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232A - 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232A
KR20230031232A KR1020227045928A KR20227045928A KR20230031232A KR 20230031232 A KR20230031232 A KR 20230031232A KR 1020227045928 A KR1020227045928 A KR 1020227045928A KR 20227045928 A KR20227045928 A KR 20227045928A KR 20230031232 A KR20230031232 A KR 2023003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haft
elevator
lift platform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나토 카르파렐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3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다중 플로어들 (14, 15) 을 갖는 건물용의 운송 시스템 (1) 은 샤프트 (2),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및 리프트 (4) 를 포함한다. 사람을 수직으로 수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3) 는, 샤프트 (2) 내에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 (5), 및 샤프트 (2) 에서 카 (5) 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 (5) 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균형추 (6) 를 갖는다. 엘리베이터 카 (5) 와 균형추 (6) 는 트랙션 시브 (9) 가 있는 구동 엔진 (8) 에 의해 구동된다. 물체를 수직으로 운송하기 위한 리프트 (4) 는 자체-추진 리프트로서 설계될 수 있다. 리프트 (4) 의 리프트 플랫폼 (11) 은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므로,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플랫폼 (4) 의 수직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보다 작다.

Description

운송 시스템
본 발명은 다중 플로어를 갖는 건물의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은 사람을 수직으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및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하는 리프트를 위한 베이스를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건물의 엘리베이터가 하나의 플로어로부터 다른 플로어로 사람을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사람은 예를 들어 입구 플로어에 있는 호출 입력 단자에 호출을 입력하고, 호출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사람을 원하는 목적지 플로어로 운송한다. 이에 따라,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가 확립되었고 특히 수년 동안 성공적이었으며, 그럼으로써 엘리베이터는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벨트의 형태의 서스펜션 수단을 사용하는 트랙션 시브를 갖는 구동 엔진에 의해 샤프트 내에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는 플로어, 도어, 측벽, 후벽 및 천장을 갖는 직육면체의 카 본체를 포함한다. 카가 움직일 때 승객은 카 본체 내부에 서 있다.
위에서 언급한 사람 외에도, 건물 내에서 무인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건물에서 자율 주행 차량, 로봇 및 기타 무인 물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인터넷 구매로 인해 주문한 상품은 기껏해야 구매자의 아파트 문까지 배송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아파트 및 기타 가정의 폐기물을 수거하여 건물 밖으로 옮겨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구는 독립 청구항의 주제로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다중 플로어를 갖는 건물의 운송 시스템이 제안된다. 운송 시스템은 사람을 수직으로 운반하는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의 엘리베이터와 자율 이동 로봇이나 물품과 같은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하는 리프트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는 샤프트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리프트는 동일한 샤프트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플랫폼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 가이드 수단을 따라 안내된다. 엘리베이터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수단을 통해 카와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이동 방향으로 샤프트 내에서 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는 트랙션 시브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균형추는 샤프트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가이드 수단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는 엘리베이터와는 상이한 구동 타입을 기반으로 하므로 중복성과 유연성이 좋다. 리프트는, 샤프트 내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위치하고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샤프트 내에서 수직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플랫폼을 갖는다. 리프트 플랫폼은, 샤프트 내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플랫폼의 수직 돌출부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돌출부보다 작다.
이 운송 시스템은 건물 내에서 사람과 무인 물체를 수직으로 운송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동일한 샤프트를 사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자 및 비용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는 주거용 건물에서 쓰레기 수거 및 폐기를 위해 플로어들 사이에서 자율 로봇 또는 차량의 수직 운송에 사용될 수 있다. 로봇은 가정용 로봇으로 설계될 수 있다. 리프트의 또 다른 유리한 적용은 건물 내 우편 서비스 및 소포 배달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에 비해, 리프트 또는 리프트 플랫폼의 콤팩트하고 더 작은 설계 덕분에, 엘리베이터의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거나 약간만 영향을 받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운송 시스템은 리프트 플랫폼의 수직 돌출부가 차지하는 베이스 영역이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돌출부가 차지하는 베이스 영역의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샤프트 내에서 리프트 플랫폼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의 특별한 배치를 적용할 때, 엘리베이터 카 위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리프트 플랫폼이 위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트 플랫폼을 수직으로 위아래로 배치할 수 있다.
