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083B1 - 케이블용 다중관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다중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083B1
KR100773083B1 KR1020070033832A KR20070033832A KR100773083B1 KR 100773083 B1 KR100773083 B1 KR 100773083B1 KR 1020070033832 A KR1020070033832 A KR 1020070033832A KR 20070033832 A KR20070033832 A KR 20070033832A KR 100773083 B1 KR100773083 B1 KR 10077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hape
pipe
inner tube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7003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19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들의 외면을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고정 접합시킬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내관들이 외관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고, 외관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내관들로부터 외관을 손쉽게 탈피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다중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용 다중관은 소요 원주 크기 내에 등간격으로 모집 배치되는 복수개의 합성수지제 내관(1)들과, 상기 내관(1)들의 외측에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져서 그 내관들을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외관(2)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관(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골이 깊은 대파형(21)과 1개이상의 골이 얕은 소파형(22)을 1개조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소파형(22)보다 대파형(21)이 더 돌출된 형태로 반복되는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관(2)의 대파형(21)에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융착되는 접합부(A)들을 가져서, 그 접합부들을 통하여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외관(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케이블, 내관, 외관, 다중관

Description

케이블용 다중관{Multiple pipe for cab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이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이 링주름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에 식별표식을 갖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이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이 링주름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내관에 식별표식을 갖 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일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관 2: 외관
11, 12, 14, 15: 파형 13, 16: 식별표식
13a, 16a: 돌기 13b, 16b: 홈
21, 23: 대파형 22, 24: 소파형
본 발명은 하나의 외관에 복수개의 내관들을 수용하여서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이나 전선(이하 케이블로 통칭함)을 다중으로 배선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특히 내관들의 외면을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고정 접합시킬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내관들이 외관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고, 외관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내관들로부터 외관을 손쉽게 탈피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다중관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케이블용 다중관은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다중으로 배선하여 지중에 매설하기 위한 용도로 시공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용 다중관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 록번호 제0355751호(2002년 10월 12일 등록공고)에는,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다수의 길다란 내부덕트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도록 다수의 산부와 골부들을 포함하는 코러게이트관형 단면을 가지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하나의 외부덕트로 구성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가 게재되어 있다.
이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내부덕트들을 감싸서 보유하는 외부덕트가 다수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는 코러게이트관형 단면을 가지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서, 수송 가능한 얼레에 코일로 감겨질 정도로 유연하고 트렌치 안에서 토압을 견딜 정도로 견고한 특성을 갖게 뿐만 아니라, 내부덕트들을 감싸서 보유하는 외부덕트를 손쉽게 탈피시켜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상호간의 연결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내부덕트들이 하나의 외부덕트 내에 인접하여 감싸지는 관계로 보유되므로, 외부덕트 내에서 내부덕트들이 구속받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유동된다.
즉,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를 얼레에 감거나 풀어낼 때에 내부덕트들이 외부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그 외부덕트의 끝부분 외측으로 내부덕트들이 길게 빠지는 이탈현상이 발생되어서, 현장에서 케이블을 다중으로 배선하여 지중에 매설하는데 장애가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국내 등록특허공보에는,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다수의 길다란 내부덕트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도록 다수의 산부와 골부들을 포함하는 코러게이트관형 단면을 가지며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하나의 외부덕트를 구성으로 포함하며, 상기 내부덕트들과 외부덕트는 그 외부덕트의 골부들과 내부덕트들의 외주면들이 맞닿아 접촉하는 부분들에서 용착되도록 구성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가 게재되어 있다.
