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888A - 감열 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888A
KR20230017888A KR1020227046446A KR20227046446A KR20230017888A KR 20230017888 A KR20230017888 A KR 20230017888A KR 1020227046446 A KR1020227046446 A KR 1020227046446A KR 20227046446 A KR20227046446 A KR 20227046446A KR 20230017888 A KR20230017888 A KR 2023001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thermal recording
recording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카 무라타
켄지 히라이
켄타로 카와사키
요시미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0363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178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감열 기록체에 요구되는 다양한 성능 중 인자 주행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체를 제공한다.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와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형성한 감열 기록체로서, 상기 감열 기록층이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하기 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화학식2)으로 표시되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 1중량 부에 대해 4중량부 이하인, 감열 기록 체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20

(식 중, R1~R5는, 수소 원자, 알킬기 등을 나타내고, m은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Description

감열 기록체
본 발명은,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이하,「류코 염료」라고도 한다)와 전자 수용성 현색제(이하,「현색제」라고도 한다)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감열 기록체로서, 인자(印字) 주행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열 기록체는 통상 무색 내지 담색의 류코 염료와 현색제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종이,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 등의 지지체에 도공한 것이며, 서멀 헤드, 핫 스탬프, 열(熱) 펜, 레이저 광 등의 가열에 의한 순간의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색하여 기록 화상이 얻어진다. 감열 기록체는, 팩시밀리, 컴퓨터의 단말 프린터, 자동 발매기, 계측용 레코더,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의 영수증 등의 기록 매체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감열 기록체는, 각종 티켓용, 영수증용, 라벨용, 은행의 ATM용, 가스나 전기의 검침용, 차마권 등의 금권용 등 다양한 용도로도 확대되어 왔기 때문에 내수성, 화상부의 내가소제성, 백지부의 내열성, 내유성, 가혹한 조건하에서의 화상부 및 백지부의 보존성 등 다양한 성능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현색제로서 특정의 우레아우레탄 화합물이나, 이 우레아우레탄 화합물과 다른 현색제와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발색 성능, 화상부의 내가소제성, 백지부의 내열성 등을 향상시킨 감열 기록체(특허문헌 1~3)나, 현색제로서 특정의 우레아 화합물이나, 이 우레아 화합물과 다른 현색제와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내수성, 내열성, 내습성 등을 향상시킨 감열 기록체(특허문헌 4∼6)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4361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7864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223871호 국제공개공보 WO2017/11103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20-0428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20-042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감열 기록체에 요구되는 다양한 성능 중 인자 주행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감열 기록층에, 적어도 2종류의 특정의 현색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와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형성한 감열 기록체이며, 상기 감열 기록층은,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하기 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화학식2)으로 표시되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 1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 이하인, 감열 기록체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R5는, 각각 동일해도 달라도 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모노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또는 아릴아미노기를 나타내고, m은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색 성능을 가지면서 인자 주행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체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감열 기록체는, 또한, 인자부가 내수성이 우수하고, 바탕 표면(地肌)이 열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감열 기록층이,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화학식2)으로 표시되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에 더하여, 일반식(화학식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발색 성능과 내가소제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류코 염료 및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형성한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이 현색제로서 특정의 우레아 화합물 및 특정의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레아 화합물은 하기 식(화학식1)으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일반식(화학식1) 중, R1~R5는, 각각 동일해도 달라도 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모노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또는 아릴아미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이다.
특히, R1, R2, R4, R5로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고, R3으로서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3로서는, 특히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이 알킬기(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모노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에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는, 예를 들면, 직쇄상, 분기쇄상 혹은 지환상의 알킬기이며,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12이다.
이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시클로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2-에틸헥실기, 라우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아릴기(아릴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술포닐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에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6~12이다.
이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p-트릴기, m-트릴기, o-트릴기, 2,5-디메틸페닐기, 2,4-디메틸페닐기, 3,5-디메틸페닐기, 2,3-디메틸페닐기, 3,4-디메틸페닐기, 메시틸렌기, p-에틸페닐기, p-i-프로필페닐기, p-t-부틸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3,4-디메톡시페닐기, p-에톡시페닐기, p-클로로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t-부틸화나프틸기 등의 무치환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랄킬기, 아릴기 혹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알콕시기는, 예를 들면, 직쇄상, 분기쇄상 혹은 지환상의 알콕시기이며,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12이다.
