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136A -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 Google Patents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136A
KR20230016136A KR1020210097443A KR20210097443A KR20230016136A KR 20230016136 A KR20230016136 A KR 20230016136A KR 1020210097443 A KR1020210097443 A KR 1020210097443A KR 20210097443 A KR20210097443 A KR 20210097443A KR 20230016136 A KR20230016136 A KR 20230016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corrugated pipe
corrugat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21009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136A/ko
Publication of KR2023001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0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elements arranged in the hose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1)의 복수개의 일측단 상호 근접연결처리하는 테이프 묶음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주름관(P1)과 주름관(1)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에 역방향 이탈 방지의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 커플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링형 주름관(1)이 내부에 삽입 및 상기 링형 주름관(1)의 주름에 고정되게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되며 일정거리의 적어도 하나 고정관형부체(10); 와 상기 고정관형부(10)의 상기 일정거리는 적어도 하나 동일방향,적어도 하나 수평방향. 적어도 하나 원형방향, 적어도 하나 대칭방향, 적어도 하나 이격방향 중에 적어도 하나 포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관형부체(10)와 커버(16)가 연결되게 상기 고정관형부체(10)와 상기 커버(16) 중에 적어도 하나 나선,후크, 홈,수멍,너트,볼트, 제안 고정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포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Fixed member of ring-type multi-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링형 주름관에 이용되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공사의 내부의 배선삽입되는 링형 주름관의 배관 시공시 적어도 둘 주름관의 양단부를 근접연결처리하는 커플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관(corrugated pipe)은 주름 구조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관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주름의 형태에 따라 나선형(spiral type)의 주름을 가진 나선형 주름관(나선관)과 링형(ring type) 구조를 가진 링형 주름관(링형관)으로 구분이 된다. 현재, 나선관은 지중 전선관(ELP) 또는 고압전선관 등으로 널리 적용이 되고 있고, 링형관은 농업용수 공급관이나 배수관(drain pipe)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공관에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들 주름관의 재질로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스틸, PVC, PE 등으로 다양하다.
도 5 배선공사의 저가시공의 실내천정 주름관 시공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항의 ┐┌ 형식으로 휘어 공간차지가 많고 테이프로 감아 묶어서 주름관내부의 배선을 노출결선한다. 이는 테이프의 풀림의 묶름풀림 문제와 미관상 좋지않은 불편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주에 지지되며 복수개의 광통신 케이블 삽입 및 연결하는 편리한 광통신 케이블 전용연결복스가 있다, 그러나 주름관 삽입이 불가한 문제의 불편이 있다.
도 4 제안 등록특허 101623025,101872412들은 양측주름관(1) 연결 커플링들에 연장, 양측주름관(1) 연결 커플링 나타낸 사시도이다.
10-1623025 주름관 커플링들에 연장에 불과한 것이고 동일방향측 복수개의 주름관 삽입이 불가한 문제의 불편이 있다.
도 5 (a)기존 저가 배선공사의 시공의 실내천정 주름관 시공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항의 ┐┌ 형식으로 휘어 테이프로 감아 묶어서 주름관내부의 배선을 노출결선, (b) 전주에 지지 복수개의 광통신 케이블 삽입 및 연결의 광통신 케이블 전용연결복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따라서, 현장 배선공사의 내부의 배선삽입되는 링형 주름관의 배관 시공시 적어도 둘 복수개의 주름관의 양단부를 복수개의 근접연결처리하는 커플링부재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커버를 구비하여 배선을 내부위치 시커 종래 노출의 미관상 불편해소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도 6 기존 커플링의 양측 주름관(1) 연결과 커플링 구성 및 박스연결,
본 발명과 별개분야로 분쟁해소를 위한 비주름관의 복수의 수압관 연결박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025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41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1)의 고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1)이 삽입고정되게 연경부재로 커플링을 겸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충족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링형 주름관의 연결 시공시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부재의 분리 우려가 적으며, 막음 처리 부재인 커버를 추가사용 을 할 수 있음 및 커플링용 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는,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1)의 복수개의 일측단 상호 근접연결처리하는 테이프 묶음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주름관(P1)과 주름관(1)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에 역방향 이탈 방지의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 커플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링형 주름관(1)이 내부에 삽입 및 상기 링형 주름관(1)의 주름에 고정되게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되며 일정거리의 적어도 하나 고정관형부체(10); 와 상기 고정관형부(10)의 상기 일정거리는 적어도 하나 동일방향,적어도 하나 수평방향. 적어도 하나 원형방향, 적어도 하나 대칭방향, 적어도 하나 이격방향 중에 적어도 하나 포함 구비될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관형부체(10)와 커버(16)가 연결되게 상기 고정관형부체(10)와 상기 커버(16) 중에 적어도 하나 나선,후크, 홈,수멍,너트,볼트, 제안 고정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포함 구비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는 적어도 하나구비되며, 일정거리 연결되는 접어,원형,대칭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는 몸체(10a) 내부에 역방향 이탈 방지의 적어도 하나 제안의 돌기(12)구비될수 있다. 이는 제안 주름관 연결 박스의 관형부체의 나선에 나선연결의 이탈방지돌기구비 조립너트 대비 일쳉화의 차이구성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일정거리 동일방향, 수평방향. 원형방향, 대칭방향, 이격방향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는 적어도 하나 근접연결 구비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에 연결되는 형체,구성,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 커버(26)구비될수 있다.
고정관형부체(1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박스구성의 일정깊이 구비될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이 복수개 근접 연결고정으로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박스형 구성 다양한 방향에서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을 구비할 때 커플링구비 박스로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의 박스돌기나선에 별개의 주름관 이탈방지 돌기구비 너트조립의 너트 빠짐의 주름관 이탈사고 문제 방지되며, 또한 시공시의 주름관 길이문제의 교체를 위한 주름관 절단후 돌기구비 너트조립를 분해후 재조립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 주름관의 연결 시공시 볼트 체결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부재의 파손 우려가 적은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의 일실시 예의 복수의 연결고정관형부체(10)에 복수의 주름관(1)의 고정 사용실시예 및 상기 주름관(1)의 주름에 고정되는 몸체(10a)내부의 돌기(12)의 이해를 돕기위한 별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다양한 실시예의 (가) 둥글게 말은 원형 (나) 일정거리 대칭 연결의 개략적 개념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가) 연결고정관형부체(10) 연결의 주름관(1)들의 내부의 전선들의 연결들 및 (나) (가)의 연결고정관형부체(10)에 조립된 커버(26)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제안 등록특허 101623025,101872412들은 양측주름관(1) 연결 커플링들에 연장, 양측주름관(1) 연결 커플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a)기존 저가 배선공사의 시공의 실내천정 주름관 시공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항의 ┐┌ 형식으로 휘어 테이프로 감아 묶어서 주름관내부의 배선을 노출결선, (b) 전주에 지지 복수개의 광통신 케이블 삽입 및 연결의 광통신 케이블 전용연결복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기존 커플링의 양측 주름관(1) 연결과 커플링 구성 및 박스연결,
본 발명과 별개분야로 분쟁해소를 위한 비주름관의 복수의 수압관 연결박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복수 주름관 고정형 부재체(10)의 일실시 예의 복수의 주름관(1)의 고정 사용실시예 및 상기 주름관(1)의 주름에 고정되는 몸체(10a)내부의 돌기(12)의 이해를 돕기위한 별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다양한 실시예의 (가) 둥글게 말은 원형 (나) 일정거리 대칭 연결의 개략적 개념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가) 복수 주름관 고정형 부재체(10) 연결의 주름관(1)들의 내부의 전선들의 연결들 및 (나) (가)의 복수 주름관 고정형 부재체(10)에 조립된 커버(26)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도 3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복수 주름관 고정형 부재체(10)는 도 1 적어도 하나 연결부로 연결되며 몸체(10a)내부에 링형 주름관(1)을 삽입하면 이때 내부의 적어도 하나 돌기(12)가 링형 주름관(1)의 주름에 제안의 확경/축경반복되며 링형 주름관(1)을 정지하면 이때 상기 돌기(12)가 링형 주름관(1)의 주름에 복귀의 걸림 및 고정된다.
도 2 도 1을 원으로 감은 (가)구성 공간 협소화 될수 있고, 도 1을 대칭 및 일정거리 연결의 (나)구성될수 있다. 이는 배선작업의 직선 및 중간 리더연결의 방법 될수 있다.
도 3 도 2 원으로 감은 (가)의 링형 주름관(1)들의 배선들의 노출 결선 예시 이며 이는 도 5 종래 테이프 감은 (a) 링형 주름관(1)들 보다 더 풀림이 방지되며 미관상 정리가 깨끗하다. 또한 커버(26)를 체결하여 결선이 내부되어 도 5 종래 결선 (a)보다 더 보호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링형 주름관
10 : 고정관형부체 12,16a : 돌기
16 ; 커버

