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903A -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903A
KR20230019903A KR1020230009273A KR20230009273A KR20230019903A KR 20230019903 A KR20230019903 A KR 20230019903A KR 1020230009273 A KR1020230009273 A KR 1020230009273A KR 20230009273 A KR20230009273 A KR 20230009273A KR 20230019903 A KR20230019903 A KR 2023001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이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3001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DATA-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 정보의 처리 및 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정보의 처리 및 표시 방법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가지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화면 표시 장치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람성이 높고 정보 처리 장치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 전달 수단에 관한 통신 인프라가 충실하다. 이에 따라,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직장이나 집에서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취득, 가공, 또는 발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휴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휴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는 옥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낙하에 의하여 예상 못한 충격이 정보 처리 장치나 이에 사용된 표시 장치에 가해질 수 있다. 파괴되기 어려운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발광층을 분리하는 구조체와 제 2 전극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190794호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술한 것 이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상술한 것 이외의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위치 정보를 공급하고 화상 정보를 공급받는 입출력 장치와, 위치 정보를 공급받고 화상 정보를 공급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입출력 장치는 위치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
표시부는 제 3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화상 정보를 공급받아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연산 장치는 연산부와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위치 정보와, 폴딩 정보(folding data)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를 공급하고 화상 정보를 공급받는 입출력 장치와, 위치 정보 및 폴딩 정보를 공급받고 화상 정보를 공급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폴딩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접힌 상태와 전개된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는 위치 입력부, 표시부, 및 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입력부는 전개된 상태, 및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
검지부는 위치 입력부가 접힌 상태임을 검지하여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폴딩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는 제 3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화상 정보를 공급받아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연산 장치는 연산부와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와,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가 접힌 상태인지 전개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폴딩 센서를 포함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접힌 상태일 때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영역은 제 1 위치 정보를 공급하고, 제 2 영역은 제 2 위치 정보를 공급하고, 연산부는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제 1 위치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생성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기억부가 제 1 영역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제 1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제 2 영역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로부터 제 2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제 1 선분의 길이 및 제 2 선분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와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길이보다 더 긴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3 단계와, 소정의 길이보다 긴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제 4 단계와, 화상 정보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종료하는 제 6 단계를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와,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고, 연산부는 제 1 영역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와 제 2 영역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화상(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영역은 제 1 위치 정보를 공급하고, 제 2 영역은 제 2 위치 정보를 공급하고, 검지부는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를 공급하고, 연산부는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제 1 위치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폴딩 정보에 따라 생성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기억부가 제 1 영역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제 1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제 2 영역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로부터 제 2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제 1 선분의 길이 및 제 2 선분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와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길이보다 더 긴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3 단계와, 소정의 길이보다 긴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제 4 단계와, 폴딩 정보를 취득하여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6 단계로 진행하고 폴딩 정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7 단계로 진행하는 제 5 단계와, 제 1 화상 정보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하는 제 6 단계와, 제 2 화상 정보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하는 제 7 단계와, 종료하는 제 8 단계를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와,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가 접힌 상태인지 전개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폴딩 센서를 포함하는 검지부와,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접힌 상태일 때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고, 연산부는 제 1 영역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와 제 2 영역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폴딩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치 입력부가 접힌 상태일 때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제 1 화상(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 및 위치 입력부가 전개된 상태일 때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제 2 화상 중 어느 쪽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부가 위치 입력부와 중첩되고, 전개된 상태 및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고, 또한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제 1 구역, 및 접은 자국으로 제 1 구역과 구획되는 제 2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이다.
기억부는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화하는 제 1 단계와, 초기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인터럽트 처리를 허가하는 제 3 단계와, 폴딩 정보를 취득하여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5 단계로 진행하고 폴딩 정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와, 공급받는 화상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구역에 표시하는 제 5 단계와, 공급받는 화상 정보의 일부를 제 1 구역에, 다른 일부를 제 2 구역에 표시하는 제 6 단계와, 인터럽트 처리로 종료 명령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 8 단계로 진행하고 종료 명령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7 단계와, 종료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럽트 처리는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 10 단계로 진행하고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1 단계로 진행하는 제 9 단계와, 페이지 넘기기 명령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10 단계와, 인터럽트 처리로부터 복귀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전개된 상태 및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며,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제 1 구역, 및 접은 자국으로 제 1 구역과 구획되는 제 2 구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폴딩 정보에 따라, 생성한 화상의 일부를 제 1 구역에, 다른 일부를 제 2 구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접힌 상태일 때 정보 처리 장치의 외주에 노출되는 표시부(제 1 구역)에 한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전개된 상태일 때 표시부의 제 1 구역에 이어지는 제 2 구역에 상기 화상의 일부에 이어지거나 또는 관계되는 상기 화상의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정보 처리 장치나 신규 표시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드시 상술한 모든 효과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상술한 것 이외의 효과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상술한 것 이외의 효과가 추출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위치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전개된 상태, 구부러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손에 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손에 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위치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위치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위치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고 표시부와 중첩되는 제 3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다른 도면들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설명한 모식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선 X1-X2에서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또한, 표시부(13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앞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제공되어도 좋다. 또는, 도 17의 (A)나 그 단면도인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 측면에 제공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2의 (C-1)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는 위치 입력부(140) 및 표시부(130)의 배치를 설명한 모식도이고, 도 2의 (C-2)는 위치 입력부(140)의 근접 센서(142)의 배치를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2의 (D)는 도 2의 (C-2)의 선 X3-X4에서의 위치 입력부(14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하우징(101)과,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하고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는 입출력 장치(120)와, 위치 정보 L-INF를 공급받고 상기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하는 연산 장치(110)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의 (B) 참조).
입출력 장치(120)는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하는 위치 입력부(140) 및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는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위치 입력부(140)는 일례로서 제 1 영역(140(1))과, 제 1 영역(140(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2))과,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의 제 3 영역(140(3))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도 2의 (B) 참조). 여기서, 제 3 영역(140(3))은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에 접촉하고, 이들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일체가 되어 위치 입력부(140)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각 영역에 따로따로 위치 입력부(140)를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7의 (C), (D),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에 위치 입력부(140(A)), 위치 입력부(140(B)), 위치 입력부(140(C)), 위치 입력부(140(D)), 위치 입력부(140(E))를 독립적으로 제공하여도 좋다. 또는, 도 1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입력부(140(A)), 위치 입력부(140(B)), 위치 입력부(140(C)), 위치 입력부(140(D)), 위치 입력부(140(E)) 중 일부를 제공하지 않아도 좋다. 또는, 도 17의 (G) 및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면 전체에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영역(140(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2))의 배치는 제 1 영역(140(1))에 정면으로 대향하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영역(140(1))에 비스듬하게 대향하는 배치도 포함된다.
표시부(130)는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고, 제 3 영역(140(3))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도 2의 (B) 참조). 연산 장치(110)는 연산부(111)와,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112)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 입력부(140)는 제 1 영역(140(1))과, 제 1 영역(140(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2))과,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3))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140(1)) 또는 제 2 영역(140(2))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120)는 위치 입력부(140)와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부(145), 검지부(150), 및 통신부(160)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위치 입력부>>
위치 입력부(140)는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위치 입력부(140)에 근접 또는 접촉함으로써 위치 정보 L-INF를 위치 입력부(140)에 공급하고, 이에 의하여 다양한 조작 명령을 정보 처리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료 명령(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조작 명령을 공급할 수 있다(도 1 참조).
위치 입력부(140)는 제 1 영역(140(1)), 제 2 영역(140(2)), 및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의 제 3 영역(140(3))을 포함한다(도 2의 (C-1) 참조). 제 1 영역(140(1)), 제 2 영역(140(2)), 및 제 3 영역(140(3)) 각각에 근접 센서(142)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도 2의 (C-2) 참조).
위치 입력부(140)는 일례로서, 가요성을 가진 기판(141)과 가요성을 가진 기판(141) 위의 근접 센서(142)를 포함한다(도 2의 (D) 참조).
위치 입력부(140)는 일례로서, 제 2 영역(140(2))과 제 1 영역(140(1))이 대향하도록 구부릴 수 있다(도 2의 (B) 참조).
