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05A -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05A
KR20230025105A KR1020210107195A KR20210107195A KR20230025105A KR 20230025105 A KR20230025105 A KR 20230025105A KR 1020210107195 A KR1020210107195 A KR 1020210107195A KR 20210107195 A KR20210107195 A KR 20210107195A KR 20230025105 A KR20230025105 A KR 2023002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vehicle
voltage battery
ota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상
정명규
김진아
정윤식
김학준
이동열
양영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105A/ko
Priority to US17/752,392 priority patent/US20230052414A1/en
Priority to DE102022114401.1A priority patent/DE102022114401A1/de
Priority to CN202210676601.9A priority patent/CN115705205A/zh
Publication of KR2023002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4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ed to technical updates when adding new parts or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OTA 업데이트(Over-the-Air update)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업데이트 수행부 및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Low-Voltage Battery)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VEHICLE OTA UPDATING, AND METHOD THEREOF}
실시예들은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는 차량의 차량용 배터리에 포함된 저전압 배터리(Low-Voltage Battery)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다만,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값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충전 중이지 않은 저전압 배터리에 의존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OTA 업데이트를 완료하지 못하고 저전압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며 동시에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동시에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며, 동시에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Over-the-Air update)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업데이트 수행부; 및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Low-Voltage Battery)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High-Voltage Battery)의 SOC 값, 상기 차량의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오프(Off)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업데이트 수행부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업데이트 수행부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On)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은 상기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은,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 상기 차량의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오프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On)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은 상기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동시에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며, 동시에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1000, 또는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은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카(HEV, Hybrid Electric Vehicle) 및/또는 플로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른 OTA(Over the Top) 업데이트는 차량의 소프트웨어(software)를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장치를 차량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실시한다. 다만,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차량이 직접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는 차량의 차량용 배터리에 포함된 저전압 배터리(Low-Voltage Battery)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다만,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값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충전 중이지 않은 저전압 배터리에 의존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OTA 업데이트를 완료하지 못하고 저전압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며 동시에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동시에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며, 동시에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는 업데이트 관리부(1001), 업데이트 수행부(1002) 및/또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리먼트(elemen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관리부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모드,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모드 및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모드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 정보는 상술한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장치는 생성된 모드 정보에 따라 특정 모드에 기반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 정보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High-Voltage Battery)의 SOC 값,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수행부는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기는 차량에 포함된 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는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대한 OTA 업데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차량의 OTA 업데이트는 차량에 포함된 각 제어기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모드 정보가 지시하는 OTA 업데이트 모드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저전압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여 안전하게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여러가지 모드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제어기별 OTA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2000, 도 1 에서 설명한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차량용 배터리, 제 1 제어기 및/또는 제 2 제어기와 서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 정보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드 정보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에 포함된 업데이트 관리부(도 1 의 1001)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차량용 배터리(2001)에 포함된 저전압 배터리(2001a) 및 고전압 배터리(2001b) 각각으로부터 SOC 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2002) 및/또는 제 2 제어기(20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OTA 업데이트는 각 제어기 별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OTA 업데이트 수행 과정에서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여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저전압 배터리는 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저전압 배터리는 충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는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관여하는 제어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 중인 경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제어기는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관여하지 않는 제어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 중인 경우에도,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모두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관여하는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관여하지 않는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과정 중 제 1 제어기는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저전압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여 안전하게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여러가지 모드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제어기별 OTA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면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도 1 내지 도 2 에서 설명한 장치)의 동작 과정(예를 들어, OTA 업데이트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업데이트 관리부, 업데이트 수행부 및/또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들은 장치에 포함된 업데이트 관리부, 업데이트 수행부 및/또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관리부는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차량의 전원이 오프(Off)된 것에 대응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00). 실시예들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는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은 고전압 배터리의 관리 기준 하한치 SOC 값 및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되는 최대 SOC 값을 더한 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상술한 고전압 배터리의 관리 기준 하한치 SOC 값 및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되는 최대 SOC 값을 더한 값은 상술한 기 설정된 제 1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없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은 제 1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키기 위해 필요한 SOC 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키기 위해 필요한 SOC 값은 상술한 기 설정된 제 2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OTA 업데이트는 차량의 전원이 오프된 것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업데이트 관리부는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및 차량의 전원 상태에 기반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수행부는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3001).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나, 저전압 배터리는 충전 중이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술한 S3001 단계를 다시 수행하거나,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롤백(Roll Back)을 수행할 수 있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롤백은, 제 1 제어기에 대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이전의 과정으로 되돌리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장치는 롤백을 통하여, 유효하지 않은 OTA 업데이트가 수행된 것에 대응하여, 이를 삭제하고 OTA 업데이트 수행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관리부는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02).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수행부는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3004).
도 1 내지 도 2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압 배터리는 제 1 제어기(들) 및/또는 고전압 배터리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기는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여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는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기는 차량의 전원인 ACC 전원, IG 전원 및 BAT 전원에 포함된 IG3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압 배터리가 충전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이 온(On)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하고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3003).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술한 S3004 단계를 다시 수행하거나,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롤백(Roll Back)을 수행할 수 있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롤백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 롤백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업데이트 관리부는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05).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제 3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고,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제 3 모드 정보는 상술한 차량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저전압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여 안전하게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여러가지 모드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제어기별 OTA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면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또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 에서 상술한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는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00),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4001) 및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S40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 정보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0 단계는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차량의 전원이 오프된 것에 대응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에 대한 설명은 도 2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1 단계는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2 단계는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0 단계는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1 단계는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2 단계는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하고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은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S4000 단계는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3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이 도면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저전압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여 안전하게 OTA 업데이트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여러가지 모드에 따라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제어기별 OTA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1001: 업데이트 관리부
1002: 업데이트 수행부
1003: 배터리 충전 제어부
2000: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2001: 차량용 배터리
2001a: 저전압 배터리
2001b: 고전압 배터리
2002: 제 1 제어기
2003: 제 2 제어기

