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286A -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286A
KR20230058286A KR1020217040933A KR20217040933A KR20230058286A KR 20230058286 A KR20230058286 A KR 20230058286A KR 1020217040933 A KR1020217040933 A KR 1020217040933A KR 20217040933 A KR20217040933 A KR 20217040933A KR 20230058286 A KR20230058286 A KR 20230058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top toy
gear
guide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3005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긴 쪽 방향으로 제1 톱니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안내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또한, 축부 및 동체부로 구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팽이 완구이며, 상기 본체의 외주에는,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림 가능한 제2 톱니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톱니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이다. 이것에 의하면, 팽이 완구를 안내 부재를 따라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2 톱니가 제1 톱니와 맞물리는 만큼, 움직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본 발명은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 완구끼리를 배틀시키기 위하여 전용의 팽이 완구 유희대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팽이 완구 유희대에서는, 배틀 필드의 주위에 당해 배틀 필드를 구획하는 돌출 벽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배틀 필드에 쏘아진 팽이 완구가 돌아다니며 움직여 벽에 부딪치면, 돌출 벽을 따라 이동하거나, 돌출 벽에서 튕겨지거나 하여 다시 배틀 필드의 중앙으로 되돌아가, 배틀을 펼친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9208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는, 팽이 완구를 쏜 직후가 최대이고, 그 후는 대략, 회전 에너지의 감소에 따라 감쇠하는 것뿐이며, 돌출벽에 부딪친 경우에도, 팽이 완구의 회전에 따라 팽이 완구가 돌출벽에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어느 정도 회동 움직임 속도의 변화는 보여지지만, 예측할 수 있는 범위에서 돌아다니며 움직이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회동 움직임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는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제1 수단은,
긴 쪽 방향으로 제1 톱니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안내면을 갖는 안내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또한, 축부 및 동체부로 구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팽이 완구이며,
상기 본체의 외주에는,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림 가능한 제2 톱니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이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이며,
상기 제2 톱니는 톱니 형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이며,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2 또는 제3 수단이며,
상기 본체와 상기 톱니 형성 부재 사이의 동작 저항이 되는 저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4 수단이며,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기어이고,
상기 저항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기어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기어에 충격이 작용한 때에 상기 기어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5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6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클로부와, 상기 회전축과 상대 회전 불가이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클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클로부가 형성된 클로 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클로 부재를 상기 제1 클로부에 상기 제2 클로부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수단은, 제7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판 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수단은, 제6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수단은, 제6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기계식 클러치로 구성되고, 요철로 구성되어 상기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의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맞닿음부를 갖고, 당해 맞닿음부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끼워 맞추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수단은, 제10 수단이며,
상기 돌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상기 맞닿음부가 형성된 교환 가능한 복수의 상기 맞닿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수단은,
제1 내지 제11 수단 중 어느 것의 팽이 완구와, 상기 안내 부재가 고정되어 마련된 팽이 완구 유희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이다.
제13 수단은,
안내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또한, 축부 및 동체부로 구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팽이 완구이며,
상기 본체의 외주에, 상기 안내 부재의 안내면과 맞닿아지는 제1 마찰 저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이다.
제14 수단은, 제13 수단이며,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수단은, 제14 수단이며,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수단은, 제13 내지 제15 수단 중 어느 것이며,
상기 안내 부재의 안내면에는, 상기 제1 마찰 저항부에 맞닿는 제2 마찰 저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수단은, 제13 내지 제16 수단 중 어느 것이며,
상기 본체와 상기 제1 마찰 저항부 사이의 동작 저항이 되는 저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수단은, 제17 수단이며,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롤러이고,
상기 저항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롤러에 충격이 작용한 때에 상기 롤러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상기 롤러와 상기 안내 부재가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 수단은, 제18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수단은, 제19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축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클로부와, 상기 회전축과 상대 회전 불가이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클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클로부가 형성된 클로 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클로 부재를 상기 상기 제1 클로부에 상기 제2 클로부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수단은, 제20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판 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 수단은, 제19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롤러 사이에 구성되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3 수단은, 제19 수단이며,
상기 저항 수단은, 기계식 클러치로 구성되고, 오목부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돌기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맞닿음부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끼워 맞추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4 수단은, 제23 수단이며,
상기 돌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서 상기 맞닿음부가 형성된 교환 가능한 복수의 상기 맞닿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5 수단은,
제13 내지 제24 수단 중 어느 것의 팽이 완구와, 상기 안내 부재가 고정되어 마련된 팽이 완구 유희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이다.
제1 수단에 의하면, 제2 톱니가 제1 톱니와 맞물린 때, 미끄럼 이동시키지 않고 팽이 완구를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톱니와 제1 톱니의 맞물림에 의해, 팽이 완구의 회전이 안내 부재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의 이동을 급격하게 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톱니가 제1 톱니와 맞물리는 만큼, 움직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제2 수단에 의하면, 제2 톱니가 안내 부재에 맞닿아진 때, 튕겨지기 어렵고, 제2 톱니와 제1 톱니의 맞물림을 하기 쉬워진다.
제3 수단에 의하면, 톱니 형성 부재가 제1 톱니가 회전축에 마련된 기어이므로, 톱니 형성 부재의 구성이 간단해짐과 함께, 그 설치 구조도 간소한 것이 된다. 또한, 기어이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동력을 이용하기 쉽다.
