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34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346A
KR20230054346A KR1020230049317A KR20230049317A KR20230054346A KR 20230054346 A KR20230054346 A KR 20230054346A KR 1020230049317 A KR1020230049317 A KR 1020230049317A KR 20230049317 A KR20230049317 A KR 20230049317A KR 20230054346 A KR20230054346 A KR 2023005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nnular flow
gasket
tub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우경철
임명훈
김재현
김현동
정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4346A/ko
Publication of KR2023005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20Arrangements for water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시키는 배수펌프; 및 상기 가스켓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각 노즐로 이동시키는 환형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유로는, 상기 가스켓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가 분리 설치되어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A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되는 물을 드럼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드럼 세탁기라고 한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이하 의류처리장치라 한다.) 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과 드럼 또는 세탁수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의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다. 다만,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노즐만을 구비하여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방향이 제한되므로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순환펌프에 순환관이 연결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수가 노즐과 순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해 노즐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 경우, 순환펌프와 연결된 순환관과, 순환관과 연결된 안내관이 각각 별도로 필요하므로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세탁수가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드럼 내부로 분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드럼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분사되어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수펌프로부터 순환되는 물을 서로 분리 설치되는 환형유로로 유입시키고, 가스켓 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노즐을 통해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각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가변될 수 있으며, 다량의 세탁물이 드럼에 투입되더라도 상기 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탁수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시키는 배수펌프, 및 상기 가스켓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각 노즐로 이동시키는 환형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유로는 상기 가스켓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가 분리 설치되어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환형유로는,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스켓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세탁수를 상기 각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급수포트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형유로는, 상기 노즐유입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스켓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노즐급수포트는, 상기 굴곡부에서 상기 노즐유입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브의 전면부에는 상기 터브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중량을 갖는 복수개의 밸런서가 설치되고, 상기 각 밸런서는, 상기 환형유로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유로는, 상기 가스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공급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 및 상기 열공급부를 기준으로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환형유로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환형유로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환형유로와 제2 환형유로는, 상기 배수펌프에 형성되는 순환구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가 동일한 유량을 가지고 분리 공급을 되도록 분배관과 각각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가스켓의 외측에 서로 분리 설치되는 환형유로에 의해, 드럼의 내부를 향해 세탁수가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환형유로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노즐급수포트가 설치되므로, 배수펌프로부터 순환되는 물은 분배관을 통해 결합되는 각 환형유로를 거쳐 가스켓에 형성되는 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분사되어 드럼 내측의 깊숙한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형유로는 가스켓의 외측에 설치되므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이를 설치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분리 설치되는 환형유로는 배수펌프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순환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가스켓의 외측에 환형유로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가스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가스켓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제1 환형유로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가스켓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제1 환형유로와 제2 환형유로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스켓에 설치되는 환형유로가 배수펌프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환형유로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 환형유로와 제2 환형유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환형유로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스켓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제1 환형유로와 제2 환형유로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본체(110), 터브(120), 드럼(130), 가스켓(150) 및 환형유로(14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체(11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형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부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도어가 본체(110)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0)는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본체(110)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전방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터브(120)는 개구부와 본체(110)의 투입구를 연결하도록 전방에 가스켓(150)이 설치된다. 터브(12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브(120)의 저면에는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세탁수가 배수구를 통해 터브(120)에서 배수되도록 벨로우즈 형태의 배수관(미도시)이 배수구와 연결되어 있다.
