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161A -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161A
KR20230045161A KR1020210127673A KR20210127673A KR20230045161A KR 20230045161 A KR20230045161 A KR 20230045161A KR 1020210127673 A KR1020210127673 A KR 1020210127673A KR 20210127673 A KR20210127673 A KR 20210127673A KR 20230045161 A KR20230045161 A KR 2023004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de block
tank structure
storage tank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기
이정인
조규홍
박준하
박세종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21012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161A/ko
Publication of KR2023004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측면블록을 계합시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블록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을 마감시키도록 상, 하마감블록으로 구성되는 저류셀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셀을 다수로 배열시키되, 다수의 측면블록 중 어느 하나가 면접촉되어 상호 받침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면블록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코어부의 타단에 구성되되,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안착부에 삽입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상호 계합에 의해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SELF-ASSEMBLY WATER TANK STRUCTURE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발전과 도시화에 맞물려 불투수 포장지면이 증대되면서, 호우 시에 빗물의 지반침투가 차단된 채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됨으로써 지하수가 감소하고, 집중호우 시 빗물이 저지대로 유입되어 수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지반에 침투하는 빗물의 양이 감소하면서 지하수가 고갈되고, 빗물의 하천 유입량이 줄어들어 수질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른 유출량 증가로 인해 호우 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투가 적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므로 유입 허용량 초과로 인한 홍수 방지용 저류 및 초기우수, 월류수, 상수를 저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근래에는 지중에 우수 저류조를 매설하여 땅의 보수(保水)기능과 유수(遊水)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지중 매설형 우수 저류조는 그 전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구축하거나, 상자형의 프리캐스트 박스 컬버트(precast Box Culvert)를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놓거나, 간격을 두고 늘어놓고 사이에 슬래브를 얹어 구축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형성된 프리캐스터의 경우 고중량체에 의해 운송량의 한계와 함께 시공작업시 작업자외에 별도의 특수운반용 장비를 필요로 한다는 시공의 불편성과, 특수운반용 장비의 추가에 따른 시공비의 상승, 및 고중량체로 인해 작업자 등의 실수 또는 기타의 이유로 중대한 과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914691호(2018. 12. 28. 공고) 대한민국 특허 제10-952605호(2010. 04. 16.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와 조립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측면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의 용이성과 경량화로 운반과 작업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측면블록을 계합시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블록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을 마감시키도록 상, 하마감블록으로 구성되는 저류셀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셀을 다수로 배열시키되, 다수의 측면블록 중 어느 하나가 면접촉되어 상호 받침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면블록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코어부의 타단에 구성되되,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안착부에 삽입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상호 계합에 의해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블록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양단 각각에 안착부와 삽입부를 대체하도록 교합부를 구성하여,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교합부가 상호 교합됨에 따라 벽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블록의 교합부가 삽입되어 저류셀의 형성과 함께 이웃하는 저류셀들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커플러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블록의 교합부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의 내측에 구성되어 유선형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액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원호와, 상기 절개면의 외측 끝단에 구성되는 외측원호와, 상기 절개면의 끝단에 구성되어 지지커플러블록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삽입단턱, 및 상기 외측원호와 삽입단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커플러블록에 상기 삽입단턱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커플러블록은 중앙하우징과, 상기 중앙하우징의 외주연이 등간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삽입단턱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간격유지대, 및 상기 간격유지대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지지커플러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단턱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류셀에 복수로 구성되는 측면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이웃하는 저류셀로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구는 순차상승방식으로 수용액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측면블록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저류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류셀 중에서 최초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구성되는 측면블록에 유입구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측면블록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저류셀 중 어느 하나의 저류셀에는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배수구가 구성되고; 상기 배수구가 구성된 저류셀의 내부에는 배수구로 수용액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유도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유도블록은 일단에 측면블록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지지되는 상단받침부가 구성되고, 타단이 바닥면에 밀착되되,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용액이 배수구로 유도되도록 지지하는 바닥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와 조립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측면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의 용이성과 경량화로 운반과 작업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을 이루는 저류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보인 일부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측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측면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류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측면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지커플러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측면블록과 배수유도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유도블록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블록(10)들을 상호 교합시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일정형상의 저류셀(1)을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저류셀(1)을 종, 횡배열과 함께 상, 하 적층 등을 통해 조립식으로 저류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운반의 용이성 및 공기(工期)를 단축한다.
