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583A - 가동형 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동형 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583A
KR20230040583A KR1020210123900A KR20210123900A KR20230040583A KR 20230040583 A KR20230040583 A KR 20230040583A KR 1020210123900 A KR1020210123900 A KR 1020210123900A KR 20210123900 A KR20210123900 A KR 20210123900A KR 20230040583 A KR20230040583 A KR 2023004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ent
fixing
movable
bo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976B1 (ko
Inventor
임대운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1012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부가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동부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가해지는 응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변형부 및 탄성안내부를 구비하므로, 가동하우징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 하고 가동 스트레스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동형 보드 커넥터{Connector for Movable Board}
본 발명은 가동형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부가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동부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가해지는 응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램프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조명장치로서,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야간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최근 들어 단순히 야간에 빛을 비추는 것뿐만 아니라, 주행 환경과 도로의 곡률, 기후 조건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해 주는 AFLS(Adaptive Front Light System) 등과 같은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10)는 차량에 설치된 와이어(20)와 결합되며 와이어(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고정부(12)와, 고정부(12)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부(14)의 일측에 차량의 헤드램프(미도시)가 결합되고, 가동부(14)의 하측에 보드(30)가 결합된다. 보드(30)는 가동부(14)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부(12)와 가동부(14) 내부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미도시)가 내입되어 있으며, 커넥터는 고정부(12)의 전원을 헤드램프로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헤드램프의 각도 변경을 위하여 가동부(14)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부(12)는 가동부(14)에 체결, 고정되어, 가동시 가동 스트레스(Stress)를 유연성을 갖는 와이어(20)가 흡수하는 구조로 고정부(12)에 와이어(20)가 연결된 절압 단자를 수작업으로 조립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압 단자가 조립된 고정부(12)를 다시 한번 수작업으로 가동부(14)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비용 상승 및 조립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1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부가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동부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가해지는 응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가동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가동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갖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가동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부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가동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자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고정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상측과 하측은 상호 마주보도록 밴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양 단부는 밴딩된 상태로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마주보도록 밴딩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돌출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및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 사이의 외부공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의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지지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휘어진 한 개 이상의 제 1 절곡부와 한 개 이상의 제 2 절곡부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 1 절곡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는 밴딩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절곡부는 상기 제 1 절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탄성지지부와 가까워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내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 사이에 외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외부공간부의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부공간부의 타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의 하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하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제 2 볼록부의 상측에 상기 내부공간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볼록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외측 사이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볼록부의 상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상측 사이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연장부와, 상기 내부공간부를 향하는 상기 제 1 절곡연장부의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와 연결되는 제 2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2 볼록부는 각각 상기 외부공간부의 상측, 상기 외부공간부의 외측 및 상기 외부공간부의 하측 방향으로 입체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돌출부는 상기 제 2 탄성돌출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동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탄성부가 수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가동하우징의 오목부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고정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삽입홀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고정리브의 직경은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동하우징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 핀블록이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핀블록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단자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제 1 고정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의 상측에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지지부와, 상기 삽입판의 하측에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와 상기 제 2 절곡지지부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 2 절곡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삽입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절곡지지부의 외측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부는 탄성을 가지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성변형부 및 탄성안내부를 구비하므로, 가동하우징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 하고 가동 스트레스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변형부는 좌우 이동에 의한 응력을 해소하고, 탄성안내부는 상하 이동에 의한 응력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탄성안내부가 밴딩 가공되므로, 탄성변형부로 가해지는 응력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변형부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변형부는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구비하므로, 제 1, 2 절곡부부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가동하우징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 사이에 밴딩부가 구비되므로, 탄성변형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밴딩부가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변형부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변형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 및 제 2 라운드부를 구비하므로, 제 1 라운드부 및 제 2 라운드부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가동하우징에 의한 응력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체 형태로 밴딩된 제 1, 2 볼록부가 제 1, 2 라운드부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므로, 탄성변형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일정 부분 지지할 수 있어, 탄성변형부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하우징은 고정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간격만큼만 이동 가능하므로, 가동하우징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처럼 가동하우징의 이동 반경이 제한되면, 터미널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과 핀블록 간의 조립 과정에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하우징의 위치가 정 위치로 정렬된 후, 핀블록의 핀이 터미널의 삽입단자에 정확하게 삽입되므로, 조립 오차가 방지되고, 조립 불량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의 가이드돌기가 핀블록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핀블록의 핀이 터미널의 삽입단자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자동화가 가능하여, 조립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핀블록의 핀이 터미널의 삽입단자에 삽입되면, 핀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가 각각 맞닿은 상태로 가압하게 되어, 핀과 제 1, 2 접촉부는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접촉부는 커버부 및 삽입판 내부에 안전하게 위치되므로 외부 자극에 의한 영구 변형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의 하측이 가동하우징의 하측보다 상부에 위치되므로, 고정하우징과 가동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위치 보정을 통한 조립 및 매칭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가이드돌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이 고정하우징 및 가동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1000)는 차량의 부품, 예를 들면 차량의 헤드램프(미도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하우징(100), 가동하우징(200) 및 터미널(300)을 포함한다.
