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288A -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288A
KR20230046288A KR1020230039914A KR20230039914A KR20230046288A KR 20230046288 A KR20230046288 A KR 20230046288A KR 1020230039914 A KR1020230039914 A KR 1020230039914A KR 20230039914 A KR20230039914 A KR 20230039914A KR 20230046288 A KR20230046288 A KR 2023004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touch
pattern unit
spacer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곽원규
김기욱
김동수
문중수
박현애
이지은
진창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288A/ko
Publication of KR2023004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복수의 화소영역들과 화소영역들 사이의 화소분리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복수의 화소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되, 화소전극, 화소전극 상의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의 대향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과, 화소분리영역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복수의 화소들 및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에 배치되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터치전극들 및 제1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전극부를 포함하며, 터치전극부는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 및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터치패턴 단위블록의 반복 배열로 이루어지고, 터치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들의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보다 작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반복 배열과 대응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활용되면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터치 기능을 적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기기는 표시 기능뿐만 아니라 표면에 접촉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기능을 위해 전극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터치전극들이 형성된 이후에는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실시될 수 있다. 불량 여부의 검사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미지 촬영시 터치전극의 아래에 배치된 구성들이 빛의 간섭을 일으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한 불량 검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포함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량 검사가 용이하며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화소영역들과 상기 화소영역들 사이의 화소분리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되,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 상의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의 대향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화소분리영역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에 배치되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1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부는,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 및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터치패턴 단위블록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들의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보다 작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적어도 제1화소, 제2화소 및 제3화소를 포함하는 화소패턴 단위블록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화소, 상기 제2화소 및 상기 제3화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상기 화소패턴 단위블록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K개(K는 자연수)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L개(L은 자연수) 배열된 것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상기 화소패턴 단위블록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M개(M은 자연수이고, 상기 K의 정수배임)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N개(N은 자연수이고, 상기 L의 정수배임) 배열된 것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패턴 단위블록에서, 상기 제3화소의 개수는 상기 제1화소의 개수와 상기 제2화소의 개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이웃한 제1화소와 제2화소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과 이웃한 제3화소들을 연결하는 제2가상선의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제3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페이서와 싱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 상의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의 대향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이웃하는 화소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상호 이격된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에 배치되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부는, 제1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터치패턴 단위블록의 반복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 보다 작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진,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그물 구조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들의 배선 또는 상기 제2터치전극들의 배선과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들의 배열은,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A×B(A 및 B는 자연수이고) 어레이에 따른 스페이서들의 배열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적어도 3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패턴 단위블록의 반복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상기 화소패턴 단위블록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K개(K는 자연수) 배열된 것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적어도 3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패턴 단위블록의 반복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상기 화소패턴 단위블록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M개(M은 자연수) 배열된 것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이웃한 제1화소와 제2화소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과 이웃한 제3화소들을 연결하는 제2가상선의 교차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1화소, 상기 제2화소 및 상기 제3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페이서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턴 단위블록 및 상기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터치전극 등의 불량 검사가 용이하며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부, 봉지부재 및 터치전극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화소패턴 단위블록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턴 단위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표시소자를 구비한 화소들이 배치되어,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에는, 표시영역(DA)의 화소들에 인가할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 및 구동전압 및 공통전압과 같은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선들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상에 표시영역(DA)을 형성하는 표시부(200)를 포함한다. 기판(100)은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표시부(200)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화소들을 포함하며,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봉지부재(300)로 커버될 수 있다.