또한, 이들이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일반식(화학식1)의 벤젠환 중의 -O-(CONH)m-SO2-치환 페닐기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3위, 4위 또는 5위이다(하기 일반식(화학식3) 및 일반식(화학식4)에 있어서도 동일함).
일반식(화학식1) 중, m은 0~2, 바람직하게는 0~1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우레아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화학식3) 또는 하기 일반식(화학식4)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4
[화학식 4]
Figure pct00005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화2)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6
본 발명에서 현색제로서 사용하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화학식5)∼(화학식7)으로 표시되는 3종류이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7
[화학식 6]
Figure pct00008
[화학식 7]
Figure pct00009
상기 화학식5~화학식7로 나타내어지는 3종류의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혼합물(4,4'-비스(3-(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드)디페닐술폰)은 파인에이스사 제조 상품명 UU로서 입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이,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또 하기 일반식 (화학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우레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0
일반식(화학식8) 중, R6은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이고, n은 0~3, 바람직하게는 0~2,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 알킬기의 탄소수는, 예를 들면, 1~12, 바람직하게는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이다.
일반식(화학식8)의 벤젠 고리 중의 R6의 위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위, 4위 또는 5위, 바람직하게는 4위이다.
일반식(화학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우레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N,N'-디-[3-(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벤젠술포닐옥시)-4-메틸-페닐]요소, N,N'-디-[3-(벤젠술포닐옥시)-4-에틸-페닐]요소, N,N'-디-[3-(벤젠술포닐옥시)-5-메틸-페닐]요소, N,N'-디-[3-(벤젠술포닐옥시)-4-프로필-페닐]요소, N,N'-디-[3-(o-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m-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톨루엔술포닐옥시)-4-메틸-페닐]요소, N,N'-디-[3-(p-크실렌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m-크실렌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메시틸렌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에틸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프로필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이소프로필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t-부틸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메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m-메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o-메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m,p-디메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에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프로폭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3-(p-부톡시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4-(벤젠술포닐옥시)페닐]요소, N,N'-디-[4-(p-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요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3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 중의 일반식(화학식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1~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우레아 화합물(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일반식(화학식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합계) 1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2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1중량부이다. 이들 우레아 화합물과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을 이들의 범위로 함으로써, 인자 주행성에 더하여 내열성이 특히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은, 상기 우레아 화합물(일반식(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일반식(화학식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합계)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 상기 이외의 현색제를 사용해도 좋고, 이러한 현색제로서, 예를 들어 활성 백토, 애터펄자이트, 콜로이달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등의 무기산성 물질,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피드, 히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 4-히드록시 안식향산 벤질,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술폰, 4-히드록시-4'-n-프로폭시디페닐술폰, 비스(3-알릴-4-히드록시페닐)술폰, 4-히드록시-4'-메틸디페닐술폰, 4-히드록시페닐-4'-벤질옥시페닐술폰, 3,4-디히드록시페닐-4'-메틸페닐술폰, 1-[4-(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4-[4-(4-이소프로폭시페닐술포닐)페녹시]부탄, N-[2-(3-페닐우레이드)페닐]벤젠술폰아미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54760호에 기재된 페놀 축합 조성물,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59603호에 기재된 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유도체, 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에톡시)메탄, 1,5-디(4-히드록시페닐티오)-3-옥사펜탄,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부틸,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메틸,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4-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1,3-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디(4-히드록시-3-메틸페닐)설파이드, 2,2'-티오비스(3-tert-옥틸페놀), 2,2'-티오비스(4-tert-옥틸페놀), WO02/081229호 혹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301873호에 기재된 화합물, 또한 N,N'-디-m-클로로페닐티오우레아 등의 티오요소 화합물, p-클로로 안식향산, 몰식자산 스테아릴, 비스[4-(n-옥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살리실산아연]2 수화물, 4-[2-(p-메톡시페녹시)에틸옥시]살리실산, 4-[3-(p-트릴술포닐)프로필옥시]살리실산, 5-[p-(2-p-메톡시페녹시에톡시)쿠밀]살리실산의 방향족 카복실산, 및 이들의 방향족 카복실산의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티탄, 망간, 주석, 니켈 등의 다가 금속염과의 염, 나아가서 티오시안산 아연의 안티피린 착체, 테레프탈알데히드산과 다른 방향족 카복실산과의 복합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현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4-(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4-[4-(4-이소프로폭시페닐술포닐)페녹시]부탄은,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에이피아이코퍼레이션 제조 상품명 JKY-214로서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54760호에 기재된 페놀 축합 조성물은,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에이피아이 코퍼레이션 제조의 상품명 JKY-224로서 입수 가능하다. 