Claims (20)

  1. 차량의 OTA 업데이트(Over-the-Air update)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업데이트 수행부; 및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Low-Voltage Battery)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High-Voltage Battery)의 SOC 값, 상기 차량의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오프(Off)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수행부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수행부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On)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은 상기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11. 차량의 OTA 업데이트에 관한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는,
    상기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 상기 차량의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1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SOC 값이 기 설정된 제 2 값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오프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1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은 제 1 제어기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이지 않은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는 충전 중인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함을 나타내는 제 2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에 포함된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모드 정보가 생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온(On)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은 상기 차량의 전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가 완료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저전압 배터리의 충전 중단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 충전 전원을 오프함을 나타내는 제 3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OTA 업데이트 방법.
KR1020210107195A 2021-08-13 2021-08-13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230025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95A KR20230025105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17/752,392 US20230052414A1 (en) 2021-08-13 2022-05-24 Apparatus for vehicle over-the-air updating, and method thereof
DE102022114401.1A DE102022114401A1 (de) 2021-08-13 2022-06-08 Vorrichtung für über-die-luft-update von fahrzeugen und verfahren dazu
CN202210676601.9A CN115705205A (zh) 2021-08-13 2022-06-15 用于车辆的空中下载更新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95A KR20230025105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05A true KR20230025105A (ko) 2023-02-21

Family

ID=8504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95A KR20230025105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52414A1 (ko)
KR (1) KR20230025105A (ko)
CN (1) CN115705205A (ko)
DE (1) DE102022114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6730B2 (ja) * 2015-03-16 2017-10-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ソフト更新装置、ソフト更新方法
US20170300313A1 (en) * 2016-04-14 2017-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remote software update on a vehicle
WO2020115819A1 (ja) * 2018-12-04 2020-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更新制御装置及び更新制御方法
JP7132904B2 (ja) * 2019-12-19 2022-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更新方法
EP4232835A1 (en) * 2020-10-20 2023-08-30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JP2022076790A (ja) * 2020-11-10 2022-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JP7420095B2 (ja) * 2021-02-17 2024-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JP7307116B2 (ja) * 2021-04-07 2023-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車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14401A1 (de) 2023-02-16
CN115705205A (zh) 2023-02-17
US20230052414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9779B (zh) 用于控制车辆的车载电池充电器的方法和系统
CN107919723B (zh) 用于控制辅助电池的继电器的系统及方法
US20190341787A1 (en) Energy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US201701580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vehicle battery
KR102558740B1 (ko) 배터리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3772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DC in electric vehicle
CN112406628B (zh) 车载电池的充放电的控制装置
KR20230025105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CN112748939B (zh) 一种软件更新的控制方法、装置及汽车
CN107546835A (zh) 供电组件及方法
KR102417889B1 (ko) 전기차량의 보조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26163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수행 장치 및 방법
CN211478559U (zh) 一种充电桩继电器诊断系统及车辆
CN115276181A (zh) 电池组的并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90096521A (ko) 비상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037836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수행 장치 및 방법
JP2020178451A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KR102264505B1 (ko) 차량의 급속충전 제어 시스템
CN211075598U (zh) 充电装置
US20240157824A1 (en) Peer-to-peer dc fast charging
CN115195476B (zh) 车辆能量管理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及车辆
KR20230025108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230025110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230017635A (ko) 차량용 ota 업데이트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240075591A (ko) 충방전 전압 제어를 통해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방전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