제4 수단에 의하면, 저항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회전이 톱니 형성 부재를 통해 안내 부재의 제1 톱니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의 주회 움직임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5 수단에 의하면, 기어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기어가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 톱니가 제2 톱니와 맞물리기 쉬워진다. 또한, 제1 톱니와 제2 톱니의 맞물림 후에는, 제1 톱니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가 증대하게 된다.
제6 수단에 의하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제1 톱니와 제2 톱니가 용이하게 맞물리고,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7 수단에 의하면, 기어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기어를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효과적으로 충격이 흡수되어, 제1 톱니가 제2 톱니와 맞물리기 쉬워진다. 또한, 제1 톱니가 제2 톱니와의 맞물림 후에는, 기어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가 증대하게 된다.
제8 수단에 의하면, 기어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기어를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7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 수단에 의하면, 기어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마찰 클러치가 기어를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7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0 수단에 의하면, 기어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기어를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7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1 수단에 의하면, 맞닿음 부재의 교환에 의해 팽이 완구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돌기로부터 비교적으로 먼 거리에 맞닿음부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과 기어 사이의 동작 저항이 작아지고, 또한, 돌기로부터 비교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맞닿음부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과 기어 사이의 동작 저항이 커진다.
제12 수단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1 수단의 팽이 완구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팽이 완구 세트를 실현할 수 있다.
제13 수단에 의하면, 제1 마찰 저항부가 안내 부재와 맞닿은 때, 팽이 완구를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마찰 저항부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마찰 저항부와 안내 부재의 맞닿음에 의해, 팽이 완구의 회전이 안내 부재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의 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찰 저항부와 안내 부재가 맞닿는 만큼, 움직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제14 수단에 의하면, 제1 마찰 저항부가 안내 부재에 맞닿아진 때, 튕겨지기 어렵고, 제1 마찰 저항부와 안내 부재의 맞닿음을 하기 쉬워진다.
제15 수단에 의하면, 제1 마찰 저항부가 회전축에 마련된 롤러이므로, 그 구성이 간단해짐과 함께, 그 설치 구조도 간소한 것이 된다. 또한, 롤러이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동력을 이용하기 쉽다.
제16 수단에 의하면, 제1 마찰 저항부가 안내 부재의 제2 마찰 저항부와 맞닿으므로, 보다 그립력이 증가하고, 롤러가 전동하기 쉬워진다.
제17 수단에 의하면, 저항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회전이 제1 마찰 저항부를 통해 안내 부재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의 주회 움직임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18 수단에 의하면, 롤러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롤러가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가 안내 부재와 맞닿기 쉬워진다. 또한, 롤러와 안내 부재의 맞닿음 후에는, 롤러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가 증대하게 된다.
제19 수단에 의하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제1 마찰 저항부와 제2 마찰 저항부가 용이하게 맞닿고,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20 수단에 의하면, 롤러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롤러가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와 안내 부재와 맞닿기 쉬워진다. 또한, 롤러와 안내 부재의 맞닿음 후에는, 롤러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팽이 완구의 회동 움직임의 속도가 증대하게 된다.
제21 수단에 의하면, 롤러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롤러가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0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2 수단에 의하면, 롤러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마찰 클러치가 롤러를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20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3 수단에 의하면, 롤러가 안내 부재에 충돌한 때에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기어를 회전축에 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20 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4 수단에 의하면, 맞닿음 부재의 교환에 의해 팽이 완구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돌기로부터 비교적으로 먼 거리에 맞닿음부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과 롤러 사이의 동작 저항이 작아지고, 또한, 돌기로부터 비교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맞닿음부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축과 롤러 사이의 동작 저항이 커진다.
제25 수단에 의하면, 제13 내지 제24 수단의 팽이 완구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팽이 완구 세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팽이 완구 유희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팽이 완구의 축부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축부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축 고정 부재를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팽이 완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축부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축부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팽이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팽이 완구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팽이 완구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는, 교환 가능한 하나의 상판의 하면도이다.
도 15b는, 교환 가능한 다른 상판의 하면도이다.
도 15c는, 교환 가능한 또 다른 상판의 하면도이다.
도 16은, 하나의 상판의 걸림 결합 돌기와 걸림 결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축부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축부의 변형예를 상면측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축부의 변형예를 하면측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다른 팽이 완구의 축부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다른 팽이 완구의 축부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의 다른 팽이 완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 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 세트(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 세트(100)는, 팽이 완구(1)와, 팽이 완구끼리를 배틀시키기 위한 팽이 완구 유희대(9)를 구비하고 있다.
《팽이 완구 유희대(9)》
도 2는, 팽이 완구 유희대(9)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고정구(97)의 사시도이다.
