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973A - 카본 재료 분산액 - Google Patents

카본 재료 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973A
KR20230022973A KR1020237000720A KR20237000720A KR20230022973A KR 20230022973 A KR20230022973 A KR 20230022973A KR 1020237000720 A KR1020237000720 A KR 1020237000720A KR 20237000720 A KR20237000720 A KR 20237000720A KR 20230022973 A KR20230022973 A KR 2023002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material
general formula
structural unit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시마나카
요시카즈 무라카미
쥰 카마바야시
세이지 도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56Treatment of carbon black ;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14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08F220/34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and furthe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6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06Combinations of treatments provided for in groups C09C3/04 - C09C3/1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09D17/005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42Ethers, e.g. polyglycol ethers of alcohols or phenols
    • C09K23/46Ethers of amino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8Solid content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8Solid content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가 고농도이더라도 재응집하기 어렵고 안정적으로(안정되게)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 가능한 잉크 등의 각종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카본 재료 분산액을 제공한다. 카본 재료, 유기 용제 및 고분자 분산제를 함유하고, 고분자 분산제가, 하기 일반식(1)(R은 수소 원자 등, A는 O 또는 NH, B는 에틸렌기 등,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등, Ar은 페닐기 등, X는 염소 원자 등, p는 임의의 반복 단위수를 각각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구성단위(1) 3∼55 질량%를 가지는 폴리머이고, 고분자 분산제의 아민가가 100 ㎎KOH/g 이하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인 카본 재료 분산액이다.

Description

카본 재료 분산액
본 발명은, 카본 재료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카본블랙, 카본파이버(탄소섬유), 카본 나노튜브(탄소나노튜브),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등의 카본 재료(또는 「나노카본 재료」라고도 기재한다)는, 탄소 원자의 공유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6원환(六圓環) 그래파이트 구조를 가진다. 이 카본 재료들은, 도전성이나 전열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라는 점에서, 이 특성들을 살리는 사용 방법이 폭넓은 분야에서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본 재료의 전기적 성질, 열적 성질 및 필러로서의 성질 등에 주목하여, 대전 방지제, 도전 재료 및 플라스틱 보강재로서의 사용 방법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연료 전지 전극, 디스플레이의 음극선 등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로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용도들에는, 통상, 유기 용제 등의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를 분산시킨 카본 재료 분산액의 상태로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본 재료 분산액에 대해서는, 카본 재료가 액매체 중에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분산되는, 이른바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분산성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안정되게) 유지되는 것도 요구된다. 다만, 나노 사이즈의 카본 재료는, 표면 에너지가 높고, 강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이 작용하기 때문에, 응집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분산되더라도 금방(곧바로) 응집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분산제가 사용되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알칸올아민염 등의 캐티온성(양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스타이렌-아크릴계 수지 등의 고분자 분산제를 분산제로서 이용한, 카본 나노튜브 등의 카본 재료를 액매체 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일본특허공개 특개2010-174084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특표2013-537570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서 제안된 분산제를 이용함으로써, 카본 재료를 액매체 중에 어느 정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는 했다. 그러나, 분산성이 불충분하거나, 분산 후에 재응집하기 쉽거나 하므로, 분산 성능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또 다른(추가적인)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과제로 하는 바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가 고농도이더라도 재응집하기 어렵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이 우수한 도막(塗膜)을 형성 가능한 잉크 등의 각종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카본 재료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카본 재료 분산액이 제공된다.
[1]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및 그래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본 재료와, 유기 용제와, 고분자 분산제를 함유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1) 3∼55 질량%,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3) 45∼90 질량%, 및 이 구성단위들과 연결하는 그밖의 구성단위(4) 0.5∼20 질량%(다만,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를 100 질량%로 한다)를 가지는 폴리머이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의 아민가가 100 ㎎KOH/g 이하이고, 수평균(數平均) 분자량이 5,000∼20,000인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1)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또는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3)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Q는 에틸렌기 또는 메틸에틸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2]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2)를 더 가지는 폴리머인 상기 [1]에 기재된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03
(상기 일반식(2)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3] 상기 구성단위(1), 상기 구성단위(2) 및 상기 구성단위(3)이, 각각 하기 일반식(1-1), 하기 일반식(2-1) 및 하기 일반식(3-1)로 표시되고, 상기 구성단위(4)가, α-메틸스타이렌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04
(상기 일반식(1-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상기 일반식(2-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상기 일반식(3-1) 중, Y는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4] 상기 카본 재료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카본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고분자 분산제의 함유량이, 10∼200 질량부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카본 재료 분산액.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가 고농도이더라도 재응집하기 어렵고 안정적으로(안정되게)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 가능한 잉크 등의 각종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카본 재료 분산액을 제공할 수가 있다.
<카본 재료 분산액>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카본 재료 분산액은, 카본 재료, 유기 용제 및 고분자 분산제를 함유한다.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를 분산시키는 고분자 분산제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1),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3), 및 이 구성단위들과 연결하는 그밖의 구성단위(4)를 가지는 폴리머이다. 그리고, 이 고분자 분산제의 아민가는 100 ㎎KOH/g 이하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5,000∼20,000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카본 재료 분산액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본 재료)
카본 재료는,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카본블랙으로서는, 아세틸렌 블랙, 퍼네스 블랙(furnace black),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케첸 블랙(Ketjen black)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카본블랙을 이용할 수가 있다.
카본파이버로서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을 원료로 하는 PAN계 탄소섬유(炭素纖維), 피치(pitch)류를 원료로 하는 피치계 탄소섬유, 및 이것들의 재생품 등을 들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 지름이 나노 사이즈이고, 6원환 그래파이트 구조를 말아서 통형으로 한 형상을 가지는, 이른바 카본 나노파이버나, 섬유 지름이 싱글 나노사이즈인 카본 나노튜브가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파이버 및 카본 나노튜브는, 다층(멀티 월) 및 단층(싱글 월)의 어느것이더라도 된다.