봉지부재(300)는 표시부(200)를 사이에 두고 기판(1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표시부(2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봉지부재(300) 상에는 터치전극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는 도전성을 갖는 복수의 터치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전극부(400)는 정전 용량 방식일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는 터치전극부(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과 같은 물체가 접근 또는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또는 접촉이 있는 위치의 좌표를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광학적 기능층(500)은 터치전극부(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적 기능층(500)은 일 실시예로, 편광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층(500)은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층(500)은 윈도우 부재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부, 봉지부재 및 터치전극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표시부(200)가 배치되며, 표시부(200)는 각 화소마다 구비되는 유기발광소자(250R, 250B, 250G)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유기발광소자(250R, 250B, 250G)는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120) 및 반도체층의 일부영역(채널영역)과 중첩하는 게이트전극(140) 및 반도체층(120)에 연결된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은 실리콘과 같은 무기질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 또는 산화물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은 소스영역, 드레인영역과 이들 사이의 채널영역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하여 반도체층(120)을 형성하는 경우, 비정질 실리콘층을 기판(100) 상에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한 후 게이트전극(140)을 셀프얼라인 마스크로 이용하여 게이트전극(140)과 비중첩한 부분을 불순물을 도핑함으로써,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 및 그 사이의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14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0)과 기판(100) 사이에는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버퍼층(110)이 개재될 수 있으며, 반도체층(120)과 게이트전극(140) 사이에는 게이트절연층(130)이 개재될 수 있으며, 게이트전극(140) 상에는 층간절연층(150)이 배치된다. 버퍼층(110)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AlN), 티타늄옥사이드(TiO2)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TiN)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30)은 SiNx, SiOx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층간절연층(150)은 SiNx, SiOx, SiON 등의 물질의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은 층간절연층(15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 반도체층(120)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층(120)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각각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하부전극(142)과 상부전극(164)을 포함한다. 하부전극(142)은 전술한 게이트전극(14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부전극(164)은 소스전극(160)이나 드레인전극(16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평탄화 절연층(170)으로 커버될 수 있다. 평탄화 절연층(170)은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평탄화 절연층(170)은 일반 범용고분자(PMMA, PS),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의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평탄화 절연층(170)은 전술한 무기 절연물과 유기 절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 절연층(170) 상에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유기발광소자(250R, 250B, 250G)가 배치된다. 각 유기발광소자(250R, 250B, 250G)는 평탄화 절연층(170)에 정의된 콘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50R, 250B, 250G)는 각각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의 유기발광소자(250R)는 화소전극(210),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220R)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고,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화소에 해당한다. 청색의 유기발광소자(250B)는 화소전극(210),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220B)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며,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2화소에 해당한다. 녹색의 유기발광소자(250G)는 화소전극(210),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220G)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며,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3화소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내지 제3화소는 각각 적색, 청색, 및 녹색의 부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각 화소영역(PA)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반사전극일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의 반사막을 형성하고, 이 반사막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등으로 형성된 막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전극(210)은 ITO/Ag/ITO의 삼중막일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은 화소전극(210)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부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와 대향전극(23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단부)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은 폴리이미드(PI)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91)는 화소정의막(1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91)는 화소정의막(180)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91)는 화소영역(PA)들 사이의 화소분리영역(DPA)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91)는 후술할 유기발광층(220R, 220B, 220G)의 증착 공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를 지지하여, 마스크의 처짐에 의한 유기발광층(220R, 220B, 220G)의 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191)는 봉지부재(300, 예컨대 리지드한 봉지기판)에 외부의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100)과 봉지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봉지기판의 처짐 등에 의한 뉴턴링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스페이서(191)는 폴리이미드(PI)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소정의막(18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91)와 화소정의막(180)은 동일한 마스크 공정에서, 예컨대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는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적색의 유기발광층(220R)은 적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청색의 유기발광층(220B)은 청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녹색의 유기발광층(220G)은 녹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반)투명전극일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Ag, Mg, Al, Yb, Ca, Li, Au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된 층이거나,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물질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대향전극(230)은 Ag 및 Mg를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유기발광층(220R, 220B, 220G)이 화소전극(210)과 대향전극(23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직접 접촉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유기발광층(220R, 220B, 220G)의 아래에는 제1기능층이 배치되고, 위에는 제2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능층 및/또는 제2기능층 각각은 대향전극(230)과 같이 화소영역(PA) 및 화소분리영역(DPA)을 모두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능층은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및/또는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능층을 고분자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제1기능층은 홀 수송층(HTL)의 단층으로서, 폴리에틸렌 디히드록시티오펜(PEDOT: poly-(3,4)-ethylene-dihydroxy thiophene)이나 폴리아닐린(PANI: polyaniline)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기능층을 저분자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기능층은 홀 주입층(HIL)과 홀 수송층(HT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능층은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제2기능층은 반드시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기능층과 유기발광층(220R, 220B, 220G)을 고분자 물질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제2기능층을 형성하지 않고 생략할 수도 있다. 제1기능층과 유기발광층(220R)을 저분자 물질로 형성한 경우라면, 유기발광소자의 특성이 우수해지도록 하기 위해, 제2기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기능층은 제2기능층은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봉지부재(300)는 제1무기층(310), 제2무기층(330) 및 이들 사이의 유기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무기층(310, 330)은 SiOx, SiNx, SiON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층(3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제1무기층(310)과 대향전극(230) 사이에는 캐핑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부재(3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무기층(310), 유기층(320), 및 제2무기층(3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무기층과 유기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 적층 횟수는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부재(300)가 교번적으로 적층된 무기층과 유기층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 필름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봉지부재(300)는 리지드한 투광성의 봉지기판일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는 봉지부재(300) 상에 배치되어 터치 입력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터치전극부(400)의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전극부(400)는 제1방향으로 배열된 제1터치전극(410)들 및 제1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열된 제2터치전극(420)들을 포함한다.