또한, WO02/081229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은, 니혼소오다(주) 제조 상품명 NKK-395, D-100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이 밖에,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258577호에 기재된 고급 지방산 금속 복염이나 다가 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등의 금속 킬레이트형 발색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 이외의 현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감열 기록층 중에 함유되는 전체 현색제(상기 우레아 화합물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을 포함함)에 대한, 상기 우레아 화합물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되는 그 외의 각종 재료를 예시하겠지만, 바인더, 가교제, 안료 등은 상기 과제에 대한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형성된 각 도공층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류코 염료로서는, 종래의 감압 혹은 감열 기록지 분야에서 공지된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화합물, 디비닐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무색 내지 담색의 염료(염료 전구체)의 구체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의 염료 전구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트리페닐메탄계 류코 염료>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별명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리드[별명 말라카이트 그린 락톤]
<플루오란계 류코 염료>
3-디에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디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a]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c]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페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키실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에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톡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3-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니트로-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페닐-6-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벤질-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히드록시-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부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4-디메틸-6-[(4-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플루오렌계 류코 염료>
3,6,6'-트리스(디메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3,6,6'-트리스(디에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디비닐계 류코 염료>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1-(4-메톡시페닐)-1-(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기타>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옥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2-메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3-비스(1-에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3'-니트로)아닐리노락탐,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4'-니트로)아닐리노락탐,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니트릴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β-나프토일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아세틸에탄, 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메틸말론산디메틸에스테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증감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마이드, 에틸렌비스아미드, 몬탄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1,2-비스-(3-메틸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β-벤질옥시나프탈렌, 4-비페닐-p-트릴에테르, m-타페닐, 1,2-디페녹시에탄, 옥살산디벤질, 옥살산디(p-클로로벤질), 옥살산디(p-메틸벤질), 테레프탈산디벤질, p-벤질옥시안식향산벤질, 디-p-트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페닐에스테르, o-크실렌-비스-(페닐에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안식향산메틸, p-톨루엔술폰산페닐, o-톨루엔술폰아미드, p-톨루엔술폰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증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2종 이상 혼합하면 보존성(특히, 내가소제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안료로서는, 카올린, 소성 카올린,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등을 들 수 있고, 요구품질에 따라서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로서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마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술폰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부티랄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올레핀 변성 폴리비닐알콜, 니트릴 변성 폴리비닐알콜, 피롤리돈 변성 폴리비닐알콜, 실리콘 변성 폴리비닐알콜, 기타 변성 폴리비닐알콜,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제인, 아라비아 고무, 산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틸랄, 폴리스티롤 및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론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 물질은 물, 알코올, 케톤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등의 용제에 녹여서 사용하는 것 외에, 물 또는 다른 매체 중에 유화 또는 페이스트 형상으로 분산한 상태로 사용하고, 요구 품질에 따라서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등의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폴리아미드요소계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민 폴리요소계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요소 포르말린 수지, 또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등의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 글리옥살, 메틸올멜라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요소 수지,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소다, 염화제이철, 염화마그네슘, 붕사, 붕산, 명반, 염화암모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에 바인더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를,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를, 각각 함유시키면, 내수성이 특히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에 바인더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를,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를, 각각 함유시키면, 내수성이 특히 양호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의 카르복실기와, 가교제인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아민 부분 혹은 아미드 부분과의 사이에서 가교 반응(제1의 내수화)이 일어난다. 