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619A -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619A
KR20230095619A KR1020210185272A KR20210185272A KR20230095619A KR 20230095619 A KR20230095619 A KR 20230095619A KR 1020210185272 A KR1020210185272 A KR 1020210185272A KR 20210185272 A KR20210185272 A KR 20210185272A KR 20230095619 A KR20230095619 A KR 2023009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connector
orthogonal
connector terminal
termin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619A/ko
Publication of KR2023009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적어도 일부에 직교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직교부가 연결되는 모서리가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직교부의 구조에 의해 접속부가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terminal of flo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응력 분산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면서 와이어와 부품 또는, 와이어와 상대 터미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터미널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면서 금속이 가지는 탄성을 활용하여 상대물과의 접촉이 밀접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플로팅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두 커넥터가 결합된 후 X축과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플로팅 커넥터에 사용되는 터미널의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즉, 터미널의 일부를 다단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2214호, 등록특허 제10-2131128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21-0001987호, 등록특허 제10-1305321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터미널은 다단으로 절곡되는 부위의 폭 혹은, 두께가 여타 부위보다 가늘게 형성되기 때문에 허용 전류의 한계가 있었다.
즉, 터미널의 폭 혹은,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 응력의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써 플로팅량의 조절에도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터미널은 절곡 방향으로의 유동이 직선 이동이 아닌 회전 이동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설계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폭과 두께의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터미널은 절곡 부위가 어느 한 측 방향으로만 반복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길이를 축소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써 해당 터미널이 제공되는 플로팅 커넥터를 소형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2214호 등록특허 제10-2131128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21-0001987호 등록특허 제10-130532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이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방향별 움직임에 따라 터미널에 걸리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폭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허용 전류를 상승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제1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1단; 제2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2단;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위치되면서 양 측 혹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3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제3단은 제1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제3단은 폭이 두께보다 더 넓은 형상의 판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적어도 어느 한 평행부는 상기 제1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직교부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직교부는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평행부 혹은, 상기 직교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의 일부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제3단은 상기 직교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단의 평면과 동일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따르면,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와, 상기 제1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연장되는 역방향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양 끝단을 이루는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제공되는 직교부에 의해 제1단과 제2단 간의 연장 방향뿐 아니라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제3단은 절곡 부위에 대한 폭이나 두께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충분한 허용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폭의 조절이 가능하여 허용 전류를 더욱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각 절곡 부위가 제공하는 탄성뿐 아니라 평행부 혹은, 직교부의 길이로 인한 탄성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항 방향으로의 플로팅량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상기 평행부 혹은, 직교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플로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라운드부의 추가 제공에 의해 폭이나 두께 변경 없이도 더욱 충분한 플로팅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은 역방향연장부의 추가 제공에 의해 접속부의 회전 이동뿐 아니라 직선 이동도 가능하며, 충분한 플로팅량을 제공하면서도 전후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이 적용된 플로팅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이 적용된 플로팅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타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소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이 적용된 플로팅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이 적용된 플로팅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공되는 플로팅 커넥터는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임을 그 예로 한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10)는 복수의 터미널(100)이 안착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2)에는 전후로 관통된 복수의 수용공(12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에 안착된 각 터미널(100)의 일부 부위는 수용공(12a)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터미널(100)은 적어도 일부에 직교부(120)가 형성되면서 상기 직교부(120)가 연결되는 모서리가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직교부(120)의 구조에 의해 접속부(12)가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터미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터미널을 각 방향에서 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공되는 터미널(100)은 제1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110)은 제1연결 부위(도시는 생략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100)의 일측 끝단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 부위는 상대측 커넥터(예컨대, 메일 커넥터)의 터미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110)은 상기 플로팅 커넥터(10)를 이루는 접속부(12)의 수용공(12a) 내에 각각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단(110)은 사실상 상기 접속부(12)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공되는 터미널(100)은 제2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단(120)은 제2연결 부위(도시는 생략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100)의 타측 끝단이다. 예컨대, 상기 제2연결 부위는 피메일 커넥터가 설치되는 피씨비(PCB)의 회로가 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제2단(120)은 상기 피씨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연결 부위는 통상의 전선이 될 수도 있고, 여타의 단자가 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120)은 플로팅 커넥터(10)를 이루는 하우징(11)을 관통하여 하우징(11) 외부에 위치된 피씨비(도시는 생략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120)은 저부를 향해 절곡되면서 하우징(11)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단(120)은 상기 하우징(11)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2단(120)은 피씨비와의 연결 부위나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첨부된 도 9와 같이 제1단(110)과는 반대 방향(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공되는 터미널(100)은 제3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단(130)은 상기 제1단(110)과 제2단(120) 사이에 위치되는 부위이며, 폭이 두께보다 더 넓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단(130)은 폭이 두께보다 더욱 넓은 형상의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단(130)은 양 측 어느 한 측 혹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3단(130)의 각 방향에 대한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에 의해 플로팅 커넥터(10)를 이루는 접속부(12)는 하우징(11)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부(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평행부(131)는 상기 제1단(1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평행부(131)의 두께 방향(혹은, 폭 방향)과 제1단(110)의 두께 방향(혹은, 폭 방향)은 동일하게 배치된다.
첨부된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00)의 평행부(131)는 상기 제1단(1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평행부(131)는 상기 제1단(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위 이외에도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평행부(131)는 직교부(132)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행부(131)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평행부(131)의 길이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실시예의 도면상 상하 방향, 다른 실시예의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탄력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평행부(131)의 길이는 플로팅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직교부(132)는 상기 제1단(110) 혹은, 평행부(131)와 직교되도록 형성되면서 제1단(110)과 동일 방향(예컨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직교부(132)는 상기 평행부(13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제1단(110)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직교부(132)의 일측 끝단은 상기 평행부(13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절곡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직교부(132)가 평행부(131)로부터 절곡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혹은, 평행부(131)가 직교부(132)로부터 절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교부(132) 역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직교부(132)의 길이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실시예의 도면상 좌우 방향, 다른 실시예의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탄력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직교부(132)의 길이는 플로팅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운드부(1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부(133)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과 같이 산 혹은, 골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운드부(133)에 의해 해당 라운드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라운드부(133)는 상기 평행부(131)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직교부(132)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방향연장부(1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역방향연장부(134)는 첨부된 도 4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전 부위와는 역 방향을 향하도록 180°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역방향연장부(134)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역방향연장부(134)는 연장 방향(길이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탄력 변형(플로팅)될 수 있다.
상기 역방향연장부(134)는 상기 평행부(131)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직교부(132)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양 끝단을 이루는 제1단(110)과 제2단(120) 사이에 직교부(132)가 제공되기 때문에 제1단(110)과 제2단(120) 간의 연장 방향뿐 아니라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플로팅 커넥터(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제1단(110)과 제2단(120) 사이의 제3단(130)은 절곡 부위에 대한 폭이나 두께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충분한 허용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폭의 조절이 가능하여 허용 전류를 더욱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각 절곡 부위가 제공하는 탄성뿐 아니라 평행부(131) 혹은, 직교부(132)의 길이로 인한 탄성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항 방향으로의 플로팅량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상기 평행부(131) 혹은, 직교부(132)의 길이 조절을 통해 플로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라운드부(133)의 추가 제공에 의해 폭이나 두께 변경 없이도 더욱 충분한 플로팅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100)은 역방향연장부(134)의 추가 제공에 의해 접속부(12)의 회전 이동뿐 아니라 직선 이동도 가능하며, 충분한 플로팅량을 제공하면서도 전후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10. 커넥터 11. 하우징
12. 접속부 12a. 수용공
100. 터미널 110. 제1단
120. 제2단 130. 제3단
131. 평행부 132. 직교부
133. 라운드부 134. 역방향연장부

