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36A -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36A
KR20230031436A KR1020210113666A KR20210113666A KR20230031436A KR 20230031436 A KR20230031436 A KR 20230031436A KR 1020210113666 A KR1020210113666 A KR 1020210113666A KR 20210113666 A KR20210113666 A KR 20210113666A KR 20230031436 A KR20230031436 A KR 20230031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member
insert
coupler
coupler body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149B1 (ko
Inventor
유영술
Original Assignee
건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by clamping together two 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bolted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16C3/023Shafts; Axles made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인서트부를 갖는 커플러바디; 상기 커플러바디의 각 인서트부에 삽입되고,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제1 인서트부재; 상기 커플러바디의 각 인서트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인서트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제2 인서트부재; 상기 제1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 인서트부재간의 이격 공간상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고, 엔진측 부하에 대응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합텐셔너; 및 상기 제1 인서트부재 또는 상기 제2 인서트부재, 또는 상기 제1 인서트부재 및 상기 제2 인서트부재의 원주면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분리된 인서트부재와, 이러한 인서트부재에 복합텐셔너가 도입됨으로써 기어변속, 노면요철 등의 충격과 진동에 대한 흡수 및 감쇠기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내구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며, 스틸소재의 인서트부재에 외경부에 돌기 내지 요홈 형태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고속회전과 충격에도 이종소재인 커플러바디로부터 인서트부재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Coupler for automobiles with composite vibration reduction and insert member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분리된 인서트부재와, 이러한 인서트부재에 복합텐셔너가 도입됨으로써 기어변속, 노면요철 등의 충격과 진동에 대한 흡수 및 감쇠기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내구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며, 스틸소재의 인서트부재에 외경부에 돌기 내지 요홈 형태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고속회전과 충격에도 이종소재인 커플러바디로부터 인서트부재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랜스미션 커플러는 엔진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의해 속도를 가감하여 차륜에 전달하는 과정의 프론트차축과 리어차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 기능의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에 의한 기어의 변속시 발생하는 변속충격과 진동, 액셀레이터에 의한 속도의 가감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는 기능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는 노면요철 등 도로환경에 의해 주행중 차체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는데, 전후좌우 차륜에 전해지는 충격의 크기에 비례하여 속업쇼버에 의해 충격이 흡수 감쇠되기는 하지만 차축에 전해지는 충격과 변형요인을 완소 시키지는 못하게 된다.
이때 트랜스미션커플러는 차축에 전해지는 노면충격에 의한 변형요인을 감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스미션커플러의 기능과 성능이 자동차의 주행안정성과 실내정숙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라 할 수 있을 만큼 비중이 큰 핵심 기능부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의 동력전달을 위한 차축의 연결부품으로 트러블 발생시 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직결되는 매우 중요하고 안전성이 요구되는 특수 부품에 해당된다.
이러한 종래의 트랜스미션커플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고무소재의 커플러바디에 단순파이프 형상의 인서트부재(9)가 사출성형을 통해 인서트된다.
이 경우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의 인접 단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된 플레이트(7)가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의 볼트홀과 인서트부재(9)의 중공을 통해 볼트(B)가 체결되면서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이 체결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존의 트랜스미션커플러의 경우 인서트부재가 단순 원형파이프형 스틸인서트로 볼트(5)를 삽입 체결하여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을 직결하여 결속됨으로써 기어변속 충격이나, 진동, 노면 굴곡에 따른 충격과 변형요인 등에 대하여 구조적인 한계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속회전시 고무소재인 커플러바디(10)로부터 인서트부재(9)가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치명적 구조적인 결합으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고 고스란히 차축으로 전달되어 차축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변속충격이나 소음 등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개평8-273743호(1996.10.1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리된 인서트부재와, 이러한 인서트부재에 복합텐셔너가 도입됨으로써 기어변속, 노면요철 등의 충격과 진동에 대한 흡수 및 감쇠기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내구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며, 스틸소재의 인서트부재에 외경부에 돌기 내지 요홈 형태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고속회전과 충격에도 이종소재인 커플러바디로부터 인서트부재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인서트부를 갖는 커플러바디; 상기 커플러바디의 각 인서트부에 삽입되고,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제1 인서트부재; 상기 커플러바디의 각 인서트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인서트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제2 인서트부재; 상기 제1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 인서트부재간의 이격 공간상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고, 엔진측 부하에 대응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합텐셔너; 및 상기 제1 인서트부재 또는 상기 제2 인서트부재, 또는 상기 제1 인서트부재 및 상기 제2 인서트부재의 원주면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텐셔너는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에 대하여 축방향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1 텐셔너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바디와 이어지는 제2 텐셔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돌기 또는 요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 또는 상기 요홈은 연속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 