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218A - 스트레치 후드 머신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후드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218A
KR20230017218A KR1020227042932A KR20227042932A KR20230017218A KR 20230017218 A KR20230017218 A KR 20230017218A KR 1020227042932 A KR1020227042932 A KR 1020227042932A KR 20227042932 A KR20227042932 A KR 20227042932A KR 20230017218 A KR20230017218 A KR 2023001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pping
carriage
stretch rate
stretch
spec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니 콘스트만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1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 B65B11/025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by webs revolving around stationar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 B65B9/13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for palletised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14Details of wrapping machines with web dispensers for application of a continuous web in layers on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 B65B9/14Devices for distending tubes supplied in the flattene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필름 스트레칭 동안 리핑 장치의 측방향 이동 및 권출 속도를 최적화하여, 리핑 장치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고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스트레칭 동안 필름의 손상 가능성을 줄이도록 구성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치 후드 머신
우선권
본 출원은 2020년 5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24,593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는, 2021년 4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17/235,286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관형 스트레치 필름(tubular stretch film)으로 물품 화물을 포장하기 위한 스트레치 후드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스트레칭 동안 리핑 장치(reefing device) 측방향 이동 및 권출 속도(unwinding speed)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관형 플라스틱 스트레치 필름으로 물품 화물을 포장한다. 이러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필름 공급 조립체(film-supply assembly)와, 필름 개방 조립체(film-opening assembly) 및 리핑 및 포장 조립체(reefing-and-wrapping assembly)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리핑 및 포장 조립체는 네 개의 리핑 장치를 지지하는 포장 캐리지(wrapping carriage)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핑 장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이는 구동 롤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핑 핑거(reefing finger)를 지지한다. 모터는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고, 리핑 핑거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지지한다. 구동 롤러는 가이드 롤러를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물품 화물을 포장하기 위해, 필름 공급 조립체는 필름 롤로부터 관형 필름을 인출하고, 필름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특정 경우에는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상단을 열 밀봉한다. 필름 개방 조립체는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개방하여 그 둘레가 대체로 직사각형이 되도록 한다. 각각의 리핑 장치는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에 대해 (X- 및 Y-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X-Y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향 내측으로 각각의 삽입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서 삽입 구성을 형성한다. 포장 캐리지는 이후 리핑 장치의 리핑 핑거가 네 개의 모서리 근처의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개방된 바닥 부분으로 진입할 때까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에 대해 (도 1에 나타낸 Z-방향으로) 상승한다. 리핑 장치는 이후 (X- 및 Y-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X-Y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향 외측으로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서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하기 위한 준비로서 리핑 구성을 형성한다. 리핑 장치의 구동 롤러는 이들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외부 표면과 결합하고 가이드 롤러에 대해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내부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롤러 사이에 관형 필름을 끼워 넣는다. 모터는 이들 각각의 구동 롤러를 리핑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한다(또는 모은다). 도 1은 관형 필름의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이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의 리핑 구성의 리핑 장치(RD1, RD2, RD3 및 RD4)를 (단순한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관형 필름의 스트레칭되지 부분의 둘레는 FUNSTRETCHED로 표시되어 있다.
리핑 후, 리핑 장치는 각각 (X- 및 Y-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X-Y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향 외측으로 각각의 포장 위치로 이동하고, 여기서 포장 구성을 형성한다. 필름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이 동작 중에 스트레칭된다. 도 1은 주변이 FSTRETCHED로 표시된 관형 필름의 스트레칭된 부분과 함께 포장 구성의 리핑 장치(RD1', RD2', RD3' 및 RD4')를 도시하고 있다. 포장 구성(그리고 이에 따라 포장 위치)은 물품 화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결정되고, 따라서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둘레는 리핑 장치가 포장 구성에 도달하면 물품 화물을 둘러싸는 크기를 갖는다. 리핑 장치가 포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모터는 권출 속도로 구동 롤러를 리핑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로부터 필름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리핑 해제한다. 스트레칭 동안 이러한 부분적인 리핑 해제는 리핑 핑거와 결합하는 필름 부분이 과도하게 스트레칭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는 포장하는 동안 필름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인다.
리핑 장치가 포장 구성에 도달한 후에, 포장 캐리지는 화물에 대해 (도 1에 나타낸 Z-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러한 하강 동안, 모터는 리핑 장치의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속도로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로부터 나머지 필름을 리핑 해제한다. 이에 따라, 필름은 스트레칭되지 않은 크기와 형태로 돌아가려고 하고, 화물 상에서 측방향으로 수축되어 화물을 묶고 및/또는 팔레트에 화물을 고정한다. 이로써 포장 공정이 완료되고, 컨베이어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으로부터 화물을 전달한다.
이러한 공지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 중 하나는, 리핑 장치를 각각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 사이에서 측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정류 펌프(constant-flow pump)에 의해 공급을 받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핑 후 리핑 장치는 각각의 포장 위치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스트레칭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핑 장치는 화물(L)로부터 X-방향으로 거리 X1만큼 그리고 Y-방향으로 거리 Y1만큼 외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리핑 장치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 사이의 최단 경로는 도 1에 도시된 직선 경로(POPTIMAL)이다.