Claims (10)

  1. 제1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1단;
    제2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2단;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위치되면서 양 측 어느 한 측 혹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3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은 폭이 두께보다 더 넓은 형상의 판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한 평행부는 상기 제1단으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부는 상기 평행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부는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 혹은, 상기 직교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의 일부에는 상기 제1단의 표면과 동일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 혹은, 상기 직교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부위의 연장는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연장되는 역방향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8. 제1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1단;
    제2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2단;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위치되면서 양 측 어느 한 측 혹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3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9. 제1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1단;
    제2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2단;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위치되면서 양 측 어느 한 측 혹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3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와,
    상기 직교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단의 표면과 동일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10. 제1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1단;
    제2연결 부위에 접속되는 제2단;
    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위치되면서 양 측 어느 한 측 혹은,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3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단은
    상기 제1단과는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제1단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교부와,
    상기 제1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연장되는 역방향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KR1020210185272A 2021-12-22 2021-12-22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KR20230095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72A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1-12-22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72A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1-12-22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19A true KR20230095619A (ko) 2023-06-29

Family

ID=8694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272A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1-12-22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61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21B1 (ko) 2012-08-06 2013-09-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KR102131128B1 (ko) 2019-04-09 2020-07-07 교세라커넥터프로덕츠코리아(주)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KR20200002214U (ko) 2019-03-27 2020-10-08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KR20210001987U (ko) 2020-02-24 2021-09-02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21B1 (ko) 2012-08-06 2013-09-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KR20200002214U (ko) 2019-03-27 2020-10-08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KR102131128B1 (ko) 2019-04-09 2020-07-07 교세라커넥터프로덕츠코리아(주)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KR20210001987U (ko) 2020-02-24 2021-09-02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1078462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JP6986039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0598053A1 (en) Board to board interconnect
KR102237830B1 (ko) 커넥터
JP2001203027A (ja) 直交接触アームおよびオフセット接触領域を備えた電気コンタクト
JP2014175304A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US7544104B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terminals in columns
US2021010484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US5445529A (en) Connector apparatus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TW200841540A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KR20230095619A (ko)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US4494818A (en) Mounting member for electrical contacts
US5720620A (en) Coaxial connector
EP379921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2046932A (ja)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