제1터치전극(410)들 및 제2터치전극(420)들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터치전극(410)들은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모서리(corner)를 맞댄 채 나란하게 배열되며, 이러한 제1터치전극(410)들 사이에서 제2터치전극(420)들은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모서리를 맞댄 채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터치전극(410)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터치전극(420)들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전극(410)들은 제1연결라인(41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터치전극(420)들은 제2연결라인(42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들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한 제2터치전극(420)들을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422)은 제2터치전극(420)들과 동일 층 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터치전극(420)들과 제2연결라인(4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제1터치전극(410)들은 절연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제1터치전극(410)들 위에 배치된 제1연결라인(41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라인(412)은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CNT)을 통해 제1터치전극(410)들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 및 제1 및 제2연결라인(412, 422)은 ITO, IZO, ZnO와 같은 투광성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터치전극(410)들의 열(column)과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터치전극(420)들의 열(row)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라인(430, 44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라인(430, 440)을 통해 획득된 신호는 패드(45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 등을 포함하는 회로부(미도시)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410)들의 적어도 일부 및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420)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가상의 단위블록으로서,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의 배열 패턴의 최소 반복 단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터치전극부(400)의 불량 검사를 위한 이미지 촬영의 최소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의 불량은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영역별로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들을 비교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는데, 이 때 불량검사를 위한 이미지 촬영의 최소 단위가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할 수 있다.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사각형, 예컨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제1 및 제2방향으로의 길이가 5mm보다 작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터치전극부(400)가,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410)들의 일부들과 제2터치전극(420)들의 일부들을 포함하되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정사각형의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반복 배열로 형성되는 경우, 위치 검출이 비교적 빠른 응답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출 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 및 제2터치전극들의 배치, 스페이서들의 배치 및 화소들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화소패턴 단위블록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스페이서(191)들 및 제1 내지 제3화소(R, B, G)는 소정의 규칙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먼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스페이서(191)의 배열을 살펴본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스페이서(191)들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91)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가상의 단위블록으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스페이서(191)들의 배열패턴의 최소 반복 단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91)는,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내에서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하나의 스페이서(191)를 포함하되, 해당 스페이서(191)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일측 모서리와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스페이서(191)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화소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91)는 이웃하는 제1화소(R)와 제2화소(B)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VL1) 및 이웃하는 제3화소(G)들을 연결하는 제2가상선(VL2)의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가상의 단위블록으로서,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스페이서(191)들의 배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스페이서(191)를 갖는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A×B(A 및 B는 자연수)의 어레이로 배열된 것에 대응하는 경우,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스페이서(191)들의 배열 패턴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A×B의 어레이로 배열되었을 때의 스페이서(191)들의 배열 패턴과 대응된다. 본 명세서에서,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A×B의 어레이로 배열되었다고 함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제1방향으로 A개 배열되고 제2방향으로 B개 배열된 배트릭스 어레이를 의미한다.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이 정사각형이고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정사각형인 경우, 전술한 A와 B는 같은 값일 수 있다.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스페이서(191)들의 배열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 배열과 대응하지 않는다면,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각각의 스페이서(191)들의 배열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이웃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스페이서(191)들의 배열 패턴과, 이웃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한 스페이서(191)들의 배열패턴이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전극부(400, 도 2참조)의 불량 검사는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마다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하나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이루어지는데, 터치패턴 단위블록(UB1)마다 스페이서들의 배열패턴이 다르게 되면 스페이서들에 의한 간섭 무늬가 서로 달라져 이미지가 왜곡되므로, 터치전극부(400)의 불량 검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스페이서(191)들의 배열이 특정 위치에 구비된 스페이서(191)를 포함하는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인 배열과 대응하므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마다 스페이서(191)의 배열이 동일해지고 터치전극부의 불량 검사시 전술한 간섭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화소(R, B, G)의 배열을 살펴본다.