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351A - 래싱 장치 - Google Patents

래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351A
KR20230062351A KR1020220084407A KR20220084407A KR20230062351A KR 20230062351 A KR20230062351 A KR 20230062351A KR 1020220084407 A KR1020220084407 A KR 1020220084407A KR 20220084407 A KR20220084407 A KR 20220084407A KR 20230062351 A KR20230062351 A KR 2023006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arc
hole
axis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535B1 (ko
Inventor
촨-광 셰
Original Assignee
포르모사 포르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르모사 포르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르모사 포르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6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8Anti-t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래싱(lashing) 장치는 베이스 시트(10)를 포함하고, 이 베이스 시트는 하부 벽(11), 및 상기 하부 벽(11)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피봇 슬롯(13)을 정의하는 2개의 피봇 러그(12)를 가지며, 각 피봇 러그에는, 피봇 슬롯(13)과 연통하는 피봇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본 래싱 징치는 피봇 러그(12) 각각의 피봇 구멍(121)을 통해 연장되는 피봇 핀(20), 및 피봇 슬롯(13)에 수용되는 아이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며, 아이 플레이트는, 피봇 핀(20)이 통과해 움직일 수 있게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피봇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부분(31), 및 이 중간 부분(31)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날개 부분(32, 33)을 가지며, 각 날개 부분에는 호 부분(326, 336)을 갖는 기다란 구멍(323, 333)을 갖는다. 기다란 구멍(323, 333)의 호 부분(326, 336)의 호 축선(L3)은 피봇 구멍(311)의 중심 축선(L1)과 정렬된다.

Description

래싱 장치{LASHING DEVICE}
본 개시는 래싱(lashing) 장치, 특히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에 실린 컨테이너는 행과 열로 적층된다. 화물선이 움직일 때 적층된 컨테이너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래싱 장치(예컨대, 대만 특허 I250956, M284618 및 I24573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래싱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컨테이너를 화물선의 갑판에 고정시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화물선의 갑판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아이 플레이트(eye plate)(1)를 통해 복수의 래싱 장치(3)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고정 시트(seat)(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아이 플레이트(1)는 각각의 고정 시트(2)의 상부 표면과 측면에 용접되고, 복수의 원형 구멍(101)을 갖는다. 각 래싱 장치(3)는 컨테이너(6)와 각각의 아이 플레이트(1) 사이에 연결되며, 턴버클(4)과 래싱 로드(5)를 포함한다. 각 래싱 장치(3)의 턴버클(4)은 피봇 핀(401)을 통해 아이 플레이트(1)의 각각의 원형 구멍(101)과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각 래싱 장치(3)의 래싱 로드(5)는 컨테이너(6)의 코너 캐스팅(601)과 결합되는 훅크 단부(501), 및 턴버클(4)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를 갖는다.
도 3,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아이 플레이트(1) 및 래싱 장치(3)의 전술한 시스템은 컨테이너(6)를 갑판에 고정시킬 수 있지만, 화물선이 불안정해 지고(예를 들어, 거센 바람 또는 강한 조류로 인해) 컨테이너(6)에 충격력(F)(도 3 참조)을 가할 때, 컨테이너(6)는 그의 관성력(도 3의 점선 화살표 참조)을 받아 충격력(F)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6)는 래싱 장치(3)에 당김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당김력은 래싱 장치(3)의 래싱 로드(5) 또는 컨테이너(6)의 코너 캐스팅(601)을 쉽게 손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당김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6)가 기울어져 갑판에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컨테이너(6)는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래싱 장치(3)가 상이한 각도로 갑판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2개의 서로 인접하는 래싱 로드(5)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래싱 장치(3)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손가락이 우발적으로 래싱 로드(5) 사이에 끼여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독일 특허 DE202017103865U1에 개시된 래싱 장치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대만 특허 I641770에 개시된 래싱 장치가 그 단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이 래싱 장치의 아이 플레이트는 불균일하게 분포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완화할 수 있는 래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래싱 장치는 베이스 시트, 피봇 핀, 및 아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는 하부 벽, 및 상기 하부 벽에 연결되는 2개의 이격된 피봇 러그(pivot lug)를 가지며, 그 피봇 러그는 하부 벽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피봇 슬롯을 정의한다. 