인서트부재에는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비접촉 중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플러바디의 외주면을 감싸 조이기 위한 조임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는 분리된 인서트부재와, 이러한 인서트부재에 복합텐셔너가 도입됨으로써 기어변속, 노면요철 등의 충격과 진동에 대한 흡수 및 감쇠기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내구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며, 스틸소재의 인서트부재에 외경부에 돌기 내지 요홈 형태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하여 고속회전과 충격에도 이종소재인 커플러바디로부터 인서트부재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회전시 뿐만 아니라, 기후 및 온도 등에 대한 변화에 때하여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환경저근이 뛰어나 내구성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고장시에도 동력전달이 가능하여 수리를 위한 자체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안전성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커플러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커플러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트랜스미션커플러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는 커플러바디(10), 제1 인서트부재(20), 제2 인서트부재(30), 삽입부(40), 복합텐셔너(50) 및 이탈방지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바디(10)는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을 연결하여 기어변속, 노면상태, 기후환경 등 다양한 상황에 발생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흡수 및 감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커플러바디(10)의 소재는 EPDM, 실리콘 등의 내열성, 내마모성, 반발탄성계수 등 텐셔너의 요건을 충족하는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바디(10)는 소재의 특성상 Rubber molding 제조공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성형 과정에서 각 소재별 melting point와 meltindex의 특성을 반영하여 결정화도를 높여 내구성, 내충격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커플러바디(10)는 전체적으로 6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 복합텐셔너(50) 및 이탈방지부(60)로 구성되어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을 볼트(5)로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인서트가 6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의 인접 단부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후술할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의 중공(H)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볼트(B)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홀이 형성된 플레이트(7)가 연결되어 있다.
다만 커플러바디(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인서트는 그 형상에 대응되는 개수로 제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커플러바디(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을 볼트(5) 체결에 의하여 연결하기 위해 클램프인서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개수의 인서트부(11)가 홀 형태로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는 기존 커플러에서 단일 원통형 형상의 인서트부재(9)(도 5 참조)와 달리 서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1 인서트부재(20)는 첨부된 도 2의 도시에 근거하여 커플러바디(10)의 인서트부(11) 상부에 삽입되고, 제2 인서트부재(30)는 커플러바디(10)의 인서트부(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부(11)의 상부 및 하부 위치는 커플러바디(10)의 배치방향에 따라 우측 내지 좌측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는 중공(H) 형태로 이루어져 커플러바디(10)의 인서트부(11)에 삽입되어 있으며, 각 인서트부재의 중공(H)을 통하여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의 결속을 위해 볼트(5)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는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된 공간상에 삽입부(4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인서트부재(20)는 상부 부분 내경보다 하부 부분의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되고, 이 하부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확장돌기부(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 인서트부재(30)는 하부 부분 외경보다 상부 부분 외경이 감소되도록 구성되고, 이 상부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소돌기부(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가 인서트부(11)에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면 제1 인서트부재의 확장돌기부(21)와 제2 인서트부재의 축소돌기부(31) 사이 공간상에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돌기부(21)와 축소돌기부(31)와, 이들의 이격공간인 삽입부(40)에 의하여 비접촉 중첩부(OL)가 형성되고, 삽입부(40)에는 제1 텐셔너(51)과 제2 텐셔너(53)가 배치된다. 따라서 비접촉 중첩부(OL)는 축방향은 물론이고, 비틀림 등의 거동에 대한 감쇠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서트부재(20)와 제2 인서트부재(30)는 서로 분리 배치되고, 각 인서트부재의 이격 공간상에 형성되는 삽입부(40)에 복합텐셔너(50)가 삽입된다.
따라서 기존의 인서트부재(9)(도 5 참조)와 같이 단순 원형파이프형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하여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삽입부(40)에 배치되는 복합텐셔너(50)에 의하여 충격흡수 성능은 보다 배가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인서트부재(9)의 경우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순 원형파이프형 스틸인서트로 볼트(5)를 삽입 체결하여 프론트차축(1)과 리어차축(3)을 직결하여 결속함으로써 기어변속 충격이나, 진동, 노면 굴곡에 따른 충격과 변형요인 등에 대하여 구조적인 한계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커플러바디(10)로부터 인서트부재(9)가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치명적 구조적인 결합으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고 고스란히 차축으로 전달되어 차축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변속충격이나 소음 등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인서트부재(9)를 분리하여 서로 이격 배치시켜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기존 인서트부재(9)의 구조적인 결함을 보완하고, 동시에 각 인서트부재(20)(30)간의 이격 공간인 삽입부(40)에 복합텐셔너(50)를 게재시켜 충격흡수 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 또한 고무소재로 구선되는 커플러바디(10)와 인서트부재(20)(30)간의 분리 방지를 위해 각 인서트부재(20)(30)에 이탈방지부(60)를 도입하여 커플러바디(10)로부터 각 인서트부재(20)(30)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텐셔너(50)와 이탈방지부(6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텐셔너(50)는 삽입부(40)에 배치되어 엔진측 부하에 대응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텐셔너(50)는 삽입부(40)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1 텐셔너(51)와, 삽입부(40)에 배치되어 커플러바디(10)와 이어지는 제2 텐셔너(53)로 구성된다.
