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321B1 - 플로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321B1
KR101305321B1 KR1020120085521A KR20120085521A KR101305321B1 KR 101305321 B1 KR101305321 B1 KR 101305321B1 KR 1020120085521 A KR1020120085521 A KR 1020120085521A KR 20120085521 A KR20120085521 A KR 20120085521A KR 101305321 B1 KR101305321 B1 KR 10130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terminal
piece
terminal contact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근무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에 장착된 암 커넥터와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의 상호 결합시, X, Y, Z 축 방향에 대하여 상호 유격을 허용하면서 수 커넥터의 단자가 암 커넥터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사 삽입 등 오삽입에도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삽입 등 오삽입에도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전자장비 및 오디오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시스템에는 내장된 PCB 와 PCB를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로팅 보드 투 보드 커넥터(Floating Board to Board Connector, 이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일측 PCB와 타측 PCB 상호간이 경사지게 삽입되거나 잘못 삽입된 경우,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외부로부터의 평범하고 가벼운 충격에서도 양 PCB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경사 삽입 등 오삽입에도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경사 삽입 등 오삽입에도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관통 결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제1 기판에 장착된 암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암 커넥터의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및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관통 결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및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편의 단부 양측과 마주보게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이동 제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편의 단부 양측은 상기 한 쌍의 이동 제한편 각각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케이싱은, 상기 비틀림 방지턱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관통 절개되는 복수의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에 상기 비틀림 방지턱측으로 관통 절개되는복수의 제2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는 상기 제1, 2 슬릿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는,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복수로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제3 슬릿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제3 슬릿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접촉홈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접촉홈에 안착되는 접촉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1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하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2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3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쐐기 형상의 제4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4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 연결편과 평행을 이루는 제5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5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루며, 단부에 상기 삽입편이 연결되는 제6 단자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상하 길이 방향을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홀이 상하 방향으로 양분되게 절개 형성되는 제4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는 상기 제4 슬릿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2 단자가 연장되는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의 내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고정편과, 상기 클램프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클램프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절결부에 의하여 양분되는 클램프편과, 상기 클램프편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면 접촉하는 후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편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하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에 후크편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기판에 장착된 암 커넥터와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의 상호 결합시, X, Y, Z 축 방향에 대하여 상호 유격을 허용하면서 수 커넥터의 단자가 암 커넥터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단자 상호간의 전기적 접촉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경사 삽입을 포함한 오삽입에 대하여도 전기적 연결 상태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적 실시예로부터 상호 결합 사용 중 발생한 미세 충격 등을 흡수하고 전류의 흐름이 제1, 2 기판 상호 간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부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
도 5는 도 3의 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6은 도 5의 C 부분 확대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부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분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부인 수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G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
도 11은 도 9의 H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다양한 결합 실시예 및 구조적 특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표면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 이하 SMT)형 암수 커넥터의 상호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DIP(Dual Inline Package)형 암 커넥터와 SMT형 수 커넥터의 상호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제1 기판(910)과 제2 기판(920)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제1 기판(910)에 장착된 암 커넥터(F)와, 제2 기판(920)에 제2 단자(420)로 연결된 수 커넥터(M)가 상호 삽입 결합되는 플로팅 커넥터(FC)의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제1 기판(910)과 제2 기판(920)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제1 기판(910)에 DIP단자인 제1 단자(210')로 관통 결합된 암 커넥터(F)와, 제2 기판(920)에 제2 단자(420)로 연결된 수 커넥터(M)가 상호 삽입 결합되는 플로팅 커넥터(FC)의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우선 SMT형 암 커넥터(F)의 구조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부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의 C 부분 확대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부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주요분인 암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SMT형 암 커넥터(F)는 도 3과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암 커넥터 단자(200)가 복수로 등간격 배치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암 커넥터 하우징(100)은 크게 제1 케이싱(110)과 저부 플레이트(120)가 지지편(1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암 커넥터 단자(200)는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삽입편(230) 사이에 스프링 유닛(250)이 상호 연결되고, 삽입편(230)에는 제1 단자(210)와 고정편(240)이 연결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암 커넥터 하우징(100)의 제1 케이싱(110)은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115)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920)에 장착된 수 커넥터(M)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케이싱(110)은 비틀림 방지턱(115)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16)을 더 포함하며, 고정홈(116)에 도 4와 같이 후술할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것이다.
저부 플레이트(120)은 제1 케이싱(110)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910)과 접촉되는 것이다.
지지편(130)은 제1 케이싱(110)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13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케이싱(110)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케이싱(110)이 저부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 커넥터(M)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암 커넥터 하우징(100)에는 전술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되, 일정 범위 이상의 비틀림은 제한하여 암 커넥터 하우징(1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이동 제한편(117) 및 걸림돌편(127)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편(127)은 저부 플레이트(120)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며, 이동 제한편(117)은 제1 케이싱(11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걸림돌편(127)의 단부 양측과 마주보게 제1 케이싱(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부재이다.
