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04A -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04A
KR20130114504A KR1020120036931A KR20120036931A KR20130114504A KR 20130114504 A KR20130114504 A KR 20130114504A KR 1020120036931 A KR1020120036931 A KR 1020120036931A KR 20120036931 A KR20120036931 A KR 20120036931A KR 20130114504 A KR20130114504 A KR 2013011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oor
slide
damper
rai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12003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504A/ko
Publication of KR2013011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때 흔들림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성을 개선한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100), 상기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200),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에 슬라이드 도어(100)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300), 상기 슬라이드 도어(100)를 여닫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완충장치(400),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안착 되어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완화 시키는 댐퍼(500)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있어서, 댐퍼(50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 내벽을 따라 안착 되는 댐퍼 본체(510)와, 상기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접촉되는 댐퍼 본체(510)의 측벽(520) 일부를 띄워 놓아 벌어지도록 형성된 간극(530)과, 상기 간극(530)을 통해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탄력 변형이 가능한 완충날개(540)와, 상기 간극(530)과 상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날개(540)의 탄력 변형을 유도하는 스페이서(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DAMPING DEVICE FOR SLIDE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때 흔들림 유동과 소음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성을 개선한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거실 및 현관 그리고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도어의 형식은 횡축 방향으로 밀고 당겨서 여닫는 슬라이드 도어 형식이 대부분이다.
슬라이드 도어의 특징은 회전 반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도어를 여닫는 작동 공간이 불필요하고 평면적으로 이동하여 넓은 면적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비해 앞뒤로 밀고 당기는 회전식 도어는 도어의 크기에 비례하는 조작 반경을 필요로 하므로 넓은 면적에 설치될 수 없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넓은 면적의 거실을 칸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자유롭게 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분하는데 적당한 설치 시설물은 슬라이드 도어가 적당하다. 실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현관, 거실과 주방을 구분하는데 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 개폐형 가구 등에도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받쳐주고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바닥과 천정면에 레일을 설치하여 슬라이드 도어가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여닫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방법이다.
한편,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는 옆으로 미는 힘에 의해 최대로 열린 위치에서 수직 벽면 또는 문틀(이하, '벽면'으로 함)과 접촉할 때 충돌 소음을 나타낼 수 있다.
수직 벽면에 충돌되는 힘의 세기나 소음은 도어를 당기거나 밀 때 수직 벽면에 부딪히는 힘이 클수록 증가 된다.
특히 슬라이드 도어의 여닫힘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움직일 수 있게 설계된 레일 트랙을 갖는 슬라이드 도어는 충격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또한 수직 벽체와 도어의 측단 사이에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손이나 발 등이 틈 사이에 끼이면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신체 부상 가능성도 있다.
슬라이드 도어를 여닫을 때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완충장치를 적용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03818호에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슬라이드 도어의 여닫힘 충격과 소음을 줄이기 위해 완충장치를 설치한 예로서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 및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왕복형 액압 댐퍼로 구성된 것이다.
슬라이드 도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면 도어를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를 여닫을 때 개폐 안정성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드 도어(10)에 완충장치(20)를 설치한 대표적인 예는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도어(10)가 내측도어(11)와 외측도어(12)로 구분되어 슬라이드 레일(13)에 설치되어 있다.
