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121A -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121A
KR20230047121A KR1020237004914A KR20237004914A KR20230047121A KR 20230047121 A KR20230047121 A KR 20230047121A KR 1020237004914 A KR1020237004914 A KR 1020237004914A KR 20237004914 A KR20237004914 A KR 20237004914A KR 20230047121 A KR20230047121 A KR 2023004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creen
alert
instruc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키 타무라
쇼고 스즈키
다이스케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9)는 표시부(91), 제어부(94), 경보음 출력부(92), 및 접수부(93)를 구비한다. 제어부(94)는 표시부(91)가 제 2 화면(520)을 표시하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과, 제 1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나타내는 제 2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접수부(93)에 할당한다. 제어부(94)는 접수부(93)가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제어부(94)는 접수부(93)가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표시부(91)에 제 1 화면(510)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경보음 출력부 (92)에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에러 발생 시에, 경보음 출력부에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경보 부저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와, 표시부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는 이상 발생 시에 경보 부저를 명동시킨다. 또한, 표시 장치는 발생한 이상에 관해, 부저 캔슬 기능이 유효한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부저 캔슬 기능이 유효한 이상이 발생된 경우, 표시 장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중 1개에 부저 캔슬 기능을 할당하고, 그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위치에 부저 캔슬 아이콘을 표시시킨다. 표시 장치는 부저 캔슬 기능을 할당한 조작 스위치가 작업자에 의해 눌리게 되면, 경보 부저의 명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부저 캔슬 기능이 유효하지 않은 이상이 발생된 경우, 표시 장치는 경보 부저를 명동시킨 상태로 한다.
국제 공개 제2016/01697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표시 장치는 부저 캔슬 기능이 유효하지 않은 이상(에러)이 발생된 경우, 경보 부저를 정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서비스맨이 이상 개소의 점검이나 수리를 행할 때에도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가 있어, 서비스맨에 의한 작업이 경보음에 의해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에러의 종류에 상관없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부와, 제어부와, 경보음 출력부와, 접수부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제 1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시킨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는 상기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음을 출력한다. 상기 접수부는 상기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 2 화면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나타내는 제 1 지시를 접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 1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하면,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과, 상기 제 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화면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나타내는 제 2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상기 접수부에 할당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의한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상기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상기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러의 종류에 상관없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작업 기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에러 통지 화상 및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에러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에러 정보 상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도 1∼도 1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에 의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이 중복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우선, 도 1∼도 3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백호이다. 백호는 건설 기계의 일종이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기계 본체(2)와, 붐(3)과, 암(4)과, 버킷(5)과, 주행 장치(7)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붐용 액추에이터(30)와, 암용 액추에이터(40)와,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를 더 구비한다.
기계 본체(2)는 운전석(6)을 갖는다. 작업자는 운전석(6)에 앉아서 작업 기계(1)를 조종한다. 기계 본체(2)는 주행 장치(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기계 본체(2)는 주행 장치(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좋다. 기계 본체(2)에는 엔진(12)(도 3 참조), 연료 탱크, 배터리, 유압 계통, 및 작동 오일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 본체(2)에는 엔진(12)(도 3 참조), 연료 탱크, 배터리, 유압계통, 및 작동 오일 탱크를 수납하는 보닛이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석(6)은 보닛 상에 배치되어 있다.
