 프레임(230)은 단면이 육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PCB 홀더(400)에 형성된 홀에 상기 제3 프레임(230)이 결합되면, 상기 PCB 홀더(40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제3 프레임(230)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제4 프레임(240)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0, 220)을 연결한다. 상기 제4 프레임(240)은 상기 제3 프레임(230)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PCB 홀더(400)는 상기 제3 프레임(230)을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PCB 홀더(400)는 상기 제2 방향(D2) 및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패널(panel)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하 PCB, 도 5의 PCB 참조)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PCB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PCB 홀더(400)는 좌우 조절부(410), 상하 조절부(420), PCB 지지부(430), PCB 가압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조절부(41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좌우 조절부(410)는 상기 제3 프레임(23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홀(412)를 갖는다. 상기 제3 프레임(230)이 상기 홀(412)을 관통하고, 좌우 조절밸브(414)를 조이면, 상기 제3 프레임(230)에 대해 좌우 조절부(410)가 조정되므로,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상기 좌우 조절부(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좌우 조절부(410)에는 상기 상하 조절부(4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홈(416)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 조절부(420)는 상기 좌우 조절부(410)에 의해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기 상하 조절부(42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조절부(420)에 위치하는 상하 조절밸브(422)를 조이면 상기 좌우 조절부(410)의 상기 홈(416)에 상기 상하 조절부(420)가 고정되므로, 상기 상하 조절부(420)의 위치를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PCB 지지부(430)는 상하 조절부(420)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PCB 지지부(430)는 상기 패널(panel)을 이송할 때, 상기 패널(panel)의 상기 PCB(PC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PCB 지지부(430) 끝단에는 받침부재(432)가 배치된다. 상기 받침부재(432)와 상기 PCB 지지부(430)는 볼트(bol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4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432)에 상기 패널(panel)의 상기 PCB(PCB)를 위치 시키더라도, 상기 PCB(PCB)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432)는 단면이 U자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PCB(PCB)가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432)는 상기 PCB가 지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상기 PCB(PCB)가 상기 받침부재(432)의 내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경사진 쐐기 모양의 모서리를 갖는다.
상기 PCB 지지부(430)에는 인디케이터 지지부(460), 인디케이터(462) 및 고정핀(46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지지부(460)는 상기 PCB 지지부(4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64)는 상기 인디케이터 지지부(460)를 관통하여 상기 PCB 지지부(430)를 누름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 지지부(460)를 상기 PCB 지지부(4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462)는 상기 인디케이터 지지부(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와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인티케이터(462)는 상기 패널(panel)의 크기 및 상기 PCB(PCB)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적절한 위치를 지시하도록 위치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panel)을 이송할 때, 상기 인티케이터(462)가 상기 패널(panel)의 측변(side)을 지시하도록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440)는 상기 상하 조절부(420)에 형성된 회전축(44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PCB 가압부(440)는 상기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PCB 지지부(430)와 함께 상기 패널(panel)의 상기 PCB(PCB)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440) 끝단에는 가압부재(442)가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442)와 상기PCB 가압부(440)는 볼트(bol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PCB 가압부(4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42)는 상기 받침부재(432)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재(432) 내부에 배치된 상기 PCB(PCB)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4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442)가 상기 패널(panel)의 상기 PCB(PCB)를 눌러 압력하더라도, 상기 PCB(PCB)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4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복귀 스프링(446)에 의해 상기 PCB 가압부(440)는 상기 PCB(PCB)를 누르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패널(panel)의 이송을 마친 경우, 상기PCB 가압부(440)는 본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PCB(PCB)가 상기 받침부재(4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상기 가압부재(442)의 반대 방향의 상기 PCB 가압부(440)에는 레버(450)가 배치된다. 