카본 재료에는, 백금, 팔라듐 등의 금속이나 금속염이 도핑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본 재료는, 산화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방사선 처리, 코로나 처리, 커플링 처리 등에 의해 표면 개질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유기 용제를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유기 용제와 함께, 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헥세인, 톨루엔, 자일렌 등의 탄화 수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도데칸올 등의 알콜계 용매;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다이에틸 케톤, 아이소뷰틸 메틸 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아세트산 아밀, 석신산(호박산) 다이메틸, 아디프산 다이메틸, 유산(乳酸) 메틸, 유산 다이메틸 등의 에스터계 용매; 다이프로필 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등의 에터계 용매;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N, 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 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3-메톡시-N N-다이메틸프로판아마이드, 3-뷰톡시-N, N-다이메틸프로판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용매; 테트라메틸우레아, 다이메틸 이미다졸리딘온 등의 우레아계 용매;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계 용매;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에틸렌 글라이콜 메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뷰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프로필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등의 글라이콜 모노에터계 용매;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등의 글라이콜 다이에터계 용매; 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아세테이트 등의 글라이콜 에터 모노에터 에스터계 용매;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바이닐 에터계 모노머, 에폭시 화합물, 옥세테인(oxetane) 화합물 등의 반응성 모노머를 유기 용제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반응성 모노머를 유기 용제로서 이용함으로써, 자외선·전자선 경화성 잉크, 자외선·전자선 경화성 코팅제 등을 조제 가능한 카본 재료 분산액으로 할 수가 있다.
(고분자 분산제)
고분자 분산제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1) 3∼55 질량%,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3) 45∼90 질량%, 및 이 구성단위들과 연결하는 그밖의 구성단위(4) 0.5∼20 질량%(다만,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를 100 질량%로 한다)를 가지는 폴리머이다.
Figure pct00007
(상기 일반식(1)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또는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상기 일반식(3)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Q는 에틸렌기 또는 메틸에틸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구성단위(1)]
구성단위(1)은,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구성단위이다. 구성단위(1)을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모노머 1)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들 수가 있다. 구성단위(1) 중의 제4급 암모늄염기가 카본 재료에 흡착됨으로써,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의 카본 재료의 분산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또, 제4급 암모늄염기의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치환기의 하나가, 아릴메틸기(-CH2-Ar)이다. 이 아릴메틸기의 방향족 고리(環)가 카본 재료와 친화하여, 카본 재료의 분산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일반식(1) 중의 R1 및 R2의 탄소수가 너무 많으면, 입체 장해에 의해서 아릴메틸기가 불안정화되어 버려, 제4급 암모늄염기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일반식(1) 중의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필요로 한다.
Figure pct00009
(상기 일반식(1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또는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낸다.)
제4급 암모늄염기는 이온성의 관능기라는 점에서, 이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가진 구성단위(1)을 가지는 폴리머(고분자 분산제)는, 수분 흡착이나 이온 도전에 의해서 도전성을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즉, 구성단위(1)을 가지는 폴리머를 고분자 분산제로서 이용함으로써, 도전성의 저하가 억제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카본 재료 분산액으로 하는 것이 기대된다.
구성단위(1)은, 하기 일반식(1-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0
(상기 일반식(1-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1a-1)로 표시되는 모노머에 의해 구성된다.
Figure pct00011
(상기 일반식(1a-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낸다.)
일반식(1-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다이메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다이메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브로마이드, 다이메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다이메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 다이에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다이에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브로마이드, 다이에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다이에틸나프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 안트라센일메틸다이메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안트라센일메틸다이메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브로마이드, 안트라센일다이메틸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안트라센일다이메틸나프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 다이에틸렌일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다이에틸피렌일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브로마이드, 다이에틸피렌일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다이에틸피렌일메틸암모늄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 등을 들 수가 있다.
[구성단위(2)]
고분자 분산제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2)를 더 가지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단위(2)를 더 가지는 폴리머를 고분자 분산제로서 이용함으로써, 카본 재료의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한편, 구성단위(2) 중의 아미노기를 제4급 염화함으로써, 구성단위(1) 중의 제4급 암모늄염기를 형성할 수가 있다.
Figure pct00012
(상기 일반식(2)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구성단위(2)를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모노머 2)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2a)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들 수가 있다.
Figure pct00013
(상기 일반식(2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구성단위(2)는, 염기성 기인 아미노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산화 등에 의해 카본 재료의 표면에 형성된 카복시기나 페놀성 하이드록시기(水酸基)와 구성단위(2) 중의 아미노기가 이온 결합함으로써, 고분자 분산제가 카본 재료에 흡착되기 쉬워져, 카본 재료의 분산성이 보다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구성단위(1) 중의 제4급 암모늄염기나, 제4급 암모늄염기를 구성하는 다환(多環) 방향족기의 카본 재료에의 흡착과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카본 재료의 분산성이 보다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구성단위(2)는, 하기 일반식(2-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4
(상기 일반식(2-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일반식(2-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2a-1)로 표시되는 모노머에 의해 구성된다.
Figure pct00015
(상기 일반식(2a-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일반식(2-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가 있다.
[구성단위(3)]
구성단위(3)은,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鎖)을 가지는 구성단위이다. 이 구성단위(3)을 가지는 고분자 분산제는,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이 그라프트한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이다. 그리고,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은, 분산 매체인 유기 용제에 용해되는 것이 가능한 분자 사슬이다. 일반식(3) 중, Y로 표시되는 우레탄 결합(NHCOO)이나 우레아 결합(NHCONH)은, 개질에 의해서 카본 재료의 표면에 생성되는 하이드록시기 등을 구성하는 수소 원자와 수소 결합한다. 이 때문에, 고분자 분산제는, 그라프트 사슬인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이 분산 매체인 유기 용제에 용해됨과 함께, 구성단위(3) 중의 우레탄 결합(NHCOO)이나 우레아 결합(NHCONH) 및 구성단위(1)을 포함하는 주사슬(主鎖)이 카본 재료에 흡착된다. 그리고, 용해된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이 입자상(粒子狀)의 카본 재료끼리의 사이에서 입체 장해로 되어 반발하고, 카본 재료를 액매체 중에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면서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가 있다.
일반식(3) 중, m은 프로필렌옥시기(-CH(CH3)CH2O-)의 평균 반복 단위수이고, n은 에틸렌옥시기(-CH2CH2O-)의 평균 반복 단위수이다. 그리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수치이고, m+n=20∼100, 바람직하게는 m+n=35∼100이다. 즉,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880∼5,8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5,800이다. 한편, 일반식(3) 중, R3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도데실기, 스테아릴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노닐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단위(3)을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모노머 3)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3a)로 표시되는 모노머(매크로모노머)를 들 수가 있다.
Figure pct00016
(상기 일반식(3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Q는 에틸렌기 또는 메틸에틸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낸다.)
구성단위(3)은, 하기 일반식(3-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7
(상기 일반식(3-1) 중, Y는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일반식(3-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3a-1)로 표시되는 모노머에 의해 구성된다.