각 피봇 러그에는, 피봇 슬롯과 연통하는 피봇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구멍은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피봇 핀은 피봇 러그 각각의 피봇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아이 플레이트는 피봇 슬롯에 수용되며, 중간 부분, 제1 날개 부분 및 제2 날개 부분을 갖는다. 중간 부분에는 피봇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핀은, 아이 플레이트가 베이스 시트에 대해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구멍을 통해 움직일 수 있게 연장된다. 제1 날개 부분은 중간 부분의 양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단부, 중간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제1 원위 단부, 및 제1 연결 단부와 제1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기다란 구멍을 갖는다. 제1 기다란 구멍은 제1 호(arc)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을 갖는다. 제2 날개 부분은 중간 부분의 양 단부 중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단부, 중간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제2 원위 단부, 및 제2 연결 단부와 제2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기다란 구멍을 갖는다. 제2 기다란 구멍은 제1 호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을 갖는다. 제1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의 제1 호 축선과 제2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의 제1 호 축선은 중심 축선과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종래의 래싱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래싱 장치 및 충격력을 받는 컨테이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컨테이너의 기울어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당겨져 손상된 한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래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아이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직립 기둥에 장착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직립 기둥에 장착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래싱 로드 유닛과 함께 사용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다른 사용 상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 따른 래싱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아이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싱 로드 유닛과 함께 사용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다른 사용 상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참조 번호 또는 참조 번호의 말단 부분은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들 사이에서 반복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래싱(lashing) 장치의 제1 실시예는 직립 기둥(10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직립 기둥(100)은 직립 기둥의 상부 단부에 배치되는 2개의 단부 코너(110)를 가지며, 이들 단부 코너는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래싱 장치는 직립 기둥(100)의 단부 코너(110)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베이스 시트(10), 피봇 핀(20) 및 아이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10)는 하부 벽(11), 및 상기 하부 벽(11)에 연결되는 2개의 이격된 피봇 러그(lug)(12)를 가지며, 이 피봇 러그는 하부 벽(11)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피봇 슬롯(13)을 정의한다.
베이스 시트(10)의 하부 벽(11)은 피봇 슬롯(13)에 노출되는 상부 표면(111), 및 상부 표면(111)의 반대편에 있는 제1 및 제2 접촉 표면(112, 113)을 가지며, 이들 접촉 표면은 코너 선(114)에서 서로 교차하고 서로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상부 표면(111)은 평평한 부분(115), 및 평평한 부분(115)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경사 부분(116)을 갖는다. 경사 부분(116)이 평평한 부분(115)에 대해 경사지도록, 각 경사 부분(116)은 평평한 부분(115)에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평평한 부분(115)과 피봇 러그(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피봇 러그(12)는, 피봇 슬롯(13)과 연통하는 피봇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시 부분(122)을 갖는다. 피봇 구멍(121)은 중심 축선(L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피봇 러그(12)는 중심 축선(L1)과 교차하는 가상 연장선(L2)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가상 연장선은 제1 접촉 표면(112)의 가상 연장에 대해 경사져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각 피봇 러그(12)의 연장선(L2)과 제1 접촉 표면(112)의 가상 연장 사이에 경사각(θ1)(도 7 참조)이 형성되고, 40도 내지 50도의 범위(바람직하게는 45도)에 있다. 코너 선(114) 및 제2 접촉 표면(113)과 겹치는 가상 평면이 중심 축선(L1)에 대해 경사져 있고, 그래서 가상 평면과 중심 축선(L1) 사이에 설치각(θ2)(도 9 참조)이 형성된다. 이 설치각(θ2)은 실제 요구 사항에 맞도록 제조 중에 조절 가능하다.
피봇 핀(20)은 각 피봇 러그(12)의 피봇 구멍(121)을 통해 연장된다. 아이 플레이트(30)는 피봇 슬롯(13)에 수용되고, 중간 부분(31), 제1 날개 부분(32), 제2 날개 부분(33), 하부 가장자리(34), 상부 가장자리(35), 제1 측면 가장자리(36) 및 제2 측면 가장자리(37)를 갖는다.