내측도어(11)와 외측도어(12)는 각각 설치용 브라켓(14)(15)을 통해 슬라이드 레일(13)의 레일 홈(16)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용 브라켓(14)(15)의 일단에는 완충장치(2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레일(13)의 레일 홈(16)에 내측도어(11)와 외측도어(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완충장치(20)는 도 2와 같이 액압으로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실린더 본체(21) 및 그 로드(22)와, 실린더 본체(21)를 중심으로 설치용 브라켓(14)(15)의 주변부에 나사(17) 결합 되어 레일(13)의 레일 홈(16)에 끼워지는 댐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슬라이드 레일(13)의 레일 홈(16)을 따라 안착 되어 끼워지는 댐퍼(30)는 슬라이드 도어(10)를 여닫을 때 흔들림 유동을 줄이고 슬라이드 도어(10)의 여닫힘을 부드럽게 유도하도록 작동하지만 레일 홈(16)의 내벽과 댐퍼(30)의 외벽 사이에서 발생 되는 흔들림 유동에 의한 작동 소음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자체 소재에 의한 완충 작용을 제외하면 구조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충분한 완충작용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때 흔들림 유동과 작동 소음 그리고 충격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는,
슬라이드 도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도어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여닫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에 장착하는 완충장치,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레일 홈을 따라 안착 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흔들림 유동을 완화시키는 댐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레일 홈 내벽을 따라 안착 되는 댐퍼 본체와,
상기 레일 홈의 내벽과 접촉되는 댐퍼 본체의 측벽 일부를 띄워 놓아 벌어지도록 형성된 간극과,
상기 간극을 통해 댐퍼 본체에 형성되는 탄력 변형이 가능한 완충날개와,
상기 간극과 상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날개의 탄력 변형을 유도하는 스페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본체에 형성되는 완충날개는 양 방향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본체에 형성되는 완충날개는 슬라이드 레일의 레일 홈측 내벽과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댐퍼 본체의 측벽에 비해 레일 홈의 내벽과 더 가깝도록 돌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열고 닫을 때 댐퍼의 구조 변형을 유도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흔들림 유동을 잡아주고 슬라이드 도어의 흔들림 유동 충격을 줄여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성을 개선하여 고신뢰성 슬라이드 도어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여닫을 때 충격 소음을 댐퍼의 변형을 통해 저감시켜 저소음 구조의 슬라이드 도어를 제작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설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는 도 3 내지 5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줄이기 위하여 완충장치(400)와 별도로 그 주변부에 설치되는 댐퍼(500)의 구조를 변경하여 슬라이드 도어(100)의 작동 중 흔들림 유동을 완화 완충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댐퍼(500)는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장착하는 설치용 브라켓(300)에 볼트(310)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장착된다.
댐퍼(500)의 장착 위치는 완충장치(400)의 주변부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에 완충장치(400)가 설치용 브라켓(300)에 장착되어 있고 댐퍼(500)의 완충장치(400)를 기준으로 하부에 설치된 예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완충장치(400)는, 액압으로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실린더 본체(410) 및 그 로드(4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410)를 중심으로 설치용 브라켓(300)의 주변부에 볼트(310)로 결합 되어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에 끼워지는 댐퍼(500)를 포함하여 완충장치로 구성된다. 완충장치(400) 및 댐퍼(500)의 설치 형식은 이 분야 슬라이드 도어(100)에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형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주요 부분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100),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200), 슬라이드 레일(200)에 슬라이드 도어(100)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300), 슬라이드 도어(100)를 여닫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300) 장착하는 완충장치(400),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안착 되어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완화 시키는 댐퍼(500)로 구성된다.
댐퍼(5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 내벽을 따라 안착 되는 댐퍼 본체(510)와,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접촉되는 댐퍼 본체(510)의 측벽(520) 일부를 띄워 놓아 벌어지도록 형성된 간극(530)과, 간극(530)을 통해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탄력 변형이 가능한 완충날개(540)와, 간극(530)과 상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날개(540)의 탄력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스페이서(5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댐퍼(500)의 소재는 충격의 흡수와 소음 저감에 유리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을 선택하여 제작된다.
