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778B1 -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778B1
KR101525778B1 KR1020140181731A KR20140181731A KR101525778B1 KR 101525778 B1 KR101525778 B1 KR 101525778B1 KR 1020140181731 A KR1020140181731 A KR 1020140181731A KR 20140181731 A KR20140181731 A KR 20140181731A KR 101525778 B1 KR101525778 B1 KR 10152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rainwat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신인
정영욱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8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블럭이 적층, 조립되어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A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블럭이 적층, 조립되어 완성되는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중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72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블록 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저면 저면판부의 네 모서리 기둥의 상단부분에 수평 들보가 설치되고, 전후좌우의 각 수평 들보 사이에 상면 개구부를 형성한 본체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면판부와 저면판의 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슬리브 벽부를 설치한 ㄷ자 형상의 주변부용블록과, 측면판부의 하단 부분에 저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상단 부분에 상면판부를 연결설치하여 모퉁이 벽부용 블록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용 블록군의 측면 개구부가 주변부용 블록으로 폐쇄되며, 수평 들보에 탑재된 뚜껑판으로 본체부 용 블록의 상면 개구부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 저류조는 각각의 블록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시간이 요구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위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 저류조는 나사부재를 통해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체부용 및 주변부용 블록이 각각 기둥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배열할 때 블록들의 기둥이 겹쳐서 불필요하게 두꺼운 기둥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통상 상부와 하부를 하나의 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지반이 불균형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공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에 사용되는 블록은 통상 시공현장에 맞게 별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화된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고, 제작된 블록보다 작거나 큰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주문하여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지진하중 등 횡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 및 상재하중 등 종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콘크리트의 재질에 직접 빗물이 저류됨에 따라 콘크리트 열화의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4-272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횡방향 및 종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는, 복수의 단위블럭이 적층, 조립되어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단위블럭의 각각 유로에는 끝단의 내주연에 보강링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단위블럭에는, 상기 일 유로의 중앙에 여과부가 착탈이 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여과부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는 여재틀과 상기 여재틀에 충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틀의 중앙부에는 상기 여과부가 삽입되는 일 유로에서는 상기 여재틀에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 유로의 중앙에서 타 유로의 내부로 펼쳐지면서 상기 여과부를 상기 단위블럭에 장착시키는 복수의 탄성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관부는 그 외주연에 친수성섬유가 와인딩 되어 부착된 표피층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표피층에는 와인딩 된 친수성섬유에 프라이머를 함침하여 입자성분말 또는 친수성 단섬유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입자성분말은 다공질의 광물입자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은 터파기 하는 단계(S10); 상기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S20단계에서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되, 중앙부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를 시공하고,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며,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는 한쌍의 유닛에 의해 단위블럭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위블럭으로 적층, 조립함으로써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범용성이 뛰어나 현장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위블럭의 내부에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므로 빗물 저장은 물론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이 유도되고, 중량이 경량화되어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위블럭을 형성하는 유닛은 4개의 축으로서 각각의 축은 곡면을 형성하는 개구에 의해 연결이 되어 상부하중에 대해 4개의 축으로 하중을 완화시키는 구조에 의해 구조적인 건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위블럭 또는 유닛에 보강링이 부착되도록 하여 유로의 직경부분에서 구조적인 부분을 보강하도록 하며, 보강링은 친수성섬유에 의한 와인딩 된 표피층 등이 형성되어 이질의 재질과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부착력 저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화, 구조적 건전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위블럭에 여과부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초기우수 등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중앙조립체를 시공하고, 중앙조립체를 버팀목으로 하여 외곽조립체를 시공하여 완성함으로써 시공경제, 시공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조립에 의해 단위블럭이 형성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럭에 보강링이 