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395A -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395A
KR20230047395A KR1020237004916A KR20237004916A KR20230047395A KR 20230047395 A KR20230047395 A KR 20230047395A KR 1020237004916 A KR1020237004916 A KR 1020237004916A KR 20237004916 A KR20237004916 A KR 20237004916A KR 20230047395 A KR20230047395 A KR 2023004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alert
display area
warning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스즈키
다이스케 카와구치
카즈키 타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2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60K2360/115
    • B60K2360/171
    • B60K2360/178
    • B60K2360/188
    • B60K2360/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5Out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52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6Type of information
    • B60K2370/178Warnings
    • B60K35/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7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9)는 표시부(91)와, 접수부(92)와, 제어부(93)를 구비한다. 표시부(91)는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을 갖는 제 1 화면(510)을 표시한다. 접수부(92)는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T)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제어부(93)는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제어부(93)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시키면, 경보 마크 화상(620)을 선택하는 지시인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접수부(92)에 할당한다. 제어부(93)는 접수부(92)가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면, 표시부(91)에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 2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상 발생 시에, 기본 화면에 경고 로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표시 장치는 기본 화면에 경고 로고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면,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에는 경고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표시 장치는 커서가 경고 항목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로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면, 경고 일람 화면을 표시한다. 경고 일람 화면에는 경고 로고와, 경고 명칭이 표시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11-23148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표시 장치에서는 작업자는 기본 화면으로부터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고, 메뉴 화면으로부터 경고 일람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경고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번잡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번잡한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에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부와, 접수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 항목 표시 영역을 갖는 제 1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접수부는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상기 제어부는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을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면,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을 선택하는 지시인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상기 접수부에 할당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 2 화면을 표시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번잡한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에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에러 메시지 및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에러 메시지 및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에러 메시지 및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에러 메시지 및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에러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에러 정보 상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a)는 에러 메시지의 다른 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에러 메시지의 다른 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도 1∼도 12)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에 의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이 중복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우선, 도 1∼도 3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백호이다. 백호는 건설 기계의 일종이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기계 본체(2)와, 붐(3)과, 암(4)과, 버킷(5)과, 주행 장치(7)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는 붐용 액추에이터(30)와, 암용 액추에이터(40)와,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를 더 구비한다.
기계 본체(2)는 운전석(6)을 갖는다. 작업자는 운전석(6)에 앉아서 작업 기계(1)를 조종한다. 기계 본체(2)는 주행 장치(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기계 본체(2)는 주행 장치(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좋다. 기계 본체(2)에는 엔진(12)(도 3 참조), 연료 탱크, 배터리, 유압 계통, 및 작동 오일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 본체(2)에는 엔진(12)(도 3 참조), 연료 탱크, 배터리, 유압계통, 및 작동 오일 탱크를 수납하는 보닛이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6)은 보닛 위에 설치되어 있다.
붐(3)은 기계 본체(2)에 의해, 제 1 회전 지점(P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붐(3)의 기단부가 기계 본체(2)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제 1 회전 지점(支点)(P1)은 운전석(6)을 전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이하, 운전석(6)을 전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붐용 액추에이터(30)는 붐(3)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붐용 액추에이터(30)가 신축됨으로써, 제 1 회전 지점(P1)을 중심으로 붐(3)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붐용 액추에이터(30)로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붐용 액추에이터(3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붐용 액추에이터(3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붐용 액추에이터(3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암(4)은 붐(3)에 의해, 제 2 회전 지점(P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4)의 기단부가 붐(3)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지지되어 있다. 제 2 회전 지점(P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암용 액추에이터(40)는 암(4)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암용 액추에이터(40)가 신축됨으로써, 제 2 회전 지점(P2)을 중심으로 암(4)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암용 액추에이터(40)로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암용 액추에이터(4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암용 액추에이터(4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암용 액추에이터(4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버킷(5)은 어태치먼트의 일종이다. 버킷(5)은 암(4)에 의해 제 3 회전 지점(P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킷(5)은 암(4)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지지되어 있다. 제 3 회전 지점(P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이다.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는 버킷(5)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가 신축됨으로써, 제 3 회전 지점(P3)을 중심으로 버킷(5)이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로의 작동 오일의 공급과,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로부터의 작동 오일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를 신축시킨다. 따라서, 어태치먼트용 액추에이터(50)는 작동 오일에 의해 신축된다.
