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20A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5220A KR20230025220A KR1020210107483A KR20210107483A KR20230025220A KR 20230025220 A KR20230025220 A KR 20230025220A KR 1020210107483 A KR1020210107483 A KR 1020210107483A KR 20210107483 A KR20210107483 A KR 20210107483A KR 20230025220 A KR20230025220 A KR 20230025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venting
- composition
- coenzyme
- respiratory disease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UUGXJSBPSRROMU-UHFFFAOYSA-N 2,3-dimethoxy-5-methyl-2-<(all-E)-3',7',11',15',19',23',27',31',35'-nonamethylhexatriaconta-2',6',10',14',18',22',26',30',34',nonaenyl>cyclohexa-2,5-dien-1,4-dion Natural products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UUGXJSBPSRROMU-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UUGXJSBPSRROMU-WJNLUYJISA-N ubiquinone-9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UUGXJSBPSRROMU-WJNLUYJI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101000860835 Homo sapiens Ubiquinone biosynthesis protein COQ9, mitochondrial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102100028230 Ubiquinone biosynthesis protein COQ9,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YNCMLFHHXWETLD-UHFFFAOYSA-N pyocyanin Chemical compound CN1C2=CC=CC=C2N=C2C1=CC=CC2=O YNCMLFHHXWETL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101001062347 Homo sapiens Hepatocyte nuclear factor 3-bet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02100029284 Hepatocyte nuclear factor 3-beta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02100022496 Mucin-5AC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01000972282 Homo sapiens Mucin-5AC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1000972276 Homo sapiens Mucin-5B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2100022494 Mucin-5B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2000052116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08700015053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YOHYSYJDKVYCJI-UHFFFAOYSA-N n-[3-[[6-[3-(trifluoromethyl)anilino]pyrimidin-4-yl]amino]phenyl]cyclopropane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FC(F)(F)C1=CC=CC(NC=2N=CN=C(NC=3C=C(NC(=O)C4CC4)C=CC=3)C=2)=C1 YOHYSYJDKVYCJ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02000013968 STAT6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8010011005 STAT6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08010081687 Glutamate-cysteine lig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000588302 Homo sapiens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100031701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001109714 Rhizobium meliloti (strain 1021) NAD(P)H dehydrogenase (quinone) 1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00884 Airway Obstru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3883 Cystic fib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9267 bronchiect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108010063954 Mucin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102000015728 Mucin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261 over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9491 signal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630 liquid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ACTIUHUUMQJHFO-UHFFFAOYSA-N Coenzym Q10 Natural products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471 coenzyme Q10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ACTIUHUUMQJHFO-UPTCCGCDSA-N coenzyme Q10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PTCCGCDSA-N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AZQWKYJCGOJGHM-UHFFFAOYSA-N 1,4-benzoqui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 AZQWKYJCGOJG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1 aroma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110767 coenzyme Q10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86 cytos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175 goblet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644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085 Chronic respir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9149 MAP kinase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40008097 MAP kin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32536 Pseudomonas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39 epiderm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92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26731 phosphor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366 phosphor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51 protein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9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616 trans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60 1H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4 2D-nuclear magnetic reso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QIGBRXMKCJKVMJ-UHFFFAOYSA-N Hydroqui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 QIGBRXMKCJKVM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101150031922 MUC5AC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05962 MUC5B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5169 Max-binding protein MNT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0 TBS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089 cyt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YGXADMDTFJGBT-VWUMJDOOSA-N hydrocortis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JYGXADMDTFJGBT-VWUMJDOO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5 immunofluorescent lab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1875 muc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43 mucus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6 non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51 pul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6107 transcriptional