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396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396A
KR20230049396A KR1020210132507A KR20210132507A KR20230049396A KR 20230049396 A KR20230049396 A KR 20230049396A KR 1020210132507 A KR1020210132507 A KR 1020210132507A KR 20210132507 A KR20210132507 A KR 20210132507A KR 20230049396 A KR20230049396 A KR 2023004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composition
weight
polyamide resin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민
정헌규
정기봉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396A/ko
Priority to PCT/KR2022/014495 priority patent/WO2023058986A1/ko
Priority to CN202280064638.4A priority patent/CN118043400A/zh
Publication of KR2023004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6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in which the end-piece is guided rectilinear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아미드 6; 장쇄 폴리아미드; 내충격제; 및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 이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운송 기관으로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수소 자동차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수소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수소를 저장 및 운반하는 각종 부품들은 고도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갖추어야 한다.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탱크는 내부가 플라스틱 라이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소 탱크 라이너는 고압의 수소를 견딜 수 있는 고강성이 필요하고 수소를 반복적으로 충전하는 동안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수소 탱크 라이너는 고압의 수소를 견딜 수 있는 인장 신도와, 수소의 투과를 막는 기체 차단 특성이 우수해야 하고, 수소 충전시 저온의 환경이 조성되는데 이러한 저온에서도 뛰어난 인장 신도와 내구성을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물성들을 동시에 만족하는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온 및 저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기체 차단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 이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아미드 6; 장쇄 폴리아미드; 내충격제; 및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 이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상온에서뿐만 아니라 -40 ℃ 수준의 저온에서도 뛰어난 인장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기체 차단성과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구현한다.
이하, 구체적인 구현예에 대하여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들의 조합"이란, 구성물의 혼합물, 적층물, 복합체, 공중합체, 합금, 블렌드, 반응 생성물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입자 크기나 평균 입경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도 분석기로 측정하거나, 또는 투과전자현미경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또는 주사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동적광산란법 (DLS;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입자 사이즈 범위에 대하여 입자수를 카운팅한 뒤 이로부터 계산하여 평균 입경 값을 얻을 수 있다.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평균 입경은 입도 분포에서 누적 체적이 50 부피%인 입자의 지름(D50)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아미드 6; 장쇄 폴리아미드; 내충격제; 및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온, 및 -40 ℃ 수준의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기체 차단력이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polyamide 6; PA 6)은 ε-카프로락탐 또는 6-아미노카프론산으로 제조된 폴리아미드를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6는 인장 신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고 내화학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의 상대 점도는 1.8 내지 3.4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3.0, 또는 2.3 내지 2.8일 수 있다. 여기서 상대 점도는 20℃에서 96%의 황산 100㎖ 중에 폴리아미드 6를 1g 첨가하여 점도계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의 상대 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사출시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의 아미노 말단기 양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1.0×10-5 내지 10.0×10-5mol/g일 수 있고, 이 경우 충분한 중합도를 얻을 수 있어 기계적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은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중량% 내지 80 중량%, 30 중량% 내지 80 중량%, 40 중량% 내지 80 중량%, 45 중량% 내지 75 중량%, 또는 5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6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내구성 및 성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장쇄 폴리아미드
장쇄 폴리아미드(long chain polyamide)는 반복 단위에 긴 탄소 사슬을 가지는 폴리아미드로서, 구체적으로 하나의 반복 단위에서 질소 원자 1개 당 탄소 원자의 개수가 8개 내지 20개인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여기서 질소 원자 1개 당 탄소 원자의 개수는 예를 들어 8개 내지 18개, 8개 내지 16개, 8개 내지 14개, 또는 8개 내지 12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장쇄 폴리아미드를 포함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PA8, PA9, PA10, PA11, PA12, PA13, PA48, PA410, PA412, PA414, PA418, PA58, PA510, PA512, PA514, PA518, PA68, PA610, PA612, PA614, PA618, PA88, PA810, PA812, PA1010, PA1012, PA1014, PA1018, PA1210, PA1212, PA1214, PA1218, PA1410, PA1412, PA1414, PA1418, PA8T, PA9T, PA10T, PA12T, PA8I, PA9I, PA10I, PA12I,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단일 중합체(homo polymer) 또는 공중합체(copolymer)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PA11, PA12, PA610, PA612, PA618, PA1010, PA1012, PA1212,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통상적인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25℃에서 98 중량%의 황산 용액 중에서 측정할 때 1.8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의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15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 2 중량% 내지 8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7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저온에서의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내충격제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제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고강성의 수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제는 일 예로 폴리올레핀계 고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다른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충격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충격제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로 개질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고무, 구체적으로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에틸렌-옥텐 고무 등일 수 있다. 