팽이 완구 유희대(9)는, 전체로서,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으로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팽이 완구(1)의 배틀 필드(92)를 구성하는 베이스반(90)과, 베이스반(9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커버체(91)와, 베이스반(90)에 커버체(9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97)(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반(90)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으로 1개의 모서리 코너가 결손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반(9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면이 공기 형상의 오목면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이 배틀 필드(9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반(90)의 오목면 내에는, 배틀 필드(92)를 구획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안내 부재(93)가 2조 마련되어 있다. 각 조의 안내 부재(93)는, 평면으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톱니가 긴 쪽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2조의 안내 부재(93)는, C자의 오목부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각 조의 안내 부재(93)의 양단부는 배틀 필드(92)의 중심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팽이 완구(1)를 안내 부재(93)를 따라 가속시키면서 이동시키고, 중심에 머물러 있는 다른 팽이 완구에 충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반(90)의 3개의 모서리 코너에는 각각 단차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94)에는 직사각형 구멍(94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91)도, 또한,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커버체(9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평면으로 보아 베이스반(90)의 외주부의 측방 및 상방을 덮는 형태로 되어 있다. 커버체(91)의 상면에는 원형의 창(91a)이 형성되고, 베이스반(9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이 창(91a)으로부터 배틀 필드(92)를 직접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91)에는, 베이스반(90)의 3개의 모서리 코너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95)에는 직사각형 구멍(9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91)가 베이스반(9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단차부(95)와 단차부(94)가 중첩되어, 직사각형 구멍(95a)과 직사각형 구멍(94a)이 상하로 합치한다.
커버체(91) 중, 단차부(9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모서리 코너(96)는, 베이스반(90)으로부터 외측 또한 하방으로 경사져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모서리 코너(96)에, 배틀에서 튕겨져 베이스반(90)으로부터 튀어나온 팽이 완구(1)가 맞은 경우, 베이스반(90)의 밖으로 배출된다.
도 3은, 고정구(97)의 사시도이다.
고정구(97)는, 암형 도구(98)과 수형 도구(99)로 구성되어 있다.
암형 도구(98)는, 통 형상부(98a)를 구비하고, 통 형상부(98a)의 외주 하단 바로 위에는 플랜지부(98b)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도구(98)는, 커버체(91)를 베이스반(90)에 고정할 때에, 플랜지부(98b)가 단차부(95)의 직사각형 구멍(95a)의 에지에 위에서부터 닿는다.
수형 도구(99)는, 직사각형 트레이 형상의 기체(99a)의 오목부에 한 쌍의 클로(99b)가 기립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수형 도구(99)는, 커버체(91)를 베이스반(90)에 고정할 때에, 기체(99a)의 에지가 단차부(94)의 직사각형 구멍(94a)의 에지에 아래에서부터 닿음과 함께, 클로(99b)가 암형 도구(98)의 통 형상부(98a)의 구멍 내에 아래로부터 삽입되어, 통 형상부(98a)의 상단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커버체(91)가 베이스반(90)에 고정된다.
《팽이 완구(1)》
도 4는, 팽이 완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팽이 완구(1)는, 크게 구별하여, 동체부(10)와 축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동체부(10)>
동체부(10)는, 상부 동체부(20)와 하부 동체부(30)로 구성되어 있다.
1. 상부 동체부(20)
상부 동체부(20)는, 복합체이며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동체부(20)는, 평면으로 보아, 원형의 중앙부(22)와 환상의 외주부(23) 사이가 환상 홈(25)으로 칸막이되고, 환상 홈(25)의 바닥에는 부분적으로 호 형상의 슬릿(26)이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슬릿(26)은,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동체부(20)의 하면에는 L자 형상의 외측 방향의 결합 클로(27)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결합 클로(27)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2. 하부 동체부(30)
하부 동체부(30)는, 복합체이며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동체부(30)는, 평면으로 보아, 원형의 중앙부(32)와 환상의 외주부(33) 사이가 환상 홈(35)으로 칸막이되고, 환상 홈(35)의 바닥에는 대략 호 형상의 슬릿(36)이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슬릿(36)은,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홈(35)은 상기 환상 홈(25)보다도 광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슬릿(36)의 원주 방향 일단부의 외연에는, 상부 동체부(20)의 결합 클로(27)와 걸림 결합하여 상부 동체부(20)와 하부 동체부(30)를 결합시키는 결합 클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또한, 각 슬릿(36)의 원주 방향 타단부의 외연에는, 후술하는 끼워 맞춤 오목부(53g)와 끼워 맞추어 하부 동체부(30)와 축부(50)를 결합시키는 끼워 맞춤 볼록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당해 결합 클로(도시하지 않음)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2개의 끼워 맞춤 볼록부(37b)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축부(50))
도 5는, 팽이 완구(1)의 축부(50)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축부(50)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회전축(51)은, 역 원뿔대 형상의 끝이 가는 축선(51a)과, 축선(51a)에 연속 설치된 축 본체(51b)를 구비한다. 축선(51a)의 상단 직경은 축 본체(51b)의 직경보다 크고, 축선(51a)의 상단은 축 본체(51b)로부터 환상으로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축 본체(51b)의 상단부에는 D 커트부(51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D 커트부(51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회전축(51)은, 기어(52)의 구멍(52a)과, 커버체(53)의 구멍(53a)과, 클로 부재(54)의 구멍(54a)을 하방으로부터 통과된 축 본체(51b)의 상단부가 축 고정 부재(55)의 끼워 맞춤 구멍(55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축 고정 부재(55)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52)는 안내 부재(93)의 톱니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고, 회전축(51)의 축선(51a)의 상단의 환상 돌출부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이 기어(52)의 상단부면에는 맞물림 클로(52b)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53)는 깊은 둥근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부에 기어(52)의 상단부가 끼워넣는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53)의 상단에는 외향 플랜지(53b)가 형성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53b)에는 끼워 맞춤 돌기(53c)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끼워 맞춤 돌기(53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돌기(53c)에는 끼워 맞춤 오목부(53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 돌기(53c)는, 끼워 맞춤 오목부(53g)와 끼워 맞춤 볼록부(37b)가 끼워 맞춰지도록 하여, 슬릿(36)에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축부(50)와 하부 동체부(3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53)의 내부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된 보스(53d)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스(53d)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53)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끼워 맞춤 돌기(54c)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오목부(53e)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클로 부재(5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기어(52)의 맞물림 클로(52b)에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 클로(54b)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로 부재(54)의 외주부에는,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53e)에 헐겁게 끼워지는 끼워 맞춤 돌기(54c)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로 부재(54)와 맞물림 클로(52b)는 맞물려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맞물림 클러치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기어(52)를 안내 부재(93)를 따라 전동시킨다.