중간 부분(31)에는, 중심 축선(L1)을 따라 연장되는 피봇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핀(20)은, 아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시트(10)에 대해 피봇 핀(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구멍(311)을 통해 움직일 수 있게 연장된다. 하부 가장자리(34)는 베이스 시트(10)의 하부 벽(11)에 대해 근위에 있다. 상부 가장자리(35)는 하부 가장자리(34)의 반대편에 있다. 제1 및 제2 날개 부분(32, 33)은 중간 부분(31)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측면 가장자리(36)는 하부 가장자리(34)와 상부 가장자리(35)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날개 부분(32)에 배치된다. 제2 측면 가장자리(37)는 하부 가장자리(34)와 상부 가장자리(35)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날개 부분(33)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 부분(32)은, 중간 부분(31)의 양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단부(321), 중간 부분(31)으로부터 원위에 있고 제1 측면 가장자리(36)에 배치되는 제1 원위 단부(322), 제1 연결 단부(321)와 제1 원위 단부(3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기다란 구멍(323), 상부 가장자리(35)로부터 돌출된 제1 스탑퍼(324), 및 베이스 시트(10)의 지시 부분(122)에 위치 대응하는 지시기(325)를 갖는다. 제1 기다란 구멍(323)은 제1 호(arc) 축선(L3)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326)과 제2 호 축선(L4)에 중심을 두는 제2 호 부분(327)을 갖는다.
제2 날개 부분(33)은 중간 부분(31)의 양 단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단부(331)와, 중간 부분(31)으로부터 원위에 있고 제2 측면 가장자리(37)에 배치되는 제2 원위 단부(332), 제2 연결 단부(331)와 제2 원위 단부(3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기다란 구멍(333), 및 상부 가장자리(35)와 제2 측면 가장자리(37) 사이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스탑퍼(334)를 갖는다. 제2 기다란 구멍(333)은 제1 기다란 구멍(323)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제1 호 축선(L3)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336) 및 제2 호 축선(L4)에 중심을 두는 제2 호 부분(337)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제1 호 부분(326)의 제1 호 축선(L3)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제1 호 부분(336)의 제1 호 축선(L3)은 중심 축선(L1)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래서 가상 평면(P)이 모든 3개의 축선과 겹침을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제1 및 제2 기다란 구멍(323, 333)의 제1 호 부분(326, 336)은 제1 기준 평면(P1)에 접하고, 제1 및 제2 기다란 구멍(323, 333)의 제2 호 부분(327, 337)은 제2 기준 평면(P2)에 접한다. 제1 기준 평면(P1)과 제2 기준 평면(P2)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가상 평면(P)에 평행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기다란 구멍(323) 및 제2 기다란 구멍(333) 각각은, 하부 가장자리(34)와 상부 가장자리(35) 사이에서 측정되는 장축 길이(ℓ1), 및 제1 측면 가장자리(36)와 제2 측면 가장자리(37) 사이에 측정되는 단축 길이(ℓ2)를 가짐을 유의해야 한다. 장축 길이(ℓ1)는 단축 길이(ℓ2) 보다 크다.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제1 및 제2 호 부분(326, 327)은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장축 길이(ℓ1)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다. 유사하게,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제1 및 제2 호 부분(336, 337)은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장축 길이(ℓ1)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다.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장축 길이(ℓ1)의 방향은 제2 기다란 구멍(333)의 것에 평행하다.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제1 호 축선(L3)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제1 호 축선(L3)은 중심 축선(L1)으로부터 등거리에 있고, 그래서 중심 축선(L1)과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장축 사이의 거리(d)는 중심 축선(L1)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장축 사이의 거리(d)와 같다(도 6참조).
