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83A -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Google Patents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4183A KR20230024183A KR1020210175053A KR20210175053A KR20230024183A KR 20230024183 A KR20230024183 A KR 20230024183A KR 1020210175053 A KR1020210175053 A KR 1020210175053A KR 20210175053 A KR20210175053 A KR 20210175053A KR 20230024183 A KR20230024183 A KR 202300241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pring
- contact cover
- damper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상기 창문 개방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창문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접촉커버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창문에 부착되어,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완전히 개방될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의 접촉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문은 창틀 내부의 레일에 적어도 한 쌍의 창문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창문이 중첩되는 여밈대 부위에는 창문의 개폐를 제한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창문 중 실내측 창문의 여밈대부에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이 잠금장치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실외측 창짝의 여밈대부에는 브라켓이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창문은 실내측 창문의 개방 시 일측에 구비된 잠금장치가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그 충격에 의해 잠금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내측 창문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내외 측 창문에 잠금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는 손잡이가 설치된 창문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로, 내측 창문을 창틀의 이동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문을 개방하면, 내측 창문이 외측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에 강한 힘으로 부딪혀서 손잡이가 파손되는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나 손잡이 등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의 이동레일에 창문 댐퍼를 설치하여, 내측 창문이 소정 거리만큼 창틀의 이동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창문 댐퍼에 의해서 내측 창문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장치가 부딪히거나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가 부딪혀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댐퍼는 창틀에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보이게 되어서 미관(美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사를 이용하여 창틀에 댐퍼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창틀의 바닥면을 뚫고 들어간 나사로 인하여 창틀에 틈새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경우에는 나사가 뚫고 들어간 창틀 부분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우천 시 빗물이 스며드는 누수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창틀의 수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댐퍼가 창틀에 설치됨에 따라 창문의 크기에 상관 없이 최대 창틀의 상측과 하측에 하나씩 밖에 설치할 수 밖에 없어, 창문의 크기가 커 가해지는 충격이 큰 경우 등의 상황에서 충격을 완전하게 흡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창틀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댐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174414호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창문에 부착되어,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완전히 개방될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의 접촉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는 창문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상기 창문 개방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창문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접촉커버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바디 보다 좌우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일측면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정후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커버는, 정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되고 이동 가능한 이동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이동레일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이동돌기와 접하는 탄성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돌출부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내측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의 일단에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부가 제2 경사부 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돌기에 각각 형성되는 감속스프링 및 상기 감속스프링과 연결되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접하며 이동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감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내면이 타단에서 일단으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홈이 형성된 스프링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흡수 댐퍼의 상기 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접촉커버와 접하는 탄성완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돌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측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의 하단에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부가 제2 경사부 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하측에 형성된 감속스프링 및 상기 감속스프링과 연결되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접하며 이동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감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홈이 형성된 스프링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는 창문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상기 창문 개방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있어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문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와의 결합으로 상기 브라켓과 밀착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과 바디 중 하나 이상을 감싸거나 덮도록 형성되되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커버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는 창문에 부착되어,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완전히 개방될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의 접촉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와 스프링의 구성으로 2차 충격 흡수가 가능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창문의 크기 및 생활 환경에 따라 창문에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중창, 삼중창 등 창문 타입에 따른 한계 없이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9는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다른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