축 고정 부재(55)는, 천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축 고정 부재(55)는, 커버체(53)의 내측에 끼워 넣고, 당해 커버체(53) 사이에서 클로 부재(54)를 내부에 수용한다. 축 고정 부재(55)의 천장판(55b) 아래의 원통부(55c)에는, 클로 부재(54)의 각 끼워 맞춤 돌기(54c)가 끼워넣는 4개의 절결부(55d)가 형성되고, 클로 부재(54)가 소정 범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 고정 부재(55)의 천장판(55b)의 외주부는 원통부(55c)의 외주로부터 환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는 호 형상의 절결부(55e)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절결부(55e)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절결부(55e)는 보스(53d)의 외주부에 맞닿아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고정 부재(55)의 천장판(55b)에는 잘라 구부린 형태의 판 스프링(55f)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마련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55f)은 클로 부재(54)를 하방에 압박하고, 맞물림 클로(54b)를 맞물림 클로(52b)에 압박하는 작용을 한다.
축 고정 부재(55)의 위에는 원판 형상의 상판(57)이 마련되어 있다.
상판(57)은, 축부(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스(53d)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 삽입 관통 구멍(5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 삽입 관통 구멍(57a)에 수나사(도시하지 않음)의 축부를 위로부터 통과시키고, 이 수나사를 보스(53d)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판(57)은 커버체(53)에 고정되어 있다.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
상부 동체부(20)과 하부 동체부(30)를 축방향으로부터 맞대고, 상부 동체부(20)의 결합 클로(27)를 상방으로부터 하부 동체부(30)의 슬릿(36)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부 동체부(20)를 하부 동체부(3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부 동체부(20)의 결합 클로(27)를 하부 동체부(30)의 결합 클로(도시하지 않음)에 걸림 결합시켜서, 상부 동체부(20)와 하부 동체부(3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부 동체부(20)가 설치된 하부 동체부(30)와 축부(50)를 축 방향으로부터 맞대고, 끼워 맞춤 오목부(53g)와 끼워 맞춤 볼록부(37b)가 끼워 맞춰지도록 하여, 끼워 맞춤 돌기(53c)를 슬릿(36)에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축부(50)와 하부 동체부(30)가 결합된다.
<팽이 완구(1)의 회전 가압>
팽이 완구(1)의 회전 가압은, 론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론처는, 상부 동체부(20)의 슬릿(26)에 삽입되는 포크와, 포크를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포크를 상부 동체부(20)의 슬릿(26)에 삽입하고, 회전 기구로 포크를 회전 동작시킴으로써, 팽이 완구(1)를 회전 가압한다. 회전 가압된 팽이 완구(1)는, 론처로부터 발사된다.
<동작>
팽이 완구(1)는 배틀 필드(92)에 쏘아지면, 팽이 완구(1)의 회전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반동으로 돌아다니며 움직인다. 이때, 기어(52)가 회전축(51)과 일체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동 움직임에 의해 팽이 완구(1)의 기어(52)가 안내 부재(93)에 닿는다. 이때의 충격력에 의해, 회전축(51)에 대하여 기어(52)가 판 스프링(55f)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대 회전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에 의해, 팽이 완구(1)가 안내 부재(93)의 근처에 일시적으로 머무르기 쉬워지고, 기어(52)가 안내 부재(93)의 톱니에 맞물리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팽이 완구(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52)와 안내 부재(93)의 톱니가 맞물린 때에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기어(52)를 회전축(51)의 회전에 따라 회전시켜서 안내 부재(93)를 따라 움직이고, 팽이 완구(1)의 이동이 가속된다. 즉, 팽이 완구(1)의 회전이 안내 부재(9)에 전달하기 쉬워져 팽이 완구(1)의 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다른 축부(50A)》
도 9는 다른 축부(50A)의 사시도, 도 10은 다른 축부(50A)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축부(50A)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축부(50A)에 있어서, 상기 축부(50)의 구성 요소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이 축부(50A)가, 상기 축부(50)와 크게 다른 것은, 축부(50)에서는, 맞물림 클로(54b)의 맞물림 클로(52b)에 대한 압박을 판 스프링(55f)으로 행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서, 축부(50A)에서는, 맞물림 클로(54b)의 맞물림 클로(52b)에 대한 압박을 코일 스프링(62)에 의해 행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 축부(50A)에서는, 클로 부재(54)와 축 고정 부재(55) 사이에 압박판(61)을 마련하고 있다.
압박판(61)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51)의 축 본체(51b)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판(61)의 상면에는 축심에 대한 점대칭 위치에 가이드 봉(61b)이 기립 설치되고, 이 가이드 봉(61b)이, 축 고정 부재(55)의 가이드 구멍(55g)과, 상판(57)의 가이드 구멍(57b)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봉(61b)에는 코일 스프링(62)이 권회되어, 압박판(61)이 클로 부재(54)를 기어(52)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봉(61b)을 위에서부터 단단히 누르고, 클로 부재(54)의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파트를 마련하여, 클로 부재(54)와 맞물림 클로(54b)의 맞물림 클러치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판(61)에는 절결부(61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절결부(61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절결부(61c)는 보스(53d)의 외주부에 맞닿아져 있다.
