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281A -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281A
KR20230052281A KR1020237008238A KR20237008238A KR20230052281A KR 20230052281 A KR20230052281 A KR 20230052281A KR 1020237008238 A KR1020237008238 A KR 1020237008238A KR 20237008238 A KR20237008238 A KR 20237008238A KR 20230052281 A KR20230052281 A KR 2023005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lubricant
aluminum
glycol
cold rolling
polyalk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604B1 (ko
Inventor
스테판 드라에제
토마스 그라프
올리버 자이페르트
볼커 슈미츠
Original Assignee
스페이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페이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5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4Polyoxyalkylene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28Polyoxyalkylene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2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0Polyoxyalkylene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3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2Polyoxyalkylene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4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6Polyoxyalkylenes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1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1Esters of (cyclo)aliphatic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4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hree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6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four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3Insolubility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24Emulsion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40Low content or no cont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4Metal working without essential removal of material, e.g. forming, gorging, drawing, pressing, stamping, rolling or extruding; Punching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43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44Metal working of specific metals
    • C10N2040/245Soft metals, e.g. alumin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알루미늄을 냉간 압연하기 위한 냉각 윤활제가 개시되는데, 냉각 윤활제는 광유계 또는 합성 윤활 기유;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하며, 냉각 윤활제는 비수용성이거나 물과 섞이지 않으며, 냉각 윤활제에는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이 실질적으로 없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압연유), 지방산으로 인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결함 패턴이 없는 알루미늄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알루미늄 압연용 냉각 윤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스트립 및 포일의 제조 방법에서, 생산의 경제성과 제품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압연 유제 및 압연유가 냉각 윤활제로 사용된다. 압연 중에 작업 롤과 압연 재료 사이의 마찰 계수는 너무 높거나 낮아서는 안된다. 마찰 계수가 낮으면 롤 갭의 윤활이 향상되어 압연 공정에서 에너지 소비, 마찰열 및 롤 마모가 감소한다.
알루미늄 스트립 및 포일은 일반적으로 2단계 압연 공정에서 압연하여 생산된다. 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을 생산하기 위해, 알루미늄 잉곳은 초기에 소위 열간 압연 스탠드에서 다수의 패스에서 블랭크 또는 스트립으로 압연된다. 이것은 후속해서 냉간 압연되어 얇은 스트립 또는 포일을 형성한다. 또한, 스트립 또는 포일은 추가의 공지된 처리 방법을 거칠 수도 있다(어닐링, 열적 또는 화학적 탈지).
압연 유제(O/W)는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동안에 냉각 윤활제로 사용되며, 압연유는 냉간 압연 동안에는 사용된다. 열간 압연의 방법 단계에서, 알루미늄 잉곳은 알루미늄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당히 재성형된다. 냉간 압연 스탠드에서는 탄화수소계 압연유가 냉각 윤활제로 사용된다. 윤활 첨가제가 이러한 압연유에 첨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윤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지방산을 사용하는 단점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지방산들은 40℃ 미만의 온도에서 고체로 존재하며 상당히 300℃ 이상의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만 증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휘발성이 높은 압연유의 증발 후에, 롤 스탠드 내의 구성요소 상에는 압연유로 연속적으로 세척되지 않는 지방산의 고체 또는 반죽 형태의 침착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금속 비누(soap)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또는 반죽 형태의 침착물이 롤 스탠드 또는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에 도달하는 경우, 압연된 재료에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결함 패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후속하는 방법 단계(추가의 압연 패스, 압연 절단, 열적 또는 화학적 탈지)에 의해서 더 이상 제거될 수 없다.
