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610B1 -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610B1
KR100794610B1 KR1020060086706A KR20060086706A KR100794610B1 KR 100794610 B1 KR100794610 B1 KR 100794610B1 KR 1020060086706 A KR1020060086706 A KR 1020060086706A KR 20060086706 A KR20060086706 A KR 20060086706A KR 100794610 B1 KR100794610 B1 KR 10079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dibenzo
ecklonia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황혜정
Original Assignee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조류로부터 추출된 항암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가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여러 가지 세포독성 물질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효과,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 세포 증식 저해, 세포사멸 (apoptosis) 촉진 및 혈관생성억제 (anti-angiogenesis) 작용을 하여 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므로 암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이 전혀 없으므로 약물 혹은 식품의 형태로 장기적으로 섭취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므로 활용 범위가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암 예방, 디벤조-p-디옥신, 염증억제, 암세포 성장 저해, 암세포 사멸촉진, 혈관생성억제

Description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ompositions for cancer chemoprevention and treatment containing dibenzo-p-dioxine derivatives and health supplementary foods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의한 생체 내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염증관련 유전자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암은 세계적으로도 심장질환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매년 백만 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들이 생겨나고 있다. 많은 나라의 연구팀들이 암의 발생기전이나 치료에 대한 연구를 위해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해 왔으나 아직도 암은 난치성 질병으로 남아 있다.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과정이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종양은 정상세포가 가지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말한다. 즉, 암은 세포 증식을 제어하는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으로 변형된 DNA에 의해 염증, 이상증식, 혈관 생성 등 암의 생성과 관련 있는 유전자들은 활성화시키므로 종양의 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DNA의 변형을 가져오는 원인으로는 크게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이 있다. 즉 이러한 요인들이 발암 개시제 (tumor initiator) 혹은 발암 촉진제 (tumor promoter)로서 DNA에 작용함으로써 이들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 능력을 크게 강화시켜 주게 된다. 또한 인간의 유전자중에는 세포성장 및 분화를 조절하는 종양억제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가 있는데, 이는 정상세포의 암세포로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 성장 억제 기능이 상실되면 세포는 과잉성장을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암을 유발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쳐서 진행되는데, 즉 정상세포의 성장 억제 기능이 상실되면 빠르게 증식(proliferation), 분화(differencation) 되며 비정상적인 세포가 형성되고 이들의 과잉분열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 영양분 공급을 위한 신생혈관 생성(angiogenesis)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 (methstasis) 된다.
암의 발견 및 치료에 있어서, 암관련 전사인자 및 효소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NFkB (Nuclear Factor kappa B)는 여러 가지 질병의 발병 혹은 진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로 특히 암 발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Baldwin. J Clin Invest 2001;107:241, Chen et al. Demers Clin Chem 1999;45:7, Yuan et al. Science 2001;293:1673, Cai et al. Nat Med 2005;11:183, Arkan et al. Nat Med 2005;11:191). NFkB는 세포내에 존재하지만, 자유래디컬, 염증을 유발하는 자극, 발암물질, 톡신 자외선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 되면 핵내로 옮겨가게 되며 세포사멸 억제, 세포변형, 증식, 침윤, 전이 또는 화학적 저항, 염증 등을 일으키는 200여개의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
COX-2 (cyclooxygenase-2)는 자외선이나 화학물질등의 염증성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효소로 COX-2의 생성은 프로스타그란딘의 체내농도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프로스타그란딘은 염증성 세포 침윤, 증식 나아가 암의 발생 및 발달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는 L-아르기닌으로부터 nitric oxide (이하 NO)를 생성시키는 효소 중의 하나로 NO는 생체내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iNOS에 의한 NO의 과대 생산은 여러 가지 종양 발생 및 발달과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Tamir,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1996;1288:F31-16, Vakkala, M. et al., Clin cancer Res 2000;6:2408-241, Hajri, A. et al., Br J Cancer 1998;78:841-849, Marrogi, A, et al., Cancer Res 2000;60:3696-3700, Aaltomaa, S.H. et al., B J U Int 2000;86:34-39, Ambs, S. et al., Cancer Res 1998;58: 334-341).
