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312B1 -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312B1
KR102201312B1 KR1020190026759A KR20190026759A KR102201312B1 KR 102201312 B1 KR102201312 B1 KR 102201312B1 KR 1020190026759 A KR1020190026759 A KR 1020190026759A KR 20190026759 A KR20190026759 A KR 20190026759A KR 102201312 B1 KR102201312 B1 KR 10220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weight
parts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523A (ko
Inventor
인교
김종한
장경화
구기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 혼합물의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이 근수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혼합물을 근육량 및 근육 감소에 의한 근육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Ginseng and Ginseng Berry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격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관으로 총 몸무게의 40-50%를 차지하며 에너지 항상성 및 열생성 등을 비롯한 체내 여러 대사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육아세포(myoblast)는 근육분화(myogenesis) 과정을 통해 근관세포(myotube)로 성숙됨에 따라 세포의 형태가 빠른 속도로 변화한다. 증식기에는 단핵 상태이며, 원형에서 크기가 커지면서 점차 방추형으로 변한다. 분화기에는 세포들이 점차 더 길어지면서 주위의 여러 개의 세포들이 서로 융합되어 관 형태의 다핵 세포인 근관세포로 분화된다.
분화 종료 후 근관세포는 직경과 길이를 증대시켜 근육을 비대시켜 나간다. 근육 분화는 MyoD, MRF5 등과 같은 근육분화 조절 인자(myogenic regulatory factors, MRFs)에 의해서 조절되며, 또한 분화 후기에는 근관세포의 주요 구조 단백질인 마이오신 중쇄(myosin heavy chain, MHC)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MRF 및 MHC를 근육 분화의 표지 인자로 사용하여 이들의 발현량 측정을 통해 근육 분화도를 확인할수 있다. 그리고 분화 종료 후에는 단백질 합성 경로를 통해 융합된 근관세포들에서 근관의 직경이 커지고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근육비대(muscle hypertrophy) 과정을 통해 근육의 크기가 증가된다.
노화에 따라 근육량과 근력이 감소하는 신체학적 변화를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정의한다. 근육 감소는 근관의 수나, 근관의 직경의 감소로 확인한다. 사람의 근육은 40세 이후부터 매년 1% 이상씩 감소하고, 80세가 되면 최대 근육량의 50% 수준이 감소되며, 노년의 근육 감소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근육의 감소는 체형의 변화, 자세 유지의 어려움 등의 일상적인 불편함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기초대사량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른 에너지 공급/소비 사이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비만, 당뇨, 고지혈증을 포함한 성인병 발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근감소증의 발생 원인, 성인병 발생과의 상관 관계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근감소증은 다양한 대사질환의 발생뿐만 아니라 기능 장애, 삶의 질, 의료 비용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근육 건강 향상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성 소재의 탐색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의 근감소증을 예방하기 위한 식사법으로는 매식사마다 25-30 g의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달걀 4-5개 또는 닭가슴살 약 120 g을 매식사마다 섭취해야만 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을 하는 일반인이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 많은 사람들이 단백질 보충제를 대안으로 선택하고 있지만 단백질 보충제는 단백질 과다 섭취의 원인이 되어 부작용의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고단백질 식이를 할 수 없고 노화에 따라 신장 기능도 감소되므로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서 고단백질 섭취 이외의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근감소증의 개선을 위해서 천연물 유래의 소재의 효능을 검토하고, 곡류 등에 함유된 물질이 근육 및 근력의 증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한 점이 개시되어 있다.
근감소증 예방에 효과가 높으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식물 기원의 천연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식품으로써 섭취가 안전하며 효과적인 소재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771680호
본 발명은 부작용이 감소된 천연물 유래의 근감소 개선용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물 소재를 혼합하여서 근감소증을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시 근감소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근수축이 유발된 근육세포에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시 근관세포의 직경을 나타낸다.