위치 입력부(140)의 제 3 영역(140(3))은 표시부(130)와 중첩된다(도 2의 (B) 및 도 2의 (C-1) 참조). 또한, 제 3 영역(140(3))을 표시부(130)보다 더 사용자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 3 영역(140(3))이 투광성을 가지도록 한다.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가 한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한다(도 6의 (A-1) 참조). 예를 들어 17cm 이하, 바람직하게는 9c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cm 이하로 한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정보 처리 장치(100)를 쥐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 3 영역(140(3))에서 광범위하게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밑부분(무지구(拇指球) 근방)을 제 1 영역(140(1)) 또는 제 2 영역(140(2))에 근접 또는 접촉하고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다른 쪽에 근접 또는 접촉하면서 정보 처리 장치(100)를 쥘 수 있다.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형상은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형상과 다르기 때문에 제 1 영역(140(1))은 제 2 영역(140(2))과는 다른 위치 정보를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형상은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형상과 비교하여 크거나 또는 연속되어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근접 센서(142)는 근접 또는 접촉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손바닥)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좋고, 예를 들어 용량 소자나 촬상 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용량 소자를 가지는 기판을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 촬상 소자를 가지는 기판을 광학식 터치 센서라고 할 수 있다.
가요성을 가진 기판(141)으로서는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의 유리 기판, 석영 기판, 반도체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입력부(140)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예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다.
<<표시부>>
표시부(130)는 적어도 위치 입력부(140)의 제 3 영역(140(3))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 3 영역(140(3))뿐만 아니라 제 1 영역(140(1)) 및/또는 제 2 영역(140(2))과도 중첩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표시부(130)는 공급받는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영역(140(1)) 및/또는 제 2 영역(140(2))에, 제 3 영역(140(3))과 다른 조작 명령을 연관지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를 사용하여 제 1 영역(140(1)) 및/또는 제 2 영역(140(2))과 연관지어진 조작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양한 조작 명령을 연관지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명령의 오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예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다.
<<연산 장치>>
연산 장치(110)는 연산부(111), 기억부(112),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및 전송로(114)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연산 장치(110)는 위치 정보 L-INF를 공급받고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연산 장치(110)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용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입출력 장치(120)에 공급한다. 표시부(130)는 조작용 화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3))에 손가락을 접촉함으로써 상기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할 수 있다.
<<연산부>>
연산부(111)는 기억부(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이 표시된 위치와 연관지어진 위치 정보 L-INF를 공급받은 경우, 연산부(111)는 상기 화상과 미리 연관지어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기억부>>
기억부(112)는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연산 장치(110)에 처리시키는 프로그램의 일례는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전송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15)는 정보를 공급하고 정보를 공급받는다.
전송로(114)는 정보를 공급할 수 있고, 연산부(111), 기억부(1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15)는 정보를 공급받는다. 또한, 연산부(111), 기억부(1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15)는 정보를 공급할 수 있고, 전송로(114)는 정보를 공급받는다.
<<검지부>>
검지부(150)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그 주위의 상태를 검지하여 검지 정보 SENS를 공급한다(도 1 참조).
검지부(150)는 예를 들어, 가속도, 방위, 압력, 위성 항법 시스템(NSS: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 온도, 또는 습도 등을 검지하여 그 정보를 공급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검지하여 그 정보를 공급하여도 좋다.
<<통신부>>
통신부(160)는 연산 장치(110)로부터 공급받는 정보 COM을 정보 처리 장치(100) 외부의 기기 또는 통신망에 공급한다. 또한, 정보 COM을 외부의 기기 또는 통신망으로부터 취득하여 공급한다.
정보 COM은 다양한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111)에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시키거나 또는 소거시키는 등 표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로서는 외부의 기기 또는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 예를 들어 허브, 라우터, 또는 모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방법은 유선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예를 들어 전파 또는 적외선 등)이어도 좋다.
<<입출력부>>
입출력부(145)로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 판독 전용 외부 기억부, 외부 기억부, 스캐너, 스피커, 프린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카메라로서는 구체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기억부로서는 하드 디스크 또는 이동 가능한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D ROM, DVD ROM 등을 판독 전용 외부 기억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101)은 연산 장치(110) 등을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으로부터 보호한다.
하우징(101)에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3~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의 구성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외관을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전개된 상태, 도 4의 (B)는 구부러진 상태, 도 4의 (C)는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외관을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100B)의 구성을 설명한 모식도이며 도 5의 (A)~도 5의 (D)는 전개된 상태의 구성, 도 5의 (E)는 접힌 상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상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의 (D)는 도 5의 (A)의 선 Y1-Y2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5의 (E)는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측면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위치 정보 L-INF 및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를 공급하고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는 입출력 장치(120B)와, 위치 정보 L-INF 및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를 공급받고 상기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하는 연산 장치(110)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입출력 장치(120B)는 위치 입력부(140B), 표시부(130), 및 검지부(150)를 포함한다.
위치 입력부(140B)는 전개된 상태, 및 제 1 영역(140B(1))과, 제 1 영역(140B(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B(2))과,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 사이의 제 3 영역(140B(3))이 형성되도록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도 4 및 도 5 참조).
검지부(150)는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임을 검지하여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를 공급할 수 있는 폴딩 센서(151)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고, 제 3 영역(140B(3))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연산 장치(110)는 연산부(111)와,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112)를 포함한다(도 5의 (D) 참조).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제 1 영역(140B(1)), 접힌 상태일 때 제 1 영역(140B(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B(2)), 및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B(3))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검지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B)와,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인지 전개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폴딩 센서(151)를 포함하는 검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140B(1)) 또는 제 2 영역(140B(2))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B)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위치 입력부(140B)가 전개된 상태 또는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는 점, 그리고 입출력 장치(120B)의 검지부(150)가 폴딩 센서(15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100)와는 다르다.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120B)는 위치 입력부(140B), 표시부(130), 및 폴딩 센서(151)를 포함하는 검지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부(145), 표지(159), 및 통신부(160)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입출력 장치(120B)는 정보를 공급받고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도 3 참조).
<<하우징>>
정보 처리 장치(100B)는 가요성이 높은 부분(E1)과 가요성이 낮은 부분(E2)이 번갈아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B)의 하우징은 띠형태(줄무늬 형태)로 가요성이 높은 부분(E1)과 가요성이 낮은 부분(E2)을 포함한다(도 5의 (A) 및 (B) 참조).
이 구성에 의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접힐 수 있다(도 4 참조).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는 휴대하기 쉽다. 또한, 위치 입력부(140B)의 제 3 영역(140B(3))의 일부를 외측으로 하여 접어서, 그 부분만을 표시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가요성이 높은 부분(E1)과 가요성이 낮은 부분(E2)은 예를 들어, 양쪽 측부가 서로 평행한 형상,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정보 처리 장치(100B)는 한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00B)를 쥐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 3 영역(140B(3))에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또한, 접힌 상태일 때는 위치 입력부(140B)의 일부가 내측이 되어 사용자는 내측이 된 부분을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도 4의 (C) 참조), 이 부분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개된 상태의 위치 입력부(140B)는 이음매가 없고 조작 영역이 넓다.
표시부(130)는 위치 입력부의 제 3 영역(140B(3))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도 5의 (D) 참조). 위치 입력부(140B)는 접속 부재(13a)와 접속 부재(13b) 사이에 있다. 접속 부재(13a) 및 접속 부재(13b)는 지지 부재(15a)와 지지 부재(15b) 사이에 있다(도 5의 (C) 참조).
표시부(130), 위치 입력부(140B), 접속 부재(13a), 접속 부재(13b), 지지 부재(15a), 및 지지 부재(15b)는 접착제, 나사, 또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체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가요성이 높은 부분>>
가요성이 높은 부분(E1)은 구부릴 수 있고 힌지로서 기능한다.
가요성이 높은 부분(E1)은 접속 부재(13a)와, 접속 부재(13a)와 중첩되는 접속 부재(13b)를 포함한다(도 5의 (A) 내지 (C) 참조).
<<가요성이 낮은 부분>>
가요성이 낮은 부분(E2)은 지지 부재(15a) 및 지지 부재(15b)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a)와, 지지 부재(15a)와 중첩되는 지지 부재(15b)를 가진다. 또한, 지지 부재(15b)만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면 가요성이 낮은 부분(E2)을 얇고 가볍게 할 수 있다.