한편, 20세기 초까지는 노화와 더불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암 환자의 80%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되 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불완전한 암 치료보다는 암 예방에 관한 새로운 물질에 관한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암 예방이란 식품 혹은 보조 식품, 약품 등을 이용하여 발암과정의 초기단계에서 암 발생을 예방하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암으로 진행된 것을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까지 800여종의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물질은 과일이나 채소 등에서 추출된 것이며 여러 가지 암의 진행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천연 추출물은 장기 복용에 따른 독성 발생의 위험부담이 적고 원료 생산이 용이하며 보존 상태가 외부 환경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암 예방제의 개발에 있어서 천연물로부터의 활성 검색과 그에 따른 순수 물질의 분리하는 방법은 높은 효율성과 많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새로운 항암 물질로서, 대형 갈조류에서 최초로 발견된 물질인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주목하였다.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항산화 활성, 항플라스민(antiplasmin) 억제 활성, 항박테리아활성 등이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나, 그 항암 활성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가 발암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NFkB, COX-2 등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증식억제, 세포 사멸 촉진, 신생혈관생성 억제 활성에 의해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한 염증이나 활성산소의 발생, 이에 따른 암세포 생성 및 분화 등을 감소시킴으로서 각종 형태의 암의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 운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도체의 장기 복용이나 피부제의 사용에 따른 무독성이 없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항암 목적의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FkB 활성억제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이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가 세포독성 등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이나 암세포 증식과 관련 있는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 효과가 있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장기 섭취하는 경우 암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에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암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유용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1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2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3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4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5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6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7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8
Figure 112006065006771-pat00009
Figure 112006065006771-pat00010
상기 식에서, 각 R은 H, 알킬, 알케닐, 페닐, 페닐알킬, 알카노일, 히드록시페닐, 디히드록시페닐 또는 아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R은 H이다.
이러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최소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1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6중량%, 화학식 2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5-60중량%, 화학식 3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1-30중량%, 화학식 4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20중량%, 화학식 5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0중량%, 화학식 6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15중량%, 화학식 7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8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9의 유도체 0.1-10중량% 및 화학식 10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2중량%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이세니아 바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아이세니아 아르보레아(Eisenia arborea), 아이세니아 데스마레스티오데스(Eisenia desmarestioides), 아이세니아 갈라파제니스(Eisenia galapagensis), 아이세니아 매소니(Eisenia masonii),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 에클로니아 맥시마(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타(Ecklonia radiata), 에클로니아 바이시클리스(Ecklonia bicyclis), 에클로니아 바이런시네이트(Ecklonia biruncinate), 에클로니아 부시날리스(Ecklonia buccinalis), 에클로니아 카에파에스팁스(Ecklonia caepaestipes), 에클로니아 엑사스퍼타(Ecklonia exasperta), 에클로니아 파스티기아타(Ecklonia fastigiata), 에클로니아 브레빕스(Ecklonia brevipes), 에클로니아 아라보레아(Ecklonia arborea), 에클로니아 라티폴리아(Ecklonia latifolia), 에클로니아 무라티(Ecklonia muratii), 에클로니아 라디코사(Ecklonia radicosa), 에클로니아 리타디아나(Ecklonia richardiana), 에클로니아 라이티(Ecklonia wrightii) 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아이세니아 바이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또는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로부터 추출된다.
이러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 0.1-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매일 1mg-10g/Kg, 바람직하게는 1-100mg/Kg씩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조성물이나 건강보조식품은 캡슐이나 정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되는 경우 음료나 빵 류로도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형태로서는, 경구, 직장, 협구(예를 들어, 혀밑),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내), 국소, 안구, 폐 혹은 피하 경로의 투여에 적절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셀 젤라틴 캡슐로 싸여지거나 정제로 압축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식품이나 드링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용으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고, 섭취가능한 정제, 협구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혹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 건강보조식품의 적절한 투여형태로서는 정제, 분말, 캡슐, 서스펜션, 시럽, 음료, 식품(예를 들어, 바(bar) 또는 빵)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투여형태의 보다 상세한 예로서, 알코올 음료, 탄산음료, 물, 차 또는 커피와 같은 음료, 캡슐, 정제 또는 예를 들어 바(상표명 스니커즈 등의), 빵, 스낵, 시리얼, 사탕, 검, 쵸콜렛, 스프, 햄버거 패티, 미트볼, 햄, 소시지, 페퍼로니, 샐러드 드레싱 소스,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쿠키, 케이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감미료 혹은 다른 향료와 같은 조미료, 다이어트 섬유, 색소, 예를 들어, 비타민, 미네랄, 허브 혹은 허브 추출물과 같은 영양 보충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으로서 허용가능한 모든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독성이 전혀 없어 장기적으로 섭취가능하므로 건강보조식품으로도 사 용될 수 있다.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10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조류로부터 추출물 및 단일물의 정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추출물 및 단일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하기의 방법으로 국내산 갈조류로부터 추출 및 정제하였다.