붐(3)은 기계 본체(2)에 의해, 제 1 회전 지점(支点)(P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붐(3)의 기단부가 기계 본체(2)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제 1 회전 지점(P1)은 운전석(6)을 전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이하, 운전석(6)을 전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붐용 액추에이터(30)는 붐(3)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붐용 액추에이터(30)가 신축됨으로써, 제 1 회전 지점(P1)을 중심으로 붐(3)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붐용 액추에이터(30)에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붐용 액추에이터(3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붐용 액추에이터(3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붐용 액추에이터(3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암(4)은 붐(3)에 의해, 제 2 회전 지점(P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4)의 기단부가 붐(3)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지지되어 있다. 제 2 회전 지점(P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암용 액추에이터(40)는 암(4)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암용 액추에이터(40)가 신축됨으로써, 제 2 회전 지점(P2)을 중심으로 암(4)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암용 액추에이터(40)에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암용 액추에이터(4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암용 액추에이터(4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암용 액추에이터(4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버킷(5)은 어태치먼트의 일종이다. 버킷(5)은 암(4)에 의해, 제 3 회전 지점(P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킷(5)은 암(4)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지지되어 있다. 제 3 회전 지점(P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는 버킷(5)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가 신축됨으로써, 제 3 회전 지점(P3)을 중심으로 버킷(5)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로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주행 장치(7)는 작업 기계(1)를 주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장치(7)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이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작업 기계(1)의 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6)의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작업 기계(1)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2)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는 조종부(8)와, 표시 장치(9)를 더 구비한다. 조종부(8) 및 표시 장치(9)는 기계 본체(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종부(8) 및 표시 장치(9)는 운전석(6)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조종부(8)는 작업자가 작업 기계(1)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각종 조작 부재는 스윙 페달(81)과, PTO 페달(82)과, 붐 조작 레버(83)와, 암 조작 레버(84)를 포함한다.
스윙 페달(81)은 풋 페달이다. 작업자는 스윙 페달(81)을 발로 조작한다. 작업자는 스윙 페달(81)을 조작하고, 스윙 실린더에 의해 스윙 브래킷을 개재해서 붐(3)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다.
PTO 페달(82)은 풋 페달이다. 작업자는 PTO 페달(82)을 발로 조작한다. 작업자는 PTO 페달(82)을 조작하여 PTO 포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붐 조작 레버(83) 및 암 조작 레버(84)를 손으로 조작한다. 작업자는 붐 조작 레버(83)를 조작해서 붐(3)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암 조작 레버(84)를 조작해서 암(4)을 작동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9)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4∼도 6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홈 화면(510)을 표시한다. 또한, 도 7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한다. 또한, 도 8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1∼도 3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의 구성을 더 설명한다. 도 3은 작업 기계(1)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는 제 1 컨트롤러(11)와, 엔진(12)과, 제 2 컨트롤러(13)를 더 구비한다. 또한, 작업 기계(1)는 각종 센서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는 액셀 센서(101)와, 냉각 수온 센서(102)와,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를 구비한다. 또한, 조종부(8)는 액셀 볼륨(85)을 더 포함한다.
엔진(12)은 주행 장치(7)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 2 컨트롤러(13)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에 의거해서 엔진(12)을 제어한다.
제 2 컨트롤러(13)는, 예를 들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처리부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와 같은 각종 연산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된다. 또는, 처리부는 범용 연산기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부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억부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는 EEPROM(등록상표)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 2 컨트롤러(13)는, 예를 들면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구성된다.
작업자는 액셀 볼륨(85)을 손으로 조작한다. 액셀 볼륨(85)은 제 2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작업자가 액셀 볼륨(85)을 정역 회동 조작함으로써, 엔진(12)의 회전수가 증감한다.
액셀 센서(101)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된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에 의거해서, 엔진(12)으로의 연료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제어하는 커맨드를 제 2 컨트롤러(13)로 송신한다.
또한,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냉각 수온 센서(102)는 엔진(12) 내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는 작동 오일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업 기계(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예를 들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예를 들면 ECU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된 것을 검출하면, 표시 장치(9)에 경보 정보를 송신한다. 경보 정보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경보 정보는 에러명을 나타내는 정보와, 에러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와,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경보 정보는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에러명, 에러 코드, 경보 레벨, 및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은 작업 기계(1)에 있어서 발생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각 에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컨트롤러(11)는 송신부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에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에 송신한다. 또한,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9)는 표시부(91)와, 경보음 출력부(92)와, 조작부(93)와, 제 3 컨트롤러(94)를 갖는다.
