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988B1 -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988B1
KR102362988B1 KR1020210035832A KR20210035832A KR102362988B1 KR 102362988 B1 KR102362988 B1 KR 102362988B1 KR 1020210035832 A KR1020210035832 A KR 1020210035832A KR 20210035832 A KR20210035832 A KR 20210035832A KR 102362988 B1 KR102362988 B1 KR 10236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y protein
muscle
protein hydrolyzate
group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준
박형수
안향설
김재환
신중철
안승일
정세영
Original Assignee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23J3/341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animal proteins
    • A23J3/343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animal proteins of 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23K10/2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from waste dai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근위축을 억제시키고 근합성을 증가시키며, 악력, 근육량 및 근섬유 단면적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protecting or treating of muscle disease, or improvement of muscle function comprising whey protein hydrolysate and Panax ginseng berry extract}
본 발명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근육은 중배엽의 줄기세포가 발현되는 조직으로서, 40세 이후부터 매년 1% 이상씩 감소하며, 80세가 되면 최대 근육량의 50% 수준이 감소되고, 노년의 근육 감소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상기 근육은 골격근육, 심장근육, 내장근육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각각의 위치에서 힘을 만들어 내고 움직임을 유발한다. 이중에서 골격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관으로 총 몸무게의 40-50%를 차지하며 근섬유(myoblast)로 구성되어 에너지 항상성 및 열생성 등을 비롯한 체내 여러 대사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은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노화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고, 근육의 감소가 일어나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J. Appl. Physiol. 2003, v.95, pp. 1717-1727).
근력이란 어떤 저항(무게, 힘)에 대하여 근육이 한 번에 최대로 낼 수 있는 힘으로서 근육의 능력 즉 근육이나, 근조직이 단 한 번에 발휘할 수 있는 최대의 힘이다. 근력은 노화 및 피로, 운동부족, 각종 질병, 스트레스의 가중, 영양불균형, 술, 담배 등으로 약화될 수 있다. 이렇게 야기된 근력의 약화는 운동수행능력이 떨어지게 하여 체력저하 및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근위축(Muscle atrophy)이란 근육량의 점진적 감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근육의 약화 및 퇴행을 일컫는 것으로서(Cell, 119(7): 907-910, 2004), 비활동, 산화적 스트레스, 만성 염증에 의해 촉진되며 근육 기능과 운동 능력을 약화시킨다(Clin. Nutr., 26(5): 524-534, 2007).
근기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근육량이며, 이는 단백질 합성과 분해의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근 위축증은 단백질 분해가 합성보다 더 일어날 때 발생한다(Int. J. Biochem. Cell Biol., 37(10): 1985-1996, 2005).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forhead box (FoxO)가 세포질에서 핵 내로 이동하면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E3 ubiquitin ligase인자 atrogin-1와 muscle RING-finger protein-1 (MuRF-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Dis. Model. Mech., 6: 25-39, 2013). 이들의 발현량이 증가하면 근육 내의 단백질 분해가 촉진되어 근육량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은 오가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식물로 한반도가 원산인 우리나라의 특유의 약용식물로 2,000여년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인삼은 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인삼재배농가에서는 6년근 재배 시 인삼근의 성장을 촉진하고 종자를 확보하기 위해 4년생 때 종자를 수확하고 3년생, 5년생, 6년생 때는 종자를 받지 않고 꽃대뿐 아니라 줄기부터 원천적으로 모두 제거하여 연간 3천여 톤의 열매가 버려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인삼열매에 활성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남성 성기능 개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050호), 파킨슨병/알츠하이머 예방 및 치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497호), 제2형 당뇨병 치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4502호) 등과 관련된 여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19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999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육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80 내지 150 mg/kg/day,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600 내지 1200 mg/kg/day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할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은 치즈 유청 유래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타맥스(Protamax)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이며;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상기 혼합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Leu-Asp-Ile-Gln-Lys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5 내지 40 mg/g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근육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myasthenia), 근경직증(myotonia),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용 조성물은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근육의 비대가 유도되었고, 근기능이 개선되었으며, 근감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수준으로 발현되므로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근육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되므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상군,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상군,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근기능을 개선하거나, 근육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유청단백은 우유 단백질에서 커드를 분리하여 치즈를 제조하면서 만들어진 치즈 유청 유래이다.