주행 장치(7)는 작업 기계(1)를 주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장치(7)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이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작업 기계(1)의 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6)의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작업 기계(1)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2)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는 조종부(8)와, 표시 장치(9)를 더 구비한다. 조종부(8) 및 표시 장치(9)는 기계 본체(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종부(8) 및 표시 장치(9)는 운전석(6)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8)는 작업자가 작업 기계(1)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각종 조작 부재는 붐 조작 레버(81)와, 암 조작 레버(82)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붐 조작 레버(81) 및 암 조작 레버(82)를 손으로 조작한다. 작업자는 붐 조작 레버(81)를 조작해서 붐(3)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암 조작 레버(82)를 조작해서 암(4)을 작동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9)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4∼도 8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홈 화면(510)을 표시한다. 또한, 도 9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한다. 또한, 도 10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9)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1∼도 3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의 구성을 더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1)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는 촬상 장치(10)와, 제 1 컨트롤러(11)와, 엔진(12)과, 제 2 컨트롤러(13)를 더 구비한다. 또한, 작업 기계(1)는 각종 센서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는 액셀 센서(101)와, 냉각 수온 센서(102)와,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를 구비한다. 또한, 조종부(8)는 액셀 볼륨(85)을 더 포함한다.
촬상 장치(10)는 작업 기계(1)의 주위 환경을 촬상해서 촬상 화상(G)(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0)는 운전석(6)의 후방을 촬상한다. 촬상 화상(G)은 표시 장치(9)에 의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의 조작의 금지가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컨트롤러(11)가 표시 장치(9)에 촬상 화상(G)의 표시를 지시한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러(11)는 엔진(12)이 키온된 상태로 작업 기계(1)의 조작을 금지하는 컷 오프 레버가 내려진 것을 검지하면, 표시 장치(9)에 촬상 화상(G)의 표시를 지시한다.
엔진(12)은 주행 장치(7)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 2 컨트롤러(13)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에 의거해서 엔진(12)을 제어한다.
제 2 컨트롤러(13)는, 예를 들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처리부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와 같은 각종 연산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된다. 또는, 처리부는 범용 연산기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부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억부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는 EEPROM(등록상표)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 2 컨트롤러(13)는, 예를 들면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구성된다.
작업자는 액셀 볼륨(85)을 손으로 조작한다. 액셀 볼륨(85)은 제 2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작업자가 액셀 볼륨(85)을 정역 회동 조작함으로써, 엔진(12)의 회전수가 증감한다.
액셀 센서(101)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된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에 의거해서, 엔진(12)으로의 연료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제어하는 커맨드를 제 2 컨트롤러(13)로 송신한다.
또한,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냉각 수온 센서(102)는 엔진(12) 내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는 작동 오일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와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업 기계(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예를 들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예를 들면 ECU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 표시 장치(9)로 경보 정보를 송신한다. 경보 정보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경보 정보는 에러명을 나타내는 정보와, 에러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와,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경보 정보는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에러명, 에러 코드, 경보 레벨, 및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은 작업 기계(1)에 있어서 발생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각 에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컨트롤러(11)는 송신부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컨트롤러(11)는 액셀 센서(101)에 의해 검출되는 액셀 볼륨(85)의 조작 위치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컨트롤러(11)는 냉각 수온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로 송신한다. 또한, 제 1 컨트롤러(11)는 작동 오일 온도 센서(103)에 의해 검출되는 작동 오일의 온도가 이상값(벗어남 값)을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 경보 정보를 표시 장치(9)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9)는 표시부(91)와, 조작부(92)와, 제 3 컨트롤러(93)를 갖는다.