<<접속 부재>>
접속 부재(13a) 및 접속 부재(13b)는 가요성을 가진다. 접속 부재(13a) 및 접속 부재(13b)에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가진 플라스틱, 금속, 합금 또는/및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부재(13a) 및 접속 부재(13b)에는 실리콘(silicone)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지지 부재(15a) 및 지지 부재(15b) 중 어느 한쪽은 접속 부재(13a) 및 접속 부재(13b)보다 가요성이 낮다. 지지 부재(15a) 또는 지지 부재(15b)는 위치 입력부(140B)의 기계적 강도를 높여 위치 입력부(140B)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a) 또는 지지 부재(15b)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합금, 또는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속 부재(13a), 접속 부재(13b), 지지 부재(15a), 또는 지지 부재(15b)에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을 사용하면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또는,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5a) 및 지지 부재(15b)에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위치 입력부>>
위치 입력부(140B)는 전개된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할 수 있다(도 4의 (A) 내지 (C) 참조).
제 3 영역(140B(3))은, 전개된 상태일 때 정보 처리 장치(100B) 상면에 위치하고(도 5의 (D) 참조),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상면 및 측면에 위치한다(도 5의 (E) 참조).
위치 입력부(140B)를 전개하면 접힌 상태보다 넓은 면적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 입력부(140B)를 접으면, 제 3 영역(140B(3))의 상면에 연관지어지는 조작 명령과는 다른 조작 명령을 측면에 연관지을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40B(2))과 연관지어지는 조작 명령과도 다른 조작 명령을 연관지어도 좋다. 이로써 위치 입력부(140B)를 사용한 복잡한 조작 명령이 가능해진다.
위치 입력부(140B)는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한다(도 3 참조).
위치 입력부(140B)는 지지 부재(15a)와 지지 부재(15b) 사이에 있다. 위치 입력부(140B)는 접속 부재(13a)와 접속 부재(13b) 사이에 있어도 좋다.
위치 입력부(140B)는 제 1 영역(140B(1)), 제 2 영역(140B(2)), 및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 사이의 제 3 영역(140B(3))을 포함한다(도 5의 (D) 참조).
위치 입력부(140B)는 가요성을 가진 기판과, 가요성을 가진 기판 위의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근접 센서는 제 1 영역(140B(1)), 제 2 영역(140B(2)), 및 제 3 영역(140B(3)) 각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위치 입력부(140B)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예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다.
<<검지부 및 표지>>
정보 처리 장치(100B)는 검지부(150)를 포함한다. 검지부(150)는 폴딩 센서(151)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또한, 폴딩 센서(151) 및 표지(159)는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임을 검지할 수 있도록 정보 처리 장치(100B)에 배치된다(도 4의 (A) 및 (B), 도 5의 (A), (C), 및 (E) 참조).
위치 입력부(140B)가 전개된 상태일 때 표지(159)는 폴딩 센서(15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도 4의 (A), 도 5의 (A) 및 (C) 참조).
위치 입력부(140B)가 접속 부재(13a)로 구부러질 때 표지(159)는 폴딩 센서(151)에 접근한다(도 4의 (B) 참조).
위치 입력부(140B)가 접속 부재(13a)로 접힌 상태일 때 표지(159)는 폴딩 센서(151)와 대향한다(도 5의 (E) 참조).
검지부(150)는 표지(159)를 검지하여,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를 공급한다.
<<표시부>>
표시부(130)는 위치 입력부(140B)의 제 3 영역(140B(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부(130)는 공급받는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표시부(130)는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위치 입력부(140B)와 중첩되어 전개 또는 접을 수 있다. 이로써 표시부(130)에서 일람성이 높고 이음매가 없는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가요성을 가진 표시부(130)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예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다.
<<연산 장치>>
연산 장치(110)는 연산부(111), 기억부(112),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및 전송로(114)를 포함한다(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6, 도 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를 손에 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위치 입력부(140) 중 제 3 영역(140(3))은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은 서로 대향한다. 도 6의 (A-1)는 정보 처리 장치(100)를 손에 쥔 상태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의 (A-2)는 도 6의 (A-1)에 도시된 위치 입력부(140)의 전개도이며 근접 센서가 손바닥 또는 손가락을 검지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위치 입력부로서 위치 입력부(140(A)), 위치 입력부(140(B)), 위치 입력부(140(C))가 따로따로 제공된 경우를 도 18의 (A)에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도 6의 (A-2)과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도 6의 (B-1)는 제 1 영역(140(1))이 검지한 제 1 위치 정보 L-INF(1) 및 제 2 영역(140(2))이 검지한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에지 검출 처리한 결과를 실선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의 (B-2)는 제 1 위치 정보 L-INF(1)과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레이블링 처리한 결과를 해치 패턴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제 1 영역(140(1))이 제 1 위치 정보 L-INF(1)를 공급하고, 제 2 영역(140(2))이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한다(도 6의 (A-2) 참조). 연산부(111)는 제 3 영역(140(3))과 중첩되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생성한다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와 다르다(도 1, 도 2, 및 도 6 참조).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 입력부>>
위치 입력부(140)는 제 1 영역(140(1))과, 제 1 영역(140(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2))과,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3))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도 2의 (B) 참조).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0)를 손에 쥘 때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은 사용자의 손바닥의 일부 및 손가락의 일부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140(1))은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및 약손가락의 일부가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를 공급하고, 제 2 영역(140(2))은 엄지손가락 밑부분(무지구 근방)이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한다. 또한, 제 3 영역(140(3))은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공급한다.
<<표시부>>
표시부(130)는 제 3 영역(140(3))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된다(도 6의 (A-1) 및 (A-2) 참조). 표시부(130)는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아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용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상과 중첩되는 제 3 영역(140(3))에 엄지손가락을 근접 또는 접촉함으로써 상기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조작할 때는 오른쪽에 키보드(131)나 아이콘 등을 표시시킨다. 한편, 왼손으로 조작할 때는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키보드(131)나 아이콘 등을 표시시킨다. 이로써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검지부(150)에서 가속도를 검지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표시 화면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에 쥐고 화살표(152) 방향으로부터 보아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도 19의 (C) 참조)를 생각한다. 이 때 이 기울기를 검지하여 도 18의 (C)와 같이 왼손용 화면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에 쥐고 화살표(152) 방향으로부터 보아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도 19의 (D) 참조)를 생각한다. 여기서는 이 기울기를 검지하여 도 18의 (B)와 같은 오른손용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키보드나 아이콘 등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 스스로 설정함으로써 오른손용 조작 화면과 왼손용 조작 화면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연산부>>
연산부(111)는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받고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6가지 단계를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한다(도 7의 (A) 참조). 이하에서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예>>
제 1 단계에서, 제 1 영역(140(1))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로부터 제 1 선분의 길이를 결정한다(도 7의 (A)의 (S1) 참조).
제 2 단계에서, 제 2 영역(140(2))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로부터 제 2 선분의 길이를 결정한다(도 7의 (A)의 (S2) 참조).
제 3 단계에서, 제 1 선분의 길이와 제 2 선분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와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간다(도 7의 (A)의 (S3) 참조). 또한, 소정의 길이는 2cm 이상 15cm 이하, 특히 5cm 이상 10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에서, 소정의 길이보다 긴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한다(도 7의 (A)의 (S4) 참조).
제 5 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7의 (A)의 (S5) 참조).
제 6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7의 (A)의 (S6) 참조).