유압 액추에이터에 정류 펌프를 사용한다는 것은, 리핑 장치가 X- 및 Y-방향으로 동일한 고정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거리 X1과 거리 Y1이 같을 때, 리핑 장치(RD)는 X- 및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시작하고, 포장 위치에 도달한 후 X- 및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을 멈춘다. 리핑 장치(RD)는 경로(POPTIMAL)를 따라 리핑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까지 직선으로 이동한다. 이는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리핑 장치(RD)가 두 위치 사이의 최소 거리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거리 X1이 거리 Y1보다 큰 도 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거리 X1과 거리 Y1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경우, 리핑 장치(RD)는 더 짧은 거리(여기서는 Y1)로 이동할 때까지 X- 및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 지점에서, 해당 방향(여기서는 Y-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다른 방향(여기서는 X-방향)으로 계속 이동한 후, 최종적으로 포장 위치에 도달하고 정지한다. 이는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리핑 장치(RD)가 리핑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까지 직선 경로를 따르지 않고 따라서 포장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핑 장치(RD)는 제 1 거리에 걸쳐 X- 및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경로(PACTUAL)를 따른다. 그 지점에서, 리핑 장치(RD)는 이미 거리 Y1을 이동했기 때문에 Y-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X-방향으로 제 2 거리를 계속 이동하여 포장 위치에 도달한다. 리핑 장치가 이러한 2단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는 리핑 장치가 최적의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보다 크다.
또 다른 문제는 권출 속도가 일반적으로 주어진 유형의 관형 필름에 대해 설정되며, 화물 크기(그리고 이에 따라 포장 구성) 또는 기타 매개변수가 변경되더라도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작동 중에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권출 속도가 최적보다 느리면(예를 들어, 포장 매개변수에 비해 너무 느리면), 스트레칭 후 리핑 핑거에서 필름이 지나치게 얇아지고, 이는 포장 중에 필름이 손상될 가능성을 높이고 차선의 최종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필름 스트레칭 동안 리핑 장치의 측방향 이동 및 권출 속도를 최적화하여, 리핑 장치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고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스트레칭 동안 필름의 손상 가능성을 줄이도록 구성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제공한다.
도 1은 스트레칭되지 않은 상태 및 스트레칭된 상태의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둘레를 따른 선행 기술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리핑 장치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특정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리핑 캐리지가 홈 위치에 있는 도 2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리핑 장치 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필름 개방 장치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바닥을 개방한 후 및 리핑 장치의 리핑 핑거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바닥에 삽입되기 전의 도 2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필름 개방 장치 및 리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단순화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리핑 장치의 리핑 핑거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바닥에 삽입된 후 및 리핑 장치의 리핑 캐리지가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단순화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도 3의 리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리핑 장치가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도 3의 리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5와 유사하지만, 리핑 핑거로부터 화물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 해제하기 위한 준비로서 리핑 장치가 화물 바로 위에 하강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포장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스트레칭되지 않은 상태 및 스트레칭된 상태의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둘레를 따른 도 2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리핑 장치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원에 기술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도면은 특정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명세서는 이를 기술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구성요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구현형태에는 추가적이거나, 상이하거나, 또는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구성요소의 배열 및 유형; 구성요소의 형태, 크기 및 재료; 및 구성요소의 연결 방식의 변형이 청구 범위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방향은 해당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배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되고, 연결되는 등의 장착 방법을 지칭하는 용어는 직접 장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이고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되는 등의 장착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 명세서는 전체로서 이해되고 본 개시의 원리에 따라 그리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필름 스트레칭 동안 리핑 장치의 측방향 이동 및 권출 속도를 최적화하여, 리핑 장치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고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스트레칭 동안 필름의 손상 가능성을 줄이도록 구성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12 및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개시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일 실시형태 및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조립체와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은 머신 프레임(100)과, 머신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필름 공급 조립체(200)와, 머신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필름 개방 조립체(300)와, 머신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리핑 및 포장 조립체(400)와, 조작자 인터페이스(500), 및 제어기(600)를 포함한다. 좌표계(CS)(도 2에 도시됨)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서로에 대해 수직인) X-, Y- 및 Z-방향으로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방향성 이동을 위한 기준 프레임으로서 여기에서 사용된다.
머신 프레임(100)은 다수의 관형 및/또는 단단한 부재 및 기타 요소(개별적으로 표시되지 않음)로 형성되고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다른 조립체와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머신 프레임(100)은 내부에 포장 영역을 한정하고, 팔레트화된 화물(예를 들어, 팔레트(P) 상의 화물(L))이 포장을 위해 포장 영역으로 전달되는 인피드 영역(infeed area; 표시되지 않음) 및 포장 후 포장 영역으로부터 팔레트화된 화물이 전달되는 아웃피드 영역(outfeed area; 표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도시된 머신 프레임(100)은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고,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필름 공급 조립체(200)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이 이후 화물(L)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 공급 조립체(200)는 머신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관형 필름의 롤(R)로부터 소정 길이의 관형 필름을 인출하고, 롤(R)로부터의 소정 길이의 관형 필름을 절단하여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특정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열 밀봉 메커니즘을 통해)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상단을 폐쇄하기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어기(600)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화물(L)의 높이를 기반으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길이를 결정한다.