리프트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판형 형태 또는 편평한 구성을 갖는 단일 구조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요건을 위해 리프트는 리프트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리프트 플랫폼은 케이지의 플로어를 규정한다.
엘리베이터 카와 리프트 플랫폼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플랫폼은 그 깊이와 관련하여 리프트 플랫폼의 깊이가 엘리베이터 카의 깊이의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이 되도록 엘리베이터 카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상기 폭에 대한 측정 방향은 카의 깊이에 대한 측정 방향에 대해 직사각형일 것이다. 깊이는 샤프트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승객 흐름과 물체의 흐름의 방해받지 않고 안전한 상호 작용을 위해, 샤프트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 안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는 샤프트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플로어들 각각에 배치되고, 샤프트는 물체가 리프트 플랫폼 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는 샤프트의 전방측과 대향하는 후방측에 배치되고,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플로어들 각각에 배치되고, 후자의 플로어들 각각은 샤프트의 전방측에서 플로어들 중 이웃하는 플로어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각각은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왕복 개폐하기 위한 관련 도어 구동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신에 후방측에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이 샤프트의 측면들 중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샤프트의 전방측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이 최하층 플로어 및 물론 적어도 하나의 상부 층을 포함하고, 샤프트의 후방측 (또는 측면) 에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이 전방측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과 연관된 상기 최하층 플로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최하층 전방측 플로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의 후자는 건물의 외부를 향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물품 수령 지점 또는 로봇 보관 장소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소위 백팩 엘리베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는 배낭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백팩 엘리베이터도 프레임이 없을 수 있다. 균형추는 샤프트의 측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카 가이드 수단을 따라 안내될 수 있고, 균형추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균형추 가이드 수단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카 가이드 수단과 균형추 가이드 수단은 샤프트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다. 서스펜션 수단은 트랙션 시브가 있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에서 측면으로 배치된 편향 롤러들에 걸쳐서 안내될 수 있어서 수직 돌출부에 대해 또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에서 고려할 때 서스펜션 수단은 엘리베이터 카의 베이스 영역 외부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운행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카 가이드 수단을 따라 안내되는 전방측 지지 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카 가이드 수단 각각은 샤프트의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들 중 하나에 그리고 샤프트의 전방측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프론트색 (frontsack) 엘리베이터" 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콤팩트하고 균형잡힌 프론트색 엘리베이터 설계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대향 균형추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가 유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균형추들은 샤프트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한다.
이러한 균형추들이 균형추 가이드 수단을 따라 안내될 때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프트의 각 측면에 있는 카 가이드 수단 및 균형추 가이드 수단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중공 레일 프로파일인 공통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놀리식 본체를 규정하는 롤링된 금속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은 샤프트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균형추들은 수평으로 리프트 플랫폼의 수직 돌출부의 가장 가까운 경계에 의해 정의된 가상 경계선까지 최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2개의 대향 균형추의 각각은 측면 방향으로 깊이까지 연장되지만 리프트 플랫폼의 돌출부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송 시스템의 문제 없고 안전한 작동이 쉽게 보장될 수 있다.
강력한 운송 시스템의 경우, 리프트가 자체-추진 리프트인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진 리프트의 리프트 플랫폼은 샤프트 내에서 위아래로 오르내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와 자체-추진 리프트의 유리한 조합은 높은 유연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자체-추진 리프트는 수직으로 작동하는 마찰 휠 구동 시스템을 갖춘 리프트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찰 휠들은 관련 샤프트 또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가압된다. 리프트 플랫폼이 샤프트 내에서 위아래로 오르내리도록 할 수 있는 리니어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구동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다.
운송 시스템은 자체-추진 리프트의 리프트 플랫폼을 안내하기 위해 샤프트에 배치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안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안내 유닛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안내 유닛들 중 2개는 샤프트의 대향 측면들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안내 유닛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의 구동 유닛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는 관련 휠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유닛이 기어휠 드라이브로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자체-추진 리프트의 리프트 플랫폼은 관련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안내 유닛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전동 기어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유닛들에는 톱니형 랙, 톱니형 벨트 또는 롤러 체인과 같은 클라이밍 보조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안내 유닛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유닛당 하나의 기어휠 대신에, 안내 유닛당 함께 그룹화될 하나 이상의 기어휠이 예상될 수도 있다.