이러한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삼열매 추출물은 종자를 포함하는 인삼열매, 종자가 제거되어 과육 및 과피를 포함하는 인삼열매, 또는 종자 및 과피가 제거된 인삼열매 과육 중에서 선택하여 추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5-15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6-10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인삼열매 추출물을 기준으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근위축 억제; 근합성 증가; 악력, 근육량 및 근섬유 단면적의 향상 등의 효과가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오히려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인삼열매 추출물은 80 내지 150 mg/kg/day,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0 mg/kg/day이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600 내지 1200 mg/kg/day,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000 mg/kg/day로 사용되는 것이다.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여과를 통해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청단백을 1차 가수분해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7.0-8.5인 알칼라아제(Alcalase),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5.0-11.0이고 최적 온도가 60 ℃인 프로타맥스(Protamax) 또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8.0-12.0이고 최적 온도가 40-50 ℃인 푸드프로 알칼라인 프로테아제(Foodpro Alkaline protease)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 및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효소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효소에서 알칼라아제(Alcalase)를 기준으로 프로타맥스(Protamax)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또한, 2차 가수분해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5.0-7.0이고 최적 온도가 50 ℃인 플라보자임(Flavourzyme) 또는 프로자임(Prozyme 2000P)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가 아닌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낮거나 없을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로 함유되며; 류신(Leu), 이소류신(Ile) 및 발린(Val)을 지칭하는 BCAA 아미노산은 155 내지 180 mg/g,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70 mg/g이다.
상기 아미노산 성분의 함량, 전체 아미노산 중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및 BCAA 아미노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해야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0.1 내지 5000 Da,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3500 Da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Leu-Asp-Ile-Gln-Lys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5 내지 40 mg/g,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 mg/g,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mg/g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단계 이후에 (E)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pH 7.0-7.5 하에서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의 환경에서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킨다.
유청단백을 용해 시 온도 및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청단백이 용해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에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가 투입되어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는 서로 다른 2종의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를 사용하면 단백질을 사슬의 안쪽에서부터 분해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단백질을 중간중간 분해해서 중간 길이의 펩타이드, 특히 소수성 펩타이드가 끝부분에 노출되는데 이렇게 펩타이드가 끝부분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여 관능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 단계에서 제2 단백질 분해효소로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의 중량부로 사용된다. 혼합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중간 길이의 펩타이드만 다량으로 생성되어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가수분해는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2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된다. 1차 가수분해 시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1차 가수분해가 완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의 pH는 6.0-7.0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상기 (B)단계에서는 혼합효소에 의해 관능성이 저하되므로 (C)단계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사용함으로써 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를 생성하여 관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1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의 중량부로 투입된다. 제2 단백질 분해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가 적게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2차 가수분해는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10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시간 동안 수행된다. 2차 가수분해 시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2차 가수분해가 완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D)단계 이전에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80 내지 100 ℃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상온(23 내지 26 ℃)에서 냉각시킨 후 냉각된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D)단계에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더욱 우수한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하여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지 않은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3-20배 효과가 낮다.
상기 여과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필터를 이용한 여과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80 내지 100 ℃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시킨다.
상기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분무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 후 자성물질을 제거한 다음 30 내지 40 mesh의 여과장치로 여과시켜 최종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인삼열매 추출물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인삼열매와 추출용매를 1 : 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 :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내지 100 ℃에서 5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감압농축을 수행하여 수득한다. 상기 인삼열매와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인삼열매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인삼열매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열수 추출물이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인삼열매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한 추출물, 이들로부터 분획한 분획물, 이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농축한 농축물, 이를 정제 또는 분리한 정제물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분획물,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건조한 건조물 또는 그를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정제물의 제조를 위해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여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myasthenia), 근경직증(myotonia),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아나카딕산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안료 및 천연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미스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자외선 차단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마스크팩,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WPS)