표시부(9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91)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4)가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경보음 출력부(92)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음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4)가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음 출력부(92)에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즉,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하면, 경보음 출력부(92)로부터 경보음이 출력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청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경보음 출력부(92)는, 예를 들면 부저이다.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레벨에 따라서 상이한 경보음을 경보음 출력부(92)로부터 출력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과,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음 출력부(92)로부터 연속음을 출력시켜도 좋다.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음 출력부(92)로부터 단속음을 출력시켜도 좋다. 경보음 출력부(92)가 경보 레벨에 따라서 다른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청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조작부(93)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서, 각종의 지시를 접수한다. 작업자는 조작부(93)를 조작하고, 각종 지시를 제 3 컨트롤러(94)에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93)는 접수부의 일례이다. 조작부(93)는, 예를 들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접수한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91)에 각종 화면을 표시시킨다. 제 3 컨트롤러(94)는, 예를 들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3 컨트롤러(94)는, 예를 들면 ECU에 의해 구성된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홈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낸다. 홈 화면(510)은 제 1 화면의 일례이다. 홈 화면(510)은, 예를 들면 연료 잔량 게이지, 냉각 수온 게이지, 및 작동 오일 온도 게이지를 표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화면(510)은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과, 제 1 통지 영역(512)을 갖는다.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은 각종 선택 항목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는 각종 선택 항목을 나타내는 문자 화상(문자열 화상) 또는 마크가 표시된다. 마크는, 예를 들면 아이콘, 도형, 또는 그림 문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부(93)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93)는 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를 포함한다. 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표시부(91)가 홈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에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 중에서, 대응하는 1개를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즉, 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는 각각 대응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예를 들면, 제 6 조작 스위치(936)에는 선택 항목(T1)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선택 항목(T1)은 제 1 통지 영역(512)에 표시하는 정보를 스위칭하기 위한 항목이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 6 조작 스위치(936)를 누를 때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통지 영역(512)에 표시하는 정보를, 엔진(12)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홈 화면(510)은 제 2 통지 영역(513)을 더 갖는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면, 도 5 등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2 통지 영역(513)에 표시시킨다. 도 4는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표시부(91)에 표시되는 홈 화면(510)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2 통지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2 통지 영역(513)을 「에러 통지 영역(51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5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5는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홈 화면(51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에러 통지 영역(513)에 표시시킨다. 에러 통지 화상(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은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이다. 에러 통지 화상(610)은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다. 경보 마크 화상(620)은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 화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경보 마크 화상(620)은 경보 레벨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과,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한다. 제 1 경보 레벨은 작업 기계(1)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에러에 대하여 설정된다. 제 2 경보 레벨은 작업 기계(1)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에러에 대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의한 작업을 속행해도 좋다.
도 5는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적어도 하나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에러 통지 영역(513)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홈 화면(510)(에러 통지 영역(513))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 표시됨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을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결정한다. 환언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을 경보 레벨에 따라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은 「적색」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으로부터,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은 문자열 화상(621a)과, 도형 화상(622a)으로 이루어진다. 문자열 화상(621a)은 도형 화상(622a)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형 화상(622a)의 윤곽 및 문자열 화상(621a)은 백색이며, 도형 화상(622a)의 내측의 색(배경색)은 적색이다.
계속해서, 도 1∼도 5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킨다. 선택 항목(T2)은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홈 화면(510)으로부터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전이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됨으로써, 조작부(93)는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됨으로써, 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 중 1개에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선택 항목(T1) 대신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 6 조작 스위치(936)에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택 항목(T2)으로서 경보 마크 화상(620)이 표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경보 마크 화상(620)은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다. 이와 같이, 선택 항목(T2)으로서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전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함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6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6은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9)에 표시되는 홈 화면(5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통지 영역(513)에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이하,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에러 통지 영역(513)에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홈 화면(510)(에러 통지 영역(513))에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 표시됨으로써,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가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인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을 「황색」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에러 통지 영역(513)의 배경색으로부터,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을 표시시킴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은 문자열 화상(621b)과, 도형 화상(622b)으로 이루어진다. 문자열 화상(621b)은 도형 화상(622b)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형 화상(622b)의 윤곽 및 문자열 화상(621b)은 백색이며, 도형 화상(622b)의 내측의 색(배경색)은 황색이다.