상기 레버(450)가 배치되는 상기 가압부재(442)의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부(448)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450)는 몸체(451), 머리(452), 압력조절 스프링(454) 및 접촉부(45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51)는 상기 걸림부(448)을 관통하여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상기 머리(452)는 상기 몸체(451)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448)의 상기 관통홀 보다 큰 지름을 가지므로, 상기 걸림부(448)를 통화하지 못한다. 상기 몸체(451)의 상기 일측의 반대편 타측에는 접촉부(456)가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456)는 상기 패널(panel)을 이송할 때, 상기 패널(panel)의 표면과 접촉한다. 상기 접촉부(456)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456)가 상기 패널(panel)을 눌러 압력하더라도, 상기 패널(panel)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촉부(456)와 상기 PCB 가압부(440) 사이에는 압력조절 스프링(454)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456)가 상기 패널(panel)을 과도한 압력으로 누르지 못하게 된다. 상기 레버(45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5는 도 3의 PCB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panel)에 상기 흡착판(도 1의 100 참조)이 흡착함에 따라, 상기 레버(450)의 상기 가압부재(442)가 상기 패널(panel)에 접촉되고 상기 패널(panel)이 상기 가압부재(442)를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450)의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454)이 압축되고,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454)의 탄성에 의해 상기 PCB 가압부(440)가 상기 회전축(44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CB 가압부(440)가 상기 PCB 지지부(430)에 연결된 받침부재(432) 상에 위치하는 상기 PCB(PCB)를 눌러 고정 시킨다. 상기 PCB(PCB)가 상기 패널(panel)이 상기 흡착판(도 1의 100 참조)에 흡착됨과 동시에 고정되므로, 상기 PCB(PCB) 및 상기 패널(panel)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FPCB)이 이송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454)에 의해 상기 PCB 가압부(440)가 상기 PCB(PCB)를 누르는 압력이 조절되므로, 상기 PCB(PC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부재(44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PCB(PCB)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P)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도 3의 462 참조)는 상기 PCB(PCB)가 상기 받침부재(432)에 안착되도록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도 3의 462 참조)는 상기 패널(panel)과 상기 연성회로 기판(FPCB)가 연결되는 부분을 지시하도록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panel)에 부착할 때, 상기 인디케이터(도 3의 462 참조)가 상기 연성회로 기판(FPCB)가 연결되는 부분을 지시하도록 위치하게 하면, 상기 PCB(PCB)가 상기 받침부재(432)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panel)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442)가 상기 PCB(PCB)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P)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PCB(PCB)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패널(panel) 및 상기 PCB(PCB)에 연결된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이 손상되지 않게 상기 패널(panel)의 이송이 가능하다.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은 칩이 내장된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제1 프레임 및 흡착판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프레임 및 흡착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흡착 작용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분리 작용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측단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흡착판 및 패드 인서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6의 로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3는, 도 6에서 공기소통용 피스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은, 도 6에서 안내봉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6에서 분리버튼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프레임(210) 및 상기 흡착판(100) 부분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는, 중공형의 제1 프레임(210)과, 상기 제1 프레임(210)에 한 쌍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공기소통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통공(43)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봉(40)과, 상기 안내봉(40)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통공(43)과 연통되는 공기구멍(15)이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흡착판(100)과, 상기 제1 프레임(210)의 표면에 누름 조작되도록 설치된 분리버튼(300)과, 상기 분리버튼(30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분리버튼(300)의 누름 조작에 의해 통공(43)을 개방하는 진공해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손으로 제1 프레임(210)을 파지하고 패널(panel) 에 대고 그대로 눌러서, 접시를 엎어놓은 형상의 상기 흡착판(100)과 상기 패널(panel)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여 운반하고, 운반이 끝나면 분리버튼(300)을 눌러서 상기 진공상태의 흡착판(100) 내부에 공기를 소통시켜서 패널과의 