먼저 감태(Ecklonia cava)와 대황(Eisenia bicyclis)을 먼저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음지에서 건조한 후에 이를 파쇄 한다. 상기 해조류로 이루어진 해조류 500g(감태 350g, 대황 150g)을 함량 대비 20배량의 10% 알코올성 용매를 사용하여 활성물질을 용출시키기 위해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잔사를 걸러서 제거하고 회전 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20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동일 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 3회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감압 농축한다. 농축액을 15 배량의 실리카겔에 로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톤(부피 비 9/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출시켜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조추출물로부터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조추출물을 0.2㎛ 막여과지로 여과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라피를 수행 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서는 컬럼은 HP ODS Hypersil 컬럼을, 용매로는 증류수와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용매의 공급은 1.0㎖/분의 유속으로 메탄올 15% 에서 70%까지 30분간에 걸쳐 선형구배 (linear gradient)를 걸어 화학식 1-10의 단일 물로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1- 18 의 제조
상기 분리한 화학식 1-10의 단일물로부터 조성물 11-15를 제조하였으며 수소 이외의 다른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조성물 16-18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화학적 조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시료 시료의 조성
조성물 1 I (R=H), 99%
조성물 2 II (R=H), 98%
조성물 3 III (R=H), 99%
조성물 4 IV (R=H), 99%
조성물 5 V (R=H), 99%
조성물 6 VI (R=H), 99%
조성물 7 VII (R=H), 99%
조성물 8 VIII (R=H), 99%
조성물 9 IX (R=H), 99%
조성물 10 X (R=H), 99%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22%)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조성물 16 IV(R=acetyl, H (3:7))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실시예 3. 조성물1 -18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 측정
본 발명물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1-18을 사용하였다. 이때 비교군으로 폴리페놀성 물질로 알려진 카테킨, 라스베라트롤, 녹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과 케르세틴, 이소플라본을 사용하였다.
마우스 루이스 폐암세포주 (Lewis lung carcinoma, LLC) 를 96-well plate 에 10% FBS, 100units/ml antibiotic antimycotic, 그리고 2.2g/L sodium bicarbonate를 함유한 최소필수배양배지 (Minimun Essential Medium[MEM])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폐암 세포주를 1x104 세포/well 의 농도로 96-well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조성물 1-18 및 비교군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를 용매로 하여 50ug/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때 DMSO의 최종농도는 0.1%였으며 이 농도에서는 본 세포주의 세포 성장이나 사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조성물 및 비교군에 의한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XTT assay(LM Jost et al. J. Immunol . Methods, 1992;147:153-16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5mL의 XTT (1mg/ml) 와 0.383 mg/ml 농도의 N-methyl dibenzopyrazine (PMS) 0.1mL 를 37℃의 수욕조(water bath)에서 깨끗이 녹인 후, 섞어서 XTT labeling 혼합물을 만든 후, 이를 각 well 에 50uL씩 첨가하고 3-4 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의 흡광도(OD, optical dentsity)를 450nm 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매만을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 및 비교군의 암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2에 정리하였다.