유청단백(WPC)과 50 ℃의 물을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조를 이용하여 pH를 7.0 내지 7.5로 조절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혼합효소(알칼라아제(Alcalase 2.4L FG, Novo Nordisk 사) : 프로타맥스(Protamax, Novo Nordisk 사) = 1 : 1의 중량비)를 0.4 중량부로 투입하여 50 ℃에서 4시간 동안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1차 가수분해 반응 종료 시 pH는 6.0 내지 7.0이다.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플라보자임(Flavourzyme 1000L, Novo Nordisk 사)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50 ℃에서 15시간 동안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 후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하우징 필터(1 ㎛)로 여과시켜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90 ℃에서 30분 동안 살균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분무건조(온도조건은 inlet: 190 ℃, outlet: 100 ℃; 수분증발량은 1 내지 3 kg/hr)로 건조시키고 10,000 Gaus의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40 mesh의 여과지로 여과시켜 분말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GBE)
4년생 이상의 인삼으로부터 수확한 인삼열매 100 kg을 세척하고, 세척한 인삼열매를 3배 가량의 정제수와 함께 종자분리기에 넣고 분리과정을 거쳐, 종자를 제외한 인삼열매와 물을 90 ℃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혼합하여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인삼열매 추출물(GBE)
4년생 이상의 인삼으로부터 수확한 인삼열매 100 kg을 세척하고, 세척한 인삼열매를 3배 가량의 정제수와 함께 종자분리기에 넣고 분리과정을 거쳐, 종자를 제외한 인삼열매와 물을 90 ℃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WPS)
유청단백(WPC)과 50 ℃의 물을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조를 이용하여 pH를 7.0 내지 7.5로 조절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혼합효소(알칼라아제(Alcalase 2.4L FG, Novo Nordisk 사) : 프로타맥스(Protamax, Novo Nordisk 사) = 1 : 1의 중량비)를 0.4 중량부로 투입하여 50 ℃에서 4시간 동안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1차 가수분해 반응 종료 시 pH는 6.0 내지 7.0이다.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플라보자임(Flavourzyme 1000L, Novo Nordisk 사)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50 ℃에서 15시간 동안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 후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하우징 필터(1 ㎛)로 여과시켜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90 ℃에서 30분 동안 살균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분무건조(온도조건은 inlet: 190 ℃, outlet: 100 ℃; 수분증발량은 1 내지 3 kg/hr)로 건조시키고 10,000 Gaus의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40 mesh의 여과지로 여과시켜 분말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Ⅰ>
시험예 1.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이용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산가수분해법으로 분해한 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조성을 측정하였다. 즉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 25 mg을 cap tube에 정확히 칭량하여 넣은 후 2.5 mL의 6 N HCl을 가하고 110 ℃에서 24시간 가수분해하였다. 3G-4 glass filter로 미가수분해물질을 제거한 여액은 회전진공증발기(N-1110, EYELA, Tokyo, Japan)로 50 ℃에서 완전히 용매를 휘발시킨 후 0.01 N HCl를 사용하여 25 mL로 정용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은 시료 용액 40 uL를 주입하여 아미노산 자동분석기(Biochrom 30, Cambridge, UK)로 분석하였다.
아미노산(mg/g)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
Asp 81.56
Thr 54.29
Ser 39.78
Glu 129.96
Pro 43.75
Gly 14.57
Ala 38.81
Cys 10.08
Val 36.91
Met 15.08
Ile 40.57
Leu 77.84
Tyr 19.55
Phe 24.91
His 13.75
Lys 68.32
Arg 18.29
Trp 10.63
Ile+Leu+Val 155.32
시험예 2. 분자량 측정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0.01 g에 이차 증류수 490 uL와 0.1% TFA를 포함한 acetonitrile 500 uL를 가하여 용해한 후 MALDI-Tof 질량분석기(4700 Proteomics Analyzer, Applied Biosystems, MA, USA)로 질량분포를 확인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210 내지 2800 Da이며 CHCA matrix 피크를 배제한 주요 펩타이드의 피크는 324 m/z, 496 m/z, 611 m/z, 1375 m/z, 1700 m/z, 1880 m/z였고 주로 1700 m/z이하에서 많은 펩타이드 피크들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지표펩타이드 함량 측정
지표펩타이드 합성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확인한 지표펩타이드 Leu-Asp-Ile-Gln-Lys(LDIQK)는 일반고상합성법에 따라 앱클론 사(서울, 한국)에서 합성하였으며 합성 펩타이드 LDIQK의 분자량과 순도는 각각 615.73 Da과 95.05%였다.
지표펩타이드의 정량
지표펩타이드의 정량은 Watchers 120 ODS-BP(4.6x250 mm, 5 um)를 장착한 Agilent 1260 infinity HPLC 시스템(Santa Clara, CA, USA)과 Shimdzu HPLC prominence 시스템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장비를 제외한 분석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별도의 전처리를 하지 않고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시료분말 0.5 g을 HPLC급 증류수에 완전히 녹여 10 mL로 정용한 후 원심분리(7,500xg, 20 min)하여 얻은 상층액을 0.20 um 실린저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농도 확인을 위해 Biuret법으로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HPLC시스템에서 지표펩타이드 정량을 위한 분석조건은 표 2와 같으며, 지표펩타이드(LDIQK)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32480037-pat00001
구분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
LDIQK(mg/g) 23.46±2.47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 어린 마우스
마우스의 뒷다리 고정(hindlimb immobilization, IM)을 실시하는 근육 위축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근육 위축을 형성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료 투여를 통해 근육 위축이 회복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0 g 내외의 5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구입하여((주)라온바이오) 온도 21±2 ℃, 상대습도 50±5% 및 300-500 Lux의 조도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동물사육실에서 1주일 순화시켰다. 그 후 육안적 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일반 고형 사료와 물은 3일 간격으로 섭취량을 측정하고, 동물실험은 경희대학교 실험동물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진행하였으며,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publication No. 86-23, revised 198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기 마우스를 이용하여 1주간 IM을 진행한 뒤, 상기 1주일 후 2주간 IM과 동시에 사료를 각각 투여하였다. 실험군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유도군(근육 위축 유도군, IM), 양성 대조군(오미자 추출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근력개선에 도움을 중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 인정을 받음), 실시예 1(WPS+GBE), 비교예 1(GBE) 및 비교예 2(WPS)로 각 군당 8마리씩으로 진행하였다. 시험물질은 모두 CMC(carboxy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에 녹여 투여하였다.
