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372B1 -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372B1
KR102227372B1 KR1020140047650A KR20140047650A KR102227372B1 KR 102227372 B1 KR102227372 B1 KR 102227372B1 KR 1020140047650 A KR1020140047650 A KR 1020140047650A KR 20140047650 A KR20140047650 A KR 20140047650A KR 102227372 B1 KR102227372 B1 KR 10222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washing water
clot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581A (ko
Inventor
김경란
인대길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372B1/ko
Priority to EP15164023.2A priority patent/EP2937454B1/en
Priority to CN201510190901.6A priority patent/CN105019186B/zh
Priority to US14/691,846 priority patent/US9909246B2/en
Publication of KR2015012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방법은 포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a)단계; 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에 달라 붙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을 가속시켜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b)단계; 및 상기 드럼이 제2속도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방법{Laundry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물 처리기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세탁물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되고, 모터에는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세탁물을 퍼 올린다.
그런데,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드럼 내에 투입된 포의 양에 따라 포가 세탁수에 적는 정도에 편차가 생겨 일정한 세탁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드럼 내로 다량의 포가 투입된 경우에는, 드럼 내에서 포의 위치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포들이 균일하게 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포를 효과적으로 적실수 있는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드럼 내 투입된 포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드럼의 중심부에 위치한 포까지 적실 수 있는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세탁수를 포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킨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방법은 포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a)단계; 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에 달라 붙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을 가속시켜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b)단계; 및 상기 드럼이 제2속도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 방법은 첫째, 포를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다. 특히, 드럼 내 투입된 포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드럼의 중심부에 위치한 포까지 적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포적심 방법이 개선됨으로써 세탁성능이 향상된다.
셋째, 드럼을 제1속도로 회전시켜 드럼 내 포의 위치변동이 유도되는 중에 드럼을 제2속도까지 가속시킴으로써 드럼 내주면에 고르게 포가 달라붙도록하고, 이후,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드럼에 달라붙은 포는 물론이고, 드럼의 중심부에 위치한 포까지 적심으로써, 드럼 내부의 전 영역에서 포적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140)에 의해 드럼(124)의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압착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에서 텀블링 모션(a)과 롤링 모션(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a)와, 급수(b) 및 분사(c)가 제어되는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주요부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140)에 의해 드럼(124)의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물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드럼(124)과, 캐비닛(111)의 내부에 구비되고 드럼(124)을 수용하는 터브(122)와, 캐비닛(111)과 터브(122) 사이에 구비되는 개스킷(128) 및 세탁수를 미립화 시켜 드럼(124)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40)을 포함한다. 분사노즐(140)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1)의 내부로 세탁물이 출입하도록 캐비닛(1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세탁물 출입홀(120)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드럼(12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물 처리기기(100)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11)은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세탁물 출입홀(120)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의 전면에는 세탁물 출입홀(1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의 내부에는 드럼(124)이 배치된다.
드럼(124)은 세탁물이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129)이 형성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124)의 회전 시 세탁물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5)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에 구비되어, 터브(122)와 캐비닛(111)을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세탁물 출입홀(120)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순환노즐(127) 및 분사노즐(140)이 구비될 수 있다.
개스킷(128)은 한가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터브(122)와의 체결 강도 및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터브(122)와 체결되는 부분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캐비닛(111)과 체결되는 부분은 터브(122)로부터 캐비닛(1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13)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클러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섬유 유연제가 수용되는 부분,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밸브유닛(131)과, 급수밸브유닛(131)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제1급수밸브(131a)에 의하여 세제박스(133)로 흐르도록 하는 제1급수호스(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수밸브유닛(131)에는 분사노즐(140)과 연결되는 제2급수밸브(131b)와 제2급수호스(149)가 구비된다. 제1급수밸브(131a) 및 제2급수밸브(131b)는 각각에 연결된 제1급수호스(132) 및 제2급수호스(149)를 개폐하여 급수밸브유닛(131)으로 들어오는 외부수원을 제1급수호스(132) 및 제2급수호스(149)에 공급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터브(122)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137)와,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127) 및,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유로(1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유로(137)는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순환펌프와 배수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유로(137)와 배수유로(138)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4b)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140)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어(112)가 세탁물 출입홀(120)을 폐쇄할 경우 도어(112)의 일부가 드럼(124)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124) 내부로 인입된 도어(112)의 부분과 분사노즐(140)이 간섭되지 않도록 분사노즐(140)이 위치된다. 분사노즐(140)은 도어(112)가 세탁물 출입홀(120)을 폐쇄할 경우, 도어(112)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분사노즐(140)은 드럼(124)의 내측면(124a) 및 후면(124b)에 세탁수를 분사한다.