도 19는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다른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 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는 창문(W1)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창문(W1) 개방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서, 브라켓(10), 바디(11), 스프링(12) 및 접촉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브라켓(10)은 창문(W1)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가 창문(W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10)은 창문(W1) 일측의 프레임(WF) 끝단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하측으로 꺾여 있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와 같이 형성될 경우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의 접촉커버(13)가 창문(W1)의 프레임(WF)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브라켓(10)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은 창문(W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고정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디(11)는 브라켓(10)과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스프링(1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11)는 스프링(12)이 내부에 설치되면서 접촉커버(13)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11)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면이 같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바디(11) 내부 타측면에 스프링(12)이 연결될 수 있으며, 스프링(12)의 일단측 일부가 바디(11)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는 접촉커버(1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접촉커버(13) 보다 좌우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는 접촉커버(13)와의 결합을 위해 이동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돌기(110)는 바디(11) 정후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접촉커버(13)의 이동레일(130)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디(11)와 접촉커버(13)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돌기(110)는 이동레일(130)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접촉커버(13)가 창문(W1)이 개방되어 충격에 받음에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돌기(110)는 접촉커버(13)가 이동될 시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이 보다 용이하도록 상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11)와 브라켓(10)의 연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 하면에 홀이 형성되고, 브라켓(10)에 돌기가 형성되어 돌기/홀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 고정, 볼트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구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11)는 스프링고정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은 하나 이상이 바디(11) 내부 타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스프링(1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은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 형성되어 스프링(12) 타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홈에 스프링(12)이 안착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12)의 위치가 고정되어 보다 용이하게 수축 및 복원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12)은 하나 이상이 바디(11) 내부에 설치되고, 접촉커버(13)와 연결되어, 접촉커버(13)가 충격을 받을 시, 탄성력으로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2)은 충격이 가해질 시 탄성을 가지는 접촉커버(13)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 후,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접촉커버(13)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11)에 설치되되 스프링(12)과 연결되어, 창문(W1)이 완전 개방될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접촉커버(13)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12)에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12)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13)는 바디(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충격이 가해지면 이동이 발생하고, 스프링(12)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개방되는 창문(W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촉커버(13)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11)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디(11) 보다 좌우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2)이 접촉커버(13)의 내부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접촉커버(13)는 바디(11)와 결합된 상태로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동레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130)은 접촉커버(13)의 정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돌기(1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이동돌기(110)가 이동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접촉커버(13)가 충격을 받을 시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레일(130)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13)는 위치고정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벽은 접촉커버(13)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벽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12)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이 가해지면 접촉커버(13)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바디(11)를 따라 이동되며 스프링(12)이 수축되어 2차적으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도 4의 (a)). 또한 수축된 스프링(12)이 복원되면서 접촉커버(13)가 일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도 4의 (b)).
이러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의 작동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이용하여 창문(W1)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와 같이,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는 창문(W1) 일측의 프레임(WF) 끝단에 브라켓(1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는데, 하나의 창문(W1)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는 상면이 창문(W1)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접촉커버(13)가 돌출되는 방향이 창문(W1)이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가 창문(W1)에 설치된 상태에서, 창문(W1)이 완전 개방되면, 도 5b와 같이, 접촉커버(13)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에 의해 창문(W1)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창문(W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는 도 5c와 같이, 내부 스프링(12)에 의해 접촉커버(13)가 다시 원 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창문(W1)과 다른 창문(W2)간의 사이를 이격시켜 잠금장치 등의 부딪힘으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창문(W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의 접촉커버(13)는 탄성완화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완화부(131)는 접촉커버(13)의 이동레일(130) 내부에 설치되어, 바디(11)의 이동돌기(110)가 이동될 시 접하는 것으로, 접촉커버(13)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완화부(131)는 이동레일(130) 내부에 좌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의 탄성돌출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돌출부(131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이동레일(130)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이동돌기(110)가 이동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때 탄성돌출부(1310)에 걸리면서 이동되어 마찰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돌출부(1310)가 탄성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이동돌기(110)가 충격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감속 작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탄성돌출부(1310)는 제1 경사부(1310a) 및 제2 경사부(1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310a)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내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6의 (a)와 같이, 접촉커버(13)에 충격이 발생하여 이동돌기(110)가 이동레일(130)에서 일측으로 이동될 시 제1 경사부(1310a)에 걸려 마찰이 발생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310b)는 제1 경사부(1310a)의 일단에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가 제1 경사부(1310a) 보다 급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의 (b)와 같이, 스프링(12)에 의해 접촉커버(13)가 복귀 될 시, 이동돌기(110)가 이동레일(130)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돌출부(1310)에 의한 영향을 보다 크게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동돌기(110)에 대해 제1 경사부(1310a) 보다 제2 경사부(1310b)에 의해 마찰이 보다 크게 발생하도록 하여, 접촉커버(13)의 복귀 이동 속도가 보다 느려지도록 하여 창문(W1)의 충격에 의한 반발력을 낮춰 줄 수 있다.
