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660B1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7660B1 KR102257660B1 KR1020200118769A KR20200118769A KR102257660B1 KR 102257660 B1 KR102257660 B1 KR 102257660B1 KR 1020200118769 A KR1020200118769 A KR 1020200118769A KR 20200118769 A KR20200118769 A KR 20200118769A KR 102257660 B1 KR102257660 B1 KR 1022576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oor frame
- cap
- space
- concav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의 일부 구간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문틀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면서 설치된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 내부로 움직이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의 일부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의 일부 구간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여닫이문의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었을 때 문틀의 모서리를 감싸면서 설치된 가변캡이 공간부로 이동하여 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은 안팎으로 밀거나 당겨서 여는 문을 말하며, 문틀과 문짝의 모서리에 경첩을 설치하여 연결하고, 경첩을 회전축으로 하여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여닫는 문을 말한다. 여닫이문은 문짝이 경첩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문짝이 회전할 때 문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첩이 설치된 쪽의 문짝과 문틀 사이에 어느 정도의 틈이 있어야 하고, 문짝이 문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닫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이 닫힐 때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여닫이문은 가정집은 물론 어린이집, 학교 등의 거의 모든 건물의 실내용 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문짝의 모서리 부분이 수직으로 각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모서리 부분에 부딪힐 경우 충격에 의해 상처를 입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골절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문이 닫히면서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낀 상태로 문이 닫히는 손끼임 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유아, 어린이 또는 활동적인 청소년들이 많은 일반가정,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는 항시 이러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강풍이 불거나 어린이들끼리 장난치다가 갑자기 문이 닫히는 경우에는 순식간에 더 큰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부상의 정도는 더욱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현한 기술을 예로 들어 보면, 한국 특허등록 제1244792호 "안전 여닫이문"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사분원 형상으로 제작된 3개의 힌지플레이트를 서로 중첩되게 설치하여 문을 열었을 때 문짝과 문틀 사이에 중첩되어 있던 힌지플레이트가 펼쳐지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의 공간에 하나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고, 문을 닫는 동안에도 문짝과 문틀 사이에 틈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 한국 특허등록 제2027221호 "축회전방식 여닫이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는 경첩이 설치된 부분의 문짝과 문틀 사이에 탄력에 의해 지지된 탄력판을 설치하여 문이 열렸을 때는 탄력판이 돌출되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해 주고, 문이 닫힐 때는 탄력판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문짝이 닫힐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출현했던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은 경첩이 설치된 부분의 문짝과 문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대부분인데,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손끼임 방지를 위한 기구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교체 또는 수리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전문 A/S 인력을 불러야 하고, 문틀과 문짝 사이에 벌어진 공간(틈새)을 가리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답답한 느낌을 주며 유지 관리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첩이 설치된 부분에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손끼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의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성이나 대책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의 일부 구간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문틀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면서 설치된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 내부로 움직이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의 일부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는,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한 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오목홈이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구성된 공간부가 구비된 문틀;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가 형성된 면의 상부와 하부의 실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 설치된 도어캡;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오목홈을 은폐해 주면서, 양단(兩端)이 도어캡의 양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가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문짝에 손잡이가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 경첩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경첩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 하부문틀의 일부 부분 중에서 1군데 이상에 일정 길이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어캡과 가변캡은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1 및 제2표면부가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1 및 제2경사부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도어캡의 제1표면부와 제1경사부 단부(端部)가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 부분과 하면 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폐쇄해 주도록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이 도어캡의 제1표면부와 제1경사부 단부와 각각 단(段)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보다 돌출되어 단(段)을 이루고 있는 도어캡의 제1표면부에는 자석이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평면부 양단(兩端) 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캡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이 자석의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도어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1경사부의 상단과 하단은 가변캡의 