이어서,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와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로 형성된 친수성의 가교 부위와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친수성 부위가 서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이 가교 부위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소수기를 외측으로 해서 감싸인 상태, 즉 친수성이 있는 가교 부위가 소수성기로 물로부터 보호된 상태(제2의 내수화)가 된다. 그 때문에,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와 가교제의 반응 부위에 매우 높은 소수성이 부여되어 내수성이 특히 양호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서 사용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는, 주로 카복실기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일관능성 아크릴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산화 전분,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가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경우, 화상부의 내가소제성 및 백지부의 내열성이 더욱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술한 가교 반응 이외에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양이온성 부위가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콜의 카르복실기와 가교 반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콜은, 폴리비닐닐알콜과 푸마르산, 무수프탈산, 무수멜리트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다가 카복실산과의 반응물, 또는 이들의 반응물의 에스테르화물, 그리고 또한 초산비닐과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과의 공중합물의 비누화물로서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소53-91995호 공보의 실시 예 1 혹은 4에 예시되어 있는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72∼10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도는 500∼2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2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며, 전술한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주쇄에 존재하는 아민으로서는 제1급부터 제4급까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리고 또한, 양이온화도 및 분자량은, 내수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양이온화도는 5meq/g·Solid 이하(pH7에서의 측정값), 분자량은 50만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들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구체 예로서는, 스미레이즈 레진 650(30), 스미레이즈 레진 675A, 스미레이즈 레진 6615(이상, 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WS4002, WS4020, WS4024, WS4030, WS4046, WS4010, CP8970(이상, 세이코PMC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하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며, 전술한 폴리아미드 요소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는, 특히 내수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폴리아민계 수지(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수지,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하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구체 예로서는, 스미레이즈 레진 302(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12(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03(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636(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0(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2A(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6N(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203(50)(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스미레이즈 레진 SPI-198(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프린티브 A-700(아사히카세이사 제조), 프린티브 A-600(아사히카세이사 제조), PA6500, PA6504, PA6634, PA6638, PA66640, PA66446, PA6654, PA6702, PA6704(이상, 세이코PMC사 제조: 폴리알킬렌폴리아민폴리아미드폴리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왁스류, 실리콘 수지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상부의 내유성 등을 향상시키는 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술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 밖에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형광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에 사용되는 류코 염료, 현색제, 증감제, 그 외의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서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류코 염료 1중량부에 대하여 현색제 0.5~10중량부, 증감제 0.1~10중량부, 안료 0.5~20중량부, 안정화제 0.01~10중량부, 그 밖의 성분 0.01∼10중량부 정도를 사용한다. 바인더는 감열 기록층 고형분 중 5~25중량%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류코 염료, 현색제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재료는, 볼밀, 애틀라이터, 샌드글라이더 등의 분쇄기 혹은 적당한 유화 장치에 의해 수 미크론 이하의 입자 지름이 될 때까지 미립화하고, 바인더 및 목적에 따라서 각종의 첨가 재료를 첨가하여 도포액으로 한다. 이 도공액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물 혹은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고형분은 20~4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는,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보호층은, 통상 안료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감열 기록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 예시한 바인더, 안료,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바인더로서는, 상술한 감열 기록층에 사용 가능한 바인더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콜 및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바인더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로서는, 상술한 감열 기록층에 사용 가능한 가교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가 바람직하다.
보호층에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콜과 함께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발색 성능이 더욱 개선된다.
이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과 푸마르산, 무수프탈산, 무수멜리트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다가 카복실산과의 반응물, 혹은 이들 반응물의 에스테르화물, 그리고 또한 초산비닐과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과의 공중합물의 비누화물로서 얻어진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소53-91995호 등에 예시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72~10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도는 500~2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이다.
이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Tg)은,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보다 높다. 이 Tg는 시차주사열량측정(DSC)에 의해 측정된다.
