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47A -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47A
KR20230018647A KR1020210100440A KR20210100440A KR20230018647A KR 20230018647 A KR20230018647 A KR 20230018647A KR 1020210100440 A KR1020210100440 A KR 1020210100440A KR 20210100440 A KR20210100440 A KR 20210100440A KR 20230018647 A KR20230018647 A KR 2023001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ock
guide hole
tra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692B1 (ko
Inventor
이동일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10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레버의 작동 시, 로크 핀이 일정외경을 구비하는 로크 스프링을 압축하며 스프링 부시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이동되고, 로크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크 핀이 스프링 부시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이동되어, 어퍼트랙과 로어트랙의 결속 및 결속해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로어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트랙에 대해 로크 플레이트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어트랙과 어퍼트랙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시키는 시트 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어퍼트랙의 관통홀에 걸림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스프링 부시;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로크 핀; 일정한 외경을 구비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내에 삽입설치되어, 가이드홀의 바닥판에 하측이 접촉지지되며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에 상측이 접촉지지되는 로크 스프링;을 포함하여,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따라 로크 핀이 수직이동되면서 로크 스프링이 압축 또는 이완(탄성복원력)되어 시트 트랙의 록킹/록킹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seat track with improved operability}
본 발명은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크 플레이트가 연결된 로크 핀이 스프링 부시를 따라 수직이동되고,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로크 스프링의 상/하측단이 로크 핀과 스프링 부시에 수평접촉지지되어, 로크 플레이트의 수직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어퍼트랙과 로어트랙의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하거나 차량 내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시트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며, 그러한 기능 중 시트의 위치를 차량의 전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차량 전후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는 차체에 트랙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로어트랙(1)과, 시트에 연결설치되고 로어트랙(1)을 따라 이동되도록 로어트랙에 결합되는 어퍼트랙(2)과, 어퍼트랙(2)을 수직 관통하도록 구성된 로크 핀(4)과, 로크 핀의 하단에 연결설치되고 로어트랙(1)에 대하여 어퍼트랙(2)을 선택적으로 결속 및 해지하는 로크 플레이트(3)와, 로크 플레이트(3)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이동트랙에 고정 결합되도록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로크 스프링(5)을 포함하여,
조작레버(타울바)의 조작시에는 조작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 로크 핀이 직선운동되고, 로크 핀의 직선운동에 의해 로크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로크 플레이트가 하강 이동되어 로크 플레이트(3)의 로크(6)가 로어트랙(1)의 록킹홀(7)로부터 이탈되어 어퍼트랙의 록킹이 해제되고,
조작레버의 미조작시에는 로크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로크 핀 및 로크 플레이트가 어퍼트랙(2)측으로 상승 이동되어 로크 플레이트(3)의 로크(6)가 로어트랙(1)의 록킹홀(7)에 결속됨으로써, 어퍼트랙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는 조작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로크 핀이 상하이동되는 즉, 조작레버(타울바)의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브래킷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로크 핀의 상단을 눌러줌으로써, 로크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로크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조작레버의 회전궤적이 직선궤적으로 변경됨에 따른 접촉부위 조건에 의해 조작레버의 작동시, 로크 핀이 수직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며 기울어져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로크 핀이 흔들리면서 부딪히어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크 핀의 흔들림 발생으로 인하여, 이에 결합된 로크 플레이트 역시 흔들림이 발생되므로, 로우레일의 록킹홀로부터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의 이탈시, 로크 플레이트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면서 이동되어, 로크의 이탈소음 및, 로크 핀과 로크 플레이트의 유동 및 접촉에 따른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로크 플레이트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면서 상하이동될 경우, 로크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로크가 로우레일의 록킹홀에 균일하게 삽입지지되지 못하고, 일측 로크는 록킹홀로부터 이탈된 상태, 타측 로크는 록킹홀내로 과삽입된 상태가 되어 로크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만 가압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시트트랙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동트랙과 로크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는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경(외경)을 구비하도록 로크 스프링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이동트랙의 관통홀에 로크 스프링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걸림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다단형 로크 스프링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일측이 이동트랙 및 로크 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이동트랙 