먼저 복합텐셔너(50)의 제1 텐셔너(51)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어 도 2 및 도 3의 도시를 기준으로 삽입부(40)의 최상단 공간에 배치된다. 즉 제1 텐셔너(51)는 제2 인서트부재의 축소돌기부(31) 상단면과 제1 인서트부재(20)의 상부 부분의 하단면에 접촉 배치된다.
다음으로 복합텐셔너(50)의 제2 텐셔너(53)는 커플러바디(10)의 성형 시, 즉 Rubber molding 시, 삽입부(40) 내부로 수지가 유입되어 형성되어 커플러바디(10)와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및 제2 텐셔너(51)(53)의 소재로, 제1 텐셔너(51)는 엔지니어 플라스틱(urethane, EVA, unsaturated polyester, Nylon-6)으로 내열성, 내마모성, 반발탄성계수 등 텐셔너의 요건을 충족하는 적절한 소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텐셔너(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바디(10)의 소재, 즉 EPDM, 실리콘 등의 내열성, 내마모성, 반발탄성계수 등 텐셔너의 요건을 충족하는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텐셔너(50), 즉 제1 및 제2 텐셔너(51)(53)는 엔진측 부하(관성모멘트, 회전모멘트 및 비틀림모멘트)에 대응하여 시동, 급출발과 급제동, 기어변속 등의 미소진동과 큰 부하에 모두 작용하는 진동과 소음을 감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각 인서트부재(20)(3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항복점 이내에서의 원활한 작동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1 텐셔너(51)의 경우에는 제1 인서트부재(20)와 제2 인서트부재(30)가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인서트부재(20)의 상부 부분의 하단면과 제2 인서트부재(30)의 축소돌기부(31) 상단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제1 텐셔너(51)가 제2 텐셔너(53)와 같은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축방향 거동 시, 제1 인서트부재(20)와 제2 인서트부재(30)간의 구조적인 형상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텐셔너(5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서, 제1 인서트부재(20)와 제2 인서트부재(30)간의 구조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60)는 제1 인서트부재(20) 또는 제2 인서트부재(30), 또는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 및 상기 제2 인서트부재(30)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커플러바디(10)로부터 각 인서트부재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60)는 기어변속, 기어변속 및 노면충격,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커플러바디(10)로부터 각 인서트부재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이탈방지부(6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의 외측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6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돌기(61) 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요홈(63) 형태로 이루어지되, 돌기(61) 또는 요홈(63)은 연속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탈방지부(60)의 돌기(61)나 요홈(63)이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주로 축방향 부하에 대하여 확실한 저항력을 갖지만, 비틀림이나 회전방향 부하에 대하여는 다소 저항력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탈방지부(60)의 돌기(61)나 요홈(63)이 원주면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즉 다수의 돌기나 리브 형태 또는 요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축방향 부하는 물론이고, 비틀림이나 회전방향 부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플러바디(10)와 각 인서트부재간의 분리 이탈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탈방지부(6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인서트부재(20), 또는 제2 인서트부재(30)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 이탈방지부(60)가 형성되지 않은 인서트부재의 경우 커플러바디(10)와 분리 이탈될 수 있다는 점에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 모두에 이탈방지부(60)를 형성하여 각 인서트부재 모두가 커플러바디(1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러바디(10)의 인서트부(11)에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와, 복합텐셔너(50) 및 이탈방지부(60)가 장착되면, 커플러바디(10)와 그 내부 부품이 단일체로서 구속될 수 있도록 커플러바디(10)의 외측면을 감싸 조일 수 있도록 도 1의 도시와 같이 조임밴드(70)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임밴드(70)는 구속력을 높이기 위해 스틸밴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클램프와 같은 결속구를 이용하여 조임밴드(70)를 커플러바디(10) 외측면을 조여 체결하고,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H : 중공
1 : 프론트차축 3 : 리어차축
5 : 볼트 7 : 플레이트
10 : 커플러바디
11 : 인서트부
20 : 제1 인서트부재
21 : 확장돌기부
30 : 제2 인서트부재
31 : 축소돌기부
40 : 삽입부
50 : 복합텐셔너
51 : 제1 텐셔너 53 : 제2 텐셔너
60 : 이탈방지부
61 : 돌기 63 : 요홈
70 : 조임밴드

Claims (5)

  1.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인서트부(11)를 갖는 커플러바디(10);
    상기 커플러바디(10)의 각 인서트부(11)에 삽입되고, 중공(H)형태로 이루어진 제1 인서트부재(20);
    상기 커플러바디(10)의 각 인서트부(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와 이격 배치되고, 중공(H)형태로 이루어진 제2 인서트부재(30);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와 상기 제2 인서트부재(30)간의 이격 공간상에 형성되는 삽입부(40);