이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고, (메타)아크릴산이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 중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은 알칼리 가용성이며, 중화제의 첨가에 의해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를 수용성 수지로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를 수용성 수지로 변화시킴으로써, 특히 보호층 중에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 안료에 대한 결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다량의 안료 함유하에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는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옥틸 등의 아크릴산알킬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해 변성된 상기 아크릴산알킬 수지 등의 변성 아크릴산알킬 수지,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에스테르, 히드록시알킬아크릴산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지만, 특히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타크릴산메틸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로니트릴은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 100부 중 15~70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은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 100부 중 20~80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경우, (메타)아크릴로니트릴을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 100부 중 15~18부, 메타크릴산메틸을 비코어쉘형 아크릴계 수지 100부 중 20~80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며,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주쇄에 존재하는 아민으로서는 제1급 내지 제4급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리고 또한, 내수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양이온화도 및 분자량은 양이온화도 5meq/g·Solid 이하(pH7에서의 측정값), 분자량 50만 이상이 바람직하다.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미레즈 레진 650(30), 스미레즈 레진 675A, 스미레즈 레진 6615(이상, 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WS4002, WS4020, WS4024, WS4030, WS4046, WS CP8970(이상, 세이코PMC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갖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요소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할 수 있다.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구체 예로서는, 스미레이즈 레진 302(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12(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03(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636(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0(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2A(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6N(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203(50)(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스미레이즈 레진 SPI-198(스미토모카가쿠사 제조), 프린티브 A-700, 프린티브 A-600(이상, 아사히카세이사 제조), PA6500, PA6504, PA6634, PA6638, PA6640, PA6644, PA6646, PA6654, PA6702, PA6704(이상, 세이코PMC사 제조,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CP8994(세이코PMC사 제조: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인자 농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폴리아민계 수지(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수지, 폴리아민 폴리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요소 수지)를 사용한다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에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함께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4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층에 사용하는 안료로서는, 상기 감열 기록층에 사용 가능한 안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카올린, 소성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이들 안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 중의 바인더의 함유량(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20~80중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보호층이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안료 및 바인더의 함유량은, 안료 100중량부에 대해 바인더는 고형분으로 30~300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감열 기록층에 사용 가능한 가교제, 활제, 안정제나,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형광 염료 등의 각종 조제를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지지체 상에 감열 기록층을 갖지만, 지지체와 감열 기록층 사이에 언더코트층(밑칠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언더코트층은 주로 바인더와 안료로 이루어진다.
언더코트층에 사용되는 바인더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 혹은 소수성 고분자의 에멀젼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전분과 그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소다, 폴리비닐피롤리돈, 아크릴산아미드/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 아미드/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염,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 소다, 젤라틴, 카제인 등의 수용성 고분자, 폴리초산비닐,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계 공 중합체 등의 소수성 고분자의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바인더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에 사용하는 안료로서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안료, 구체 예로서는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소성 카올린, 점토, 탈크 등 무기 안료나 플라스틱 중공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안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중공 입자란, 열가소성 수지를 껍데기(殼)로 하고, 내부에 공기 그 외의 기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미 발포 상태가 되어 있는 미소 중공 입자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혹은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나 폴리아크릴니트릴 등의 아크릴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중공 입자는, JSR사 제조 SX8782, 니혼제온사 제조 MH5055, MH8108A, 로옴&하스재팬사 제조 로페이크 HP-91, 마츠모토유지사 제조 마이크로스피어 등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중공 입자의 체적 중공률은 40~95% 정도가 바람직하다. 체적 중공률을 40%이상으로 함으로써,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발색 성능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한편, 95% 이하로 함으로써, 중공 입자의 껍데기의 강도를 올려 중공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표면 강도가 양호한 언더코트층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체적 중공률은 (d3/D3)×100으로 구해지는 값이다. 당해 식 중, d는 유기 중공 입자의 내경을 나타내고, D는 유기 중공 입자의 외경을 나타낸다.
언더코트층 중의 안료는, 총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50~9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90중량부이다. 언더코트층 중의 플라스틱 중공 입자의 함유량은, 언더코트층 중의 안료(고형분)에 대하여 통상 2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25~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언더코트층의 도공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 가소제, pH 조정제, 소포제, 보수제, 방부제, 착색 염료, 자외선 방지제 등의 각종 조제를 적절히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 및 감열 기록층 이외의 도공층, 즉 보호층, 언더코트층 등을 도공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지 관용 기술에 따라서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나이프 코터, 로드블레이드 코터, 벤트블레이드 코터, 베벨블레이드 코터, 롤 코터, 커튼 코터 등 각종 코터를 구비한 오프 머신 도공기나 온 머신 도공기가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감열 기록층 및 감열 기록층 이외의 도공층의 도공량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서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열 기록층의 일반적인 도공량은 고형분으로 2~12g/㎡ 정도이며, 보호층의 도공량은 고형분으로 0.5~5.0g/㎡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도공층의 도공 후에 슈퍼캘린더 걸이 등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는 등, 감열 기록체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 공지의 기술을 필요 적절히 부가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예증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또한, 각 실시 예 및 비교 예 중,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部)」는 「중량부」, 「%」는 「중량%」를 나타낸다.
각 분산액과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조제했다.