고정하우징(10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차량에 고정 설치된 핀블록(400)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가동하우징(2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하우징(100)의 일단부에는 핀블록(400)의 핀(410: 도 7 도시)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핀삽입부(130)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핀삽입부(130)는 후술하는 삽입단자(340)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가동하우징(20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하우징(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가동하우징(200)은 고정하우징(100)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가동하우징(200)의 하부는 고정하우징(100)의 하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200)의 내부는 터미널(300)의 후술하는 탄성부(350)가 수용된 상태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빈 공간의 수용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수용공간부(210)는 보드(30) 방향 및 고정하우징(210)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동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100)은 예를 들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 가동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100)의 상부 경계 부위(C)의 양측은 브릿지부(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브릿지부(B)는 가동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100)의 내부에 터미널(300)이 결합된 이후 컷팅되어, 가동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100)은 상호 분리된다. 이때, 가동하우징(200)과 고정하우징(100)은 여전히 터미널(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하우징(200)의 일측은 고정하우징(100)의 타단부가 삽입 위치 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하우징(100)의 일단부 양측에는 오목부(22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홀(230)에 삽입되도록 고정리브(1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리브(110)의 직경은 삽입홀(2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200)의 타측에는 오목하게 결합안내부(240)가 형성되고, 결합안내부(240)에 결합부(25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200)의 하측에 보드(30)가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250)의 일측은 결합안내부(240)에 결합되고 결합부(250)의 타측은 보드(30)에 납땜 결합된다.
터미널(300)은 수용공간부(210)에 복수 개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터미널(300)의 일측은 가동하우징(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하우징(100)에 결합된다. 터미널(300)의 세부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리브(110)의 직경은 삽입홀(2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하우징(200)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될 때, 삽입홀(230)의 내주연과 고정리브(110)의 외주연 사이의 간격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이처럼 가동하우징(200)은 고정리브(110)와 삽입홀(230) 사이의 간격만큼만 이동 가능하므로, 가동하우징(2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처럼 가동하우징(200)의 이동 반경이 제한되면, 터미널(300)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가이드돌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동하우징(2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고정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0)가 돌출 형성되고, 핀블록(400)에는 가이드돌기(12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402)이 형성된다. 핀블록(40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핀(410)이 삽입되어 있다. 핀(410)은 핀블록(4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하우징(100)의 일측에 핀블록(400)이 결합될 때, 가이드돌기(120)가 핀블록(400)의 가이드홈(402)에 삽입된 후, 핀블록(400)의 핀(410)이 터미널(300)의 삽입단자(340)에 삽입되어, 핀(410)과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처럼 고정하우징(100)과 핀블록(400) 간의 조립 과정에서, 가이드돌기(120)가 가이드홈(402)에 삽입되어 고정하우징(100)의 위치가 정 위치로 정렬된 후, 핀블록(400)의 핀(410)이 터미널(300)의 삽입단자(340)에 정확하게 삽입되므로, 조립 오차가 방지되고, 조립 불량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100)의 가이드돌기(120)가 핀블록(400)의 가이드홈(402)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로 핀블록(400)의 핀(410)이 터미널(300)의 삽입단자(34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자동화가 가능하여, 조립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이 고정하우징 및 가동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동하우징(200)의 전측에 오목부(220)가 형성되고, 가동하우징(200)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하측에 수용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수용공간부(210)는 오목부(220)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전측 또는 전방 또는 전단이라 함은 가이드돌기(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고, 후측 또는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함은 가이드돌기(120)와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터미널(300)은 제 1 고정부(310), 제 2 고정부(330), 탄성부(350), 돌출단자(320) 및 삽입단자(34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310)는 가동하우징(200)의 후측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고정부(330)는 고정하우징(100)의 후측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350)는 수용공간부(210)에 위치되어 제 1 고정부(310)의 일측과 제 2 고정부(330)의 일측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부(350)는 가동하우징(200)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터미널(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서 데미지(Demage)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세부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돌출단자(320)는 탄성부(35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고정부(310)의 타측에 가동하우징(20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돌출단자(320)는 보드(30)에 납땜 결합될 수 있다. 삽입단자(340)는 제 2 고정부(330)의 타측에 고정하우징(100)의 전측 방향 즉, 핀삽입부(130)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핀블록(400)의 핀(410)이 핀삽입부(130)를 통하여 터미널(300)의 삽입단자(340)에 삽입되고, 돌출단자(320)에 헤드램프가 결합되면, 핀블록(400)의 전원이 터미널(300)을 통하여 헤드램프로 전달된다.