게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조립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강링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보강링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각각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여과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여과부가 관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이하, "빗물저류조"라함)는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1)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23)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22)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2)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11)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위블럭(10)이 종횡으로 적층, 조립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으로 우천시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유로관부(11)에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거나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닛(2)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1)가 4개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23)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22)가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4개의 기둥(23)은 각각 하방향 곡면을 형성하는 개구(21)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이렇게 4개의 기둥(23)이 직경이 좁아들도록 구성되되,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호 연결이 되도록 직경이 좁아들게 형성되어 상재하중에 대해 각각의 기둥(23)이 하중을 완화시켜 전달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한쌍의 유닛(2)이 각각 기둥(21)이 대향하도록 조립이 되어 단위블럭(10)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단위블럭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교하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단위블럭(10)에 있어 각각의 유로(11) 단부에 보강링(20)이 게재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이렇게 보강링(20)을 구성하는 이유는 유로(11)에 있어 피복두께가 가장 작아지는 단위블럭(10)의 상,하단과 유로(11)의 산,골부분이 하중에 대해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바, 상기 보강링(20)이 게재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링(20)은 유닛(2)의 제조시 프리캐스트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유닛(2) 간 조립후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링(20)은 재료면에서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무게비 강성이 뛰어나며, 자중이 가벼워 시공이 간편한 재생 플라스틱관 또는 강화 플라스틱관 등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링(2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에 표피층(28)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상기 보강링(20)을 열경화성수지 등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되, 그 외주연에 친수성섬유가 와인딩 된 표피층(28)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피층(28)을 구성하는 이유는 역학적인 측면에서 주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보강링(20)은 상기 친수성섬유를 고정시켜주면서 한 개의 침수성섬유가 끊어졌을 때 다른 섬유로 하중을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표피층(28)이 친수성섬유로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유닛(2)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수소결합을 통해 이질의 보강링(20)과 유닛(2)의 부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친수성섬유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폴리염화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피층(28)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한다.
도 6a에서는 상기 표피층(28)에 와인딩 된 친수성섬유에 프라이머(283)를 함침하여 입자성분말(281)이 부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친수성섬유의 와인딩으로 이루어진 표피층(28)에 입자성분말(281)이 부착되도록 하여 몸체부(30)와 물리적인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입자성분말(281)은 다공질의 광물입자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닛(2)과의 부착력에 더해 유닛(2)와 보강링(20)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유닛(2)과 보강링(20)이 이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열팽창계수가 다르므로 이렇게 입자성분말(281)에 의해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재질간 분리, 유닛(2)의 동결융행 방지 등의 기능이 발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공질의 광물질은 실리카, 송이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도 6b에서는 상기 표피층(28)에 와인딩 된 친수성섬유에 프라이머(283)를 함침하여 친수성 단섬유(282)가 부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피층(28)에 친수성 단섬유(282)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유닛(2)에 있어 보강링(20)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균열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친수성 단섬유(282)의 수소결합 및 물리적 돌출에 의한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유닛(2)과 보강링(20)의 부착력 강화에 의해 이질의 재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들뜸, 균열 등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1)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1)가 복수의 단위블럭(10)이 종횡으로 적층, 조립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각 단위블럭(10)간의 결합수단으로는 각 단위블럭(10)에 일체로 체결구를 형성하거나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장치 등 공지의 구성을 사용하면 무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일 예로 도 3에서는 유닛(2) 간 조립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는 유닛(2) 간을 상,하로 적층하여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조립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유닛(2)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공(24)이 형성되고, 각각 관통공(24)을 연통하도록 긴장재(25)를 삽입하여 정착구(26)에 의해 정착이 되도록 한다.