세제투입부(113)는 급수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급수된 물이 저장부로 유입되며 물과 세제가 혼합하게 된다. 세제투입부(113)는 세제나 섬유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수용하며, 터브(120)와 연통되어 급수된 물과 함께 터브(1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드럼(130)은 터브(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드럼(130)은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을 구비하여 관통공을 통해 터브(120)의 세탁수가 드럼(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131)가 설치되어 드럼(130)의 회전시 세탁물을 원주 방향을 따라 상부로 회전시킨 후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낙하시켜 세탁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가스켓(150)은 터브(120)에 담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단부는 본체(110)의 전면과 결합되고, 후단부는 터브(120)의 입구 둘레부와 결합되며,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관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가스켓(150)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연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도 가능하므로, 가스켓(150)의 상단부에는 세탁이 종료된 후, 드럼(130)에 수용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드럼(130)으로 열풍 공급을 위한 열공급부(121)가 형성된다. 세탁만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에는 가스켓(150)에 열공급부(121)가 불필요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스켓(150)에 열공급부(121)가 형성된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터브(120)의 배면에는 드럼(13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장착된다. 구동부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미도시)와 회전자(미도시), 회전자와 결합되어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111)에는 배수펌프(135)가 설치된다. 배수펌프(135)는 터브(120)의 하측에 설치되고, 터브(1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터브(120)를 향해 다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펌프(135)는 펌프케이싱(미도시)과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배수펌프(135)를 구성하는 모터는 회전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모터로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펌프(135)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BLDC모터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 배수유로(미도시)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하고, 다른 일 방향으로 회전시 순환유로(136)를 통해 세탁수를 터브(120) 내부로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배수펌프(135)는 순환펌프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하, 배수펌프(135)를 펌프(135)라고도 한다.
펌프케이싱(미도시)의 일 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는 배수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펌프케이싱의 다른 일측에는 순환구(135a)가 형성되어, 배수펌프(135)의 임펠러의 구동에 따라 드럼(130)에서 배출된 세탁수가 순환구(135a)를 통해 다시 드럼(130)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다. 순환구(135a)는 순환호스(미도시)와 연결되고, 순환호스는 드럼(130)의 하부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배수펌프(135)는 임펠러의 양방향 회전으로 순환과 배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구성으로 포함하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과 함께 배수펌프(135)의 속도와 방향의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가스켓(150)에 고정 설치되고, 배수펌프(135)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가스켓(150)에 형성되는 각 노즐(151)을 통해 드럼(13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환형유로(14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가스켓(150)의 외측에 환형유로(140)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도 5a,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유로(140)는 완전한 원형의 고리형상을 갖는 유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스켓(150, 250)을 따라 연장되는 호 형상을 갖는 유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환형유로'를 '유로', '제1, 2 환형유로'를 '제1, 2 유로'라고도 한다.
터브(120)의 전면에는 터브(120)의 입구 둘레를 따라 밸런서(133)가 위치된다. 밸런서(133)는 터브(120)의 진동을 줄이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한 중량을 갖는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런서(13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브(120)의 전면부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되는 제1 밸런서(133a)와 우측에 위치되는 제2 밸런서(133b)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150)에 분리 설치되는 환형유로(141, 142)에 의해, 제1 밸런서(133a)와 제2 밸런서(133b)는 좌측과 우측에 2개로 분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밸런서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과 공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가스켓(150)에 고정 설치되고, 배수펌프(135)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가스켓(150)에 형성된 각 노즐(151)을 통해 드럼(13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환형유로(14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환형유로(140)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서로 다른 2개의 환형유로(140)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환형유로(140)는 배수펌프(13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스켓(1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분리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켓(150)의 외측 둘레에는 서로 다른 2개의 환형유로(140)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각 환형유로(140)는 가스켓(150)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 설치되며, 밸런서(133)는 터브(120)에 설치되어 환형유로(1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환형유로(140)는 배수펌프(135)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순환유로(136)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각 노즐(151)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즉, 순환유로(136)는 펌프(135)에 연결되고,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환형유로(140)는 분배관(143)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를 포함한다. 제1 환형유로(141)는 가스켓(150)에 열공급부(1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제2 환형유로(142)는 열공급부(121)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다.