또한, 제 1 단계 전에 소정의 화상 정보 VIDEO(초기 화상이라고도 할 수 있음)를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제 1 선분과 제 2 선분이 둘 다 소정의 길이보다 긴 경우 또는 짧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방법>>
이하에서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로부터 제 1 선분의 길이를, 제 2 위치 정보 L-INF(2)로부터 제 2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에지 검출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근접 센서로서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근접 센서로서는 용량 소자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좌표(x, y)에 배치된 촬상 화소가 취득하는 값을 f(x, y)로 한다. 특히, 촬상 화소가 검지하는 값으로부터 배경 값을 뺀 값을 f(x, y)로서 사용하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에지(윤곽)를 추출하는 방법>>
좌표(x, y)에 인접한 좌표(x-1, y), 좌표(x+1, y), 좌표(x, y-1), 및 좌표(x, y+1)에 배치되는 촬상 화소가 검지하는 값과, 좌표(x, y)에 배치되는 촬상 화소가 검지하는 값의 차분의 합Δ(x, y)은 이하의 수학식(1)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제 1 영역(140(1)), 제 2 영역(140(2)), 및 제 3 영역(140(3))에 있는 모든 촬상 화소의 Δ(x, y)를 산출하고 이를 이미징함으로써 도 6의 (A-2)나 도 6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또는 접촉하는 손가락 또는 손바닥의 에지(윤곽)를 추출할 수 있다.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
제 1 영역(140(1))에 추출된 윤곽이 소정의 선분 W1과 교차되는 좌표를 결정하고, 소정의 선분 W1을 그 교점에서 절단하여 복수의 선분으로 분단한다. 복수의 선분 중 가장 긴 선분을 제 1 선분으로 하고, 그 길이를 L1로 한다(도 6의 (B-1) 참조).
제 2 영역(140(2))에 추출된 윤곽이 소정의 선분 W2와 교차되는 좌표를 결정하고, 소정의 선분 W2를 그 교점에서 절단하여 복수의 선분으로 분단한다. 복수의 선분 중 가장 긴 선분을 제 2 선분으로 하고, 그 길이를 L2로 한다.
<<중점을 결정하는 방법>>
L1과 L2를 비교하여, 긴 쪽을 선택하여 중점 M의 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L2가 L1보다 길기 때문에, 제 2 선분의 중점 M을 채용하여 좌표를 결정한다.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되는 화상 정보>>
중점 M의 좌표는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위치 또는 엄지손가락의 가동(可動) 범위 등과 연관지을 수 있다. 이로써 중점 M의 좌표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을 쉽게 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이 표시부(130) 중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점 M 근방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조작용 화상(동그라미로 나타냄)을 배치할 수 있다(도 6의 (A-1) 참조). 또한, 조작용 화상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원호상으로 배치하고, 원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용 빈도가 낮은 것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예>
여기서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제 1 선분의 길이 대신에 제 1 도형의 면적을, 제 2 선분의 길이 대신에 제 2 도형의 면적을 사용하는, 이하와 같은 6가지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프로그램과는 다르다(도 7의 (B) 참조). 같은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처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 1 단계에서, 제 1 영역(140(1))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로부터 제 1 도형의 면적을 결정한다(도 7의 (B)의 (T1) 참조).
제 2 단계에서, 제 2 영역(140(2))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로부터 제 2 도형의 면적을 결정한다(도 7의 (B)의 (T2) 참조).
제 3 단계에서, 제 1 도형의 면적과 제 2 도형의 면적을 소정의 면적과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간다(도 7의 (B)의 (T3) 참조). 또한, 소정의 면적을 1cm2 이상 8cm2 이하, 특히 3cm2 이상 5cm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에서, 소정의 면적보다 큰 도형의 중심(重心)의 좌표를 결정한다(도 7의 (B)의 (T4) 참조).
제 5 단계에서 제 3 영역과 중첩되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중심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7의 (B)의 (T5) 참조).
제 6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7의 (B)의 (T6) 참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각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형의 중심을 결정하는 방법>>
이하에서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로부터 제 1 도형의 면적을, 제 2 위치 정보 L-INF(2)로부터 제 2 도형의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형의 중심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형의 면적을 결정하는 레이블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근접 센서로서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근접 센서로서는 용량 소자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좌표(x, y)에 배치된 촬상 화소가 취득하는 값을 f(x, y)로 한다. 특히, 촬상 화소가 검지하는 값으로부터 배경 값을 뺀 값을 f(x, y)로서 사용하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레이블링 처리>>
제 1 영역(140(1)) 또는 제 2 영역(140(2))에 포함되는 한 촬상 화소와 이 촬상 화소에 인접한 다른 촬상 화소가 둘 다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값 f(x, y)를 취득하는 경우, 이들 촬상 화소가 차지하는 영역을 하나의 도형으로 한다. 또한, f(x, y)가 예를 들어 최대 256이라는 값을 가질 수 있을 때 소정의 문턱값은 0 이상 150 이하, 특히 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영역(140(1)) 및 제 2 영역(140(2))에 있는 모든 촬상 화소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미징함으로써 도 6의 (A-2)나 도 6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촬상 화소가 인접하는 영역이 얻어진다. 제 1 영역(140(1))에 있는 도형 중 면적이 가장 큰 도형을 제 1 도형으로 한다. 제 2 영역(140(2))에 있는 도형 중 면적이 가장 큰 도형을 제 2 도형으로 한다.
<<도형의 중심 결정>>
제 1 도형의 면적과 제 2 도형의 면적을 비교하여, 큰 쪽을 선택하여 중심을 산출한다. 중심의 좌표 C(X, Y)는 이하의 수학식(2)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수학식(2)에서 xi, yi는 한 도형을 구성하는 n개의 촬상 화소의 각 x좌표, y좌표를 나타낸다. 도 6의 (B-2)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2 도형의 면적이 제 1 도형의 면적보다 크다. 이 경우에는 제 2 도형의 중심 C를 채용하여 좌표를 결정한다.
<<중심의 좌표에 따라 생성되는 화상 정보>>
중심 C의 좌표는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위치 또는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 등과 연관지을 수 있다. 이로써 중심 C의 좌표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을 쉽게 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와, 연산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는 제 1 영역(140(1))과, 제 1 영역(140(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2))과, 제 1 영역(140(1))과 제 2 영역(140(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3))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고, 연산부(111)는 제 1 영역(140(1))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영역(140(2))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140(1)) 또는 제 2 영역(140(2))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화상(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도 4,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를 손에 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전개도이며 근접 센서가 손바닥 또는 손가락을 검지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의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에서는 위치 입력부(140B)의 제 1 영역(140B(1))이 제 1 위치 정보 L-INF(1)를 공급하고, 제 2 영역(140B(2))이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하고(도 8의 (B) 참조), 검지부(150)는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를 공급하고, 연산부(111)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한 결과 및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에 따라 생성한다는 점에서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100B)와 다르다(도 3, 도 4, 및 도 8 참조).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B)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 입력부>>
위치 입력부(140B)는 전개된 상태, 또는 제 1 영역(140B(1))과, 제 1 영역(140B(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B(2))과,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B(3))이 형성되도록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다(도 4의 (A) 내지 (C) 참조).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은 사용자의 손바닥의 일부 및 손가락의 일부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140B(1))은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및 약손가락의 일부가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를 공급하고, 제 2 영역(140B(2))은 엄지손가락 밑부분이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한다. 또한, 제 3 영역(140B(3))은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공급한다.
<<표시부>>
표시부(130)는 제 3 영역(140B(3))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된다(도 8의 (A) 및 (B) 참조). 표시부(130)는 화상 정보 VIDEO를 공급받아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조작용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상과 중첩되는 제 3 영역(140B(3))에 엄지손가락을 근접 또는 접촉함으로써 상기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연산부>>
연산부(111)는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공급받고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7가지 단계를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한다(도 9 참조). 이하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예>>
제 1 단계에서, 제 1 영역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제 1 선분의 길이를 결정한다(도 9의 (U1) 참조).
제 2 단계에서, 제 2 영역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로부터 제 2 선분의 길이를 결정한다(도 9의 (U2) 참조).
제 3 단계에서, 제 1 선분의 길이와 제 2 선분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와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간다(도 9의 (U3) 참조). 또한, 소정의 길이는 2cm 이상 15cm 이하, 특히 5cm 이상 10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에서, 소정의 길이보다 긴 선분의 중점의 좌표를 결정한다(도 9의 (U4) 참조).
제 5 단계에서, 폴딩 정보를 취득하여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6 단계로 진행하고,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7 단계로 진행한다(도 9의 (U5) 참조).
제 6 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1 화상 정보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9의 (U6) 참조).
제 7 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2 화상 정보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9의 (U7) 참조).