repress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YYGNTYWPHWGJRM-UHFFFAOYSA-N (6E,10E,14E,18E)-2,6,10,15,19,23-hexamethyltetracosa-2,6,10,14,18,22-hexa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YYGNTYWPHWGJ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VOTSOKGWSA-M .beta-Phenylacryl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VOTSOKGWSA-M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710157142 2-methylene-furan-3-one reduc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WBHETKCLVMNFS-UHFFFAOYSA-N 4',6-Diamino-2-phenylindol Chemical compound C1=CC(C(=N)N)=CC=C1C1=CC2=CC=C(C(N)=N)C=C2N1 FWBHETKCLVMN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7 ATP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91 Acacia seneg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280436 Allium schoen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16389 Alo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900 Arthrospira pla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425 Arthrospira pla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914 Aspalathus line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6162 Astragalus gummif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020 BCA Protein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4203 Caenorhabditis eleg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01986 Cassia t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52 Cassia t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49 Chlorella <Chlorell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SREVYHEPSA-N Cinn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 WBYWAXJHAXSJNI-SREVYHEP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963 Dip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19461 Garcinia xanthochy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85 Garcinia xanthochym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TTJABKRGRZYRN-UHFFFAOYSA-N Heparin Chemical compound OC1C(NC(=O)C)C(O)OC(COS(O)(=O)=O)C1OC1C(OS(O)(=O)=O)C(O)C(OC2C(C(OS(O)(=O)=O)C(OC3C(C(O)C(O)C(O3)C(O)=O)OS(O)(=O)=O)C(CO)O2)NS(O)(=O)=O)C(C(O)=O)O1 HTTJABKRGRZYR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06 Hibis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85 Hibiscus lunarii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4380 Hibiscus ros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73778 Homo sapiens NAD(P)H dehydrogenase [quinon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630355 Hymenopellis raphanip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WKSKIMOESPYIA-BYPYZUCNSA-N L-N-acetyl-Cysteine Chemical compound CC(=O)N[C@@H](CS)C(O)=O PWKSKIMOESPY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93 Lu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4949 Meta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365 NAD(P)H dehydrogenase [quinon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999 Nuclear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9610 Nuclear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8611 Protein Kinase 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89291 Quinone oxidoreduc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576 Quinone oxidoreduc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3810 RAC-alpha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3 RIPA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109 Sorghum vulgare var. nerv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34 Struthio came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HEOSNUKNHRBNM-UHFFFAOYSA-N Tetramethyl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BHEOSNUKNHR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15 Tragacant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78534 Vaccinium myrt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08 acetylcyste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56 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52 airway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99 aloe v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NAAJJQQZSMGQD-UHFFFAOYSA-N aluminum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Al] SNAAJJQQZSMG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19 anticoagulant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24 bronchial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NAQSUUGMSOBHW-UHFFFAOYSA-H calc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C(=O)CC(O)(CC([O-])=O)C([O-])=O.[O-]C(=O)CC(O)(CC([O-])=O)C([O-])=O FNAQSUUGMSOBHW-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54 calc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98 cellular respi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976 chronic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20 chronic inflam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911 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85 cinn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5 coen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8 culture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362 cyclodextr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ILAVOFMIJHSJA-UHFFFAOYSA-N di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C]=C=O VILAVOFMIJHS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description 1