필름 개방 조립체(300)는,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개방하고, 따라서 리핑 및 포장 조립체(400)에 의한 리핑을 위한 준비로서 대체로 직사각형인 둘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 개방 조립체(300)는, X- 및 Y-방향으로 측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에 대해 X-Y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네 개의 흡입 박스(suction box) 및 네 개의 대응하는 고정 장치(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개방하기 위해, 흡입 박스는 X- 및 Y-방향으로 측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흡입 박스 위로 인출하고, 따라서 바닥 부분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진공이 생성된다. 고정 장치는 이후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고정하고, 흡입 박스와 고정 장치는 X- 및 Y-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하여 리핑을 위한 준비로서 관형 필름(F)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개방한다. 이 시점에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의 둘레는 리핑을 위한 준비로서 대체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형성한다. 이는 필름 개방 조립체(300)의 단지 하나의 예이고, 필름 개방 조립체(300)의 다른 실시형태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리핑 및 포장 조립체(400)는 포장 캐리지(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410)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20, 430, 440, 450); 및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를 포함한다. 포장 캐리지는 적절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Z-방향으로 머신 프레임(100)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전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는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410)는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포장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 도 9 및 도 11은 제 1 지지대(421)와, 제 1 지지대(421)의 일단으로부터 Z-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리핑 핑거(422)와, 제 1 리핑 핑거(422)에 장착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1 가이드 롤러(422a)와, 제 1 지지대(421)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레일(423)과, 제 1 레일(423)에 장착되고, 제 1 가이드 롤러(422a)로부터 이격된 홈 위치(도 4)와 제 1 가이드 롤러(422a)에 인접한 리핑 위치(도 9 및 도 11) 사이에서 제 1 레일(4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 1 캐리지(424)와, 제 1 캐리지(424)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구동 롤러(425)와, 제 1 캐리지(424)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구동 롤러(42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구동 롤러(425)를 서로 반대되는 리핑 및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액추에이터(426), 및 캐리지(42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리지(424)를 홈 위치와 리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 1 캐리지 액추에이터(427)를 포함하는 제 1 리핑 장치(420)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리핑 장치(430)는 제 1 리핑 장치(420)와 유사하며 별도로 도시되지 않는다. 제 2 리핑 장치는 제 2 지지대(431)와, 제 2 지지대(431)의 일단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2 리핑 핑거(432)와, 제 2 리핑 핑거(432)에 장착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432a)와, 제 2 지지대(431)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레일(433)과, 제 2 레일(433)에 장착되고, 제 2 가이드 롤러(432a)로부터 이격된 홈 위치와 제 2 가이드 롤러(432a)에 인접한 리핑 위치 사이에서 제 2 레일(43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 2 캐리지(433)와, 제 2 캐리지(434)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구동 롤러(435)와, 제 2 캐리지(434)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구동 롤러(43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2 구동 롤러(435)를 서로 반대되는 리핑 및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롤러 액추에이터(436), 및 캐리지(43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리지(434)를 홈 위치와 리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 2 캐리지 액추에이터(437)를 포함한다.
제 3 리핑 장치(440)는 제 1 리핑 장치(420)와 유사하며 별도로 도시되지 않는다. 제 3 리핑 장치는 제 3 지지대(441)와, 제 3 지지대(441)의 일단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3 리핑 핑거(442)와, 제 3 리핑 핑거(442)에 장착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3 가이드 롤러(442a)와, 제 3 지지대(441)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레일(443)과, 제 3 레일(443)에 장착되고, 제 3 가이드 롤러(442a)로부터 이격된 홈 위치와 제 3 가이드 롤러(442a)에 인접한 리핑 위치 사이에서 제 3 레일(44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 3 캐리지(443)와, 제 3 캐리지(444)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구동 롤러(445)와, 제 3 캐리지(444)에 의해 지지되고 제 3 구동 롤러(44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3 구동 롤러(445)를 서로 반대되는 리핑 및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3 롤러 액추에이터(446), 및 캐리지(44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리지(444)를 홈 위치와 리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 3 캐리지 액추에이터(447)를 포함한다.
제 4 리핑 장치(450)는 제 1 리핑 장치(420)와 유사하며 별도로 도시되지 않는다. 제 4 리핑 장치는 제 4 지지대(451)와, 제 4 지지대(451)의 일단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4 리핑 핑거(452)와, 제 4 리핑 핑거(452)에 장착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제 4 가이드 롤러(452a)와, 제 4 지지대(451)에 의해 지지되는 제 4 레일(453)과, 제 4 레일(453)에 장착되고, 제 4 가이드 롤러(452a)로부터 이격된 홈 위치와 제 4 가이드 롤러(452a)에 인접한 리핑 위치 사이에서 제 4 레일(45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 4 캐리지(453)와, 제 4 캐리지(454)에 의해 지지되는 제 4 구동 롤러(455)와, 제 4 캐리지(454)에 의해 지지되고 제 4 구동 롤러(45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4 구동 롤러(455)를 서로 반대되는 리핑 및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4 롤러 액추에이터(456), 및 캐리지(45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리지(454)를 홈 위치와 리핑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 4 캐리지 액추에이터(457)를 포함한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배열로 포장 캐리지의 프레임에 장착된다. 제 1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는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를 X- 및 Y-방향으로 측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그리고 포장 캐리지(및 화물(L)과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에 대해 일반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40a)는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를 X- 및 Y-방향으로 측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그리고 포장 캐리지(및 화물(L)과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에 대해 일반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제 1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 1 X-액추에이터와 제 1 Y-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 1 X-액추에이터는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X-방향으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1 Y-액추에이터는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Y-방향으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420 및 43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X- 및 Y-액추에이터는 개별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지만, 액추에이터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합한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비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X-액추에이터는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X-방향으로 화물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유사하게, 제 1 Y-액추에이터는 제 1 및 제 2 리핑 장치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Y-방향으로 화물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40a)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 2 X-액추에이터 및 제 2 Y-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 2 X-액추에이터는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X-방향으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Y-액추에이터는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Y-방향으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40 및 45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2 X- 및 Y-액추에이터는 개별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지만, 액추에이터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합한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비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2 X-액추에이터는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X-방향으로 화물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유사하게, 제 2 Y-액추에이터는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Y-방향으로 화물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각각의 개별 리핑 장치에 대해 개별 세트의 하나 이상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의 포함한다. 