제 8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9의 (U8) 참조).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에서, 연산부(111)에 소정의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시켜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는 제 1 단계의 실행 전에 포함되어도 좋다. 이에 의하여 제 3 단계에서 제 1 선분과 제 2 선분이 둘 다 소정의 길이보다 긴 경우 또는 짧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 VIDEO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산부에 실행시키는 각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제 5 단계에서 접힌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다음 처리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프로그램과는 다르다. 같은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처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 1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취득한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연산부(111)는 제 1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의 제 5 단계와 마찬가지로, 접힌 상태의 제 3 영역(140B(3))과 중첩되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제 1 화상 정보 VIDEO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
중점 M의 좌표는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위치 또는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 등과 연관지을 수 있다. 이로써 중점 M의 좌표에 따라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조작을 쉽게 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을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 내에서 표시부(130)에 배치되도록 제 1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점 M 근방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조작용 화상(동그라미로 나타냄)을 배치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또한, 조작용 화상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원호상으로 배치하고, 원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용 빈도가 낮은 것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결과 접힌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취득한 폴딩 정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연산부(111)는 제 2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의 제 5 단계와 마찬가지로, 제 3 영역(140B(3))과 중첩되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제 1 화상 정보 VIDEO를 중점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 중점 M의 좌표는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위치 또는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 등과 연관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의 가동 범위와 중첩되는 구역에 조작용 화상이 배치되지 않도록 제 2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점 M 근방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외측에 조작용 화상(동그라미로 나타냄)을 배치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위치 입력부(140B)가, 원호와 그 내측을 제외한 영역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물체를 검지하여 위치 정보를 공급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100B)를 구동시켜도 좋다.
이로써, 전개된 상태의 위치 입력부(140B)의 원호와 그 내측의 영역을 쥐어서 한 손에 정보 처리 장치(100B)를 들 수 있다. 또한, 원호의 외측에 표시된 조작용 화상을 다른 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결과 전개된 상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예>
여기서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제 1 선분의 길이 대신에 제 1 도형의 면적을, 제 2 선분의 길이 대신에 제 2 도형의 면적을 사용하는, 이하와 같은 7가지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프로그램과는 다르다(도 11 참조). 같은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이한 처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 1 단계에서, 제 1 영역(140B(1))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로부터 제 1 도형의 면적을 결정한다(도 11의 (V1) 참조).
제 2 단계에서, 제 2 영역(140B(2))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로부터 제 2 도형의 면적을 결정한다(도 11의 (V2) 참조).
제 3 단계에서, 제 1 도형의 면적과 제 2 도형의 면적을 소정의 면적과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한쪽만이 소정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 1 단계로 되돌아간다(도 11의 (V3) 참조). 또한, 소정의 면적을 1cm2 이상 8cm2 이하, 특히 3cm2 이상 5cm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에서, 소정의 면적보다 큰 도형의 중심의 좌표를 결정한다(도 11의 (V4) 참조).
제 5 단계에서, 폴딩 정보를 취득하여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6 단계로 진행하고,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7 단계로 진행한다(도 11의 (V5) 참조).
제 6 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1 화상 정보를 중심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11의 (V6) 참조).
제 7 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2 화상 정보를 중심의 좌표에 따라 생성한다(도 11의 (V7) 참조).
제 8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11의 (V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는,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하여 위치 정보 L-INF를 공급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B)와,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인지 전개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폴딩 센서(151)를 포함하는 검지부(150)와, 연산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그리고, 가요성을 가진 위치 입력부(140B)는 제 1 영역(140B(1))과, 접힌 상태일 때 제 1 영역(140B(1))에 대향하는 제 2 영역(140B(2))과, 제 1 영역(140B(1))과 제 2 영역(140B(2)) 사이에 있고 표시부(130)와 중첩되는 제 3 영역(140B(3))이 형성되도록 구부릴 수 있고, 연산부(111)는 제 1 영역(140B(1))이 공급하는 제 1 위치 정보 L-INF(1)와 제 2 영역(140B(2))이 공급하는 제 2 위치 정보 L-INF(2)를 비교한 결과 및 폴딩 정보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제 1 영역(140B(1)) 또는 제 2 영역(140B(2))에 근접 또는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치 입력부(140B)가 접힌 상태일 때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제 1 화상(예를 들어, 조작용 화상이 배치되는 제 1 화상) 또는 위치 입력부(140B)가 전개된 상태일 때 조작하기 쉽게 배치되는 제 2 화상 중 어느 쪽을 포함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가 표시하는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의 표시부(130)는 위치 입력부(140B)와 중첩되어 전개된 상태 및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고,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제 1 구역(130(1)), 및 접은 자국으로 제 1 구역(130(1))과 구획되는 제 2 구역(130(2))을 포함하는,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도 13의 (B) 참조).
<<표시부>>
표시부(130)는 가요성을 가지고, 위치 입력부(140B)의 제 3 영역(140(3))과 중첩되어 전개된 상태 또는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도 13의 (A) 및 (B) 참조).
표시부(130)에는 제 1 구역(130(1)), 및 접은 자국으로 제 1 구역(130(1))과 구획되는 제 2 구역(130(2))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13의 (B) 참조).
또한, 표시부(130)를 접은 자국으로 구획되는 제 1 구역(130(1)), 제 2 구역(130(2)), 및 제 3 구역(130(3))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13의 (C) 참조).
또한, 표시부(130)를 접은 자국으로 구획하지 않고 전체면을 제 1 구역(130(1))으로 하여도 좋다(미도시).
또한, 표시부(130)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예는 실시형태 6 및 실시형태 7에서 설명한다.
<<프로그램>>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112)를 포함한다(도 3, 도 12의 (A) 및 (B) 참조).
제 1 단계에서, 초기화한다(도 12의 (A)의 (W1) 참조).
제 2 단계에서, 초기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한다(도 12(A)의 (W2) 참조).
제 3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허가한다(도 12의 (A)의 (W3) 참조). 또한, 인터럽트 처리가 허가되면 연산부(111)는 인터럽트 처리의 실행 명령을 받고, 주된 처리를 중단하고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기억부에 기억한다. 그 후 인터럽트 처리의 실행 결과에 따라 주된 처리를 재개한다.
제 4 단계에서, 폴딩 정보를 취득하여 폴딩 정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5 단계로 진행하고,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6 단계로 진행한다(도 12의 (W4) 참조).
제 5 단계에서, 공급되는 화상 정보 VIDEO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구역에 표시한다(도 12의 (A)의 (W5) 참조).
제 6 단계에서, 공급되는 화상 정보 VIDEO의 일부를 제 1 구역에, 다른 일부를 제 2 구역 또는 제 2 구역과 제 3 구역에 표시한다(도 12의 (A)의 (W6) 참조).
제 7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에서 종료 명령이 공급된 경우에는 제 8 단계로 진행하고, 종료 명령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3 단계로 되돌아간다(도 12의 (A)의 (W7) 참조).
제 8 단계에서 종료한다(도 12의 (A)의 (W8) 참조).
또한, 인터럽트 처리는 이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 9 단계에서,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 공급된 경우에는 제 10 단계로 진행하고,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1 단계로 진행한다(도 12의 (B)의 (X9) 참조).
제 10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 넘기기 명령에 따른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한다(도 12의 (B)의 (X10) 참조).
제 11 단계에서, 인터럽트 처리로부터 복귀한다(도 12의 (B)의 (X11) 참조).
<<생성하는 화상의 예>>
연산 장치(110)는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산 장치(110)가 한 화상 정보 VIDEO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연산 장치(110)는 표시부(130)의 제 2 구역(130(2))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를, 제 1 구역(130(1))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 VIDEO와는 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산 장치(110)는,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제 1 구역(130(1))에만 화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것은 접힌 상태에 바람직한 구동 방법이다(도 13의 (A) 참조).
한편, 연산 장치(110)는, 전개된 상태일 때 제 1 구역(130(1)), 제 2 구역(130(2)), 및 제 3 구역(130(3))을 포함하는 표시부(130) 전체에서 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은 일람성이 우수하다(도 13의 (B) 및 (C) 참조).