그 밖에, 이 축부(50A)는, 끼워 맞춤 돌기(53c)나 나사 삽입 관통 구멍(55h)이 축 고정 부재(55)에 마련되어 있는 점 등, 미세한 점에서 축부(50)와 다르지만,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축부(50A)를 갖는 팽이 완구에 의하면, 팽이 완구(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다른 팽이 완구(1A)》
도 12는 다른 팽이 완구(1A)의 사시도, 도 13은, 다른 팽이 완구(1A)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다른 팽이 완구(1A)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 팽이 완구(1A)의 회전축(71)은, 원주 형상으로 대경의 축선(71a)과, 축선(71a)에 연속 설치된 축 본체(71b)를 구비한다.
축 본체(71b)의 상단부에는 D 커트부(71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D 커트부(71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71)의 축 본체(71b)는, 기어(72)의 구멍(72a)과, 커버체(73)의 구멍(73a)에 하방으로부터 통과되고, 상단부가 축 고정 부재(74)의 하면의 끼워 맞춤 구멍(74i)에 끼워 맞춰져 있다.
기어(72)의 상단부 외주에는, 원주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파형의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72)의 상면 오목부 내에는 통부가 기립 설치되고, 이 통부에 의해 끼워 맞춤 오목부(72c)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73)는 깊은 둥근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73)의 상단에는 외향 플랜지(7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73)의 내부에는, 보스(73c)가 2개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보스(73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보스(73c)에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7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향 플랜지(73b)의 내측단 부분에서 각 보스(73)의 외측에는, 원호상의 절결부(73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향 플랜지(73b)의 내측단 부분에서 각 절결부(73d)는 원주 방향으로 90도 이격된 부분에, 다른 절결부(73f)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부(73f)는, 외향 플랜지(73b) 아래의 부분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절결부(73f)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축 고정 부재(74)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기체(74b)를 구비한다.
기체(74b)의 외측에는, 각 절결부(73e)에 대응해서 2개의 설편(74c)이 부설됨과 함께, 양단이 각 설편(74c)에 연결된 2개의 벨트상의 탄성편(74d)이 부설되어 있다. 각 설편(74c)에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74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편(74d)의 내면의 긴 쪽 방향 중앙에는 걸림 결합 돌기(74f)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74d)와 걸림 결합부(72b)는, 기계식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기계식 클러치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기어(72)를 안내 부재(93)를 따라 전동시킨다.
또한, 기체(74b)의 하면에는,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72c)의 내측에 끼워넣는 끼워 맞춤 볼록부(74h)가 형성되고, 이 끼워 맞춤 볼록부(74h)에는, 회전축(71)의 축 본체(71b)의 상단부를 끼워넣는 끼워 맞춤 구멍(74i)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74b)의 상면에는 원형 오목부(74g)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자쿠리 구멍(74j)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쿠리 구멍(74j)에는, 상방으로부터 수나사(도시하지 않음)의 축부가 통과되고, 당해 수나사는 회전축(51)의 축 본체(51b)의 암나사(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원판(75)은, 기체(74a)의 상면의 원형 오목부(74g)에 끼워 맞춘다.
또한, 원판(75) 상에 마련되는 덮개(76)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76)에는, 상기 각 보스(73c)에 대응해서 2개의 나사 구멍이 구비된 보스(76a)가 부설됨과 함께, 상기 각 절결부(73f)에 대응해서 2개의 절결부(7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73)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73d)과, 축 고정 부재(74)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74e)에 하방으로부터 통과된 수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보스(76a)의 암나사(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 덮개(76)가 커버체(73)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절결부(76b)와 절결부(73f)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상판(77)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6각형 형상의 볼록부(77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77a)의 중앙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구멍(77b)이 형성되고, 암나사에는 볼트(7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판(77)의 하면에는, 상기 각 절결부(76b)에 대응해서 2개의 L자 형상의 외향 클로(77c)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외향 클로(77c)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외향 클로(77c)의 내측에는 맞닿음 돌기(7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판(77)은, 절결부(76b)와 절결부(73f) 사이의 간극에 외향 클로(77c)가 삽입되고, 그 외향 클로(77c)가 절결부(73f)의 에지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커버체(73)에 설치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는, 외향 클로(77c)에 대하여 맞닿음 돌기(77d)의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른 3개의 상판(77A, 77B, 77C)이 도시되어 있다.