이에 창문(W1)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 반발력에 의해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창문(W1)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의 바디(11)는 감속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촉커버(13)의 이동레일(130)은 감속부(111)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내면이 타단에서 일단으로 미세하게 외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감속부(111)는 접촉커버(13)가 스프링(12)에 의해 복귀 될 시, 복귀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 반발력을 최소화하여 창문(W1)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고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감속스프링(1110) 및 감속부재(111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스프링(1110)은 이동돌기(1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동돌기(1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감속부재(11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감속부재(1111)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감속부재(1111)가 이동레일(130)을 따라 이동될 시, 이동레일(130)과 접하여 이동되되 밀어주는 힘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감속부재(1111)는 감속스프링(1110)과 연결되되, 이동레일(130)과 접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감속부재(1111)는 이동레일(130)과 접한 상태로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감속부(111)는 이동레일(130)을 따라 이동되며 감속 작용을 할 수 있는데, 충격이 가해져 접촉커버(13)가 이동된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12)에 의해 도 7의 (b)와 같이 복원 될 시, 감속부(111)의 감속부재(1111)가 이동레일(130)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되어 점차 마찰력이 커져 복귀 이동 속도가 점차 느려질 수 있고, 반발에 의한 충격이 거의 없이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창문(W1)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 반발력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거나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창문(W1)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충격에 의해 이동 및 복귀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창문에 설치되어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창문(W2)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창문(W2) 개방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1)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서, 브라켓(20), 바디(21), 스프링(22) 및 접촉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1)와는 실질적으로 구성은 동일하나, 형성되는 형태와 설치 위치/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것이다.
먼저, 브라켓(20)은 창문(W2)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가 창문(W2)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20)은 창문(W2)의 측면, 즉 창문(W2)의 프레임(WF) 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브라켓(20)은 창문(W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고정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브라켓(20)은 스프링고정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은 하나 이상이 브라켓(20) 상면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스프링(2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고정축은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 형성되어 스프링(22) 타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홈에 스프링(22)이 안착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22)의 위치가 고정되어 보다 용이하게 수축 및 복원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디(21)는 브라켓(20)과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스프링(2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21)는 스프링(22)이 내부에 설치되면서 접촉커버(23), 브라켓(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21)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스프링(22)이 설치되고 접촉커버(2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바디(21)의 하면에는 브라켓(2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접촉커버(23)가 삽입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21)는 브라켓(20)과 같이 볼트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20)의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바디(21)는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의 내주면 상측에 접촉커버(23)가 바디(2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벽(210)은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바디(21)와 브라켓(20)의 연결은 볼트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 고정, 돌기/홈 조립 등 다양한 방법/구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22)은 하나 이상이 바디(21) 내부에 설치되고, 접촉커버(23) 연결되어, 접촉커버(23)가 충격을 받을 시, 탄성력으로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22)은 충격이 가해질 시 탄성을 가지는 접촉커버(23)에서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된 후,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접촉커버(23)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21)에 설치되되 스프링(22)과 연결되어, 창문(W2)이 완전 개방될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1)과 접하여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접촉커버(23)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22)에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22)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23)는 바디(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충격이 가해지면 이동이 발생하고, 스프링(22)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개방되는 창문(W2)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촉커버(23)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디(2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바디(21)에 삽입되고 하단에 스프링(22)이 연결되어 바디(2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23)는 이탈방지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30)는 접촉커버(2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접촉커버(23)가 바디(21)에 삽입되어 있을 시 이탈방지벽(210)에 걸려 접촉커버(23)가 바디(21)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접촉커버(23)가 충격을 받으면 바디(21)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이 가해지면 접촉커버(23)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바디(21) 내부로 이동되며 스프링(22)이 수축되어 2차적으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도 11의 (a)). 또한 수축된 스프링(22)이 복원되면서 접촉커버(23)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11의 (b)).