제2경사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사용자가 가변캡에 문짝 쪽으로 잡아당겨서 오목홈을 은폐시키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한 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오목홈이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구성된 공간부가 구비된 문틀;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오목홈을 은폐해 주게 되는 가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변캡은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표면부가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에는 오목홈의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단(段)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보다 돌출되어 단(段)을 이루고 있는 부분에는 자석이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평면부 양단(兩端) 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캡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이 자석의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서 폭이 짧은 쪽의 상면과 하면에 단(段)이 돌출 형성된 부분은 가변캡의 제2경사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여닫이문은 문틀의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도어캡이 부착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는 손가락 등 신체가 가장 많이 끼는 높이의 문틀 일부 구간(유아나 어린이가 주로 닿게 되는 손잡이 아래부분, 경첩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경첩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 부분, 하부문틀의 일부 부분을 말함)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도어캡 대신 가변캡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 내부로 움직이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기 때문에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의 일부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여닫이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어캡과 가변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캡에 자석이 설치되고, 가변캡에 금속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가변캡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와, 가변캡이 공간부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서 가변캡이 공간부로 이동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손가락을 보호해 주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어캡과 가변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어캡에 자석이 설치되고, 가변캡에 금속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가변캡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와, 가변캡이 공간부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서 가변캡이 공간부로 이동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손가락을 보호해 주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가 가장 많이 끼는 높이의 문틀 일부 구간에 공간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더라도 가변캡이 공간부 내부로 움직여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도록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장치인데, 안전장치는 문틀(20)에 공간부(21)가 구비되고, 문틀(20)의 모서리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도어캡(22)과, 공간부(21)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었다가 공간부(21) 내부로 이동 가능한 가변캡(23)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문틀(20)은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내측에 여닫이문이 설치되게 되고, 안전장치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가변캡(23)이 이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문틀(20)에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이 공간부(21)이다. 공간부(21)는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가 가장 많이 끼는 높이의 문틀(20)에 형성되는데, 문틀(20)에서 문짝(10)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한 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오목홈이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구성된 공간이다.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는 주로 유아나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에게 발생하고,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21)가 설치되는 위치는, 문짝(10)에 손잡이가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의 문틀(20)에 설치하거나, 경첩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경첩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문틀(20)에 설치하거나, 또는 하부문틀에 설치할 경우에는 하부문틀의 일부 부분에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장치는 사각 형상의 문틀(20)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설치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문틀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어캡(22)은 문틀(20)의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감싸면서 문틀의 모서리를 따라 부착 설치되는 구성으로,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데, 공간부(21)가 형성된 면의 상부와 하부의 실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 설치된다. 또한, 도어캡(22)에서 제1표면부(223)와 제1경사부(222)의 단부(端部)가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 부분과 하면 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폐쇄해 주도록 길게 설치되어,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이 도어캡(22)의 제1표면부(223)와 제1경사부(222)의 단부와 각각 단(段)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도어캡(22)은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1표면부(223)가 문짝(10)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1경사부(222)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하여 문틀(20)의 실내측 모서리에 부착 설치된다(도 2 참조).
가변캡(23)은 도어캡(22)의 형상과 동일한데, 문틀에서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오목홈을 은폐해 주는 구성으로, 가변캡(23)의 제2표면부(233)과 제2경사부(232) 양단(兩端)이 도어캡(22)의 제1표면부(223)과 제1경사부(222) 양단과 접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았을 때는 가변캡(23)과 도어캡(22)의 노출된 면이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므로 마치 하나의 캡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 가변캡(23)의 형상도 도어캡(22)의 형상과 동일하게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표면부(233)가 문짝(10)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232)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하여 문틀(20)의 실내측 모서리에 부착 설치된다(도 2 참조).