Figure pct00018
(상기 일반식(3a-1) 중, Y는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로서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뷰틸 에터,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도데실 에터 등의 글라이콜 에터 모노알킬 에터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Y가 우레탄 결합(NHCOO)인 매크로모노머;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아민 등의 모노에터 모노아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Y가 우레아 결합(NHCONH)인 매크로모노머; 등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3), (3a), (3-1) 및 (3a-1) 중, Y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아민을 반응시킬 때에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요소(우레아) 결합(NHCON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3), (3a), (3-1) 및 (3a-1) 중의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랜덤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3), (3a), (3-1) 및 (3a-1) 중, R3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의 분자량은 2,000∼4,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m+n=36∼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단위(4)]
구성단위(4)는, 상술한 구성단위로 연결할 수 있는 그밖의 구성단위이다. 구성단위(4)를 구성할 수 있는 모노머(모노머 4)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 스타이렌, 바이닐톨루엔, 바이닐피리딘, 바이닐카프로락톤, 바이닐이미다졸, α-메틸스타이렌, 아세트산 바이닐 등의 바이닐 모노머; 등을 들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분자량의 제어가 용이해진다는 관점에서, α-메틸스타이렌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산제의 조성, 물성)
고분자 분산제(폴리머) 중,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구성단위(1)의 비율은 3∼55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이다. 구성단위(1)의 비율이 3 질량% 미만이면, 카본 재료에의 흡착이 불충분하게 된다. 반면에, 구성단위(1)의 비율이 55 질량%를 넘으면, 유기 용제에의 용해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폴리머 중,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구성단위(2)의 비율은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2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머의 아민가는 100 ㎎KOH/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90 ㎎KOH/g이다. 구성단위(2)의 비율이 30 질량%를 넘으면, 폴리머가 착색되는 일이 있다.
폴리머 중,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구성단위(3)의 비율은 45∼90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0∼85 질량%이다. 즉, 구성단위(3)은, 폴리머 중에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구성단위이다. 구성단위(3)을 많이 포함함으로써,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이 조밀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고분자 분산제로서의 폴리머가 카본 재료에 흡착되면, 조밀하게 배치된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사슬이 입체 장해로 되어 카본 재료끼리의 근접을 저해하고, 카본 재료를 안정적으로(안정되게) 분산시킬 수가 있다.
폴리머 중의 구성단위(3)의 비율이 45 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입체 장해가 형성되지 않아, 분산성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반면에, 구성단위(3)의 비율이 90 질량%를 넘으면, 구성단위(3)을 구성하는 매크로모노머의 반응성이 약간 부족하기 때문에, 중합되지 않고 잔존하는 일이 있다.
폴리머 중,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구성단위(4)의 비율은 0.5∼20 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6∼16 질량%이다. 구성단위(4)의 비율이 0.5 질량%를 넘으면, 다른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분산제로서의 기능이 저하한다.
구성단위(1), 구성단위(2) 및 구성단위(3)이, 각각 일반식(1-1), 일반식(2-1) 및 일반식(3-1)로 표시되고, 구성단위(4)가 α-메틸스타이렌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카본 재료가 고농도이더라도 보다 재응집하기 어렵고, 더욱 안정되게 분산된 카본 재료 분산액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산제로서 이용하는 폴리머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Mw)은, 5,000∼2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15,000이다.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매크로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3)의 도입량이 적고, 충분한 분산 안정성을 얻을 수가 없다. 반면에,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0을 넘으면, 카본 재료를 분산시키는데 필요한 고분자 분산제의 양이 너무 많아짐과 함께, 얻어지는 카본 재료 분산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진다.
(고분자 분산제의 합성 방법)
고분자 분산제인 폴리머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합성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라디칼 중합법; 싸이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서 분자량을 조정하는 중합법,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법(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ATRP법), 가역적 부가 개렬형(開裂型) 연쇄 이동 중합법(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Polymerization method; RAFT법), 나이트록사이드법(Nitroxide-Mediated Polymerization method; NMP법), 유기 텔루륨법(Organotellurium-Mediated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TERP법), 아이오딘(沃素) 이동 중합법(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 method; ITP법), 가역적 이동 촉매 중합법(Reversible chain Transfer Catalyzed Polymerization method; RTCP법), 가역적 촉매 매개 중합법(Reversible Complexation Mediated Polymerization method; RCMP법) 등의 리빙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주사슬의 분자량을 보다 균일하게 가지런히 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첨가 방법에 따라서 A-B블록 코폴리머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빙 라디칼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은, 열중합 및 광중합의 어느것이더라도 되고, 아조계 라디칼 발생제, 과산화물계 라디칼 발생제, 광증감제 등을 중합 반응계에 첨가해도 된다. 중합 형식은, 무용제, 용액 중합 및 유화(乳化) 중합의 어느것이더라도 되고,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카본 재료 분산액으로 이용하는 유기 용제와 동일한 유기 용제를 용액 중합 시에 이용함으로써, 중합 반응 후의 폴리머를 카본 재료 분산액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 모노머를 용액 중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폴리머(고분자 분산제)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구성단위(2)를 구성하는 모노머, 구성단위(3)을 구성하는 모노머 및 구성단위(4)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진 반응 용액에, 염화 벤질, 나프틸메틸 클로라이드, 아세티닐메틸 클로라이드, 피렌일메틸 클로라이드, 나프틸메틸 브로마이드 등의 할로젠화 알킬을 첨가함으로써, 구성단위(2) 중의 아미노기를 제4급 암모늄염화하고, 구성단위(2)를 구성단위(1)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한,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이미드 리튬염, 비스(헵타플루오로뷰틸설폰)이미드 리튬염 등을 첨가함으로써, 제4급 암모늄염을 구성하는 아니온(음이온)(Cl, Br)을 이온 교환할 수가 있다.
(카본 재료 분산액)
카본 재료 분산액 중의 카본 재료의 함유량은, 1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2 질량%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카본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한 고분자 분산제의 함유량은, 10∼2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5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100 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산제의 양이 카본 재료에 대해서 과도하게 적으면, 분산성이 다소(약간)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반면에, 고분자 분산제의 양이 카본 재료에 대해서 과도하게 많으면, 카본 재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저하하여, 얻어지는 카본 재료 분산액이 증점(增粘)하기 쉬워진다.
카본 재료 분산액에는, 고분자 분산제 이외의 수지나 첨가제 등을 함유시킬 수가 있다. 고분자 분산제 이외의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할로젠화 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터 수지, 폴리바이닐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바이닐 알콜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폭시 수지, 폴리페놀 수지, 폴리우레아 수지, 폴리에터설폰 수지 등을 들 수가 있다. 첨가제로서는, 유용성(油溶性) 염료, 안료,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消泡劑), 방부제, 곰팡이방지제, 광중합 개시제, 다른(他) 안료 분산제 등을 들 수가 있다.
