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718B1 -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18B1
KR101276718B1 KR1020110045612A KR20110045612A KR101276718B1 KR 101276718 B1 KR101276718 B1 KR 101276718B1 KR 1020110045612 A KR1020110045612 A KR 1020110045612A KR 20110045612 A KR20110045612 A KR 20110045612A KR 101276718 B1 KR101276718 B1 KR 10127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ype
display
displayed
impor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602A (ko
Inventor
히데노부 츠카다
가즈히로 시바모리
게이이치로 나카무라
긴야 오다기리
유타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중요도를 알릴 수 있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인 카메라 화상(74a)과, 그 밖의 정보로서 발생시에만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2종 정보의 DPF 정보(74b)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DPF 정보(74b)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카메라 화상(74a)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면서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환할 수 없게 하여, DPF 정보(74b)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DISPLAY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 쇼벨 등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배치되어, 오퍼레이터에게 각종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한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쇼벨 등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는, 오퍼레이터가 건설 기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계기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계기류로는, 예를 들어, 냉각수의 수온계, 작동유의 유온계, 연료의 잔량계, 엔진의 회전수계 등이 있다. 또한, 그 밖에도, 건설 기계를 가동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아우어미터, 게이트 록 레버의 위치 정보 등도 적절히 표시된다.
최근, 상기와 같은 계기류에 나타내는 건설 기계에 관한 각종 정보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일괄적으로 표시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통상시(정상시)에는, 냉각수의 온도, 작동유의 유온, 연료의 잔량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데, 상시 표시하지 않는 종류의 정보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기구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발생이나 종류, 대처 방법 등의 정보(이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오퍼레이터에 통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예를 들어, 작업 기계의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작업 기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표시 마크를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작업 기계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 상의 각 표시 지점 중 특정한 표시 지점에 표시되어 있는 특정한 상태 표시 마크를 비표시 상태로 함과 함께, 당해 특정한 표시 지점에 작업 기계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1776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 기계의 상태를 상태 변화 표시 마크의 표시·비표시로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알아차리지 못하여 대처가 늦어져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표시하는 것만으로는, 그 표시 마크가 의미하는 정보의 중요도가 오퍼레이터에게 전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중요도를 알릴 수 있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시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는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그 밖의 정보로서 발생시에만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여 오퍼레이터가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1종 정보로 전환할 수 있게 하면서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환할 수 없게 하여, 제2종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긴급성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제1종 정보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제1종 정보로의 전환을 불가능하게 한 것으로 한다.
(3)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에서,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색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한다.
(4) 상기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제2종 정보에 관련되는 제3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에 따라 상기 제3종 정보가 표시됨과 함께, 상기 표시부의 표시가 상기 제2종 정보로부터 제1종 정보로 전환되어도, 제3종 정보의 표시를 계속하는 것으로 한다.
(5)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종 정보는, 적어도, 운전실 외부의 시야를 보조적으로 얻기 위해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카메라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화상과 상기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긴급성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유압 쇼벨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그 관련 구성과 함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종 정보가 발생한 경우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종 정보를 제1종 정보로 전환한 경우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유압 쇼벨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쇼벨(건설 기계)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2)와, 굴삭 작업 수단 등을 구비하는 프론트 작업기(3)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에는 좌우의 주행 모터(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이 주행 모터에 의해 크롤러가 회전 구동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한다. 