표시부(9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91)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3)가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이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에러 통지 화상」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조작부(92)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서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작업자는 조작부(92)를 조작하여, 각종 지시를 제 3 컨트롤러(93)에 입력할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91)에 각종 화면을 표시시킨다. 제 3 컨트롤러(93)는, 예를 들면 각종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3 컨트롤러(93)는, 예를 들면 ECU에 의해 구성된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홈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낸다. 홈 화면(510)은 제 1 화면의 일례이다. 홈 화면(510)은, 예를 들면 연료 잔량 게이지, 냉각 수온 게이지, 및 작동 오일 온도 게이지를 표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91)는 홈 화면(510)을 표시한다. 홈 화면(510)은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과, 제 1 통지 영역(512)을 갖는다.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은 각종 선택 항목(T)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는 각종 선택 항목(T)을 나타내는 문자 화상(문자열 화상) 또는 마크가 표시된다. 마크는, 예를 들면 아이콘, 도형, 또는 그림 문자이다.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은 홈 화면(5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부(92)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조작 스위치는 하드 키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92)는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를 포함한다.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표시부(91)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T)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표시부(91)가 홈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에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T) 중에서, 대응하는 1개를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즉,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각각 대응하는 선택 항목(T)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각각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응하는 선택 항목(T)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92)는 접수부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선택 항목(T)은 선택 항목(T1)을 포함하고, 제 6 조작 스위치(926)에는 선택 항목(T1)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선택 항목(T1)은 제 1 통지 영역(512)에 표시하는 정보를 스위칭하기 위한 항목이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 6 조작 스위치(926)를 누를 때마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통지 영역(512)에 표시하는 정보를, 엔진(12)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부(92)가 하드 키(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목장갑 등의 보호구를 착용한 채 조작부(92)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는 각각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응하는 선택 항목(T)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의 각각과 각 선택 항목(T)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소망의 선택 항목(T)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홈 화면(510)은 제 2 통지 영역(513)을 더 갖는다. 제 2 통지 영역(513)은 홈 화면(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면, 도 5 등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2 통지 영역(513)에 표시시킨다. 즉,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면,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2 통지 영역(513)에 표시시킨다.
도 4는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표시부(91)에 표시되는 홈 화면(510)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2 통지 영역(513)에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2 통지 영역(513)을 「경보 표시 영역(51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5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5는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경보 표시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을 표시시킨다. 에러 통지 화상은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경보 표시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이 표시됨으로써,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에러 메시지(610)는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메시지(610)는 「에러 발생 중」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다. 에러 메시지(610)는 소정의 메시지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에러 메시지(610))이 표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경보 마크 화상(620)은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 화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경보 마크 화상(620)은 경보 레벨을 나타낸다. 마크 화상은, 예를 들면 아이콘, 도형, 또는 그림 문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과,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한다. 제 1 경보 레벨은 작업 기계(1)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에러에 대하여 설정된다. 제 2 경보 레벨은 작업 기계(1)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에러에 대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의한 작업을 속행해도 좋다. 제 2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이 설정되는 에러와 비교해서 우선도가 낮은 에러에 설정된다.
도 5는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 3 컨트롤러(93)는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적어도 하나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경보 표시 영역(513)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 표시됨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러 통지 화상은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의 화상을 포함한다.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을 경보 레벨에 따라서 결정한다. 환언하면,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을 경보 레벨에 따라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은 「적색」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으로부터,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은 표기 화상(621a)과, 도형 화상(622a)으로 이루어진다. 표기 화상(621a)은 도형 화상(622a)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형 화상(622a)의 윤곽 및 표기 화상(621a)은 백색이며, 도형 화상(622a)의 내측의 색(배경색)은 적색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기 화상(621a)은 「STOP」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다.
계속해서, 도 1∼도 5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킨다. 선택 항목(T2)은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홈 화면(510)으로부터,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전이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됨으로써, 조작부(92)는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하면, 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 중 1개에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선택 항목(T1) 대신에 선택 항목(T2)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 6 조작 스위치(926)에 대해,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3)는 선택 항목(T2)으로서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제 3 컨트롤러(93)는 제 6 조작 스위치(926)에 대하여, 경보 마크 화상(620)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이하, 경보 마크 화상(620)을 선택하는 지시를 「경보 마크 선택 지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경보 마크 화상(620)은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이다.