다리 고정은 참고 문헌(You et al. ;The role of mTOR signaling in the regulation of protein synthesis and muscle mass during immobilization in mice, 2015)의 방법을 이용하여 1.5 ml 마이크로튜브(microtube), 클립, 벨크로 테이프로 제작한 고정 기구를 마우스 한쪽 뒷다리에 끼워 운동성 제한을 부여해 근육 위축 모델을 형성하였다.
-6개 군의 마우스-
정상군(Normal): 근육 위축을 형성하지 않고 0.5% CMC 투여
유도군(IM):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 대신 0.5% CMC 투여
양성 대조군 100(SFE): 근육 위축 후 오미자 추출물 100 mg/kg/day 투여
실시예 1 900(WPS+GBE): 근육 위축 후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900 mg/kg/day 투여
비교예 1 100(GBE): 근육 위축 후 비교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GBE) 100 mg/kg/day 투여
비교예 2 800(WPS): 근육 위축 후 비교예 2의 가수분해물(WPS) 800 mg/kg/day 투여
시험예 4. 악력 변화 측정
다리 고정 및 시료 투여를 진행하는 동안 grip strength test(Bioseb, Fracne)기기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악력 변화를 3일마다 측정하였다. 이때, 마우스가 네 발로 악력 측정기의 mesh를 잡게 한 뒤 실험자가 꼬리를 잡아서 mesh에서 떼어내었을 때의 최대 악력값(g)을 측정하였으며 마우스 한 마리당 5번 측정한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상기 평균값을 몸무게에 대한 비율로 표준화하였다.
구분(단위: g/g)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100 실시예 1 900 비교예 1 100 비교예 2 800
Day 0 7.0±1.0 7.0±0.8 7.0±0.4 7.1±0.7 7.0±0.6 6.9±0.4
Day 3 7.2±0.8 6.4±0.7##1) 6.2±0.5 6.4±0.7 6.3±0.5 6.3±0.5
Day 6 7.3±0.9 6.2±0.7## 6.1±0.5 6.3±0.7 6.2±0.6 6.2±0.6
Day 9 7.3±0.9 5.9±0.6## 5.9±0.4 6.1±0.7 6.0±0.7 6.1±0.8
Day 12 7.4±0.9 5.8±0.4### 5.7±0.3 6.0±0.5 5.7±0.6 5.8±0.6
Day 15 7.3±0.6 5.9±0.3### 5.9±0.6 6.3±0.3*2) 6.4±0.4* 6.2±0.2
Day 18 7.5±0.9 5.7±0.6### 5.8±0.7 6.5±0.6** 6.3±0.6* 6.2±0.5*
Day 21 7.6±0.4 5.4±0.4### 5.6±0.6 6.4±0.6** 6.3±0.8* 6.0±0.2**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1,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의적 차이(*p<0.05,**p<0.01)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900 투여군의 악력은 유도군에 대비하여 day 18, day 21에서 각각 14%, 18%가 향상되었으며, 이는 비교예 1 100이 day 18, day 21에서 각각 10%, 16% 향상되고, 비교예 2 800이 day 18, day 21에서 각각 8%, 11% 향상된 것에 비하여 더 높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악력은 실시예 1 900 투여군(GBE+WPS) > 비교예 1 100 투여군(GBE) > 비교예 2 800 투여군(WPS) >> 양성 대조군 100(SFE) 순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몸무게에 대한 근육조직의 비율 측정
실험 종료 후 sacrifice하여 한 쪽 뒷다리의 대퇴사두근(quadriceps)과 장딴지근(Gastrocnemius) 그리고 가자미근(Soleus)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한 data를 체중과 비례하여 표준화한 후 비교하였다.