윤활 첨가제로서 지방산의 다른 단점은 압연 재료의 성분, 특히 재성형 동안 형성된 압연 마모물과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금속 비누 주로 알루미늄 비누가 형성될 수 있다. 산을 형성하는 알코올의 산화 후, 지방 알코올은 알루미늄 마모물과 반응하여 알루미늄 비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된 지방산 및 알루미늄 마모물로 형성된 알루미늄 비누는 냉간 압연 오일에서 단지 제한적인 낮은 용해도를 갖는다. 또한, 알루미늄 마모 입자와 함께 응집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난용성 금속 비누 및 금속 비누/금속 마모 응집체는 냉간 압연 스탠드의 구성요소에 퇴적되며 파이프라인 및 탱크에 앞서 언급한 침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비누 또는 금속 비누/금속 마모 응집체가 압연기, 냉간 압연기 의 구성요소로부터 또는 파이프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에 도달하면,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결함 패턴이 압연 재료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스트립 또는 포일을 마무리하는 후속 방법 단계에 의해서 더 이상 제거될 수 없다. 이러한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간 압연유로부터 금속 비누 및 금속 마모물을 여과 또는 증류 공정들에 의해 분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수평 압력 플레이트 필터와 같은 필터와 예를 들어 규조토, 펄라이트 및 표백토와 같은 필터 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압연유에 증가한 비누 함량은 표백토 필터 보조제의 사용 증가에 의해 상쇄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필터 대기 시간이 단축되고 필요한 필터 보조제의 양 및 생성되는 필터 폐기물의 양은 모두 증가한다.
EP 3124583 A1에는 설파이드 구조를 갖는 디카르복실산,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하이드릭 알코올/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수용성 금속 가공액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광유계 조성물이 아닌 수용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EP 0484542 A1에는 광유 및 직쇄 올레핀 외에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을 함유하는 금속 가공용 윤활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글리콜은 여기에 서술된 윤활제에 존재할 수 있다. 글리콜은 이 문헌의 예시적인 조성물에 포함되지 않는다. 윤활제에서 올레핀의 단점은 알루미늄 스트립의 어닐링 후 알루미늄 시트에 높은 어닐링 잔류물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EP 3124583 A1에는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 외에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는 수용성 금속 처리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알루미늄 마모물과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지 않으며 압연유의 다른 성분과 반응하지도 않는 새로운 윤활 첨가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냉간 압연 방법에서 지방산 및/또는 지방 알코올에 의해 자주 유발되는 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의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결함 패턴이 압연유의 윤활 효과 및 마찰 활동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피될 수 있는 냉각 윤활제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광유계 냉각 윤활제(압연유)에 의해 달성된다. 냉각 윤활제는:
- 광유계 또는 합성 기유;
-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며,
- 냉각 윤활제에는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이 실질적으로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냉각 윤활제가 알루미늄 스트립을 냉간 압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루미늄 제품(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아직 냉간 압연되지 않은 알루미늄 스트립보다 얇은 알루미늄 스트립을 형성하거나 알루미늄 포일(알루미늄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알루미늄 스트립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얻어진 알루미늄 제품은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에 의해 야기되는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결함 패턴이 없다. 알루미늄 제품은 물과 N-메틸-2-피롤리돈(NMP)에 대해 놀랍게도 높은 습윤성을 갖는다. 알루미늄 포일 표면의 높은 표면 에너지가 필요한 경우, 알루미늄 제품은 코로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유용성이며 물과 혼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직쇄 올레핀이 없고, 특히 6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이 없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윤활 첨가제로서 지방산이 냉각 윤활제에 냉각 윤활유의 질량을 기준으로 최대 0.2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0.1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지방 알코올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윤활 첨가제로서 지방 알코올이 냉각 윤활제에 냉각 윤활유의 질량을 기준으로 최대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0.3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에 