계속해서, 도 1∼도 7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7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2 화면의 일례이다. 제 3 컨트롤러(94)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선택 항목(T2)이 선택되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즉,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제 6 조작 스위치(936)가 눌리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 화면(520)은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을 갖는다.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은 각종 선택 항목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각종 선택 항목을 나타내는 문자 화상(문자열 화상) 또는 마크가 표시된다.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선택 항목(T11), 및 선택 항목(T12)이 표시된다. 선택 항목(T11)은 홈 화면(510)으로 되돌아갈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12)은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31)에는 선택 항목(T11)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즉,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조작 스위치(931)에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조작부(93)가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제 1 조작 스위치(931)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를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5 조작 스위치(935)에는 선택 항목(T12)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즉, 제 3 컨트롤러(94)는 제 5 조작 스위치(935)에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지시인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조작부(93)가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 출력부(92)에 의한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제 5 조작 스위치(935)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 출력부(92)에 의한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조작부(93)가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경보음 출력부(92)에 경보음을 출력시킨다. 따라서,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 경우라도,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홈 화면(510)으로 되돌린 후에,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다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조작부(93)가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경보음의 출력의 정지를 유지한다.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는 작업 기계(1)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에러이며,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의한 작업을 속행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자는 경보음의 출력 정지를 지시한 후에,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홈 화면(510)으로 되돌려서 작업 기계(1)에 의한 작업을 속행할 때, 경보음에 방해되는 일 없이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93)가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홈 화면(510) 또는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홈 화면(510)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조작부(93)가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또한,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조작부(93)가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킬 때에,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킨다. 이 결과, 작업자는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 되돌린 후에, 다시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켜도,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홈 화면(510)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7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 정보(700)를 에러 정보 화면(520)에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700)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700)는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경보 마크 화상(620)을 나타낸다.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경보 마크 화상(620)을 관련지어서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복수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에러 정보 화면(520)에 에러 정보(700)를 일람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복수의 에러의 각각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에러 정보 화면(520)에 5개의 에러 정보(700)가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제 1 에러 정보(710)∼제 5 에러 정보(750)가 표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을 갖는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열된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에러 정보(710)∼제 5 에러 정보(750)를 각각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킨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710) 및 제 2 에러 정보(720)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고, 제 3 에러 정보(730)∼제 5 에러 정보(750)는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마다 통합하여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레벨이 동일한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710) 및 제 2 에러 정보(720)는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3 에러 정보(730)∼제 5 에러 정보(750)도 마찬가지로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의 상단에 표시시킨다. 즉,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레벨이 높은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이 낮은 에러 정보(700)보다 상단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이 높은 에러 정보(700)로부터 내림차순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을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키는 에러 정보(700)가 나타내는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표시하는 영역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결정하고,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표시하는 영역의 배경색을 황색으로 결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 및 제 2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3)의 배경색은 적색이 되고, 제 3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4)∼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은 황색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을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키는 에러 정보(700)가 나타내는 경보 레벨에 따라서 변경함으로써,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구획 영역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도 1∼도 7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커서(705)를 표시시킨다. 커서(705)는 에러 정보(700)를 지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커서(705)에 의해 제 1 에러 정보(710)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선택 항목(T13), 선택 항목(T14), 및 선택 항목(T15)이 더 표시된다. 선택 항목(T13)은 커서(705)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14)은 커서(705)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15)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3 조작 스위치(933)에는 선택 항목(T13)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3 조작 스위치(933)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커서(705)를 1단 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4 조작 스위치(934)에는 선택 항목(T14)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4 조작 스위치(934)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커서(705)를 1단 위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6 조작 스위치(936)에는 선택 항목(T15)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6 조작 스위치(936)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으로 전이시킨다. 상세하게는, 제 3 컨트롤러(94)는 제 6 조작 스위치(936)가 눌리면, 커서(705)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에러 정보(700)의 상세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도 1∼도 8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8은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은 경보 마크 화상(620)과,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메시지(703)를 표시한다. 메시지(703)는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다.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은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을 갖는다.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은 각종 선택 항목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에는 각종 선택 항목을 나타내는 문자 화상(문자열 화상) 또는 마크가 표시된다.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에는 선택 항목(T21)과, 선택 항목(T22)이 표시된다. 선택 항목(T21)은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되돌아갈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22)은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31)에는 선택 항목(T21)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1 조작 스위치(931)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5 조작 스위치(935)에는 선택 항목(T22)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5 조작 스위치(935)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 출력부(92)에 의한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도 1∼도 9를 참조해서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표시 장치(9)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제 3 컨트롤러(94)로 경보 정보가 송신된 후에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1 및 스텝 S2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음 출력부(92)에 경보음을 출력시킨다(스텝 S1).