4개의 안내 유닛들이 제공될 때, 안내 유닛들이 2쌍의 수직 포스트 및 롤러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롤러 체인들 중 하나가 각각의 포스트에 부착되어 포스트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에 의해 롤러 체인들이 관련된 기어휠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롤러 체인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일종의 클라이밍 래더를 제공한다. 또한 롤러 체인들은 유지보수가 쉽다. 수직 포스트들은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리프트의 리프트 플랫폼은, 샤프트에 대해 들어오고 나갈 수 있고 플로어들에서 이동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설계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이며, 이에 따라 리프트 플랫폼은 플로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링 휠들을 포함한다. 리프트 플랫폼이 "로보카 (robo-car)" 등으로도 알려질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사람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은 플로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물품 유통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건물의 폐기물 흐름 관리에 통합될 수도 있다. 자율주행 차량은 레이더, 레이저, 라이다, 소나, GPS, 주행 거리계 및 관성 측정 유닛과 같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을 결합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장애물 및 관련 표지판뿐만 아니라 적절한 내비게이션 경로를 식별하기 위해 감각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은 예를 들어 플로어의 와이어 또는 표시된 선을 따라가는 자동 안내 차량 (AGV) 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각각은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을 왕복 개폐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은 전술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리프트 플랫폼이 샤프트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리프트 플랫폼에서 운반할 물체로서 자율 로봇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리프트는 리프트 내의 리프트 플랫폼 상에 운반될 물체로서 자율 로봇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수신기, 리프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프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컨트롤러는 리프트 플랫폼을 원하는 플로어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구동 엔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각각은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왕복 개폐하기 위한 관련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 및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 컨트롤러를 가지며, 자율 로봇이 리프트 플랫폼을 원하는 플로어로 호출하고 개방된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통해 리프트 플랫폼에 진입하여 리프트 플랫폼을 목적지 플로어로 구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수신기는 리프트 컨트롤러 및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운송 시스템의 안정적인 기능을 위해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와 리프트 플랫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와 리프트 플랫폼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리프트 플랫폼이 샤프트를 출입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설계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인 경우, 리프트 컨트롤러의 적어도 부분 제어가 리프트 플랫폼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각각은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왕복 개폐하기 위한 연관된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 및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 컨트롤러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수신기는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이 리프트 샤프트 도어를 개방하여 리프트 플랫폼이 샤프트에 대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 컨트롤러 및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상의 리프트 컨트롤러의 언급된 부분 제어와 연결된다. 그 후 리프트 플랫폼은 목적지 플로어까지 자율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및/또는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의 로컬 리프트 컨트롤러를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자율 로봇 또는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술한 복수의 신호 수신기들에서와 같이, 신호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관련된 다수의 플로어들 각각에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의 부근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기들은 자율 로봇 또는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에 통합되거나 적어도 연관된 데이터 통신 장치로부터 단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향상된 기술의 상이한 양태들은 도면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요소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기호로 식별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및 공통 샤프트의 리프트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운송 시스템의 또 다른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엘리베이터를 단순화된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운송 시스템의 리프트의 리프트 플랫폼을 나타낸다.
도 1 은 다중 플로어들을 갖는 건물 (10) 을 위한 수직 운송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운송 시스템 (1) 은 엘리베이터 (3) 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3) 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건물 (10) 의 샤프트 (2)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카 (5) 를 갖는다. 엘리베이터 카 (5) 는 주로 사람의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엘리베이터 카 (5) 는 서스펜션 수단 (7) 에 의해 균형추 (6) 와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카 (5) 및 균형추 (6) 를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 수단 (7) 은 케이블 또는 벨트 또는 여러 개의 케이블 또는 벨트로서 생각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5) 와 균형추 (6) 를 이동시키기 위해 트랙션 시브 (9) 가 있는 구동 엔진 (8) 이 사용된다. 이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의 구동 엔진 (8) 은 예를 들어 샤프트 (2) 의 샤프트 헤드 영역에 배치된다. 소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3) 대신에 샤프트 헤드의 영역의 별도의 엔진실에 구동 엔진 (8) 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설명에서 "건물" 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주거용 건물, 사무용 건물, 스포츠 경기장 또는 쇼핑 센터뿐만 아니라 선박을 의미한다.
