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348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348A
KR20230055348A KR1020220075036A KR20220075036A KR20230055348A KR 20230055348 A KR20230055348 A KR 20230055348A KR 1020220075036 A KR1020220075036 A KR 1020220075036A KR 20220075036 A KR20220075036 A KR 20220075036A KR 20230055348 A KR20230055348 A KR 2023005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lutch
bearing reel
pinion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히토시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05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해결 수단] 피니언 기어(60)를 통하여 핸들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하고, 그 전달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스풀(30)의 스풀축(31)은, 클러치 핀(51)을 가지고, 피니언 기어(60)는, 외주(外周)에 톱니부를 구비한 기어부(65)와, 핸들의 회전이 스풀(30)에 전달되는 클러치의 온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핀(51)과 계합(係合)하는 계합 홈(64)을 가지고, 기어부(65)와 계합 홈(64)과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X)으로 겹쳐 있는 구성의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은, 핸들의 회전을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스풀에 전달하고, 그 전달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상술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는, 클러치의 조작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연동하여 회전하는 계합(係合) 위치와,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분리되는 비계합 위치가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의 스풀축으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러치 핀을 설치한 것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클러치 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핀을 피니언 기어의 계합 위치에 유도하는 경사부가 설치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0062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25467호
이와 같은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00)의 외주(外周)에 설치되는 톱니부(101)와 클러치 핀이 계합되는 피계합부(102)가 스풀축 방향(103)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2와 같은 피계합부(102)에 유도하는 경사부(104)를 가공하기 위하여는, 공구에 있어서의 톱니부(101)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엔드밀(endmill)의 측면을 이용한 가공이 된다. 그 때문에, 경사부(104)를 포함하는 클러치 핀의 계합 부분이 피니언 기어보다 스풀축 방향으로 길게 돌출시킬 필요가 있고, 양 베어링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고,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양 베어링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고, 그 전달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스풀축은,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외주에 톱니부를 구비한 기어부와, 상기 핸들의 회전이 상기 스풀에 전달되는 상기 클러치의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톱니부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으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피니언 기어에 대하여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으로 겹친 상태로 피계합부에 계합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로서 스풀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계합부가 피니언 기어의 기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드밀의 측면을 이용한 가공은 아니고, 엔드밀의 선단(先端)에서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종래와 같이 스풀축 방향으로 길게 늘리는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고, 양 베어링 릴을 스풀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2)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스풀의 스풀축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러치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으로 겹친 상태로 피계합부에 계합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로서 스풀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3) 상기 기어부의 경방향 내측의 중앙부에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클러치 핀이 계합하는 상기 피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기어부의 오목부에 설치되는 피계합부에 클러치 핀이 계합하기 때문에, 톱니부와 피계합부와의 스풀축 방향의 겹침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양 베어링 릴의 소형화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4)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스풀축 둘레로 주회(周回)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계단상의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최하단(最下段) 위치에 홈 형상의 상기 피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의 기어부에 단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계합부인 계합 위치을 향하여 클러치 핀을 계단상의 단부에 의하여 유도시켜 계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단부로 하는 것으로, 엔드밀의 선단부(先端部)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5) 상기 클러치 핀은, 단면 원형이고, 상기 단부는, 상기 스풀 축에 직교하는 경방향에서 중심 측 단부(端部)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클러치 핀의 단면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단부의 중심 측 단부의 폭 치수가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단부로 이동한 클러치 핀이 단부에서 멈추지 않고 단부로부터 피계합부에 떨어뜨려 넣어지기 쉬워진다. 즉, 이 경우에는, 피계합부에 클러치 핀을 확실히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XI-XI선 단면도이고,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피니언 기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피니언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피니언 기어의 제1단(端)을 스풀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XII-XII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피니언 기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1)은, 릴 본체(10)와, 릴 본체(10)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0)과, 핸들(20)의 릴 본체(10) 측에 배치된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에는,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하고·감는 스풀(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0)는, 장대 취부부(取付部)(18)를 통하여 낚싯대에 장착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의 「좌우 방향」이란, 낚시를 행할 때에 양 베어링 릴(1)을 구비한 낚싯대를 잡고 낚시꾼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20)이 릴 본체(1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