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화소들, 예컨대 제1 내지 제3화소(R, B, G)들은 소정의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제1화소(R), 제2화소(B) 및 제3화소(G)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가상의 단위블록으로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구비된 화소들의 배열패턴의 최소 반복 단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제1 내지 제3화소(R, B, G)를 포함하되, 제1화소(R)와 제2화소(B)의 개수의 합은 제3화소(G)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2개의 제1화소(R), 2개의 제2화소(B) 및 4개의 제3화소(G)를 구비하는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화소(R, B, G)는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에서 특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화소(R)와 제2화소(B)는 어느 하나의 제3화소(G)를 중심점으로 하는 제1가상의 사각형(VSQ1)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소(R)는 제1가상의 사각형(VSQ1)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제3화소(G)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인 꼭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화소(B)는 제1가상의 사각형(VSQ1)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제3화소(G)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인 꼭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3화소(G)들은 제1가상사각형(VSQ1)의 어느 하나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화소(제1화소 또는 제2화소)를 중심점으로 하는 제2가상의 사각형(VSQ2)의 꼭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상사각형(VSQ1)과 제2가상사각형(VSQ2)은 크기가 동일한 정사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따르는 이웃한 제1화소(R)와 제2화소(B) 사이의 거리(최단거리)들은 서로 동일하며,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따르는 이웃한 제3화소(G)들 사이의 거리(최단거리)들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화소(R)와 제3화소(G) 사이의 최단거리(d1) 및 제2화소(B)와 제3화소(G) 사이의 최단거리(d2)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제1화소(R)와 제2화소(B) 사이의 최단거리(d3) 보다는 작을 수 있다.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터치패턴 단위블록(UB1)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가상의 단위블록으로서,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서,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크기(면적)는 M×N(M, N은 자연수)의 어레이로 배열된 화소패턴 단위블록(UB3)들의 집합의 크기(면적)와 대응할 수 있으며,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 패턴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이 M×N의 어레이로 배열되었을 때의 화소들의 배열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M과 N은 같은 수이거나 다른 수일 수 있음).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가상의 단위블록일 수 있다.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화소들의 배열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서,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크기(면적)는 K×L(K, L은 자연수)의 어레이로 배열된 화소패턴 단위블록(UB3)들의 집합의 크기(면적)과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 패턴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이 K×L(K, L은 자연수)의 어레이로 배열되었을 때의 화소들의 배열 패턴과 대응할 수 있다(K와 L은 같은 수이거나 다른 수일 수 있음). 도 6에는,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3×3 어레이와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191)들의 배치 관점에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 배열과 대응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예로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및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각각 정사각형인 경우에,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배열된 스페이서(191)들의 배열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예컨대, 15×15의 어레이, 20×20의 어레이 등으로 배열되었을 때의 스페이서(191)의 배열과 대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들의 배치 관점에서, 터치패턴 단위블록(UB1) 및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 배열과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서, 각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이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3×3 어레이와 대응되고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15×15 어레이와 대응하는 경우, 각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배열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이 45×45 어레이로 배열되었을 때의 화소의 배열과 대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 및 제2터치전극들의 배치, 스페이서들의 배치 및 화소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8의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복수의 스페이서, 예컨대 제1스페이서(191)와 제2스페이서(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191)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일측 모서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192)는 제1스페이서(191)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컨대, 제1스페이서(191)와 제2스페이서(192)는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가상선(VL3)을 따라 이격될 수 있으며, 제2스페이서(192)는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타측 모서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방향은 제1방향과 제2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서,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대각선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2스페이서(192)도 제1스페이서(191)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제1화소(R)와 제2화소(B)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VL1)과 이웃하는 제3화소(G)들을 연결하는 제2가상선(VL2)의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 및 제2터치전극들의 배치, 스페이서들의 배치 및 화소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9의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화소 배열은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 배열로 이루어지되, 도 9에서와 같이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2×2의 어레이와 대응할 수 있다.