상부 선회체(2)에는, 유압 쇼벨의 조작 장치나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5) 등이 배치된 운전실(4), 엔진 등의 원동기, 유압 펌프 및 선회 모터(도시 생략) 등이 구비되어 있고, 이 선회 모터에 의해 상부 선회체(2)가 하부 주행체(1)에 대해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선회된다. 프론트 작업기(3)는, 붐(3a), 아암(3b) 및 버킷(3c)으로 구성되어 있고, 붐(3a)은 붐 실린더(3d)에 의해 상하동되고, 아암(3b)은 아암 실린더(3e)에 의해 덤프 측(열리는 측) 또는 크라우드 측(그러모으는 측)으로 조작되며, 버킷(3c)은 버킷 실린더(3f)에 의해 덤프 측 또는 크라우드 측으로 조작된다. 또한, 상부 선회체(2)의 후방(프론트 작업기(3)와 반대 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실 외부의 시야(후방 시야)를 보조적으로 얻기 위한 카메라(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4)의 내부에는, 유압 쇼벨(건설 기계)에 관한 계기류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12) 등(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장치(8)의 시스템 구성과, 정보 기억 장치(15), 엔진 제어 장치(16), 및 유압 제어 장치(19)의 기능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표시 장치(8)의 표시부(7)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조작부(1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엔진 제어 장치(16)는, 엔진 동작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엔진 컨트롤 다이얼이나 엔진 회전 센서, 혹은 CAN 통신을 이용한 차체 네트워크(20) 등으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한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거버너를 제어하거나,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 이하, 간단히 DPF로 기재한다)에 설치된 각종 DPF 센서(1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 네트워크(20)에 DPF의 상태에 관한 정보(DPF 정보)를 출력한다. DPF는,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 이하, 간단히 PM으로 기재한다)을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PM을 포집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PM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DPF 센서(18)는, 예를 들어, DPF의 전후 차압을 검출함으로써 막힘 상태를 검출하는 차압 센서이다. 엔진 제어 장치(16)는, DPF 스위치(17)가 조작되면, 배기 가스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DPF의 PM을 강제적으로 연소 제거하여 포집 능력을 회복시킨다(DPF의 재생 처리). 엔진 제어 장치(16)로부터 차체 네트워크(20) 상으로 출력하는 DPF 정보의 하나로서, PM량이 어느 양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즉, DPF 센서(18)로부터의 값이 미리 결정한 기준 범위가 된 경우)에 있어서의 DPF의 재생 처리의 실행을 촉진시키는 정보가 있다. 이것에는, DPF의 재생 처리를 행하는 편이 좋다는 낮은 중요도의 DPF 정보와, DPF의 재생 처리를 행해야 한다는 높은 중요도의 DPF 정보가 있다. 중요도에는 긴급성 등의 요소도 포함된다. 또한, 차체 네트워크(20) 상에 출력되는 정보에는, 상기 DPF 정보와 같이,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PM의 퇴적량 등)의 정도의 차이에 따라 높은 중요도나 낮은 중요도 등 두 가지 이상의 중요도가 존재하는 정보나, 오버히트의 정보와 같이,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 자체가 매우 중요하여 높은 중요도만이 존재하는 정보 등이 있다. 이것은, 유압 제어 장치(19) 등, 엔진 제어 장치(16) 이외로부터 차체 네트워크(20) 상으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유압 제어 장치(19)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로부터 유압 쇼벨의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가동 상황 등의 정보를 차체 네트워크(20) 상에 출력한다.
정보 기억 장치(15)는, 차체 네트워크(20) 상에 각종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그 가동 정보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8)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와, 표시부(7)에 표시하는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부(10)와, 표시부(7)의 표시를 조작하는 조작부(12)와, 표시 장치(8)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등의 키 입력 장치(13)와, 표시 장치(8)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판정부(9)와, 제어·판정부(9)와 차체 네트워크(2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의 상태(예를 들어, 작업 모드, 각종 기능의 ON/OFF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와, 엔진 냉각수온을 나타내는 수온계(72)와,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 잔량계(73)와, 차체의 정보[예를 들어,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74a)(카메라 화상) 등]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 등이 필요에 따라 표시된다.
기억부(10)는, 각종 계기류에 관한 화상이나,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 정보 표시 에어리어(74) 등에 관한 화상 등, 표시부(7)에 표시하는 화상이 기억되어 있다.
조작부(12)는, 운전실(4) 내에 배치되어 있고, 표시 장치(8)에 대한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스위치(12a), 복귀 스위치(12b), 및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12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스위치(12a)는, 반면(盤面)에 대해 우방향(시계 회전 방향) 및 좌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회전식의 스위치로서의 기능과 누르고 있는 동안만 ON 동작하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로서의 기능의 양방의 기능을 갖는 로터리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복귀 스위치(12b) 및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12c)는, 누르고 있는 동안만 ON 동작하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다. 표시부(7)의 표시에 대해, 조작 스위치(12a)는 회전에 의해 선택하고 압하에 의해 결정하는 기능을, 복귀 스위치(12b)는 표시부(7)의 표시를 1 조작 전의 화면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12c)는 기본 화면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각각 갖고 있다.