이 3개의 상판(77A, 77B, 77C)에서는, 맞닿음 돌기(77d)의 형성 위치가 원주 방향으로 다르다. 또한, 상판(77)의 맞닿음 돌기(77d)가 축 고정 부재(74)의 탄성편(74d)에 맞닿고, 탄성편(74d)의 걸림 결합 돌기(74f)가 기어(72)의 걸림 결합부(72b)에 확실하게 걸림 결합하도록, 상판(77A, 77B, 77C)의 맞닿음 돌기(77d)의 길이도 다르다. 이 3개의 상판(77A, 77B, 77C)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판(77A, 77B, 77C)의 교환에 의해, 맞닿음 돌기(77d)와 탄성편(74d)의 맞닿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상판(77A)을 사용한 경우의 걸림 결합 돌기(74f)와 걸림 결합부(72b)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77A)의 맞닿음 돌기(77d)가 축 고정 부재(74)의 탄성편(74d)에 맞닿음으로써, 탄성편(74d)의 걸림 결합 돌기(74f)가 기어(72)의 걸림 결합부(72b)에 걸림 결합한다. 이 경우, 맞닿음 돌기(77c)와 탄성편(74d)의 맞닿음 위치가 변경되면, 걸림 결합 돌기(74f)의 걸림 결합부(72b)에 대한 압박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상판(77A, 77B, 77C)의 교환에 의해, 기계식 클러치의 작동 타이밍을 바꾸고, 팽이 완구(1A)의 회동 움직임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즉, 걸림 결합 돌기(74f)로부터 비교적으로 먼 거리에 맞닿음 돌기(맞닿음부)(77d)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77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성편(74d)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기어(72)의 톱니와 안내 부재(93)의 톱니가 맞물리기 쉬워지고, 또한, 걸림 결합 돌기(74f)로부터 비교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맞닿음 돌기(맞닿음부)(77d)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77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맞물림은 하기 어렵지만 기어(72)의 톱니와 안내 부재(93)의 톱니가 맞물린 후에는 팽이 완구(1A)의 회동 움직임 속도를 증대하기 쉬워진다.
이 팽이 완구(1A)는, 상기 팽이 완구(1)를 가압하는 론처와는 다른 론처에 의해 회전 가압되어, 팽이 완구(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의 축부(50B)>
도 17은 변형예인 축부(50B)의 사시도, 도 18은, 축부(50B)를 상면측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축부(50B)를 하면측에서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의 축부(50B)에서는, 회전축(81)은, 축 본체(81a)와, 축선 부재(81b)를 구비한다.
축 본체(81a)는 원주 형상으로 대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외향 플랜지(81c)가 형성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81c)의 하단 부분은,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끼워 맞춤부(81d)로 되어 있다.
한편, 축선 부재(81b)의 하부에는, 접지부가 되는 원주 형상의 소 돌기(81e)가 형성되고, 그 위의 부분은 대경의 바닥이 있는 원통부(81f)로 되어 있다. 이 바닥이 있는 원통부(81f)의 오목부 내에는 축 본체(81a)의 끼워 맞춤부(81d)가 끼워 맞춰져 있다.
축 본체(81a)에는 환상 기어(82)가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축 본체(81a)의 상면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된 보스(81e)가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스(81e)는, 축심에 대하여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축 본체(81a)와 환상 기어(82) 사이에 마찰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 마찰 클러치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환상 기어(82)를 안내 부재(93)를 따라 전동시킨다.
또한, 축 본체(81a)의 외주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마찰 클러치의 작동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축 본체(81a)에는 천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축 고정 부재(83)가 씌워져 있다. 그리고, 축 고정 부재(83)의 하단부와 외향 플랜지(81c)에 의해, 환상 기어(82)가 끼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 고정 부재(83) 위에는, 대략 6각 형상의 볼록부(83b)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83b)의 중앙의 구멍(83f)에는 암나사(8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구멍(83f)의 외측에는, 상기 각 보스(81e)에 대응해서 2개의 자쿠리 구멍(83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 고정 부재(83)는, 자쿠리 구멍(83g)에 통과시킨 수나사(도시하지 않음)를 나사 구멍이 구비된 보스(81e)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축(81)에 조립 장착된다.
이 축부(50B)는, 예를 들어 암나사(83d)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동체부에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축부(50B)를 갖는 팽이 완구에 의하면, 팽이 완구(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의 팽이 완구(1B)》
도 20은, 팽이 완구(1)의 변형예인 팽이 완구(1B)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팽이 완구(1B)의 축부를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2는, 축부(50C)를 하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붙인 부호가 지시하는 부분에서 도 4, 도 5 및 도 6에 붙인 부호와 동일 부분은 동일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이 팽이 완구(1B)가 상기 팽이 완구(1)와 다른 점은, 기어(52) 대신에 롤러(52C)를 마련하고 있는 점이다. 롤러(52C)의 외주면은 고무, 줄 형상, 브러시 형상, 천, 벨크로(등록 상표), 점착 소재와 같은 마찰 저항이 강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팽이 완구(1B)는, 도 23에 도시하는 팽이 완구 유희대(9B)에서 특히 의미가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 경우의 팽이 완구 유희대(9B)의 안내 부재(93B) 안내면은, 고무, 줄 형상, 브러시 형상, 천, 벨크로, 점착 소재와 같은 마찰 저항이 강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팽이 완구(1B)는 배틀 필드(92)에 쏘아지면, 팽이 완구(1B)의 회전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반동으로 돌아다니며 움직인다. 이때, 롤러(52C)가 회전축(51)과 일체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동 움직임에 의해 팽이 완구(1B)의 롤러(52C)가 안내 부재(93B)에 닿는다. 이때의 충격력에 의해, 회전축(51)에 대하여 롤러(52C)가 판 스프링(55f)(도 7 참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대 회전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에 의해, 롤러(52C)가 안내 부재(93B)에 맞닿기 쉬워지고, 롤러(52C)의 마찰 저항에 의해 미끄럼 이동이 억제되어, 반 클러치 상태에서 롤러(52C)를 회전축(51)의 회전에 따라 회전시켜서 안내 부재(93B)를 따라 움직이고, 팽이 완구(1B)의 이동이 가속된다. 즉, 팽이 완구(1B)의 회전이 안내 부재(93B)에 전달하기 쉬워져 팽이 완구(1B)의 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부재(93)를 팽이 완구 유희대(9)에 고정하여 마련했지만, 안내 부재(93)를 팽이 완구 유희대(9)와 별체로 하고, 유희자가 안내 부재(93)을 직접 손으로 집고 팽이 완구에 가까이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부재의 톱니와 맞물리는 1개의 기어를 회전축에 마련하고 있지만, 회전축과 동심의 1개의 원 상에 축을 갖는 기어를 복수 마련해도 된다. 혹은, 호 형상으로 톱니가 형성된 톱니 형성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복수 마련해도 된다.