이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내부덕트들을 감싸서 보유하는 외부덕트가 다수의 산부와 골부를 포함하는 코러게이트관형 단면을 가지며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어서, 수송 가능한 얼레에 코일로 감겨질 정도로 유연하고 트렌치 안에서 토압을 견딜 정도로 견고한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외부덕트들의 골부들과 내부덕트의 외주면들이 맞닿은 상태로 용착되어서, 그 내부덕트들이 외부덕트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얼레에 감거나 풀어낼 때에 외부덕트의 끝부분 외부로 내부덕트들이 길게 빠지는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외부덕트의 골부들과 내부덕트들의 외주면들이 맞닿는 부분들이 모두 용착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덕트가 굴신할 때에 내부덕트들이 큰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얼레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가 원활히 감겨지지 않아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얼레에 감겨진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를 풀어낼 때에 외부덕트가 곧게 펴지지 않아서 배관작업을 수행하는데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더욱이, 이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외부덕트의 골부들과 내부덕트들의 외주면들의 맞닿는 부분들이 모두 용착되어 있는 만큼, 내부덕트들로부터 외부덕트를 탈피시킬 때에 접합부를 일일이 때어내는 까다롭고도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상호간의 연결 접속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선출원 등록된 종래기술들 중 내부덕트들이 하나의 외부덕트 내에 감싸져서 보유되는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내부덕트들로부터 외부덕트를 손쉽게 탈피시킬 수 있는 반면에, 얼레에 감거나 풀어낼 때에 외부덕트의 끝부분 외부로 내부덕트들이 길게 빠지는 이탈현상이 발생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 선출원 등록된 종래기술들 중 외부덕트의 골부들과 내부덕트들의 외주면들이 맞닿는 부분들이 모두 용착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는, 외부덕트의 끝부분 외부로 내부덕트들이 길게 빠지는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얼레에 잘 감겨지지 않고, 얼레에서 풀어낼 때 외부덕트가 곧게 펴지지 않으며, 내부덕트들로부터 외부덕트를 탈피시키기 어려운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관들의 외면을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고정 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내관들이 외관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고품질 의 케이블용 다중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외관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게 하여서 취급 및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셋째, 내관들로부터 외관을 손쉽게 탈피시켜서 연결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케이블용 다중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도 소요 원주 크기 내에 등간격으로 모집 배치되는 복수개의 합성수지제 내관(1)들과, 상기 내관(1)들의 외측에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져서 그 내관들을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외관(2)으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케이블용 다중관은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외관(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골이 깊은 대파형(21)과 1개이상의 골이 얕은 소파형(22)을 1개조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소파형(22)보다 대파형(21)이 더 돌출된 형태로 반복되는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관(2)의 대파형(21)에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융착되는 접합부(A)들을 가져서, 그 접합부들을 통하여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외관(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관(2)을 적어도 1개이상의 대파형(21)과 소파형(22) 을 1개조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회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외관(2)의 대파형(21)에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용착되는 접합부(A)들로서 그 내관들의 외면이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내관(1)들이 외관(2)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엘레(미도시)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감거나 풀어낼 때에 내관(1)들이 외관(2)의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여서, 현장에서 케이블을 배선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으며,
둘째, 외관(2)이 굴신할 때에 내관(1)들에 의해 작용받게 되는 저항력을 최대한 감소시켜서 그 외관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게 하여 주기 때문에, 얼레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레에서 케이블용 다중관을 풀어낼 때에 외관(2)이 자연스럽게 펴져서 취급 및 시공이 간편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셋째, 내관(1)들로부터 외관(2)을 손쉽게 탈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케이블용 다중관 상호간의 연결 접속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 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2)은 1개의 골이 깊은 대파형(21)과 2개의 골이 얕은 소파형(22)을 1개조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2개의 소파형(22)은 작게 돌출되고 1개의 대파형(21)이 크게 돌출되는 형태로 반복되는 나선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관(2) 은 외주면에 대파형(21)과 소파형(22)의 정상부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1)들은 각각 평활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일예로 도2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은 골의 크기가 동일한 파형(11)들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서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은 골의 크기가 동일한 파형(12)들을 환형으로 권회하여서 링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 상기 내관(1)들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식별표식(13)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식별표식(13)은 현장에서 케이블용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거나 맨홀과 맨홀 사이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연결할 때에, 그 케이블용 다중관의 일측과 타측에서 내관(1)들 각자를 혼동하지 않고 식별할 수 있게 하여서, 개개의 내관(1)에 수용된 케이블을 정확히 연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표식(13)은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의 외면에 돌기(13a) 또는 홈(13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임의의 순서대로 개개의 내관(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13a) 또는 홈(13b)의 개수를 증감시켜서, 상기 내관(1)들 각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블용 다중관도 소요 크기의 원주내에 등간격으로 모집 배치되는 복수개의 합성수지제 내관(1)들과, 상기 내관(1)들의 외측에 인 접하는 관계로 감싸져서 그 