도 2는 근수축이 유발된 동물모델(스킨 스테이플러 모델)에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시 장딴지근(gastrocnemius)의 무게를 나타낸다.
도 3은 근수축이 유발된 동물모델(스킨 스테이플러 모델)에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시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무게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의 식물이다. 뿌리는 가늘고 원기둥 모양으로 때로 중간쯤에서 2~5개로 뿌리가 갈라진다. 길이 5~20cm이며 주근은 지름 0.5~3cm이다. 근두부는 약간 구부러져 있고 줄기의 잔기가 붙어있던 뇌두가 있다. 꺾인 면은 거의 평탄하며 연한 황갈색이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이다. 뿌리를 주로 약용 부위로 사용하고 있으며, 뿌리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말려서 사용하거나 식물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가공하지 않은 삼), 홍삼(증숙한 삼), 미삼(인삼의 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약효에 따라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삼과 산삼으로 구별한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의 추출물은 인삼의 잎, 어린 새싹, 본체, 본체 껍질,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뿌리줄기,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수술군은 하나의 꽃에 있는 수술 전체를 나타내며, 상기 암술군은 하나의 꽃에 있는 암술 전체를 나타낸다. 상기 심피는 꽃의 암술을 만드는 구성요소로 일반적으로 화엽이라고 총칭되는 잎의 변형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인삼은 인삼의 뿌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삼의 다른 부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혼합하여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 뿌리의 종류로는, 수삼, 직삼, 곡삼, 미삼, 생건삼, 홍삼, 태극삼, 장뇌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홍삼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인삼속 식물이면 제한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베트남삼(P. vietnamensis), 미국삼(P. quinquefoliu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이다.
상기 인삼열매는 인삼의 종자, 열매, 미숙과, 완숙과, 과육, 과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과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인삼 추출시 용매 첨가량은 생약 중량 500g 대비 5 내지 20배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배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6배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삼열매 추출시 용매 첨가량은 생약 중량 1000g 대비 10 내지 30배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배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배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추출은 6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4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추출물은 각 추출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 또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 조건 중 추출시 첨가되는 용매의 양, 온도 및 시간이 하한값 미만이거나, 추출 횟수가 상한값을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혼합하더라도 근육 질환을 개선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홍삼, 인삼열매를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음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에 비해서 근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과 인삼열매의 혼합물을 추출할 수도 있고,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혼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근육 질환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획 공정을 통해서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분획물 제조시에는 상기 추출물 제조시 사용된 유기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발명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분획물을 농도구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하여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분리하여서 보다 근육 질환 개선 효과가 높은 특정 활성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LH-20, ODS 겔,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하여 활성 분획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에 있어 용출 용매, 용출 속도 및 용출 시간은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 속도 또는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2.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은 근관세포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근감소를 유발한 동물 모델의 근육을 회복시키므로 근기능 저하, 근육 소모 또는 근육 퇴화로 인한 근육 질환에 있어서 근육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하기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7중량부 내지 1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6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7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8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85중량부 내지 9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삼열매 추출물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혼합하더라도 근육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낮다. 또한, 인삼열매 추출물을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혼합하더라도 상승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30:0.1~25, 30:30, 30:60~120 비율로 제조하여 근수축을 유발한 세포 또는 동물모델에 투여하였다.