[수학식 1] [1-{OD (상기 조성물 혹은 비교군) / OD (대조군)}] × 100
[표 2] 상기 조성물의 암 세포 성장 억제 활성
시료 시료의 조성 암세포 성장 억제 활성 (%)
조성물 1 I (R=H), 99% 78
조성물 2 II (R=H), 98% 82
조성물 3 III (R=H), 99% 85
조성물 4 IV (R=H), 99% 90
조성물 5 V (R=H), 99% 74
조성물 6 VI (R=H), 99% 76
조성물 7 VII (R=H), 99% 88
조성물 8 VIII (R=H), 99% 87
조성물 9 IX (R=H), 99% 74
조성물 10 X (R=H), 99% 82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77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22%) 80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90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89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80
조성물 16 IV(R=acetyl, H (3:7)) 80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74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70
카테킨 65
라스베라트롤 69
녹차추출물 66
포도씨 추출물 62
케르세틴 50
이소플라본 55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의 세포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70-90%로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활성이 잘 알려진 비교군의 50-69%의 억제 활성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암세포에 대한 우수한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조성물에 의한 생체내 종양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조성물의 생체내 종양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가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 4와 13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 라스베라트롤을 사용하였다. C57BL/6 암컷 마우스를 (5주, 대한 바이오링 크, 충북, 한국) 약 2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서 모두 4개의 그룹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으로 나뉘었으며 각 그룹 당 10마리로 하였다. 동물실험실은 25±1℃, 습도 55%를 유지하면서 12시간 주기로 빛을 조절하였다.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동물식이가 공급되었으며 물은 자유로이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 1 주 후 마우스를 마취시키고 3x105 개의 폐암 세포 (LLC)를 피하주사를 통하여 주입하였다. 폐암 세포 주를 주입한지 4일 후부터 본 조성물 4 및 13, 라스베라트롤을 존대를 이용하여 1일 1회 3주간 마우스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매회 주입한 시료의 양은 20mg/마우스 무게(kg)의 농도로 1% DMSO 와 1% Tween-80을 1:1로 섞은 용액을 용매로 하여 주입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용매만을 주입하였다. 시료 주입 후 종양의 크기를 매일 측정하였으며 기록하였다. 폐암 세포 주입 후 21일 (3주) 이 지난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모든 종양을 제거하고 부피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이를 (도1)에 표시 하였다.
[수학식 2] 종양의 부피(mm3)= 가로 X 세로 X 높이 X p/6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 유발 후 20 일이 경과 된 경우 대조군 마우스의 경우 암 조직의 크기는 970mm3으로 측정되었으나 상기 조성물 4 혹은 13을 투여한 실험 군의 경우 암 조직의 크기가 120mm3 혹은 150mm3으로 현저하게 종양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생체 내에서 암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조성물에 의한 NFkB 활성 억제 측정
본 발명물의 NFkB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1-18을 사용하였다. 이때 비교군으로 폴리페놀성 물질로 알려진 카테킨, 라스베라트롤, 녹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과 케르세틴, 이소플라본을 사용하였다.
JB6 세포주(마우스 표피 세포주)를 96-well plate 에 5% FBS와 2mM L-글루타민을 함유한 최소필수배양배지 (Minimun Essential Medium[MEM])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JB6 세포주를 8x103 세포/ml 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분주 하고 24시간 경과후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한 후 상기 조성물, 혹은 비교군을 50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발암 물질인 BPDE(benzo-[a]-pyrene diol epoxide)를 최종 농도가 2uM 되도록 처리하였다. BPDE만을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리시스버퍼(lysis buffer,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8/1% Triton X-100/1mM DTT/2mM EDTA)를 이용하여 배양액을 처리한 후 배양액내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루미노미터(luminometer, Monolight 2010)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실험군의 값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과는 표 3에 [상대적인 NFkB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억제 율(%)은 시료가 첨가되었을 때의 상대적인 농도 (A), 시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BPDE 대조군)의 상대적인 농도 (A0)로부터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억제율 = A/A0 * 100
[표 3] 상기 조성물의 NFkB 활성 억제
시료 시료의 조성 상대적인 NFkB 활성 NFkB 생성 억제율(%)
BPDE 대조군 6.5 -
조성물 1 I (R=H), 99% 2.3 65
조성물 2 II (R=H), 98% 2.8 57
조성물 3 III (R=H), 99% 1.4 78
조성물 4 IV (R=H), 99% 1.8 72
조성물 5 V (R=H), 99% 1.6 75
조성물 6 VI (R=H), 99% 2.2 66
조성물 7 VII (R=H), 99% 2.6 60
조성물 8 VIII (R=H), 99% 2.8 57
조성물 9 IX (R=H), 99% 2.6 60
조성물 10 X (R=H), 99% 1.9 71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2.0 69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22%) 1.3 80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1.7 74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3.2 51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3.1 52
조성물 16 IV(R=acetyl, H (3:7)) 3.1 52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3.2 51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2.9 55
카테킨 4.0 38
라스베라트롤 4.0 38
녹차추출물 3.9 40
포도씨 추출물 4.0 38
케르세틴 3.8 42
이소플라본 3.7 43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의 NFkB 억제 활성은 50-80%로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38-43% 억제율을 보인 비교군보다 더 월등함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발암 과정에서 염증반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세포사멸 억제, 세포 변형 및 증식, 침윤 전이 등을 유도하는 전사인자 NFkB의 활성을 억제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혈관생성 억제 활성 (anti-angiogenesis activity) 측정
상기 조성물의 종양 혈관 억제 활성을 측정 하기 위하여 암 세포 주 내의 종양 생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생성 관련 인자인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 내피 성장 요인)의 양의 측정하였다.