하기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교반 분산하여, 언더코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언더코트층용 도공액 1>
소성 카올린(BASF사 제조, 상품명:안시렉스 90) 100.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니혼제온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ST5526, 고형분 48%) 10.0부
물 50.0부
<언더코트층용 도공액 2>
소성 카올린(안실렉스 90) 20.0부
플라스틱 중공 입자(니혼제온사 제조, 상품명: Nipol MH8108A, 중공률 50%, 고형분 27%) 296.3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ST5526, 고형분 48%) 10.0부
<언더코트층용 도공액 3>
소성 카올린(안실렉스 90) 40.0부
플라스틱 중공 입자(Nipol MH8108A) 222.2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ST5526) 10.0부
<언더코트층용 도공액 4>
소성 카올린(안실렉스 90) 70.0부
플라스틱 중공 입자(Nipol MH8108A) 111.1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ST5526) 10.0부
하기 배합의 현색제 분산액(A1~A6액), 류코 염료 분산액(B액), 증감제 분산액(C1~C2액)을, 각각 따로따로 샌드 그라인더로 평균 입자 지름 0.5㎛가 될 때까지 습식 마쇄를 행하여 조제하였다.
현색제 분산액(A1액)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우레아 화합물(A1) 6.0부
[화학식 3]
Figure pct00011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쿠라레사 제조, 상품명: PVA117, 고형분 10%) 5.0부
물 1.5부
현색제 분산액(A2액)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우레아 화합물(A2) 6.0부
[화학식 4]
Figure pct00012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현색제 분산액(A3액)
4,4'-비스(3-(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드)디페닐술폰(파인에이스사 제조, 상품명:UU)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현색제 분산액(A4액)
N, N'-디-[3-(p-톨루엔술포닐옥시)페닐]요소(이하「우레아 화합물(A4)」라고 한다)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현색제 분산액(A5액)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닛카카가쿠사 제조, 상품명: 44BPS)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현색제 분산액(A6액)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페놀계 화합물(니혼소오다사 제조, 상품명:D90) 6.0부
[화학식 9]
Figure pct00013
(n=1~11의 혼합물)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류코 염료 분산액(B액)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야마모토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ODB-2)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증감제 분산액(C1액)
디페닐술폰(파인에이스사 제조, 상품명: DPS)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증감제 분산액(C2액)
스테아르산아마이드(니혼카세이사 제조, 상품명:AP1)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이어서, 하기의 비율로 각 분산액을 혼합해서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
현색제 분산액(A1액) 5.0부
현색제 분산액(A3액) 1.0부
류코 염료 분산액(B액) 3.0부
증감제 분산액(C1액) 6.0부
증감제 분산액(C2액) 6.0부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25.0부
[실시 예 1]
지지체(평량 47g/㎡의 상질지)의 한면(片面)에, 언더코트층용 도공액을, 고형분으로 도공량 10.0g/㎡가 되도록 벤트블레이드법으로 도공한 후, 건조를 행하여, 언더코트층 도공지를 얻었다.
이 언더코트층 도공지의 언더코트층 상에,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을, 고형분으로 도공량 6.0g/㎡가 되도록 로드블레이드법으로 도공한 후, 건조를 행하여 슈퍼 캘린더로 평활도가 100~500초가 되도록 처리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2]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 대신에 현색제 분산액(A2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 예 3]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 4.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2.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4]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3.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3.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5]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 3.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3.0부로 변경하고, 증감제 분산액(C2액)을 배합하지 않고 증감제 분산액(C1액)의 배합량을 6.0부에서 12.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6]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3.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3.0부로 변경하고, 증감제 분산액(C1액)을 배합하지 않고서 증감제 분산액(C2액)의 배합량을 6.0부에서 12.0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7]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 4.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4액)을 1.0부 배합한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8]
언더코트층용 도공액(1) 대신에, 언더코트층용 도공액(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 예 9]
언더코트층용 도공액(1) 대신에, 언더코트층용 도공액(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 예 10]
언더코트층용 도공액(1) 대신에, 언더코트층용 도공액(4)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비교 예 1]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3액)을 배합하지 않고,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 6.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2]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을 배합하지 않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6.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3]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을 배합하지 않고, 현색제 분산액(A5액) 5.0부를 더하여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4]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3액)을 배합하지 않고, 현색제 분산액(A6액) 1.0부배를 더하여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5]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A1액)의 배합량을 5.0부에서 1.0부로 변경하고, 현색제 분산액(A3액)의 배합량을 1.0부에서 5.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발색 성능(인자 농도)>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기록지 인자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자 속도 50mm/sec, 인가(印加) 에너지 0.41mJ/dot로 바둑판(체크) 무늬를 인자하였다.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발색 성능(인자농도)을 평가하였다.