(카본 재료 분산액의 제조 방법)
고분자 분산제인 폴리머를 이용하여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액매체 중에 카본 재료를 분산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카본 재료 분산액을 얻을 수가 있다. 고분자 분산제를 이용하여 카본 재료를 분산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퍼 교반, 3개의 롤에 의한 혼련(니딩), 초음파 분산, 비즈밀 분산, 유화(乳化) 장치, 고압 호모게나이저(균질화기) 등을 이용하는 분산 등의 분산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 효과가 높기 때문에, 비즈밀 분산, 초음파 분산,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는 분산이 바람직하다.
(카본 재료의 분산성의 평가 방법)
카본 재료 분산액 중의 카본 재료의 분산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는 흡광도 측정법이 있다. 우선, 카본 재료를 극저 농도로 함유하는 농도를 알고 있는(濃度旣知) 복수의 분산액을 조제함과 함께, 이 분산액들의 특정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카본 재료의 농도에 대해서 흡광도를 플롯한 검량선을 작성한다. 그 다음에, 카본 재료, 유기 용제 및 고분자 분산제를 혼합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분산 처리한다. 그 후, 원심분리 처리해서 다 분산되지 못한(분산되지 못하고 남은) 카본 재료를 침강시켜서 분리 제거하고, 상징액(上澄液)을 얻는다. 얻어진 상징액을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농도로까지 희석시키고 나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으로부터 카본 재료의 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분산액 중의 카본 재료의 농도와, 카본 재료의 넣는 양(투입량)을 비교함으로써, 카본 재료의 분산성을 평가할 수가 있다.
또, 원심분리 처리 후의 카본 재료 분산액을 장기간 정치(靜置)하고, 응집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카본 재료의 분산성을 평가할 수가 있다. 또한, 카본 재료 분산액을 유리 플레이트 등에 적하하고(떨어트리고), 전자현미경 등을 사용해서 분산 상태를 평가해도 되고, 카본 재료 분산액을 도포 및 건조해서 형성한 도막의 전기 도전율을 측정하고, 소정의 전기 도전율에 도달하는지 여부로 분산 상태를 평가해도 된다.
<카본 재료 분산액의 사용>
상술한 카본 재료 분산액은, 카본 재료가 분산 상태로 포함되는 도료, 잉크, 플라스틱 제품 등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전성 재료, 열도전성 재료, 대전 방지 재료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카본 재료가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는 도료나 잉크는, 예를 들어 소정의 도료 조성이나 잉크 조성으로 되도록, 용제, 수지 및 첨가물 등을 카본 재료 분산액에 첨가해서 도료화 또는 잉크화하는 방법에 의해서 조제할 수가 있다. 또, 시판되고 있는(시판 중인) 도료나 잉크에 카본 재료 분산액을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목적으로 하는 도료나 잉크를 조제할 수가 있다. 카본 재료가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플라스틱 재료에 카본 재료 분산액을 첨가해서 혼합한 후,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가 있다. 또, 미세분말(微粉末) 상태의 플라스틱 재료에 카본 재료 분산액을 첨가해서 혼합한 후, 용제를 제거하거나 또는 카본 재료를 석출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원하는(소망으로 하는)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 비교예 중의 「부」 및 「%」는, 딱히 지정(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고분자 분산제(폴리머)의 합성>
(합성예 1: 고분자 분산제 D-1)
교반기, 환류 콘덴서, 온도계 및 적하 로트[dropping funnel]를 장착한 반응 장치에, 편말단(片末端) 아미노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상품명 「제파민(JEFFAMINE) M2005」, 헌츠만사(Huntsman Corporation)제, m+n=35(m=29, n=6), 실측 아민가 28.05 ㎎KOH/g)(M2005) 100부(0.05 ㏖),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PGMAc) 100부를 넣고,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해서 균일화했다. 별도(다른) 용기에, 메타크릴산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상품명 「카렌즈(Karenz) MOI」, 쇼와 덴코사(Showa Denko K.K.)제)(MOI) 7.75부(0.05 ㏖) 및 PGMAc 7.75부를 넣고 혼합해서, 혼합액을 조제했다. 조제한 혼합액을 30분 동안에 걸쳐 반응 장치 내에 적하해서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IR 측정하고, MOI 유래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의 소실 및 요소(우레아) 결합의 생성을 확인했다. 또, 전위차 자동 적정(滴定) 장치를 사용해서, 0.1 ㏖/L 2-프로판올성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생성물의 아민가는, 0.1 ㎎KOH/g였다. 이것에 의해, 아미노기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의 반응이 거의 완결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얻어진 생성물은,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PPG/PEG)의 편말단에 메타크릴로일기가 결합된 매크로모노머(MCR-1)이다. 수분계(水分計)를 사용해서 측정한 MCR-1 용액의 고형분은, 50.0%였다. 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전개(展開) 용액으로 하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MCR-1의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Mn)은, 3,400이었다.
교반기, 환류 콘덴서,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장착한 반응 장치에, PGMAc 49.6부, MCR-1 용액 215.5부, α-메틸스타이렌(αMS) 1.8부, 스타이렌(St) 25.1부, 및 메타크릴산 2-(N, N-다이메틸아미노)에틸(DMAEMA) 19.2부(0.122 ㏖)를 넣고, 질소를 버블링시키면서 가온했다. 내부온도(內溫)가 70℃로 된 시점에서, 2, 2'-아조비스(아이소뷰티레이트) 다이메틸(상품명 「V-601」, 후지필름 와코 쥰야쿠사(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제)(V-601) 3.0부를 첨가하고, 75℃에서 가온해서 4시간 중합시켰다. V-601 0.5부를 첨가하고, 75℃에서 더욱 4시간 중합시켰다. 반응 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측정한 생성물의 Mn은 8,500, 분산도(PDI)는 1.65, 피크 탑(peak top) 분자량(PT)은 14,000이고, MCR-1에서 유래하는 피크는 거의 확인되지(보이지) 않았다. 반응 용액의 고형분은, 50.1%였다. 또, 생성물의 아민가(수지순분(樹脂純分) 환산)은, 44.6 ㎎KOH/g였다.