인간 간암 세포 주 (Hepatoma, HepG2) 와 자궁경부 암세포 주(cervical carcinoma, HeLa)를 10% FBS와 항생제(페니실린 100units/mL, 스트렙토마이신 100 ug/mL)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96-well plate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5x105농도로 96-well plate 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한 후 상기 조성물 1-18 및 비교군인 카테친, 라스베라트롤, 녹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케르세틴, 그리고 이소 플라본을 5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2시간을 추가로 배양한 후 리시스버퍼(lysis buffer,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8/1% Triton X-100/1mM DTT/2mM EDTA)를 이용하여 배양액을 처리 한 후 배양액내의 VEGF의 농도를 효소면역에세이법(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는 각각의 흡광도로부터 배양액내의 VEGF의 농도를 구하고 (ng/ml) 이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변환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억제율은 시료가 상기 [식 3] 에 의하여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상기 조성물의 VEGF 생성 억제율
시료 시료의 조성 VEGF 생성억제율(% ) (HepG2) VEGF 생성 억제율(%) (HpLa)
조성물 1 I (R=H), 99% 55 74
조성물 2 II (R=H), 98% 58 69
조성물 3 III (R=H), 99% 60 60
조성물 4 IV (R=H), 99% 78 80
조성물 5 V (R=H), 99% 77 49
조성물 6 VI (R=H), 99% 78 55
조성물 7 VII (R=H), 99% 69 59
조성물 8 VIII (R=H), 99% 79 69
조성물 9 IX (R=H), 99% 59 72
조성물 10 X (R=H), 99% 66 73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62 55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22%) 64 83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55 80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49 59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50 69
조성물 16 IV(R=acetyl, H (3:7)) 55 54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58 50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79 68
카테킨 43 33
라스베라트롤 42 35
녹차추출물 39 46
포도씨 추출물 44 36
케르세틴 38 42
이소플라본 40 50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 1-18은 높은 VEGF 억제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신생혈관의 형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생체내 암 발생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조성물의 암 발생 억제 및 염증 반응 억제 효과를 측정 하기 위하여 NFkB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 3과 12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동물로는 4-5 주령 수컷 Fisher 344 랫트 (harlan Sprague Dawley, Indianapolis, IN, USA)를 사용하였다. 랫트는 약 2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서 모두 5개의 그룹(실험군-조성물 3 과 12, 비교군, 발암 대조군, 대조군)으로 나뉘었으며 각 그룹 당 20마리로 하였다. 동물실험실은 20±2℃, 습도 50±10%를 유지하면서 12시간 주기로 빛을 조절하였다.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AIN-76A식이 (Dyets Inc., Bethehem, PA, 20% casein, 0.3% D, L-methionine, 52% constarch, 13% dextrose, 5% cellulose, 5% corn oil, 3.5%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Salt mixture, 1%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vitamin mixture, and 0.2% choline bitartrate)가 공급 되었으며 물은 자유로이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상기 조성물 3 혹은 12가 0.1% 함유된 AIN-76A 식이가, 비교군의 경우 녹차 추출물이 0.1% 함유된 AIN-76A식이가, 그리고 발암 대조군 및 대조군의 경우 AIN-76식이가 공급되었다. 실험 2주째부터 식도암을 유발하기 위하여 발암제로 알려진 NMBA(N-mitroso methylbenzylamine)를 실험군, 비교군 및 발암 대조군에 피하주사를 통하여 주입되었다. NMBA는 일주일에 3번씩, 5주간 주입하였으며 매회 투여량은 0.25mg/랫트 무게(kg) 의 양을 20% DMSO 수용액에 녹여서 0.2mL 씩 피하주사를 통하여 주입하였다. NMBA의 주입이 끝난 후 실험은 20주간 지속되었다 실험 기간 동안, 랫트의 무게 변화와 섭취한 식이의 양을 매주 측정 하였으며, 25주 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랫트를 희생시킨 후 식도를 적출하였으며 발생된 종양의 수를 측정하였다. 각 군별 발생된 암 발생률, 종양의 수 및 부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종양의 부피는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 하였다.