및 로크 핀과 로크 스프링이 소정의 경사각(빗각)으로 접촉되어 조립되게 되며, 이로 인해 로크 핀이 편측으로 쏠림작동 될 수 있어, 로크 핀의 수직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다단형 로크 스프링은 로크 핀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로크 핀의 수직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다단형 로크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로크 핀의 수직하강에 따른 인장력 발생 시, 유동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로크 핀과의 조립성이 저하되고, 과도한 체결과정으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다단형 로크 스프링은 인장력이 발생되는 스프링의 유효권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록킹시와 최대작동시의 작동력에 큰 차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록킹장치의 작동품질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0025(2013.11.1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51601(2018.04.1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89640(2007.12.2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34297(2016.06.22)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레버의 작동 시, 로크 핀이 일정외경을 구비하는 로크 스프링을 압축하며 스프링 부시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이동되고, 로크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크 핀이 스프링 부시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이동되어, 어퍼트랙과 로어트랙의 결속 및 결속해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로크 스프링과, 단순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로크 핀 및 스프링 부시에 의해 부품상호간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로어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트랙에 대해 로크 플레이트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어트랙과 어퍼트랙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시키는 시트 트랙 록킹장치에 있어서; 어퍼트랙의 관통홀에 걸림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스프링 부시;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로크 핀; 일정한 외경을 구비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내에 삽입설치되어, 가이드홀의 바닥판에 하측이 접촉지지되며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에 상측이 접촉지지되는 로크 스프링;을 포함하여,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따라 로크 핀이 수직이동되면서 로크 스프링이 압축 또는 이완(탄성복원력)되어 시트 트랙의 록킹/록킹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로크 스프링이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로크 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 부시 및 로크 핀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스프링 부시 및 로크 핀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 공정의 시간단축을 통해 원가가 절감되며, 각각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크 핀의 핀헤드가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에 구비된 스프링홈을 따라 상하이동되고, 로크 핀의 핀몸체가 가이드홀의 핀홀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로크 핀의 수직도가 규제 즉, 유격현상없이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따라 로크 핀의 수직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로우레일의 록킹홀에 대한 로크 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결속 및 결속해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크 핀의 수직 상하이동에 따라 로크플레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상하이동되므로, 로크 플레이트의 좌우측에 구비된 로크의 위치 밸런스가 균일하게 되어, 강도산포 감소 및 작동이음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어퍼트랙과 로어트랙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과 하측단이 로크 핀과 스프링 부시에 각각 수평을 유지하며 접촉지지되고,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의 길이 즉, 스프링의 유효권수가 증대될 수 있어, 록킹시와 최대작동시의 작동력 차이가 최소화되며, 이로 인해 작동 품질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부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스프링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록킹해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종래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부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스프링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로어트랙(400)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트랙(500)에 대해 로크 플레이트(600)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어트랙(400)과 어퍼트랙(500)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시키는 시트 트랙 록킹장치(800)에 있어서;
어퍼트랙(500)의 관통홀(511)에 걸림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홀(110)이 구비된 스프링 부시(100)와,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600)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로크 핀(200)과,