PGMAc 7.8부 및 염화 벤질(BzCl) 7.8부(0.0616 ㏖)의 용액을, 실온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후, 80℃까지 가온해서 5시간 유지하고, 고분자 분산제 D-1을 포함하는 액을 얻었다. 고분자 분산제 D-1의 Mn은 8,700, PDI는 1.66, PT는 14,400이었다. 고분자 분산제 D-1을 포함하는 액의 고형분은, 50.0%였다. 고분자 분산제 D-1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21.0 ㎎KOH/g이고, 거의 정량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했다. 얻어진 고분자 분산제 D-1은, DMAEMA에서 유래하는 아미노기의 50%를 BzCl로 제4급 염화한 수지이다.
(합성예 2∼5: 고분자 분산제 D-2∼D-5)
표 1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전술한 합성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고분자 분산제 D-2∼D-5를 얻었다. 표 1 중의 약호(略號)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M41: 편말단 아미노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메틸 에터(상품명 「게나민(Genamin) M41/2000」, 클라리안트사(Clariant AG)제, m+n=41(m=9, n=32))
 ·DMQ: 메타크릴산 2-(N, N-다이메틸아미노에틸)의 벤질 클로라이드염
 ·MMA: 메타크릴산 메틸
표 1 중의 DMQ의 조성의 산출 방법을, 합성예 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폴리머 중의 DMAEMA(Mw 157.1) 19.2부(0.122 ㏖)와, 첨가한 BzCl(Mw 126.6) 7.8부(0.0616 ㏖)는, 정량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생성된 DMQ(Mw 283.6)는, 0.0616 ㏖×283.6=17.5부로 된다. 이하, 제4급 염화율을 고려하여,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머 중의 DMQ의 조성을 산출했다.
폴리머의 아민가의 이론값의 산출 방법을, 합성예 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폴리머 중의 DMAEMA 19.2부(0.122 ㏖)의 반량(半量)(0.0616 ㏖)은 BzCl과 반응해서 소실되므로, 폴리머 중에 남는 DMAEMA는, 0.122×0.5×157.1=9.6부로 된다. 폴리머 1 g 중에, 9.6/(100+7.75+17.5+9.6+1.8+25.1)×100=0.059 g의 DMAEMA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아민가는, 0.059/157.1×56.1×1000=21.1 ㎎KOH/g으로 산출할 수가 있다.
Figure pct00019
(합성예 6: 고분자 분산제 D-6)
교반기, 환류 콘덴서,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장착한 반응 장치에, PGMAc 49.5부, MCR-1 용액 216부, αMS 1.8부, 메타크릴산 벤질(BzMA) 12.5부, 및 DMAEMA 31.7부(0.202 ㏖)를 넣고, 질소를 버블링시키면서 가온했다. 내부온도가 70℃로 된 시점에서, V-601 3.0부를 첨가하고, 75℃에서 가온해서 4시간 중합했다. V-601 0.5부를 첨가하고, 75℃에서 더욱 4시간 중합했다. 반응 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측정한 생성물의 Mn은 10,600, PDI는 1.89, PT는 20,200이고, MCR-1에서 유래하는 피크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반응 용액의 고형분은, 50.1%였다. 또, 생성물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113.2 ㎎KOH/g였다.
BzCl 대신에, 1-클로로메틸나프탈렌(CMN) 17.8부(0.101 ㏖)를 이용한 것 이외는, 전술한 합성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4급 염화 반응을 행하고, 고분자 분산제 D-6을 포함하는 액을 얻었다. 고분자 분산제 D-6의 Mn은 10,900, PDI는 1.88, PT는 20,300이었다. 고분자 분산제 D-6을 포함하는 액의 고형분은, 50.0%였다. 고분자 분산제 D-6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32.8 ㎎KOH/g였다. 얻어진 고분자 분산제 D-6은, DMAEMA에서 유래하는 아미노기의 50%를 CMN으로 제4급 염화한 수지이다.
(합성예 7 및 8: 고분자 분산제 D-7 및 D-8)
표 2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전술한 합성예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고분자 분산제 D-7 및 D-8을 얻었다. 표 2 중의 약호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CMA: 9-클로로메틸안트라센
·CMP: 1-클로로메틸피렌
·PME-4000: 메타크릴산 말단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상품명 「블렘머(BLEMMER) PME-4000」, 니치유사(日油株式會社, NOF CORPORATION)제, m=0, n=90)
·NQ: 메타크릴산 2-(N, N-다이메틸아미노에틸)의 1-클로로메틸나프탈렌염
·AQ: 메타크릴산 2-(N, N-다이메틸아미노에틸)의 9-클로로메틸안트라센염
·PQ: 메타크릴산 2-(N, N-다이메틸아미노에틸)의 1-클로로메틸피렌염
Figure pct00020
(합성예 9: 고분자 분산제 D-9)
교반기, 환류 콘덴서 및 온도계를 장착한 반응 장치에, 고분자 분산제 D-2를 포함하는 액 100.0부(고형분 50.0%) 및 PGMAc 150.0부를 넣고, 교반해서 균일한 용액으로 했다.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리튬(TFSILi) 5.04부(0.0176 ㏖, DMQ에 대해서 30%)를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이것에 의해,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 아니온(TFSI)을 반대이온(counter ion)으로 하는 제4급 암모늄염이 생성되고, 고분자 분산제 D-9를 포함하는 액을 얻었다. 고분자 분산제 D-9를 포함하는 액의 고형분은, 21.5%였다. 고분자 분산제 D-9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21.8 ㎎KOH/g였다. GPC에 의해 고분자 분산제 D-6의 Mn을 측정하려고 했더니, 컬럼에 강하게 흡착해 버려,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었다. TFSILi가, 등몰의(equimolar) DMQ와 반응하면, 등몰의 LiCl(Mw 42.4)이 생성된다. 이 때문에, TFSILi와 DMQ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제4급염의 양은, 이하와 같이 산출할 수가 있다.
0.0176 ㏖×(283.7+287.1)-0.0176 ㏖×42.4=9.30부
(합성예 10 및 11: 고분자 분산제 D-10 및 D-11)
표 3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전술한 합성예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고분자 분산제 D-10 및 D-11을 얻었다. 표 3 중의 약호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DMTFSI: DMQ의 염화물 이온이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로 염 교환된 제4급염
·DMNFSI: DMQ의 염화물 이온이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로 염 교환된 제4급염
·NTFSI: NQ의 염화물 이온이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일이미드로 염 교환된 제4급염
Figure pct00021
(비교 합성예 1: 고분자 분산제 HD-1)
표 4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한 것과, 적하 로트를 이용하여αMS 및 St를 1시간에 걸쳐(1시간 들여서) 적하한 것 이외는, 전술한 합성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중합을 행했다. 반응 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측정한 생성물의 Mn은 18,900, PDI는 1.85, PT는 34,300이었다. 반응 용액의 고형분은, 50.5%였다. 또, 생성물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28.5 ㎎KOH/g였다.