[표 5] 상기 조성물의 암 예방 효과
시료 NMBA 암 발생율 (%) 종양의 수/마우스 종양의 부피(mm3)/종양
대조군 - - - 0 0
발암 대조군 - + 100 8.54±0.7 6.43±1.4
실험군 1 조성물 3 + 74 4.73±0.4 2.2±0.3
실험군 2 조성물 12 + 72 3.42±0.2 1.8±0.2
비교군 녹차추출물 + 90 6.8±0.5 4.6±0.6
상기 표 5에 결과를 다음에 요약하였다.
(1) 랫트의 무게와 식이의 량은 전 실험 과정에 있어서 유의성이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발암 대조군의 경우 100%의 암 발생율을 보였다.
(3) 상기 조성물 3과 12에 의한 암발생율은 발암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26%, 28%의 유의성 있는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P < 0.05).
(4) 상기 조성물 3과 12를 공급한 경우 마우스당 종양의 수는 발암 대조군에 비해 각각 45%, 60% 감소하였으며, 종양당의 부피에 있어서도 각각 66%, 72%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P < 0.01).
(5) 녹차추출물을 공급한 비교군의 경우 종양 발생 율이나 종양의 개수, 부피에 있어서 유효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조성물은 종양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 함으로 항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조성물의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억제 효과
실시예 7에서 적출된 식도 조직으로부터 암 발생과정에 있어서 염증 반응과 관련된 COX-2 (cyclooxygenase-2) 및 iNOS(inducible nitroxide synthase) 유전자의 조직내의 생성농도를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측정 하였다. 조직내의 RNA는 TRIzol 시약을 이용하여 2번 추출하였으며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하였다. RNA를 cDNA로 변환시키는 RT (reverse transcription) 반응은 Perkin-Elmer GeneAmp PCR 9600 (Perkin-Elmer Corp., Norwalk, CT, USA)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즉, 2ug 의 RNA를 65℃ 에서 5분간 인큐베이션 한 후 4℃로 냉각한다. 냉각된 RNA를 다음의 혼합물과 함께 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켜 cDNA를 얻었다: 5.0 mM MgCl2; 1 U/μL RNAsin RNA inhibitor; 100 pmol random primers; 1.0 mM each of dATP, dGTP, dCTP, and dTTP; and 2.5 U/μL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Gibco-BRL). 생성된 cDNA를 증폭은 GeneAmp5700 sequence detection system (Perkin-Elmer Corp., Norwalk, CT, USA) 을 통하여 QuantiTect SYBR Green PCR kit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즉, 각 반응 혼합물은 10 ng template cDNA, 25μL 2 X QuantiTect SYBR Green PCR Master Mis, 5 μM of forward and reverse primers를 포함하며 물을 이 용하여 50μL 반응액을 맞추었다. 각 반응은 MicroAmp 96-well plates내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음의 반응 조건에 의해 진행 되었다: 95℃ for 15 min (activation); 40 cycles of 15 s at 94℃ (denaturation), 30 s at 60℃ (annealing), and 30 s at 72 ℃ (extension). 실험에 사용된 각 프라이머들의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HPRT sense 5'- GCTTTCCCTGGTTAAGCAGTACA-3', antisense 5'- CAAACTTGTCTGGAATT TCAAATC-3'; COX-2 sense 5'-AAGCGAGGACCTGGGTTCA-3', antisense 5'-AAGGCGCAGTTTATGTTGTCTGT-3', iNOS sense 5'-GGCAGCCTGTGAG ACCTTTG-3', antisense 5'-GCATTG GAAGTGAAGCGTTTC. 각각의 SYBR Green PCR data는 SDS Sequence Detector Software (PE Applied Biosystemsty,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계산되었으며 모든 조직내에서 균일하게 존재하는 유전자인 HPRT의 발현 량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조직내의 COX-2 및 iNOS의 발현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3 혹은 12를 섭취한 그룹의 경우, COX-2의 조직내 발현량은 섭취하지 않은 발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1%, 82% 감소 하였으며 iNOS의 경우 74%, 90%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군으로 사용된 녹차추출물 (COX-2의 33%, iNOS의 44%) 보다 월등히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암의 형성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암 예방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조성물의 세포 증식 억제 활성
실시예 7에서 적출된 식도 조직으로부터 암세포 증식과 관련된 인자인 PCNA (proliferating nuclear cell antigen)의 조직 내 농도를 면역조직학 (Immunohisto chemistr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출된 조직은 즉시 10%-포르말린 용액에 4시간 처리한 후 PBS로 세척 한다. 각 조직을 파라핀 블록에 고정(embedded) 시키고 이를 4um의 두께로 자른다. 조직이 포함된 파리핀 블록을 자일렌과 알코올을 처리하여 수분 및 파라핀을 제거하고 시트르산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안티젠을 회복시킨 다음, 3% 과산화수소수용액, 카제인, 시럼, avidin/biotin을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primary anti-PCNA 및 secondary-antibody을 처리하여 인큐베이션한 다음, 조직 내 PCNA 단백질을 3,3' DAB (3,3'diamino benzidine)를 이용하여 발색시킨다. 발색된 조직 발현된 PCNA 단백질을 현미경 및 Imag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이를 조직 내 양성 PCNA 세포 수(%)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 3 혹은 12를 섭취한 군의 조직내의 PCNA양은 발암 대조군에 비해 각각 49%, 51%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군인 녹차 추출물의 16% 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암세포 증식 관련 인자인 PCNA의 생성을 억제하여 암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조성물에 의한 암세포 사멸 ( apoptosis ) 효과측정