이들 실시형태의 일부에서, 각각의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X- 및 Y-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는 조작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특정 실시형태에서 조작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조작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버튼(예를 들어, 하드 또는 소프트 키), 하나 이상의 스위치,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는 팔레트화된 화물에 관한 정보, 포장 작업의 상태, 또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매개변수와 같은 정보를 조작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조명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다른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머신 프레임(100)에 장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작자 인터페이스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제어기(600)는 메모리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회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및/또는 상태 머신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 장치는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나 이상의 디지털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하나 이상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통합 하드 디스크 및/또는 이동식 메모리와 같은 자기 매체, 광자기 매체, 및/또는 광 매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 장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예를 들어, 아래에서 기술되는 포장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제어기(600)는 필름 공급 조립체(200); 필름 개방 조립체(300);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410);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세트의 롤러 액추에이터(426, 436, 446 및 456); 및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캐리지 액추에이터(427, 437, 447 및 457)에 통신 가능하고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아래에서 기술되는 포장 공정(1000)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기(600)는: (1) 조작자 인터페이스(500)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로부터 수신하고; 및 (2)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로 하여금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자 인터페이스(5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포장 공정(1000)의 흐름도이다. 포장 공정(1000)의 각각의 단계의 예는 위에서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에 대해 제공된다.
포장 공정(1000)이 개시되면, 블록 10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물이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포장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컨베이어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머신 프레임(100)의 포장 영역으로 화물(L)을 이동시킨다. 화물의 크기는 블록 10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조작자는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를 사용하여 화물(L)의 크기(여기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L)의 길이는 L이고 및 폭은 W임)를 입력하고,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는 이후 화물(L)의 크기를 제어기(600)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화물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화물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포함하는 포장 라인의 또 다른 머신으로부터 화물의 크기를 수신한다. 몇 가지 예가 있으며, 화물의 크기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블록 10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리핑 장치의 포장 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화물의 크기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화물(L)의 폭(W)과 길이(L)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의 포장 위치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60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의 적절한 모서리로부터 X-방향의 오프셋(XO)과 및 Y-방향의 오프셋(YO)을 사용하여 각각의 리핑 장치의 포장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오프셋(XO 및 YO)은 임의의 적절한 값일 수 있고 조작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조작자로부터 수신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화물의 크기를 기반으로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필름 유형 및/또는 기타 적절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블록 10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리핑 장치가 리핑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로 지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스트레치 속도(stretch speed)가 결정된다. 리핑 위치는 필름의 크기(예를 들어, 필름의 스트레칭되지 않은 둘레)를 포함하는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두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가 직선이기 때문에,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주어진 리핑 핑거에 대한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 사이의 지정 경로는 직선이며, 이는 추가적인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최소화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정 경로는 직선 경로가 아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에 대해, 거리 XT는 X-방향으로 각각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를 분리하고, 거리 YT는 Y-방향으로 각각의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를 분리한다. 제어기(600)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의 독립적인 X- 및 Y-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가 각각의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포장 위치로 각각 지정(직선) 경로(P420, P430, P440 및 P450)를 따르도록 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 사이의 거리가 X- 및 Y-방향으로 동일한 경우(즉 XT=YT인 경우), 제어기는 X- 및 Y-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가 지정(직선) 경로를 따르도록 이들을 X- 및 Y-방향으로 동일한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거리가 서로 다른 경우, 제어기는 액추에이터 중 하나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가 지정(직선) 경로를 따르도록 리핑 장치를 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느리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가 수정되지 않는 한, X- 및 Y-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각각의 리핑 장치를 X- 및 Y-방향 각각으로 이동시키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가 있다.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가 존재할 수 있거나, 조작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조작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XT=YT인 경우, 제어기는 X- 및 Y-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를 X- 및 Y-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XT>YT 또는 XT<YT인 경우, 제어기는 리핑 장치가 지정(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더 짧은 이동 방향에 대해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은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XT>YT인 경우, 제어기는 X-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를 X-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Y-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리핑 장치를 Y-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은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리핑 장치가 X-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에 해당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는 리핑 장치를 더 짧은 이동 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더 긴 이동 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높은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리핑 장치가 X-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소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에 해당한다.
리핑 장치가 지정(직선) 경로를 따르도록 X- 및 Y-방향으로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제어기(600)가 결정하면, 제어기(600)는 리핑 장치가 X- 및 Y-방향으로 이동할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리핑 장치가 지정(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할 진행 속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진행 속도는 리핑 장치의 스트레치 속도이다. XT=YT일 때,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리핑 장치는 X- 및 Y-방향으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이다.