이와 같이, 선택 항목(T2)으로서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전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함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1 경보 레벨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6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6은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9)에 표시되는 홈 화면(510)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표시 영역(513)에,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이하,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 마크 화상(620)을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 표시 영역(513)에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에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 표시됨으로써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가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인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을 「황색」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으로부터,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3)는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선택 항목(T2)으로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을 표시시킴으로써, 작업 기계(1)에 제 2 경보 레벨의 에러만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은 표기 화상(621b)과, 도형 화상(622b)으로 이루어진다. 표기 화상(621b)은 도형 화상(622b)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형 화상(622b)의 윤곽 및 표기 화상(621b)은 백색이며, 도형 화상(622b)의 내측의 색(배경색)은 황색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기 화상(621b)은 엑스클라메이션 마크(exclamation mark)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경보 레벨에 따라서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 및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 또는 제 2 경보 마크 화상(620b)이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긴급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경보 레벨에 따라서,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긴급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3 컨트롤러(93)는 작업 기계(1)에 복수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우선도가 보다 높은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 및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보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에러와, 제 2 경보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에러가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경우, 제 3 컨트롤러(93)는 홈 화면(510)(경보 표시 영역(513) 및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제 1 경보 마크 화상(620a)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우선도(긴급성)가 높은 에러가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이 홈 화면(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경보 표시 영역(513)이 홈 화면(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료 잔량이나 냉각 수온, 작동 오일 온도 등의 작업 기계(1)의 상태량이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과 경보 표시 영역(513) 사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경보 표시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에러 메시지(610), 경보 마크 화상(620), 및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의 화상)이 표시되어도, 작업자는 연료잔량이나 냉각 수온, 작동 오일 온도 등의 작업 기계(1)의 상태량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8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7은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홈 화면(510)에 촬상 화상(G)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낸다. 촬상 화상(G)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며, 작업 기계(1)의 주위 환경(운전석(6)의 후방의 환경)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홈 화면(510)에 촬상 화상(G)을 중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화상(G)은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과 경보 표시 영역(513) 사이에 표시되어서, 연료 잔량 게이지, 냉각 수온 게이지, 및 작동 오일 온도 게이지 중 일부에 중첩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과 경보 표시 영역(513) 사이에 촬상 화상(G)이 표시되기 때문에, 경보 표시 영역(513)에 에러 통지 화상(에러 메시지(610), 경보 마크 화상(620), 및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의 화상)이 표시되어도, 작업자는 촬상 화상(G)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에러 메시지(610) 및 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홈 화면(510)에 확대 촬상 화상(GL)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작업자에게서의 지시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G)을 확대한 확대 촬상 화상(GL)을 표시시키는 경우가 있다.
홈 화면(510)에 확대 촬상 화상(GL)을 표시시키는 경우, 제 3 컨트롤러(93)는 에러 통지 화상(에러 메시지(610), 경보 마크 화상(620), 및 경보 표시 영역(513)의 배경색의 화상)을 확대 촬상 화상(GL)에 중첩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표시 장치(9)가 확대 촬상 화상(GL)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는 작업 기계(1)의 주위에 사람이 없는지 작업자가 확인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화상(G)(확대 촬상 화상(GL))의 상부의 영역은 중요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홈 화면(510)의 상부에 경보 표시 영역(513)이 배치된다. 따라서, 경보 표시 영역(513)은 확대 촬상 화상(GL)의 상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그 결과, 촬상 화상(G)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이 경보 표시 영역(513)에 의해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9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9는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2 화면의 일례이다.