여기서, 걸림돌편(127)의 단부 양측은 한 쌍의 이동 제한편(115) 각각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다.
암 커넥터 단자(200)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는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제1 케이싱(110)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비틀림 방지턱(115)에 고정되고, 제1 케이싱(110)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수 커넥터(M)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단자접촉 플레이트(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110)에 내장되며, 제1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을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즉 비틀림 방지턱(115)의 형성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함으로써(도 12 및 도 15 참고) 넓은 전기적 접촉 면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편(230)은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부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것이다.
고정편(240)은 삽입편(230)의 일측으로부터 저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삽입편(230)의 확실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단자(210)는 삽입편(23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기판(910)과 접촉하는 것으로, 수 커넥터(M)를 통하여 제2 기판(920)과 제1 기판(910)의 상호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프링 유닛(250)은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삽입편(230)과 연결되고,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삽입편(23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제1 케이싱(11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
스프링 유닛(250)은 더욱 상세하게는 X, Y, Z축 방향 등 전방향에 걸쳐 암 커넥터(F)에 대하여 수 커넥터(F)가 완벽하게 삽입되지 않은 오삽입 상태(도 13 참고)이거나, 경사지게 삽입되거나(도 15 참고) 하는 등의 다양한 오삽입의 경우에도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수 커넥터(M)와 암 커넥터(F)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케이싱(110)은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제1 케이싱(110)의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제1 케이싱(110)의 길이 방향 측면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관통 절개되는 복수의 제1 슬릿(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케이싱(110)은 제1 슬릿(111)과 연결되어 제1 케이싱(110)의 저면에 비틀림 방지턱(115)측으로 관통 절개되는복수의 제2 슬릿(11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단자접촉 플레이트(220)는 제1, 2 슬릿(111, 112)을 통해 삽입되어 비틀림 방지턱(115)의 고정홈(116, 도 4 참고)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저부 플레이트(120)는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저부 플레이트(120)의 양측면에 복수로 절개 형성되며, 제1 케이싱(110)에 삽입 고정되는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슬릿(123)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삽입편(230), 즉 삽입편(230)으로부터 연장된 고정편(240)은 삽입편(230)과 함께 제3 슬릿(123)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저부 플레이트(120)에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3 슬릿(123)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저부 플레이트(120)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접촉홈(1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암 커넥터 단자(200)는 삽입편(230)으로부터 저부 플레이트(120)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접촉홈(124)에 안착되는 접촉돌편(23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홈(124)과 접촉돌편(234)의 상호 결합 구조는 스프링 유닛(250)의 반복적인 비틀림 응력으로 인한 형상 변형 및 복원에 의하여 삽입편(230)이 저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250)은 도 7을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2, 3, 4, 5, 6 단자 연결편(251, 252, 253, 254, 255, 256)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단자 연결편(251)은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저부 플레이트(12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제2 단자 연결편(252)은 제1 단자 연결편(2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하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부재이다.
제3 단자 연결편(253)은 제2 단자 연결편(25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저부 플레이트(12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다.
제4 단자 연결편(254)은 제3 단자 연결편(253)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저부 플레이트(120)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쐐기 형상의 부재이다.
제5 단자 연결편(255)은 제4 단자 연결편(254)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 연결편(251)과 평행을 이루는 것이다.
제6 단자 연결편(256)은 제5 단자 연결편(255)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고, 저부 플레이트(120)와 평행을 이루며, 단부에 삽입편(230)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 유닛(250)은 제3 단자 연결편(253)과 제6 단자 연결편(256) 상호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최초의 위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하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 유닛(250)은 제1 단자 연결편(251)과 제5 단자 연결편(255)이 각각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삽입편(230)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비틀림 응력에 대한 형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 연결편(251)에는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하부측에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자 연결편(25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케이싱(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보강편(251')이 더 구비된다.
고정 보강편(251')은 제2 슬릿(112)을 통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프링 유닛(250)의 비틀림 응력에 따른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되, 과도한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DIP형 암 커넥터(F)는 도 8과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암 커넥터 단자(200)가 복수로 등간격 배치되어지되, 제1 단자(210')는 삽입편(23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기판(910, 이하 도 2 참고)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다.