예를 들어, 접힌 상태일 때 제 1 구역(130(1))에 조작용 화상을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전개된 상태일 때 조작용 화상을 제 1 구역(130(1))에 배치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표시 영역(창(window)이라고도 함)을 제 2 구역(130(2)) 또는 제 2 구역(130(2))과 제 3 구역(130(3)) 전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페이지 넘기기 명령의 공급에 따라, 제 2 구역(130(2))에 배치되어 있던 화상이 제 1 구역(130(1))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화상이 제 2 구역(130(2))에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구역(130(1)), 제 2 구역(130(2)), 및 제 3 구역(130(3)) 중 어느 것에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 공급되었을 때, 그 구역에 새로운 화상이 표시되고, 다른 구역에는 화상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페이지 넘기기 명령이란, 미리 페이지 번호와 연관지어진 복수의 화상 정보 중에서 한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말한다. 예를 들어, 표시되어 있는 화상 정보의 페이지 번호보다 하나 큰 페이지 번호와 연관지어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명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위치 입력부(140B)에 접촉한 손가락을 포인터로서 사용한 제스처(탭, 드래그, 스와이프, 또는 핀치인 등)를 페이지 넘기기 명령과 연관지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전개된 상태, 및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며, 접힌 상태일 때 노출되는 제 1 구역(130(1)), 및 접은 자국으로 제 1 구역(130(1))과 구획되는 제 2 구역(130(2))을 포함하는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생성한 화상의 일부를 제 1 구역(130(1))에, 또는 다른 일부를 제 2 구역(130(2))에, 폴딩 정보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 SENS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연산부(1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112)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접힌 상태일 때 정보 처리 장치(100B)의 외주에 노출되는 표시부(130)(제 1 구역(130(1)))에 한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전개된 상태일 때 표시부(130)의 제 1 구역(130(1))에 이어지는 제 2 구역(130(2))에 상기 일부의 화상에 이어지는 또는 관계되는 다른 일부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성이 우수한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조작성이 우수한 신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입력부 및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은 표시부와 중첩된 터치 센서(접촉 검출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입출력 장치)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입출력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 상면도이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를 선 A-B 및 선 C-D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의 (C)는 도 14의 (A)를 선 E-F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면도의 설명>
입출력 장치(300)는 표시부(301)를 포함한다(도 14의 (A) 참조).
표시부(301)는 복수의 화소(302)와, 복수의 촬상 화소(308)를 포함한다. 촬상 화소(308)는 표시부(301)에 접촉하는 손가락 등을 검지할 수 있다.
화소(302)는 복수의 부화소(예를 들어, 부화소(302R))를 포함하고, 부화소는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선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화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300)는 선택 신호를 화소(302)에 공급할 수 있는 주사선 구동 회로(303g(1))와, 화상 신호를 화소(302)에 공급할 수 있는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를 포함한다. 또한, 구부러지는 부분을 피하여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를 배치하면 기능 불량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촬상 화소(308)는 광전 변환 소자와, 광전 변환 소자를 구동하는 촬상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촬상 화소 회로는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 및 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기록된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촬상 화소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신호, 촬상 화소 회로를 초기화할 수 있는 신호, 및 촬상 화소 회로가 광을 검지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입출력 장치(300)는 제어 신호를 촬상 화소(308)에 공급할 수 있는 촬상 화소 구동 회로(303g(2))와, 촬상 신호를 판독하는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를 포함한다. 또한, 구부러지는 부분을 피하여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2))를 배치하면 기능 불량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단면도의 설명>
입출력 장치(300)는 기판(310)과, 기판(310)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370)을 가진다(도 14의 (B) 참조).
기판(310)은 가요성을 가진 기판(310b)과, 의도하지 않은 발광 소자로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막(310a)과, 기판(310b)과 배리어막(310a)을 접합하는 접착층(310c)의 적층체이다.
대향 기판(370)은 가요성을 가진 기판(370b)과, 의도하지 않은 발광 소자로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막(370a)과, 기판(370b)과 배리어막(370a)을 접합하는 접착층(370c)의 적층체이다(도 14의 (B) 참조).
대향 기판(370)과 기판(310)은 밀봉재(360)로 접합된다. 또한, 밀봉재(360)는 광학 접합층으로서도 기능한다. 화소 회로, 발광 소자(예를 들어 제 1 발광 소자(350R)), 촬상 화소 회로, 및 광전 변환 소자(예를 들어 광전 변환 소자(308p))는 기판(310)과 대향 기판(370) 사이에 있다.
<<화소의 구성>>
화소(302)는 부화소(302R), 부화소(302G), 및 부화소(302B)를 가진다(도 14의 (C) 참조). 또한, 부화소(302R)는 발광 모듈(380R)을 포함하고, 부화소(302G)는 발광 모듈(380G)을 포함하고, 부화소(302B)는 발광 모듈(380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화소(302R)는 제 1 발광 소자(350R)와, 제 1 발광 소자(350R)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302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도 14의 (B) 참조). 또한, 발광 모듈(380R)은 제 1 발광 소자(350R)와, 광학 소자(예를 들어 착색층(367R))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02t)는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02t)의 반도체층에는 비정질 실리콘막, 저온 폴리실리콘막, 단결정 실리콘막, 산화물 반도체막 등, 다양한 반도체막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302t)는 백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도 좋고, 백 게이트 전극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302t)의 문턱 전압을 제어하여도 좋다.
제 1 발광 소자(350R)는 제 1 하부 전극(351R), 상부 전극(352), 및 제 1 하부 전극(351R)과 상부 전극(352) 사이의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353)을 가진다(도 14의 (C) 참조).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353)은 발광 유닛(353a), 발광 유닛(353b), 및 발광 유닛(353a)과 발광 유닛(353b) 사이의 중간층(354)을 포함한다.
발광 모듈(380R)의 제 1 착색층(367R)은 대향 기판(370)에 제공된다. 착색층은 특정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등을 나타내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착색층을 제공하지 않고 발광 소자가 발하는 광이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을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380R)은 제 1 발광 소자(350R)와 제 1 착색층(367R)에 접촉되는 밀봉재(360)를 포함한다.
제 1 착색층(367R)은 제 1 발광 소자(350R)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제 1 발광 소자(350R)가 발하는 광의 일부는 밀봉재(360)와 제 1 착색층(367R)을 투과하여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모듈(380R) 외부로 사출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300)는 대향 기판(370)에 차광층(367BM)을 가진다. 차광층(3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제 1 착색층(3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입출력 장치(300)는 표시부(301)와 중첩되는 위치에 반사 방지층(367p)을 가진다. 반사 방지층(367p)으로서 예를 들어 원 편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00)는 절연막(321)을 가진다. 절연막(321)은 트랜지스터(302t)를 덮는다. 또한, 절연막(321)은 화소 회로에 기인하는 요철을 평탄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이 트랜지스터(302t)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이 적층된 절연막을 절연막(321)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예를 들어 제 1 발광 소자(350R))는 절연막(321) 위에 제공된다.
입출력 장치(300)는 절연막(321) 위에 제 1 하부 전극(351R)의 단부와 중첩되는 격벽(328)을 가진다(도 14의 (C) 참조). 또한, 격벽(328) 위에 기판(310)과 대향 기판(37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스페이서(329)를 가진다.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의 구성>>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트랜지스터(303t) 및 용량 소자(303c)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303s(1))는 화소 회로와 동일한 공정으로 동일한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촬상 화소의 구성>>
촬상 화소(308)는 광전 변환 소자(308p)와, 광전 변환 소자(308p)에 조사되는 광을 검지하기 위한 촬상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화소 회로는 트랜지스터(308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IN형 포토다이오드를 광전 변환 소자(308p)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구성>>
입출력 장치(300)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311)을 가지고, 배선(311)에는 단자(319)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화상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FPC(309(1))가 단자(3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00)에서 구부러지는 부분을 피하여 FPC(309(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301)를 둘러싸는 영역의 한 변, 특히 접히는 변(도 14의 (A) 중 긴 변)의 중앙 근방에 FPC(309(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외부 회로의 중심(重心)을 입출력 장치(300)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정보 처리 장치의 취급이 쉬워지므로 실수로 떨어뜨리는 등의 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FPC(309(1))에는 인쇄 배선 기판(PWB)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 소자로서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소자(유기물이나 무기물을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LED 등), 발광 트랜지스터 소자(전류에 의하여 발광하는 트랜지스터), 전자 방출 소자, 액정 소자, 전자 잉크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electrowetting)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회절 광 밸브(GLV: grating light valve)),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디지털 마이크로 셔터(DMS: digital micro shutter) 소자, IMOD(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소자 등),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 전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휘도, 반사율, 투과율 등이 변화하는 표시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EL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방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 또는 SED 방식 평면형 디스플레이(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이 있다. 액정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전자 잉크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전자 종이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7)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입력부 및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성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패널은 표시부와 중첩된 터치 센서(접촉 검출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입출력 장치)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터치 패널(500)의 사시 개략도이다. 또한, 명료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구성 요소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5의 (B)는 터치 패널(500)을 전개한 사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에 도시된 터치 패널(500)의 X1-X2에서의 단면도이다.