진공흡착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100)는 경질(硬質)의 패드 인서트(17)와 함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패드 인서트(17)에는 탭(tap)(17')이 형성된 공기구멍(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봉(40)의 단부와 나사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1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해제수단(50)은, 상기 제1 프레임(210)에 대하여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분리버튼(300)의 아래쪽에 일단부가 각각 배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에 설치된 2개의 로드(60', 60")와, 상기 2개 로드(60', 6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4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공기소통용 피스톤(70)과, 상기 피스톤(70)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40)의 내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오링(71)과, 상기 피스톤(70)과 제1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개의 로드(60', 60")가 제1 프레임(210)에 대하여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양자(兩者)는 결합핀(21', 2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10)에 내장된 2개의 로드(60', 60")는 분리버튼(300)을 중심으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격되지 않고 서로 접촉하면서 상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리버튼(300)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단에 말안장과 같은 형상의 홈(3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드(60', 60")를 위쪽에서 감싸면서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과 도 9를 함께 참조할 때, 상기 로드(60', 60")와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의 결합구성은, 로드(60', 6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670)과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77)을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의 외측면은 상기 안내봉(4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어,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이 상기 안내봉(40)을 따라 부드럽게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의 둘레에 설치된 오링(71)은 평소에는 상기 안내봉(40)의 내면과 밀착되게 접촉하고 있어 안내봉(40)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43)과 흡착판(100)가 연통되지 않으며, 진공형성이나 해제시에 약간씩 이동하면서 안내봉(40)의 통공(43)을 개방하여 공기소통공(41)을 통해 공기가 소통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오링(71)이 접촉하는 안내봉(40)의 내면은 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때, 상기 피스톤(70)과 제1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80')에 의해 항상 피스톤(70)을 하강시키는 힘을 가하므로, 오링(71)이 안내봉(40)의 내면과 접촉하여 폐쇄하는 원래 위치로 향하는 복원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의 내면에는 상기 제1스프링(80')을 위한 스프링 자리(260)가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한편, 상기 분리버튼(300)과, 제1 프레임(210) 또는 로드(60', 60") 사이에는 제2스프링(80")이 설치되어 있어 분리버튼(300)이 탄성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분리버튼(300)은 제1 프레임(210)의 중앙에 대하여 한쪽으로 편심되어 조작의 용이성을 극대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양 로드(60', 60")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210)에는 분리버튼(300)과 안내봉(40) 등이 설치되기 위한 각종 설치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안내봉(40)은 나사결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착기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로드(60', 60")의 양 단부, 및 제1 프레임(210)에서 제1스프링(80') 자리에는 액세스 커버(access cover, 90)가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작용예를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진공 흡착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panel)에 댄 상태에서 제1 프레임(210)을 손으로 잡고 누르면 흡착판(100)이 납작하게 변형된다. 이어서, 순간적으로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이 상승하여 오링(71)이 안내봉(40)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흡착판(100)의 공기가 공기구멍(15)과 통공(43) 및 공기소통공(41)을 차례로 통해 배출되어 흡착판(100)에 진공이 형성된다.
물론, 진공형성 후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은 바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오링(71)이 안내봉(40)의 내면과 접촉하여 통공(43)을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의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다음, 진공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panel)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버튼(300)을 누르면 그 하단에 배치된 2개의 로드(60', 60")의 단부가 눌리고, 각각의 로드는 힌지점인 결합핀(21', 21")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또는, 지렛대 운동)하게 되어 분리버튼(300)의 반대쪽 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60', 60")의 분리버튼(300)의 반대쪽 단부에 걸려서 설치된 공기소통용 피스톤(70)이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오링(71)이 안내봉(40)의 내면과 분리되어 외부 공기가 통공(43)을 통해 유입되는 상태가 된다.
결국, 흡착판(100) 내부의 진공상태는 파괴되고 상기 패널(panel)으로부터 확실히 분리되게 된다.