운송 시스템 (1) 은 물체를 수직으로 운송하기 위한 리프트 (4) 를 더 포함한다. 리프트 (4) 는 샤프트 (2) 내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위치하는 리프트 플랫폼 (11) 을 포함한다.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샤프트 (2) 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플랫폼 (11) 상에서 모바일 자율주행 로봇 (예컨대, 가전 로봇) 또는 다른 무인 물체 (29) 가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유리한 운송 시스템 (1) 의 경우, 리프트 플랫폼 (11) 은, 건물의 플로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다른 플로어에 접근하기 위해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샤프트 (2) 에만 위치하거나 설치되는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으로서 설계된다.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물품 (29) 을 플랫폼의 상부측에서 또는 특수 용기를 사용하여 느슨한 물품으로서 운반 및 운송할 수 있다.
리프트 (4) 는 엘리베이터 (3) 와는 다른 구동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리프트 플랫폼 가이드 수단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 참조) 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리프트 플랫폼 (11) 은 엘리베이터 카 (5) 에 대해 샤프트 (2) 내에서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4) 는 자체-추진 리프트로서 설계되며, 이에 따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샤프트 (2) 내에서 위아래로 오르내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미도시) 을 포함한다.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와 자체-추진 리프트 (2) 의 조합은 높은 범위의 유연성을 보장한다.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는 예를 들어 건물의 플로어들 각각에 제공된 다중 랜딩 작동 패널들 (미도시) 중 하나로부터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5) 내에 제공된 카 작동 패널 (미도시) 로부터 수신된 호출에 응답하여 작동 중에 엘리베이터 카 (5) 를 변위시키기 위해 구동 엔진 (8) 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31) 를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31) 는 수신된 엘리베이터 호출을 처리하고 그에 따라 구동 엔진 (8) 을 작동시켜 서스펜션 수단 (7) 의 도움으로 샤프트 (2)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 (5) 를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또한 (미도시된) 카 도어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미도시된) 도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도어와 각각의 샤프트 도어는 카가 원하는 플로어에 도착하면 열린다. 엘리베이터 카 (5) 의 접근을 위한 이러한 샤프트 도어들은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 배치될 것이다. 이후에 후방측으로 지칭되는 샤프트 (2) 의 반대측은 13 으로 표시된다. 샤프트 (2) 는 전방측 (12) 을 후방측 (13) 과 연결하는 2개의 측면 (19) 을 더 포함한다.
리프트 플랫폼 (11) 은 원하는 플로어로의 리프트 플랫폼 (11) 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 컨트롤러 (32) 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컨트롤러 (32) 는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 (33) 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계된 송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송은 앞서 언급한 모바일 무선 통신 기술 (예컨대, WLAN/WiFi 시스템, 4G/LTE (long-term evolution)) 또는 IP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또는 유선 기술 (예컨대, 이더넷 기술) 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 중에서,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 (33) 는 운송 시스템 (1) 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고, 특히 엘리베이터 카 (5) 와 리프트 플랫폼 (11)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엘리베이터 카 (5) 아래에 위치한 리프트 플랫폼 (11) 은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플랫폼 (11) 에 대한 (여기서는 미도시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는 샤프트 (2) 의 측면들 (19)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는 다음의 도 2 에서 리프트 플랫폼 (11) 에 대한 액세스는 샤프트 (2) 의 후방측 (13) 에 배치된다.
도 2 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건물 (10) 의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표현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를 갖는 샤프트 (2) 및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와는 상이한 구동 타입에 기초하여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 (4) 가 제공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건물 (10) 은 다수의 플로어들 (14 및 15) 을 갖는다. 14 로 표시된 플로어는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과 연관되며, 이에 따라 이들 플로어들은 제 1 플로어 (14'), 제 2 플로어 (1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예시적인 최상부 플로어는 제 5 플로어 (14v) 이다. 승객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 (17) 및 인접한 카 도어 (35) 를 통해 이 전방측 (12) 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5) 에 들어갈 수 있다. 샤프트 (2) 의 반대편 후방측 (13) 에는 복수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 도어들 (18) 은 리프트 플랫폼 (11) 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적어도 높이와 관련하여 더 작은 치수를 갖는 이러한 샤프트 도어들 (18) 은 무인 물체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통상적인 사람들의 접근을 위한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각 플로어들, 즉 14', 14'', 14''', 14'v, 14v 및 플로어들 15', 15'', 15''', 15'v, 15v 은 같은 레벨에 있을 때 공통 층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플로어 14v 에 있는 사람이 건물 (10) 의 (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은) 통로 또는 홀을 통해 플로어 14v 에 도달할 수 있다.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17) 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 (14) 은 최하부 플로어 (14') 를 갖는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 (13) 의 후방측 (13) 에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 (15) 은 상기 최하부 플로어 (14') 아래에 배치된 플로어 (15N) 를 포함한다. 이 플로어 (15N) 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미도시된) 건물 입구를 통해 또는 저장 시설 또는 대기 영역으로부터 오는 자율주행 차량, 로봇 및 기타 무인 물체의 통행을 위해 배타적으로 의도될 수 있는 메인 입구 플로어의 역할을 한다.