DIP형 암 커넥터(F)의 여타 구성 부재는 SMT형 암 커넥터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SMT형 수 커넥터(M)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수 커넥터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 양측을 따라 복수의 수 커넥터 단자(400)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수 커넥터 하우징(300)은 제2 케이싱(3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수용 바디(310)가 형성되고, 수용 바디(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홀(330)이 관통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수 커넥터 단자(400)는 수용홀(330)에 삽입되는 단자접촉 클램프(410)와, 단자접촉 클램프(410)로부터 연장되어 제2 기판(920, 이하 도 2 참고)에 고정되는 제2 단자(4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수 커넥터 하우징(300)의 제2 케이싱(320)은 제2 기판(920)에 접촉되고, 제1 기판(910)에 장착된 암 커넥터(F)에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케이싱(320)은 제1 케이싱(110)에 대하여 경사 삽입 및 일측으로 치우친 삽입 등에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케이싱(320)에는 제1 케이싱(1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케이싱(320)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상하 길이 방향을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321)와, 가이드 리브(321)의 단부에 제2 케이싱(320)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사면(32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 커넥터 하우징(300)의 수용 바디(310)는 제2 케이싱(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암 커넥터(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 각각이 관통되는 것이다.
수용홀(330)은 수용 바디(3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2 케이싱(32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단자접촉 플레이트(220)가 중앙을 관통하는 것이다.
제2 케이싱(320)에는 암 커넥터(M)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케이싱(320)의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제2 케이싱(320)의 길이 방향 측면, 즉 수용 바디(310)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홀(330)이 상하 방향으로 양분되게 절개 형성되는 제4 슬릿(32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접촉 플레이트(220)는 제4 슬릿(324)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수 커넥터 단자(400)의 단자접촉 클램프(410)는 수용홀(330)에 각각 장착되어 수 커넥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암 커넥터(F)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양면을 클램핑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2 단자(420)는 단자접촉 클램프(410)로부터 절곡되어 제2 케이싱(3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기판(920)에 고정되는 것이다.
단자접촉 클램프(410)는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클램프 본체(411)의 양측에 클램프 고정편(412)이 구비되고, 클램프 본체(411)가 한 쌍의 클램프편(413, 413)으로 양분되고, 클램프편(413, 413) 각각에 후크편(414, 414)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클램프 본체(411)는 수용홀(330)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제2 단자(420)가 연장되는 것이다.
클램프 고정편(412)은 클램프 본체(411)의 일단부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수용홀(330)의 내면에 고정되어 클램프 본체(411)가 수용홀(3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클램프편(413, 413)은 클램프 본체(411)의 타단부로부터 클램프 본체(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절결부(411')에 의하여 양분되는 한 쌍의 부재로, 단자접촉 플레이트(220)가 절결부(411')를 출입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후크편(414, 414)은 클램프편(413, 413)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면 접촉하는 것으로,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촉 부위라 할 수 있다.
후크편(414, 414)은 각각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최초에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가 원활하게 절결부(411')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자접촉 클램프(410)는 클램프편(413, 413)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하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의 양면에 후크편(414, 414)이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암 커넥터(F)와 수 커넥터(M)의 다양한 결합 방법 및 구조적 특징에 관하여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생략된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참고로, X, Y, Z축 방향이라 함은 도 12 내지 도 15 각각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X, Y, Z축 좌표계의 방향에 따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암 커넥터(F)에 대하여 수 커넥터(M)가 X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 임의의 위치에 결합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수 커넥터 하우징(300)이 삽입되도록 하되, 비틀림 방지턱(115)을 기준으로 고정된 복수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가 제1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클램프편(413)이 제1 케이스(110) 내측 공간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비틀림 방지턱(11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암 커넥터(F)의 중심선(c1)에 대하여 수 커넥터(M)의 중심선(c1')이 어긋나더라도 클램프편(413)이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에 접촉된 상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암 커넥터(F)에 대하여 수 커넥터(M)가 Y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 임의의 위치, 즉 수 커넥터(M)의 수 커넥터 단자(400) 중 제2 단자(420)와 암 커넥터(F)의 제1 케이스(110) 상면 사이의 거리(h1~h3) 범위 내에서 결합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클램프편(413), 즉 클램프편(413, 413) 단부의 후크편(414, 414)이 접촉되기 시작하는 거리(h3)로부터 클램프편(413)의 단부가 제1 케이스(110)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 즉 제1 케이스(110)에 제2 케이스(32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단자(420)와 제1 케이스 상면 사이의 거리(h1)까지의 범위 내에서라면 전기적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수 커넥터(M)를 암 커넥터(F)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X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비틀림 응력이 가해지는 상태에도 전술한 이동 제한편(117) 및 걸림돌편(127)에 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비틀림 상태는 저부 플레이트(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선(c2)에 대하여 제1 케이스(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선(c2')이 어긋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걸림돌편(127)의 단부 양측이 한 쌍의 이동 제한편(115) 각각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 제한편(117) 및 걸림돌편(127)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좌측의 이동 제한편(117)이 더 이상의 비틀림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암 커넥터 하우징(100)의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와 같이 암 커넥터(F)에 대하여 수 커넥터(F)가 Z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특정 각도(θ)의 범위 내에서 회전한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되더라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스(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선(c1)에 대하여 제2 케이스(320)를 관통하는 중심선(c1")이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어긋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배치된 복수의 단자접촉 플레이트(220)가 제1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클램프편(413)이 제1 케이스(110) 내측 공간에서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특정 각도(θ)의 범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단자접촉 플레이트(220)와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경사 삽입 등 오삽입에도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0...암 커넥터 하우징
110...제1 케이싱
111...제1 슬롯
112...제2 슬롯
115...비틀림 방지턱
116...고정홈
117...이동 제한편
120...저부 플레이트
123...제3 슬릿
124...접촉홈
127...걸림돌편
130...지지편
130'...연결편
200...암 커넥터 단자
210, 210'...제1 단자
220...단자접촉 플레이트
230...삽입편
240...고정편
250...스프링 유닛