이 경우, 공기의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내봉(40)의 단부와 패드 인서트(17)는 원터치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PCB 가압부(540)가 제1 링크(542), 제2 링크(544), 제3 링크(546) 및 판스프링(548)을 포함하는 것과 레버(550)를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난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상기 PCB 가압부(440)는 상기 제1 링크(542), 상기 제2 링크(544), 상기 제3 링크(546) 및 판스프링(54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542)는 상하 조절부(520)에 형성된 제1 지지부(526)를 피봇(pivot)으로 하여 작동한다. 상기 제2 링크(544)는 상기 제1 링크(542)에 연결되고,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링크(546)는 PCB 지지부(530) 상에 형성된 제2 지지부(536)를 피봇으로 하여 작동한다. 상기 제3 링크(546)는 상기 제2 링크(544)와 연결된다. 상기 판 스프링(548)은 상기 제3 링크(546)에 연결된다. 상기 판 스프링(548)의 끝단에는 가압부재(549)가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549)와 상기 판 스프링(548)은 볼트(bol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542, 544, 546)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549)는 받침부재(532)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재(532) 내부에 배치된 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549)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549)가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의 상기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압력하더라도,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레버(550)는 본체(551), 접촉부(552) 및 복귀 스프링(55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551)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PCB 지지부(530)에 형성된 홀(534)을 관통한다. 상기 본체(551)의 상기 제2 방향(D2) 끝단에는 상기 접촉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552)는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을 이송할 때,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의 표면과 접촉한다. 상기 접촉부(55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552)가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을 눌러 압력하더라도,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554)는 상기 PCB지지부(530) 및 상기 접촉부(55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가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에 흡착할때, 상기 접촉부(552)가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에 의해 눌러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복귀 스프링(554)가 압축되고, 상기 몸체(534)가 상기 몸체(534) 연결된 상기 제1 링크(542)를 밀어 올린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534)와 상기 제1 링크(542)는 슬라이드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534)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542)가 상기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5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링크(544)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움직여 상기 제3 링크(546)를 밀어낸다. 상기 제3 링크(546)가 상기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판 스프링(548)에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549)가 상기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판 스프링(548)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549)가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누르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CB(PC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복귀 스프링(554)에 의해 상기PCB 가압부(540)는 상기 PCB(PCB)를 누르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의 이송을 마친 경우, 상기 PCB 가압부(540)는 본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PCB(PCB)가 상기 받침부재(5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panel)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442)가 상기 PCB(PCB)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P)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PCB(PCB)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패널(panel) 및 상기 PCB(PCB)에 연결된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이 손상되지 않게 상기 패널(panel)의 이송이 가능하다.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은 칩이 내장된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압부재(642) 및 받침부재(632)를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난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PCB 지지부(630) 끝단에는 받침부재(632)가 배치된다. 상기 받침부재(632)와 상기 PCB 지지부(630)는 볼트(bol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632)에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의 PCB(도 5의 PCB 참조)를 위치 시키더라도,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32)는 단면이 L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가 상기 받침 부재(632)의 평평한 부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32)는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가 지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가 상기 받침부재(632)의 상기 평평한 부분에 안착할 수 있도록 경사진 쐐기 모양의 모서리를 갖는다.