도 2 는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의 각각이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을 왕복 개폐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 (34) 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을 개폐하기 위해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들 (34) 은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에 통합된 리프트 컨트롤러 (32)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샤프트 도어 드라이브 (34) 와 관련된 (미도시된) 신호 수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계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한다.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샤프트 (2) 에 출입할 수 있고 플로어들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설계된다.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에는 롤링 휠들 (27) 이 제공되어 (점선으로 표시된) 리프트 플랫폼 (11) 이 플로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건물 (10) 에 배치된 호스트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컨트롤러 (33) 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31)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리프트 플랫폼 (11) 의 처리 유닛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처리 유닛으로부터 리프트 컨트롤러 (32) 가 앞에 언급된다.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저장을 위해 역할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설계되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와 리프트 플랫폼 (11) 사이의 상호작용은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알려진 모바일 무선 통신 표준들 중 하나에 따라 통신을 허용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GSM, UMTS 또는 LTE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IT 인프라구조의 일부일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은 원격 컴퓨터 센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로컬에 설치되지 않고 오히려 원격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디자인에 따라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서 또는 "클라우드" 를 통해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프로그램 부분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클라우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 인프라구조에 액세스한다.
도 3 및 도 4 는 운송 시스템 (1) 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 에서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의 엘리베이터 카 (5) 는 일부 기술적 세부사항을 도시하고 있다; 물체를 수직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 (4) 의 리프트 플랫폼 (11) 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리프트 플랫폼 (11) 을 안내하는 리프트 안내 유닛들 (22) 및 위아래로 오르내기기 위한 클라이밍 구동 유닛들 (23) 이 기호로 표시된다 (아래 도 4 참조).
리프트 플랫폼 (11) 은, 위아래로 이동하기 위해 샤프트 내에 위치할 때,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와 겹치며, 이에 따라 리프트 플랫폼 (11) 의 수직 돌출부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보다 상당히 작다. 도 3 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플랫폼 (11) 은 본질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5) 내에서 완전히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조건은 또한 리프트 플랫폼 (11) 의 작은 후방측 섹션이 카의 수직 돌출부 외부에 놓일 수 있는 배치를 포함한다. 리프트 플랫폼 (11) 에 대한 용이한 접근 및 취급을 위해, 리프트 플랫폼 (11) 이 인접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이 제공되는 샤프트 (2) 의 후방측 (13) 가까이에, 더 바람직하게는 바로 근처에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리프트 플랫폼 (11) 의 수직 돌출부가 차지하는 베이스 영역은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가 차지하는 베이스 영역의 대략 50% 이다.
엘리베이터 카 (5) 는 대향하는 한 쌍의 카 가이드 수단 (20) 을 따라 안내되는 전방측 지지 카이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카 가이드 수단들 (20) 각각은 샤프트 (2) 의 측면들 (19) 중 하나에 (따라서 카의 측면들에서) 그리고 전방측 (12) 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3) 는 2개의 대향 균형추 (6) 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균형추들 (6) 은 샤프트 (2) 의 대향 측면들 (19) 에 위치된다. 균형추들 (6) 은 리프트 플랫폼 (11) 의 수직 돌출부의 가장 가까운 경계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 경계선까지 수평하게 최대로 연장된다.