제어·판정부(9)는, 통신부(14)를 통해 입력되는 차체 네트워크(20)로부터의 정보, 연료 잔량 센서나 냉각수온 센서 등의 센서(11)로부터의 정보,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 키 입력 장치(13)로부터의 입력 정보, 조작부(12)로부터의 조작 정보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기억부(10)로부터 대응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판독 표시부(7)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판정부(9)는 다음과 같은 표시 처리를 행한다. 즉, 미리 설정한 종류의 정보(예를 들어, DPF 정보 등 :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통상시에는, 상시 표시하는 종류의 정보(제1종 정보)로서, 수온계(72), 연료 잔량계(73),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에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차체의 정보(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등)를 표시하고,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의 차체의 정보로 바꾸어, 제2종 정보의 화상(74b)(뒤의 도 6 참조)을 표시함과 함께, 그 제2종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로서, 그 발생 및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제3종 정보)인 경고 로고(70)를 표시부(7) 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의 상세에 대해 도 5∼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도 7은, 표시 장치(8)의 표시부(7)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표시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통상시의 기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화면 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시의 기본 화면에서는, 상시 표시하는 종류의 정보인 제1종 정보만이 표시되어 있다. 즉, 통상시의 기본 화면에는 제1종 정보로서, 수온계(72), 연료 잔량계(73)와 함께,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에는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는 차체의 정보로서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74a)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12)를 조작함으로써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제2종 정보로서 DPF 정보가 발생한 경우의 기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화면 2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종 정보가 발생하면, 표시부(7)에 표시된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제2종 정보로 전환되고, 그 발생 및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인 제3종 정보가 표시된다. 도 6에서는, 표시부(7)에 제1종 정보로서 표시된, 수온계(72), 연료 잔량계(73),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에 표시된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된 차체의 정보(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등)의 일부로서,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된 카메라 화상(제1종 정보의 일부)이 DPF 정보(제2종 정보)로 전환되고, DPF 정보의 발생 및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경고 로고(70)(제3종 정보)가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제2종 정보를 제1종 정보로 전환한 경우의 기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화면 3으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종 정보가 낮은 중요도의 DPF 정보인 경우에는, 조작 장치(12)로 복귀 조작을 행함(예를 들어,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12c)를 누름)으로써,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되어 있던 DPF 정보(제2종 정보)가 카메라 화상(제1종 정보)으로 전환된다. 또한, 경고 로고(70)는,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중요도에 관계없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표시 처리의 상세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있어서, 제어·판정부(9)는, 먼저, 제1종 정보의 화상을 기억부(10)로부터 판독하여(단계 S10), 표시부(7)에 표시한다(화면 1 : 단계 S20). 계속해서, 표시 플래그를 OFF로 한다(단계 S30). 그 후,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40), 판정 결과가 NO이면, 표시 플래그를 OFF로 하여(단계 S50), 제1종 정보를 표시부(7)에 표시하고(화면 1, 3 : 단계 S60), 단계 S4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40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높은지 낮은지를 판정하고(단계 S41), 제2종 정보의 화상을 기억부(10)로부터 판독하여(단계 S47), 표시부(7)에 표시한다(화면 2 : 단계 S48). 단계 S41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표시 플래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42), 판정 결과가 YES이면 단계 S60으로 진행되고, 판정 결과가 NO이면 제2종 정보의 화상을 기억부(10)로부터 판독하여(단계 S43), 표시부(7)에 표시한다(화면 2 : 단계 S44). 그리고, 조작부(12)에 의해 복귀 조작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45), 판정 결과가 YES이면, 제2종 정보의 표시 후에 제1종 정보의 표시로 되돌아간 것을 나타내는 표시 플래그를 ON으로 하여(단계 S46), 단계 S60으로 진행되고, 판정 결과가 NO이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단계 S4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통상시의 기본 화면(화면 1)과 같이, 제1종 정보만이 표시되어 있고, 수온계(72), 연료 잔량계(73)와 함께, 상태 표시 에어리어(71, 75)에는 차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는 차체의 정보로서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74a)이 표시되어 있다(도 8의 단계 S10∼S60). 오퍼레이터는, 수온, 연료 잔량, 차체의 정보를 확인하면서,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의 화상(74a)에 의해,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한다. 또한, 조작부(12)를 조작함으로써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2. 낮은 중요도의 제2종 정보(DPF 정보)가 발생한 경우