리핑 장치의 스트레치 속도가 결정된 후, 블록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핑 장치의 구동 롤러의 권출 속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특정 스트레치 속도가 주어지면 권출 속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권출 속도를 스트레치 속도와 상관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권출 속도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권출 속도는 스트레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데, 필름이 더 빨리 스트레칭될수록, 리핑 핑거에서 필름이 과도하게 얇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필름이 더 빨리 리핑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지정 권출 속도, 스트레치 속도 및 지정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한다. 지정 권출 속도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최대 권출 속도에 해당하며, 존재할 수 있거나, 조작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화물 크기, 필름 크기, 필름 유형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조작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권출 속도는 아래의 공식에 따라 지정 권출 속도에 지정 스트레치 속도에 대한 스트레치 속도의 비율을 곱한 것과 같다. 스트레치 속도가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동일한 경우(즉,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XT=YT인 경우), 권출 속도는 지정 권출 속도와 동일하다. 그러나 스트레치 속도가 지정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은 경우, 권출 속도는 지정 권출 속도보다 상응하게 낮다.
Figure pct00001
블록 10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생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필름 공급 조립체(200)를 제어하여 필름 롤(R)로부터 관형 필름을 인출하고, 필름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상단을 열 밀봉한다. 블록 10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이 개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 개방 조립체(300)(더 구체적으로, 흡입 박스 및 고정 장치)를 제어하여,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바닥 부분을 개방하여 그 둘레가 대체로 직사각형이 되도록 한다.
블록 10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리핑 장치는 삽입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를 제어하여 각각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에 대해 (X- 및 Y-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향 내측으로 각각의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삽입 구성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은 삽입 위치에 있는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도시하고 있다. 삽입 위치는 필름의 크기(필름의 스트레칭되지 않은 둘레)를 포함하는 여러 요인에 따라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이 시점에서, 그리고 리핑 장치(420)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캐리지(424, 434, 444 및 454)는 각각의 홈 위치에 있다. 블록 10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포장 캐리지가 상승하고, 따라서 리핑 장치의 리핑 핑거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개방된 바닥 부분에 수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410)를 제어하여 포장 캐리지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각각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의 리핑 핑거(422, 432, 442 및 452)가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개방된 바닥 부분에 수용되도록 한다.
블록 10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리핑 장치는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를 제어하여 각각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에 대해 (X- 및 Y-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향 외측으로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리핑하기 위한 준비로서 리핑 구성을 형성한다. 블록 10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핑 장치는 이후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캐리지 액추에이터(427, 437, 447 및 457)를 제어하여 각각의 캐리지(424, 434, 444 및 454)를 각각의 홈 위치로부터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는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의 구동 휠(425, 435, 445 및 455)이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내부 표면(FIN)과 접촉하도록 하고, 각각의 가이드 휠(422a, 432a, 442a 및 452a)에 대해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외부 표면(FOUT)을 가압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캐리지가 각각의 리핑 위치로 이동한 후 이들의 리핑 위치에 있는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도시하고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리핑 장치가 이들의 리핑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캐리지는 이들의 리핑 위치로 이동한다. 제어기(600)는 이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롤러 액추에이터(426, 436, 446 및 456)를 제어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425, 435, 445 및 455)를 리핑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422, 432, 442 및 452) 상에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리핑한다. 도 10 및 도 11은 리핑 후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도시하고, 도 14D는 리핑 후의 리핑 장치 및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둘레를 도시하고 있다.
블록 10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핑 장치는 이후 스트레치 속도로 각각의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포장 위치로 각각의 지정(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블록 10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핑 장치의 구동 롤러는 권출 속도로 구동되어 리핑 장치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420a 및 440a)를 제어하여,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각각의 지정(직선) 경로(P420, P430, P440 및 P450)를 따라 스트레치 속도로 각각의 지정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포장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600)는 또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롤러 액추에이터(426, 436, 446 및 456)를 제어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425, 435, 445 및 455)를 리핑 회전 방향과 반대인 리핑 해제 회전 방향 및 권출 속도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422, 432, 442 및 452)로부터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한다. 스트레칭 동안 이러한 부분적인 리핑 해제는 리핑 핑거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필름이 과도하게 스트레칭될 가능성을 줄인다.
10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 리핑 장치가 리핑 장치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나머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포장 캐리지가 하강하고, 따라서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는 화물 상에서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600)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롤러 액추에이터(426, 436, 446 및 456)를 제어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425, 435, 445, 455)를 리핑 해제 속도로 리핑 해제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켜 리핑 핑거(422, 432, 442 및 452)로부터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의 나머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410)를 제어하여 포장 캐리지를 하강시킨다. 도 12는 화물 위로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를 리핑 해제하기 직전의 리핑 장치(420, 430, 440 및 450)를 도시하고 있다. 관형 필름(F)의 세그먼트가 리핑 해제될 때, 이는 스트레칭되지 않은 크기와 형태로 돌아가려고 하고, 화물(L) 상에서 측방향으로 수축되어 화물을 묶고 및/또는 팔레트에 화물을 고정한다. 블록 10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된 화물은 이후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포장 영역 밖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포장 공정(1000)이 종료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컨베이어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10)의 머신 프레임(100)의 포장 영역 밖으로 화물(L)을 이동시킨다.