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에는 제1 및 제2스페이서(191, 192)가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스페이서(191, 192)가 제3방향을 따르는 제3가상선(VL3)을 따라 배치될 수 있음은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 및 제2터치전극들의 배치, 스페이서들의 배치 및 화소들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0의 터치패턴 단위블록(UB1)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은 터치전극 단위블록(UB1) 보다는 작지만 화소패턴 단위블록(UB3)과는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과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위 블록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턴 단위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의 제1터치전극(410)과 제2터치전극(420)이 교차하는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페이서들은 제1 내지 제3화소(R, B, G)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의 배치는 제3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 및 제2스페이서(191, 192)를 구비한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UB2)의 반복적인 배열에 해당하며, 화소들의 배치는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소패턴 단위블록(UB3)의 반복적인 배열에 해당한다.
제1터치전극(410)들은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제1연결라인(41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터치전극(420)들은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이웃한 제2터치전극(420)들 사이의 제2연결라인(21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라인(412)은 절연층을 사이에 개재한 채 제1터치전극(410)들 상에 배치되고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1터치전극(4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연결라인(422)은 제2터치전극(420)들과 동일 층 상에 배치되어 제2터치전극(4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 각각은, 제1 내지 제3화소(R, B, G)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은 서로 연결된 그물 구조로써, 제1 내지 제3화소(R, B, G)와는 중첩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은 ITO와 같은 투광성 전극으로 형성되지만 투과율이 100% 보다 작으므로, 제1 내지 제3화소(R, B, G)가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의 배선과 중첩하면, 제1 내지 제3화소(R, B, G)들에서 각각 방출된 적색, 청색, 및 녹색의 빛이 배선을 통과하면서 그 세기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 각각이 제1 내지 제3화소(R, B, G)와 대응하는 개구(OP)를 가지며, 1 내지 제3화소(R, B, G)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그물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에 의한 발광 효율 감소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연결라인(412, 422)도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연결라인(412, 422) 각각은, 제1 내지 제3화소(R, B, G)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그물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화소(R, B, G)을 노출하는 개구(OP)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 및 제1 및 제2연결라인(412, 422)이 제1 내지 제3화소(R, B, G)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배선 구조이므로, 배선과 제1 및 제2스페이서(191, 192)는 비화소영역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가요성을 갖는 표시장치로서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휘어지거나 돌돌 말리는 경우에, 제1 및 제2터치전극(410, 4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그물 구조를 가지므로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판
191, 192: 스페이서
200: 표시부
300: 봉지부재
400: 터치전극부
410; 제1터치전극
412; 제1연결라인
420: 제2터치전극
422: 제2연결라인
R, G, B: 제1 내지 제3화소
UB1: 터치패턴 단위블록
UB2: 스페이서패턴 단위블록
UB3: 화소패턴 단위블록

Claims (1)

  1. 복수의 화소들;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터치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2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 일부 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들을 갖는 메쉬라인들을 포함하고,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는 각각 상기 메쉬라인들의 교차지점에 위치하되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2스페이서 사이에는 제1색의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화소가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30039914A 2017-03-30 2023-03-27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046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14A KR20230046288A (ko) 2017-03-30 2023-03-27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60A KR102344877B1 (ko) 2017-03-30 2017-03-30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10187765A KR102516061B1 (ko) 2017-03-30 2021-12-24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30039914A KR20230046288A (ko) 2017-03-30 2023-03-27 유기발광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765A Division KR102516061B1 (ko) 2017-03-30 2021-12-24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288A true KR20230046288A (ko) 2023-04-05

Family

ID=636699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60A KR102344877B1 (ko) 2017-03-30 2017-03-30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10187765A KR102516061B1 (ko) 2017-03-30 2021-12-24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30039914A KR20230046288A (ko) 2017-03-30 2023-03-27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60A KR102344877B1 (ko) 2017-03-30 2017-03-30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10187765A KR102516061B1 (ko) 2017-03-30 2021-12-24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692942B2 (ko)
KR (3) KR102344877B1 (ko)