제 3 컨트롤러(93)는 조작부(92)가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컨트롤러(93)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선택 항목(T2)(경보 마크 화상(620))이 선택되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즉,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경보 마크 화상(620))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제 6 조작 스위치(926)가 눌리면,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 화면(520)은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을 갖는다.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은 각종 선택 항목(T)(T11∼T14)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각종 선택 항목(T)(T11∼T14)을 나타내는 문자 화상(문자열 화상) 또는 마크가 표시된다.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선택 항목(T11)이 표시된다. 선택 항목(T11)은 홈 화면(510)으로 되돌아갈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21)에는 선택 항목(T11)을 선택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즉,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조작 스위치(921)에,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조작부(92)가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3)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제 1 조작 스위치(921)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3)는 표시부(91)에 홈 화면(510)을 표시시킨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를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92)가 홈 화면(510)으로의 전이의 지시를 접수하면, 제 3 컨트롤러(93)는 도 5∼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 홈 화면(510)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제 3 컨트롤러(93)는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 되돌릴 때에,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이 결과, 작업자는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홈 화면(510)으로 되돌린 후에, 다시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도 9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 정보(700)를 에러 정보 화면(520)에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700)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700)는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경보 마크 화상(620)을 나타낸다. 제 3 컨트롤러(93)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경보 마크 화상(620)을 관련지어서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내용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제 3 컨트롤러(93)는 작업 기계(1)에 복수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에러 정보 화면(520)에 에러 정보(700)를 일람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복수의 에러의 각각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5개의 에러 정보(700)가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제 1 에러 정보(710)∼제 5 에러 정보(750)가 표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에러 정보 화면(520)은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을 갖는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열된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에러 정보(710)∼제 5 에러 정보(750)를 각각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킨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710) 및 제 2 에러 정보(720)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고, 제 3 에러 정보(730)∼제 5 에러 정보(750)는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마다 통합하여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레벨이 동일한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710) 및 제 2 에러 정보(720)는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3 에러 정보(730)∼제 5 에러 정보(750)도 마찬가지로 에러의 발생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의 상단에 표시시킨다. 즉,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레벨이 높은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이 낮은 에러 정보(700)보다 상단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복수의 에러 정보(700)를 경보 레벨이 높은 에러 정보(700)로부터 내림차순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을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키는 에러 정보(700)가 나타내는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표시하는 영역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결정하고, 제 2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700)를 표시하는 영역의 배경색을 황색으로 결정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 및 제 2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3)의 배경색은 적색이 되고, 제 3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4)∼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은 황색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의 배경색을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에 표시시키는 에러 정보(700)가 나타내는 경보 레벨에 따라서 변경함으로써, 작업 기계(1)에 발생되고 있는 에러의 경보 레벨을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2)∼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526)은 구획 영역의 일례이다.
계속해서, 도 1∼도 9를 참조해서 표시 장치(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에러 정보 화면(520)에 커서(705)를 표시시킨다. 커서(705)는 에러 정보(700)를 지정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커서(705)에 의해 제 1 에러 정보(710)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선택 항목 표시 영역(521)에는 선택 항목(T12)∼선택 항목(T14)이 더 표시된다. 선택 항목(T12)은 커서(705)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13)은 커서(705)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선택 항목(T14)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시킬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3 조작 스위치(923)에는 선택 항목(T12)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3 조작 스위치(923)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3)는 커서(705)를 1단 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4 조작 스위치(924)에는 선택 항목(T13)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4 조작 스위치(924)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3)는 커서(705)를 1단 위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6 조작 스위치(926)에는 선택 항목(T14)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6 조작 스위치(926)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3)는 표시부(91)에 표시하는 화면을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부터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으로 전이시킨다. 상세하게는, 제 3 컨트롤러(93)는 제 6 조작 스위치(926)가 눌리면, 커서(705)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에러 정보(700)의 상세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부(91)에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해서 표시 장치(9)를 더 설명한다. 도 10은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컨트롤러(93)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시킨다.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은 경보 마크 화상(620)과, 에러 코드(701)와, 에러명(702)과, 상세 정보(703)를 표시한다. 상세 정보(703)는 에러에 대한 대처 방법을 나타낸다.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은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선택 항목 표시 영역(531)에는 선택 항목(T21)이 표시된다. 선택 항목(T21)은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돌아갈 때에 선택되는 항목이다.