- PRAKJMSDJKAYCZ-UHFFFAOYSA-N dodecahydro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6 elution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99 eth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9 eth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17 gas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12 gener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40 gradient CO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97 hep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9 hep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60 hum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890 hydrocorti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8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278 hypochromic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5 immunofluorescenc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10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8 intraperitoneal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8 jas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32 kidney be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YQCGQRIZGCHNB-JLAZNSOCSA-N l-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TYQCGQRIZGCHNB-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0 load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6 lung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46 lung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55 magnes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689 metaplastic oss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UHFFFAOYSA-N methyl p-hydroxycinnamate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RVDJDISBSALJP-UHFFFAOYSA-N methyloxidanyl Chemical group [O]C GRVDJDISBSAL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70 mitochondr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10 muc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62 natural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55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13 octoxyn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38 one-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6 o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1 parente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3 permeab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6 polyvinylpyrrolid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4 purifi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8 silica gel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27 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787 spirulina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439 squal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TUHBEKDERLKLEC-UHFFFAOYSA-N 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TUHBEKDERLKL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05 terpen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92 thaum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36 thauma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NRHNWWPFJCPAZ-UHFFFAOYSA-M thionine Chemical compound [Cl-].C1=CC(N)=CC2=[S+]C3=CC(N)=CC=C3N=C21 ANRHNWWPFJCPA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7 tragacan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6 tragacan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62 tragacant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03 transcrip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7 tricalc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의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대한 억제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코엔자임Q9은 세포 항산화능 증진 효과 및 뮤신 단백질 과잉 생성 억제효과를 가지므로, 우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액 과다 생성은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그리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만성 호흡기 질환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서 호흡기 폐색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 폐 질환의 호흡기 내 점액 축적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 환경을 조성하여 만성 염증을 유발, 점액 생성을 촉진하는 지속적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 녹농균은 이러한 호흡기 폐쇄성 질환에서 분리되는 주요 병원성 세균으로 다제성 항생제 내성과 다양한 독성물질 생산을 동반하여 치료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은 녹농균에서 유래한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하는 독소로서 숙주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의 대량 생산을 유발하여 다양한 병리 기전을 야기한다. 특히 호흡기 상피조직에서 배상세포의 과다형성과 화생을 촉진하여 점액 축적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로 보고되었다.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은 N-아세틸시스테인과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녹농균과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유발된 점액 과다 생성을 억제하는 점액 작용제가 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항산화능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들이 잠재적인 점액 작용제로서 제시되었다.
항산화제의 점액 생성 억제 효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점액 축적과 미생물 감염을 동반하는 호흡기에서는 이러한 점액 작용제의 점액 용해 및 객담 제거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녹농균의 감염이 동반된 만성 호흡기 질환의 경우,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이 지속적인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항산화제의 효과를 약화시킨다. 더불어, 세포내 해독 효소인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NQO1효소)의 활성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억제되어, 세포 내에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퀴논을 하이드로 퀴논으로 환원하는 기전이 저하되어 세포독성을 높인다. 이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항산화 제재가 활성산소를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퀴논을 환원하지 못하게 되어 녹농균 감염을 동반한 호흡기 질환에서 오히려 세포독성을 높이므로 잠재적인 약재의 개발 및 선별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이차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코엔자임Q9은 지용성 생리활성 물질로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주로 위치하여 전자전달계를 구성하고 세포 호흡을 통해 ATP 합성을 유도한다. 특히 코엔자임Q10의 경우, 인간의 세포 내에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코엔자임으로서 에너지 합성과 더불어 항산화능을 통해 세포 내 산화-환원 반응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과도한 산화스트레스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항산화능을 바탕으로 코엔자임Q10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코엔자임Q9은 코엔자임Q10과 달리 생리활성 기전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대체 약물로서 역할 또한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흑피계종(Oudemansiella raphanipes)에서 추출된 코엔자임Q9은 기존의 점액 활성제의 보조 제재로서 만성 호흡기 질환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조절을 도와 점액 생합성 항상성을 복구하며, 녹농균 감염이 동반된 호흡기 질환에서는 추가적인 세포독성 없이 점액 과다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코엔자임Q9의 뛰어난 세포 항산화능 증진 효과 및 뮤신 단백질 과잉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20150050798 A