상기 저류셀(1)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블록(10)과, 상기 측면블록(10)의 상, 하 각각에 구성되어 마감하는 상,하마감블록(20)(30)을 포함한다.
측면블록(10)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높이 세워져 테두리를 형성한다.
상기 측면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10)와, 안착부(120), 및 삽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110)는 벽면을 형성하여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코어부(110)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보강리브(112)가 형성됨에 따라, 재료의 절약으로 제조단가를 하락시키고, 경량화로 작업의 편리성 및 운송량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코어부(110)의 일단에 구성되어, 타방에 구성되는 측면블록(10)의 삽입부(130)가 안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이웃하는 측면블록(10)들 사이에 계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120)에는 타방의 측면블록(10)의 삽입부(130)가 삽입되도록 일정깊이의 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122)은 타방의 삽입부(130)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코어부(110)의 타단에 구성되어, 타방의 측면블록(10)에 형성된 안착부(120)가 삽입됨으로써, 이웃하는 측면블록(10)들이 계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30)는 타방의 안착부(120)에 형성된 안착홈(122)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일정길이의 삽입돌기(132)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블록(10)은 일정높이 예컨대, 1m 내외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 또는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측면블록(10)들의 상호 계합으로 저류셀(1)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저류셀(1)들을 종, 횡방향 배열과 함께, 경우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적층시켜 저류조의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저류셀(1)은 상호 면접촉으로 배열시킴에 따라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빗물 등에 의한 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저류셀(1)은 사각형상의 집합체인 격자구조, 육각형상의 집합체인 허니컴구조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측면블록(10)의 상호 계합되는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저류셀(1)을 구성하는 다수의 측면블록(10)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액이 타방의 저류셀(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구(116)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동구(116)는 상기 측면블록(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수용액이 일정높이의 수위에 도달하여야만 타방의 저류셀(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순차상승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저류셀(1)이 배열됨에 따라 형성된 저류조에서 최초 유입이 이루어지는 저류셀(1)에는 빗물 등이 최초로 유입됨을 지지하는 유입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4)는 저류셀(1)을 구성하는 다수의 측면블록(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블록(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순차상승방식으로 저류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구(114) 및 유동구(116)는 저류조의 사용목적이나 시공장소 또는 저류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상마감블록(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시공된 저류셀(1)의 측면블록(10)의 상단에 조립시켜 측면블록(10)의 상단에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시켜, 이물질에 의한 수용공간에 수용된 빗물 등의 수용액의 유동(流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마감블록(20)은 저류셀(1) 각각에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저류셀(1) 들을 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마감블록(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시공된 저류셀(1)의 측면블록(10)의 하단에 구성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액이 지면으로 흡수됨을 방지시켜 수용액에 의한 지면 약하를 방지함과 함께, 수용액의 임의 유출을 방지시켜 저류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저류셀(1)은 PVC, PP, PE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 사출 또는 압출방식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저류셀(1)은 100중량부의 합성수지에 대하여 10 ∼ 20중량부의 인장보강재를 첨가함에 따라 저류셀(1)에 대한 인장강도를 강화한다. 예컨대, 상기 인장보강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코이어 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측면블록(10)을 기준으로 코어부(110)의 일단에 구성된 안착부(120)에 타방의 측면블록(10)의 삽입부(130)를 삽입시켜 안착부(120)와 삽입부(130)의 상호 계합으로 이웃하는 측면블록(10)들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측면블록(10)들의 상호 계합을 통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측면블록(10)들에 의해 벽면이 형성되면, 상,하단 각각에 상,하마감블록(20)(30)을 구성함에 따라 내부가 밀폐된 저류셀(1)이 완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저류셀(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횡방향으로 배열시켜 격자구조를 가지는 저류조의 구조물이 구성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구조로 복수의 저류셀(1)이 구성되고, 최외곽에 구성된 저류셀(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저류셀(1)의 측면블록(10)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빗물 등이 최초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유입되는 빗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저류셀(1)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채우도록 하고, 측면블록(110)의 유동구(116) 높이까지 수용액이 채워지면 상기 유동구(116)를 통해 이웃하는 타방의 저류셀(1)로 수용액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순차상승식방식으로 저류시스템이 운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계속적인 빗물 등의 유입으로 저류조의 한계용량만큼 수용액의 수용이 이루어지면, 도 6과 같이, 저류조를 구성되는 다수의 저류셀(1)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앙 부분에 구성된 저류셀(1)에 구성된 배수구(2)를 통해 수용액이 외부로 배수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저류셀(1)은 복수의 측면블록(10)과 이들 측면블록(10) 사이를 연결시켜 이웃하는 저류셀(1)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커플러블록(40)을 포함한다.