본 개시의 스트레치 후드 머신(10) 및 대응하는 포장 공정(1000)은 공지된 스트레치 후드 머신에 비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주어진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세트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 내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X- 및 Y-액추에이터를 사용하면, 리핑 장치를 리핑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까지 직선 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리핑 장치가 리핑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취하고, 따라서 리핑 장치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액추에이터의 마모를 줄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스트레칭 동안 구동 롤러의 권출 속도를 결정하면, 해당 특정 포장 공정의 매개변수에 대해 권출 속도를 최적화하고 리핑 핑거에서 필름이 최적으로 스트레칭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는: 머신 프레임과;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머신 프레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포장 캐리지와; 포장 캐리지를 이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포장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리핑 핑거와, 제 1 캐리지와, 제 1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구동 롤러와, 제 1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1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1 리핑 핑거에 대해 제 1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리핑 장치와;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으로서; 제어기는: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포장 위치 사이의 차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및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1 롤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제공함을 상기한 바로부터 인식해야 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권출 속도는 스트레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스트레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지정 경로는 직선을 포함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는 포장될 화물의 크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는 제 1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1 오프셋 거리 및 제 2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2 오프셋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는: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방향 액추에이터; 및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2 방향으로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방향은 수직이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제 2 거리만큼 분리되고, 제어기는 제 1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동일할 때,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동일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서로 다르고,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다르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와 다르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 스트레치 속도, 및 지정 권출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지정 권출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지정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리핑 핑거와, 제 2 캐리지와, 제 2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구동 롤러와, 제 2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2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2 리핑 핑거에 대해 제 2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리핑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는 제 2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리핑 위치와 제 2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2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리핑 장치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3 리핑 핑거와, 제 3 캐리지와, 제 3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구동 롤러와, 제 3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3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3 리핑 핑거에 대해 제 3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3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3 리핑 장치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4 리핑 핑거와, 제 4 캐리지와, 제 4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4 구동 롤러와, 제 4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4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4 리핑 핑거에 대해 제 4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4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4 리핑 장치; 및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와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리핑 장치를 제 2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의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리핑 장치가 제 2 지정 경로를 따르도록 제 2 리핑 장치를 제 2 리핑 위치로부터 제 2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각각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를 따르고 따라서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및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2, 제 3 및 제 4 롤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스트레치 후드 머신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는 각각 서로 다른 직선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을 또한 상기한 바로부터 인식해야 하며, 방법은: 제 1 리핑 장치를 위한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리핑 장치를 위한 제 1 포장 위치 사이의 차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하는 단계;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권출 속도는 스트레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스트레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지정 경로는 직선을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포장될 화물의 크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제 1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1 오프셋 거리 및 제 2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2 오프셋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제 2 거리만큼 분리되고, 방법은 제 1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동일할 때,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동일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서로 다르고,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다르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와 다르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지정 스트레치 속도, 스트레치 속도, 및 지정 권출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조작자 입력을 기반으로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지정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지정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하는 단계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각각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는 각각 서로 다른 직선을 포함한다.

Claims (34)

  1. 스트레치 후드 머신으로서, 스트레치 후드 머신은:
    머신 프레임과;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머신 프레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포장 캐리지와;
    포장 캐리지를 이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포장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리핑 핑거와, 제 1 캐리지와, 제 1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구동 롤러와, 제 1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1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1 리핑 핑거에 대해 제 1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리핑 장치와;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포장 위치 사이의 차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및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1 롤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권출 속도는 스트레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스트레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지정 경로는 직선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포장될 화물의 크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제 1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1 오프셋 거리 및 제 2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2 오프셋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는: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방향 액추에이터; 및 제 1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2 방향으로 제 1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방향은 수직인, 스트레치 후드 머신.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제 2 거리만큼 분리되고,
    제어기는 제 1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도록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동일할 때,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동일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인, 스트레치 후드 머신.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서로 다르고,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다른, 스트레치 후드 머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와 다른, 스트레치 후드 머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은, 스트레치 후드 머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 스트레치 속도, 및 지정 권출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지정 권출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지정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7. 제 1 항에 있어서,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리핑 핑거와, 제 2 캐리지와, 제 2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구동 롤러와, 제 2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2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2 리핑 핑거에 대해 제 2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리핑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는 제 2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리핑 위치와 제 2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2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리핑 장치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3 리핑 핑거와, 제 3 캐리지와, 제 3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구동 롤러와, 제 3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3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3 리핑 핑거에 대해 제 3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3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3 리핑 장치와;
    포장 캐리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지되고, 제 4 리핑 핑거와, 제 4 캐리지와, 제 4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제 4 구동 롤러와, 제 4 구동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 4 구동 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롤러 액추에이터, 및 제 4 리핑 핑거에 대해 제 4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4 캐리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캐리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 4 리핑 장치; 및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와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 사이에서 포장 캐리지에 대해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리핑 장치를 제 2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의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하나 이상의 제 1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리핑 장치가 제 2 지정 경로를 따르도록 제 2 리핑 장치를 제 2 리핑 위치로부터 제 2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제 2 리핑 장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각각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를 따르고 따라서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고; 및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2, 제 3 및 제 4 롤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는 각각 서로 다른 직선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후드 머신.