PGMAc 7.8부 및 BzCl 7.8부(0.0616 ㏖)의 용액을 실온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후, 80℃까지 가온해서 5시간 유지하고, 고분자 분산제HD-1을 포함하는 액을 얻었다. 고분자 분산제 HD-1의 Mn은 19,500, PDI는 1.84, PT는 34,800이었다. 고분자 분산제 HD-1을 포함하는 액의 고형분은, 50.4%였다. 고분자 분산제 HD-1의 아민가(수지순분 환산)는, 13.1 ㎎KOH/g였다.
(비교 합성예 2 및 3: 고분자 분산제 HD-2 및 HD-3)
표 4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전술한 비교 합성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고분자 분산제 HD-2 및 HD-3을 얻었다. 표 4 중의 약호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M600: 편말단 아미노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상품명 「제파민(JEFFAMINE) M600」, 헌츠만사제, m+n=9(m=9, n=0)
·NaBF4: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소듐(Sodium tetrafluoroborate)
·DMBF: DMQ의 염화물 이온이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이온으로 염 교환된 제4급염
Figure pct00022
<카본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
(실시예 1: CNT 분산액-1)
수지제의 용기에, 카본 나노튜브(CNT)(평균 지름: 15 ㎚, 평균 길이: 3.0 ㎛, MWNT) 2.0부, PGMAc 94.01부, 및 고분자 분산제 D-1을 포함하는 액(고형분: 50.1%) 3.99부를 넣었다. CNT는 유기 용제로 습윤했지만, 원래 형상 그대로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이고, 상징액은 투명했다. 용기에 교반자(攪拌子)를 넣고 마그네틱 스터러(magnetic stirrer)로 교반함과 함께,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해서 60분 동안 초음파(출력 300 W)를 조사했다.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액은 균일하게 검게 되고, CNT의 응집 상태가 풀어진 상태로 되었다. 원심분리 처리해서 충분히 다 분산되지 못한 고형물을 침강시켜서 분리 제거하고, CNT 분산액-1을 얻었다.
(실시예 2: CNT 분산액-2)
수지제의 용기에, CNT 2.0부, PGMAc 94.00부, 및 고분자 분산제 D-2를 포함하는 액(고형분: 50.0%) 4.00부를 넣었다. CNT는 유기 용제로 습윤했지만, 원래 형상 그대로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이고, 상징액은 투명했다.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고, 8,0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했다.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함으로써 액은 균일하게 검게 되고, CNT의 응집 상태가 풀어진 상태로 되었다. 원심분리 처리해서 충분히 다 분산되지 못한 고형물을 침강시켜서 분리 제거하고, CNT 분산액-2를 얻었다.
(실시예 3: CNT 분산액-3)
수지제의 용기에, CNT 2.0부, PGMAc 94.02부, 고분자 분산제 D-3을 포함하는 액(50.2%) 3.98부, 및 직경 0.5 ㎜φ의 지르코니아 비드(zirconia beads) 150부를 넣었다. CNT는 유기 용제로 습윤했지만, 원래 형상 그대로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이고, 상징액은 투명했다. 스캔덱스(Scandex)를 사용해서 60분 동안 분산 처리했다. 스캔덱스로 분산 처리함으로써 액은 균일하게 검게 되고, CNT의 응집 상태가 풀어진 상태로 되었다. 원심분리 처리해서 충분히 다 분산되지 못한 고형물을 침강시켜서 분리 제거하고, CNT 분산액-3을 얻었다.
(실시예 4∼11, 비교예 1∼3: CNT 분산액-4∼14)
표 5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함과 함께, 표 5에 나타내는 분산기를 사용해서 분산 처리한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CNT 분산액-4∼14를 얻었다.
Figure pct00023
<평가(1): CNT 분산액의 평가>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분산 직후의 CNT 분산액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또, CNT 분산액을 원심분리 처리했다. 그리고, 원심분리 후의 CNT 분산액의 CNT 농도를,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측정 및 산출했다. 한편, CNT 농도의 산출에는, 농도를 알고 있는 샘플의 흡광도를 측정해서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했다. 또한, 분산 안정도(원심분리 후의 CNT 농도/설계 시의 CNT 농도(%))를 산출했다. 또, 원심분리 처리 후의 CNT 분산액을 7일 동안 정치(靜置)하고, 정치 후의 CNT 분산액의 상태를 목시(目視)로 확인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나노그래핀 분산액의 제조>
(실시예 12: NGR 분산액-1)
수지제의 용기에, 나노그래핀(NGR)(평균 지름: 5 ㎛, 평균 두께: 6∼8 ㎚) 5.0부, PGMAc 85.02부, 및 고분자 분산제 D-1을 포함하는 액(고형분: 50.1%) 9.98부를 넣었다. 용기에 교반자를 넣고서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함과 함께,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해서 60분 동안 초음파(출력 300 W)를 조사해서, 점성 액체인 NGR 분산액-1을 얻었다.
(실시예 13 및 14, 비교예 4 및 5: NGR 분산액-2∼5)
표 7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함과 함께, 표 7에 나타내는 분산기를 사용해서 분산 처리한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NGR 분산액-2∼5를 얻었다.
Figure pct00025
<평가(2): NGR 분산액의 평가>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NGR 분산액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또, 동적 광 산란식의 입도 분포 장치를 사용해서, NGR 분산액 중의 입자의 메디안 지름(D50)을 측정했다. 또한, 동적 광 산란식의 입도 분포 장치를 사용해서, NGR 분산액 중의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응집물의 유무를 확인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카본 나노파이버 분산액의 제조>
(실시예 15: CNF 분산액-1)
수지제의 용기에, 카본 나노파이버(CNF)(상품명 「VGCF-H」, 쇼와 덴코사제, 평균 지름: 150 ㎚, 평균 길이: 6.0 ㎛) 2.0부,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DEDG)(상품명 「DEDG」, 닛폰 뉴카자이사(NIPPON NYUKAZAI CO., LTD.)제) 94.01부, 고분자 분산제 D-1(고형분: 50.1%) 3.99부, 및 직경 0.5 ㎜φ의 지르코니아 비드 150부를 넣었다. CNF는 유기 용제로 습윤했지만, 원래 형상 그대로 용기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이고, 상징액은 투명했다.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해서 60분 동안 분산 처리했다. 초음파 분산기로 분산 처리함으로써 액은 균일하게 검게 되고, CNF의 응집 상태가 풀어진 상태로 되었다. 원심분리 처리해서 충분히 다 분산되지 못한 고형물을 침강시켜서 분리 제거하고, CNF 분산액-1을 얻었다.