지방산 함량 및/또는 지방 알코올 함량이 위에서 명시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윤활제와 함께 압연된 알루미늄 제품의 습윤 특성은 손상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알루미늄 제품은 냉간 압연된 알루미늄 시트, 알루미늄 스트립 및 알루미늄 포일이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은 4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100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용어 알루미늄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옥시알킬렌 지방 알코올 에테르(에톡실레이티드 지방 알코올)와 같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전형적인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에서의 알킬렌 그룹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8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 그룹은 예를 들어 데칸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일 수 있다. 이 화합물들은 알루미늄 냉간 압연 중에 윤활 및 냉각 특성을 갖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40℃에서 5 mm2/s 내지 250 mm2/s, 바람직하게는 10 mm2/s 내지 200 mm2/s의 동적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5℃ 이상에서 액체로 존재하며 따라서 투여하기가 용이하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물에 녹지 않거나 물에 녹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와 같은 에톡실레이티드 지방 알코올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로서 사용된다. 상응하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유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비율은 각각의 경우에 압연유의 질량을 기준으로 최대 10 중량%, 특히 0.01 내지 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따라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일반적으로 냉간 압연 윤활제에 존재하는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 첨가제를 대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전술한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의 불리한 효과없이 양호한 윤활 효과 또는 마찰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DIN EN ISO 3405에 따라 측정된 180 내지 300℃ 범위의 끓는점을 갖는 탄화수소 기유(base oil)를 기반으로 한다. 기유는 직쇄 및 분지형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기유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안의 방향족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기유의 질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일 수 있다. 기유는 광유 또는 합성유일 수 있다. 그것은 천연 및/또는 합성 n-파라핀 및/또는, 천연 및/또는 합성 이소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저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의 동적 점도는 20℃에서 1.5 ~ 3.6 mm2/s일 수 있다. 상기 동적 점도는 냉간 압연 스탠드에서 양호한 유동 특성을 제공하고 균일한 윤활 및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에서 기유의 비율은 냉각 윤활제의 질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이상을 구성할 수 있다. 기유의 비율은 예를 들어 냉각 윤활제 질량의 90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고압 윤활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형적인 첨가제, 산화방지제 및 전도도 향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 윤활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는 직쇄 포화 C 10-14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부틸 스테아레이트 및 메틸 도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메틸 도데카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냉각 윤활제의 질량을 기준으로 최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입체구조적으로 방해하는 1가, 2가, 3가 페놀 및 다핵 페놀, 특히 테르트-부틸페놀을 포함한다. 이 그룹의 전형적인 대표는 메틸렌 4,4'-비스-(2,6-디-테르트-부틸페놀)이다. 추가의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디페닐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p,p'-테트라메틸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및 N,N'-디페닐-p-페닐디아민과 같은 아민을 포함한다. 전술한 산화방지제는 전형적인 농도의 황화물 및 폴리이황화물과 같은 추가 산화방지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는 요구되는 코로나 처리없이, 일련의 용도를 위해 냉간 압연 후에 얻어지는 알루미늄 제품의 추가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이 있는 상태에서 냉간 압연된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코로나 처리 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표면 에너지가 알루미늄 제품의 표면에 서 달성된다. 또한 알루미늄 제품의 표면은 물 및 NMP(N-methyl-2-pyrrolidone)에 대한 높은 습윤성을 갖는다.
