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63A -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63A
KR20230037263A KR1020210120392A KR20210120392A KR20230037263A KR 20230037263 A KR20230037263 A KR 20230037263A KR 1020210120392 A KR1020210120392 A KR 1020210120392A KR 20210120392 A KR20210120392 A KR 20210120392A KR 20230037263 A KR20230037263 A KR 2023003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ccessory
mounting
support frame
mani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251B1 (ko
Inventor
강철
김만근
Original Assignee
강철
김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김만근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102021012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2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8/006Interchangeable ornaments attached to hair 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 A45D8/32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with double-bow; with U-shaped limb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누름 프레임; 및 상기 조작 프레임 및 상기 누름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 구조를 이루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CLAW CLIPS HAVING STRUCTURE TO MOUNT ACCESSARY}
본 발명은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는 집게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핀은 상부, 하부의 몸체가 힌지 결합되어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대상물을 가지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집게핀은 주로 고정기구, 파마용 집게, 및 사무용 집게 등으로 사용되어 진다.
또한, 집게핀은 장식용품으로써 외관상 개성을 추구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집게핀은 장식적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주로 헤어핀, 넥타이핀 등으로 사용된다.
최근에, 사람들은 장식품으로서의 집게핀을 헤어핀, 넥타이핀을 넘어서서, 가방, 기타 용품 등에 장착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가방 등이 자기만의 개성을 반영하도록 보다 개별화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현재의 집게핀은 정형화된 것으로서, 개개인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개별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방 등에 장착된 집게핀 그 자신에 의한 장식미에 더하여, 해당 집게핀에 개인의 개성에 따른 악세사리를 추가 장착하여 개별화할 수 있게 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은,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누름 프레임; 및 상기 조작 프레임 및 상기 누름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 구조를 이루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구조는, 상기 누름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 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연결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리세스는, 상기 상판의 자유단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메인 수용부; 및 상기 측판의 자유단에서 시작되어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보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수용 리세스의 개방 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 리세스에 수용된 상기 악세사리가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턱은, 상기 누름 프레임이 상기 조작 프레임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때, 상기 누름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수용 리세스의 개방 단부를 막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 리세스로부터 상기 악세사리가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을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수용 리세스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누름 프레임 및 상기 조작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은, 양 단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악세사리를 수용하는 수용 구조 및 악세사리가 걸리는 걸림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에 대해 조작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고 그 조작 프레임에 대해 누름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 프레임 및 누름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 구조를 갖는 마운팅 유닛이 형성되기에, 지지 프레임 등이 가방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구조에 장착된 악세사리가 추가적인 장식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악세사리는 개인 별로 차별화된 것일 수 있어서, 집게핀 전체로서 개별화된 개성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 중 마운팅 유닛(170)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누름 프레임(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장착 부재(175)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잠금 캡(177)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지지 프레임(1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은, 지지 프레임(110), 조작 프레임(130), 누름 프레임(150), 그리고 마운팅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대체로 좁은 폭을 가진 채로 길쭉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프레임(110)은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어 위치하는 양 단부를 가지게 된다.
조작 프레임(130)은 지지 프레임(110)의 일 부분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부재이다. 조작 프레임(130) 역시 대체로 좁은 폭으로 길쭉하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 프레임(130)은, 지지 프레임(11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치우친 지점에서,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제1 힌지(12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제1 힌지(120)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조작 프레임(130)은 제1 힌지(120)를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110)을 향한 방향(R1)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누름 프레임(150)은 지지 프레임(110)의 타 부분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부재이다. 누름 프레임(150)은 조작 프레임(130)에 대해 제2 힌지(14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제2 힌지(140)에도 역시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는데, 그 경우 누름 프레임(150)은 제2 힌지(140)를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110)에서 멀어지는 방향(R2)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누름 프레임(150)은 조작 프레임(130)과 연결된 채로 지지 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 누름 프레임(150)과 조작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이라 통칭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응하여 하부 프레임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마운팅 유닛(170)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어,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구조는 누름 프레임(150)과 조작 프레임(130)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달리, 마운팅 유닛(170)은 조작 프레임(130)의 자유단 측에 형성되거나,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운팅 유닛(170)의 구체적 구성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100) 중 마운팅 유닛(170)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누름 프레임(150)은 상판(151)과 측판(155)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측판(155)은 상판(151)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판(1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측판(155)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110)은 상판(151)과 한 쌍의 측판(155)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구조는, 상판(151) 및/또는 측판(155)에 형성된 수용 리세스(171)를 가질 수 있다. 수용 리세스(171)는 누름 프레임(150)의 자유단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 리세스(171)에 대응해서는, 제한 턱(1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 턱(173)은 조작 프레임(13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한 턱(173)은 수용 리세스(171)의 개당된 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기에, 수용 리세스(171)에 수용된 악세사리 또는 악세사리 장착을 위한 장착 부재(175)가 수용 리세스(171)에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제한 턱(173)은 또한 누름 프레임(150)이 제2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을 제한하고 누름 프레임(150)을 지지하기도 한다.