상기 조성물의 항 종양 효과와 관련된 암세포 사멸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실 시예 7에서 적출된 조직의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Biotin-dUTP Nick End Labeling) assay를 수행하였다. TUNEL assay는 TdT-FragELtmDNA fragmentation kit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각 조직을 Axiovert S 100 light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 하였다. 결과는 TUNEL 양성인 세포의 퍼센트를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사멸된 세포수 (%) = [TUNEL 양성 세포/전체 세포수] x 100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3 혹은 12를 섭취한 경우 세포 사멸이 19.6%, 16.8% 로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의 7.5%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암세포 사멸을 유전자 수준에서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랫트를 이용한 4주 반복투여 독성 시험
디벤조-p-디옥신유도체의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수 공히 매체 대조군과 시험물질(조성물 14)을 각각 1000, 333 및 111 mg/kg의 용량으로 10 마리의 SD 계통 암수 랫드에 4 주간 반복 경구 투여하여 나타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에서는 암수 모두 시험물질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사료 및 물 섭취량에서도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6) 안검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7) 요검사에서도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8)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9)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도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0) 부검소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의 투여에 의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11) 장기중량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2) 병리조직학적인 검사에서도 시험물질의 투여에 의한 어떠한 독성학적인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시험에서 랫드에서의 4 주간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물질의 무영향량(NOAEL)은 1000 mg/kg/day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해조류로부터 정제되어 독성이 전혀 없고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 내지 10 로 표시되는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2
    [화학식 3]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3
    [화학식 4]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4
    [화학식 5]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5
    [화학식 6]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6
    [화학식 7]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7
    [화학식 8]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8
    [화학식 9]
    Figure 112007078308995-pat00019
    [화학식 10]
    Figure 112007078308995-pat00020
    이 때, 상기 식에서, 각 R은 H, 아세틸기, 올레오일기 및 메틸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10의 R이 각각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6중량%, 상기 화학식 2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5-60중량%, 상기 화학식 3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1-30중량%, 상기 화학식 4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20중량%, 상기 화학식 5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0중량%, 상기 화학식 6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15중량%, 상기 화학식 7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상기 화학식 8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상기 화학식 9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0중량% 및 상기 화학식 10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2중량%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아이세니아 바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아이세니아 아르보레아(Eisenia arborea),아이세니아 데스마레스티오데스(Eisenia desmarestioides), 아이세니아 갈라파제니스(Eisenia galapagensis), 아이세니아 매소니(Eisenia masonii),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 에클로니아 맥시마(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타(Ecklonia radiata), 에클로니아 바이시클리스(Ecklonia bicyclis), 에클로니아 바이런시네이트(Ecklonia biruncinate), 에클로니아 부시날리스(Ecklonia buccinalis), 에클로니아 카에파에스팁스(Ecklonia caepaestipes), 에클로니아 엑사스퍼타(Ecklonia exasperta), 에클로니아 파스티기아타(Ecklonia fastigiata), 에클로니아 브레빕스(Ecklonia brevipes), 에클로니아 아라보레아(Ecklonia arborea), 에클로니아 라티폴리아(Ecklonia latifolia), 에클로니아 무라티(Ecklonia muratii), 에클로니아 라디코사(Ecklonia radicosa), 에클로니아 리타디아나(Ecklonia richardiana) 및 에클로니아 라이티(Ecklonia wright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100mg/Kg의 일일 섭취량 또는 일일 도포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 또는 정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이외의 암을 대상으로 하는 암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청구항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음료, 빵, 캡슐 및 정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10. 삭제