Claims (2)

  1. 복수개의 링형 주름관(1)의 복수개의 일측단 상호 근접연결처리하는 테이프 묶음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주름관(P1)과 주름관(1)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에 역방향 이탈 방지의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 커플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링형 주름관(1)이 내부에 삽입 및 상기 링형 주름관(1)의 주름에 고정되게 적어도 하나 돌기(12)구비되며 일정거리의 적어도 하나 고정관형부체(10); 와
    상기 고정관형부(10)의 상기 일정거리는 적어도 하나 동일방향,적어도 하나 수평방향. 적어도 하나 원형방향, 적어도 하나 대칭방향, 적어도 하나 이격방향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형부체(10)와 커버(16)가 연결되게 상기 고정관형부체(10)와 상기 커버(16) 중에 적어도 하나 나선,후크, 홈,수멍,너트,볼트, 제안 고정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KR1020210097443A 2021-07-24 2021-07-24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KR20230016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443A KR20230016136A (ko) 2021-07-24 2021-07-24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443A KR20230016136A (ko) 2021-07-24 2021-07-24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36A true KR20230016136A (ko) 2023-02-01

Family

ID=8521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443A KR20230016136A (ko) 2021-07-24 2021-07-24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1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757B1 (ko) 통신구용 내관
KR20230016136A (ko)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JP2024032801A (ja) 配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の接続方法
KR100773083B1 (ko) 케이블용 다중관
KR100784144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보호관 보강장치
KR101228133B1 (ko) 해저관로의 케이블 견인포설용 볼캐스터형 캐리어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JP2008007161A (ja) ケーブルタイ
CN110247344B (zh) 管线出线口防水装置及防水方法
EP2478284A1 (en) Conduit assembly
JP3217026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方法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JP3047714U (ja) 地中埋設配線用スライド管の防水パッキング兼ストッパー装置
JP2000166055A (ja) 縦割り型電線管およびケーブルまたは電線の敷設・抜去方法
JP2905708B2 (ja) ハンドホール及び工事方法
JP2019011775A (ja) 連結管および連結管の敷設方法
JP570223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配線・配管材固定構造及び配線・配管材固定方法
JPH0486709A (ja) 光/電力複合ケーブルの端末部
JP3571275B2 (ja) 通線紐固定具
JP2006121800A (ja) 地中埋設管を用いた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地中埋設管
JP5557369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KR20220100181A (ko)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JP3951215B2 (ja) 地中埋設管の施工法及び施工用スリーブ
KR20160002734U (ko) 배선용 분기관
JP4184726B2 (ja) 固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ケーブル固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