종횡방향으로 적층, 조립되어 빗물저류조를 구성하게 되는 복수의 단위블럭(10)은 내부의 유로(11)가 상호간에 연통되어 우천시 빗물이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은 물론 다방향으로 빗물이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지반으로 침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위블럭(10)들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마감재를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류조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에 따라 투수형시트를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빗물의 지반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차수형시트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투형과 상기 차수형을 병용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
우선 침투형의 경우 상기 단위블럭(10)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류조가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상기 투수형시트가 시공된다. 상기 빗물저류조의 상부에는 지상과 관통하는 점검구가 하나 이상 구성되며, 상기 점검구의 구성에 의해 사후적으로 상기 빗물저류조 내부를 점검하여 침전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는 로버트형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건물 등에 흐르는 빗물이 유입관을 통해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저류조의 최 외곽에 조립된 단위블럭(10)에 유로(11)를 통해 지반으로 빗물이 침출되어 빗물이 빗물저류조를 범람하여 홍수 등을 유발시킴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침투형은 골프장, 운동장 등 빗물의 저장보다는 빗물을 지반으로의 침출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저장형의 경우도 상기 단위블럭(10)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류조가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류조의 측면과 밑면에 상기 차수형시트가 시공되며,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외부로 투수형시트를 보호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형은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배수관이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유입관을 통해 빗물이 빗물저류조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빗물은 빗물저류조의 측면 및 밑면이 상기 차수형시트에 의해 감싸지므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지 않고, 다만, 상면에 침투형시트가 설치되므로 상면을 통해서만 상기 빗물저류조를 범람하는 빗물이 침출된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침출이 없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에 빗물의 압력이 작용하여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안,팍으로 보호용으로 상기 투수형시트을 설치하여 시트의 찢김 등에 의한 빗물의 침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은 배수관을 통해 다양한 목적에 사용토록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빗물은 식수, 방화용 등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형의 경우도 점검구를 통해 빗물저류조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상기 병용형은 상기 침투형과 상기 저장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여과부(60)를 도시하고 있는데, 빗물저류조(1)를 형성하고 있는 단위블럭(10)에 선택적으로 여과부(60)가 해당 단위블럭(1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빗물저류조(1)에서 초기 우수 등의 경우 여과부(60)가 장착된 단위블럭(10)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60)는 사용중 폐색된 경우 해당 단위블럭(10)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과부(60) 또는 여재(62)를 교체후 다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여과부(6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재틀(61), 여재(62) 및 탄성링(63)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여재틀(61)은 유로(11)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메쉬망으로 구성되어 내,외부가 연통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여재틀(61)에는 상부에 후크(65)가 형성되어 사용중 여재(62)에 폐색이 발생하는 경우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해당 여과부(60)를 단위블럭(10)으로부터 탈착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여재틀(61)은 높이가 각 유로(1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일 유로(11)에는 상,하단이 노출되도록 하고, 타 유로(11)들에는 측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시 수직축에 구성된 일 유로(11)에 여재틀(61)의 상,하단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타유로(11)들에 측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다방향에서 물의 유동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재틀(61)에는 상,하단에 상향경사구배가 형성된 플랜지(64)가 각각 구성되도록 하는 바, 상기 플랜지(64)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유로(11)에 각각 밀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로(11) 내부의 물이 반드시 여재(62)를 통과하도록 하며 여재틀(61)이 유로(11)에서 견고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여재(62)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여재틀(61)의 메쉬보다 직경이 커서 여재틀(61)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탄성링(63)은 상기 여과부(60)가 해당 단위블럭(10)에서 장착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여재틀(61)의 측면에 복수로 돌출되는 링형상의 구성에 해당한다.
도 7에서는 상기 탄성링(63)이 여재툴(61)의 측면에 4개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탄성링(63)은 여과부(60)의 장착시 상기 여과부(60)가 삽입되는 유로(11)에서는 상기 여재틀(61)에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유로(11)의 중앙에서 타 유로(11)의 내부로 펼쳐지면서 상기 여과부(60)를 상기 유로(11)에 장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탄성링(63)은 탄성재질에 기해 일 유로(11)에 장착시 여재틀(61)에 겹쳐지는 형상으로 삽입이 되도록 하며 여과부(61)가 일 유로(11) 중앙에 도달시 타 유로(11)로 각각의 탄성링(63)이 펼쳐지면서 여과부(60)가 일 유로(11) 중앙에 장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여재(62) 폐색시는 반대로 상기 여과부(60)를 빼냄에 따라 상기 탄성링(63)이 상기 여재틀(61)에 겹쳐지면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탄성링(63)은 상기 여재틀(61)과 예각(α)을 형성하도록 하여 탄성링(63)이 여재틀(61)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그 형상의 손상을 방지하여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탈착시 후크(65)에 각종 도구를 체결하여 탄성링(63)이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을 주면서 빼내는 경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하는 단계(S10); 상기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S20단계에서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되, 중앙부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를 시공하고,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며,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플로우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고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단계(S20)를 1,2차에 걸친 시공을 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는 바, 우선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1-1)를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굴착된 지반의 측부는 자연토사에 해당하여 중앙부는 토압에 대한 영향이 없는 바, 우선 상기 단위블럭(10)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1-1)를 시공한다.