본 발명의 목적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코엔자임Q9은 세포 항산화능 증진 효과 및 뮤신 단백질 과잉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점액 과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흡기 점액 과잉”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흡기 질환”은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MUC5AC 또는 MUC5B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FOXA2를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EGFR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STAT6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NRF-2, γ-GCS 또는 NQO-1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항산화능 증진 효과 및 뮤신 단백질 과잉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분리된 물질의 순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NP-TL와 GC/M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코엔자임Q9의 NHBE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코엔자임Q9의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 처리에 의한 세포 독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ALI 방식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 코엔자임Q9 및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이 MUC5AC, MUC5B, FOX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액내 배양법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 코엔자임Q9 및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이 MUC5AC, MUC5B, FOX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에 의해 활성화된 EGFR과 STAT6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에 의해 자극된 NHBE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코엔자임Q9의 NHBE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코엔자임Q9의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 처리에 의한 세포 독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ALI 방식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 코엔자임Q9 및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이 MUC5AC, MUC5B, FOX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액내 배양법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 코엔자임Q9 및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이 MUC5AC, MUC5B, FOX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에 의해 활성화된 EGFR과 STAT6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에 의해 자극된 NHBE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
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점액 과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기 점액 과잉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은 녹농균이 생산하는 청록색의 항균성 색소로 인간의 폐나 기도 표피 세포에서 뮤신의 과생산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기 질환은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에 의해 유발된 기도와 폐포의 이상으로 인해 지속적인 기류제한과 호흡기계 증상이 발생한 질병을 뜻하며, 흡연과 유해물질 노출에 의해 폐손상과 폐 및 전신의 염증이 발생하고, 폐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거나 폐기능이 급격히 나빠짐으로써 만성적인 기류제한이 발생한 경우에 발병하는 질환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관련된 인자로서, MUC5AC 및 MUC5B가 알려져 있으며, MUC5AC 및 MUC5B는 호흡기에서 점액 과분비와 관련된 유전자로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주요 유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MUC5AC 또는 MUC5B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MUC5AC 또는 MUC5B”는 호흡기에서 점액 과분비와 관련된 유전자로서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관련된 인자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FOXA2를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FOXA2”는 MUC5AC와 MUC5B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주요 전사 억제 인자로서, 뮤신의 발현과는 다르게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 존재하에서 FOXA2의 발현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EGFR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EGFR 경로”는 점액을 생성하는 배상세포의 발달과 FOXA2의 활성 변화를 통한 뮤신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한 신호전달 경로로 알려져있다. EGFR의 하위 인자인 AKT와 ERK1/2의 경우 피오사이아닌(pyocyanin, PCN)에 의해 인산화되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STAT6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STAT6 경로”는 점액을 생성하는 배상세포의 발달과 FOXA2의 활성 변화를 통한 뮤신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한 신호전달 경로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NRF-2, γ-GCS 또는 NQO-1 의 발현량 감소를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NRF-2”는 해독 효소인 γ-GCS와 NQO-1의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전사인자로 알려져있다.
일 측면에서,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종래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릿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식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량으로 첨가된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식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량으로 첨가된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식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량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DHA, EPA, 알로에, 스쿠알렌, 옥수수수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히비스커스, 대나무잎,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부추, 녹차, 둥글레, 감잎, 뽕잎, 작설, 현미, 보리, 루이보스, 보이, 및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능성 물질은 사료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10 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조성물의 성분은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필수 구성성분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준비예>
준비예 1. 코엔자임Q9의 분리
흑피계종 건조분말 80 g을 유기용매와 물로 버섯 건조중량의 10배의 양을 넣어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는 hexane, chloroform, methano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극성을 높여가며 추출을 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진공농축기로 농축하였다. 1차 분리는 NP-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법을 실시하여 78개의 fraction을 얻었다. 용출용매는 hexane과 ethylacetate 혼합용매로 극성을 높여가면서 분획을 하였다. 분획물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실시하여 Rf 값이 유사한 것들로 9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분리된 분획물은 다시 TLC(thick 1mm, 0.25mm)를 2차례 실시하여 순수분리를 하였다. 순수 분리 된 물질의 분리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GC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동정을 위해 UV/Vis spectrophotometer 측정과 1D-NMR(1H-NMR,13C-NMR) 및 2D-NMR(gCOSY, gHSQC, gHMB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물질 분자량 측정을 위해 FAB-MS 분석을 실시하였다.