또한,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완충날개(540)는 양 방향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균일한 힘의 분포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완충날개(540)는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측 내벽(220)과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댐퍼 본체(510)의 측벽에 비해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더 가깝도록 돌출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드 도어(100)는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수평 이동한다.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이동시킬 때 슬라이드 도어(100)의 상하부에서는 흔들림 유동이 발생 된다.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은 작동성을 저하시키고 소음을 발생하여 작동성을 떨어뜨린다.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잡아주고 동시에 작동 소음을 낮추기 위해 댐퍼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도 5는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에 안착된 댐퍼(500)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의 적용만으로도 댐퍼 자체 소재의 완충 및 소음 저감 특성을 통해 슬라이드 도어에 대한 흔들림 유동을 어느 정도 잡아주고 소음의 일부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댐퍼의 구조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슬라이드 도어(100)의 유동에 대한 완충, 그리고 소음저감 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5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 내벽을 따라 안착 되는 댐퍼 본체(510)의 측벽(520) 일부를 띄워 놓아 벌어지도록 간극(530)을 두어 형성함으로서 댐퍼 본체(510)가 흔들림 유동이 힘으로 작용하면 구조적 변형을 일으켜 유동에 대한 완충과 전달 소음을 감쇄시킨다.
댐퍼 본체(410)의 간극(530)을 통해 완충날개(540)를 형성하여 완충날개(540)의 탄력 변형을 스페이서(550)를 통해 유도한다.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완충날개(540)는 양 방향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고른 탄성 분포의 힘으로 잡아주고 완충시킨다.
댐퍼(500)를 통한 슬라이드 도어(100)의 완충 과정에서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에 의한 유동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인다.
완충날개(540)는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측 내벽(220)과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댐퍼 본체(510)의 측벽에 비해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더 가깝도록 돌출형으로 구성하여 댐퍼 본체(51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흔들림 유동이 완충날개(540)에 먼저 전달되도록 하여 이 완충날개(540)를 통해 초기 완충과 소음이 저감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슬라이드도어
200: 슬라이드레일
210: 레일홈
220: 내벽
300: 설치용브라켓
400: 완충장치
500: 댐퍼
510: 댐퍼본체
520: 측벽
530: 간극
540: 완충날개
550: 스페이서

Claims (3)

  1. 슬라이드 도어(100), 상기 슬라이드 도어(1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200),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에 슬라이드 도어(100)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설치용 브라켓(300), 상기 슬라이드 도어(100)를 여닫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용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완충장치(400),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을 따라 안착 되어 슬라이드 도어(100)의 흔들림 유동을 완화 시키는 댐퍼(500)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50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 내벽을 따라 안착 되는 댐퍼 본체(510)와,
    상기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접촉되는 댐퍼 본체(510)의 측벽(520) 일부를 띄워 놓아 벌어지도록 형성된 간극(530)과,
    상기 간극(530)을 통해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탄력 변형이 가능한 완충날개(540)와,
    상기 간극(530)과 상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날개(540)의 탄력 변형을 유도하는 스페이서(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완충날개(540)는 양 방향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510)에 형성되는 완충날개(540)는 슬라이드 레일(200)의 레일 홈(210)측 내벽(220)과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댐퍼 본체(510)의 측벽에 비해 레일 홈(210)의 내벽(220)과 더 가깝도록 돌출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KR1020120036931A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KR20130114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31A KR20130114504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31A KR20130114504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04A true KR20130114504A (ko) 2013-10-17

Family

ID=4963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31A KR20130114504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6500B1 (de) * 2016-05-20 2021-03-17 Weinor GmbH & Co. KG Schiebetürsystem mit dämpferanordn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6500B1 (de) * 2016-05-20 2021-03-17 Weinor GmbH & Co. KG Schiebetürsystem mit dämpferanordn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754B1 (ko)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RU2673995C2 (ru) Шарнир
US8091971B2 (en) Soft close drawer assembly
HK1145409A1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RU2013152413A (ru) Шарнир
CA2778726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ouble linkage
CA2778460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cylinder alignment shoulder bushing
CA2778632C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KR20150008636A (ko)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200459418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KR101178316B1 (ko) 미닫이 문의 닫힘 충격 완충장치
KR20130114504A (ko) 슬라이드 도어 완충장치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20200141357A (ko) 공용스토퍼를 구비한 미닫이문 완충구조
KR101784985B1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20150000102U (ko)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KR100940102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1752693B1 (ko)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93781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장치
KR200419941Y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구조
CN211021709U (zh) 一种双向减震降噪缓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