순환노즐(127)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부로 세탁수를 순환시킨다. 드럼(124)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122)에 구비된 배수관(135)을 따라 펌프(136)로 이동한다. 펌프(136)는 세탁수가 순환유로(137)를 통해 순환노즐(127)에 이르도록 한다. 세탁수는 순환노즐(127)에 의해 다시 드럼(124) 내부로 이동한다.
분사노즐(140)은 순환노즐(127)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분사노즐(140)은 순환노즐(127)이 위치한 부분인 개스킷(128)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시, 순환노즐(27)과 함께 또는 분사노즐(140) 단독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사노즐(140)은 순환노즐(127)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수밸브유닛(131)은 외부수원으로부터 드럼(124)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급수밸브유닛(131)에는 세탁수가 유동하는 제1급수밸브(131a) 및 제2급수밸브(131b)가 구비된다. 제1급수밸브(131a) 및 제2급수밸브(131b)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제1급수밸브(131a) 및 제2급수밸브(131b)를 제어하여, 각각에 연결된 제1급수호스(132) 및 제2급수호스(149)로 세탁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급수밸브유닛(131)은 세제박스(133)와 연결되는 온수밸브(미도시), 블리치밸브(미도시), 프리밸브(미도시), 메인밸브(미도시), 스팀밸브(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수밸브는 외부수원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제어하여 세제박스(133)로 온수를 공급한다. 블리치밸브는 세제박스(133)에 구비되는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프리밸브는 세탁행정의 초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세제박스(133)를 통해서 드럼(124)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이 때 프리밸브를 통해 들어오는 세탁수는 세제를 거치지 않고 드럼(124) 내부로 공급된다. 메인벨브는 세탁행정 시, 프리벨브에 의한 세탁수 공급이 종료된 후에 세제박스(133)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메인밸브에 의해서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을 통과하여 세탁세제와 같이 드럼(124) 내부로 공급된다. 스팀밸브는 스팀모듈(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팀호스(미도시)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섬유 유연제가 공급되는 최종 헹굼의 경우에는 메인밸브와 프리밸브가 동시에 작동하여 세제박스(133)에 구비된 섬유 유연제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세탁세제를 헹구는 일반 헹굼행정 시, 블리치밸브, 메인밸브 및 프리밸브가 작동하여 드럼(124)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밸브들은 각각의 기능 이외에, 실시예에 따라 두개 이상이 조합되어 각각의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밸브들 중 어느 하나는 제1급수밸브(131a)로 작용할 수 있고, 각각의 밸브와 연결되어 세제박스(133)로 연결된 호스들 중 어느 하나는 제1급수호스(132)로 작용될 수 있다.
제1급수호스(132)는 제1급수밸브(131a)와 세제박스(133)를 연결한다. 제1급수밸브(131a)에서 유동되는 세탁수는 제1급수호스(132)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도달하고, 세제박스(133)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급수관(134)을 통하여 드럼(124)의 내부로 들어온다.
제2급수호스(149)는 제2급수밸브(131b)와 분사노즐(140)을 직접 연결한다. 제2급수밸브(131b)에서 유동되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제2급수호스(149)를 통하여 분사노즐(140)에 도달한다. 분사노즐(140)에 도달한 세탁수는 분사노즐(140)을 통해서 미립화된 액적 또는 입자 상태로 드럼(124)의 내부로 분사된다.
분사노즐(140)은 드럼(124)의 내측면(124a) 및 후면(124b)에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드럼(124)의 원주면에 해당하는 드럼(124)의 내측면(124a)과, 드럼(124)의 밑면에 해당하는 후면(124b)에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세탁수가 다다르게 된다. 세탁물이 드럼(124)에 수용되면, 세탁물은 후면(124b)과 내측면(124a)의 모서리부분에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부분에 분사노즐(140)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됨으로써, 세탁물에 세탁수가 작용하게 된다. 분사노즐(140)에 의해 세탁물에 세탁수가 충분히 작용하게 되므로, 세탁효율이 좋아 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124)이 회전 계속 중인 헹굼행정 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골고루 작용되어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을 투과한다. 이를 투과세탁효과라 정의하고, 분사노즐(140)은 드럼(124)의 회전 계속 중 세탁수를 분사하여 투과세탁효과를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구성하는 구성들 중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61)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이외에도 상술한 여러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 별다른 언급이 없어도 이들 구성들은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포량 감지부(162)는 드럼(124) 내에 투입된 포(10)의 양을 감지하는 것이다. 포량 감지부(162)는 부하에 따라 드럼(124) 운동시의 관성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정지 상태의 드럼(124)이 회전될 시, 일정 구간에서 포의 상승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포량이 많을수록 정지관성이 크기 때문에, 기 설정된 속도로 드럼(124)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전류가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포량 감지부(162)는 드럼(124)의 회전 구동시 포가 들어올려지는 일정 구간에서 구동부(113)에 인가되는 전류값의 크기를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100) 기술분야에는 포량을 감지하는 여러 방법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 바, 후술하는 S30단계에서의 포량감지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압착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압착 모션은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시 드럼(124)을 빠른 속도로 가속하여 드럼 내의 포(10)가 드럼 내부에 붙어 회전하도록 한 후 드럼을 감속하여 포가 드럼 내부에서 떨어지게 하는 것을 빠른 주기로 반복하는 모션이다.