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수축을 유발한 음성대조군에 비해서 근관 직경이 증가하거나, 근수축이 유발된 동물의 근육이 회복되어 근수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물의 비율 중에서도 홍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인삼열매 추출물을 6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로 포함시킨 혼합물이 근수축을 유발한 세포 또는 동물모델에 투여한 경우, 근수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근육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근육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량 또는 근육의 감소에 의해서 나타나는 질환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근육감소증(sarcopenia),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및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상기 긴장감퇴증은 위아토니(gastric atony)일 수 있고, 상기 근이영양증은 뒤센느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또는 근육 긴장성 이영양증(myotonic dystrophy)일 수 있으며, 상기 근육 위축증은 포스트 폴리오 근 위축증(post-polio muscle atropy)일 수 있으며, 상기 악액질은 심장 카켁시아, AIDS 카켁시아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예컨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근육 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동물, 인간,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에 사용가능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 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 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200㎎/㎏ 범위 내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은 약 0.01 내지 1,500㎎의 단위 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500㎎ 범위가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1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3.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20.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10.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의 유효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근육 질환을 완화시킬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효능 상승 효과가 떨어져 비경제적이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4.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삼 추출물(KGC01pg)의 제조
6년근 홍삼(P. ginseng C.A. Meyer, 뿌리 75%, 잔미 25%) 500g을 원적외선 건조기((주)한국에너지기술, HKD-LAB)를 이용하여 110℃에서 15분간 건조 후 절각하였다. 건조된 홍삼 500g에 4~8배의 증류수를 가해 85℃에서 10시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잔사에 대해서는 4~8배의 증류수를 가해 10시간 추출을 1~4회 추가로 실시하여 추출액을 여과 후 모두 합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냉각이 완료된 추출액을 4℃에서 10~20분 동안 6,000rpm으로 원심분리((주)한일사이메드, Supra 22K)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회전감압농축기(BUCHI, R-220)를 이용하여 50~60℃에서 71°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농축액에 멸균된 증류수를 가해 15°Brix로 희석 후 동결건조(OPERON, FDT-12012)하여 홍삼 농축액 분말 230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인삼 열매 추출물(KGC01bw)의 제조
건조된 인삼열매 과육(P. ginseng C.A. Meyer, 경기도 여주) 1,000g에 15~25배의 증류수를 가해 85℃에서 6시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잔사에 대해서는 15~25배의 증류수를 가해 6시간 추출을 1~4회 추가로 실시하여 추출액을 여과 후 모두 합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냉각이 완료된 추출액을 4℃에서 10~20분 동안 6,000rpm으로 원심분리((주)한일사이메드, Supra 22K)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회전감압농축기(BUCHI, R-220)를 이용하여 50~60℃에서 60°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농축액에 멸균된 증류수를 가해 15°Brix로 희석 후 동결건조(OPERON, FDT-12012)하여 인삼열매 농축액 분말 51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근감소 개선 효과 확인 - 시험관 내 확인
근육아세포주인 C2C12 세포를 10% FBS(Gibco), 100units/mL 페니실린(Gibco),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Gibco)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을 준비하기 위해서 근육아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세포의 밀도가 80~90%일 때, 2% 말 혈청(horse serum), 100units/mL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Gibco)이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여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5~7일 동안 말 혈청이 포함된 배지를 매일 교체하였다.
세포가 직사각형 모양의 길쭉한 분화된 형태를 보일 때, 시료 처리군에 홍삼 추출물(KGC01pg), 인삼열매 추출물(KGC01bw), 및 홍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KGC01PB, 3:1, 1:1, 1:3의 비율로 혼합)을 각각 처리하고, 각 시료 처리군에 근수축을 유발하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1756, Sigma, USA)을 처리하였다.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및 혼합물은 200㎍/mL의 농도로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고, 덱사메타손은 100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비교를 위해 정상군에는 시료나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았고, 대조군 및 실험군에는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수축을 유발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세포의 모양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Image J 이미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세포의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덱사메타손에 의한 근수축 정도와, 홍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또는 혼합물에 의한 근수축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상군 대비 덱사메타손 단독 처리군을 비교하여 근수축 정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덱사메타손 단독 처리군 대비 덱사메타손과 소재를 함께 처리한 군의 근두께를 계산하면 소재에 의한 근감소 회복율을 계산할 수 있다. 소재 처리군이 아닌 정상군과 대조군(덱사메타손 처리군)의 경우 하기 근감소 회복율 계산 방법의 '소재 처리군의 근두께' 부분에 각 군에 해당하는 근두께 값을 넣었기 때문에 정상군은 회복율이 100%이며, 대조군은 회복율이 0이 된다. 근감소 회복율을 표 1에 나타낸다.