도면부호 23은 경첩이 설치된 쪽에 설치된 가변캡이고, 23'는 손잡이가 설치된 쪽에 설치된 가변캡이며, 23"는 바닥에 설치된 하부문틀에 설치된 가변캡을 말하며, 이들의 구조 및 작동은 동일하다. 도면부호 24는 몰딩이며, 도면부호 25는 도어캡(22)과 가변캡(23)에 문짝(10) 쪽으로 부착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닫았을 때 문짝의 실외측을 향한 면의 가장자리와 접하게 되는 문턱이다.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보다 돌출되어 단(段)을 이루고 있는 도어캡(22)의 제1표면부(223)에는 자석(224)이 매립되어 설치되고, 가변캡(23)의 제2표면부(233) 양단(兩端) 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234)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캡(23)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금속판(234)이 자석(224)에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되게 된다(도 3 참조). 가변캡(23)이 도어캡(22)과 부착 설치되게 하기 위한 수단은 금속판(234)과 자석(224)이 아니더라도 가변캡(23)과 도어캡(22)이 탈부착 가능한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으며, 부착위치도 변경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단순한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별다른 기술적 어려움 없이 할 수 있을 것이다.
금속판(234)이 자석(224)의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어 도어캡(22)과 가변캡(23)이 연결되면서 하나의 캡과 같이 설치되었다가,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도 5 참조), 가변캡(23)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여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문짝(10)과 문틀(20) 사이에 낀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 된다(도 6 참조).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가변캡(23)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가변캡(23)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변캡(23)에 부착된 금속판(234)이 도어캡(22)에 설치된 자석(224)에 부착될 때까지 가변캡(23)을 문짝 쪽으로 잡아당겨서 도어캡(22)과 가변캡(23)이 하나의 캡과 같이 연결 설치되도록 해줘야 한다.
가변캡(23)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제2경사부(232)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20)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도어캡(22)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1경사부(222)의 상단과 하단은 가변캡(23)의 제2경사부(232)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만일 가변캡(23)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도어캡(22) 사이에 형성된 실내측 공간과 가변캡(23)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232)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가변캡(23)의 제2표면부(233) 상단과 하단에는 금속판(234)이 가변캡(23)보다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변캡(23)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도어캡(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가변캡(23)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변캡(23)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도어캡(22) 사이에 형성된 문틀 쪽의 실내측 공간의 길이(간격)가 문짝 쪽의 실내측 공간의 길이(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이어야 한다. 가변캡(23)을 도어캡(22)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변캡(23)을 도어캡(22) 사이에 형성된 문틀 쪽의 실내측 공간으로 삽입한 다음, 가변캡(23)을 문짝 쪽으로 잡아당겨서 설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도어캡(22)이 없이 가변캡(23)만 문틀(20)에 형성된 공간부(21)를 이루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이다. 나머지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어캡(22)이 없기 때문에 제1표면부(223)와 제1경사부(222)가 오목홈의 상면 및 하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단(段)을 이루던 것을 문틀(20)에 직접 형성하는데, 단(段)을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에 오목홈의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가변캡(23)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232)가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20)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서 폭이 짧은 쪽의 상면과 하면에 단(段)이 돌출 형성된 부분은 가변캡의 제2경사부(232)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문짝
20 : 문틀 21 : 공간부
22 : 도어캡 222 : 제1경사부
223 : 제1표면부 224 : 자석
23, 23', 23" : 가변캡 232 : 제2경사부
233 : 제2표면부 234 : 금속판
24 : 몰딩
25 : 문턱
20 : 문틀 21 : 공간부
22 : 도어캡 222 : 제1경사부
223 : 제1표면부 224 : 자석
23, 23', 23" : 가변캡 232 : 제2경사부
233 : 제2표면부 234 : 금속판
24 : 몰딩
25 : 문턱
Claims (8)
-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한 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오목홈이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구성된 공간부가 구비된 문틀;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가 형성된 면의 상부와 하부의 실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 설치된 도어캡;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오목홈을 은폐해 주면서, 양단(兩端)이 도어캡의 양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가변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캡과 가변캡은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1 및 제2표면부가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1 및 제2경사부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어캡의 제1표면부와 제1경사부 단부(端部)가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 부분과 하면 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폐쇄해 주도록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이 도어캡의 제1표면부와 제1경사부 단부와 각각 단(段)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보다 돌출되어 단(段)을 이루고 있는 도어캡의 제1표면부에는 자석이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평면부 양단(兩端) 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캡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이 자석의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게 되며,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을 은폐해 주고 있던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한 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오목홈이 실내측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구성된 공간부가 구비된 문틀;