본 개시의 본 실시예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추가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의 적용의 상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화물선의 갑판 상에서 행과 열로 적층된 복수의 컨테이너(6)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의 래싱 장치의 베이스 시트(10)는 갑판 상에 있는 복수의 직립 기둥(100)의 단부 코너(110)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며, 또한 복수의 래싱 로드 유닛(3)이 래싱 장치의 아이 플레이트(30)와 컨테이너(6) 사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각 래싱 로드 유닛(3)은 래싱 로드(5), 및 래싱 로드(5)와 대응하는 아이 플레이트(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턴버클(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싱 로드 유닛(3)은 쌍으로 그룹화되고, 각 쌍의 래싱 로드 유닛(3)은 한 래싱 장치의 아이 플레이트(30)와, 수직으로 적층된 2개의 인접한 컨테이너(6) 사이에 연결된다. 한 쌍의 래싱 로드 유닛(3) 각각은, 아이 플레이트(30)의 제1 및 제2 기다란 구멍(323, 333)의 각각의 기다란 구멍과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한 단부, 및 2개의 인접한 컨테이너(6)의 각각의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601)과 결합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컨테이너(6)는 상이한 높이로 적층되고 배치되기 때문에, 래싱 로드 유닛(3)은 갑판의 표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다(도 10 참조). 이와 관련하여, 상부 표면(111)의 평평한 부분(115) 및 경사 부분(116)의 구성으로 인해, 그리고 각 래싱 장치의 아이 플레이트(30)는 베이스 시트(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베이스 시트(10)의 상부 표면(111)과 아이 플레이트(30)의 하부 가장자리(34)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아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시트(10)에 대해 약간 회전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아이 플레이트(30)는, 동일한 쌍의 래싱 로드 유닛(3)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같게 하는 레버로서 역할하며(즉, 아이 플레이트(30)는 아이 플레이트(30)와 한 쌍의 래싱 로드 유닛(3) 중 한 래싱 로드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아이 플레이트(30) 및 그 쌍의 래싱 로드 유닛(3) 중 다른 래싱 로드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와 대략 같은 위치로 회전할 수 있음), 따라서 래싱 로드 유닛(3)은 불균일하게 분포된 인장력을 받지 않는다. 베이스 시트(10)의 상부 표면(111)과 아이 플레이트(30)의 하부 가장자리(34) 사이에 형성되는 틈은 아이 플레이트(30)의 피봇식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우발적으로 그 사이에 끼일 수 있기에 충분히 넓지는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아이 플레이트(30)의 피봇 운동으로 인해, 각 쌍의 래싱 로드 유닛(3) 사이의 거리는 갑판의 표면에 대한 래싱 로드 유닛(3)의 경사의 변화에 무관하게 대략 동일하게 유지되며, 그래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래싱 로드 유닛(3) 사이에 끼여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로, 아이 플레이트(30)의 제1 기다란 구멍(323)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구성으로 인해, 화물선이 거센 바람이나 강한 조류를 만나 불안정해지면, 래싱로드 유닛(3)이 아이 플레이트(30)의 제1 및 제2 기다란 구멍(323, 333)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래싱 로드 유닛(3)의 슬라이딩 운동 및 아이 플레이트(30)의 피봇 운동이 래싱 로드 유닛(3)과 컨테이너(6)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협력적으로 감쇠시킨다.
작업 동안에, 아이 플레이트(30)의 지시기(325)와 베이스 시트(10)의 지시 부분(122)의 조합은 아이 플레이트(30)가 잘못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아이 플레이트(30)의 제1 스탑퍼(324)와 제2 스탑퍼(334)는, 래싱 로드 유닛(3)이 미리 결정된 경사 각도로 위치될 수 있도록, 래싱 로드 유닛(3)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됨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베이스 시트(10)의 구성은 상이한 요구 사항에 적합한 상이한 경사각(θ1)과 설치각(θ2)을 형성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시트(10)의 제1 접촉 표면(112)과 제2 접촉 표면(113)의 합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베이스 시트(10)와 직립 기둥(100) 사이의 용접면적이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래싱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고, 두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래싱 장치는 수평으로 배치된 정사각형 튜브 또는 유사한 물품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시트(10')의 하부 부분(11')은 걸림 부분(14')과 하부 표면(15')을 갖는다. 걸림 부분(14')은 수용 공간(13') 안으로 돌출되어 있고, 중심 축선(L1)에 수직이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단면을 갖는다. 하부 표면(15')은 걸림 부분(14')의 반대편에 있고, 하부 표면(15')이 정사각형 튜브의 측면이나 다른 평평한 표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완전히 평평하다. 아이 플레이트(30')의 하부 가장자리(34')에는, 베이스 시트(10')의 걸림 부분(14')을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역 V-형인 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0')의 각 피봇 러그(12')의 가상 연장선(L2)은 피봇 핀(20')의 중심 축선(L1)과 교차하며, 하부 표면(15')에 대해 경사져 있다(도 16 참조). 따라서, 각 피벗 러그(12')의 가상 연장선(L2)과 하부 표면(15') 사이에 경사각(θ1)이 형성되며, 이 경사각은 40도 내지 50도의 범위(바람직하게는 45도)에 있다. 추가로,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제1 호 부분(326')의 제1 호 축선(L3)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제1 호 부분(336')의 제1 호 축선(L3)은 중심 축선(L1)과 동일 평면에 있고, 중심 축선(L1)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다(즉,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축선(L1)과 제1 기다란 구멍(323')의 장축 사이의 거리(d)는 중심 축선(L1)과 제2 기다란 구멍(333')의 장축 사이의 거리(d)와 같음).