측면블록(10)은 코어부(11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이웃하는 측면블록(10)들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교합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교합부(140)는 끝단에 이웃하는 측면블록(10)과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절개면(14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절개면(142)은 45°의 절개각도로 형성됨에 따라 이웃하는 측면블록(10)과의 밀착면적을 확대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합부(140)에는 절개면(142)의 내측에 유선형의 내측원호(144)가 형성됨에 따라 측면블록(10)의 상호 교합이 이루어질 때 내측면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액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합부(140)에는 절개면(142)의 외측에 유선형의 외측원호(146)가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한 제조방식으로 제조될 때 취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원활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교합부(140)에는 절개면(142)의 끝단에 형성되어, 지지커플러블록(4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삽입단턱(148)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턱(148)은 상기 절개면(142)의 끝단에 단턱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커플러블록(40)과 측면블록(10) 사이에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단턱(148)은 이웃하는 측면블록(10)이 절개면(142)을 통해 교합되면 화살촉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합부(140)에는 삽입단턱(148)과 외측원호(146) 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지지커블러블록(40)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삽입공간(149)을 포함한다.
지지커플러블록(40)은 측면블록(10)들의 교합부분에 구성되어, 복수의 측면블록(10)의 조립상태를 유지시켜 저류셀(1)을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저류셀(1) 사이에 고정력을 발휘하여, 저류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지지커플러블록(40)은 중앙에 구성되는 중앙하우징(410)과, 상기 중앙하우징(41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간격유지대(420), 및 상기 간격유지대(420)의 끝단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대(4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하우징(410)은 중앙에 구성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중앙하우징(4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일정크기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경량화 및 제조단가를 하락시키기 위한 통공(412)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대(420)는 상기 중앙하우징(41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하우징(410)의 오주연에 측면블록(10)의 교합부(140)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간격유지대(420)는 복수의 저류셀(1)이 조립체 형태에 맞춰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7과 같이, 격자형태의 집합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간격유지대(420)는 90° 등간격으로 4개소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430)는 상기 간격유지대(420)의 끝단에 구성되어, 중앙하우징(410)과 간격유지대(420) 사이에 측면블록(10)의 교합부(140)가 삽입되면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가지도록 지지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저류조에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구(2)가 형성된 저류셀(1)에 구성되어, 상기 배수구(2)로 수용액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유도블록(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유도블록(50)은 측면블록(10)의 일측에 지지되는 상단받침부(510)가 일단에 구성되고, 타단에 저류셀(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바닥받침부(5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받침부(510)와 바닥받침부(520) 사이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용액이 배수구(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상단받침부(510)는 측면블록(10)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저류셀(1)로 진입된 수용액이 배수유도블록(50)의 안내에 따라 배수구(2)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상단받침부(51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블록(10)의 일측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고정돌기(512)가 구성된다. 이 경우, 측면블록(10)에는 상기 고정돌기(512)가 삽입되어, 측면블록(10)과 상단받침부(510)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일정깊이의 고정홈(1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받침부(510)에는 고정돌기(510)가 측면블록(10)의 고정홈(150)에 삽입되면, 일단면이 상기 측면블록(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측면블록(10)에 대하여 배수유도블록(5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514)을 포함한다.