PCB 가압부(640) 끝단에는 가압부재(642)가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642)와 상기 PCB 가압부(640)는 볼트(bol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PCB 가압부(6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642)는 상기 받침부재(632) 상에 배치된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64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642)가 상기 패널(도 5의 panel 참조)의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압력하더라도,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레버(750)는 센서부(754) 및 구동부(75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난 패널 이송용 흡착기의 PCB 홀더(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상기 레버(750)는 센서부(754) 및 구동부(75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754)는 상하 조절부에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754)는 패널(도 5 의 panel 참조) 과의 거리를 센싱한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가 패널(panel)에 흡착되었을 때, 상기 센서부(754)와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과의 거리를 미리 지정하고, 미리 지정된 거리 상에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이 위치하게 되면 PCB 가압부(740)와 연결된 구동부(752)가 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740)가 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고정 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54)는 광센서 일 수 있고,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과의 거리를 센싱한다.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과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740)를 구동 시킨다. 상기 구동부(740)는 서보 모터 일 수 있고, 상기 구동부(740)가 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740)를 회전시켜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를 눌러 고정 시킨다.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로부터 분리 시키면, 상기 센서부(754)는 상기 패널(도 5 의 panel 참조)과 상기 센서부(754)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고, 미리 지정된 값과 달라지면, 상기 구동부(754)를 구동시켜 상기 PCB 가압부(740)를 원래 위치로 복귀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PCB(도 5의 PCB 참조)가 상기 PCB 홀더(700)로부터 이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널 이송용 흡착기에 따르면, 상기 패널에 상기 패널 이송용 흡착기를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PCB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PCB를 고정 시키므로, 패널 이송시 상기 패널과 상시 PCB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흡착기 210: 제1 프레임
220: 제2 프레임 230: 제3 프레임
240: 제4 프레임 400: PCB 홀더

Claims (20)

  1. 상패널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를 지지하는 PCB 지지부 및 상기 PCB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PCB 가압부를 포함하는 PCB 홀더를 포함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패널에 흡착함과 동시에 상기 PCB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에 연결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패널에 상기 흡착부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누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몸체, 접촉부 및 압력 조절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널과 접촉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PCB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압력 조절 스프링은 상기 PCB 고정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PCB를 누르고,
    상기 복귀 스프링과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방향은 상기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센서부와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었는지 센싱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면,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과 상기 PCB 홀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패널이 미리 정해진 위치범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PCB 가압부를 움직여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널과 접촉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PCB 가압부를 움직여 상기 PCB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 지지부는 상기 PCB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PCB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는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단면이 L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단면이 U 자형 형상을 갖고, 상기 받침부재 상부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PCB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경사진 쐐기 모양의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PCB 홀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조절부는 상기 제3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PCB 홀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상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조절부는 상기 좌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PCB 홀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 홀더는 상기 패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흡착판들 및 상기 제3 프레임 하부에 배치된 제3 및 제4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PCB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에 연결되고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패널에 상기 흡착부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작동하여 상기 PCB 가압부가 상기 PCB를 누르도록 하고,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상기 및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PCB 가압부는 상기 제3 링크에 연결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에 연결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용 흡착기.