핸들(20)은, 릴 본체(10)의 우측방(右側方)으로 돌출하는 구동 기어축(41)(후술한다)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 암(crank arm)(21)과, 크랭크 암(21)의 일단(一端)에 크랭크 암(21)의 일단부와 직교하는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2)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0)는, 프레임(11)과 우측 커버(12)와 좌측 커버(13)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과, 우측판(11A)과 좌측판(1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11C)를 가지고 있다. 우측 커버(12)는, 우측판(11A)의 외방(外方)을 덮도록 우측판(11A)과 일체(一體) 형성되어 있다. 좌측 커버(13)는, 좌측판(11B)의 외방을 덮도록 좌측판(11B)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판(11A)과 우측 커버(12)와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각종 기구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11A) 및 우측 커버(12)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구동 기어축(41)(후술)의 장착 부분을 중심으로 축 방향 외방에도 팽출(膨出)한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좌측판(11B) 및 좌측 커버(13)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원형을 이루고 있다. 우측 커버(12)는, 우측판(11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측 커버(13)는, 좌측판(11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11C)는,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과 일체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이고, 릴 본체(10)의 상부, 하부 및 후부(後部)의 3개소에서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을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11C)를 설치하는 것으로, 릴 본체(10)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휨 등의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감아올림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하부의 연결 부재(11C)에는 장대 부착부(18)가 고정되고, 후부의 연결 부재(11C)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4)가 장비(裝備)되어 있다.
우측판(11A)은, 핸들(20)이 연결되는 후술하는 구동 기어축(41)의 기단(基端)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60)(도 2 참조)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줄 감기용의 스풀(30)과, 스풀(30) 내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6)와, 상술한 클러치 조작 부재(14)가 배치된다.
스풀(30)의 중심에는, 스풀축(31)이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스풀축(31)은,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에 베어링(32, 3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4)는, 스풀축(31) 둘레로 요동(搖動)하여 클러치 기구(50)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도 2 등의 부호 O는, 스풀축(31)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풀축 방향을 부호 X로 나타내고 있다.
우측판(11A)과 우측 커버(12)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핸들(20)로부터의 토크(torque)를 스풀(30)에 전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40)와, 회전 전달 기구(40) 내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판(11A)과 우측 커버(12)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나아가, 클러치 조작 부재(14)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5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와, 드래그 기구와, 스풀(30)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 기구인 캐스팅 컨트롤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 클러치 제어 기구, 드래그 기구, 및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공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좌측판(11B)과 좌측 커버(13)와의 사이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스풀(30)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가 배치된다. 스풀 제동 장치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풀 및 스풀축>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0)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301)와,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302)와, 축 삽통(揷通) 구멍(303)을 가진다. 플랜지부(302)는, 줄 감기 몸통부(301)의 양단(兩端)에 각각 경방향 외방으로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스풀(30)은, 축 삽통 구멍(303)에 일정적으로 삽통되어 지지되는 스풀축(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31)은, 우측판(11A)을 관통하여 우측 커버(12)의 외방으로 연장된다. 스풀축(31)의 일단(31a)은, 좌측판(11B)의 내측에 수납되는 제1 베어링(3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풀축(31)의 타단(他端)(31b)은, 우측판(11A)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3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31)의 제2 베어링(33)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은, 스풀축(31)의 다른 부분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풀축(31)은, 릴 본체(10)에 있어서의 2개소에서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된다.