순수 분리된 물질의 순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NP-TL와 GC/M로 확인한 결과 불순물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이후 구조 분석을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 측정, 1D, 2D-NMR 분석과 FAB-MS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토대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UV/Vis spectrophotometer 측정한 결과 275 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냈고, 250 nm에서도 peak가 확인되어 구조에 이중결합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H-NMR assign 결과, isoprenoid methyl groups 1.59, terminal methyl 1.67, isoprenoid methylenes(-CH2) 2.09 to 2.04, methyl on C-22.01, methoxyl protons(-OCH3) 3.99, isoprenoid vinyl(-CH) 5.12 ppm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Ravada et al.(2009)이 보고한 CoQ10 NMR spectrum 패턴과 shift 값이 동일하였다. 13C-NMR chemical shift값을 보면 benzene ring의 carbonyl carbon [δ184.73 and 183.88], methoxyl carbons [δ17.66 and 16.33], C2의 methyl carbon은 [δ11.95]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oprene 특유의 carbon -C, -CH signal은 각각 137.61 ppm과 124.38 ppm에서 강하게 나타났고, isoprene의 -CH2 signal은 39.72 ppm과 27.18 ppm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Vinyl의 methyl group은 δ16.00 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isoprenoid 구조의 일반적인 분석값으로 Vitamin A와 carotenoid 등의 구조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3C-NMR assignment 값과 pattern 이 Ng et. al.(2006)이 보고한 논문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코엔자임Q10의 NMR shift 값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FAB-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m/z 796.8(M+1)에서 molecular peak를 확인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NMR과 MS data를 바탕으로 순수 분리한 물질을 코엔자임Q9(C54H82O4)으로 동정하였다.
준비예 2. 세포배양
정상 인간 기관지 표피 세포(NHBE cell)는 액내 배양법과 공기-액체 접촉(ALI) 방법을 이용하여 5%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37도의 배양기에서 배양되었다. 액내 배양을 위하여 Lonza사의 SingleQuots 보충제가 들어있는 기관지 표피세포 성장 배지(BEGM)를 사용하였고, 3번의 계대 배양 이후에 세포를 트립신을 이용하여 분리한 뒤, coverslip이 있는 12-well plate와 96-well plate에 각각 면역형광염색 분석과 활성 산소 생성 확인 실험을 위하여 세포를 분주하였다.
ALI 배양법에서는 0.4 μM 사이즈의 Costar transwell insert에 5 × 104의 세포를 분주한 후, 5일 동안 액내 배양법과 같은 방식으로 well의 기저 부분과 insert 내부 모두 BEGM 배지를 넣어서 배양하였다. 이후 6일째에 기저부와 insert 내부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PnemoCult-ALI 보충제와 헤파린, hydrocortisone이 함유된 Pneumo-cult ALI 배지를 기저측에만 공급하여 세포를 공기 중에 노출하며 20일간 배양하며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21일 째에 피오사이아닌(Pyocyanin)과 코엔자임Q9을 24시간 처리하였다.
준비예 3. 단백질 추출
단백질 추출에는 액내 배양법에서 자란 NHBE 세포를 사용하였다. 전체 단백질 추출은 RIPA buffer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얼음에서 세포를 용해하였고, 이때 10분 간격으로 vortexing 해주었다. 이후 용해된 세포를 14,2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세포질과 핵내 단백질은 Nuclear & Cytoplasmic Extraction kit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얼음에서 세포질 용해 용액에서 10분간 용해한 뒤, 14,2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에서 세포질 내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펠렛은 핵 용해 용액을 이용하여 얼음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으며, 이 때 15분 간격으로 초음파 분쇄를 진행하였다. 이후 용해된 액을 14,2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핵 내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단백질의 정량은 BCA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준비예 4. Western blot 분석
동량의 단백질은 2X sample loading buffer와 100도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완성된 단백질 샘플은 10% SDS-PAGE를 통하여 분리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3시간 동안 transfer하였다. 이후 5% skim milk가 함유된 TBST에 30분간 blocking하였고, 5% BSA-TBST에 1:1000으로 희석된 1차 항체를 4도에서 overnight으로 반응시켰다. 다음 날, membrane은 HRP가 결합된 anti-rabbit이나 anti-mouse IgG 이차 항체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Clarity ECL 용액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준비예 5.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액내 배양이나 ALI 방법으로 배양된 NHBE 세포는 1시간 코엔자임Q9을 처리하고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을 24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Trizol을 이용하여 용행하였고, 용해된 액을 100% 에탄올과 1:1로 반응시킨 다음, 12,000 ×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에 포함된 RNA는 회수하여 Direct-zol RNA miniprep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RNA는 Superscript Ⅲ First Synthesis System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고, 합성된 cDNA는 Power green PCR Master Mix를 이용하여 real time PCR을 진행하였다.