가이드홀의 바닥판(112)에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타측이 접촉지지되도록 가이드홀(110)내에 삽입설치되는 로크 스프링(300);을 포함하되, 상기 로크 스프링(300)은 외경이 일정하게 이루어진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 부시(100)는 조작레버(도시없음)에 의한 로크 핀(200)의 작동 시, 로크 핀(20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 및, 로크 스프링(300)이 수직방향으로 압축/이완(복원)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스프링 부시(100)는, 이동트랙에 형성된 관통홀(511)에 삽입결합되어 로크 스프링(300)의 하측단(320)을 지지함과 동시에, 로크 핀(200)의 수직 상하이동 및 로크 스프링(300)의 수직(상하) 신축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부시(1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트랙의 상단패널(510)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120)와, 상단패널에 형성된 관통홀(511)내로 삽입되도록 지지부(120)와 단턱을 구비하며 형성된 삽입부(130)와, 지지부(120) 및 삽입부(1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로크 스프링(300) 및 로크 핀(2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프링 부시(100)는, 삽입부(130)에 대하여 지지부(120)가 플랜지 타입으로 돌출형성되어, 어퍼트랙의 관통홀(511)내로 삽입부(130)가 맞춤결합될 시, 어퍼트랙의 상단패널(510)에 지지부(120)가 면접촉되어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시(100)의 삽입부(130)는 관통홀(511)과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끼움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홀(110)은 로크 스프링(30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바닥판(112)이 구비된 스프링홈(111)과, 스프링홈(111)의 바닥판(112)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로크 핀(200)의 일측이 삽입되는 핀홀(1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프링홈(111)은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바닥판(112)에 의해 부분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홀(113)은 바닥판(112)의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스프링홈(111)과 핀홀(113)이 단차를 구비하며 일체로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홈의 내경(d1)은 핀홀의 내경(d2)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핀(200)은,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홀(110)내로 삽입되고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이 접촉지지되는 핀 헤드(210)와, 로크 스프링(300)을 관통하도록 핀 헤드(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600)에 결합되는 핀 몸체(2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로크 핀(200)은 핀 헤드의 직경(D1)이 핀 몸체의 직경(D2) 보다 더 크도록 일체로 형성되어,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에 구비된 스프링홈(111)을 따라 핀 헤드(210)가 수직이동되고, 가이드홀의 핀홀(113)을 따라 핀 몸체(220)가 수직이동되며, 핀 헤드(210)와 핀 몸체(220) 사이에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이 접촉지지되는 스프링 지지턱(211)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크 핀(200)은 핀 헤드(210)가 스프링 부시의 스프링홈(111)을 따라 유격없이 수직이동이 이루어지고, 핀 몸체(220)가 스프링 부시의 핀 홀(113)을 따라 수직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크 핀(200)은 핀 몸체(220)의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에 탭핑 도는 리벳팅에 의해 고정체결된다.
상기 로크 스프링(300)은 조작레버(도시없음)의 조작력이 전달될 시, 로크 핀(200)이 흔들림없이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도록 지지하여, 로크 핀(200)에 연결설치된 로크 플레이트(6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상하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레버의 미작동시에는 로크 플레이트(600)의 로크(610)가 로어트랙(400)의 록킹홀(410)내로 삽입되도록 로크 핀(200)를 탄성가압(상향가압)하여 로어트랙(400)과 어퍼트랙(500)이 결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상기 로크 스프링(300)은 도 1,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내경 및 외경을 구비하며 로크 핀의 핀몸체(220)를 깜쌀 수 있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단(310)이 로크 핀(200)에 접촉지지되고, 하측단(320)이 스프링 부시(110)에 접촉지지되도록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내에 삽입설치된다.
이때, 로크 스프링(300)은, 상측단(310)이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수평으로 접촉지지되고, 하측단(320)이 가이드홀의 바닥판(112)에 수평으로 접촉지지되어, 로크 핀(200)이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상하 이동될 시, 스프링 부시(100)의 가이드홀(110)내에서 비틀림 현상 없이 수직방향으로 압축/이완(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로크 스프링(300)은 동일한 선경을 가지는 선재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도록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접촉지지되는 상측단(310)과, 가이드홀의 바닥판(112)에 접촉지지되는 하측단(320)과, 상측단(310)과 하측단(320)에 일체로 연결되어 로크 핀(20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은 로크 핀의 핀 몸체(220)의 둘레를 따라 스프링 지지턱(211)에 접촉지지되고, 하측단(320)은 로크 핀의 핀 몸체(220)의 둘레를 따라 스프링홈의 바닥판(112)에 접촉지지되어,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과 하측단(320)이 각각 스프링 지지턱(211)과 스프링홈의 바닥판(112)에 수평을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과 하측단(320)은 로크 핀의 핀 몸체(220)를 중심으로 300°∼360°빙둘러 스프링 지지턱(211) 및 바닥판(112)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단(310)과 하측단(320)는 로크핀의 스프링 지지턱(211)과 스프링홈의 바닥판(112)에 수평접촉되도록 선재가 한번 또는 다수번 감김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또는 비탄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크 스프링(300)은 조작레버에 의해 로크 핀(200)의 핀 헤드(210)에 힘이 가해져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하강이동될 시,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의해 압축되고, 조작레버에 의해 전달된 힘이 제거될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크 핀(200)을 상승이동시키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록킹해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어퍼트랙(500)의 관통홀(511)에 스프링 부시(100)가 끼움결합되고,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내로 로크 스프링(300)이 삽입된 후, 로크 스프링(300)내로 로크 핀의 핀몸체(220)이 삽입되도록 스프링 부시(100)의 가이드홀(110)내로 로크 핀(200)이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크 스프링(300)은 하측단(320)이 가이드홀의 스프링홈(111)에 구비된 바닥판(112)에 접촉지지되고, 상측단(310)은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접촉지지된다.