(실시예 16 및 17, 비교예 6: CNF 분산액-2∼4)
표 9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함과 함께, 표 9에 나타내는 분산기를 사용해서 분산 처리한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CNF 분산액-2∼4를 얻었다.
Figure pct00027
<평가(3): CNF 분산액의 평가>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분산 직후의 CNF 분산액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또, CNF 분산액을 원심분리 처리했다. 그리고, 원심분리 후의 CNF 분산액의 CNF 농도를,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측정 및 산출했다. 한편, CNF 농도의 산출에는, 농도를 알고 있는 샘플의 흡광도를 측정해서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했다. 또한, 분산 안정도(원심분리 후의 CNF 농도/설계 시의 CNF 농도(%))를 산출했다. 또, 원심분리 처리 후의 CNF 분산액을 7일 동안 정치하고, 정치 후의 CNF 분산액 상태를 목시로 확인했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카본블랙 분산액의 제조>
(실시예 18: CB 분산액-1)
수지제의 용기에, 카본블랙(CB)(상품명 「#1000」, 미츠비시 케미컬사(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제) 20부, PGMAc 68.02부, 고분자 분산제 D-1을 포함하는 액(고형분: 50.1%) 11.98부, 시너지스트(상승제)(구리 프탈로사이아닌 유도체, 상품명 「솔스퍼스(Solsperse) 12000」, 루브리졸사(Lubrizol Corporation)제) 1.0부, 및 직경 0.5 ㎜φ의 지르코니아 비드 150부를 넣었다.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해서 30분 동안 분산 처리해서, CB 분산액-1을 얻었다.
(실시예 19 및 20, 비교예 7: CB 분산액-2∼4)
표 11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함과 함께, 표 11에 나타내는 분산기를 사용해서 분산 처리한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CB 분산액-2∼4를 얻었다.
Figure pct00029
<평가(4): CB 분산액의 평가>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분산 직후의 CB 분산액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또, 동적 광 산란식의 입도 분포 장치를 사용해서, CB 분산액 중의 입자의 메디안 지름(D50)을 측정했다. 또한,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45℃에서 7일 동안 보존 후의 CB 분산액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CNT 분산 잉크 도막의 제조 및 평가>
(응용예 1)
실시예 1에서 얻은 CNT 분산액-1에, CNT 100부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양이 100부로 되는 양의 아크릴 수지 용액(메타크릴산 벤질/메타크릴산 공중합체, Mn:7,500, 산가(酸價): 100 ㎎KOH/g, PGMAc 용액, 고형분: 40%)을 첨가했다. CNT 농도가 1%로 되도록 PGMAc를 첨가해서 희석시켜, CNT 분산 잉크-1을 얻었다. 두께 100 ㎛의 PET 필름의 표면에, 바 코터를 사용해서 얻어진 잉크를 평균 막두께 5 ㎛로 되도록 도공한 후, 13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서, 도전성의 도막을 형성했다. 저항률계(상품명 「하이레스타(Hiresta)」, 닛토세이코 애널리테크사(Nittoseiko Analytech Co., Ltd.)제)를 사용해서 도막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응용예 2∼4, 비교 응용예 1)
표 13에 나타내는 종류의 CNT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는, 전술한 응용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CNT 분산 잉크-2∼5를 각각 조제했다. 그리고, 조제한 CNT 분산 잉크를 각각 사용해서, 전술한 응용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도전성의 도막을 형성하고,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1
<NGR 분산 잉크 도막의 제조>
(응용예 6)
실시예 12에서 얻은 NGR 분산액-1에, NGR 100부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양이 100부로 되는 양의 아크릴 수지 용액(메타크릴산 벤질/메타크릴산 공중합체, Mn: 7,500, 산가: 100 ㎎KOH/g, PGMAc 용액, 고형분: 40%)을 첨가했다. NGR 농도가 3%로 되도록 PGMAc를 첨가해서 희석시켜, NGR 분산 잉크-1을 얻었다. 두께 100㎛의 PET 필름의 표면에, 바 코터를 사용해서 얻어진 잉크를 평균 막두께 5 ㎛로 되도록 도공한 후, 13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도전성의 도막을 형성했다. 저항률계(상품명 「하이레스타」, 닛토세이코 애널리테크사제)를 사용해서 도막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응용예 7 및 8, 비교 응용예 2)
표 14에 나타내는 종류의 NGR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는, 전술한 응용예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NGR 분산 잉크-2∼4를 각각 조제했다. 그리고, 조제한 NGR 분산 잉크를 각각 사용해서, 전술한 응용예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도전성의 도막을 형성하고,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2
<CNF의 수지에의 니딩(kneading)>
(응용예 9)
비커에 용매(메탄올/물=1/1) 3,000부를 넣었다. 디스퍼로 교반하면서(휘저어 섞으면서), 실시예 15에서 얻은 CNF 분산액-1을 서서히 투입하고, 고분자 분산제로 피복된 CNF(수지 피복 CNF)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수지 피복 CNF를 여과한 후, 메탄올 및 물로 세정했다. 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수지 피복 CNF(고형분 99.5%)를 얻었다.
고무 변성 폴리스타이렌 수지와, 고무 변성 폴리스타이렌 수지 100부에 대해서 2부의 수지 피복 CNF를 혼합했다. T다이를 장착한 라보 플라스토밀(Labo Plastomill)(토요 세이키사(Toyo Seiki Seisaku-sho, Ltd., 株式會社東洋精機製作所)제)을 사용해서 압출(押出) 성형하고, 두께 약 0.5 mm, 폭 100 mm의 시트형의 평가용 샘플을 제조했다. 제조한 평가용 샘플을 프레스해서, 두께 약 20 ㎛의 시트를 제작했다. 제작한 시트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CNF의 응집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제작한 시트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더니, 5.26×108 Ω/□였다.
(비교 응용예 3)
CNF 분산액-1 대신에, 비교예 6에서 얻은 CNF 분산액-4를 이용한 것 이외는, 전술한 응용예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시트형의 평가용 샘플을 제조했다. 또한, 제조한 평가용 샘플을 프레스해서, 두께 약 20㎛의 시트를 제작했다. 제작한 시트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많은 CNF의 응집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보였다). 또한, 제작한 시트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더니, 8.38×1010 Ω/□였다.