구분(단위: mg/g)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100 실시예 1 900 비교예 1 100 비교예 2 800
대퇴사두근 5.14±0.04 3.70±0.37###1) 4.12±0.31 4.68±0.32**2) 4.15±0.40 4.13±0.08*
장딴지근 6.10±0.02 4.45±0.36### 4.82±0.31 5.16±0.35* 4.90±0.23* 4.95±0.27*
가자미근 0.41±0.06 0.27±0.04## 0.29±0.04 0.33±0.03* 0.31±0.04 0.28±0.05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1,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의적 차이(*p<0.05,**p<0.01)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 100, 비교예 1 100 투여군, 비교예 2 800 투여군 및 실시예 1 900 투여군의 근육양은 유도군에 대비하여 가자미근이 각각 7%, 15%, 5%, 22% 향상되었으며, 장딴지근이 각각 8%, 10%, 11%, 16% 향상되었고, 대퇴사두근이 각각 11%, 12%, 11%, 26%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가자미근, 장딴지근 및 대퇴사두근 모두에서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근육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근섬유 단면적 확인
가수분해물이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섬유 단면적 감소를 개선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직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예 5에서 수득된 장딴지근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단면적을 관찰하기 위해 염색된 근육 조직을 근육 결에 90도 방향으로 잘라내어 4 ㎛ 두께의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절편을 hematoxylin and eosin(H&E)으로 13시간 동안 염색한 뒤 광학 현미경(Olympus, Tokyo, Japan)을 통해 100배에서 관찰하였다. 그 후 Image J software를 통해 각 근섬유의 단면적(cross-sectional area, CSA) 정량화를 진행하였다.
구분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100 실시예 1 900 비교예 1 100 비교예 2 800
CSA(㎛2) 1800.3±177.3 906.7±127.5###1) 1056.2±57.8*2) 1294.2±93.4*** 1183.3±95.2** 1157.4±81.3**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유의적 차이(*p<0.05,**p<0.01, ***p<0.001)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100, 비교예 1 100 투여군, 비교예 2 800 투여군 및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근섬유 단면적은 각각 16%, 31%, 28%, 43%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근섬유 단면적이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섬유 단면적값에 따른 근섬유의 분포를 나타내었을 때 양성 대조군 100 < 비교예 2 800 투여군 < 비교예 1 100 투여군 < 실시예 1 900 투여군 순으로 정상군과 가까운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Ⅱ>
실험동물; 어린 마우스
마우스는 시험예 Ⅰ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으며, 각 군당 9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6개 군의 마우스-
정상군(Normal): 근육 위축을 형성하지 않고 0.5% CMC 투여
유도군(IM):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 대신 0.5% CMC 투여
양성 대조군 200(SFE 200): 근육 위축 후 오미자 추출물 200 mg/kg/day 투여(효능이 검증된 농도임)
실시예 1 900: 근육 위축 후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900 mg/kg/day 투여
실시예 1 890: 근육 위축 후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90 mg/kg/day) 890 mg/kg/day 투여
실시예 1 1075: 근육 위축 후 실시예 1의 혼합물(WPS 1000 mg/kg/day+GBE 75 mg/kg/day) 1075 mg/kg/day 투여
시험예 Ⅰ의 실시예 1(900)의 수치와 시험예 Ⅱ의 실시예 1 900의 수치는 실험동물의 개체 차이로 인하여 약 10 내지 15%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시험예 7. 악력 변화 측정
상기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단위: g/g)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투여 전 8.5±0.3 8.6±0.7 8.6±0.7 8.6±0.7 8.6±0.7 8.6±0.7
Day 0 8.9±0.7 6.8±0.5###1) 6.7±0.3 6.8±0.5 6.9±0.4 6.7±0.4
Day 7 8.4±0.4 6.1±0.6### 6.5±0.6 6.6±0.5 6.6±0.6 6.5±0.6
Day 14 8.5±0.4 6.0±0.2### 7.2±0.5***2) 7.4±0.2*** 7.2±0.2*** 7.0±0.5***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01)
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은 악력이 유도군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며, 양성 대조군 200과는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몸무게에 대한 근육조직의 비율 측정
상기 시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단위: mg/g)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대퇴사두근 4.80±0.28 3.54±0.72###1) 4.30±0.22*2) 4.24±0.20* 4.30±0.18* 4.30±0.26*
장딴지근 6.07±0.21 4.60±0.07### 4.91±0.19* 5.10±0.25*** 4.96±0.14* 4.79±0.12
가자미근 0.370±0.021 0.216±0.033### 0.274±0.041 0.276±0.044 0.276±0.041 0.262±0.023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p<0.001)
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의 근육양은 대퇴사두근(Quadriceps), 장딴지근(Gastrocnemius), 가자미근(Soleus)에서 유도군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며, 양성 대조군 200과는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근섬유 단면적 확인
상기 시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다.