배수펌프(135)에서부터 이동하는 세탁수는 분배관(143)을 통해 제1 환형유로(141) 및 제2 환형유로(142)를 향해 각각 분지되어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는 분배관(143)을 통해, 배수펌프(135)에 형성되는 순환구(135a)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가 동일한 유량을 가지고 각각 분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펌프(135)로부터 한 방향으로 급수되어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로 급수되는 경우, 충분한 투입 유량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각 환형유로(141, 142)에 대응되도록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밸런서의 설치 개수가 줄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에는 가스켓(15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가스켓(15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각 노즐(151)을 향해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급수포트(141a, 142a)를 포함한다. 제1 유로(141)에서 돌출되는 노즐급수포트(141a)를 제1 노즐급수포트(141a), 제2 유로(142)에서 돌출되는 노즐급수포트(142a)를 제2 노즐급수포트(142a)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각 환형유로(140)에 형성되는 노즐급수포트(141a, 142a)들의 개수만큼 드럼(130)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는 다양한 각도를 가지고 드럼(130) 내부로 분사되어 수용된 세탁물을 적실 수 있어 세탁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즉, 노즐을 통해 세탁수는 다양한 각도로 멀티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가스켓(150)에는 드럼(130)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151)이 형성된다. 가스켓(150)에는 각 환형유로(141, 142)에 형성되는 전체 노즐급수포트(141a, 142a)의 개수만큼 노즐(151)이 형성되게 된다. 각 환형유로(141, 142)에 형성되는 노즐급수포트(141a, 142a)는 노즐(15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각 환형유로(141, 142)를 통해 이동하는 세탁수는 노즐(151)로 공급되어 드럼(130)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각 노즐(151)은, 노즐급수포트(141a)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세탁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관(151a)과 노즐유입관(151a)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드럼(13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헤드(151b)를 포함한다. 노즐유입관(151a)에는 노즐급수포트(141a)가 삽입되며, 노즐급수포트(141a)로부터 세탁수가 이동하여 노즐헤드(151b)를 통해 드럼(130)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노즐헤드(151b)에서 분사되는 세탁수는 대략 45도 내지 55도를 가지면서 드럼(13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도 3의 가스켓(150)을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b는 제1 환형유로(141)가 위치되는 가스켓(150)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가스켓(150)은 터브(120)와 본체(110)의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스켓(150)의 외측에는 환형유로(140)가 설치된다. 노즐(151)의 노즐유입관(151a)에는 각 환형유로(141, 142)에 형성되는 노즐급수포트(141a)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세탁수가 노즐헤드(151b)를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
도 4b를 보면, 가스켓(150)의 외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52)은 가스켓(1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 환형유로(141)는 안착홈(152)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밸런서(133)는 제1 환형유로(141)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환형유로(140)는 밸런서(133)와 가스켓(150)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가스켓(150)은 드럼(13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접히거나 펴지도록 이루어지는 접철부(15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접철부(153)의 일단에는 안착홈(152)이 형성되어 각 환형유로(141, 142)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4b에서는 제1 환형유로(141)가 안착홈(152)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안착홈(152)의 폭은 각 환형유로(141, 142)의 폭에 대응되는 되는 폭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환형유로(141, 142)가 안착홈(152)에 위치할 때, 각 환형유로(141, 142)가 가스켓(15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홈(152)은 환형유로(140)보다 큰 깊이의 홈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각 환형유로(141, 142)가 가스켓(15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되면 각 환형유로(141, 142)는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영향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을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유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제1 환형유로(141)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환형유로(140)는 가스켓(15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각 환형유로(140)는 분배관(143)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고,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는 분배관(143)을 거쳐 각 환형유로(141, 142)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각 환형유로(141, 142)는 가스켓(15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노즐(151)을 향해 세탁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노즐급수포트(141a, 141b)가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환형유로(141)에 형성되는 노즐급수포트(141a)는 제1 환형유로(141)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환형유로(141)에는 2개의 노즐급수포트(141a)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환형유로(142)에는 2개의 노즐급수포트(1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의 전제에 형성되는 총 4개의 노즐급수포트(141a, 141b)들은 가스켓(150)의 노즐(151)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노즐헤드를 통해 총 4군데에서 드럼(130)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건조를 위한 열공급부(121) 대신 무화노즐(미도시)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총 5군데에서 드럼(130)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노즐급수포트(141a)들 사이에는 드럼(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55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노즐(151)과 노즐급수포트(141a. 141b)의 개수는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개수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각 노즐급수포트(141a) 간의 각도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에는, 노즐유입관(15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스켓(15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부(141b)가 형성되고, 굴곡부(141b)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노즐급수포트(141a)가 형성되어 노즐유입관(151a)에 끼워지도록 위치된다.
각 환형유로(141, 14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급수포트(141a)가 노즐(15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의 일단에는 분배관(143)의 일 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141c, 142c)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부(141c, 142c)는 돌출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환형유로(141)의 내측 단면적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더 작아지도록 이루어진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제1 환형유로(141)는 지면으로부터 더 높게 위치되므로, 동일한 압력을 가지고 노즐(151)을 향해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압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1 환형유로(141)의 하부보다 상부에서의 내측 단면적이 더 작도록 이루어질 것이다.