따라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래싱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유사한 방식으로 래싱 로드 유닛(3)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컨테이너(6)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및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실시예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 내용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상세 내용 중 일부가 없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한 실시예", "일 실시예", 서수 표시가 있는 실시예 등에 대한 참조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실행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개시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발명적 양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그의 설명에서 가끔 함께 그룹화되며, 또한 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상세 내용은, 본 개시의 실행에서 적절한 경우에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상세 내용과 함께 실행될 수 있음을 더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과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을 커버하여 모든 그러한 수정과 동등한 구성을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래싱(lashing) 장치로서,
    하부 벽, 및 상기 하부 벽에 연결되는 2개의 이격된 피봇 러그(pivot lug)를 갖는 베이스 시트(base seat) - 상기 피봇 러그는 상기 하부 벽과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피봇 슬롯을 정의(define)하며, 각 피봇 러그에는 상기 피봇 슬롯과 연통(communicating)하는 피봇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 구멍은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 -;
    상기 피봇 러그 각각의 피봇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피봇 핀; 및
    상기 피봇 슬롯에 수용(received)되는 아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 플레이트는,
    피봇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부분 - 상기 피봇 핀은, 상기 아이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시트에 대해 상기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 구멍을 통해 움직일 수 있게 연장됨 -;
    상기 중간 부분의 양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단부,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제1 원위 단부, 및 상기 제1 연결 단부와 상기 제1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기다란 구멍을 갖는 제1 날개 부분 -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은 제1 호(arc)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을 가짐 -; 및
    상기 중간 부분의 양 단부 중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단부,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있는 제2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연결 단부와 상기 제2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기다란 구멍을 갖는 제2 날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은 제1 호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1 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의 제1 호 축선과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의 제1 호 축선은 상기 중심 축선과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래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벽에 대해 근위에 있는 하부 가장자리, 상기 하부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있는 상부 가장자리,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 부분의 상기 제1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측면 가장자리, 및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날개 부분의 상기 제2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측면 가장자리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기다란 구멍과 상기 제2 기다란 구멍 각각은 상기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서 측정되는 장축 길이, 및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서 측정되는 단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장축 길이는 상기 단축 길이보다 큰, 래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은 제2 호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2 호 부분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 및 제2 호 부분은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의 장축 길이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은 제2 호 축선에 중심을 두는 제2 호 부분을 더 가지며,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 및 제2 호 부분은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장축 길이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1 기다란 구멍의 장축 길이의 방향은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장축 길이의 방향에 평행한, 래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다란 구멍 및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제1 호 부분은 제1 기준 평면에 접하고, 상기 제1 기다란 구멍 및 상기 제2 기다란 구멍의 제2 호 부분은 제2 기준 평면에 접하며, 상기 제1 기준 평면과 상기 제2 기준 평면은 서로 평행한, 래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하부 벽은 제1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피봇 러그 각각은, 상기 중심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접촉 표면의 가상 연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가상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피봇 러그 각각의 연장선과 상기 제1 접촉 표면의 가상 연장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은 40도 내지 50도의 범위에 있는, 래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하부 벽은, 코너 선 상에서 상기 제1 접촉 표면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접촉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접촉 표면을 더 가지며, 상기 코너 선 및 상기 제2 접촉 표면과 겹치는 가상 평면이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래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피봇 러그 각각은 지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아이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날개 부분은 상기 지시 부분에 위치 대응하는 지시기를 갖는, 래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하부 벽은 상기 피봇 슬롯 안으로 돌출하는 걸림 부분을 가지며, 상기 걸림 부분은, 상기 중심 축선에 수직이고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단면을 가지며,
    상기 아이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걸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역 V-형인 홈이 형성되어 있는, 래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하부 벽은, 상기 걸림 부분의 반대편에 있고 완전히 평평한 하부 표면을 갖는, 래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피봇 러그 각각은, 상기 중심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하부 표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가상 연장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봇 러그 각각의 연장선과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은 40도 내지 50도의 범위에 있는, 래싱 장치.