한편, 삽입단자(34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제 2 고정부(330)의 타측에 제 1 고정부(310)의 반대 방향 즉,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판(342)과, 삽입판(342)의 상측에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지지부(344a)와, 삽입판(342)의 하측에 제 1 절곡지지부(344a)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지지부(344b)와, 제 2 고정부(33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1 절곡지지부(344a)의 일측에 제 1 절곡지지부(344a)와 제 2 절곡지지부(344b)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접촉부(346a)와, 제 2 고정부(33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절곡지지부(344b)의 일측에 제 1 접촉부(346a)와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접촉부(346b)와, 삽입판(34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절곡지지부(344a)의 외측과 제 2 절곡지지부(344b)의 외측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부(34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접촉부(346a)는 탄성을 가지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2 접촉부(346b)는 탄성을 가지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핀블록(400)의 핀(410)이 터미널(300)의 삽입단자(340)에 삽입되면, 핀(410)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접촉부(346a)와 제 2 접촉부(346b)가 각각 맞닿은 상태로 가압하게 되어, 핀(410)과 제 1, 2 접촉부(346a, 346b)는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접촉부(346a, 346b)는 커버부(348) 및 삽입판(342) 내부에 안전하게 위치되므로 외부 자극에 의한 영구 변형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제 1 고정부(310)와 제 2 고정부(33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350)를 포함한다. 탄성부(350)는 제 1 고정부(310)의 전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351)와, 제 1 탄성돌출부(351)의 전단부에서 제 1 고정부(3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352)와, 탄성지지부(352)의 상단에서 탄성지지부(35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탄성안내부(353)와, 제 2 탄성돌출부(354)의 후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탄성돌출부(354)와, 제 2 탄성돌출부(354)의 단부에서 제 1 탄성돌출부(351)와 가까워지는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탄성안내부(355)와, 제 1 탄성안내부(353)의 단부와 제 2 탄성안내부(355)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3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탄성돌출부(351)는 제 2 탄성돌출부(354)보다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제 2 탄성돌출부(354)가 내삽되는 고정하우징의 하측이 제 1 탄성돌출부(351)가 수용되는 가동하우징(200)의 하측보다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하우징(100)의 하측이 가동하우징(200)의 하측보다 상부에 위치되므로, 고정하우징(100)의 하부에 빈 공간의 갭이 형성되어, 고정하우징(100)과 가동하우징(20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위치 보정을 통한 조립 및 매칭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안내부(353)의 양 단부는 밴딩된 상태로 탄성지지부(352) 및 탄성변형부(356)와 연결되고, 제 2 탄성안내부(355)의 양 단부는 제 1 탄성안내부(353)와 마주보도록 밴딩된 상태로 제 2 탄성돌출부(354) 및 탄성변형부(356)와 연결된다. 이때, 제 1 탄성안내부(353) 및 제 2 탄성안내부(355)는 제 1 고정부(310)의 외측과 제 2 고정부(330)의 외측 사이의 외부공간부(S2: 도 11 도시)에 위치되고, 탄성변형부(356)는 제 1 고정부(310)와 제 2 고정부(330) 사이의 내부공간부(S1: 도 11 도시)에 위치된다. 이처럼 제 1, 2 탄성안내부(353, 355)가 외부공간부(S2) 방향으로 밴딩되므로, 후술하는 탄성변형부(356)로 가해지는 응력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변형부(356)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352)의 폭을 최소화 하고, 제 1, 2 탄성안내부(353, 355)의 밴딩되는 길이(w1)를 최소화 하면, 터미널(300)의 전체 크기 및 터미널(300)이 삽입되는 가동하우징(200)의 크기를 작게 형상할 수 있다.