CN (2) CN1175969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77B1 (ko) 2017-03-30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82753A (ko) * 2018-12-31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02025A (ko) * 2019-02-20 2020-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08148A (ko) 2019-03-06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0578A (ko)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0618764B (zh) * 2019-08-30 2023-04-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20210027715A (ko) * 2019-09-02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610972B (zh) * 2019-09-19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384388B1 (ko) 2019-12-18 2022-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500433B2 (en) * 2020-01-14 2022-11-15 Au Optronics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12130698B (zh) * 2020-09-30 2022-09-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53756A (ko) 2020-10-22 2022-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542091A (zh) * 2020-12-02 2021-03-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20086764A (ko) 2020-12-16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909205A (zh) * 2021-02-03 2021-06-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30005014A (ko) * 2021-06-30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80269A1 (zh) * 2021-07-07 2023-01-12 北京极豪科技有限公司 生物信息识别模组及电子设备
US11983361B2 (en) * 2021-10-18 2024-05-14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100A (ja) * 1999-08-27 2001-03-3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タッチセンサ式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134652B2 (en) * 2008-01-16 2012-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ensor and spacer arrangement 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70591B1 (ko) 2008-08-04 2014-12-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트 장치
WO2012121064A1 (ja) 2011-03-08 2012-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抵抗膜式マルチタッチパネル及び抵抗膜式マルチタッチパネルに用いる電極シート
KR101535823B1 (ko) 2011-12-15 2015-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및 입체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41030B1 (ko) 2012-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37361B1 (ko) 2013-01-29 2019-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KR102030799B1 (ko) * 2013-03-11 2019-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JP5923456B2 (ja) * 2013-03-29 2016-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427593B1 (ko) 2013-04-26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64478B2 (en) 2013-08-26 2017-02-07 Apple Inc.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oxide-based thin-film transistors
JP6199667B2 (ja) * 2013-09-11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
KR20150067624A (ko) 2013-12-10 2015-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92384A (ko) * 2014-02-03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08778B2 (en) 2014-04-25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683742B1 (ko) 2014-04-25 2016-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58973B2 (en) * 2014-10-24 2018-05-01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panel-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4393021B (zh) 2014-11-28 2018-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透明触摸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160104804A (ko) * 2015-02-26 2016-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518576B2 (ja) * 2015-11-27 2019-05-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タッチ検出方法
JP6695711B2 (ja) * 2016-03-10 2020-05-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タッチ検出方法
KR102555409B1 (ko) * 2016-10-31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6842282B2 (ja) * 2016-11-29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KR102344877B1 (ko) 2017-03-30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9621B2 (en) 2023-12-19
CN108695364B (zh) 2023-12-22
US10692942B2 (en) 2020-06-23
CN108695364A (zh) 2018-10-23
US20240122027A1 (en) 2024-04-11
KR20180112165A (ko) 2018-10-12
US20180286925A1 (en) 2018-10-04
KR20220002825A (ko) 2022-01-07
CN117596989A (zh) 2024-02-23
KR102344877B1 (ko) 2021-12-30
US11404497B2 (en) 2022-08-02
US20200321404A1 (en) 2020-10-08
KR102516061B1 (ko) 2023-03-31
US20220384532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0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37245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2023020996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69919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009999B2 (en) Display device having opening and touch sensor
KR20160043577A (ko)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5012407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0228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77862A (ko) 표시 장치
KR20200094877A (ko) 표시장치
KR202101485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579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73702A1 (en) Display device
US20230103171A1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70462A (ko) 표시장치
US118189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11751447B2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61643A (ko) 표시 장치
US20230165083A1 (en) Display device
KR202300300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690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