도 5의 (a)에서 드럼(124)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 드럼 내의 포(10)가 드럼 내부에 붙어 회전한다. 드럼(124)이 약 100 RPM 정도로 회전을 하면 포(10)는 원심력에 의하여 드럼 내부에 압착되어 회전한다. 포(10)는 드럼 내부에 골고루 퍼져 붙어 회전하도록 적절한 속도와 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탁수가 분사노즐(140) 및 순환노즐(12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포에 골고루 뿌려질 수 있다. 즉, 포적심 단계에서 압착 모션시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하거나, 헹굼 또는 세탁 단계에서 압착 모션시 세탁수를 순환시켜 포가 골고루 적셔지도록 한다.
도 5의 (b)에서 드럼(124)이 감속하면 포(10)가 드럼 내부에서 떨어진다. 포(10)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감속되면 포는 중력에 의하여 떨어지고 드럼이 회전하므로 포가 유동하여 골고루 섞이게 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세탁수가 분사노즐(140) 또는 순환노즐(127) 로부터 유입되어 포에 골고루 뿌려질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는 빠른 주기로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과 감속이 반복 되는 주기는 1초 내지 4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rpm에서 100 rpm으로 가속하는 시간은 2초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2초이다. 100 rpm에서 50 rpm으로 감속하는 시간은 1초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5초이다. 이밖에도 세탁물 처리기기(100)에서 포(10)들의 모션은 드럼(124)의 회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모션들을 더 설명한다.
도 6의 (a)는 구동부(113)가 드럼(124)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가 드럼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상승되어 드럼 높이의 절반 부근에서 낙하하는 모션(이하 "텀블링(tumbling) 모션"이라 함)이다. 텀블링 모션에서 드럼(124)은 약 45 rpm 정도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드럼(124) 내의 포는 충격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세탁된다. 텀블링 모션시, 드럼(124)은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의 (b)는 구동부(113)가 드럼(124)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켜, 포가 드럼(124)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된 후 낙하하는 모션(이하 "롤링(rolling) 모션"이라 함)이다. 바람직하게는, 롤링 모션시, 포는 드럼(124) 높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 높이에서 낙하하며, 이때, 드럼(124)은 대략 40 rpm 이하로 회전된다. 드럼(124) 내의 포는 구르듯 낙하하여 굴신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세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a)와, 급수(b) 및 분사(c)가 제어되는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은 포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속도(RPM1)로 회전시키는 단계(S51, S52)와, 포가 드럼(124)에 달라 붙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드럼(124)을 가속시켜 제2속도(RPM3)로 회전시키는 단계(S53, S54)와, 드럼(124)이 제2속도(RPM3)로 회전되는 중에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단계(S56)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들은 세탁행정의 초기에 포가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이하, 세제수라고 함)에 고르게 적도록 실시되는 포적심단계(S50)를 구성한다. 포적심단계(S50)는 다수회 반복 실시될 수 있다.
포적심단계(S50)는 터브(122) 내에 세제수가 담긴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포적심단계(S50)에서는 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세제수에 잠길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적심단계(S50) 이전에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S10). 급수단계(S10)에서는 제1급수밸브(131a)가 개방되며, 터브(122) 내의 수위는 드럼(124)의 적어도 일부분이 잠길 수 있는 정도는 되어야 바람직하다.
또한, 포적심단계(S50) 이전에 포량감지단계(S10), 급수단계(S20) 및/또는 포풀림단계(S30)가 실시될 수 있다.
포량감지단계(S10)는 급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량감지부(162)에 의해 포량이 감지될 수 있다. 급수단계(S20)에서는 터브(122) 내로 세제수가 공급되며, 제1급수밸브(131a)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 또는 터브(122) 내의 수위는 포량감지단계(S10)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포량감지단계(S10)에서 감지된 포량이 클수록 터브(122) 내로 더 많은 양의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다.