탄성변형부(356)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부(356)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터미널(3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서 데미지(Demage)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탄성변형부(356)는, 제 1 탄성안내부(353)의 단부에서 제 2 탄성안내부(355)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56a)와, 제 1 연장부(356a)의 단부에서 탄성지지부(35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356c)와, 제 1 라운드부(356c)의 단부에서 제 1 연장부(356a)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356d)와, 제 2 라운드부(356d)의 단부에서 절곡된 상태로 제 2 탄성안내부(355)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장부(356e)를 포함한다. 이처럼 탄성변형부(356)는 제 1 라운드부(356c) 및 제 2 라운드부(356d)를 구비하므로, 제 1, 2 라운드부(356c, 356d)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가동하우징(200)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300)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탄성변형부(356) 및 제 1, 2 탄성안내부(353,355)를 구비하므로, 가동하우징(200)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300)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 하고 가동 스트레스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변형부(356)는 좌우 이동에 의한 응력을 해소하고, 제 1, 2 탄성안내부(353,355)는 상하 이동에 의한 응력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변형부(356)는 제 1 연장부(356a)의 단부에 경사진 상태로 제 1 라운드부(356c)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356b)를 더 포함하고, 제 1 라운드부(356c)의 일단부는 경사부(356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라운드부(356c)와 제 1 연장부(356a)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부(356b)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므로, 제 1 연장부(356a)로 전달되는 충격이 경사부(356b)를 통하여 제 1 라운드부(356c)로 부드럽게 전달된다. 그러면 제 1 라운드부(356c)는 탄성적으로 크게 탄성 변형되면서 제 1 연장부(356a)가 가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도 9과 마찬가지로 제 1 고정부(310), 제 2 고정부(330) 및 탄성부(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성부(350)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352)의 폭을 두껍게 하면, 제 1, 2 탄성안내부(353, 355)의 밴딩되는 길이(w2) 또한 커지게 되어, 터미널(300)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나. 그만큼 외부 압력을 더욱 견고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제 1 고정부(310), 제 2 고정부(330) 및 탄성부(360)를 포함한다. 탄성부(360)는, 제 1 고정부(310)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361)와, 제 2 고정부(330)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2 탄성돌출부(362)와, 제 1 탄성돌출부(361)의 단부와 제 2 탄성돌출부(362)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363)를 포함한다.
탄성변형부(363)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휘어진 한 개 이상의 제 1 절곡부(363a)와 한 개 이상의 제 2 절곡부(363b)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이때, 제 1 절곡부(363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절곡부(363b)의 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밴딩되어, 제 1 절곡부(363a)와 제 2 절곡부(363b) 사이의 상부는 밴딩부(363c)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절곡부(363b)는 제 1 절곡부(363a)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탄성변형부(363)는 제 1 절곡부(363a)와 제 2 절곡부(363b)를 구비하므로, 제 1, 2 절곡부(363a, 363b)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가동하우징(200)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응력을 해소하여 터미널(300)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절곡부(363a)와 제 2 절곡부(363b) 사이에 밴딩부(363c)가 구비되므로, 탄성변형부(363)에 가해지는 응력을 밴딩부(363c)가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변형부(363)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절곡부(363b)가 제 1 절곡부(363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밴딩부(363c)의 밴딩되는 각도는 더욱 좁아지게 되고, 밴딩부(363c)의 강도는 더욱 강해지게 되어, 밴딩부(363c)는 탄성변형부(363)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보드 커넥터의 터미널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터미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7의 터미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제 1 고정부(310), 제 2 고정부(330) 및 탄성부(370)를 포함한다. 탄성부(370)는, 제 1 고정부(310)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371)와, 제 1 탄성돌출부(371)의 단부에서 제 1 고정부(3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372)와, 제 2 고정부(330)의 일측에 탄성지지부(372)와 가까워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 탄성돌출부(373)와, 탄성지지부(372)의 단부와 제 2 탄성돌출부(373)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374)를 포함한다.