스풀축(31)이 관통하는 우측판(11A)의 관통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50)를 구성하는 클러치부(5)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부(5)는, 스풀축(31)을 관통하는 클러치 핀(51)(계합부)을 가진다. 클러치 핀(51)은,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풀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스풀축(31)을 관통하고, 그 양단이 스풀축(31)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돌출한다. 스풀축(31)의 클러치 핀(51)이 관통하는 핀 관통부(31c)는, 스풀축(31)의 제2 베어링(33)에서 지지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대경으로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0)는, 클러치 핀(51)을 가지는 클러치부(5)와,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60)를 구비한다. 클러치 기구(50)는, 스풀(30)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전달 및 차단 가능하다.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 가능한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이고,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상태가 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0)은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낚싯줄의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40)는, 스풀(30)로부터 핸들(20) 측으로 토크가 반대로 전달되었을 경우의 토크를 규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좌측판(11B)의 중심부에는 줄 방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스풀(30)을 제동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40)는, 일단(우단(右端))에 핸들(20)이 고정된 구동 기어축(41)과, 구동 기어축(41)의 타단(좌단(左端))에 연결된 구동 기어(도시 생략)와,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60)를 가지고 있다. 구동 기어는, 외주에 기어를 가지고, 구동 기어축(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0)는, 회전 전달 기구(40)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클러치 기구(50)로서도 기능한다.
구동 기어축(41)은, 스풀축(31)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 측이 우측판(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는, 구동 기어축(41)의 일단 측으로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클러치 기구(50)가 온이 되는 상태에서는, 핸들(20)로부터의 토크가 스풀(30)에 직접 전달된다.
클러치 기구(50)에서는, 스풀축(31)을 따라 피니언 기어(60)를 접동(摺動)시키고, 후술하는 계합 홈(64)을 클러치 핀(51)과 계합시키는 것으로, 스풀축(31)과 피니언 기어(60)와의 사이에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 상태가 연결 상태(클러치 온 상태)이다.
계합 홈(64)과 클러치 핀(51)과의 계합이 떼어내졌을 때에는, 스풀축(31)과 피니언 기어(60)와의 사이에서 회전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이 상태가 차단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0)은 자유롭게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60)는, 우측 커버(12)의 외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조작 부재(14)에 의하여 계합 홈(64)과 클러치 핀(51)이 계합하는 방향, 즉 클러치 온 상태로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4)는, 클러치 기구(50)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0)는, 예를 들어 스텐인리스 합금제 또는 황동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60)는, 스풀축(31)이 중심을 관통하는 단붙이의 관통 구멍(60a)(도 4 참조)을 가지는 통상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60)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하여 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스풀축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0)는, 상술한 클러치 제어 기구에 의하여, 스풀(30)에 가까운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도 스풀(30)로부터 이반(離反)한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60)에는, 스풀(30) 측의 제1단(60b)과 반대 측의 제2단(60c)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결부(61)와 지지부(62)를 가진다.
연결부(61)는, 피니언 기어(60)와 지지부(6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61)의 외경(外徑)은, 피니언 기어(60)보다도 소경(小徑)이다.
피니언 기어(60)는, 우측판(11A)에 대하여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62)는, 연결부(61)의 우측에 배치된다. 지지부(62)는, 우측 커버(12)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 기어(60)가 릴 본체(10)에 양단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60)가 기울기 어려워지고, 피니언 기어(60)가 스풀축(31)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0)는, 중심을 스풀축(31)과 동축(同軸)에 설치한 원반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에 기어부(65)(톱니부)를 가지고 있다.
기어부(65)는, 스풀축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측면으로부터 보아 후술하는 계합 홈(64)과 거의 동 위치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의 톱니부에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 기어(6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40)를 구성하고, 핸들(20)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클러치 조작 부재(14)의 조작에 따라 스풀축(3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클러치 기구(50)도 구성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60)에 있어서의 스풀(30) 측의 제1단(60b)의 단면(端面)에는, 경방향 내측의 중앙부에 있어서 스풀축 방향(X)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3)에는, 핸들(20)의 회전이 스풀(30)에 전달되는 클러치 온 위치에 있어서 클러치 핀(51)에 연결 및 연결 해제 가능한 계합 홈(64)(피계합부)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63)의 중심 부분에는 대략 원형의 볼록부(63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31)의 스풀축 방향(X)의 높이(제1단(60b)으로부터 볼록부(631)의 상면(上面)(631a)까지의 높이)는, 오목부(63)의 오목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볼록부(631)에는, 스풀축 둘레로 주회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계단상의 단부(632)가 둘레 방향으로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것들 단부(632)의 하단부(下段部)에는, 상술한 홈 형상의 계합 홈(64)이 설치되어 있다.