낮은 중요도의 DPF 정보(제2종 정보)가 발생하면, 도 6에 나타내는 화면 2와 같이, DPF 정보의 발생 및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경고 로고(70)가 표시되고,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되어 있던 카메라 화상(74a)(제1종 정보)이 DPF 정보(제2종 정보)로 전환된다(도 8의 단계 S43, S44). 오퍼레이터는, 수온, 연료 잔량, 차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조작 장치(12)로 복귀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는 DPF 정보(제2종 정보)가 계속해서 표시되므로(도 8의 단계 S45→S40∼S44), 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12)로 복귀 조작을 행하면(예를 들어,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12c)를 누르면), 도 7에 나타내는 화면 3과 같이,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되어 있던 DPF 정보(제2종 정보)가 카메라 화상(74a)(제1종 정보)으로 전환된다(도 8의 단계 S45→S60).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의 화상(74a)으로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로고(70)는,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중요도에 관계없이 표시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DPF 스위치(17)를 조작하여 DPF의 재생 처리를 행하면, 제2종 정보가 정지되어,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되고, 이 경우에도,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3. 높은 중요도의 제2종 정보가 발생한 경우
높은 중요도의 DPF 정보(제2종 정보)가 발생하면, 도 6에 나타내는 화면 2와 같이, DPF 정보의 발생 및 내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경고 로고(70)가 표시되고, 정보 표시 에어리어(74)에 표시되어 있던 카메라 화상(74a)(제1종 정보)이 DPF 정보(제2종 정보)로 전환된다(도 8의 단계 S47, S48). 오퍼레이터는, 수온, 연료 잔량, 차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낮은 중요도의 경우와 달리, 조작 장치(12)로 복귀 조작을 행해도, 정보 표시 에어리어(74)로의 DPF 정보(제2종 정보)의 표시가 계속된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가 DPF 스위치(17)를 조작하여 DPF의 재생 처리를 행하면, 제2종 정보가 정지되어,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되고, 운전실 외부(후방)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종 정보가 낮은 중요도에서 높은 중요도로 변한 경우에는 높은 중요도의 제2종 정보가 발생한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고 로고(70)는, 제2종 정보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중요도에 관계없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특허문헌 1에 기재)에 있어서는, 작업 기계의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작업 기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표시 마크를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작업 기계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 상의 각 표시 지점 중 특정한 표시 지점에 표시되어 있는 특정한 상태 표시 마크를 비표시 상태로 함과 함께, 당해 특정한 표시 지점에 작업 기계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표시함으로써, 상시 표시하지 않는 종류의 정보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기구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발생이나 종류 등의 정보(이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오퍼레이터에 통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 기계의 상태를 상태 변화 표시 마크의 표시·비표시로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알아차리지 못하여 대처가 늦어져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상태 변화 표시 마크를 표시하는 것만으로는, 그 표시 마크가 의미하는 정보의 중요도의 유무가 오퍼레이터에게 전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인 카메라 화상과, 그 밖의 정보로서 발생시에만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2종 정보인 DPF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1종 정보로 전환할 수 있게 하면서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환할 수 없게 하여, 제2종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상시 표시하여 오퍼레이터가 확인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제1종 정보를 제2종 정보로 전환하고, 또한,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므로,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긴급성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2종 정보의 중요도의 차이에 따라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중요도의 차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새롭게 기억부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기억부의 기억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오퍼레이터에게 정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알아차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나타내는 상태에 대한 대처의 긴급성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1종 정보로 전환할 수 있게 하면서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환할 수 없게 하도록 표시 상태를 변경하게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요도의 차이에 따라 제2종 정보의 표시 상태로서 표시색을 바꾸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하부 주행체
2 상부 선회체
3 작업 프론트
4 운전실
5 운전석
6 카메라
7 표시부
8 표시 장치
9 제어·판정부
10 기억부
11 센서
12 조작부
12a 조작 스위치
12b 복귀 스위치
12c 기본 화면 복귀 스위치
13 키 입력 장치
14 통신부
15 정보 기억 장치
16 엔진 제어 장치
17 DPF 스위치
18 DPF 센서
19 유압 제어 장치
20 차체 네트워크
70 경고 로고
71, 75 상태 표시 에어리어
72 수온계
73 연료 잔량계
74 정보 표시 에어리어

Claims (5)