알루미늄 제품은 그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에 사용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잔류물을 함유한다. 냉간 압연 후에 알루미늄 제품 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양은 최대 5 mg/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 후에, 알루미늄 제품의 표면에서 예를 들어 0.01 mg/m2 내지 5 mg/m2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는 제조된 알루미늄 스트립 또는 알루미늄 포일에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결함 패턴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마도 압연유 성분이 압연 재료에 제거하기 어려운 침착물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지방 알코올의 생략은 이러한 감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유의 잔류물은 압연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거나, 압연된 제품의 표면은 열적 탈지 후에 약간의 잔류물만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를 사용하기 전에 적어도 약 40℃로 가열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렇게 하면 점도가 감소하고 롤 갭을 통한 보다 신속한 흐름이 가능하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들
실시예 1 - 다양한 윤활제의 마찰 계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윤활제의 윤활 특성은 하중을 가하는 강구(직경 19.05 mm)와 다양한 속도로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테스트 디스크가 있는 표준 구성의 PCS 인스트루먼트의 MTM2 미니 트랙션 기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볼(¾" 볼 베어링 강 AISI 52100(100Cr6, 1.3505))에 의한 테스트 디스크에 대한 하중은 40 N(0.5 GPa 접촉 압력) 및 상이한 압연 속도에서의 마찰 계수(CF)로 설정되었다. 1 내지 200 m/min의 압연 속도에서 측정된 마찰 계수의 두 평균 값(MV)은 아래의 표 1에 재현되어 있다. 디스크는 알루미늄 합금 AA 1XXX로 형성되었다. 테스트 동안의 슬라이드/롤 비율(SRR)은 50%였다. 마찰 테스트 후, 물에 대한 알루미늄 테스트 디스크의 습윤성을 시험했다. 이를 위해, 트랙 옆의 디스크에 탈염수를 사용하여 5μl의 액적 체적으로 적하 시험을 수행했다. 표준화된 테스트 절차는 내부 작업 지침 "Hydro CO 0620"과 부합한다. 동적 점도는 40℃에서 DIN 51562에 따라 측정되었다
표 1
윤활제 샘플 점성
mm2/s
CF MV
02-200 m/min
액적 크기
5μl의 물 mm
비고
1: 기유 1.9 0.07;
0.08
3.1 차선의 윤활막 형성; 금속 비누 형성
2: 기유+0.9% 지방산+0.9% 메틸 라우레이트 1.9 0.06;
0.05
2.5 양호한 윤활막; KSS에 마모물이 더 많지만 깨끗한 디스크
3: 1%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1.9 0.05;
0.05
3.1 순수한 압연유보다 양호한 윤활막 형성
4: 2%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1.9 0.04;
0.04
3.5 윤활막 형성 우수함; 볼에 대한 최소의 트랙
5: 4%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2.0 0.03;
0.03
3.5 마모물 거의 없음
6: 2% PAG 함유 화합물**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1.9 0.06;
0.06
3.3 우수한 윤활막 형성; 일부의 마모물; 용인되는 습윤성
7: 5% PAG 함유 화합물**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2.0 0.05;
0.06
6.6 우수한 윤활막 형성; 일부의 마모물; 우수한 습윤성
8: 10% PAG 함유 화합물**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20 mm2/s) 2.2 0.03;
0.03
10.7 우수한 윤활막 형성; 마모물 거의 없음; 매우 우수한 습윤성
9: 5%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33 mm2/s) 2.1 0.06;
0.08
3.6 윤활막 형성 양호함
10 : 5%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57 mm2/s) 2.1 0.09;
0.08
4.5 윤활막 형성 양호함; 마모물 거의 없음; 볼에 대한 트랙이 거의 없음
11: 5%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77 mm2/s) 2.1 0.07;
0.07
3.5 윤활막 형성 양호함; 볼에 대한 최소의 트랙
12: 5% PAG****를 가진 압연유(40℃에서 점성 175 mm2/s) 2.3 0.08;
0.06
3.3 윤활막 형성 양호함; 볼에 대한 최소의 트랙
* PAG = 40℃에서 동적 점도가 20 mm2/s인 EO/PO 공중합체
** 40℃에서 동적 점도가 20 mm2/s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 각각의 경우에 40℃에서 동적 점도가 33, 57 및 77 mm2/s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 40℃에서 동적 점도가 75 및 225 mm2/s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 혼합물의 점도는 40℃에서 175 mm2/s
기유만으로 윤활막을 형성하는 것은 차선책이고, 금속 비누가 형성된다. 윤활제 샘플 2는 마모물이 더 많지만 디스크는 깨끗한 양호한 윤활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샘플 3은 보다 양호한 윤활막 형성을 제공한다. 샘플 4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볼에 대한 트랙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마모가 거의 없는 샘플 5에도 적용된다. 샘플 6 내지 12는 양호한 윤활막 형성을 나타낸다. 샘플 6 및 7은 약간의 마모를 나타내며, 샘플 8은 거의 마모를 나타내지 않는다. 샘플 6은 물에 의한 용인할 수 있는 습윤성을 나타내고, 샘플 7은 물에 의한 양호한 습윤성을 나타내며, 샘플 8은 물에 의한 매우 양호한 습윤성을 나타낸다. 샘플 10은 마모가 거의 없고 볼에 대한 트랙이 거의 남지 않는다. 샘플 11 및 12는 볼에 대한 최소한의 트랙을 제공한다.