KR1020120047950A 2012-05-07 2012-05-07 패널 이송용 흡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6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50A KR101969839B1 (ko) 2012-05-07 2012-05-07 패널 이송용 흡착기
US13/615,944 US20130291377A1 (en) 2012-05-07 2012-09-14 Panel carrying vacuum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50A KR101969839B1 (ko) 2012-05-07 2012-05-07 패널 이송용 흡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67A true KR20130124667A (ko) 2013-11-15
KR101969839B1 KR101969839B1 (ko) 2019-04-18

Family

ID=4951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9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9839B1 (ko) 2012-05-07 2012-05-07 패널 이송용 흡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91377A1 (ko)
KR (1) KR1019698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22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이엠티 초박판 미세패턴 기판 자동 적재기
CN110342255A (zh) * 2019-07-25 2019-10-18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Pcba板的分板与测试对接移栽设备
KR20200052739A (ko) * 2018-11-07 2020-05-15 와이엠양산기공 주식회사 에어 툴의 작동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0785B (zh) * 2015-03-03 2016-08-24 河北工业大学 一种毛细吸附吸盘
CN106044233A (zh) * 2016-07-29 2016-10-26 苏州高通机械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搬运机器人吸盘机械手
US11569597B2 (en) * 2018-10-10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inser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10143398B (zh) * 2019-06-10 2020-12-22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搬运装置
KR102667205B1 (ko) * 2019-06-14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CN111115270A (zh) * 2020-01-21 2020-05-08 中建材凯盛机器人(上海)有限公司 搬运装置
CN111792376B (zh) * 2020-06-16 2022-02-01 上海名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pcb放板机的夹爪机构及其操作方法
CN112478769A (zh) * 2020-10-23 2021-03-12 上海凯思尔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pcb行业的双面切换吸附系统
CN114274070B (zh) * 2021-12-30 2024-02-09 浪潮(山东)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主板固定工具
KR20230103691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에이징 팔레트
CN114313987A (zh) * 2022-01-08 2022-04-12 深圳市中科耐特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线路板检测的上下料设备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59A (ja) * 2000-05-02 2001-11-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ラス基板のハンドリング方法
KR20030092653A (ko) * 2002-05-30 2003-12-0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검사 시스템
JP2004099210A (ja) * 2002-09-05 2004-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アバランス式ガラス基板移載装置
US20060068677A1 (en) * 2004-09-27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panel assembl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JP2006293047A (ja) * 2005-04-12 2006-10-2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の保持方法、搬送方法および洗浄方法並びに洗浄装置
KR100813312B1 (ko) * 2007-10-12 2008-03-17 주식회사 가림티에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스템
KR20080066370A (ko) * 2007-01-12 2008-07-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흡착장치
JP2008242074A (ja) * 2007-03-27 2008-10-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吸着冶具
KR2009011065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평판디스플레이용 픽업장치의 소스피시비피커
KR20100070039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흡착기 및 이를 가지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장치
KR20110055098A (ko) * 2009-11-19 2011-05-25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피씨비 거치대가 구비된 패널 이송용 흡착기
JP2012002994A (ja) * 2010-06-16 2012-01-0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表示パネル組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251A (en) * 1972-10-06 1974-09-03 Aerovac Corp Longitudinally stiffened flexible lifter for arcuate objects
US3945285A (en) * 1973-02-06 1976-03-23 Karl M. Reich Maschinenfabrik Gmbh Apparatus for sawing a panel into portions
US4627785A (en) * 1984-05-14 1986-12-09 Monforte Robotics, Inc. Exchangeable multi-function end effector tools
US4723353A (en) * 1984-05-14 1988-02-09 Monforte Mathew L Exchangeable multi-function end effector tools
US4828304A (en) * 1986-09-09 1989-05-09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Vacuum adsorption hand
US4685714A (en) * 1986-12-18 1987-08-11 Hoke Thomas A Lifting assembly
US5024575A (en) * 1989-09-08 1991-06-18 Robotic Originals, Inc. Lightweight gripper for robotic transfer operations
US5265317A (en) * 1991-12-19 1993-11-30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Geometry station
US5284413A (en) * 1992-08-05 1994-02-08 Intelma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in integrated circuits into and from carriers
US5344202A (en) * 1992-09-24 1994-09-06 Dimension Industries, Inc. End effectors with individually positionable vacuum cups
US5387068A (en) * 1993-12-06 1995-02-07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rigid sheet material into shipping containers at a work station and end effector for use therein