포풀림단계(S20)가 실시될 수 있다. 포풀림단계(S20)는 포가 드럼(124)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도록, 드럼(124)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텀블링 모션이 실시된다. 이때의 드럼(124)의 회전속도(RPM2)는 제1속도(RPM1) 보다는 크나, 제2속도(RPM3) 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포적심단계(S50)에서는 드럼(124)이 제2속도(RPM3)로 회전되는 중의 적어도 일구간에서 드럼(124) 내로 세탁수가 분사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노즐(14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나, 실시예에 따라 순환노즐(127)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124)이 제2속도(RPM3)로 회전되는 구간(S54)에서는 상술한 압착모션(도 5 참조)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압착모션은 같은 속도로 드럼(124)이 회전되더라도, 드럼(124) 내로 투입된 포의 양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인다. 예를들어, 드럼(124) 내로 투입되는 포량(P)이 기 설정된 기준치(Pset)보다 작은 경우는, 포 전부가 드럼(124)에 달라붙은 상태로 드럼(124)과 일체로 회전된다. 그러나, 포량(P)이 기준치(Pset) 이상인 경우에는, 포량이 작은 경우에 비해 드럼(124)내부에 빈공간이 없이 포가 차 있는 상태가 되어, 드럼(124)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포들까지의 거리가 포의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편차를 보인다. 즉, 드럼(124)의 내측면 쪽에 가까운 포들은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커 드럼(124)에 달라붙을 수 있을 정도의 큰 원심력이 작용하나, 상기 회전중심에 가까운 포들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드럼(124)에 달라붙지 못한다. 따라서, 드럼(124)내에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는 드럼(124)의 회전만으로는 터브(122) 내의 세제수가 상기 드럼(124)의 회전중심에 가까운 포들에 흡수되지 못한다. 본 실시예의 S56단계에서는 드럼(124)이 제2속도(RPM3)로 회전되는 중에 드럼(124)내로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드럼(124)에 달라붙은 포는 물론이고, 드럼(124)의 회전중심 쪽에 몰려있는 포까지 적실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분사노즐(140) 또는 순환노즐(127)로부터 분사된 세탁수가 포에 직접 가해짐으로써 분사압에 의한 세탁성능의 향상은 물론이고, 포에 세제가 고르게 침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S56단계는 반드시 압착 모션이 실시되는 중에만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24)이 제1속도(RPM1)로 회전되는 구간에서부터 실시될 수 있다.
드럼(124)이 제2속도(RPM3)로 회전되는 중에 제동이 실시될 수 있으며(S55), 드럼(124)이 제동되어 정지된 이후, 다시 포적심단계(S50)가 반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포적심단계(S50)가 완료된 이후 상기 히터에 의해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포적심단계(S50)가 실시되는 중에 추가급수(S20')가 실시될 수 있으며, 추가급수(S20')시 제1급수밸브(131a) 및 제2급수밸브(131b)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될 수 있다. 포적심단계(S50)가 실시되는 중에 포가 세탁수를 흡수함으로써, 하강한 터브(122) 내의 수위가 추가급수(S20')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추가급수(S20')는 터브(122) 내의 수위가 감소한 정도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포적심단계(S50) 중에 터브(122) 내의 수위가 드럼(124)이 세탁수에 잠기지 못할 정도로 하강한 경우 추가급수(S20')가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모션의 형태가 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포적심단계(S50)는 포량감지단계(S10)에서 감지된 포량(P)이 기준치(Pset) 이상인 경우에 실시되며(S40의 '예'), 이러한 포적심단계(S50)를 다량부하 포적심단계라고 정의한다.
다량부하 포적심단계(S50) 이후, 기 설정된 세탁, 헹굼 또는 탈수 패턴에 따라 세탁(S60)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탁을 다량부하 세탁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S40단계에서 포량(P)이 기준치(Pset)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40의 '아니오'), 일반부하 포적심(S70)단계가 실시된다. 일반부하 포적심단계(S70)는 다량부하 포적심단계(S50)와 다른 패턴으로 포적심이 실시되며, 예를들어, 일반부하 포적심단계(S50)는 포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드럼(124)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속도(RPM1)로 회전시키되, 이러한 과정 중에 분사노즐(140) 및 순환노즐(12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드럼(124) 내로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
일반부하 포적심(S70)단계 이후 기 설정된 세탁, 헹굼 또는 탈수 패턴에 따라 세탁(S6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부하 세탁단계(S80)에서는 다량부하 세탁단계(S60)와는 다른 패턴으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포량을 감지하는 (a)단계; 및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다량부하 포적심단계를 실시하고,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일반부하 포적심단계를 실시하는 (b)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량부하 포적심단계는,
    포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c)단계;
    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에 달라 붙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 2속도로 가속시켜 회전시키는 (d)단계; 및
    상기 드럼이 제2속도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e)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부하 포적심단계는,
    상기 포가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제1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세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포가 상기 드럼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상승되어 소정의 높이에서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포가 상기 드럼 높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 높이에서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의 후반부에서부터 실시되는 세탁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속도로 회전되는 드럼을 제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이 제동된 후, 다시 상기 (c)단계, (d)단계 및 (e)단계가 반복되는 세탁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다시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는 (f)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f)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세탁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드럼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터브 내로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d)단계 및 (e)단계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터브 내에 담긴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브 내에 세탁수에 잠긴 상태에서 실시되는 세탁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의 포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되되, 다른 일부는 상기 드럼에 달라붙지 못한 상태인 세탁방법.