이어서,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홈 화면(510)의 에러 통지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610)을 표시시킨다(스텝 S2).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홈 화면(510)의 에러 통지 영역(513)에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스텝 S2).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보 레벨이 제 1 경보 레벨인 경우,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시키고, 경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경보 레벨이 제 2 경보 레벨인 경우,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을 표시시킨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된 경우, 그 에러가 해소될때까지,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시킨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 중 1개를 선택 항목(T2)으로 변경하고(스텝 S2),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컨트롤러(94)는 선택 항목(T1)을 선택 항목(T2)으로 변경한다.
계속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다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표시 장치(9)에 있어서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에러 정보 화면(520)의 표시 중에 선택 항목(T11)이 선택된 후에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즉, 도 10은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제 1 조작 스위치(931)가 눌린 후에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제 1 조작 스위치(931)가 눌리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의 출력이 정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의 출력이 정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1의 Yes),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에 제 1 경보 레벨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수신된 경보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에 제 1 경보 레벨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2의 Yes), 경보음 출력부(92)에 경보음을 출력시키고(스텝 S13),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스텝 S14). 제 3 컨트롤러(94)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의 출력이 정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1의 No),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키고(스텝 S14),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4)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에 제 1 경보 레벨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2의 No),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키고(스텝 S14),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경보 레벨이 제 1 경보 레벨이어도 제 2 경보 레벨이어도, 조작부(93)는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따라서, 에러의 종류에 상관없이,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도 1∼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형태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는 적절히 개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소 중 소정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추가해도 좋고, 또는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소 중 몇 개의 구성요소를 실시형태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갯수, 간격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에서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은 일례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 전이시키면,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의 출력 정지를 유지했지만,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3 컨트롤러(94)는 경보음을 출력시켜도 좋다.
또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는 백호였지만, 작업 기계(1)는 백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기계(1)는 경보음 출력부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기계이면 된다.
또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부(93)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제 1 조작 스위치(931)∼제 6 조작 스위치(936))를 포함했지만, 조작부(93)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93)는 터치 센서를 포함해도 좋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91)의 표시면에 중첩되어도 좋다. 또는, 조작부(93)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제 3 컨트롤러(94)가 실행했지만, 제 1 컨트롤러(11)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고, 제 1 컨트롤러(11)와 제 3 컨트롤러(94)가 협동해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 중 1개를 선택 항목(T2)으로 변경했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하기 위한 특정 영역(514)을 형성해도 좋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제 3 컨트롤러(94)로 경보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표시 장치(9)가 표시하는 홈 화면(51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홈 화면(510)은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특정 영역(514)을 갖는다.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 특정 영역(514)에 선택 항목은 표시되지 않는다. 제 3 컨트롤러(94)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면, 특정 영역(514)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킨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에 유용하다.