즉, 제1 환형유로(141)는 결합부(141c)가 위치되는 하부에서의 폭 Da 보다 상부에서의 폭 Db가 더 작으며, 상부를 향해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스켓(15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환형유로(140)는 열공급부(12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를 포함한다.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의 일단은 분배관(143)의 일측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가스켓(15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개수의 노즐급수포트(141a)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는 서로 대칭되지 않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환형유로(141)는 일단이 분배관(143)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은 가스켓(150)의 12시 방향에 형성되는 노즐(151)에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노즐급수포트(141a)를 구비한다. 제1 환형유로(141)에는 3개의 노즐급수포트(141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환형유로(142)는 일단이 분배관(143)과 연통되고, 가스켓(150)의 둘레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의 노즐급수포트(142a)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환형유로(141)와 제2 환형유로(142)에 의해 형성되는 총 5개의 노즐급수포트(141a, 142a)는 가스켓(150)에 형성되는 5개의 각 노즐유입관(151a)에 각각 삽입되어 노즐헤드(151b)를 통해 드럼(130)을 향해 세탁수의 분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의류처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가스켓(250)에 설치되는 환형유로(241, 242)가 배수펌프(235)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환형유로(241, 242)는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2개의 환형유로(241, 242)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각 환형유로(241, 242)는 배수펌프(23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분리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환형유로(241, 242)는 가스켓(250)에 고정 설치되고, 배수펌프(235)에 의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가스켓(250)에 형성된 각 노즐(251)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각 환형유로(241, 242)는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 설치되며, 밸런서(233)는 터브에 고정설치되어 각 환형유로(241, 24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각 환형유로는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별도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가 배수펌프(135)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순환구(235a)로부터 연장되는 순환유로(236a, 236b)와 각각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각 밸런서(233a, 233b, 233c)는 이에 대응하여, 열공급부(22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 밸런서(233a)와 제2 밸런서(233b), 제1 환형유로(241) 및 제2 환형유로(242)와 간섭되지 않도록 가스켓(2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 밸런서(233c)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는 가스켓(250)의 하부 양 측에서부터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의 내측 단면적은 압력 보상을 위해 가스켓(250)의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에는 가스켓(25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가스켓(25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각 노즐(251)을 향해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즐급수포트(241a, 242a)가 형성된다.
환형유로(241, 242)는 좌측과 우측에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를 포함한다. 제1 환형유로(241)는 가스켓(250)에 열공급부(2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고, 제2 환형유로(242)는 열공급부(221)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다.
세탁수는 배수펌프(235)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순환구(235a)로부터 배출되어 각 순환유로(236a, 236b)를 따라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를 향해 세탁수가 트윈 급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는 배수펌프(235)에 형성되는 순환구(235a)로부터 각각 연통되어, 배수펌프(235)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가 동일한 유량을 가지고 각각 분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환형유로(241, 242)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환형유로(241, 242)는 가스켓(25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를 포함한다. 각 환형유로(241, 242)는 배수펌프(235)의 순환구(235a)로부터 각각 연통되어, 배수펌프(235)의 순환구(235a)로부터 유출되는 세탁수가 각 환형유로(241, 24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는, 가스켓(25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노즐(251)을 향해 세탁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노즐급수포트(241a, 242a)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노즐급수포트(241a, 242a)는 환형유로(2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 각각 2개씩 형성되어 가스켓(250)에는 총 4개의 노즐(251)을 통해 드럼(230)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에 형성되는 두개의 노즐급수포트(241a, 242a)들 사이에는 드럼(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55도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에는 노즐유입관(25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스켓(25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급수포트(241a)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부위에서 돌출형성되어 노즐유입관(251a)에 끼워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각 환형유로(241, 24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급수포트(241a, 242a)가 노즐(25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의 일단에는 순환유로(236)와 일 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부(241c, 242c)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부(24c, 242c)는 돌출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스켓(15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환형유로(241, 242)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환형유로(241, 242)는 열공급부(2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되는 제1 환형유로(241)와 우측에 설치되는 제2 환형유로(242)를 포함한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의 일단은 서로 다른 순환유로(236a, 236b)의 일측과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는 가스켓(25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개수의 노즐급수포트(241a, 242a)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환형유로(241)는 일단에 제1 순환유로(236a)와 연통되도록 결합부(241c)를 구비하고, 다른 일단에 가스켓(250)의 12시 방향에 형성되는 노즐(251)에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노즐급수포트(241a)를 구비한다. 