단부(632)는, 관통 구멍(60a)(스풀축(3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스풀축 방향(X)에서 제1단(60b)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단부(632A)와 하단부(계합 홈(64))가 그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부(632)는, 스풀축(31)에 직교하는 경방향에서 중심 측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클러치 핀(51)의 단면의 반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부(65)와 계합 홈(64)과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X)으로 겹쳐 있다.
계합 홈(64)은, 스풀축(31)의 경방향을 따르는 직선 상(上)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계합 홈(64)은, 오목부(63)의 저면(底面)에 위치하는 제1단(60b)의 단면에 경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2개의 계합 홈(64)은, 저부(底部)(64a)와 제1 벽부(64b)와 제2 벽부(64c)를 각각 가진다. 저부(64a)는, 제1단(60b)으로부터 오목하게 되고, 피니언 기어(6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벽부(64b)는, 계합 홈(64)의 피니언 기어(60)의 줄 감기 방향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벽부이다. 제2 벽부(64c)는, 계합 홈(64)의 피니언 기어(60)의 줄 감기 방향의 하류 측에 제1 벽부(64b)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벽부이다.
제1 벽부(64b)는, 클러치 핀(51)에 연결되어 스풀(30)로부터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전달될 때, 클러치 핀(51)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60)가 스풀(3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 베어링 릴(1)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에서는, 도 3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0)를 통하여 핸들(20)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하고, 그 전달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스풀(30)의 스풀축(31)은, 클러치 핀(51)을 가지고, 피니언 기어(60)는, 외주에 톱니부를 구비한 기어부(65)와, 핸들(20)의 회전이 스풀(30)에 전달되는 클러치의 온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핀(51)과 계합하는 계합 홈(64)을 가지고, 기어부(65)와 계합 홈(64)과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X)으로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60)에 대하여 클러치 핀(51)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31) 방향으로 겹친 상태로 계합 홈(64)에 계합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1)로서 스풀축 방향(X)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홈(64)이 피니언 기어(60)의 기어부(65)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드밀의 측면을 이용한 가공은 아니고, 엔드밀의 선단에서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종래와 같이 스풀축 방향(X)으로 길게 늘리는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고, 양 베어링 릴(1)을 스풀축 방향(X)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핀(51)이 스풀(30)의 스풀축(31)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피니언 기어(60)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X)으로 겹친 상태로 계합 홈(64)에 계합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1)로서 스풀축 방향(X)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부(65)의 경방향 내측의 중앙부에 스풀축(31)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63)가 형성되고, 오목부(63)에 클러치 핀(51)이 계합하는 계합 홈(6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어부(65)의 오목부(63)에 설치되는 계합 홈(64)에 클러치 핀(51)이 계합하기 때문에, 기어부(65)와 계합 홈(64)과의 스풀축 방향(X)의 겹침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양 베어링 릴(1)의 소형화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63)에는, 스풀축 둘레로 주회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계단상의 단부(632)가 형성되고, 단부(632)의 최하단 위치에 홈 형상의 계합 홈(6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60)의 기어부(65)에 단부(6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홈(64)인 계합 위치를 향하여 클러치 핀(51)을 계단상의 단부(632)에 의하여 유도시켜 계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632)로 하는 것으로, 엔드밀의 선단부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핀(51)은, 단면 원형이고, 오목부(63)의 단부(632)가 스풀축(31)에 직교하는 경방향에서 중심 측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클러치 핀(51)의 단면의 반경보다 작다.