준비예 6. 면역형광 분석
액내 배양법이나 ALI 방법으로 배양된 세포는 4%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15분간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TBS에 0.5% Triton-X가 함유된 투과화 용액으로 15분 반응시켜 투과성을 만들어 주었다. 이후 5% BSA가 함유된 TBS 용액에 1시간 동안 blocking하여 주고, 5% BSA가 함유된 TBS에 1:500으로 희석된 1차 항체를 overnight으로 반응시켜 주었다. 다음날, 세포는 Alexa flour 488이 결합된 anti-rabbit IgG와 Alexa flour 568이 결합된 anti-mouse IgG 2차 항체를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핵은 DAPI로 15분간 염색하였다. 시각화는 Nikon A1R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준비예 7.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용액은 95% 에탄올에 120 μM로 준비하였다. 10 μL의 코엔자임Q9 용액과 190 μL의 DPPH 용액을 96-well plate에서 30분간 상온에서 암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517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준비예 8. 활성산소종 확인 실험
활성산소종의 발현량은 OxiselectTMinvitroROS/RNSassaykit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예>
실험예1. 코엔자임Q9의 NHBE 세포에서 피오사이아닌에 의한 독성에 대한 보호
코엔자임Q9의 NHBE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였을 때, 100 μM의 농도까지 24시간이나 48시간 배양에도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이후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세포독성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은 5 μg/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별다른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10 μg/m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을 처리하였을 때,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세포 사멸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b).
실험예2. 코엔자임Q9의 피오사이아닌에 의해 자극된 NHBE 세포에서 뮤신 MUC5AC, MUC5B와 FOXA2의 발현에 대한 효과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은 인간의 폐나 기도 표피 세포에서 뮤신의 과생산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알려져있다. 5 μg/mL 농도의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이 세포에 대하여 독성이 없기 때문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먼저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뮤신 과생산을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면역형광 염색 결과에서 피오사이아닌(Pyocyanin)만 처리된 ALI 방식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는 주요한 두 뮤신인 MUC5AC와 MUC5B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코엔자임Q9을 전처리하였을 때는 MUC5AC와 MUC5B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및 3b). FOXA2는 MUC5AC와 MUC5B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주요 전사 억제 인자로서, 뮤신의 발현과는 다르게 피오사이아닌(Pyocyanin) 존재하에서 FOXA2의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 시에 FOXA2의 발현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뮤신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및 3b). 단백질 발현과 마찬가지로 전사 수준에서도 피오사이아닌(Pyocyanin) 처리시 MUC5AC와 MUC5B의 RNA 발현량이 증가하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에 의하여 두 뮤신 유전자의 발현이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c). 반면에 FOXA2 유전자는 피오사이아닌 처리에 의하여 RNA 발현이 감소하였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 시에는 발현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c).
ALI 방법으로 배양된 것과 마찬가지로 액내 배양법으로 배양된 NHBE 세포에서도 피오사이아닌(Pyocyanin)으로 자극될 시 MUC5AC와 MUC5B의 발현량은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증가하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시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a, 4b 및 4c). 마찬가지로 FOXA2 발현 역시 피오사이아닌(Pyocyanin) 자극에 의해서는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에 의해서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a, 4b 및 4c).
따라서 코엔자임Q9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FOXA2 억제에 의한 뮤신 과생산을 억제하며, 이는 FOXA2의 발현을 다시 회복시킴에 의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3. 피오사이아닌에 의해 자극된 NHBE 세포에서 EGFR과 STAT6 유래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코엔자임Q9의 효과
EGFR과 STAT6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 경로는 점액을 생성하는 배상세포의 발달과 FOXA2의 활성 변화를 통한 뮤신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한 신호전달 경로로 알려져있다. 특히 기도 표피 세포에서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EGFR과 STAT6 경로에 의한 FOXA2의 발현 변화는 뮤신 과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활성화된 EGFR과 STAT6 신호전달 경로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EGFR와 그 하위 인자인 AKT와 ERK1/2의 경우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하여 자극되면 인산화되어 활성화 되었으며, 코엔자임Q9을 전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인산화가 감소하여 활성화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5b). 유사하게 코엔자임Q9 전처리는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일어나는 STAT6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c 및 5d).