이러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의 작동에 대해 도 12a 내지 도 12c를 이용하여 창문(W2)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와 같이,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창문(W2) 일측의 프레임(WF) 측면에 브라켓(20)을 통해 수직되게 부착될 수 있는데, 하나의 창문(W2)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접촉커버(23)가 돌출되는 방향이 창문(W2)이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가 창문(W2)에 설치된 상태에서, 창문(W2)이 완전 개방되면, 도 12b와 같이, 접촉커버(23)는 창틀(WS)과 접하여 충격에 의해 창문(W2)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즉 바디(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창문(W2)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도 12c와 같이, 내부 스프링(22)에 의해 접촉커버(23)가 다시 원 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창문(W2)과 다른 창틀(WS)간의 사이를 이격시켜 창문(W2)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중창으로 이루어진 창문(W1,W2)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창문(W1,W2)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그재그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각 창문(W1,W2)에 대한 완전 개방 시의 충격을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탄성완화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의 바디(21)는 탄성완화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완화부(211)는 바디(21) 내부에 설치되어, 접촉커버(23)가 바디(21)에서 이동될 시 접하는 것으로, 접촉커버(23)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완화부(211)는 바디(2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의 탄성돌출부(21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돌출부(211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바디(21) 내부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접촉커버(23)가 바디(21)에서 이동될 때 탄성돌출부(2110)에 걸리면서 이동되어 마찰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돌출부(2110)는 탄성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커버(23)의 이탈방지돌기(230)가 충격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감속 작용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돌출부(2110)는 제1 경사부(2110a) 및 제2 경사부(2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110a)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커버(23)에 충격이 발생하여 바디(21) 내부로 이동될 시 접촉커버(23)의 이탈방지돌기(230)가 제1 경사부(2110a)에 걸려 마찰이 발생하면서 이동되도록 하여 이동 속도가 감소되며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경사부(2110b)는 제1 경사부(2110a) 하단에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에 의해 접촉커버(23)가 원 상태로 복귀될 시 접촉커버(23)의 이탈방지돌기(230)가 제2 경사부(2110b)에 걸려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사부(2110b)가 제1 경사부(2110a) 보다 경사가 급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복귀될 시 접촉커버(23)가 탄성돌출부(2110)에 의한 영향을 보다 크게 받도록 하여 이동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접촉커버(23)의 복귀 이동 속도가 보다 감소되도록 하여 창문(W2)의 충격에 의한 반발력을 낮춰 줄 수 있다.
이에 창문(W2)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 반발력에 의해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창문(W2)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에 감속부가 형성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2)의 접촉커버(23)는 감속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디(21)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미세하게 외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부(231)는 접촉커버(23)가 스프링(22)에 의해 복귀 될 시, 복귀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 반발력을 최소화하여 창문(W2)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고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감속스프링(2310) 및 감속부재(2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스프링(2310)은 접촉커버(23) 하측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탈방지돌기(2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감속부재(23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감속부재(2311)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감속부재(2311)가 바디(21)를 따라 이동될 시, 바디(21) 내면과 접하여 이동되되 밀어주는 힘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감속부재(2311)는 감속스프링(2310)에 각각 연결되되, 바디(21)와 접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감속부재(2311)는 바디(21)와 접한 상태로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감속부(231)는 바디(21)를 따라 이동되며 감속 작용을 할 수 있는데, 충격이 가해져 접촉커버(23)가 이동된 도 1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22)에 의해 도 15의 (b)와 같이 복원 될 시, 감속부(231)의 감속부재(2311)가 바디(21)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되어 점차 마찰력이 커져 복귀 이동 속도가 점차 느려질 수 있고, 반발에 의한 충격이 거의 없이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창문(W2)이 완전 개방됨에 따라, 반발력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거나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창문(W2)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삼중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설치예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가 다른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는 창문(W1)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창문(W1) 개방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이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스프링 