구분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CSA(㎛2) 2956±178 1604±50###1) 2127±149***2) 2364±348*** 2161±216*** 2100±138***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01)
위 표 9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의 근섬유 단면적은 유도군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며, 양성 대조군 200과는 유사하거나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900 투여군의 근섬유 단면적은 양성 대조군 200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량화 결과를 근섬유 단면적의 분포로 나타내었을 때, 정상군은 주로 2500~3000 사이의 단면적이 가장 많아 제일 오른쪽에 분포하며, 유도군은 주로 1000~2000 사이의 단면적이 가장 많아 제일 왼쪽으로 치우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은 주로 2000~2500 사이에 단면적이 가장 많았으며, 투여군 중에서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가장 오른쪽으로 분포하여 우수한 회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근섬유 단면적 정량 결과와 일치한다.
시험예 10.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 확인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분해와 관련된 인자인 Foxo3a, MuRF-1, Atrogin-1 및 Bnip3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과 qRT-PCR을 진행하였다. Foxo3a는 근육 위축 관련 인자들의 전사 인자로 phosphorylation되면 cytosol로 localization되어 활동이 저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Atrogin-1과 MurF1은 근육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ubiquitin ligase로서 근육 위축 시 근육 단백질을 분해하는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Bnip3는 mitophagy 및 autophagy와 관련된 인자로 근육 위축 시 그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적출한 장딴지근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사용하여 용해하고 13000xg, 4 ℃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을 BCA assay kit를 통해 정량한 후 동일한 단백질 양을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여 분리한 다음 분리된 단백질들을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membrane)으로 전달한 뒤 멤브레인을 5(v/v)% 스킴 밀크(skim milk)로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고, 1차 항체를 4 ℃에서 오버 나잇(overnight), 2차 항체를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단백질의 발현량의 측정은 증강 화학발광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용액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의 단백질 밴드를 가시화하고 Image J softwar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다.
하기 표 10은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단백질 발현을 정량화한 것이며; 도 11은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mRNA 발현을 정량화한 것이다.
구분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p-FoxO3a/t-FoxO3a 1.00±0.08 0.71±0.04###1) 0.88±0.02*2) 0.94±0.14** 0.85±0.03 0.82±0.07
MuRF1 1.00±0.11 1.33±0.101### 1.14±0.08 1.09±0.16** 1.14±0.12* 1.21±0.11
Atrogin-1 1.00±0.07 1.30±0.12## 1.09±0.19 1.03±0.16 1.09±0.06 1.11±0.05
Bnip3 1.00±0.09 1.30±0.07### 1.17±0.01* 1.12±0.08** 1.14±0.04** 1.17±0.04*
p62 1.00±0.07 1.28±0.05## 1.08±0.15 0.92±0.11* 1.05±0.14 1.15±0.15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1,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p<0.01)
구분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Atrogin-1 1.00±0.20 3.27±1.00#1) 1.77±0.70 1.41±1.01*2) 1.81±0.93 2.13±0.64
MurF1 1.00±0.22 2.47±0.28# 1.60±0.55 1.09±0.32* 1.48±0.77 1.70±0.09
Bnip3 1.00±0.97 3.96±1.33# 2.58±0.65 1.84±1.05 2.22±1.49 2.11±1.35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5)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
Foxo3a의 단백체 발현은 p-Foxo/Foxo 비율로 측정하였다.
위 표 10, 표 1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유의성 있게 29% 감소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32%, 24%, 20%, 16%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 200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Atrogin-1의 단백체 발현은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유의성 있게 29% 증가하였고,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20%, 16%, 16%, 14%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유전체 발현은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유의성 있게 3배 증가했고 유도군 대비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57%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urF1의 경우에는 단백체 발현이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유의성 있게 38% 증가하였고,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21%, 17%, 17%, 13%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890 투여군은 각각 21%, 17%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MurF1의 유전체 발현은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2.5배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투여군에서는 양성 대조군 200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56%로 가장 우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Bnip3의 단백체 발현은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30%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실시예 1 1075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순서대로 각각 14%, 12%, 10%, 10% 감소하였으며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나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Bnip3의 유전체 발현은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4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유도군 대비 모든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54%로 가장 우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62(Sequestosome 1)는 Ubiquitin과 LC3에 붙어 ubiquitinated protein을 autophagosome으로 운반하여 분해시키는 인자로 단백체 발현에서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28%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28%, 18%, 16%, 10%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28%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근접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 확인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합성과 관련된 인자인 PI3K, Akt, S6K1 및 4E-BP1의 인산화 비율을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증강 화학발광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용액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의 단백질 밴드를 가시화히였다. PI3K - Akt pathway는 IGF-1과 같은 growth factor등에 의해 활성화 되어 최종적으로는 근육 합성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경로로 잘 알려져 있다. PI3K의 인산화, Akt의 인산화 등에 의해 S6K1과 4E-BP1이 인산화되며, S6 ribosomal protein을 인산화하거나 또는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eIF4E)을 유리시켜 단백질 합성이 유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다.