    상기 삽입부(40)에 배치되고, 엔진측 부하에 대응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복합텐셔너(50); 및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 또는 상기 제2 인서트부재(30), 또는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 및 상기 제2 인서트부재(30)의 원주면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텐셔너(50)는
    상기 삽입부(4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인서트부재(20)(30)에 대하여 축방향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1 텐셔너(51)와,
    상기 삽입부(40)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바디(10)와 이어지는 제2 텐셔너(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60)는 돌기(61) 또는 요홈(63)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61) 또는 상기 요홈(63)은 연속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서트부재(20)와 상기 제2 인서트부재(30)에는 상기 삽입부(40)를 기준으로 비접촉 중첩부(OL)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바디(10)의 외주면을 감싸 조이기 위한 조임밴드(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KR1020210113666A 2021-08-27 2021-08-27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KR10261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66A KR102619149B1 (ko) 2021-08-27 2021-08-27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66A KR102619149B1 (ko) 2021-08-27 2021-08-27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36A true KR20230031436A (ko) 2023-03-07
KR102619149B1 KR102619149B1 (ko) 2023-12-29

Family

ID=8551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66A KR102619149B1 (ko) 2021-08-27 2021-08-27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1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31U (ja) * 1991-11-15 1993-06-08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エツクス プロペラシヤフト
JPH08273743A (ja) 1994-11-28 1996-10-18 Ford Motor Co 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分離型小型コネクタ
KR100323279B1 (ko) * 1993-07-09 2002-08-21 게르트센 운트 올루프센 아/에스 진동을상쇄하는진동보상장치
KR200353896Y1 (ko) * 2004-03-17 2004-06-22 조영태 커플링 장치
JP2005212779A (ja) * 2005-02-14 2005-08-11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20100002287U (ko) * 2008-08-25 2010-03-05 한백술 카프링
KR20130017162A (ko) *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티에스알 프로펠러 샤프트용 커플러 구조
US20160160960A1 (en) * 2012-12-13 2016-06-09 Vibracoustic North America, L.P. Propshaft damper and method of assembl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31U (ja) * 1991-11-15 1993-06-08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エツクス プロペラシヤフト
KR100323279B1 (ko) * 1993-07-09 2002-08-21 게르트센 운트 올루프센 아/에스 진동을상쇄하는진동보상장치
JPH08273743A (ja) 1994-11-28 1996-10-18 Ford Motor Co 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分離型小型コネクタ
KR200353896Y1 (ko) * 2004-03-17 2004-06-22 조영태 커플링 장치
JP2005212779A (ja) * 2005-02-14 2005-08-11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20100002287U (ko) * 2008-08-25 2010-03-05 한백술 카프링
KR20130017162A (ko) *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티에스알 프로펠러 샤프트용 커플러 구조
US20160160960A1 (en) * 2012-12-13 2016-06-09 Vibracoustic North America, L.P. Propshaft damper and method 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149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1500B2 (ja) 防振装置
US20090078079A1 (en) Decoupled vibration damper
US8414404B2 (en) Damper mechanism
JP2008223920A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
EP1521002B1 (en) Damper disc assembly
JPH0141849B2 (ko)
KR20230031436A (ko) 복합진동저감과 인서트부재의 이탈방지구조의 자동차용 커플러
JP2779130B2 (ja) ベルト車
JP4694815B2 (ja) トル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6692B1 (ko) 자동 이륜차용 휘일 진동 차단 장치
US6872142B2 (en) Damper mechanism
CN111619299B (zh) 一种乘用车上悬置总成
JP4963401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N102418771B (zh) 扭矩波动吸收器
CN211075495U (zh) 用于车辆动力总成的悬置装置、动力总成及车辆
KR102472955B1 (ko) 수직·수평부하 일체형 자동차 쇽업소버 마운트의 롤링모듈
US7669623B2 (en) Elastic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8913559U (zh) 用于车辆副车架的衬套组件、副车架及车辆
CN220826466U (zh) 一种带有异形硫化体的发动机悬置用衬套及其发动机悬置
CN220905151U (zh) 悬置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218287359U (zh) 车辆悬架系统及车辆
JP7373440B2 (ja) 電気作動デバイス用の防振装置
JP7390966B2 (ja) 曲げダンパ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200153095Y1 (ko)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메인 샤프트
CN116241607A (zh) 减振器、动力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