US6416273B1 (en) * 1994-12-12 2002-07-09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 Tool mount for moving elements
US5733097A (en) * 1994-12-12 1998-03-31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Cross-bar tool mounting system
US5632590A (en) * 1995-06-30 1997-05-27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panels into shipping containers at a work station and end effector for use therein
TW475086B (en) * 1996-07-03 2002-02-01 Toshiba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flat-panel display unit, display panel carrier theref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or optical device
JP4249869B2 (ja) * 1999-12-22 2009-04-0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基板搬送装置
US6467824B2 (en) * 2001-03-13 2002-10-22 Data I/O Corporation Floating seal pick and place system and unit therefor
JP3472963B1 (ja) * 2002-05-30 2003-12-02 ミカドテクノス株式会社 高温用真空プレス装置
US6776020B2 (en) * 2002-10-11 2004-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stretching forming and transporting and aluminum metal sheet
DE10310194A1 (de) * 2003-03-06 2004-09-30 Kuka Schweissanlagen Gmbh Fügeeinrichtung und Fügeverfahren
KR100494938B1 (ko) * 2003-07-07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램핑 장치
US7017961B1 (en) * 2004-08-06 2006-03-28 Bakery Holdings Llc Compressive end effector
US7748107B2 (en) * 2004-10-12 2010-07-06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 Bar mounted tool adaptor
US7585145B2 (en) * 2005-12-29 2009-09-08 Chunghwa Picture Tubes, Ltd. Panel transfer apparatus
WO2010022501A1 (en) * 2008-08-29 2010-03-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a circuit board
US8328252B2 (en) * 2010-03-31 2012-12-11 G.T. Line S.R.L. Grip assembly, particularly for suitcases and trunks
US8684418B2 (en) * 2011-05-04 2014-04-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exible dress package for an end-effector employed with a robotic arm
US8985936B2 (en) * 2012-09-11 2015-03-24 Nidec Mins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 lamination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59A (ja) * 2000-05-02 2001-11-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ラス基板のハンドリング方法
KR20030092653A (ko) * 2002-05-30 2003-12-0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검사 시스템
JP2004099210A (ja) * 2002-09-05 2004-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アバランス式ガラス基板移載装置
US20060068677A1 (en) * 2004-09-27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panel assembl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JP2006293047A (ja) * 2005-04-12 2006-10-2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の保持方法、搬送方法および洗浄方法並びに洗浄装置
KR20080066370A (ko) * 2007-01-12 2008-07-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흡착장치
JP2008242074A (ja) * 2007-03-27 2008-10-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吸着冶具
KR100813312B1 (ko) * 2007-10-12 2008-03-17 주식회사 가림티에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스템
KR2009011065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평판디스플레이용 픽업장치의 소스피시비피커
KR20100070039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흡착기 및 이를 가지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장치
KR20110055098A (ko) * 2009-11-19 2011-05-25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피씨비 거치대가 구비된 패널 이송용 흡착기
JP2012002994A (ja) * 2010-06-16 2012-01-0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表示パネル組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22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이엠티 초박판 미세패턴 기판 자동 적재기
KR20200052739A (ko) * 2018-11-07 2020-05-15 와이엠양산기공 주식회사 에어 툴의 작동 스위치
CN110342255A (zh) * 2019-07-25 2019-10-18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Pcba板的分板与测试对接移栽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839B1 (ko) 2019-04-18
US20130291377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839B1 (ko) 패널 이송용 흡착기
CN105511127B (zh) 曲面显示屏贴合设备
US7980284B2 (en) Vacuum laminator
JP4175697B2 (ja) ガラス基板保持具
KR101463060B1 (ko) 진공흡착기
KR20180034762A (ko)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CN102910808B (zh) 使用断开板的断开装置
CN111798775B (zh) 根据显示面板尺寸间距可变的检测装置
CN110762094B (zh) 用于电子设备壳体的保压治具
CN118533462B (zh) 一种汽车方向盘喇叭按压耐久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170084739A (ko) 클램핑 장치
KR1012317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기에 적용되는 회로기판 위치 고정용 지그
CN211348904U (zh) 平衡可调节的本压绑定装置
KR101992313B1 (ko) 피검사체의 모델에 따라 호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장치
CN219325165U (zh) 一种电子材料生产用便捷式夹取器
KR101639557B1 (ko) 엘씨디 패널 커브드 변환 시스템
US8419343B2 (en) Sound film adsorption device
US20240342867A1 (en) Assembly jig
CN119291241A (zh) 检查夹具及基板检查装置
KR101487066B1 (ko) 스크린 프린터용 기판 지지 유닛
KR100643236B1 (ko) 패널지지장치
KR200449023Y1 (ko) 연성회로기판의 반전장치
CN115447030B (zh) 贴附装置
CN113946022B (zh) 一种光纤瞄准器和to封装对准装置
CN215720044U (zh) 一种组装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