하기 표 12는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실시예 1 890 투여군 및 실시예 1 1075 투여군 마우스의 인산화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정상군 유도군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890 실시예 1 1075
p-PI3K/t-PI3K 1.00±0.1 0.72±0.06###1) 0.85±0.07 0.89±0.01*2) 0.82±0.11 0.84±0.02
p-Akt/t-Akt 1.00±0.13 0.70±0.11# 0.88±0.18 1.02±0.08** 1.01±0.07* 0.87±0.09
p-mTORc1/t-mTORc1 1.00±0.05 0.79±0.02### 0.99±0.02*** 1.00±0.05*** 1.00±0.02*** 0.98±0.01***
p-S6K1/t-S6K1 1.00±0.02 0.77±0.04# 0.82±0.1 0.96±0.05* 0.87±0.16 0.86±0.01
p-4EBP1/t-4EBP1 1.00±0.02 0.66±0.05### 0.94±0.07*** 0.93±0.05*** 0.88±0.11*** 0.81±0.07*
1) #: 정상군 대비 유도군의 유의적 차이 (#p<0.05, ###p<0.001)
2)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p<0.001)
위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3K(Phosphoinositide 3-kinases)의 단백체 발현은 p-PI3K/t-PI3K의 비율로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28%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1075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24%, 19%, 18%, 14%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Akt(Protein kinase B)의 단백체 발현은 p-Akt/t-Akt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30%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실시예 1 1075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순서대로 각각 46%, 45%, 25%, 25%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890 투여군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mTOR(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의 단백체 발현은 p-mTOR/t-mTOR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21%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27%, 26%, 25%, 24% 증가하였으며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S6K1(Ribosomal protein S6 kinase beta-1)의 단백체 발현은 p-S6K1/S6K1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23%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실시예 1 1075 투여군 > 양성 대조군 200 순서대로 각각 25%, 13%, 12%, 7%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 900 투여군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4E-BP1(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binding protein 1)의 단백체 발현은 p-4EBP1/t-4EBP1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군 대비 유도군에서 34%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도군 대비 투여군에서는 양성 대조군 200> 실시예 1 900 투여군 >> 실시예 1 890 투여군 > 실시예 1 1075 투여군 순서대로 각각 43%, 40%, 33%, 23% 증가하였으며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즉, 4E-BP1을 제외한 모든 단백질 발현체에서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근접한 것을 확인하였다.
4E-BP1에서도 실시예 1 900 투여군이 양성 대조군 200 다음으로 정상군에 근접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Ⅲ>
실험동물; 노령 마우스
마우스는 10개월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근육 위축을 수행하지 않고 시험예 Ⅰ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각 군당 9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모두 CMC(carboxym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에 녹여 투여하였다.