이를 사용할 경우 폴리아미드 6 등의 수지 성분과 내충격제의 혼화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 중량% 내지 45 중량%, 10 중량% 내지 40 중량%, 15 중량% 내지 35 중량%, 또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내충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충격 강도를 나타내면서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와 내구성, 내화학성 등이 개선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폴리아미드 66과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으로써, -40 ℃ 수준의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성능 수소 탱크 라이너의 소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6(polyamide 66; PA 66)은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를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66은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66의 상대 점도는 1.7 내지 3.1일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아미드 66의 제조시 멜트 텐션이 적절하여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유리 섬유 등의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상대 점도는 20℃에서 96%의 황산 100㎖ 중에 폴리아미드 66을 1g 첨가하여 점도계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6의 중량 평균 분자량 예를 들어 11,000 g/mol 내지 21,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66의 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압출기의 스크류 토크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6은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첨가되어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아미드기 구조를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방향족 그룹을 가지는 반방향족(semi-aromatic) 폴리아미드로서, 아미드 그룹 사이의 탄소 개수가 6개이면서 벤젠 결합 구조인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폴리아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구체적인 예에는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6I/66,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DT 및 폴리아미드 9T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I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I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일정량 첨가되어 다른 물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융점은 대략 280℃ 내지 330℃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80℃ 내지 180℃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통상적인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7 중량% 내지 1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구현하면서 우수한 내화학성, 내구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내에서, (장쇄 폴리아미드):(상기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중량비는 10:90 내지 50:5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80 내지 40:60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기타 첨가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예를 들어 가소제, 난연제, 내열제, 산화 방지제, 보강제, 이형제, 염료, 안료, 자외선 흡수제, 핵제, 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9 중량%, 0.1 중량% 내지 6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4 중량%, 0.1 중량% 내지 3 중량%, 0.1 중량% 내지 2 중량%, 또는 0.2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해당 첨가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일 예로 1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폴리아미드 6;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장쇄 폴리아미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내충격제;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및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45 중량% 내지 75 중량%의 폴리아미드 6;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장쇄 폴리아미드; 15 중량% 내지 35 중량%의 내충격제;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및 0 중량% 내지 5 중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과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특히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 수소를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서 수소 저장 부품의 소재로 적합하며, 일 예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수소 탱크 라이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예를 들어 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운송 기관에서 수소 저장 장치일 수 있고, 일 예로 수소 자동차용 수소 탱크 라이너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은 -40 ℃의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가 70%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 6(PA6) 60 중량%, 장쇄 폴리아미드로서 PA1012를 5 중량%, 내충격제로서 에틸렌-옥텐 고무(EOR) 25 중량%, 및 폴리아미드 66(PA66) 10 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를 이용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압출 온도를 250℃ 내지 280℃로 변화시키며 스크류 속도를 250rpm에서 450rpm으로 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하여 펠릿을 제조한다. 수득한 펠릿을 사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다목적 시험편의 형태인 성형품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PA66 대신에 PA6I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PA66 대신에 PA66 와 PA6I 조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장쇄 폴라아미드를 25%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PA66을 사용하지 않고, 아래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비교예 3
장쇄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지 않고, 아래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비교예 4
내충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아래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조한다.
  PA6 PA1012 EOR PA66 PA6I
실시예 1 60 5 25 10 0
실시예 2 60 5 25 0 10
실시예 3 60 5 25 5 5
실시예 4 40 25 25 0 10
비교예 1 70 5 25 0 0
비교예 2 50 25 25 0 0
비교예 3 65 0 25 10 0
비교예 4 85 5 0 10 0
평가예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서 제조한 성형품에 대하여 상온(23℃) 및 저온(-40℃)에서의 인장 강도, 인장 신도, 및 충격 강도를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낸다.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는 ISO 527에 따라 50 mm/min 조건으로 평가한다.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ISO 180에 따라 시편 중앙부에 노치가 존재하는 3.2mm 두께의 시편을 23℃ 조건에서 5.5J의 임팩트 해머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저온에서의 물성은, -40℃에서 4시간 동안 시편을 에이징 한 후 액체 질소로 -40℃ 분위기를 유지하는 챔버 속에서 인장 강도, 인장 신도, 아이조드 충격 강도 등을 평가한다.