1: 작업 기계 9: 표시 장치
91: 표시부 92: 경보음 출력부
93: 조작부 94: 제 3 컨트롤러
510: 홈 화면 511: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
513: 제 2 통지 영역(에러 통지 영역)
520: 에러 정보 화면 521: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
522: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3: 제 2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4: 제 3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6: 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
610: 에러 통지 화상 620: 경보 마크 화상
620a: 제 1 경보 마크 화상 620b: 제 2 경보 마크 화상
700: 에러 정보 T2: 선택 항목
T11: 선택 항목 T12: 선택 항목

Claims (12)

  1.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와,
    상기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 2 화면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나타내는 제 1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 1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하면,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과, 상기 제 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화면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나타내는 제 2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상기 접수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의한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상기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상기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 및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이 상기 제 1 경보 레벨인 경우,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상기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상기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이 상기 제 2 경보 레벨인 경우, 상기 접수부가 상기 출력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에 상기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경보음의 출력의 정지를 유지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은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선택 항목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수부는 상기 선택 항목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 항목으로서 상기 제 1 지시에 대응하는 항목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에 대응하는 항목은 상기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마크 화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 및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은 상기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1 경보 마크 화상과, 상기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경보 마크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따라서,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상기 제 1 경보 마크 화상 또는 상기 제 2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 2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지시에 대응하는 항목을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화면에 상기 복수의 에러의 각각의 내용을 일람으로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러의 각각에는 복수의 경보 레벨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화면에 상기 복수의 에러의 내용을 상기 경보 레벨마다 통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러의 각각에는 복수의 경보 레벨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러의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상기 복수의 에러의 내용을 내림차순으로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에러의 내용을 표시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상기 구획 영역의 배경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경보 마크 화상을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경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KR1020237004914A 2020-08-11 2021-08-11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KR20230047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5800A JP2022032226A (ja) 2020-08-11 2020-08-11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JPJP-P-2020-135800 2020-08-11
PCT/JP2021/029595 WO2022034894A1 (ja) 2020-08-11 2021-08-11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121A true KR20230047121A (ko) 2023-04-06

Family

ID=8024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914A KR20230047121A (ko) 2020-08-11 2021-08-11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35258A1 (ko)
EP (1) EP4198209A1 (ko)
JP (1) JP2022032226A (ko)
KR (1) KR20230047121A (ko)
CN (1) CN116075614A (ko)
WO (1) WO20220348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6978A1 (ja) 2014-07-30 2016-0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並びに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355B2 (ja) * 1990-02-02 1998-03-30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機干渉防止装置
JP4488938B2 (ja) * 2005-03-16 2010-06-2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表示装置
JP2014026532A (ja) * 2012-07-27 2014-02-06 Mitsubishi Cable Ind Ltd 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6978A1 (ja) 2014-07-30 2016-0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並びに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32226A (ja) 2022-02-25
US20240035258A1 (en) 2024-02-01
CN116075614A (zh) 2023-05-05
WO2022034894A1 (ja) 2022-02-17
EP4198209A1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240B2 (en) Work vehicle, work vehicl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work vehicle display device, backhoe loader, backhoe load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ckhoe loader display device
US7228505B2 (en) Display device for working machine
KR101614673B1 (ko) 작업 차량
JP2005307483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EP3351692A1 (en) Shovel
KR20130103306A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US11680383B2 (en) Remote control system
JP4750067B2 (ja) 建設機械の非常停止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EP3666979B1 (en) Display device for a shovel, corresponding shovel and display method
US10202742B2 (en) Excavator
US20190249397A1 (en) Work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WO2018159742A1 (ja) ショベル
JP4355542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US20230304263A1 (en) Working Machine
JP4812613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5011150B2 (ja) 作業車両の表示装置
KR20230047121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US11821171B2 (en) Work machine
KR2023004739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JP2003180127A (ja) 作業機における表示装置
JP2005059773A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2000352078A (ja) 干渉防止機能付き建設機械
JP2023074758A (ja) 建設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