균형추들 (6) 은 균형추 가이드 수단 (21) 을 따라 안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2) 의 각 측면 (19) 상의 균형추 가이드 수단 (21) 및 카 가이드 수단 (20) 은 예를 들어, 모놀리식의 롤링된 금속 프로파일로 만들어진 공통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된다. 공통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 및 균형추들의 전술한 특수 구성을 갖는 이 프런트색 엘리베이터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은 출원인의 PCT 출원 PCT/EP2019/085699 및 PCT/EP2019/086382 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공개 내용은 이후에 포함될 것이다. 엘리베이터 (3) 는 2개의 구동 엔진 (8)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균형추들 각각에 대해 하나의 구동 엔진이 제공된다.
도 4 는 엘리베이터 (3) 가 없는 리프트 (4) 에 대한 더 나은 이해 및 개요를 위해 운송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자체-추진 리프트 (4) 의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샤프트 (2) 에서 위아래로 오르내리기 위한 2개의 구동 유닛 (35) 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2개의 구동 유닛들 (35) 각각은 2개의 기어휠 (26) 을 동력화한다. 따라서, 리프트 플랫폼 (11) 은 4개의 기어휠 (26) 을 포함한다. 4개의 안내 유닛들 (22) 이 샤프트 (2) 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4개의 안내 유닛들 (22) 중 2개는 샤프트 (2) 의 대향하는 측면들 (19) 에 배치된다. 안내 유닛들 (22) 은 두 쌍의 수직 포스트들 (25) 및 롤러 체인들 (26) 을 포함하고, 롤러 체인들 (26) 중 하나는 각 포스트 (25) 에 부착되고 포스트 (25) 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에 의해 롤러 체인들 (26) 은 관련된 기어휠 (26) 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포스트들 (25) 은 중공 레일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플랫폼이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도록 롤러 체인들 및 수직 포스트들 뿐만 아니라 전동 기어휠을 갖는 유사한 리프트 플랫폼이 WO 2018/189110 A1 에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다른 기술 분야를 언급한다. 놀랍게도 본 출원인은 랙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운행하는 오더-피킹 시스템으로부터 리프트 플랫폼이 건물의 수직 운송 시스템에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발견했으며, 플로어들을 갖는 건물에서 운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샤프트 (2) 에 대해 들어오고 나갈 수 있고 플로어 (15) 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품을 공급하기 위한 자율주행 차량으로서 설계된다. 플로어 (15)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트 플랫폼은 전동 롤링 휠들 (27) 을 포함한다 (도 2 참조). 그런 다음 리프트 플랫폼 (11) 은 그 환경을 감지할 수 있고 사람의 입력 없이 플로어 상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로보-카처럼 기능한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예를 들어 플로어에 표시된 라인 또는 와이어를 따라가는 AGV 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2 는 그러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이 어떻게 샤프트 (2) 로 들어올 수 있는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샤프트 (2) 는 각 플로어 (15) 에 배치된 연장가능한 플랫폼 또는 램프 (36) 를 포함한다. 램프 (36) 는 휴지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연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어가능한 램프 (36) 의 작동을 위해, 리프트 샤프트 도어 (18) 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프트 도어 컨트롤러와 전자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미도시된) 슬라이딩 드라이브가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입구 플로어 (15N) 와 관련된 연장된 램프 (36) 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램프 (36) 덕분에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플로어 (15N) 로부터 연장 램프 (36) 를 통해 샤프트 (2) 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자체적으로 리프트 안내 유닛에 도킹하고 샤프트 (2) 내에서 오르내릴 준비가 된다. 도킹 절차 후 램프 (36) 는 휴지 위치로 다시 미끄러진다. 램프 (36) 의 각각의 폐쇄 이동은 화살표 s 로 표시된다. 이 휴지 위치에서 램프는 완전히 후퇴되어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을 위아래로 방해받지 않고서 오르내리게 할 수 있다. 샤프트 (2) 는 피트가 없는 샤프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은 이러한 램프 (36) 없이 입구 플로어 (15N) 로부터 샤프트 (2)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연장가능한 램프 (36) 는 텔레스코픽 램프를 형성하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을 플로어 (15) 로부터 샤프트 (2) 안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른 전달 수단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연장가능한 램프 (36) 대신에, 접을 수 있는 램프가 각 플로어 (15) 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을 수 있는 램프는 작동 후에 수직 휴지 위치로부터 수평 구동 위치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Claims (14)

  1. 다중 플로어들 (14, 15) 을 갖는 건물용의 운송 시스템 (1) 으로서,
    - 샤프트 (2),
    - 상기 샤프트 (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5)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의 이동 방향과 반대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 (2)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추 (6, 16) 를 갖는, 사람을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트랙션 시브 (traction sheave)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및 상기 균형추 (6) 는 트랙션 시브 (9) 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엔진 (8) 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트랙션 시브 구동 타입 엘리베이터 (3), 및