본 발명의 카본 재료 분산액은, 도료, 잉크, 플라스틱 제품 외에, 전지 재료, 전자 부품 트레이, IC 칩용 커버, 전자파 쉴드(차단장비), 자동차용 부재, 로봇용 부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본 재료와, 유기 용제와, 고분자 분산제를 함유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구성단위(1) 3∼55 질량%,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3) 45∼90 질량%, 및 이 구성단위들과 연결하는 그밖의 구성단위(4) 0.5∼20 질량%(다만, 모든 구성단위의 합계를 100 질량%로 한다)를 가지는 폴리머이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의 아민가가 100 ㎎KOH/g 이하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5,000∼20,000인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33

    (상기 일반식(1)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臭素)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또는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4

    (상기 일반식(3)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Q는 에틸렌기 또는 메틸에틸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구성단위(2)를 더 가지는 폴리머인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35

    (상기 일반식(2)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B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단위(1), 상기 구성단위(2) 및 상기 구성단위(3)이, 각각 하기 일반식(1-1), 하기 일반식(2-1) 및 하기 일반식(3-1)로 표시되고,
    상기 구성단위(4)가, α-메틸스타이렌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카본 재료 분산액.
    Figure pct00036

    (상기 일반식(1-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Ar은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센일기 또는 피렌일기를 나타내고, X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이미드, 비스(노나플루오로뷰테인설폰일)이미드를 나타내고, p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7

    (상기 일반식(2-1) 중, R1 및 R2는 상호 독립적으로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q는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8

    (상기 일반식(3-1) 중, Y는 NHCOO 또는 NHCONH를 나타내고, m 및 n은 상호 독립적으로 0 이상의 평균 반복 단위수를 나타냄과 함께, m+n=20∼100이고, R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r은 임의의 반복수를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재료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카본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고분자 분산제의 함유량이, 10∼200 질량부인 카본 재료 분산액.
KR1020237000720A 2020-07-09 2021-07-02 카본 재료 분산액 KR20230022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18584 2020-07-09
JPJP-P-2020-118584 2020-07-09
PCT/JP2021/025187 WO2022009805A1 (ja) 2020-07-09 2021-07-02 カーボン材料分散液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973A true KR20230022973A (ko) 2023-02-16

Family

ID=795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720A KR20230022973A (ko) 2020-07-09 2021-07-02 카본 재료 분산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12343A1 (ko)
EP (1) EP4180392A4 (ko)
JP (1) JP7381757B2 (ko)
KR (1) KR20230022973A (ko)
CN (1) CN115916695A (ko)
TW (1) TW202206555A (ko)
WO (1) WO2022009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0453B2 (ja) * 2019-11-15 2021-07-07 花王株式会社 半導体型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の製造方法
JP7098077B1 (ja) 2021-10-04 2022-07-0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材料分散液の製造方法
JP7098076B1 (ja) * 2021-10-04 2022-07-0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材料分散液及びその使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4084A (ja) 2009-01-28 2010-08-12 Panasonic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インク
JP2013537570A (ja) 2010-07-12 2013-10-03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伝導性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伝導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4878B2 (ja) * 1996-05-27 2004-01-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218710B2 (ja) * 2006-08-03 2009-0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被記録材給送装置、記録装置
JP4949909B2 (ja) * 2007-03-29 2012-06-13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炭素繊維用分散剤、分散によって得られた炭素繊維分散液、炭素繊維分散液から誘導される導電性複合材料、導電性塗料、塗装方法並びに当該方法で塗装された物品
JP5280016B2 (ja) * 2007-05-11 2013-09-04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塗布液
JP5326297B2 (ja) * 2008-02-22 2013-10-30 日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溶液
JP5146371B2 (ja) * 2008-07-11 2013-02-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カーボンナノ複合体、それを含む分散液及び樹脂組成物、並びにカーボンナノ複合体の製造方法
US20100122642A1 (en) * 2008-11-17 2010-05-20 Xerox Corporation Inks including carbon nanotubes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JP5463674B2 (ja) * 2009-01-28 2014-04-0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カーボンナノ複合体、それを含む分散液および樹脂組成物、ならびにカーボンナノ複合体の製造方法
US9359508B2 (en) * 2009-08-27 2016-06-07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Water-based slurry composition, electrode plat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JP5676170B2 (ja) * 2010-07-15 2015-02-25 国立大学法人徳島大学 イオン性高分岐ポリマー及び炭素ナノ材料分散剤
JP5599076B2 (ja) * 2011-09-30 2014-10-0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水系分散液及びナノカーボン分散樹脂組成物
CN106414320A (zh) * 2014-01-31 2017-02-15 日本瑞翁株式会社 碳纳米管分散液、导电膜及导电性膜
BR112016021578B1 (pt) * 2014-03-18 2022-04-05 Rhodia Operations Dispersantes poliméricos, copolímeros dispersante polimérico e método para dispersão de pigmentos em uma emulsão aquosa
JP6561533B2 (ja) * 2015-03-27 2019-08-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感光性着色組成物、硬化物、着色スペーサー、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4084A (ja) 2009-01-28 2010-08-12 Panasonic Corp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インク
JP2013537570A (ja) 2010-07-12 2013-10-03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伝導性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伝導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6555A (zh) 2022-02-16
US20230212343A1 (en) 2023-07-06
JP7381757B2 (ja) 2023-11-15
WO2022009805A1 (ja) 2022-01-13
JPWO2022009805A1 (ko) 2022-01-13
EP4180392A4 (en) 2024-03-13
CN115916695A (zh) 2023-04-04
EP4180392A1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757B2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
Kong et al.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nd defunctionalization of the products
CN103261336B (zh) 经表面改性的有机黑色颜料、经表面改性的炭黑、使用它们的颜料混合物、以及包含其的低介电黑色分散体、涂料、膜、黑色矩阵和装置
JP5599076B2 (ja) ナノカーボン水系分散液及びナノカーボン分散樹脂組成物
JP7098076B1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及びその使用
KR101252371B1 (ko) 안료 분산액, 블록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
JP7126169B2 (ja) 顔料分散液
JP6755218B2 (ja) ナノカーボン分散液
JP7230269B1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及びその使用
JP7212605B2 (ja) 導電性ポリマー及び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
JP6952919B1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
JP7098077B1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の製造方法
JP2020169234A (ja) ポリマーグラフト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電解質
JP2022067461A (ja) 樹脂処理カーボ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ボン材料複合組成物
JP7262068B1 (ja) カーボン材料分散液及びその使用
CN117043210A (zh) 嵌段共聚物、分散剂和着色组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