이것에 의하여, 단부(632)의 중심 측 단부의 폭 치수가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단부(632)로 이동한 클러치 핀(51)이 단부(632)에서 머물지 않고 단부(632)로부터 계합 홈(64)에 떨어뜨려 넣어지기 쉬워진다. 즉, 이 경우에는, 계합 홈(64)에 클러치 핀(51)을 확실히 유도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에서는, 양 베어링 릴(1)을 축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부는, 스풀(30)의 스풀축(31)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러치 핀(51)으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클러치 핀(51)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부(65)의 경방향 내측의 중앙부에 스풀축 방향(X)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63)가 형성되고, 오목부(63)에 클러치 핀(51)이 계합하는 계합 홈(64)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63)에는, 스풀축 둘레로 주회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계단상의 단부(632)가 형성되고, 단부(632)의 최하단 위치에 홈 형상의 계합 홈(64)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핀(51)이 단면 원형이고, 단부(632)는, 스풀축(31)에 직교하는 경방향에서 중심 측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클러치 핀(51)의 단면의 반경보다 작은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양 베어링 릴
10: 릴 본체
20: 핸들
30: 스풀
31: 스풀축
40: 회전 전달 기구
41: 구동 기어축
50: 클러치 기구
51: 클러치 핀(계합부)
60: 피니언 기어
63: 오목부
64: 계합 홈(피계합부)
65: 기어부
632: 단부
X: 스풀축 방향

Claims (5)

  1.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고, 그 전달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스풀축은,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외주(外周)에 톱니부를 구비한 기어부와, 상기 핸들의 회전이 상기 스풀에 전달되는 상기 클러치의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톱니부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축 방향으로 겹쳐 있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스풀의 스풀축으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러치 핀인,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경방향 내측의 중앙부에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클러치 핀이 계합하는 상기 피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스풀축 둘레로 주회(周回)하는 둘레 방향을 따라 계단상의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최하단(最下段) 위치에 홈 형상의 상기 피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핀은, 단면 원형이고,
    상기 단부는, 상기 스풀 축에 직교하는 경방향에서 중심 측 단부(端部)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클러치 핀의 단면의 반경보다 작은, 양 베어링 릴.
KR1020220075036A 2021-10-18 2022-06-20 양 베어링 릴 KR20230055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0172A JP2023060526A (ja) 2021-10-18 2021-10-18 両軸受リール
JPJP-P-2021-170172 2021-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48A true KR20230055348A (ko) 2023-04-25

Family

ID=8599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036A KR20230055348A (ko) 2021-10-18 2022-06-20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60526A (ko)
KR (1) KR20230055348A (ko)
CN (1) CN115989803A (ko)
TW (1) TW20231695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467A (ja) 2006-11-22 2008-06-05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2100624A (ja) 2010-11-12 2012-05-3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467A (ja) 2006-11-22 2008-06-05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2100624A (ja) 2010-11-12 2012-05-3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0526A (ja) 2023-04-28
TW202316959A (zh) 2023-05-01
CN115989803A (zh)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791B2 (en) Dual-bearing reel and reel unit for same
EP2777391B1 (en) Ratchet wheel for fishing reel
KR101638946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US7191969B2 (en) Fishing reel
US10631529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US9615558B2 (en) Dual-bearing reel
CN101382171A (zh) 滚柱式离合器
JP2009273378A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6407578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TW201016133A (en) Spool shaft support structure for dual-bearing reel
KR102101240B1 (ko) 구동 기어
TWI377909B (en) Dual bearing reel
KR20150032787A (ko) 양 베어링 릴
JP2016002062A5 (ko)
US5984220A (en) Spinning reel having a narrow reel body housing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562262B1 (ko) 양 베어링 릴
KR20230055348A (ko) 양 베어링 릴
US5123609A (en) Two-bearing reel
JP4795320B2 (ja) 魚釣用リ−ル
JP2008271874A (ja) 魚釣用リール
KR100699325B1 (ko) 낚시용 릴
JP7465935B2 (ja) 両軸受型リール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2009005637A (ja) 魚釣用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