악세사리나 장착 부재(175)의 이탈 방지를 위해, 수용 리세스(171)에는 잠금 캡(179)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누름 프레임(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 리세스(171)는, 구체적으로 메인 수용부(171a)와 보조 수용부(171b)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수용부(171a)는 상판(151)의 자유단에서 상판(151)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것이다. 메인 수용부(171a)는 상판(15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메인 수용부(171a)의 내측에는 저항 리브(17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저항 리브(171a')는 메인 수용부(171a)에 끼워진 악세사리 등이 쉽게 빠지지 못하게 하는 저항을 발생시킨다.
보조 수용부(171b)는 측판(155)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수용부(171b) 역시 측판(155)의 자유단에서 상판(151)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보조 수용부(171b)는 측판(155)을 관통하지 않고, 그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장착 부재(175)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장착 부재(175)는 악세사리의 장착을 위한 어댑터가 된다.
구체적으로, 장착 부재(175)는 결합부(177a)와 장착부(177b)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77a)는 수용 리세스(171)에 결합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메인 끼움부(177aa)와 보조 끼움부(177ab)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 끼움부(177aa)는 메인 수용부(171a)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라면, 보조 끼움부(177ab)는 보조 수용부(171b)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끼움부(177aa)는 상하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이라면, 보조 끼움부(177ab)는 좌우로 펼쳐진 원반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부(177b)는 메인 끼움부(177aa)에 연결되어, 메인 끼움부(177aa)를 기준으로 보조 끼움부(177ab)의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부(177b)에는 지비츠와 같은 악세사리 또는 장식품이 접착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장착부(177b)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 경우, 악세사리 등을 해당 고리에 걸어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고리에 의한 걸림 구조는 장착부(177b)로서 구현되거나, 누름 프레임(150) 등에 그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3의 잠금 캡(177)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잠금 캡(177)은 상층부(177a), 하층부(177b), 그리고 삽입부(177c)를 가질 수 있다.