<인자주행성(내(耐) 헤드 찌꺼기성)>
제작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사토사 제조 라벨 프린터(레스프리 R-8)로 길이 30cm의 격자 인자를 행하고, 인쇄 후의 서멀 헤드에 부착된 찌꺼기(헤드 찌꺼기)를 육안으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우수: 헤드 찌꺼기의 부착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가능: 헤드 찌꺼기의 부착이 조금 보였지만, 형성된 화상의 빠짐 및 흰 잔줄이 보이지 않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정도였다.
불가능: 헤드 찌꺼기의 부착이 많이 보이고, 형성된 화상의 빠짐 및 흰 잔줄이 보였다.
<내열성>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 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 속도 50mm/sec로 바둑판 무늬를 인자하였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60℃ dry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처리 전후의 값에서 잔존율을 산출하여 내열성을 평가했다.
잔존율(%)=(처리 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처리 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100
우수: 잔존율이 80% 이상
가능: 잔존율이 50% 이상, 80% 미만
불가: 잔존율이 50% 미만
<내수성>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 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 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 속도 50mm/sec로 바둑판 무늬를 인자했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수돗물에 23℃, 50%RH 환경 조건하에서 24시간 침지하였다.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처리 전후의 값에서 잔존율을 산출하여 내수성을 평가하였다.
잔존율(%)=(처리 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처리 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100
우수: 잔존율이 80% 이상
가능: 잔존율이 60% 이상, 80% 미만
불가: 잔존율이 60% 미만
<내열지색(耐熱地色,열에 변화되지 않는 바탕색)>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 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 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 속도 50mm/sec로 바둑판 무늬를 인자했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80℃ 또는 90℃ dry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비인자부(백지부)의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변색을 평가했다.
우수: 바탕표면부(地肌部) 농도가 0.1 미만
가능: 바탕표면부 농도가 0.4 미만
불가: 바탕표면부 농도가 0.4 이상
<내습열성>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 기록지 인자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 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 속도 50mm/sec로 바둑판 무늬를 인자했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40℃ 50%RH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처리 전후의 값으로부터 잔존율을 산출하여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잔존율(%)=(처리 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처리 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100
우수: 잔존율이 90% 이상
가능: 잔존율이 70% 이상, 90% 미만
불가: 잔존율이 70% 미만
<내가소제성>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 제조의 TH-PMD(감열 기록지 인자시험기, 교세라사 제조 서멀 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 속도 50mm/sec로 바둑판 무늬를 인자하였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지관에 염화비닐랩(미쓰이카가쿠 제조 하이랩 KMA)을 1회 감은 위에 붙이고, 또 그 위에 염화비닐랩을 3중으로 감아붙여서, 23℃, 50% RH 환경 조건 아래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 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처리 전후의 값으로부터 잔존율을 산출해서 내가소제성을 평가하였다.
잔존율(%)=(처리 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처리 전의 인자부의 인자 농도)×100
우수: 잔존율이 70% 이상
가능: 잔존율이 50% 이상, 70% 미만
불가: 잔존율이 50% 미만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중의 현색제 등의 수치는 배합부수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4

Claims (8)

  1.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와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형성한 감열 기록체로서, 상기 감열 기록층이,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하기 일반 식(화학식 1)으로 나타내어지는 우레아 화합물 및 하기 일반 식(화학식 2)으로 나타내어지는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 1중량부에 대해 4중량부 이하인, 감열 기록체:
    [화학식 1]
    Figure pct00015

    (식 중, R1~R5는, 각각 동일해도 달라도 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모노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또는 아릴아미노기를 나타내고, m은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1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 화합물이, 하기 일반 식(화학식 3) 또는 하기 일반 식(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감열 기록체:
    [화학식 3]
    Figure pct00017

    [화학식 4]
    Figure pct00018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일반 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이 5~50중량%인, 감열 기록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이, 전자 수용성 현색제로서, 또한, 하기 일반 식(화학식 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열 기록체:
    [화학식 8]
    Figure pct00019

    (식 중, R6은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n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일반 식(화학식 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동함유량(고형분)이 1~50중량%인, 감열 기록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 중의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함유량(고형분)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일반 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 및 일반 식(화학식 8)으로 표시되는 우레아 화합물의 합계) 1중량부에 대해 0.01~3중량부인, 감열 기록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기록층이, 상기 우레아 화합물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 이외의 현색제를 함유하고, 상기 감열 기록층 중에 함유되는 전체 현색제에 대한, 상기 우레아 화합물 및 상기 우레아우레탄계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고형분)이 90중량% 이상인, 감열 기록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한, 감열 기록체.