또한, 다른 축부(50A), 다른 팽이 완구(1A), 변형예의 축부(50B)의 경우의 기어(52, 72, 82)를 상기 팽이 완구(1B)의 롤러(52C)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팽이 완구와 팽이 완구 세트란, 팽이 완구나 팽이 완구 세트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팽이 완구
1A: 팽이 완구
9: 팽이 완구 유희대
10: 동체부
10A: 축부
20: 동체부
20: 상부 동체부
30: 하부 동체부
37b: 끼워 맞춤 볼록부
50: 축부
50A: 축부
50B: 축부
51: 회전축
52: 기어
54: 클로 부재
54b: 맞물림 클로
55: 축 고정 부재
61: 압박판
93: 안내 부재
100: 팽이 완구 세트

Claims (25)

  1. 긴 쪽 방향으로 제1 톱니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안내면을 갖는 안내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또한, 축부 및 동체부로 구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팽이 완구이며,
    상기 본체의 외주에는,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림 가능한 제2 톱니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톱니는 톱니 형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톱니 형성 부재 사이의 동작 저항이 되는 저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형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기어이고,
    상기 저항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기어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기어에 충격이 작용한 때에 상기 기어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클로부와, 상기 회전축과 상대 회전 불가이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클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클로부가 형성된 클로 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클로 부재를 상기 제1 클로부에 상기 제2 클로부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판 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기계식 클러치로 구성되고, 요철로 구성되어 상기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의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맞닿음부를 갖고, 당해 맞닿음부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끼워 맞추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제2 톱니와 상기 1의 톱니를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기어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상기 맞닿음부가 형성된 교환 가능한 복수의 상기 맞닿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팽이 완구와, 상기 안내 부재가 고정되어 마련된 팽이 완구 유희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
  13. 안내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또한, 축부 및 동체부로 구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팽이 완구이며,
    상기 본체의 외주에, 상기 안내 부재의 안내면과 맞닿아지는 제1 마찰 저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안내면에는, 상기 제1 마찰 저항부에 맞닿는 제2 마찰 저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 마찰 저항부 사이의 동작 저항이 되는 저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 저항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마련된 롤러이고,
    상기 저항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롤러에 충격이 작용한 때에 상기 롤러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상기 롤러와 상기 안내 부재가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되는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축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클로부와, 상기 회전축과 상대 회전 불가이고, 또한,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클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클로부가 형성된 클로 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클로 부재를 상기 상기 제1 클로부에 상기 제2 클로부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판 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롤러 사이에 구성되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은, 기계식 클러치로 구성되고, 요철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의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돌기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맞닿음부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끼워 맞추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반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서 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서 상기 맞닿음부가 형성된 교환 가능한 복수의 상기 맞닿음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팽이 완구와, 상기 안내 부재가 고정되어 마련된 팽이 완구 유희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
KR1020217040933A 2021-10-22 2021-10-28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KR20230058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3209A JP7453950B2 (ja) 2021-10-22 2021-10-22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JPJP-P-2021-173209 2021-10-22
PCT/JP2021/039729 WO2023067820A1 (ja) 2021-10-22 2021-10-28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286A true KR20230058286A (ko) 2023-05-03

Family

ID=831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933A KR20230058286A (ko) 2021-10-22 2021-10-28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6744B2 (ko)
EP (1) EP4197610A4 (ko)
JP (2) JP7453950B2 (ko)
KR (1) KR20230058286A (ko)
CN (1) CN116367898A (ko)
WO (1) WO20230678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080B2 (ja) 1993-02-03 2000-09-25 株式会社平井技研 太陽エネルギ収集屋根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1396U (ko) * 1971-09-14 1973-05-26
US4200283A (en) * 1978-01-23 1980-04-29 Andrews Melvin R Magnetic spinning top game
US4630822A (en) * 1985-09-24 1986-12-23 Jem Imports, Inc. Game employing top and platform
JPH0232892U (ko) * 1988-08-24 1990-03-01
US5518437A (en) * 1993-10-12 1996-05-21 Kabushiki Kaisha Bandai Toy top and drive unit for spinning the top
JPH0728595U (ja) * 1993-11-08 1995-05-30 株式会社タカラ 独楽の回転駆動装置