실시예 2 - 다양한 윤활제로 압연 후에 습윤각의 결정
AA 1XXX 유형 합금의 알루미늄 포일이 포일 표면의 습윤각을 결정하기 위한 다음의 테스트에서도 사용되었다. 접촉각(CA)은 물과 NMP로 습윤하는 동안 측정되었다. 습윤각 또는 접촉각은 독일 함부르크의 크뤼쓰 게엠베하(Kruss GmbH, Hamburg, Germany)의 낙하 형상 분석기 DSA 10을 사용하여, 완전 탈염수 또는 NMP 의 5 μl 액적 체적의 낙하 시험에서 측정되었다. 측정값은 포일 샘플 표면의 4개의 다른 위치에서 개별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면에너지(SFE)는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측정하였다. 해당 값은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H2O에 대한
접촉각
표면 에너지
(전체)
mN/m
NMP에 대한
접촉각
압연유(기유) 71° 30 32°
0.1% 지방산 LA를 가진 기유 87° 26 38°
0.5% 지방산 LA를 가진 기유 111° 20 67°
1% 지방 알코올 C12를 가진 기유 78° 26 40°
1% 지방 알코올 C12/C14(70:30)를 가진 기유 92° 22 46°
2% 지방 알코올 C12/C14(70:30)를 가진 기유 85° 22 43°
0.1% PAG 함유 화합물*을 가진 기유(40℃에서 점성 20 mm2/s) 74° 34 20°
0.5% PAG 함유 화합물*을 가진 기유(40℃에서 점성 20 mm2/s) 75° 29 24°
1% PAG 함유 화합물*을 가진 기유(40℃에서 점성 20 mm2/s) 69° 32 25°
0.5% PAG**를 가진 기유(40℃에서 점성 77 mm2/s) 53° 45 20°
5% PAG**를 가진 기유(40℃에서 점성 77 mm2/s) 62° 37 17°
*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데실 에테르
**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표 2에 재현된 결과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가 적어도 NMP에 대해서 상당히 작은 접촉각을 갖는 알루미늄 제품을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특정 응용을 위해 유익할 수 있다.

Claims (9)

  1. 알루미늄을 냉간 압연하기 위한 냉각 윤활제로서,
    - 광유계 또는 합성 기유;
    -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하며,
    냉각 윤활제는 비수용성이거나 물과 혼화되지 않으며, 냉각 윤활제에는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윤활제.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 윤활제에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비율은 냉각 윤활제의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윤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에톡실레이티드 지방 알코올 또는 전술한 화합물 중 적어도 두 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윤활제.
  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특히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윤활제.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윤활제의 기유는 냉각 윤활제의 질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85 중량%, 특히 적어도 9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윤활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윤활제는 냉각 윤활제의 질량을 기준으로 최대 10 중량%의 양으로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포화 직쇄 C10-14 지방산의 메틸 에스테르, 특히 메틸 도데카노에이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지방산에 의해 야기되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결함 패턴이 없는 알루미늄 제품을 냉간 압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하며, 실질적으로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이 없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 윤활제를 알루미늄 스트립을 냉간 압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알루미늄을 압연, 특히 알루미늄을 냉간 압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 윤활제의 용도.
KR1020237008238A 2020-08-17 2021-08-17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KR102636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1350.6 2020-08-17
EP20191350.6A EP3957708A1 (de) 2020-08-17 2020-08-17 Kühlschmierstoff für das kaltwalzen von aluminium
PCT/EP2021/072781 WO2022038111A1 (de) 2020-08-17 2021-08-17 Kühlschmierstoff für das kaltwalzen von alumin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81A true KR20230052281A (ko) 2023-04-19
KR102636604B1 KR102636604B1 (ko) 2024-02-16

Family

ID=7213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238A KR102636604B1 (ko) 2020-08-17 2021-08-17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03395A1 (ko)
EP (2) EP3957708A1 (ko)
JP (1) JP2023535646A (ko)
KR (1) KR102636604B1 (ko)
CN (1) CN115885025B (ko)
CA (1) CA3191862A1 (ko)
WO (1) WO202203811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837A (en) * 1971-12-31 1975-03-18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 for lubricating 2-stroke engines and rotary engines
US3919093A (en) * 1974-07-15 1975-11-11 Mobil Oil Corp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ene oxide polymers and sulfur