표시부(91)가 에러 정보 상세 화면(53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조작 스위치(921)에는 선택 항목(T21)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1 조작 스위치(921)를 누르면, 제 3 컨트롤러(93)는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킨다.
이상,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자는 번잡한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에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하면, 제 3 컨트롤러(93)는 홈 화면(510)의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경보 마크 화상(620))을 표시시킨다. 선택 항목(T2)은 표시부(91)가 표시하는 화면을 홈 화면(510)으로부터 에러 정보 화면(520)으로 전이시키는 항목이다. 또한,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키면, 조작부(92)에 대해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선택 항목(T2)의 하방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에 선택 항목(T2)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할당한다. 따라서, 작업 기계(1)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조작부(92)를 1회 조작하는 것만으로, 표시부(91)에 에러 정보 화면(520)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번잡한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에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러 메시지(610)로서 「에러 발생 중」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을 예시했지만, 에러 메시지(610)는 「에러 발생 중」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을 참조하여, 에러 메시지(610)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1(a)은 에러 메시지(610)의 다른 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은 에러 메시지(610)의 다른 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메시지(610)는 「필터 재생」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어도 좋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메시지(610)는 「오버로드」를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이어도 좋다.
「필터 재생」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를 재생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전하는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는 DPF, 및 차압 센서를 더 구비한다. DPF는 엔진(12)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로부터 디젤 미립자를 포집하는 미립자 제거 필터이다. 차압 센서는 DPF 전후의 배기압의 차압을 측정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차압 센서의 측정값에 의거해서, DPF를 재생시키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PF 재생 처리는 DPF에 쌓인 그을음(디젤 미립자)을 연소시키는 처리이다.
「오버로드」는 붐(3)에 작용하고 있는 부하가 과부하인 것을 작업자에게 전하는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는 붐용 액추에이터(30)로 공급되는 작동 오일의 압력, 또는 붐용 액추에이터(3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한다. 제 1 컨트롤러(11)는 압력 센서의 측정값에 의거해서, 붐(3)에 작용하고 있는 부하가 과부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상, 도면(도 1∼도 11(b))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형태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는 적절히 개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소 중 소정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추가해도 좋고, 또는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소 중 몇 개의 구성요소를 실시형태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갯수, 간격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으로부터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은 일례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는 백호였지만, 작업 기계(1)는 백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기계(1)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기계이면 된다.
또한,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부(92)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제 1 조작 스위치(921)∼제 6 조작 스위치(926))를 포함했지만, 조작부(92)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92)는 터치 센서를 포함해도 좋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91)의 표시면에 중첩되어도 좋다. 또는, 조작부(92)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를 검출해서 경보 정보를 작성했지만, 제 2 컨트롤러(13)가 에러를 검출해서 경보 정보를 작성해도 좋고, 제 3 컨트롤러(93)가 에러를 검출해서 경보 정보를 작성해도 좋다.
또한,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는 1대의 촬상 장치(10)를 구비했지만, 작업 기계(1)는 복수대의 촬상 장치(10)를 구비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는 운전석(6)의 후방을 촬상하는 촬상장치에 추가하여, 운전석(6)의 좌측 후방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와, 운전석(6)의 우측 후방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일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홈 화면(510)은 경보 표시 영역(513)을 가졌지만, 경보 표시 영역(513)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도 1∼도 11(b)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T) 중 1개를 선택 항목(T2)으로 변경했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선택 항목(T2)을 표시하기 위한 특정 영역(514)을 형성해도 좋다.
이하, 도 12를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9)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제 3 컨트롤러(93)로 경보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표시 장치(9)가 표시하는 홈 화면(51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홈 화면(510)은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511)에 특정 영역(514)을 갖는다. 제 1 컨트롤러(11)가 에러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 특정 영역(514)에 선택 항목(T)은 표시되지 않는다. 제 3 컨트롤러(93)는 제 1 컨트롤러(11)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면, 특정 영역(514)에 선택 항목(T2)을 표시시킨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에 유용하다.