  1.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시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는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그 밖의 정보로서 발생시에만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제1종 정보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제1종 정보로의 전환을 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2.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시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1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시 표시하는 제1종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그 밖의 정보로서 발생시에만 표시하는 차체의 정보인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2종 정보의 중요도가 미리 결정한 기준보다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에서,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색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제2종 정보에 관련되는 제3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종 정보의 표시에 따라 상기 제3종 정보가 표시됨과 함께, 상기 표시부의 표시가 상기 제2종 정보로부터 제1종 정보로 전환되어도, 제3종 정보의 표시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정보는, 적어도, 운전실 외부의 시야를 보조적으로 얻기 위해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카메라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화상과 상기 제2종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5. 삭제
KR1020110045612A 2010-05-19 2011-05-16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1276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5607A JP5554630B2 (ja) 2010-05-19 2010-05-19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JP-P-2010-115607 201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602A KR20110127602A (ko) 2011-11-25
KR101276718B1 true KR101276718B1 (ko) 2013-06-19

Family

ID=4497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612A KR101276718B1 (ko) 2010-05-19 2011-05-16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54630B2 (ko)
KR (1) KR101276718B1 (ko)
CN (1) CN1022515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6710B2 (ja) 2015-12-25 2019-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JP6457961B2 (ja) * 2016-02-17 2019-01-2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
JP6677226B2 (ja) * 2017-08-22 2020-04-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のセンサ情報処理システム
JP7438999B2 (ja) * 2021-02-12 2024-02-2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3869A (ja) 2001-04-24 2002-11-08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この表示装置を利用した広告方法
KR20050044289A (ko) * 2003-11-07 2005-05-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030A (ja) * 1998-02-02 1999-08-10 Yazaki Corp 情報多重表示装置
JP5162782B2 (ja) * 2000-08-0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4707257B2 (ja) * 2001-05-02 2011-06-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3793425B2 (ja) * 2001-05-18 2006-07-0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5113397A (ja) * 2003-10-03 2005-04-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363267B2 (ja) * 2004-07-05 2009-11-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5054294B2 (ja) * 2005-08-05 2012-10-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用車両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及び同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2008225384A (ja) * 2007-03-15 2008-09-2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40973B2 (ja) * 2008-03-26 2011-08-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3869A (ja) 2001-04-24 2002-11-08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この表示装置を利用した広告方法
KR20050044289A (ko) * 2003-11-07 2005-05-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JP2005138751A (ja) *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51548B (zh) 2015-10-14
JP2011241631A (ja) 2011-12-01
CN102251548A (zh) 2011-11-23
KR20110127602A (ko) 2011-11-25
JP5554630B2 (ja)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665B2 (ja)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KR100678532B1 (ko) 건설 기계의 진단 정보 제공 장치, 진단 정보 표시 시스템및 진단 정보 제공 방법
KR101849250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시스템
KR101684820B1 (ko) 건설 기계의 이상 정보 제어 장치
JP536340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KR102092928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JP2005163370A (ja)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JP2005307483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7046241A (ja) 作業用車両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及び同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101276718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JP2005113397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16194237A (ja) 作業機械
JP2009202689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表示装置
KR2023004739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JP2020104810A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20104811A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7129391B2 (ja) 建設機械
KR20230144022A (ko)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용 표시 시스템,작업 기계,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표시 제어 프로그램
JP2020105882A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20104813A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