  19. 스트레치 후드 머신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제 1 리핑 장치를 위한 제 1 리핑 위치와 제 1 리핑 장치를 위한 제 1 포장 위치 사이의 차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하는 단계; 및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 1 리핑 장치가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제 1 리핑 장치의 제 1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권출 속도는 스트레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스트레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지정 경로는 직선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포장될 화물의 크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1 오프셋 거리 및 제 2 방향으로의 화물로부터의 제 2 오프셋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제 1 포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리핑 위치와 포장 위치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제 2 거리만큼 분리되고, 방법은 제 1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제 1 리핑 장치를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리핑 장치를 제 1 리핑 위치로부터 제 1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동일할 때,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동일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인,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거리가 서로 다를 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서로 다르고,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다른,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1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이고,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와 다른,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제 1 거리가 제 2 거리보다 클 때, 제 2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보다 낮은,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지정 스트레치 속도, 스트레치 속도, 및 지정 권출 속도를 기반으로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조작자 입력을 기반으로 지정 스트레치 속도와 지정 권출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조작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지정 측방향 스트레치 속도를 기반으로 지정 스트레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를 리핑하는 단계와;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 상에 리핑된 후,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각각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를 따르고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가 스트레칭되도록,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를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까지 스트레치 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가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포장 위치로 이동하여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핑거로부터 관형 필름의 세그먼트의 일부를 리핑 해제하는 동안 각각의 제 2, 제 3 및 제 4 리핑 장치의 제 2, 제 3 및 제 4 구동 롤러를 리핑 해제 방향으로 권출 속도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지정 경로는 각각 서로 다른 직선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2932A 2020-05-14 2021-04-28 스트레치 후드 머신 KR20230017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4593P 2020-05-14 2020-05-14
US63/024,593 2020-05-14
US17/235,286 US11492155B2 (en) 2020-05-14 2021-04-20 Stretch-hood machine
US17/235,286 2021-04-20
PCT/US2021/029566 WO2021231086A1 (en) 2020-05-14 2021-04-28 Stretch-hood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218A true KR20230017218A (ko) 2023-02-03

Family

ID=7851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932A KR20230017218A (ko) 2020-05-14 2021-04-28 스트레치 후드 머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92155B2 (ko)
EP (1) EP4121356A1 (ko)
JP (1) JP2023527681A (ko)
KR (1) KR20230017218A (ko)
CN (1) CN115485197B (ko)
WO (1) WO2021231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2155B2 (en) * 2020-05-14 2022-11-08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etch-hood machine
KR102485955B1 (ko) * 2021-02-10 2023-01-09 (주)율원엔지니어링 신축필름 포장장치용 필름 랩핑기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170A (en) 1972-06-19 1993-11-09 Ossi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tching of wrapping film
FR2230549A1 (en) 1973-05-23 1974-12-20 Applic Thermiques Machine for packing an object in a plastic sleeve - compresses sleeve into bellows form before passing object through
SE404160B (sv) 1974-05-11 1978-09-25 Moellers Maschf Anordning for att draga en slang av vermekrymbar plast over en godsstapel
US3902303A (en) 1974-08-19 1975-09-02 Henry E King Stretch bag wrapping machine
US4063401A (en) 1974-09-24 1977-12-20 Higgins David M Bagging machine
DE2549251C3 (de) 1975-11-04 1981-06-19 Nütro Patentverwertungs- u. Maschinen-Handels-GmbH, 8500 Nürnberg Vorrichtung zum Überziehen eines Seitenfaltenschlauches über gestapelte Gegenstände
US4050219A (en) 1976-02-19 1977-09-27 Comptex, Inc. Bagging machine
AU533462B2 (en) 1978-08-18 1983-11-24 Technosearch Pty. Limited Enclosing articles in preformed tubular webs
FR2473985A1 (fr) 1980-01-17 1981-07-24 Thimon Machine d'emballage d'une charge dans un troncon de gaine en un materiau souple
DE3621297A1 (de) 1986-06-25 1988-01-14 Moellers Maschf Gmbh Vorrichtung zum ueberziehen und anschrumpfen einer schrumpffolienhaube ueber bzw. an einen stapel.
EP0378730B1 (de) 1989-01-20 1993-07-14 Kurt Lachenmeier A/S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mit einer bahnförmigen Kunststoffolie
DE3941139A1 (de) 1989-12-13 1991-06-20 Moellers Maschf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alettenlosen verpackungseinheit
DE9001319U1 (ko) * 1990-02-06 1990-04-12 Develog, Reiner Hannen & Cie, Corgemont, Ch
DK0519116T3 (da) 1990-09-13 1996-01-15 Hannen Reiner Develog Fremgangsmåde til overtrækning af en varestabel med en strækfoliehætte og indretning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DE4211297A1 (de) 1992-04-03 1993-10-14 Moellers Maschf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ildung eines Gutstapels
DE4307287C2 (de) 1993-03-09 2001-06-07 Moellers Maschf Gmbh Verfahren zum Umhüllung eines Stapels
IT1262267B (it) 1993-03-24 1996-06-19 Metodo e macchina per l'avvolgimento di prodotti con film estensibile ed avvolgimento realizzato con tale metodo.