또한, 상기 로크 핀(200)은 핀 헤드(210)가 가이드홀의 스프링홈(111)내에 위치되고, 핀 몸체(220)가 로크 스프링(300) 및 가이드홀의 핀홀(113)을 관통하여 어퍼트랙(500)내로 돌출되며, 돌출된 핀 몸체(220)의 끝단에 로크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부시(100), 로크 핀(200) 및 로크 스프링(300)이 조립되고, 로크 핀(200)에 로크 플레이트(600)가 조립된 어퍼트랙(500)이 로어트랙내로 슬라이딩 결합되면, 로크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핀(200)이 상승작동되어, 로어트랙의 록킹홀(410)내로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610)가 삽입결합되어, 로어트랙에 대한 어퍼트랙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어퍼트랙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조작레버에 의해 로크 핀이 로크 스프링을 압축하며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에 구비된 스프링홈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로크 핀의 하향이동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 역시 하향 이동되어, 로어트랙의 록킹홀로부터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가 이탈됨으로써, 어퍼트랙과 로어트랙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로크 핀은 핀 헤드가 가이드홀의 스프링홈을 따라 이동되고, 핀 몸체가 가이드홀의 핀홀을 따라 이동되므로,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을 따라 흔들림(유격)없이 수직으로 하강이동되며, 상기 로크 스프링은 수직이동되는 로크 핀에 의해 스프링홈의 내면을 따라 비틀림현상없이 수직방향으로 압축된다.
또한, 조작레버에 가해진 조작력이 제거될 경우, 로크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로크 핀 및 로크 플레이트가 상승되어, 로어트랙의 록킹홀내로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가 삽입됨으로써, 어퍼트랙의 위치가 고정(록킹)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스프링 부시 (110) : 가이드홀
(111) : 스프링홈 (112) : 바닥판
(113) : 핀홀 (120) : 지지부
(130) : 삽입부 (140) : 상측단턱
(200) : 로크 핀 (210) : 핀 헤드
(211) : 스프링 지지턱 (220) : 핀 몸체
(300) : 로크 스프링 (310) : 상측단
(320) : 하측단 (330) : 탄성부
(400) : 로어트랙 (410) : 록킹홀
(500) : 어퍼트랙 (510) : 상단패널
(511) : 관통홀 (600) : 로크 플레이트
(610) : 로크 (800) : 시트 트랙 록킹장치

Claims (4)

  1. 차체에 고정된 로어트랙(400)을 따라 이동하는 어퍼트랙(500)에 대해 로크 플레이트(600)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어트랙(400)과 어퍼트랙(500)을 결속 또는 결속해제시키는 시트 트랙 록킹장치(800)에 있어서;
    어퍼트랙(500)의 관통홀(511)에 걸림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홀(110)이 구비된 스프링 부시(100);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관통하여 하단이 로크 플레이트(600)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로크 핀(200);
    일정한 외경을 구비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내에 삽입설치되어, 가이드홀의 바닥판(112)에 일측이 접촉지지되며 로크 핀의 스프링 지지턱(211)에 타측이 접촉지지되는 로크 스프링(300);을 포함하여,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로크핀이 유격없이 수직이동되면서 로크스프링이 수직 압축 또는 이완(탄성복원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스프링 부시(100)는, 이동트랙의 상단패널(510)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120)와, 상단패널에 형성된 관통홀(511)내로 삽입되도록 지지부(120)와 상측단턱(140)을 구비하며 형성된 삽입부(130)와, 지지부(120) 및 삽입부(1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로크 스프링(300) 및 로크 핀(2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10)을 포함하고,
    로크 핀(200)은,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홀(110)내로 삽입되고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이 접촉지지되는 핀 헤드(210)와, 로크 스프링(300)을 관통하도록 핀 헤드(210)와 스프링 지지턱(211)을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로크 플레이트(600)에 결합되는 핀 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가이드홀(110)은, 로크 스프링(30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바닥판(112)이 구비된 스프링홈(111)과, 스프링홈(111)의 바닥판(112)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로크 핀(200)의 일측이 삽입되는 핀홀(113)을 포함하고,