US6530817B1 (en) * 2000-08-21 2003-03-11 Ideavillage, Llc Toy top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3079300U (ja) * 2001-01-30 2001-08-10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3612508B2 (ja) * 2001-09-28 2005-01-19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システム
JP3092080U (ja) 2002-08-13 2003-02-28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とコマ玩具遊戯盤
JP4409964B2 (ja) * 2003-03-28 2010-02-0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遠隔制御走行玩具を用いた遊戯玩具装置
US7740518B2 (en) * 2006-03-06 2010-06-22 Michael Elliott Jousting toy
US20080194173A1 (en) * 2007-02-11 2008-08-14 Tiefel Simeon E Spinning novelty toy powered by the manipulation of a handheld platform
JP3142475U (ja) * 2008-04-04 2008-06-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発射装置
JP4543100B2 (ja) * 2008-04-08 2010-09-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遊戯装置
US8210895B2 (en) * 2008-12-22 2012-07-03 Mega Brands International Magnetic top system and method
JP3158299U (ja) * 2010-01-12 2010-03-2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FR2955781B1 (fr) * 2010-02-03 2012-01-27 Bandai Jeu de toupie
US8517790B2 (en) * 2010-02-25 2013-08-27 Rehco, Llc Transforming and spinning toy vehicle and game
JP3160638U (ja) * 2010-04-19 2010-07-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60658U (ja) * 2010-04-20 2010-07-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発射装置
JP3160657U (ja) * 2010-04-20 2010-07-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WO2013016317A2 (en) * 2011-07-25 2013-01-31 Gaines Charles Latham Dynamic entertainment system
KR101332506B1 (ko) * 2012-02-20 2013-11-26 최신규 완구용 팽이
US8986066B2 (en) * 2012-06-01 2015-03-24 Mattel, Inc. Rotating top assembly toy play set and method for launching a rotating top
CN202983179U (zh) 2012-12-11 2013-06-12 武汉漫迪动漫文化传播有限公司 可双面发射的玩具陀螺
KR101563399B1 (ko) * 2013-07-11 2015-11-06 최종일 팽이 및 이를 이용한 팽이 놀이 장치
WO2015159368A1 (ja) * 2014-04-15 2015-10-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N104174168B (zh) * 2014-08-16 2016-09-2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由组装的组合式玩具陀螺
JP5969153B1 (ja) * 2016-02-19 2016-08-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用遊戯台
JP6089134B1 (ja) * 2016-05-23 2017-03-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遊戯台
JP6145206B1 (ja) * 2016-09-05 2017-06-0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セット及びランチャ
JP6232112B1 (ja) * 2016-10-18 2017-1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250202B1 (ja) * 2017-02-10 2017-12-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261786B1 (ja) * 2017-02-10 2018-01-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46977B1 (ja) * 2017-05-29 2018-06-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618970B2 (ja) * 2017-10-17 2019-12-1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10702767B2 (en) * 2017-12-14 2020-07-07 Hasbro, Inc. Integrated multi environment interactive battle game
JP6889445B2 (ja) 2018-07-09 2021-06-18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11154769B2 (en) * 2018-11-01 2021-10-26 Tomy Company, Ltd. Interactive tops collision enhancing battling environment
JP6904543B2 (ja) * 2019-02-26 2021-07-2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948639B2 (ja) * 2019-02-26 2021-10-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11311796B2 (en) * 2019-08-29 2022-04-26 Tomy Company, Ltd. Playing surface for spinning top toy apparatus and methods
BR112022014110A2 (pt) * 2020-01-17 2022-09-27 Hasbro Inc Estádio para uma batalha entre piões giratórios, aparelho de partidas de estádio de batalhas e método de jogo
JP6845455B1 (ja) * 2020-07-14 2021-03-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20230211243A1 (en) * 2021-12-30 2023-07-06 Tomy Company, Ltd. Spinning top toy
JP7492710B2 (ja) * 2022-08-23 2024-05-3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発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080B2 (ja) 1993-02-03 2000-09-25 株式会社平井技研 太陽エネルギ収集屋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2338A1 (en) 2024-02-08
JP2023062987A (ja) 2023-05-09
EP4197610A1 (en) 2023-06-21
US11986744B2 (en) 2024-05-21
TW202317242A (zh) 2023-05-01
EP4197610A4 (en) 2023-07-05
JP2023171679A (ja) 2023-12-01
CN116367898A (zh) 2023-06-30
WO2023067820A1 (ja) 2023-04-27
JP7453950B2 (ja)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85261A (ja) コマ玩具
JP2015112682A (ja) インパクト回転工具
KR20230058286A (ko)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 세트
JP2018126424A (ja) コマ玩具
TWI834080B (zh) 陀螺玩具及陀螺玩具組
JPH0378567A (ja) スタータモータ構成
JP2780111B2 (ja) ねじり緩衝装置
US8087503B2 (en) Driving mechanism and wheel assembly for toy car
US4341034A (en) Toy washing machine
JP2016185318A (ja) コマ玩具
TWI827365B (zh) 陀螺玩具
JP2017108994A (ja) コマ玩具
JP2007016709A (ja) ゼンマイ駆動機構
CN214540397U (zh) 一种手动上发条的脱开结构
US7841424B2 (en) Power output mechanism for power tools
JP5131778B2 (ja) 装飾体の駆動装置
JPH0752431Y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4242542A (ja) 魚釣用リール
JP6684624B2 (ja) クラッチ装置
TW202415432A (zh) 陀螺玩具
JP6684662B2 (ja) ゼンマイ式タイムスイッチ
JP2021134684A (ja) 発電装置
TWM624999U (zh) 固著釘伸爪驅動器
JP2021016309A (ja) 魚釣用リール
JPS6013518Y2 (ja) 玩具用クラツ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