KR1020060086706A 2006-09-08 2006-09-08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79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706A KR100794610B1 (ko) 2006-09-08 2006-09-08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706A KR100794610B1 (ko) 2006-09-08 2006-09-08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610B1 true KR100794610B1 (ko) 2008-01-14

Family

ID=3921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706A KR100794610B1 (ko) 2006-09-08 2006-09-08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6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98B1 (ko) 2008-06-27 2010-1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조성물
CN102056604A (zh) * 2008-06-05 2011-05-11 来威肯株式会社 包含二苯并-对-二恶英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治疗关节炎的组合物
KR20130094901A (ko) *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보타메디 항암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KR101309538B1 (ko) 2010-11-17 2013-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449A (ko) * 2005-05-16 2007-02-12 라이브켐 주식회사 피부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449A (ko) * 2005-05-16 2007-02-12 라이브켐 주식회사 피부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e MJ et al; Biol Pharm Bull. 2006 Aug;29(8):1735-9
Kang, Hye-Sook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04, 27(2), pp.194-198
Kim, Youn-Chul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05, 28(12), pp.1376-1380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6604A (zh) * 2008-06-05 2011-05-11 来威肯株式会社 包含二苯并-对-二恶英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治疗关节炎的组合物
KR100991398B1 (ko) 2008-06-27 2010-1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조성물
KR101309538B1 (ko) 2010-11-17 2013-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20130094901A (ko) *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보타메디 항암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KR101945783B1 (ko) * 2012-02-17 2019-02-11 주식회사 보타메디 항암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19837A1 (ja) リパーゼ阻害剤
AU200423570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KR20120023787A (ko) 대사증후군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JP4980429B2 (ja) アラザイムを有効成分とする癌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0794610B1 (ko)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50031780A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070541A (ja) Tg合成抑制剤
KR20090112955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KR100902094B1 (ko) 상백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2―아릴벤조퓨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386822A1 (en)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f1 as active ingredient
KR20040107185A (ko) 알란토락톤 또는 이소알란토락톤을 포함하는 암 또는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57706B1 (ko) 오베큐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KR20140082502A (ko) 테뉴폴리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35127A (ko)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20180088606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능이 있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함유하는 퉁퉁마디(Salicornia SPP.)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US1146478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oleanolic acid acetat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renal toxicity induced by medicine
KR101320948B1 (ko) 야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45237B1 (ko)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오수유 유래의 알카로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6021B1 (ko) 텔렉타디엄 동나이엔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26957B1 (ko) 코지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80000703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능이 있는 이소람네틴 및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퉁퉁마디 추출물
KR20110062726A (ko) 캄페라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