즉, 제1 환형유로(241)는 3개의 노즐급수포트(241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제2 환형유로(242)는 2개의 노즐급수포트(242a)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환형유로(241)와 제2 환형유로(242)에 의해 형성되는 총 5개의 노즐급수포트(241a, 242a)는 가스켓(250)에 형성되는 5개의 각 노즐유입관(251a)에 삽입되어 노즐헤드(251b)를 통해 드럼(230) 내부를 향해 세탁수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본체
120: 터브 130: 드럼
133: 밸런서 135: 배수펌프
140 환형유로 141: 제1환형유로
142: 제2환형유로 143: 분배관
141a, 142a: 노즐급수포트 141b, 142b: 굴곡부
150: 가스켓 153: 접철부

Claims (1)

  1. 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개구부와,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본체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터브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이동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켓의 외측에서 상기 가스켓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서 상기 가스켓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노즐급수포트; 그리고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가스켓의 반경방향에서 상기 가스켓과 상기 밸런서 사시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9317A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KR20230054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317A KR20230054346A (ko)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22A KR102523465B1 (ko) 2017-11-09 2017-11-09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9317A KR20230054346A (ko)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22A Division KR102523465B1 (ko) 2016-12-28 2017-11-0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346A true KR20230054346A (ko) 2023-04-24

Family

ID=642676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22A KR102523465B1 (ko) 2016-12-28 2017-11-09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9316A KR20230054345A (ko)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9317A KR20230054346A (ko)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22A KR102523465B1 (ko) 2016-12-28 2017-11-09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49316A KR20230054345A (ko) 2017-11-09 2023-04-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11208756B2 (ko)
EP (4) EP4234797A3 (ko)
KR (3) KR102523465B1 (ko)
CN (8) CN115161967A (ko)
AU (10) AU201826095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465B1 (ko) 2017-11-09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564427A4 (en) 2016-12-28 2020-06-03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EP3564425B1 (en) 2016-12-28 2021-10-2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573125B1 (ko) * 2017-12-28 202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0468558A (zh) * 2018-05-10 2019-11-1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和密封窗垫
US11692296B2 (en) 2018-06-27 2023-07-0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JP7208268B2 (ja) * 2018-06-27 2023-01-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機
KR20200001496A (ko) 2018-06-27 202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20004905A1 (en)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8A1 (en)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3587654B1 (en) * 2018-06-27 2021-03-10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WO2020004911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6A1 (en)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7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D869800S1 (en) * 2018-08-24 2019-12-10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gasket
CA3128363A1 (en) 2019-01-31 2020-08-06 Ecolab Usa Inc. Laundry machine kit to enable control of water levels, recirculation, and spray of chemistry
EP3918129B1 (en) 2019-01-31 2024-04-24 Ecolab USA Inc. Controlling water levels and detergent concentration in a wash cycle
US11525200B2 (en) 2019-01-31 2022-12-13 Ecolab Usa Inc. Controller for a rinse water reuse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10222339A1 (en) * 2020-01-21 2021-07-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humidity with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11286933A (zh) * 2020-02-14 2020-06-16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洗衣机
US11466393B2 (en) * 2020-03-06 2022-10-11 Whirlpool Corporation Spray system for an appliance having a flexible spray membrane having a separable seam
KR20220077432A (ko) * 2020-12-02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673A (ja) 2002-08-02 2004-03-04 Nec Electronics Corp 銅系金属研磨スラリー