따라서 코엔자임Q9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EGFR, AKT, ERK1/2 및 STAT6의 인산화에 의한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뮤신 과생산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4. 코엔자임Q9의 피오사이아닌에 의해 자극된 NHBE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 기작 확인
피오사이아닌(Pyocyanin)이 세포 내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과 기능을 조절함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코엔자임Q9이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활성산소종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코엔자임Q9 전처리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유도된 활성산소종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a).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을 시, 동량의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20%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b). 따라서 코엔자임Q9이 자유 라디칼과 활성산소종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항산화 기작 확인을 위하여 해독 효소인 γ-GCS와 NQO-1의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전사인자인 NRF-2의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지만, 코엔자임Q9 전처리에 의해서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c). 핵 내 NRF-2의 발현량도 코엔자임Q9에 의해 조절되었으므로, NRF-2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γ-GCS와 NQO-1의 mRNA 수준에서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γ-GCS와 NQO-1의 mRNA 발현량 역시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하여 증가하지만, 코엔자임Q9을 같이 처리하였을 때에는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d).
따라서 코엔자임Q9의 자체적인 항산화능과 더불어 세포 내 항산화 기전을 유도하여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뮤신 단백질 생성과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점액 과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점액 과잉은 피오사이아닌(Pyocyanin)에 의한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UC5AC 또는 MUC5B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FOXA2를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GFR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TAT6 경로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점액 과분비에 따른 기도 폐쇄를 억제하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RF-2, γ-GCS 또는 NQO-1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7483A KR102673539B1 (ko) | 2021-08-13 | 2021-08-13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7483A KR102673539B1 (ko) | 2021-08-13 | 2021-08-13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5220A true KR20230025220A (ko) | 2023-02-21 |
KR102673539B1 KR102673539B1 (ko) | 2024-07-10 |
Family
ID=8532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7483A KR102673539B1 (ko) | 2021-08-13 | 2021-08-13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353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0798A (ko) | 2013-11-01 | 2015-05-1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
2021
- 2021-08-13 KR KR1020210107483A patent/KR102673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0798A (ko) | 2013-11-01 | 2015-05-1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Acta. Obsetet Gynecol Scand, 78, 669-674, 1999. * |
Antioxidants, 10, 261/1-28, 2021. * |
J. Clin. Biochem. Nutr., 46, 244-251, 201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3539B1 (ko) | 2024-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112B1 (ko) |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 |
KR20100070664A (ko) | 인돌-3-카비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지방간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47626A (ko) | 안토시아닌-후코이단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제,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 부작용 완화제 | |
Park et al. | Kimchi and an active component, β-sitosterol, reduce oncogenic H-Rasv12-induced DNA synthesis | |
KR101559483B1 (ko) |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 |
KR101787008B1 (ko) |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WO2024106501A1 (ja) | Gabaを有効成分とする乳腺組織の健康維持剤 | |
KR101816601B1 (ko) |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673539B1 (ko) | 코엔자임q9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점액 과잉 생산에 따른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090123195A (ko) | 시력 개선용 조성물 | |
KR100794610B1 (ko) |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 |
KR101787007B1 (ko) |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WO2007034958A1 (ja) |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 |
KR101715676B1 (ko) | 산꼬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ks 51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염증,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44607B1 (ko) |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 |
JP2007015958A (ja) | 神経成長因子産生促進剤 | |
KR101794924B1 (ko) |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 |
JP5392451B2 (ja) | 抗腫瘍剤及び免疫賦活剤 | |
KR101787006B1 (ko) | 이리도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676617B1 (ko) |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659689B1 (ko) | 유근피로부터 (2R,3R)-에피카테킨-7-O-β-D-아피오퓨라노사이드를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 | |
KR102362988B1 (ko) |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537579B1 (ko) | 곰팡이 아스퍼질러스 테레우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 |
KR102336045B1 (ko) |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470613B1 (ko) |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