구성 없이 이동이 아닌 탄성소재의 특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는 브라켓(30), 바디(31) 및 접촉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브라켓(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과 같이 창문(W1) 일측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30)은 창문(W1) 일측의 프레임(WF) 끝단에 걸려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하측으로 꺾여 있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반대 방향으로 창문(W2) 일측의 프레임(WF)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0)은 창문(W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고정 방식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디(31)는 브라켓(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접촉커버(32)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이 아닌 탈부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31)는 브라켓(30) 상면에 수직되게 벽 형태로 형성되되, 정후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31)는 접촉커버(32)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310)는 바디(3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정면 또는 후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접촉커버(32)의 고정홀(320)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디(31)와 접촉커버(32)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310)는 충격에 의해 고정홀(32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용이성을 위해 상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커버(3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31)와의 결합으로 브라켓(30)과 밀착 결합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창문(W1)이 완전 개방될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을 받음에 따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접촉커버(3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창문(W1)이 완전 개방될 시 창틀(WS) 또는 다른 창문(W2)과 보다 용이하게 넓은 면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32)는 바디(31)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320)은 접촉커버(32)의 정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돌기(3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접촉커버(32)가 바디(31)를 통해 브라켓(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홀(320)은 설명한 바와 같이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의 작동에 대해 도 18을 이용하여 창문(W1)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는 창문(W1,W2) 일측의 프레임(WF) 끝단에 브라켓(3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는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문(W1,W2)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그재그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설치되거나, 하나의 창문(W1 또는 W2)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는 상면이 창문(W1)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ㄱ'자 형태의 접촉커버(32)의 수직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이 창문(W1)이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가 창문(W1)에 설치된 상태에서, 창문(W1)이 완전 개방되면, 접촉커버(32)는 다른 창문(W2)과 접하여 충격에 의해 창문(W1)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접촉커버(32)가 흡수하여 창문(W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3)는 도 19와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접촉커버(32)는 'ㄱ'자 형상이 아닌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31)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32)는 바디(31)에서의 이탈을 보다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상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는 창문에 부착되어,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완전히 개방될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의 접촉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커버와 스프링의 구성으로 2차 충격 흡수가 가능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창문의 크기 및 생활 환경에 따라 창문에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중창, 삼중창 등 창문 타입에 따른 한계 없이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10: 브라켓
11: 바디
110: 이동돌기
111: 감속부
1110: 감속스프링
1111: 감속부재
12: 스프링
13: 접촉커버
130: 이동레일
131: 탄성완화부
1310: 탄성돌출부
1310a: 제1 경사부
1310b: 제2 경사부
2: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20: 브라켓
21: 바디
210: 이탈방지벽
211: 탄성완화부
2110: 탄성돌출부
2110a: 제1 경사부
2110b: 제2 경사부
22: 스프링
23: 접촉커버
230: 이탈방지돌기
231: 감속부
2310: 감속스프링
2311: 감속부재
3: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30: 브라켓
31: 바디
310: 고정돌기
32: 접촉커버
320: 고정홀
321: 이탈방지돌기
10: 브라켓
11: 바디
110: 이동돌기
111: 감속부
1110: 감속스프링
1111: 감속부재
12: 스프링
13: 접촉커버
130: 이동레일
131: 탄성완화부
1310: 탄성돌출부
1310a: 제1 경사부
1310b: 제2 경사부
2: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20: 브라켓
21: 바디
210: 이탈방지벽
211: 탄성완화부
2110: 탄성돌출부
2110a: 제1 경사부
2110b: 제2 경사부
22: 스프링
23: 접촉커버
230: 이탈방지돌기
231: 감속부
2310: 감속스프링
2311: 감속부재
3: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30: 브라켓
31: 바디
310: 고정돌기
32: 접촉커버
320: 고정홀
321: 이탈방지돌기
Claims (10)