    - 상기 엘리베이터 (3) 와는 상이한 구동 방식에 기초하여 물체를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리프트 (4) 로서, 상기 리프트 (4) 는 상기 샤프트 (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플랫폼 (11) 을 갖고, 그럼으로써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의 수직 돌출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플랫폼 (4) 의 수직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의 상기 수직 돌출부보다 작은, 상기 리프트 (4)
    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의 상기 수직 돌출부에 의해 점유되는 베이스 영역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의 상기 수직 돌출부에 의해 점유되는 베이스 영역의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인, 운송 시스템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2) 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내로의 승객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17)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17) 은 상기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17)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플로어들 (14)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2) 는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의 접근 또는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상으로의 물체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은 상기 샤프트 (12) 의 전방측과는 반대의 후방측 (13) 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플로어들 (15) 각각에 배치되고, 후자의 플로어들 (15)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서 플로어들 (14) 의 이웃하는 플로어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는, 운송 시스템 (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도어들 (17) 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 (14) 이 최하부 플로어 (14') 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2) 의 후방측 (13) 에서 상기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과 관련된 다중 플로어들 (15) 이 상기 최하부 플로어 (14')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15N) 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3) 의 상기 엘리베이터 카 (5) 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카 가이드 수단 (20) 을 따라 안내되는 전방측 지지 카이고, 그럼으로써 2개의 카 가이드 수단 (20) 의 각각은 상기 샤프트 (2) 의 측면들 (19) 중 하나에 그리고 상기 샤프트 (2) 의 전방측 (12) 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는, 운송 시스템 (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3) 는 2개의 대향하는 균형추들 (6, 16) 을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균형추들 (6, 16) 은 상기 샤프트 (2) 의 대향하는 측면들 (19) 에 위치되는, 운송 시스템 (1).
  7. 제 5 항 및 제 6 항에 있어서,
    균형추들 (6, 16) 은 균형추 가이드 수단 (21) 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샤프트 (2) 의 각 측면 (19) 상의 카 가이드 수단 (20) 및 상기 균형추 가이드 수단 (21) 은 공통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운송 시스템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4) 는 자체-추진 리프트이고, 상기 자체-추진 리프트의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상기 샤프트 (2) 내에서 오르락내리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밍 구동 유닛 (23) 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을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리프트 안내 유닛들 (22) 이 상기 샤프트 (2) 에 배치되는, 운송 시스템 (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추진식 리프트 (4) 의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은 관련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상기 리프트 안내 유닛들 (22) 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전동 기어휠들 (24) 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
  11. 제 11 항에 있어서,
    4개의 리프트 안내 유닛들 (22) 이 제공될 때, 상기 리프트 안내 유닛들 (22) 은 2쌍의 수직 포스트들 (25) 및 롤러 체인들 (26) 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체인들 (26) 중 하나는 상기 포스트들 (25) 각각에 부착되고 상기 포스트들 (25) 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롤러 체인들 (26) 은 관련 기어휠 (24) 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운송 시스템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25) 은 중공 레일 프로파일들로서 형성되는, 운송 시스템 (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4) 의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은, 상기 샤프트 (2) 안밖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플로어들 (15)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설계된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은 플로어 (15)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링 휠들 (27) 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
  14.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각각은 상기 리프트 샤프트 도어들 (18) 을 왕복 개폐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들 (34) 을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리프트 샤프트 도어 구동들 (34) 은 모바일 리프트 플랫폼 (11) 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이 상기 샤프트 (2) 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때에는 상기 리프트 플랫폼 (11) 상에서 운반되는 물체로서의 자동 로봇들 (28) 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운송 시스템 (1).