    로크 핀(200)은, 핀 헤드의 직경(D1)이 핀 몸체의 직경(D2) 보다 더 크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에 구비된 스프링홈(111)을 따라 핀 헤드(210)가 수직이동되고, 가이드홀의 핀홀(113)을 따라 핀 몸체(220)가 수직이동되며, 핀 헤드(210)와 핀 몸체(220) 사이에 로크 스프링의 상측단(310)이 접촉지지되는 스프링 지지턱(211)이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로크 스프링(300)은,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내에서 상측단(310)이 로크 핀에 수평으로 접촉지지되고, 하측단(320)이 가이드홀의 바닥판(112)에 수평으로 접촉지지되어, 로크 핀이 스프링 부시의 가이드홀(110)을 따라 상하 이동될 시, 비틀림 현상 없이 수직방향으로 압축/이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20210100440A 2021-07-30 2021-07-30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252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40A KR102524692B1 (ko) 2021-07-30 2021-07-30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40A KR102524692B1 (ko) 2021-07-30 2021-07-30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47A true KR20230018647A (ko) 2023-02-07
KR102524692B1 KR102524692B1 (ko) 2023-04-21

Family

ID=8522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440A KR102524692B1 (ko) 2021-07-30 2021-07-30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6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0B1 (ko) 2007-03-22 2007-12-27 다이모스(주) 자동차용 시트트랙 로크장치
KR20130092177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5B1 (ko)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1634297B1 (ko) 2015-06-02 2016-07-01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20160083211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851601B1 (ko)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0B1 (ko) 2007-03-22 2007-12-27 다이모스(주) 자동차용 시트트랙 로크장치
KR20130092177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5B1 (ko)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20160083211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634297B1 (ko) 2015-06-02 2016-07-01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1851601B1 (ko)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692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922B1 (en) Gate apparatus
KR100899073B1 (ko) 시트 벨트 높이 조절기
TWI556773B (zh) The backrest of the chair is a reaction mechanism and a chair with the mechanism installed
US7424835B2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tilt steering
EP0921033A2 (en) Vehicle seat with suspension mechanism
EP2497683A1 (en) Sliding device for a vehicle
US20110215627A1 (en) Seat latch
US6519794B1 (en) Side rail, side rail kinematic, and lock lever and lock pin for side rail
KR20110016566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US8882161B2 (en) Locking device with signal structure
KR102524692B1 (ko)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CN111465334A (zh) 用于将前挡板可脱开地固定在抽屉上的固定装置
KR101851601B1 (ko) 시트트랙 록킹장치
US6216323B1 (en) Buckle assembly
US7497473B2 (en) Shoulder adjuster
CN1799900A (zh) 儿童座椅底座
JPH0764247B2 (ja) 安全ベルト用固定具の高さ調節装置
JP2019111971A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アジャスタ装置
CN108688529A (zh) 车辆座椅
JP4773801B2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KR20180083453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0124265B (zh) 可调整相对位置的支架组
JP3776749B2 (ja) 椅子
EP2986183A1 (en) A chair adjustment device
KR102446337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