US4949566A (en) * 1989-09-11 1990-08-21 Robert Eichelbaum Rolling mill lubrication
EP0484542A1 (en) * 1990-05-14 1992-05-13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Lubricant composition for metal working
JP2003165993A (ja) * 2001-09-21 2003-06-10 Nippon Oil Corp アルミニウム加工用潤滑油組成物
EP2978828A1 (en) * 2013-05-23 2016-02-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alkylene glycols useful as lubricant additives for hydrocarbon base oi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8621D0 (en) * 1984-11-13 1984-12-19 Alcan Int Ltd Lubricant
JPH09208984A (ja) * 1996-02-02 1997-08-12 Nippon Steel Corp 冷間圧延油組成物、冷間圧延油エマルション及び冷間圧延方法
US6059976A (en) * 1997-08-28 2000-05-09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Reclamation of spent aluminum rolling coolant oils, emulsions and dispersions
JP2003096482A (ja) * 2001-09-21 2003-04-03 Nippon Oil Corp アルミニウム加工用潤滑油組成物
JP2009242726A (ja) * 2008-03-31 2009-10-22 Jfe Steel Corp 冷間圧延用潤滑剤および冷間圧延方法
JP2009242700A (ja) * 2008-03-31 2009-10-22 Jfe Steel Corp 冷間圧延用圧延油および冷間圧延方法
JP6283552B2 (ja) 2014-03-28 2018-02-21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溶性金属加工油および金属加工用クーラン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837A (en) * 1971-12-31 1975-03-18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 for lubricating 2-stroke engines and rotary engines
US3919093A (en) * 1974-07-15 1975-11-11 Mobil Oil Corp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ene oxide polymers and sulfur
US4949566A (en) * 1989-09-11 1990-08-21 Robert Eichelbaum Rolling mill lubrication
EP0484542A1 (en) * 1990-05-14 1992-05-13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Lubricant composition for metal working
JP2003165993A (ja) * 2001-09-21 2003-06-10 Nippon Oil Corp アルミニウム加工用潤滑油組成物
EP2978828A1 (en) * 2013-05-23 2016-02-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alkylene glycols useful as lubricant additives for hydrocarbon base 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02718A2 (pt) 2023-03-14
CN115885025B (zh) 2024-05-24
JP2023535646A (ja) 2023-08-18
US20230203395A1 (en) 2023-06-29
EP4196558A1 (de) 2023-06-21
CN115885025A (zh) 2023-03-31
EP3957708A1 (de) 2022-02-23
KR102636604B1 (ko) 2024-02-16
WO2022038111A1 (de) 2022-02-24
CA3191862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879B2 (ko)
EP2161327A1 (en) Emulsifiers for metal working fluids
JP2008189771A (ja) アルミニウム箔用圧延油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箔の製造方法
KR970010855B1 (ko) 금속가공용 윤활유 조성물
JP2001500560A (ja) 金属を成形する際に助力となる組成物
KR102636604B1 (ko) 알루미늄 냉간 압연용 냉각 윤활제
US3041281A (en) Lubricant for rolling metals
US20230197969A1 (en) Aluminum foil with improved wettability
CA3191862C (en) Cooling lubricant with polyalkylene glycol or ethoxylated fatty alcohol for cold rolling aluminum
US3840462A (en) Lubricant compositions
JPH108077A (ja) 金属塑性加工用潤滑油剤
US3390084A (en) Cold rolling lubrication
KR101906433B1 (ko) 비수용성 절삭유
US4151102A (en) Synthetic bearing lubricant
BR112023002718B1 (pt) Uso de um lubrificante de refrigeração, e método para laminação a frio de um produto de alumínio isento de padrões de defeitos visualmente discerníveis causados por ácidos graxos
JP4221527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組成物
JPH0221437B2 (ko)
JP2869187B2 (ja) 金属加工用潤滑油組成物
JP2023042264A (ja) 銅および銅合金用の金属加工用潤滑組成物
EP1599566A1 (en) Additive for cold rolling lubricants
JPH04233998A (ja) 潤滑処理アルミニウム板並びにアルミニウム板用潤滑処理剤
SU781212A1 (ru)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а жидкость дл гор чей прокатки алюмини и его сплавов
RU2163625C2 (ru) Смазка для холод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ов
CN116478757A (zh) 铜轧制油及其用途
Ono et al. Promotion of anti-wear property of sodium stearate by oxygen and surface active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