251...제1 단자 연결편
251'...고정 보강편
252...제2 단자 연결편
253...제3 단자 연결편
254...제4 단자 연결편
255...제5 단자 연결편
256...제6 단자 연결편
300...수 커넥터 하우징
310...수용 바디
320...제2 케이스
321...가이드 리브
322...가이드 사면
324...제4 슬릿
330...수용홀
400...수 커넥터 단자
410...단자접촉 클램프
411...클램프 본체
411'...절결부
412...클램프 고정편
413...클램프편
414...후크편
420...제2 단자
F...암 커넥터
FC...플로팅 커넥터
M...수 커넥터

Claims (15)

  1.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2.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관통 결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3.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제1 기판에 장착된 암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암 커넥터의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4.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및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5. 내측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비틀림 방지턱이 돌출되고,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2 기판에 장착된 수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며, 제1 기판과 접촉되는 저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케이싱 양단부의 상측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 커넥터의 삽입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왕복을 허용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결합되는 도전성의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관통 결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및
    제2 기판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 각각이 관통되는 수용 바디와, 상기 수용 바디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가 중앙을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용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단자접촉 클램프와,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판에 고정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과,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편의 단부 양측과 마주보게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이동 제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편의 단부 양측은 상기 한 쌍의 이동 제한편 각각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비틀림 방지턱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1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관통 절개되는 복수의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에 상기 비틀림 방지턱측으로 관통 절개되는복수의 제2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는 상기 제1, 2 슬릿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방지턱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플레이트는,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복수로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싱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제3 슬릿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제3 슬릿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접촉홈과,
    상기 삽입편으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접촉홈에 안착되는 접촉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1.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저부 플레이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1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하부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2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2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3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는 쐐기 형상의 제4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4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 연결편과 평행을 이루는 제5 단자 연결편과,
    상기 제5 단자 연결편의 단부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저부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루며, 단부에 상기 삽입편이 연결되는 제6 단자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상하 길이 방향을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의 양단부 측면과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기 제2 케이싱의 길이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홀이 상하 방향으로 양분되게 절개 형성되는 제4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는 상기 제4 슬릿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2 단자가 연장되는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의 내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고정편과,
    상기 클램프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클램프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절결부에 의하여 양분되는 클램프편과,
    상기 클램프편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면 접촉하는 후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접촉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편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하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단자접촉 플레이트의 양면에 후크편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KR1020120085521A 2012-08-06 2012-08-06 플로팅 커넥터 KR10130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21A KR101305321B1 (ko) 2012-08-06 2012-08-06 플로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21A KR101305321B1 (ko) 2012-08-06 2012-08-06 플로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321B1 true KR101305321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21A KR101305321B1 (ko) 2012-08-06 2012-08-06 플로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83A (ko) * 2021-09-16 2023-03-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가동형 보드 커넥터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3-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119A (ja) * 2000-03-30 2001-11-09 Molex Inc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119A (ja) * 2000-03-30 2001-11-09 Molex Inc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83A (ko) * 2021-09-16 2023-03-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가동형 보드 커넥터
KR102621976B1 (ko) 2021-09-16 2024-01-1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가동형 보드 커넥터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3-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JP5704196B2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
US10283907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module
CN105703103A (zh) 印刷电路板中心梁
CN109314330B (zh) 表面安装型连接器
KR101878049B1 (ko) 커넥터
TW201731180A (zh) 插頭連接器組件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JP2015141827A (ja) コネクタ
JP6959839B2 (ja) コネクタ
KR101305321B1 (ko) 플로팅 커넥터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US1135587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4623735B2 (ja) コネクタ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CN201430276Y (zh) 电连接器组件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3229226U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WO2013128849A1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当該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CN113169467B (zh) 端子座组
CN113169468B (zh) 端子座及端子座组
JP4536120B2 (ja) コネクタ及び雌雄同体コネクタ
US10741964B2 (en) Joint connector with short circuit members shorting selected tabs
CN112005449B (zh) 连接器
US7731533B2 (en) Connector system having a vibration dampening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