- 창문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상기 창문 개방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창문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접촉커버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바디 보다 좌우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일측면에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정후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커버는,
정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되고 이동 가능한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이동레일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이동돌기와 접하는 탄성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돌기에 각각 형성되는 감속스프링 및 상기 감속스프링과 연결되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접하며 이동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감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내면이 타단에서 일단으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하면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접촉커버와 접하는 탄성완화부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커버는,
하측에 형성된 감속스프링 및 상기 감속스프링과 연결되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접하며 이동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또는 브라켓은,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홈이 형성된 스프링고정축을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창문 일측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상기 창문 개방 시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있어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문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와의 결합으로 상기 브라켓과 밀착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과 바디 중 하나 이상을 감싸거나 덮도록 형성되되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 또는 다른 창문과 접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커버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06363 | 2021-08-11 | ||
KR1020210106363 | 2021-08-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4183A true KR20230024183A (ko) | 2023-02-20 |
KR102710041B1 KR102710041B1 (ko) | 2024-09-25 |
Family
ID=8532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5053A KR102710041B1 (ko) | 2021-08-11 | 2021-12-08 |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004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6816A (ko) * | 2003-07-10 | 2005-01-1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댐퍼 |
KR101601734B1 (ko) * | 2016-01-22 | 2016-03-09 | 주식회사 동수건설 |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 및 충격완화장치 |
KR20170017417A (ko) * | 2015-08-06 | 2017-02-15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측면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미닫이문 |
JP2019052454A (ja) * | 2017-09-14 | 2019-04-04 | 株式会社大林組 | 免震構造 |
KR20190056134A (ko) * | 2017-11-16 | 2019-05-24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5053A patent/KR1027100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6816A (ko) * | 2003-07-10 | 2005-01-1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댐퍼 |
KR20170017417A (ko) * | 2015-08-06 | 2017-02-15 | 윔코리아 주식회사 | 측면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미닫이문 |
KR101601734B1 (ko) * | 2016-01-22 | 2016-03-09 | 주식회사 동수건설 |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 및 충격완화장치 |
JP2019052454A (ja) * | 2017-09-14 | 2019-04-04 | 株式会社大林組 | 免震構造 |
KR20190056134A (ko) * | 2017-11-16 | 2019-05-24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0041B1 (ko) | 2024-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63020B2 (ja) | 歩行者衝突に適合する電気自動車の充電ソケットフラップデバイス | |
KR101661079B1 (ko) | 수평방향 내진성능이 향상된 창호시스템 | |
KR20190041628A (ko) |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 |
KR102014607B1 (ko) |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 |
KR20230024183A (ko) | 창문 부착형 충격 완화 댐퍼 | |
JP3467551B2 (ja) | 扉の戸当たり緩衝装置 | |
KR200459418Y1 (ko) |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 |
WO2012008362A1 (ja) | 緩衝装置 | |
KR102260008B1 (ko) | 공통 평면 상에 배치된 슬라이딩 패널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도어 조립체 | |
KR102116766B1 (ko) |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 |
KR20110011128U (ko) |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 |
KR102052302B1 (ko) | 도어의 개폐에 따른 충격흡수 및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용 원터치형 스토퍼 | |
KR200496011Y1 (ko) |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 |
KR100587492B1 (ko) | 건축물 지하주차장 기둥구조 | |
KR20210007476A (ko) | 슬라이딩 방폭문에 가해지는 폭발압력을 흡수하는 방폭장치 | |
CN211021709U (zh) | 一种双向减震降噪缓冲机构 | |
KR101467625B1 (ko) |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 |
JP3905411B2 (ja) | シャッタ | |
KR101323676B1 (ko) | 완충기능을 구비한 롤스크린용 하단바와 하단바 캡 및 이를 이용한 롤스크린 | |
KR0140679Y1 (ko) | 소음 방지 구조의 도어 핸들 | |
KR102291186B1 (ko) | 도어의 완충 구조 | |
KR20080000206U (ko) | 창호용 완충 스토퍼 | |
KR20150054101A (ko) | 도어 차폐장치 | |
KR102257660B1 (ko)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
KR20130114504A (ko) |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