KR1020227045928A 2020-06-30 2021-06-23 운송 시스템 KR20230031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3273.0 2020-06-30
EP20183273 2020-06-30
PCT/EP2021/067063 WO2022002701A1 (en) 2020-06-30 2021-06-23 Transport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232A true KR20230031232A (ko) 2023-03-07

Family

ID=71409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26A KR20230031231A (ko) 2020-06-30 2021-06-23 운송 시스템
KR1020227045928A KR20230031232A (ko) 2020-06-30 2021-06-23 운송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26A KR20230031231A (ko) 2020-06-30 2021-06-23 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271809A1 (ko)
EP (2) EP4172094A1 (ko)
JP (2) JP2023532932A (ko)
KR (2) KR20230031231A (ko)
CN (2) CN115734933A (ko)
WO (2) WO2022002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34933A (zh) * 2020-06-30 2023-03-03 因温特奥股份公司 运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528B2 (ja) * 1992-06-16 1999-01-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DE59306673D1 (de) * 1993-03-18 1997-07-10 Inventio Ag Vertikal-/Horizontal-Personenfördersystem
JP3252575B2 (ja) * 1993-12-17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76286A (ja) * 2004-12-22 2006-07-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EP2746211A1 (de) * 2012-12-19 2014-06-25 Inventio AG Wartungsverfahren für einen Aufzug
EP3093262B1 (en) * 2015-05-12 2018-10-31 KONE Corporati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arallel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elevator components
EP3093263A1 (en) * 2015-05-12 2016-11-16 Kone Corporati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ransporting material in an elevator shaft
WO2018189110A1 (fr) 2017-04-12 2018-10-18 Exotec Solutions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FI127319B (fi) * 2015-11-06 2018-03-29 Kone Corp Hissijärjestely käsittäen itsenäisesti liikkuvia hissikoreja samassa hissikuilussa ja hissijärjestelyssä käytettävä kytkentäjärjestely
MY194382A (en) * 2015-12-14 2022-11-30 Inventio Ag Method for erecting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which can be adapted to an increasing building height
EP3807205B1 (de) * 2018-06-14 2022-05-18 Inventio AG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aufzugsanlage
BR112021011177A2 (pt) * 2018-12-20 2021-08-24 Inventio Ag Contrapeso assimétrico para um sistema de elevador e sistema de elevador equipado com o mesmo
CN109850721A (zh) * 2019-01-21 2019-06-07 贝格曼电梯有限公司 三开门电梯
CN110065877A (zh) * 2019-06-04 2019-07-30 天奥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无机房三面开门电梯
CN115734933A (zh) * 2020-06-30 2023-03-03 因温特奥股份公司 运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4933A (zh) 2023-03-03
EP4172093A1 (en) 2023-05-03
EP4172094A1 (en) 2023-05-03
US20230294961A1 (en) 2023-09-21
WO2022002701A1 (en) 2022-01-06
US20230271809A1 (en) 2023-08-31
KR20230031231A (ko) 2023-03-07
JP2023531811A (ja) 2023-07-25
WO2022002702A1 (en) 2022-01-06
JP2023532932A (ja) 2023-08-01
CN115734932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031A (en) Appendable elevator system
US5090515A (en)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vehicle for use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installation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JP7054353B2 (ja) 車両搬送駐車システム
KR20230031232A (ko) 운송 시스템
EP3882198A1 (en) Elevator system crowd detection by robot
JP2006240799A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装置
CN114096480A (zh) 方法和升降机装置
KR101754966B1 (ko) 자동 주차 안내장치
JP2023018561A (ja) 垂直搬送装置
JP7358037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車両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車両誘導方法、並びに車両誘導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2021139239A (ja) 駐車支援システム、及び駐車場システム
KR20180053047A (ko) 순환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058684B2 (ja) 高層型立体駐車装置
JP3801495B2 (ja) 立体駐車場における入庫姿勢補正装置
JP7214193B2 (ja) 自動運転車用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329099B2 (ja) 駐車装置
JPH03208970A (ja) 立体駐車装置
JP2578010Y2 (ja) 移送装置を具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10327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を有した建物組込型で横行搬送装置を具備した篭の昇降式立体駐車装置
JP2003278396A (ja) 立体駐車場
JP200614430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集合住宅用建物
KR20220047194A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주차 시스템
JP2023060575A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安全確認方法並びに車両搬送台車
JP2002104788A (ja) 昇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