KR1020140047650A 2014-04-21 2014-04-21 세탁방법 KR10222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50A KR102227372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방법
EP15164023.2A EP2937454B1 (en) 2014-04-21 2015-04-17 Washing method
CN201510190901.6A CN105019186B (zh) 2014-04-21 2015-04-21 洗涤方法
US14/691,846 US9909246B2 (en) 2014-04-21 2015-04-21 Wash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50A KR102227372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81A KR20150121581A (ko) 2015-10-29
KR102227372B1 true KR102227372B1 (ko) 2021-03-11

Family

ID=5294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50A KR102227372B1 (ko) 2014-04-21 2014-04-21 세탁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9246B2 (ko)
EP (1) EP2937454B1 (ko)
KR (1) KR102227372B1 (ko)
CN (1) CN105019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8092S1 (en) 2015-03-04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771888S1 (en) * 2015-03-04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598646B1 (ko) * 2016-12-28 202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564427A4 (en) 2016-12-28 2020-06-03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KR102523465B1 (ko) 2017-11-09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564425B1 (en) 2016-12-28 2021-10-2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457411B1 (ko) * 2017-12-28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7410B1 (ko) * 2017-12-28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9587B1 (ko) * 2017-12-28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505667B1 (en) 2017-12-28 2020-08-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57412B1 (ko) * 2017-12-28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505669B1 (en) * 2017-12-28 2021-02-1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46658B1 (ko) * 2017-12-28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9588B1 (ko) * 2018-01-05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59589B1 (ko) 2018-01-05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35188B1 (ko) 2018-06-04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33498B1 (ko) 2018-06-04 202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901350B1 (en) * 2018-12-19 2023-07-19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064844A1 (en) * 2018-12-19 2022-03-03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Air washing apparatus used for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laundry processing device
WO2020151485A1 (zh) * 2019-01-22 2020-07-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雾化发生器及包括该雾化发生器的衣物处理设备
CN111663286B (zh) * 2019-03-05 2023-12-05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雾化发生器、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10004339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04338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EP4047117A1 (de) * 2021-02-19 2022-08-24 Schulthess Maschinen AG Waschmaschine mit umwälz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727A1 (en) * 2009-11-02 2011-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4398A (en) * 1961-06-07 1965-07-13 Whirlpool Co Method of breaking adhesion of wet clothes to the walls of a rotary extractor
JPH08299658A (ja) 1995-05-12 1996-11-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US7690063B2 (en) 2002-05-09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Random tumbling washing machine wash chamber for improving cleaning while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to clothes
JP3986470B2 (ja) * 2003-06-18 2007-10-03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EP1983088A1 (en) * 2007-04-18 2008-10-22 Whirlpool Corporation A method for rinsing fabric in a washer and washer adapted to carry out this method.
JP4840309B2 (ja) 2007-09-25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ES2360991B1 (es) * 2008-05-16 2012-04-12 Girbau, S.A. Método de aclarado por rociado aplicable a una máquina lavadora de ropa.
US8713736B2 (en) *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590371B1 (ko) * 2009-02-16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방법
KR101690614B1 (ko) 2009-11-02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727A1 (en) * 2009-11-02 2011-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9926A1 (en) 2015-10-22
EP2937454A1 (en) 2015-10-28
EP2937454B1 (en) 2020-04-08
CN105019186A (zh) 2015-11-04
CN105019186B (zh) 2018-03-30
US9909246B2 (en) 2018-03-06
KR20150121581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372B1 (ko) 세탁방법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9896795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um type washing machine
EP298790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19154B2 (en) Washing machine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7113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690614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20646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9926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90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73133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060711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325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KR102267959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31331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9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8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