  상온(23℃) 저온(-40℃)
인장강도 인장신도 충격강도 인장강도 인장신도 충격강도
MPa % kJ/m2 MPa % kJ/m2
실시예 1 56 262 110 63 105 76
실시예 2 55 275 105 67 71 73
실시예 3 56 269 105 64 75 73
실시예 4 55 270 103 58 51 56
비교예 1 52 229 110 67 21 70
비교예 2 52 270 106 59 45 67
비교예 3 55 275 105 67 33 56
비교예 4 74 97 6 111 10 3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상온 및 저온에서의 인장 강도, 인장 신도, 충격 강도 등의 물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PA 66이나 PA 6I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저온에서의 인장 신도가 현저히 낮고, 여기서 장쇄 폴리아미드의 함량을 증가시킨 비교예 2의 경우 인장 신도가 비교예 1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장쇄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에도 저온에서의 인장신도가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고, 내충격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상온 및 저온에서 충격 강도가 현저히 낮고, 가공상의 문제로 인하여 저온에서의 인장신도가 상당히 낮은 문제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폴리아미드 6;
    장쇄 폴리아미드;
    내충격제; 및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6의 상대 점도는 1.8 내지 3.4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하나의 반복 단위에서 질소 원자 1개 당 탄소 원자의 개수가 8개 내지 20개인 폴리아미드로서,
    PA8, PA9, PA10, PA11, PA12, PA13, PA48, PA410, PA412, PA414, PA418, PA58, PA510, PA512, PA514, PA518, PA68, PA610, PA612, PA614, PA618, PA88, PA810, PA812, PA1010, PA1012, PA1014, PA1018, PA1210, PA1212, PA1214, PA1218, PA1410, PA1412, PA1414, PA1418, PA8T, PA9T, PA10T, PA12T, PA8I, PA9I, PA10I, PA12I,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PA11, PA12, PA610, PA612, PA618, PA1010, PA1012, PA1212,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장쇄 폴리아미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내충격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66의 상대 점도는 1.7 내지 3.1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융점은 280℃ 내지 330℃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80℃ 내지 180℃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서,
    (장쇄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중량비는 10:90 내지 50:50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폴리아미드 6;
    1 중량% 내지 25 중량%의 장쇄 폴리아미드;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내충격제;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및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45 중량% 내지 75 중량%의 폴리아미드 6;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장쇄 폴리아미드;
    15 중량% 내지 35 중량%의 내충격제;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및
    0 중량% 내지 5 중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3. 제11항에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가소제, 난연제, 내열제, 산화 방지제, 보강제, 이형제, 염료, 안료, 자외선 흡수제, 핵제, 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품.
  15. 제14항에서,
    상기 성형품은 수소 탱크 라이너인 성형품.
KR1020210132507A 2021-10-06 2021-10-0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KR20230049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07A KR20230049396A (ko) 2021-10-06 2021-10-0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PCT/KR2022/014495 WO2023058986A1 (ko) 2021-10-06 2022-09-2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CN202280064638.4A CN118043400A (zh) 2021-10-06 2022-09-27 聚酰胺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07A KR20230049396A (ko) 2021-10-06 2021-10-0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96A true KR20230049396A (ko) 2023-04-13

Family

ID=8580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507A KR20230049396A (ko) 2021-10-06 2021-10-0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49396A (ko)
CN (1) CN118043400A (ko)
WO (1) WO20230589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393A1 (de) * 2007-07-24 2009-01-29 Clariant International Ltd. Artikel mit geringer Wasserstoffpermeation
WO2016012563A1 (en) * 2014-07-25 2016-01-28 Dsm Ip Assets B.V. Heat stabilized polyamide composition
JP7409876B2 (ja) * 2020-01-09 2024-01-09 Ube株式会社 水素タンクの継ぎ目レス長尺ライナーのブロー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水素タンク用継ぎ目レス長尺ライナー
JP7409875B2 (ja) * 2020-01-09 2024-01-09 Ube株式会社 水素タンクの継ぎ目レス長尺ライナーのブロー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水素タンク用継ぎ目レス長尺ライナー
FR3106648B1 (fr) * 2020-01-28 2022-05-27 Arkema France Structure multicouche pour le transport ou le stockage de l’hydrog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986A1 (ko) 2023-04-13
CN118043400A (zh)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90314375A1 (en) Polyamide-based antistatic multilayer tube for transferring fluids
KR20150065593A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KR20210037456A (ko) 수소 탱크 라이너용 사출 성형품
EP3201274B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KR20170082555A (ko) 점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변형-안정 조성물, 이의 제조 및 이의 용도
EP1988126A1 (en) Material for slide part
EP3816231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for blow-molded products exposed to high-pressure hydrogen, and blow-molded product
EP3222669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KR102196802B1 (ko)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CN105153690A (zh) 一种耐氯化盐应力腐蚀开裂的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19766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Wang et al. Effect of EVOH on the morphology,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PA6/POE-g-MAH/EVOH ternary blends
KR2023004939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성형품
KR101470916B1 (ko)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KR10158322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57409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EP4269502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for hydrogen tank liner and product prepared by same
KR20240071342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CN115926442A (zh) 一种绿色环保可焊接的耐水解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10294361B2 (en) Thermally stable polyoxymethylene compositions
KR101400698B1 (ko) 인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CN110144116B (zh) 柔性多层压缩空气管材
KR10232982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0791084A (zh) 一种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