-4개 군의 마우스-
정상군(Normal): 0.5% CMC 투여
실시예 1 700: 실시예 1의 혼합물(WPS 622 mg/kg/day+GBE 78 mg/kg/day) 900 mg/kg/day 투여
실시예 1 900: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900 mg/kg/day 투여
실시예 1 1100: 실시예 1의 혼합물(WPS 978 mg/kg/day+GBE 122 mg/kg/day) 900 mg/kg/day 투여
시험예 12. 악력 변화 측정
상기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단위: g/g) 정상군 실시예 1 7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1100
0일차 7.5±0.8 7.5±0.8 7.4±0.7 7.6±0.9
1주차 7.5±0.4 7.3±0.6 7.5±0.6 7.5±0.5
2주차 7.3±0.9 7.1±0.9 7.2±0.5 7.3±0.7
3주차 6.9±0.3 7.3±0.5 7.3±0.6 7.4±0.5
4주차 6.9±0.4 7.0±0.4 7.3±0.2 7.3±0.4
5주차 7.0±0.4 7.2±0.5 7.2±0.4 7.4±0.3
6주차 6.8±0.4 7.0±0.8 7.3±0.2 7.3±0.6
7주차 6.7±0.2 6.9±0.6 7.4±0.2**1) 7.4±0.4**
8주차 6.8±0.4 7.0±0.6 7.3±0.3* 7.4±0.5*
1) *: 정상군 대비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p<0.01)
위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약력이 각각 약 4%, 9%, 10%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3. 몸무게에 대한 근육조직의 비율 측정
상기 시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단위: mg/g) 정상군 실시예 1 7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1100
대퇴사두근 3.56±0.20 3.84±0.25*1) 3.87±0.16* 4.03±0.17***
장딴지근 4.87±0.11 5.14±0.11* 5.20±0.33** 5.28±0.14**
가자미근 0.30±0.02 0.31±0.03 0.34±0.03* 0.35±0.03**
1) *: 정상군 대비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p<0.01,***p<0.001 )
위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의 근육양은 대퇴사두근(Quadriceps), 장딴지근(Gastrocnemius), 가자미근(Soleus)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퇴사두근(Quadriceps)에서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7.9%, 8.9%, 13.4% 향상되었으며; 장딴지근(Gastrocnemius)에서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5.6%, 6.9%, 8.6% 향상되었고; 가자미근(Soleus)에서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1.8%, 12.1%, 16.5%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4. 근섬유 단면적 확인
상기 시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상군,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다.
구분 정상군 실시예 1 700 실시예 1 900 실시예 1 1100
CSA(㎛2) 1746±146 1828±214 2065±237*1) 2093±214*
1) *: 유도군 대비 양성 대조군, 실시예 1의 유의적 차이(*p<0.05)
위 표 1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의 근섬유 단면적은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 5%, 18%, 20%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상군, 실시예 1 700 투여군, 실시예 1 900 투여군 및 실시예 1 1100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은 1500~2000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투여군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고 실시예 1 1100 투여군이 가장 오른쪽으로 분포하여 우수한 회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를 제시하기로 한다.
제조예 9: 화장수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화장수의 제조예는 하기 표 1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혼합물 5.0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라이콜 3.0
피이지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폴리소르베이트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0: 로션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로션의 제조예는 하기 표 1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혼합물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너트오일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1: 영양 크림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조예는 하기 표 18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혼합물 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세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2: 에센스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조예는 하기 표 19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혼합물 1.5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3: 마스크 팩용 유액
실시예 1의 혼합물(WPS 800 mg/kg/day+GBE 100 mg/kg/day)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마스크 팩용 유액의 제조예는 하기 표 20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혼합물 1.0
폴리비닐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마이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21)

  1.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으로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며,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80 내지 150 mg/kg/day,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600 내지 1200 mg/kg/day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은 치즈 유청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Leu-Asp-Ile-Gln-Lys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5 내지 40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myasthenia), 근경직증(myotonia),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8.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으로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며,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9.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으로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며,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0.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으로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며,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21.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 : 3-2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으로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며,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용 조성물.
KR1020210035832A 2021-03-19 2021-03-19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32A KR102362988B1 (ko) 2021-03-19 2021-03-19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32A KR102362988B1 (ko) 2021-03-19 2021-03-19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988B1 true KR102362988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32A KR102362988B1 (ko) 2021-03-19 2021-03-19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9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32A (ko) * 2010-03-04 2013-02-07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근육 위축 방지제
KR101999916B1 (ko) 2018-01-19 2019-07-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긴불레기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강화 또는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1957B1 (ko) 2016-06-08 2019-08-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Slit-robo 시스템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8832B1 (ko) * 2018-08-20 2020-02-19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32A (ko) * 2010-03-04 2013-02-07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근육 위축 방지제
KR102011957B1 (ko) 2016-06-08 2019-08-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Slit-robo 시스템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9916B1 (ko) 2018-01-19 2019-07-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긴불레기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강화 또는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8832B1 (ko) * 2018-08-20 2020-02-19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ood Nutr. vol.30. No.6, 1359-1363, 2017 사본 1부.*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제25권 제1호, 71_77쪽, 2020년 03월 31일. *
서형주 등, "유기농 유청 단백 가수분해의 최적 효소 선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7, 30권, 6호, 페이지 1359-136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7008648B2 (en) Plant derived or derivable material with appetite suppressing activity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2257023B1 (ko)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101755A (ko)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4344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4520089B2 (ja) ルブロフサリン配糖体含有組成物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62988B1 (ko)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17167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0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진균 펩타이드 ba-1 및 이의 용도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WO2007034958A1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37579B1 (ko) 곰팡이 아스퍼질러스 테레우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310480B1 (ko) 시링가레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20200123688A (ko) 약쑥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