터치 패널(500)은 표시부(501)와 터치 센서(595)를 포함한다(도 15의 (B) 참조). 또한, 터치 패널(500)은 기판(510), 기판(570), 및 기판(590)을 가진다. 또한, 일례로서, 기판(510), 기판(570), 및 기판(590)은 모두 가요성을 가진다.
기판으로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다양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반도체 기판(예를 들어 단결정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 SOI 기판,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플라스틱 기판, 금속 기판 등이 있다.
표시부(501)는 기판(510), 기판(510) 위의 복수의 화소, 및 화소들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배선(511), 및 화소 신호선 구동 회로(503s(1))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선(511)은 기판(510) 외주부까지 리드되고, 그 일부는 단자(519)를 구성한다. 단자(519)는 FPC(509(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FPC(509(1))에 인쇄 배선 기판(PWB)이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터치 센서>
기판(590)에는 터치 센서(595), 터치 센서(59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598)이 제공된다. 복수의 배선(598)은 기판(590) 외주부까지 리드되고, 그 일부는 FPC(509(2))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를 구성한다. 또한, 터치 센서(595)는 기판(590) 아래(기판(590)과 기판(570) 사이)에 제공되고, 도 15의 (B)에서는 명료화를 위하여 전극이나 배선 등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터치 센서(595)에 사용하는 터치 센서로서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가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에는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이나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고,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에는 주로 구동 방식에 따라 자기 정전 용량 방식이나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다.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을 사용하면 다점 동시 검출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5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595)는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을 가진다. 전극(591)들은 복수의 배선(598) 중 어느 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극(592)들은 복수의 배선(598) 중 다른 어느 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592)은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변형이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전극(591)은 사변형이다. 배선(594)은 전극(592)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전극(59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전극(592)과 배선(594)의 교차부의 면적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전극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투과율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터치 센서(595)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591)과 전극(59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591)을 가능한 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배치하고, 절연층을 개재(介在)하여 전극(592)을 전극(591)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이격하여 복수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인접한 2개의 전극(592) 사이에 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더미 전극을 제공하면 투과율이 다른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5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터치 센서(595)는 기판(590), 기판(590) 위에 스태거 패턴(지그재그 형태)으로 배치된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을 덮는 절연층(593), 그리고 인접한 전극(591)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594)을 포함한다.
기판(590)과 기판(570)은 터치 센서(595)와 표시부(501)가 중첩되도록 접착층(597)에 의하여 접합된다.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은 투광성을 가진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투광성을 가진 도전성 재료로서는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등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590) 위에 투광성을 가진 도전 재료를 스퍼터링법으로 성막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 다양한 패터닝 기술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593)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록산 결합을 가진 수지뿐만 아니라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절연층(593)에는 전극(591)들에 도달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배선(594)에 의하여 인접한 전극(591)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투광성을 가진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594)을 형성하면 터치 패널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594)에는 전극(591)들 및 전극(592)들보다 도전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592)은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트라이프 형태의 복수의 전극(592)을 구성한다.
배선(594)은 전극(592)과 교차된다.
전극(592)을 사이에 개재한 한 쌍의 전극(591)은 배선(594)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전극(591)은 전극(592)과 반드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배선(598)은 전극(591)들 또는 전극(592)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598)의 일부는 단자로서 기능한다. 배선(598)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백금, 은, 니켈, 타이타늄,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 재료나, 상술한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593) 및 배선(594)을 덮는 절연층을 제공함으로써 터치 센서(595)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선(598)과 FPC(509(2))는 접속층(59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층(599)으로서는 다양한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나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597)은 투광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접착층(597)에는 열 경화성 수지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실록산 결합을 가지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
터치 패널(5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가진다. 화소는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색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를 표시 소자로서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표시 소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외에, 전기 영동 방식이나 전자 분류체 방식(electronic liquid powder method) 등으로 표시를 하는 표시 소자(전자 잉크라고도 함), 셔터 방식의 MEMS 표시 소자, 광 간섭 방식의 MEMS 표시 소자, 액정 소자 등, 다양한 표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하는 표시 소자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화소 회로는 다양한 구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판(510)은 가요성을 가진 기판(510b)과, 의도하지 않은 발광 소자로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막(510a)과, 기판(510b)과 배리어막(510a)을 접합하는 접착층(510c)의 적층체이다.
기판(570)은 가요성을 가진 기판(570b)과, 의도하지 않은 발광 소자로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막(570a)과, 기판(570b)과 배리어막(570a)을 접합하는 접착층(570c)의 적층체이다.
기판(570)과 기판(510)은 밀봉재(560)로 접합된다. 또한, 밀봉재(560)는 광학 접합층으로서도 기능한다. 화소 회로 및 발광 소자(예를 들어 제 1 발광 소자(550R))는 기판(510)과 기판(570) 사이에 있다.
<<화소의 구성>>
화소는 부화소(502R)를 포함하고, 부화소(502R)는 발광 모듈(580R)을 포함한다.
부화소(502R)는 제 1 발광 소자(550R)와, 제 1 발광 소자(550R)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502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 모듈(580R)은 제 1 발광 소자(550R)와, 광학 소자(예를 들어 착색층(567R))를 포함한다.
제 1 발광 소자(550R)는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의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한다.
발광 모듈(580R)은 기판(570)에 제 1 착색층(567R)을 가진다. 착색층은 특정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등을 나타내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착색층을 사용하지 않고 발광 소자가 발하는 광이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을 제공하여도 좋다.
발광 모듈(580R)은 제 1 발광 소자(550R)와 제 1 착색층(567R)에 접촉되는 밀봉재(560)를 포함한다.