KR1020227046446A 2020-07-27 2021-07-26 감열 기록체 KR20230017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26141 2020-07-27
JP2020126141 2020-07-27
PCT/JP2021/027487 WO2022024971A1 (ja) 2020-07-27 2021-07-26 感熱記録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888A true KR20230017888A (ko) 2023-02-06

Family

ID=8003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446A KR20230017888A (ko) 2020-07-27 2021-07-26 감열 기록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72130B1 (ko)
KR (1) KR20230017888A (ko)
CN (1) CN116194303A (ko)
WO (1) WO202202497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611A (ja) 1998-09-04 2000-05-26 Asahi Chem Ind Co Ltd 新規発色剤および記録材料
JP2002178645A (ja) 2000-12-11 2002-06-26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JP2004223871A (ja)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材料
WO2017111032A1 (ja) 2015-12-25 2017-06-29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2020004287A (ja)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オービック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及び在庫管理プログラム
JP2020004286A (ja) 2018-06-29 2020-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4301B2 (ja) * 2005-03-25 2010-05-19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EP2617710B9 (en) * 2010-09-16 2016-07-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vel phenolsulfonic acid aryl ester derivative, an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using same
WO2013065704A1 (ja) * 2011-10-31 2013-05-10 日本製紙株式会社 フェノールスルホン酸アリールエステル、顕色剤および感熱記録材料
EP2829409A4 (en) * 2012-03-21 2015-10-28 Fine Ace Corp THERMOSENSIBLE RECORDING MATERIAL
JP2018043363A (ja) * 2016-09-12 2018-03-22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2019111726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媒体、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物品
JP2019136983A (ja) * 2018-02-14 2019-08-22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2020040287A (ja) * 2018-09-11 2020-03-19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7050303B2 (ja) * 2018-10-23 2022-04-08 三光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及びn,n’-ジフェニル尿素誘導体
JP7263741B2 (ja) * 2018-11-19 2023-04-25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媒体、感熱記録液、及び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611A (ja) 1998-09-04 2000-05-26 Asahi Chem Ind Co Ltd 新規発色剤および記録材料
JP2002178645A (ja) 2000-12-11 2002-06-26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JP2004223871A (ja) 2003-01-23 2004-08-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材料
WO2017111032A1 (ja) 2015-12-25 2017-06-29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2020004287A (ja)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オービック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及び在庫管理プログラム
JP2020004286A (ja) 2018-06-29 2020-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4971A1 (ja) 2022-02-03
CN116194303A (zh) 2023-05-30
JP7072130B1 (ja) 2022-05-19
JPWO2022024971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5771B1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6960562B2 (ja) 感熱記録体
JP6255889B2 (ja) 感熱記録体
KR102466923B1 (ko) 감열 기록체
CN111801225A (zh) 热敏记录体
JP7470516B2 (ja) 感熱記録体
JP2015123702A (ja) 感熱記録体
JP6773544B2 (ja) 感熱記録体
JP7072130B1 (ja) 感熱記録体
JP7411510B2 (ja) 感熱記録体
JP6971434B1 (ja) 感熱記録体
JP7413098B2 (ja) 感熱記録体
JP7354483B1 (ja) 感熱記録体
JP7470753B2 (ja) 感熱記録体
WO2023190314A1 (ja) 感熱記録体
WO2014097881A1 (ja) 感熱記録体
JP2023131480A (ja) 感熱記録体
JP2016028847A (ja) 感熱記録体
JP2010115834A (ja) 感熱記録体
JP2008229925A (ja) 感熱記録体
JP2007176001A (ja) 感熱記録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