KR1020220084407A 2021-10-29 2022-07-08 래싱 장치 KR102655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40436A TW202317880A (zh) 2021-10-29 2021-10-29 繫結裝置
TW110140436 2021-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51A true KR20230062351A (ko) 2023-05-09
KR102655535B1 KR102655535B1 (ko) 2024-04-05

Family

ID=8193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07A KR102655535B1 (ko) 2021-10-29 2022-07-08 래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0452B2 (ko)
JP (1) JP7370422B2 (ko)
KR (1) KR102655535B1 (ko)
CN (2) CN116062096A (ko)
TW (1) TW2023178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4249A1 (de) * 2022-11-02 2024-05-10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laschmitteln für container an einem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4200A (ja) * 2017-10-13 2019-05-16 謝榮▲寛▼ アイプレー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るラッシングアイ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3017A (en) * 1944-01-28 1944-07-04 Malcolm G Denton Cargo deck lashing
US5137405A (en) * 1990-09-28 1992-08-11 George Klein Bulkhead and rail transport system
US5288187A (en) * 1992-06-19 1994-02-22 Ward Montague R Tie down assembly for container loads
CA2365983C (en) * 2001-12-20 2003-10-28 Moody Industries Inc. Cargo retaining apparatus
US6669417B2 (en) * 2002-05-14 2003-12-30 David Hsieh Positioning assembly for positioning a container on a platfor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6001035A (ja) 2014-06-12 2016-01-07 港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縛用ターンバックル
JP6060234B1 (ja) * 2015-09-11 2017-01-11 Kyb株式会社 転倒防止装置
US20200229601A1 (en) * 2015-09-11 2020-07-23 Kyb Corporation Overturn preventing device
JP6205445B2 (ja) * 2016-03-15 2017-09-27 Kyb株式会社 転倒防止装置、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2018039532A (ja) 2016-09-07 2018-03-15 港製器工業株式会社 ラッシングロ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4200A (ja) * 2017-10-13 2019-05-16 謝榮▲寛▼ アイプレー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るラッシングアイ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0452B2 (en) 2023-07-04
KR102655535B1 (ko) 2024-04-05
TW202317880A (zh) 2023-05-01
US20230133713A1 (en) 2023-05-04
CN216734681U (zh) 2022-06-14
CN116062096A (zh) 2023-05-05
JP7370422B2 (ja) 2023-10-27
JP2023067722A (ja)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8480A (en) Universal shelf system
KR20230062351A (ko) 래싱 장치
US8844892B2 (en) Tablet computer stand
US6889404B2 (en) Height-adjustable hing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TWI641770B (zh) Tie plate and tie device
KR101673133B1 (ko) 로크장치를 구비한 5 자유도 관절기구
US3978943A (en) Folding support bracket
US20040173717A1 (en) Hook holder for holding scaffolding elements to a scaffold
EP3683173B1 (en) A transportable harp rack for panels
JPH0977364A (ja) ケーブル巻枠ドラム支持装置
US10865575B2 (en) Bracket scaffold
JP4499033B2 (ja) 床用目地装置
US5303831A (en) Holder for brooms and the like
JP2023526296A (ja) 安全はしご
US20170219164A1 (en) Rotation-Adjustable Hanging Device
KR200490990Y1 (ko) 수직 베슬 지지장치
JP2972519B2 (ja) 落下物養生装置
CN219296645U (zh) 一种用于装载设备的柔性缓冲装置
CN215665592U (zh) 一种皮带机自动旋转装置
JP4666552B2 (ja) コンテナ船のセルガイド
JP5390457B2 (ja) 天井用目地装置
JP2002114476A (ja) タテ型フラットクランプ
KR101995158B1 (ko) Lng 연료탱크 패널 조립용 수동 이송장치
JP2677123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カートンクランプ装置
KR200484429Y1 (ko) 선박 블록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