그 다음으로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조립체(1-1)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3) 및 지보재(g)를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수직구 구조물(3)과 중앙조립체(1-1) 사이에만 지보재(g)를 설치하면 되므로 사용 지보재(g)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지보재(g)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지보재(g)의 직경을 작게 하여도 충분한 바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지보재(g)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해체가 용이하고, 시공안전면에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도 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조립체(1-1)와 수직구 구조물(3) 사이에 단위블럭(10)을 적층, 조립하여 외각조립체(1-2)를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다. 즉 중앙조립체(1-1)와 수직구 구조물(2) 사이에 외각조립체(1-2)를 시공하여 전체 빗물저류조(1)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에서부터 지보재(g)를 제거하면서 상기 단위블럭(10)을 적층, 조립하게 되는 바, 기 시공된 중앙조립체(1-1)에 의해서 상기 수직구 구조물(3)로부터의 토압이 지지되므로 전체 구조물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무리 시공을 하는 단계를 갖는 바, 본 단계에서는 수직구 구조물(3)을 제거하고, 전체 빗물저류조를 매립하여 시공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직구 구조물(3)과 완성된 빗물저류조(1) 사이에 모래 등 충진제를 충진한 후에 매립을 함으로써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빗물저류조 2 : 유닛
10 : 단위블럭 20 : 보강링

Claims (8)

  1. 복수의 단위블럭이 적층, 조립되어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럭에는
    상기 일 유로의 중앙에 여과부가 착탈이 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여과부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는 여재틀과 상기 여재틀에 충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틀의 중앙부에는 상기 여과부가 삽입되는 일 유로에서는 상기 여재틀에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 유로의 중앙에서 타 유로의 내부로 펼쳐지면서 상기 여과부를 상기 단위블럭에 장착시키는 복수의 탄성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의 각각 유로에는 끝단의 내주연에 보강링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은 그 외주연에 친수성섬유가 와인딩 되어 부착된 표피층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에는 와인딩 된 친수성섬유에 프라이머를 함침하여 입자성분말 또는 친수성 단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조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성분말은 다공질의 광물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7. 터파기 단계(S10);
    제 1항, 제2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되,
    중앙부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를 시공하고,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며,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여 조립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



KR1020140181731A 2014-12-16 2014-12-16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2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31A KR101525778B1 (ko) 2014-12-16 2014-12-16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31A KR101525778B1 (ko) 2014-12-16 2014-12-16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778B1 true KR101525778B1 (ko) 2015-06-05

Family

ID=5350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31A KR101525778B1 (ko) 2014-12-16 2014-12-16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3159A (zh) * 2020-10-30 2021-02-09 深圳市新绿园林工程有限公司 环保型市政窨井排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755U (ko) * 1994-05-31 1995-12-18 대광콘크리트 주식회사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101052857B1 (ko) * 2010-11-25 2011-07-29 산수산업 (주) 우수 저류조용 블록과 우수 저류조 및 우수 저류조용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KR101141308B1 (ko) * 2011-06-30 2012-07-11 이상우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40022703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삼축방향 튜브형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755U (ko) * 1994-05-31 1995-12-18 대광콘크리트 주식회사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101052857B1 (ko) * 2010-11-25 2011-07-29 산수산업 (주) 우수 저류조용 블록과 우수 저류조 및 우수 저류조용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KR101141308B1 (ko) * 2011-06-30 2012-07-11 이상우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40022703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삼축방향 튜브형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3159A (zh) * 2020-10-30 2021-02-09 深圳市新绿园林工程有限公司 环保型市政窨井排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758B (zh) 用於管理地表面下方水流之模組及總成
JP3802027B2 (ja) 複合型雨水一時貯留槽
JP5117932B2 (ja) 地下貯溜浸透槽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663798B1 (ko)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1525778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4517207B2 (ja) 雨水等の貯留浸透用構築物
JP4993502B2 (ja) 雨水貯留システムおよびドレンユニット
JP2004052243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2011006857A (ja) 排水を一時的に貯留するとともに地下浸透させるための構築物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200403791Y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JP2007063977A (ja) 新設,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装置
KR101411989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857595B1 (ko)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KR101167980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상판 구조
JP2005179919A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JP3556784B2 (ja)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KR101589968B1 (ko) 단위블럭을 이용한 lid 구조물
KR20140022703A (ko) 삼축방향 튜브형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