상기 문틀에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오목홈을 은폐해 주게 되는 가변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변캡은 단면(斷面)이 '¬' 형상이며, 여닫이문이 설치되었을 때,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표면부가 문짝이 위치하게 되는 쪽을 향하고,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가 실내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에는 오목홈의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단(段)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의 상면과 하면보다 돌출되어 단(段)을 이루고 있는 부분에는 자석이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긴 쪽인 제2평면부 양단(兩端) 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이 길이방향으로 가변캡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이 자석의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되게 되며,
여닫이문이 닫히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때,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을 은폐해 주고 있던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문짝과 문틀 사이에 낀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문짝에 손잡이가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 경첩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경첩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 하부문틀의 일부 부분 중에서 1군데 이상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어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1경사부의 상단과 하단은 가변캡의 제2경사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의 '¬' 형상에서 폭이 짧은 쪽인 제2경사부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과 하단이 문틀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에서 폭이 짧은 쪽의 상면과 하면에 단(段)이 돌출 형성된 부분은 가변캡의 제2경사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캡이 문틀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홈 내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사용자가 가변캡에 문짝 쪽으로 잡아당겨서 오목홈을 은폐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8769A KR102257660B1 (ko) | 2020-09-16 | 2020-09-16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8769A KR102257660B1 (ko) | 2020-09-16 | 2020-09-16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7660B1 true KR102257660B1 (ko) | 2021-05-27 |
Family
ID=7613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8769A KR102257660B1 (ko) | 2020-09-16 | 2020-09-16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766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5601A (ko) * | 2018-04-03 | 2019-10-14 | 지엘테크(주)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KR20190118234A (ko) * | 2018-04-10 | 2019-10-18 | 강민성 |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
-
2020
- 2020-09-16 KR KR1020200118769A patent/KR1022576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5601A (ko) * | 2018-04-03 | 2019-10-14 | 지엘테크(주) | 도어용 기밀 겸 안전장치 |
KR20190118234A (ko) * | 2018-04-10 | 2019-10-18 | 강민성 |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90233A (en) | Safety door entrance | |
KR101244792B1 (ko) | 안전 여닫이문 | |
KR102092506B1 (ko) |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257660B1 (ko) | 여닫이문의 손끼임방지 안전장치 | |
JP2012503118A (ja) | 子供に安全なドア、フレームおよびヒンジのアセンブリ | |
RU2006112016A (ru) | Подъемная жалюзийная дверь, имеющая защиту от соударения | |
GB2456144A (en) | Door hinge with integrated finger guard | |
US20040206006A1 (en) | Safety device limiting closure of a gap | |
KR102404367B1 (ko) | 여닫이 도어용 전면 손끼임 방지장치 | |
KR20220076705A (ko) |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267498B1 (ko) |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 |
KR200428755Y1 (ko) | 도어 안전장치 | |
KR101416325B1 (ko) | 안전도어 | |
KR102038854B1 (ko) | 보호경첩 | |
KR19990073175A (ko) | 경첩이있는쪽의문의틈에손가락이안끼게하는보호장치 | |
KR20210021748A (ko) | 끼임 방지도어 | |
CN206035276U (zh) | 一种隐形防护窗结构 | |
KR20220028608A (ko) | 도어용 손끼임 방지구 | |
KR102187417B1 (ko) |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 |
KR100579473B1 (ko) |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 |
KR101515002B1 (ko) | 안전 도어록 | |
KR200300252Y1 (ko) | 외풍방지 및 손을 보호 할 수 있는 현관문 | |
KR102360755B1 (ko) |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 |
KR200206366Y1 (ko) | 방화샷다의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하는 장치 | |
KR20210128581A (ko) | 여닫이문의 손끼임 방지 및 기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