※ 근감소 회복율 계산 방법
= (소재 처리군의 근두께 - Dexa 단독 처리군의 근두께) / (정상군의 근두께 - Dexa 단독 처리군의 근두께)*100
상기 근감소 회복율 계산 방법은 하기 실시예 2, 3의 추출물 또는 혼합물의 생체 내에서의 근감소 회복 정도를 측정할 때에도 사용되며, 실시예 2, 3에서는 위 계산 방법에서 근두께 대신에 장딴지근 또는 전경골근의 무게를 대입하여 결과값을 얻는다.
그룹 정상 대조군
(Dexa)
홍삼 추출물 단독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
물의 혼합물
3:1 1:1 1:3
회복율(%) 100 0 73.7 84.4 123.1 100.5 106.5
덱사메타손만 처리된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근육 세포를 수축시킴으로써 직경을 감소시켰다.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덱사메타손에 의한 근육 세포 수축을 억제하였다(도 1 참조).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은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에 비하여 근육 세포의 수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났다.
위 결과로부터 홍삼과 인삼열매를 근감소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독 처리보다는 혼합시 근감소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근감소 개선 효과 확인 - 생체 내 확인(덱사메타손 동물 모델)
근감소증은 만성질환 및 노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유발이 되며, 덱사메타손과 같은 약물을 고용량으로 투여할 경우에도 유발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덱사메타손을 동물 모델에 처리하여 근감소 동물 모델을 만들고,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또는 이들 혼합물의 근감소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C57BL/6N, 7주령, 웅성)를 오리엔트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순화 기간을 거친 후, 마우스의 체중에 따라서 군 분리를 수행하였다. 근감소 동물 모델을 유발하기 위해서 덱사메타손(100mg/kg)을 2주 동안 복강 투여하였다. 2주 후 덱사메타손 투여를 중단한 후, 홍삼 추출물(KGC01pg), 인삼열매 추출물(KGC01bw)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KGC01PB, 3:1, 1:3 비율)을 2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덱사메타손 또는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마우스, 덱사메타손만 투여한 실험 대조군으로 하였다. 덱사메타손 투여 후,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왼쪽 뒷다리를 분리하여 장딴지근(gastrocnemius)과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근육량 회복 정도를 확인하였다. 회복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그룹 정상 대조군
(Dexa)
홍삼 추출물 단독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
물의 혼합물
3:1 1:3
장딴지근
회복율(%)
100 0 17.9 28.5 33.3 45.5
전경골근
회복율(%)
100 0 35.7 45.2 52.4 97.6
덱사메타손은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약 20%의 근육량 감소를 유발하였다. 홍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은 근육의 회복량을 증가시켰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홍삼:인삼열매 혼합물(KGC01PB, 1:3)의 경우 단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근육을 회복시켰다. 상기 예로부터 동물 모델 실험을 통하여 홍삼과 인삼열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근육의 회복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홍삼:인삼열매(1:3) 혼합물에서 홍삼, 인삼열매 단독보다 근감소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시예 3. 근감소 개선 효과 확인 - 생체 내 확인(스킨 스테이플러 동물 모델)
마우스(C57BL/6N, 9개월, 웅성)를 오리엔트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순화 기간을 거친 후, 마우스의 체중에 따라서 군 분리를 수행하였다. 홍삼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각각 200mg/kg/day로 경구 투여하였고, 1주일 후에 스킨 스테이플러(Autosuture Royal 35W Skin Stapler, Tyco Healthcare, QC, Canada)로 뒷다리를 고정시켰다. 스킨 스테이플러를 설치하기 위해서 쥐를 마취한 후, 왼쪽 뒷다리를 35W 스킨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2주간 고정시켜 근감소를 유발하였다. 각 추출물은 스킨 스테이플러 설치 이후에도 투여를 지속하였다. 총 3주간의 투여 완료 후, 정상 쥐와 스킨 스테이플러를 설치한 쥐의 왼쪽 뒷다리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과 장딴지근(gastrocnemius)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단독 또는 혼합물의 근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근육 회복율을 표 3에 나타낸다.