KR20050086204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2006239142A (ja) * 2005-03-03 2006-09-14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243963B1 (ko) 2006-03-03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4100576B1 (ja) 2007-02-14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A2689993A1 (en) * 2007-07-07 2009-01-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KR20090107223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090107164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4877300B2 (ja) 2008-07-09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8776297B2 (en) *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00795B1 (ko) * 2009-10-13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9045853B2 (en) *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634303B1 (en) 2010-01-08 2017-12-13 Panasonic Corporation Washing machine
JP5671687B2 (ja) 2010-06-01 2015-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756676B1 (ko) * 2010-04-28 201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부재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101397053B1 (ko) * 2010-08-23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155007B1 (ko) 2011-03-04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BR112013026143A2 (pt) * 2011-04-14 2021-01-12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lavagem
ES2446115B1 (es) * 2012-09-06 2015-03-0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Junta anular de embocadura para una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con sistema de remojado de colada y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que comprende la junta
EP2719814A1 (en) * 2012-10-09 2014-04-16 Candy S.p.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activation
KR101993223B1 (ko) * 2012-10-10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40140435A (ko) 2013-05-29 201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53608A (ko) 2013-11-0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27372B1 (ko) 2014-04-21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방법
KR102196184B1 (ko) 2014-10-16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36154A1 (ja) 2015-02-27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DE102015206312A1 (de) * 2015-04-09 2016-10-13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Abführleitung
US20170096769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23465B1 (ko) * 2017-11-09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3125B1 (ko) * 2017-12-28 202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20004905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6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11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8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465B1 (ko) 2023-04-18
CN115142237A (zh) 2022-10-04
US20220081826A1 (en) 2022-03-17
EP3483329A1 (en) 2019-05-15
KR20190052995A (ko) 2019-05-17
EP3483330A1 (en) 2019-05-15
CN115142220A (zh) 2022-10-04
CN109763303B (zh) 2022-08-02
AU2020207851A1 (en) 2020-08-13
CN115142235A (zh) 2022-10-04
AU2020207853B2 (en) 2022-06-09
AU2022228182A1 (en) 2022-09-29
CN109763291A (zh) 2019-05-17
AU2018260951A1 (en) 2019-05-23
AU2018260951B2 (en) 2020-04-23
CN115142221A (zh) 2022-10-04
EP3483329B1 (en) 2023-05-03
US20190136442A1 (en) 2019-05-09
CN115198493A (zh) 2022-10-18
US20240084499A1 (en) 2024-03-14
KR20230054345A (ko) 2023-04-24
AU2022228184A1 (en) 2022-09-29
CN115161967A (zh) 2022-10-11
US11208756B2 (en) 2021-12-28
AU2020207851B2 (en) 2022-06-09
AU2018260955B2 (en) 2020-04-23
AU2018260955A1 (en) 2019-05-23
AU2022228175A1 (en) 2022-09-29
US11920283B2 (en) 2024-03-05
US20190136438A1 (en) 2019-05-09
AU2022228172A1 (en) 2022-09-29
AU2020207853A1 (en) 2020-08-13
US11591741B2 (en) 2023-02-28
US20230167598A1 (en) 2023-06-01
EP4234797A3 (en) 2023-10-18
US11028519B2 (en) 2021-06-08
EP4234797A2 (en) 2023-08-30
EP3483330B1 (en) 2024-04-17
AU2022228171A1 (en) 2022-09-29
US20210277575A1 (en) 2021-09-09
EP4234796A3 (en) 2023-10-11
CN109763303A (zh) 2019-05-17
EP4234796A2 (en) 2023-08-30
US11866879B2 (en) 2024-01-09
AU2022228186A1 (en) 2022-09-29
CN109763291B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465B1 (ko) 의류처리장치
JP5497903B2 (ja) 洗濯物処理装置
KR1023781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3125B1 (ko) 세탁기
US20060081018A1 (en) Washing machine
US20090249838A1 (en) Washing machine
KR20090107164A (ko) 세탁기
KR1016086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8518995A (ja) 衣類処理装置
KR2011004018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5762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106260A (ko) 세탁기
CN106978703B (zh) 洗衣机的漂洗行程的控制方法
AU2012282477A1 (en) Drum washing machine
JP6936143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3584B1 (ko) 세탁기
KR1016373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61857A (ko) 스팀 분사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세탁장치
KR102642445B1 (ko) 세탁기
WO2012086343A1 (ja) 洗濯機
KR102485726B1 (ko) 세탁기
KR10164772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048619A (ko) 세탁기
KR20220156222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