1: 작업 기계 9: 표시 장치
91: 표시부 92: 조작부
93: 제 3 컨트롤러 510: 홈 화면
511: 제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
513: 제 2 통지 영역(경보 표시 영역)
520: 에러 정보 화면 522: 제 1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3: 제 2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4: 제 3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5: 제 4 에러 정보 표시 영역 526: 제 5 에러 정보 표시 영역
610: 에러 메시지 620: 경보 마크 화상
620a: 제 1 경보 마크 화상 620b: 제 2 경보 마크 화상
700: 에러 정보 921: 제 1 조작 스위치
922: 제 2 조작 스위치 923: 제 3 조작 스위치
924: 제 4 조작 스위치 925: 제 5 조작 스위치
926: 제 6 조작 스위치 T: 선택 항목
T2: 선택 항목

Claims (13)

  1. 선택 항목 표시 영역을 갖는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항목을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을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면,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을 선택하는 지시인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기능을 상기 접수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경보 마크 선택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에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 2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은 경보 표시 영역을 더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경보 표시 영역에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따라서, 상기 경보 표시 영역의 배경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경보 표시 영역에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화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 및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은 상기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1 경보 마크 화상과, 상기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경보 마크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제 1 경보 마크 화상 또는 상기 제 2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항목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화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상기 선택 항목의 하방에 배치된 하드 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레벨은 제 1 경보 레벨과, 상기 제 1 경보 레벨과 비교해서 우선도가 낮은 제 2 경보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마크 화상은 상기 제 1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1 경보 마크 화상과, 상기 제 2 경보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경보 마크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경보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에러와, 상기 제 2 경보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경보 마크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에러가 발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화면에 상기 복수의 에러의 각각의 내용을 일람으로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화면에 상기 복수의 에러의 내용을 상기 경보 레벨마다 통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에러의 내용을 표시하는 구획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정보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보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경보 레벨에 의거해서, 상기 구획 영역의 배경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경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KR1020237004916A 2020-08-11 2021-08-11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KR20230047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5801 2020-08-11
JP2020135801A JP7399817B2 (ja) 2020-08-11 2020-08-11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PCT/JP2021/029594 WO2022034893A1 (ja) 2020-08-11 2021-08-11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395A true KR20230047395A (ko) 2023-04-07

Family

ID=8024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916A KR20230047395A (ko) 2020-08-11 2021-08-11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4266A1 (ko)
EP (1) EP4197839A1 (ko)
JP (2) JP7399817B2 (ko)
KR (1) KR20230047395A (ko)
CN (1) CN116096596A (ko)
WO (1) WO20220348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1488A (ja) 2010-04-26 2011-11-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847B2 (ja) 1999-05-20 2005-05-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05171527A (ja) 2003-12-08 2005-06-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6350499A (ja) 2005-06-14 2006-12-2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保守管理装置
JP2007224531A (ja) 2006-02-22 2007-09-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故障診断装置
WO2013047408A1 (ja) 2011-09-30 2013-04-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管理装置、及びショベル管理方法
JP2019113888A (ja) 2017-12-20 2019-07-11 澁谷工業株式会社 設備保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1488A (ja) 2010-04-26 2011-11-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96596A (zh) 2023-05-09
EP4197839A1 (en) 2023-06-21
JP7399817B2 (ja) 2023-12-18
JP2024019312A (ja) 2024-02-08
JP2022032227A (ja) 2022-02-25
US20230304266A1 (en) 2023-09-28
WO2022034893A1 (ja)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294B2 (ja) 作業用車両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及び同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100678532B1 (ko) 건설 기계의 진단 정보 제공 장치, 진단 정보 표시 시스템및 진단 정보 제공 방법
KR10113425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JP6072246B2 (ja) 建設機械の異常情報制御装置
JP536340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8847745B2 (en) Display system for working machine
US20140189585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 Machine
CN103492646A (zh) 作业车辆、作业车辆用显示装置、作业车辆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反铲式挖掘装载机、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以及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
JP2005113397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WO2021010258A1 (ja) 作業車両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車両の表示方法
JP2009202689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表示装置
KR101276718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2023004739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JP2006088971A (ja) 作業機の表示装置
KR20230047121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JP2011168960A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