상층부(177a)와 하층부(177b)는 대체로 서로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삽입부(177c)는 상층부(177a)와 하층부(177b)를 연결하는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 캡(177)이 메인 수용부(171a, 도 4)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층부(177a)는 상판(151)의 상면과 마주하고 하층부(177b)는 상판(151)의 하면과 마주하게 된다. 삽입부(177c)는 메인 수용부(171a)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층부(177a)와 하층부(177b)의 간격은 상판(151)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그 경우, 상층부(177a)와 하층부(177b) 사이에 상판(151)이 끼이게 되어, 잠금 캡(177)이 상판(151)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삽입부(177c)의 폭 역시 메인 수용부(171a)의 폭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도, 삽입부(177c)가 메인 수용부(171a)에 꽉 끼이에 되어서, 잠금 캡(177)은 상판(151)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지지 프레임(1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10)은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11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1)에는 장착홀(1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1)에는 마찰 패드(19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 패드(190)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부재로서,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찰 패드(190)는 몸체(111)의 상면을 길쭉한 형태로서 덮는 베이스(191)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91)의 저면에는 후크(19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크(195)는 장착홀(115)을 통과하여 몸체(111)에 걸림에 의해, 베이스(191)가 몸체(111)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마찰 패드(190)는 조작 프레임(130)과 누름 프레임(150)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해, 그들과 함께 대상물을 집는 경우에, 대상물과의 마찰력을 높인다. 그에 의해, 집게(100)가 대상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110: 지지 프레임
130: 조작 프레임 150: 누름 프레임
151: 상판 155: 측판
170: 마운팅 유닛 171: 수용 리세스
173: 제한 턱 175: 장착 부재
177: 잠금 캡 190: 마찰 패드

Claims (8)

  1.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누름 프레임; 및
    상기 조작 프레임 및 상기 누름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장착 구조를 이루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는,
    상기 누름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리세스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연결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리세스는,
    상기 상판의 자유단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메인 수용부; 및
    상기 측판의 자유단에서 시작되어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보조 수용부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수용 리세스의 개방 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 리세스에 수용된 상기 악세사리가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턱을 더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수용 리세스의 개방 단부를 막도록 상기 조작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 리세스로부터 상기 악세사리가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 캡을 더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을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수용 리세스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악세사리가 장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누름 프레임 및 상기 조작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패드를 더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8. 양 단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악세사리를 수용하는 수용 구조 및 악세사리가 걸리는 걸림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하는,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KR1020210120392A 2021-09-09 2021-09-09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KR10257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92A KR102574251B1 (ko) 2021-09-09 2021-09-09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92A KR102574251B1 (ko) 2021-09-09 2021-09-09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63A true KR20230037263A (ko) 2023-03-16
KR102574251B1 KR102574251B1 (ko) 2023-09-04

Family

ID=859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92A KR102574251B1 (ko) 2021-09-09 2021-09-09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11B1 (ko) * 2023-09-11 2024-04-26 전세준 길이 조절 가능한 유아용품 고정 스트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409A (ja) * 1993-08-02 1995-02-10 Morito Kk クリップ
KR19990008116U (ko) * 1998-11-20 1999-02-25 강정진 머리핀
KR20070112016A (ko) * 2006-05-19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와신 클램프-온 홀더
KR20190110716A (ko) * 2018-03-21 2019-10-01 현재민 탈부착이 가능한 넥타이핀 전용장식이 구비된 넥타이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409A (ja) * 1993-08-02 1995-02-10 Morito Kk クリップ
KR19990008116U (ko) * 1998-11-20 1999-02-25 강정진 머리핀
KR20070112016A (ko) * 2006-05-19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와신 클램프-온 홀더
KR20190110716A (ko) * 2018-03-21 2019-10-01 현재민 탈부착이 가능한 넥타이핀 전용장식이 구비된 넥타이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11B1 (ko) * 2023-09-11 2024-04-26 전세준 길이 조절 가능한 유아용품 고정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251B1 (ko) 202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302B1 (en) Eyeglass holder with clasp
KR102574251B1 (ko) 악세사리 장착형 집게핀
US4923153A (en) Strip clamp
JPH1146816A (ja) 紐 具
GB2307404A (en) Hairclip
US20060163294A1 (en) Garment hangers with improved gripping pads and improved methods of manufacture
US5944178A (en) Suit hanger support of luggage
EP0031210B1 (en) Telephone attachment
JP2003103966A (ja) 名札類保持用ダブルクリップ
US4707889A (en) Attaching device for bag
JP4422634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操作具取付構造
US5018650A (en) Tamper proof hanger with interchangeable shoulder cups
JPH02150549U (ko)
JP3060248U (ja) キー又は工具ホルダ
JPS628749Y2 (ko)
JP3040067U (ja) 椅 子
GB2279249A (en) Adjustable length elastic band
JP3132718U (ja) 保持具
JP3323929B2 (ja) バッグ用装飾具
US778268A (en) Instrument or other case.
JP4310561B2 (ja) 肩掛けベルト用肩パッド
KR20100053379A (ko) 북 홀더
JP3104014B2 (ja) クリップボード用挟持具及びクリップボード
JP3038373U (ja) 新聞ホルダ
KR200246810Y1 (ko) 양쪽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