탄성변형부(374)는, 탄성지지부(372)의 단부에 외부공간부(S2)의 후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볼록부(374a)와, 제 1 볼록부(374a)와 마주보도록 외부공간부(S2)의 전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볼록부(374b)와, 제 1 볼록부(374a)의 하측과 제 2 볼록부(374b)의 하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374c)와, 제 2 볼록부(374b)의 상측에 내부공간부(S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374d)와, 제 1 라운드부(374d)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내부공간부(S1)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볼록부(374a)의 외측과 제 2 볼록부(374b)의 외측 사이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374e)와, 제 2 라운드부(374e)의 단부에 제 1 볼록부(374a)의 상측과 제 2 볼록부(374b)의 상측 사이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연장부(374f)와, 내부공간부(S1)를 향하는 제 1 절곡연장부(374f)의 단부에 내부공간부(S1)의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제 2 탄성돌출부(373)와 연결되는 제 2 절곡연장부(374g)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제 1 라운드부(374d) 및 제 2 라운드부(374e)는 복수 개가 교호적으로 반복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탄성변형부(374)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374d) 및 제 2 라운드부(374e)를 구비하므로, 제 1 라운드부(374d) 및 제 2 라운드부(374e)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가동하우징(200)에 의한 응력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볼록부(374a, 374b)가 제 1, 2 라운드부(374d, 374e)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므로, 탄성변형부(374)에 가해지는 응력을 일정 부분 지지할 수 있어, 탄성변형부(374)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볼록부(374a, 374b)는 3 방향 즉, 외부공간부(S2)의 상측, 내부공간부(S1)의 반대 방향인 외부공간부(S2)의 외측 및 외부공간부(S2)의 하측 방향으로 입체 형태로 절곡되므로, 탄성변형부(374)의 과도한 변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가동형 보드 커넥터
100: 고정하우징
110: 고정리브 120: 가이드돌기
130: 핀삽입부
200: 가동하우징
210: 수용공간부 220: 오목부
230: 삽입홀 240: 결합안내부
250: 결합부
300: 터미널
310: 제 1 고정부 320: 돌출단자
330: 제 2 고정부 340: 삽입단자
342: 삽입판 344a: 제 1 절곡지지부
344b: 제 2 절곡지지부 346a: 제 1 접촉부
346b: 제 2 접촉부 348: 커버부
350: 탄성부
351: 제 1 탄성돌출부 352: 탄성지지부
353: 제 1 탄성안내부 354: 제 2 탄성돌출부
355: 제 2 탄성안내부 356: 탄성변형부
356a: 제 1 연장부 356b: 경사부
356c: 제 1 라운드부 356d: 제 2 라운드부
356e: 제 2 연장부
360: 탄성부
361: 제 1 탄성돌출부 362: 제 2 탄성돌출부
363: 탄성변형부 363a: 제 1 절곡부
363b: 제 2 절곡부 363c: 밴딩부
370: 탄성부
371: 제 1 탄성돌출부 372: 탄성지지부
373: 제 2 탄성돌출부 374: 탄성변형부
374a: 제 1 볼록부 374b: 제 2 볼록부
374c: 연결부 374d: 제 1 라운드부
374e: 제 2 라운드부 374f: 제 1 절곡연장부
374g: 제 2 절곡연장부
400: 핀블록
402: 가이드홈 410: 핀

Claims (16)

  1.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가동하우징과, 일측은 상기 가동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갖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가동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부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가동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자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고정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상측과 하측은 상호 마주보도록 밴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탄성안내부와,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양 단부는 밴딩된 상태로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와 마주보도록 밴딩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돌출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탄성안내부 및 상기 제 2 탄성안내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 사이의 외부공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의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제 1 탄성안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지지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안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휘어진 한 개 이상의 제 1 절곡부와 한 개 이상의 제 2 절곡부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 1 절곡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는 밴딩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곡부는 상기 제 1 절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제 1 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 탄성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탄성지지부와 가까워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 탄성돌출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내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 사이에 외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외부공간부의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부공간부의 타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의 하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하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제 2 볼록부의 상측에 상기 내부공간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볼록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외측 사이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볼록부의 상측과 상기 제 2 볼록부의 상측 사이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연장부와, 상기 내부공간부를 향하는 상기 제 1 절곡연장부의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제 2 탄성돌출부와 연결되는 제 2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2 볼록부는 각각 상기 외부공간부의 상측, 상기 외부공간부의 외측 및 상기 외부공간부의 하측 방향으로 입체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2. 제 3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돌출부는 상기 제 2 탄성돌출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탄성부가 수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가동하우징의 오목부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고정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삽입홀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고정리브의 직경은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하우징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 핀블록이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핀블록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자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측에 상기 제 1 고정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의 상측에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지지부와, 상기 삽입판의 하측에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와 상기 제 2 절곡지지부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 2 절곡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삽입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절곡지지부의 외측과 상기 제 2 절곡지지부의 외측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부는 탄성을 가지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보드 커넥터.