IT1264240B1 (it) 1993-10-19 1996-09-23 Awax Progettazione Metodo ed apparato per consentire ad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di prodotti con film estensibile, di formare confezioni automaticamente
US5383326A (en) 1993-11-24 1995-01-24 Premark Feg Corporation Sheet material gripping system
DE19732298C1 (de) 1997-07-26 1999-02-04 Moellers Maschf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hüllen eines Stapels
DE19859889A1 (de) * 1998-12-23 2000-06-29 Moellers Masch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üllen eines Stückgutstapels
EP1059233A1 (de) 1999-04-16 2000-12-13 Kl- Lachenmeier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in einer Folienhaube
DE50002545D1 (de) 2000-08-09 2003-07-17 Lachenmeier As Sonderbo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DK1275582T3 (da) 2001-07-11 2005-08-01 Moellers Maschf Gmbh Apparat til at trække en strækfoliekappe over en godsstabel
WO2003062062A1 (de) * 2002-01-24 2003-07-31 Lachenmeier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stückgut
FR2835236B1 (fr) 2002-01-28 2004-05-28 Thimon Procede et dispositif de mise en place d'une gaine etirable sur une charge palettisee
PL1574432T3 (pl) * 2004-03-09 2007-10-31 Signode Int Ip Holdings Llc Dwustykowy układ do fałdowania
DE102005062609A1 (de) 2005-12-23 2007-07-05 Lachenmeier A/S Haubenverpackungsanlage mit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eitenfalten
ATE535448T1 (de) * 2007-11-16 2011-12-15 Msk Verpackung Syst Gmbh Vorrichtung zum uberziehen einer schlauchfolie bzw. einer folienhaube über einen gutstapel
ES2389623T3 (es) 2008-12-19 2012-10-29 Msk - Verpackungs-Systeme Gmbh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cubrir una lámina tubular o bien una cubierta de lámina sobre una pila de productos
CN101830292B (zh) * 2010-04-28 2011-09-07 哈尔滨博实自动化股份有限公司 收放及拉伸管形膜的机构
DE102011000205B4 (de) 2011-01-18 2014-07-17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ffen eines Schlauchfolienabschnitts
DE102011075451B4 (de) 2011-05-06 2014-05-08 Illinois Tool Work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reffen eines Schlauchfolienabschnitts auf die Refffinger einer Verpackungsanlage
EP2740673B1 (de) 2012-12-06 2015-07-08 MSK - Verpackungs-Syste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r Folie auf einen Gutstapel
DE102014106365B4 (de) 2014-05-07 2017-06-14 Lachenmeier Aps Verpackungsverfahren zum Verpacken eines Gutes
DE102015101489A1 (de) 2015-02-02 2016-08-04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Verpac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DE102015011766B4 (de) 2015-09-14 2021-01-14 BEUMER Group GmbH & Co. KG Verpackungseinheit mit Dehnfolienumhüllung
DE102016212436B4 (de) * 2016-07-07 2018-07-26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Verpackungsverfahren und Haubenstretchanlage
JP6323523B2 (ja) 2016-09-29 2018-05-16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
DK3312113T3 (da) 2016-10-20 2020-12-14 Msk Verpackung Syst Gmbh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overførsel af en fortrinsvis vertikalt orienteret vikledorn, der er lejret fortrinsvis udelukkende i området ved sin øvre ende
IT201600127868A1 (it) 2016-12-19 2018-06-19 Messersi Packaging Srl Macchina incappucciatrice con struttura perfezionata
IT201700099870A1 (it) 2017-09-06 2019-03-06 Messersi Packaging Srl Macchina incappucciatrice con dispositivo di accumulo del film
US20220185514A1 (en) * 2018-10-17 2022-06-16 Paragon Films, Inc. Methods and Means for Calculating and Presen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hysical and Financial Metrics Associated with Stretch Films
IT201900001197A1 (it) 2019-01-28 2020-07-28 Messersi Packaging Srl Macchina incappucciatrice con cambio film
ES2815298B2 (es) 2019-09-27 2022-10-04 Innova Maqu Industrial S L Maquina para el enfundando en frio de cargas verticales y horizontales
IT201900024781A1 (it) 2019-12-19 2021-06-19 Officina Bocedi S R L Macchina per il rivestimento di pallet
US11492155B2 (en) * 2020-05-14 2022-11-08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etch-hood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1086A1 (en) 2021-11-18
US11827392B2 (en) 2023-11-28
US11492155B2 (en) 2022-11-08
CN115485197B (zh) 2024-05-03
US20230027796A1 (en) 2023-01-26
JP2023527681A (ja) 2023-06-30
US20210354861A1 (en) 2021-11-18
EP4121356A1 (en) 2023-01-25
CN115485197A (zh)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7392B2 (en) Stretch-hood machine
AU2002301167B2 (en) Multi-tab folder for ring type stretch film wrapp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345495B2 (en) Stretch wrapping machine supporting top layer containment operations
US9610692B2 (en) Gripping head for groups of products
CN107324158A (zh) 用于自动裁床的再覆膜装置以及裁床
CN108082593A (zh) 一种自动缠胶设备及其缠胶方法
CN113474257B (zh) 自推进式包装机及包装方法
KR20110011902U (ko) 랩핑장치
CN206345042U (zh) 一种货物码垛后的自动捆扎设备
WO2024081431A2 (en) Stretch-hood machine for partially sealed stretch-hood
EP1106507A1 (en) Method and machine for applying a hood to a product
RU2420436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снабженная независимыми режущими и сварочными стержнями
CN104003012A (zh) 圆筒纸包装机
KR102139741B1 (ko) 커팅 유닛을 갖는 포장박스의 테이핑 장치
JP2023169629A (ja) 製袋充填装置
CN2880673Y (zh) 钢卷轴向捆带机
CN219077609U (zh) 用于烟草包装的多工位旋转式上料机器人
US200900389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per Rolls
CN219668570U (zh) 一种具有环抱、夹持功能的真空吸具装置
CN216036913U (zh) 一种货架立柱转运装置
WO2023157588A1 (ja) 物品載置台
CN207208641U (zh) 封箱机的纸箱定位机构
CN207174043U (zh) 一种缠膜辅助机
KR20240056352A (ko) 자동 포장장치
KR920004819B1 (ko)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