바닥받침부(520)는 저류셀(1)의 바닥면에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측면블록(10)과 저류셀(1)의 바닥 사이에 일정각도 형성된 배수유도블록(50)이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저류셀 2: 배수구
10: 측면블록 110: 코어부
112: 보강리브 120: 안착부
122: 안착홈 130: 삽입부
132: 삽입돌기 140: 교합부
142: 절개면 144: 내측원호
146: 외측원호 148: 삽입단턱
149: 삽입공간 150: 고정홈
20: 상마감블록 30: 하마감블록
40: 지지커플러블록 410: 중앙하우징
412: 통공 420: 간격유지대
430: 지지대 50: 배수유도블록
510: 상단받침부 512: 고정돌기
514: 지지단 520: 바닥받침부

Claims (6)

  1. 복수의 측면블록을 계합시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블록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을 마감시키도록 상, 하마감블록으로 구성되는 저류셀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셀을 다수로 배열시키되, 다수의 측면블록 중 어느 하나가 면접촉되어 상호 받침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면블록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코어부의 타단에 구성되되,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안착부에 삽입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상호 계합에 의해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블록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양단 각각에 안착부와 삽입부를 대체하도록 교합부를 구성하여, 이웃하는 측면블록의 교합부가 상호 교합됨에 따라 벽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블록의 교합부가 삽입되어 저류셀의 형성과 함께 이웃하는 저류셀들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커플러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블록의 교합부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의 내측에 구성되어 유선형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액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내측원호와, 상기 절개면의 외측 끝단에 구성되는 외측원호와, 상기 절개면의 끝단에 구성되어 지지커플러블록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삽입단턱, 및 상기 외측원호와 삽입단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커플러블록에 상기 삽입단턱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커플러블록은 중앙하우징과, 상기 중앙하우징의 외주연이 등간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삽입단턱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간격유지대, 및 상기 간격유지대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지지커플러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단턱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저류셀에 복수로 구성되는 측면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이웃하는 저류셀로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구는 순차상승방식으로 수용액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측면블록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저류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류셀 중에서 최초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구성되는 측면블록에 유입구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측면블록의 하단부에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저류셀 중 어느 하나의 저류셀에는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배수구가 구성되고;
    상기 배수구가 구성된 저류셀의 내부에는 배수구로 수용액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유도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블록은 일단에 측면블록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지지되는 상단받침부가 구성되고, 타단이 바닥면에 밀착되되,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용액이 배수구로 유도되도록 지지하는 바닥받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KR1020210127673A 2021-09-28 2021-09-28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KR20230045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73A KR20230045161A (ko) 2021-09-28 2021-09-28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73A KR20230045161A (ko) 2021-09-28 2021-09-28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61A true KR20230045161A (ko) 2023-04-04

Family

ID=8592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73A KR20230045161A (ko) 2021-09-28 2021-09-28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1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KR101914691B1 (ko) 2017-03-21 2018-12-28 성수복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05B1 (ko) 2009-09-09 2010-04-16 김병기 우수 저류조
KR101914691B1 (ko) 2017-03-21 2018-12-28 성수복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JP2000192516A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2110404B1 (ko)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63798B1 (ko)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EP1036638A1 (en) Concrete block, joint for the same, and structure of concrete blocks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20230045161A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KR101067046B1 (ko)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200616981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JP2012057442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US20020152708A1 (en) Concrete block, block joint and block structure
KR101167980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상판 구조
KR101261467B1 (ko) 우수 저류 및 침투조용 지지구조
KR101411989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JP6839438B2 (ja) 雨水浸透貯留槽の構築方法
KR101673823B1 (ko) 옹벽 시스템
KR101525778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