제 1 착색층(567R)은 제 1 발광 소자(550R)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제 1 발광 소자(550R)가 발하는 광의 일부는 밀봉재(560)와 제 1 착색층(567R)을 투과하여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모듈(580R) 외부로 사출된다.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의 구성>>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503s(1))는 트랜지스터(503t) 및 용량 소자(503c)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503s(1))는 화소 회로와 동일한 공정으로 동일한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기타 구성>>
표시부(501)는 기판(570)에 차광층(567BM)을 가진다. 차광층(567BM)은 착색층(예를 들어 제 1 착색층(567R))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표시부(501)는 화소와 중첩되는 위치에 반사 방지층(567p)을 가진다. 반사 방지층(567p)으로서 예를 들어 원 편광판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01)는 절연막(521)을 포함한다. 절연막(521)은 트랜지스터(502t)를 덮는다. 또한, 절연막(521)은 화소 회로에 기인하는 요철을 평탄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이 트랜지스터(502t)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이 적층된 절연막을 절연막(521)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01)는 절연막(521) 위에 제 1 하부 전극의 단부와 중첩되는 격벽(528)을 가진다. 또한, 격벽(528) 위에 기판(510)과 기판(57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스페이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13a: 접속 부재
13b: 접속 부재
15a: 지지 부재
15b: 지지 부재
100: 정보 처리 장치
100B: 정보 처리 장치
101: 하우징
110: 연산 장치
111: 연산부
112: 기억부
114: 전송로
1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20: 입출력 장치
120B: 입출력 장치
130(1): 제 1 구역
130(2): 제 2 구역
130(3): 제 3 구역
130: 표시부
130B: 표시부
140(1): 제 1 영역
140(2): 제 2 영역
140(3): 제 3 영역
140: 위치 입력부
140B(1): 제 1 영역
140B(2): 제 2 영역
140B(3): 제 3 영역
140B: 위치 입력부
141: 기판
142: 근접 센서
145: 입출력부
150: 검지부
151: 센서
159: 표지
160: 통신부
300: 입출력 장치
301: 표시부
302: 화소
302B: 부화소
302G: 부화소
302R: 부화소
302t: 트랜지스터
303c: 용량 소자
303g(1): 주사선 구동 회로
303g(2): 촬상 화소 구동 회로
303s(1):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s(2): 촬상 신호선 구동 회로
303t: 트랜지스터
308: 촬상 화소
308p: 광전 변환 소자
308t: 트랜지스터
309: FPC
310: 기판
310a: 배리어막
310b: 기판
310c: 접착층
311: 배선
319: 단자
321: 절연막
328: 격벽
329: 스페이서
350R: 발광 소자
351R: 하부 전극
352: 상부 전극
353: 층
353a: 발광 유닛
353b: 발광 유닛
354: 중간층
360: 밀봉재
367BM: 차광층
367p: 반사 방지층
367R: 착색층
370: 대향 기판
370a: 배리어막
370b: 기판
370c: 접착층
380B: 발광 모듈
380G: 발광 모듈
380R: 발광 모듈
500: 터치 패널
501: 표시부
502R: 부화소
502t: 트랜지스터
503c: 용량 소자
503s: 화상 신호선 구동 회로
503t: 트랜지스터
509: FPC
510: 기판
510a: 배리어막
510b: 기판
510c: 접착층
511: 배선
519: 단자
521: 절연막
528: 격벽
550R: 발광 소자
560: 밀봉재
567BM: 차광층
567p: 반사 방지층
567R: 착색층
570: 기판
570a: 배리어막
570b: 기판
570c: 접착층
580R: 발광 모듈
590: 기판
591: 전극
592: 전극
593: 절연층
594: 배선
595: 터치 센서
597: 접착층
598: 배선
599: 접속층

Claims (1)

  1.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위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앞 영역과 상기 하우징이 만곡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앞 영역에 이어지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상기 장치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용 화상이 사용 빈도가 낮은 조작용 화상보다 상기 손가락에 더 가깝게 표시되도록 상기 조작용 화상들을 표시하는, 장치.
KR1020230009273A 2013-10-11 2023-01-25 정보 처리 장치 KR20230019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3378 2013-10-11
JP2013213378 2013-10-11
KR1020190144133A KR20190130117A (ko) 2013-10-11 2019-11-12 정보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33A Division KR20190130117A (ko) 2013-10-11 2019-11-12 정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03A true KR20230019903A (ko) 2023-02-09

Family

ID=528092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2550A KR20150042705A (ko) 2013-10-11 2014-10-01 정보 처리 장치
KR1020190144133A KR20190130117A (ko) 2013-10-11 2019-11-12 정보 처리 장치
KR1020230009273A KR20230019903A (ko) 2013-10-11 2023-01-25 정보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2550A KR20150042705A (ko) 2013-10-11 2014-10-01 정보 처리 장치
KR1020190144133A KR20190130117A (ko) 2013-10-11 2019-11-12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03023A1 (ko)
JP (4) JP6532209B2 (ko)
KR (3) KR20150042705A (ko)
DE (1) DE102014220430A1 (ko)
TW (4) TWI679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668A (ko) 2013-11-15 2021-09-0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 처리 장치
TWI676125B (zh) 2013-11-28 2019-11-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其驅動方法
TWI772144B (zh) 2013-11-29 2022-07-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及資料處理裝置的驅動方法
JP2016013958A (ja) 2013-12-02 2016-0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素子、膜の作製方法
CN110134271A (zh) 2013-12-02 2019-08-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装置
JP2015129917A (ja) 2013-12-02 2015-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
US9229481B2 (en) 2013-12-20 2016-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N112904941A (zh) 2014-02-28 2021-06-0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US9588549B2 (en)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5183203A (zh) * 2014-06-13 2015-12-2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式电子装置
WO2016059514A1 (en)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JP2016085457A (ja)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JP2016222526A (ja)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膜の作製方法および素子
US10978489B2 (en) 2015-07-24 2021-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17098368A1 (en) 2015-12-08 2017-06-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command-input method of touch panel, and display system
WO2017113393A1 (zh) * 2015-12-31 2017-07-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移动终端
KR102423231B1 (ko) 2016-01-06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장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휴대 장치
KR102359245B1 (ko) * 2016-07-08 2022-02-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9374B2 (ja) 2016-11-17 2022-01-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及びタッチパネル入力方法
US11227543B2 (en) * 2017-03-10 2022-0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neural network
JP7293190B2 (ja) 2018-03-16 2023-06-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0884540B2 (en) * 2018-09-11 2021-01-0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detection of fold by number and size of touch areas
JP2019032885A (ja) * 2018-10-24 2019-02-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折曲検知可能なタッチセンサおよび折曲検知可能な表示装置
WO2020145932A1 (en) * 2019-01-11 2020-07-16 Lytvynenko Andrii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touch sensors and a method of using thereof
US11106282B2 (en) * 2019-04-19 2021-08-31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351424A (zh) 2019-05-30 2019-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手势交互方法和终端
CN112130741A (zh) * 2019-06-24 2020-1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4399344B (zh) * 2022-03-24 2022-07-08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装置
US11775026B1 (en) * 2022-08-01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fold de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794A (ja) 2011-02-25 2012-10-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7030551B2 (en) * 2000-08-10 2006-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rea sensor and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n area sensor
JP4699955B2 (ja) * 2006-07-21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823833B2 (en) *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JP5287860B2 (ja) * 2008-08-29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マンド入力装置および携帯用情報機器とコマンド入力方法
JP2010079442A (ja) * 2008-09-24 2010-04-08 Toshiba Corp 携帯端末
US8402391B1 (en) * 2008-09-25 2013-03-19 Apple, Inc. Collaboration system
JP5137767B2 (ja) * 2008-09-29 2013-02-06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367339B2 (ja) * 2008-10-28 2013-12-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
US8674951B2 (en) * 2009-06-16 2014-03-18 Intel Corporation Contoured thumb touch sensor apparatus
JP5732784B2 (ja) * 2010-09-07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440496B (zh) * 2010-11-01 2014-06-11 Nintendo Co Ltd 操作裝置及操作系統
TW201220152A (en) * 2010-11-11 2012-05-16 Wistron Corp Touch control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with multi-touch function
US9104288B2 (en) * 2011-03-08 2015-08-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media functions from a locked screen
JP5453351B2 (ja) * 2011-06-24 2014-03-2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情報端末、操作状態判定方法、プログラム
JP5588931B2 (ja) * 2011-06-29 2014-09-1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情報端末、配置領域取得方法、プログラム
JP2013073330A (ja) * 2011-09-27 2013-04-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タッチ領域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66546B2 (ja) * 2011-12-15 2015-02-1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
CN102591576B (zh) * 2011-12-27 2014-09-1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手持设备及触摸响应方法
JP5855481B2 (ja) * 2012-02-07 2016-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851315B2 (ja) 2012-04-04 2016-02-03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US8665238B1 (en) * 2012-09-21 2014-03-04 Google Inc.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794A (ja) 2011-02-25 2012-10-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7607B (zh) 2019-01-11
TWI742471B (zh) 2021-10-11
JP7042237B2 (ja) 2022-03-25
JP2021099821A (ja) 2021-07-01
KR20150042705A (ko) 2015-04-21
TW201907284A (zh) 2019-02-16
TW202028955A (zh) 2020-08-01
TW201520873A (zh) 2015-06-01
TW202217537A (zh) 2022-05-01
TWI679575B (zh) 2019-12-11
JP2019133723A (ja) 2019-08-08
JP2015097083A (ja) 2015-05-21
JP2022171924A (ja) 2022-11-11
US20150103023A1 (en) 2015-04-16
KR20190130117A (ko) 2019-11-21
TWI811799B (zh) 2023-08-11
JP6532209B2 (ja) 2019-06-19
DE102014220430A1 (de)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9903A (ko) 정보 처리 장치
US11221720B2 (en) Data processing device
JP6626597B2 (ja) 情報処理装置
JP2022118229A (ja) 情報処理装置
JP2023115007A (ja) 情報処理装置
TWI712943B (zh) 使用資訊處理裝置顯示的方法、程式
JP6661227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50123896A1 (en) Data processor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