그룹 정상 대조군
(Dexa)
홍삼 추출물 단독 인삼열매 추출물 단독 홍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
물의 혼합물(1:3)
장딴지근
회복율(%)
100 0 96.4 98.2 120.5
전경골근
회복율(%)
100 0 66.7 47.2 197.2
실험 결과, 스킨 스테이플러를 이용한 뒷다리 고정은 스테이플러를 설치하지 않은 정상군의 뒷다리 근육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근육량을 감소시켰다. 홍삼:인삼열매 혼합물(KGC01PB, 1:3)의 경우 대조군 및 단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근육 감소를 억제하였다(도 2 및 도 3 참조).
위 결과로부터 동물 모델 실험을 통하여 홍삼과 인삼열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근육 감소 억제 및 회복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홍삼:인삼열매(1:3) 혼합물에서 홍삼, 인삼열매 단독보다 상승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3.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3-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3-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3-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3-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4. 건강식품의 제조
4-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4-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4-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4-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7.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8.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화장품 제형의 제조
5-1. 에센스의 제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2
글리세린 4
부틸렌글리콜 2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5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5-2. 유연화장수의 제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0.5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5-3. 영양 크림의 제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5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5-4. 로션의 제조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PEG-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초산토코페롤 0.4
1,3-부틸렌글리콜 4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인삼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1.0
알란토인 0.1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정제수 적량

Claims (11)

  1.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또는 7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며,
    상기 추출물 제조시 사용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감소증(sarcopenia),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무력증, 악액질(cach exia),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및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의 범위, 또는 8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의 잎, 어린 새싹, 본체, 본체 껍질,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뿌리줄기,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 뿌리이며, 인삼 뿌리는 삼, 직삼, 곡삼, 미삼, 생건삼, 홍삼, 태극삼, 장뇌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베트남삼(P. vietnamensis), 미국삼(P. quinquefoliu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10.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추출물 3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또는 70중량부 내지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며,
    상기 추출물 제조시 사용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감소증(sarcopenia),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무력증, 악액질(cach exia),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및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근육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1. 삭제
KR1020190026759A 2019-03-08 2019-03-08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59A KR102201312B1 (ko) 2019-03-08 2019-03-08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59A KR102201312B1 (ko) 2019-03-08 2019-03-08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23A KR20200107523A (ko) 2020-09-16
KR102201312B1 true KR102201312B1 (ko) 2021-01-11

Family

ID=7266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59A KR102201312B1 (ko) 2019-03-08 2019-03-08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405A (ko) 2021-10-06 2023-04-13 아레즈 주식회사 증숙인삼열매 농축물을 포함하는 근력 개선 또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79B1 (ko) * 2021-01-18 2021-11-16 주식회사 파미니티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분화 촉진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56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KR101173353B1 (ko) * 2010-03-16 2012-08-10 (주)풀무원홀딩스 진세노사이드 Re 강화 홍삼 농축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1680B1 (ko) 2016-10-17 2017-08-29 한국식품연구원 Dmbq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Neurological Sciences, 2000, Vol.180, pp.52-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405A (ko) 2021-10-06 2023-04-13 아레즈 주식회사 증숙인삼열매 농축물을 포함하는 근력 개선 또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23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50305A (ko) 두충 추출물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04912B1 (ko)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7702B1 (ko) 천궁 추출물 및 남가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73016B1 (ko) 홍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1313B1 (ko)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97262B1 (ko)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식품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JP7312954B2 (ja) 組成物
KR102281039B1 (ko)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30111465A (ko) 인삼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20240057084A (ko) 홍삼 추출물 및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