KR1020210123900A 2021-09-16 2021-09-16 가동형 보드 커넥터 KR10262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00A KR102621976B1 (ko) 2021-09-16 2021-09-16 가동형 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00A KR102621976B1 (ko) 2021-09-16 2021-09-16 가동형 보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83A true KR20230040583A (ko) 2023-03-23
KR102621976B1 KR102621976B1 (ko) 2024-01-10

Family

ID=857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900A KR102621976B1 (ko) 2021-09-16 2021-09-16 가동형 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9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757A (ja) * 1998-03-18 1999-09-28 Harness Syst Tech Res Ltd 基板用可動コネクタ
KR101305321B1 (ko) * 2012-08-06 2013-09-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KR101397612B1 (ko) 2012-12-14 2014-05-27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램프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3200823U (ja) * 2014-09-05 2015-11-05 佳必▲き▼國際股▲ふん▼有限公司 防震型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ター
JP2015228341A (ja) * 2014-06-02 2015-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9145870A1 (en) * 2018-01-24 2019-08-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pring for use in an rf contact for a plug-i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823B2 (ja) * 1991-12-21 2001-08-20 ソニー株式会社 液晶セ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757A (ja) * 1998-03-18 1999-09-28 Harness Syst Tech Res Ltd 基板用可動コネクタ
KR101305321B1 (ko) * 2012-08-06 2013-09-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KR101397612B1 (ko) 2012-12-14 2014-05-27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램프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5228341A (ja) * 2014-06-02 2015-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00823U (ja) * 2014-09-05 2015-11-05 佳必▲き▼國際股▲ふん▼有限公司 防震型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ター
WO2019145870A1 (en) * 2018-01-24 2019-08-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pring for use in an rf contact for a plug-i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976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307B1 (ko) 어댑터와 함께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기계적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어댑터와 상호 작용하는 연결 베이스
US6336737B1 (en) Mod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JP4702326B2 (ja) 照明装置用の発光ダイオード固定構造
US5800183A (en) Sealed socket assembly for a plug-in lamp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101595188B1 (ko)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JPS62276701A (ja) 自動車等の照明アセンブリ
US20070275598A1 (en) Connector and mirror angle adjustment device
US5339178A (en) LCD assembly with light pipe having lightguides extending from surface to surface and retaining means integral with the lightpipe
KR20230040583A (ko) 가동형 보드 커넥터
US6607293B2 (en) Rear combination lamp
KR101700155B1 (ko) 차량용 램프
KR20110000648A (ko)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71508A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vehicle headlight or headlamp
US6586709B2 (en) Structure of window heat wire connector of automobile
CN209876805U (zh) 车灯光学元件总成、车灯及汽车
CN101839454A (zh) 灯泡安装结构
CN111439123A (zh) 悬挂式汽车仪表盘组件、汽车仪表台及汽车
KR20040110949A (ko) 벌브용 커넥터
CN215955606U (zh) 一种用于汽车混合前灯线束的护套插头结构
US3789209A (en) Vehicle lamp
US10001606B1 (en) Multi-function light guide socket
US20210265762A1 (en) Pin Header Connector
US7819695B2 (en) Multi-unit connector
CN213228456U (zh) 一种汽车灯壳及其链接件的安装结构
JP394164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