내관들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제 외관(2)으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상기 외관(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골이 깊은 대파형(23)과 1개이상의 골이 얕은 소파형(24)을 교대로 환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소파형(24)보다 대파형(23)이 더 돌출된 형태로 반복되는 링주름형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관(2)의 대파형(23)에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융착되는 접합부(A)들을 가져서, 그 접합부들을 통하여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외관(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관(2)을 적어도 1개이상의 대파형(23)과 소파형(24)을 교대로서 환형으로 권회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외관(2)의 대파형(23)에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용착되는 접합부(A)들로서 그 내관들의 외면이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내관(1)들이 외관(2)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엘레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감거나 풀어낼 때에 내관(1)들이 외관(2)의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여서, 현장에서 케이블을 배선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으며,
둘째, 외관(2)이 굴신할 때에 내관(1)들에 의해 작용받게 되는 저항력을 최대한 감소시켜서 그 외관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게 하여 주기 때문에, 얼레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레에서 케이블용 다중관을 풀어낼 때에 외관(2)이 자연스럽게 펴져서 취급 및 시공이 간편 용이한 장점이 있 으며,
셋째, 내관(1)들로부터 외관(2)을 손쉽게 탈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케이블용 다중관 상호간의 연결 접속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넷째, 내관(1)들로부터 외관(2)을 탈피시킬 때에, 링형의 대파형(23) 또는 소파형(24)을 절단하여서 된 외관(2)의 끝부분이 일직선이 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케이블용 다중관 상호간을 긴밀히 연결 접속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2)은 1개의 골이 깊은 대파형(23)과 2개의 소파형(24)을 교대로서 환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2개의 소파형(24)이 작게 돌출되고 1개의 대파형(23)이 크게 돌출되는 형태로 반복되는 링주름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관(2)은 그 외관의 외주면에 대파형(23)과 소파형(24)의 정상부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1)들은 각각 평활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일예로 도7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은 골의 크기가 동일한 파형(14)들을 나선으로 권회하여서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8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은 골의 크기가 동일한 파형(15)들을 환형으로 권회하여서 링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 상기 내관(1)들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식별표식(16)을 가지도록 함 이 바람직하다. 이 식별표식(16)은 현장에서 케이블용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거나 맨홀과 맨홀 사이에 케이블용 다중관을 연결할 때에, 그 케이블용 다중관의 일측과 타측에서 내관(1)들 각자를 혼동하지 않고 식별할 수 있게 하여서, 개개의 내관(1)에 수용된 케이블이 정확히 연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표식(16)은 도9 및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들의 외면에 돌기(16a) 또는 홈(16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임의의 순서대로 개개의 내관(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16a) 또는 홈(16b)의 개수를 증감시켜서, 상기 내관(1)들 각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용 다중관은 내관들의 외면을 외관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고정 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관들이 외관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여서 내관들의 이탈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외관이 원활히 굴신되게 하여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게 하여 주며, 내관들로부터 외관을 손쉽게 탈피시켜서 케이블용 다중관의 연결 접속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소요 원주 크기 내에 등간격으로 모집 배치되는 복수개의 합성수지제 내관(1)들과, 상기 내관(1)들의 외측에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져서 그 내관들을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외관(2)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관(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골이 깊은 대파형(21)과 1개이상의 골이 얕은 소파형(22)을 1개조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소파형(22)보다 대파형(21)이 더 돌출된 형태로 반복되는 나선주름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관(2)의 대파형(21)에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융착되는 접합부(A)들을 가져서, 그 접합부들을 통하여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외관(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1)들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식별표식(13)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식(13)은 상기 내관(1)들의 외면에 돌기(13a) 또는 홈(13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임의의 순서대로 개개의 내관(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13a) 또는 홈(13b)의 개수를 증감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4. 소요 크기의 원주내에 등간격으로 모집 배치되는 복수개의 합성수지제 내관(1)들과, 상기 내관(1)들의 외측에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져서 그 내관들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제 외관(2)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관(2)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골이 깊은 대파형(23)과 1개이상의 골이 얕은 소파형(24)을 교대로서 환형으로 권회시켜서, 그 외관의 내주면에 소파형(24)보다 대파형(23)이 더 돌출된 형태로 반복되는 링주름형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관(2)의 대파형(23)에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맞닿아져서 융착되는 접합부(A)들을 가져서, 그 접합부들을 통하여 상기 내관(1)들의 외면이 외관(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접합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1)들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식별표식(16)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식(16)은 상기 내관(1)들의 외면에 돌기(16a) 또는 홈(16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임의의 순서대로 개개의 내관(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16a) 또는 홈(16b)의 개수를 증감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관.
KR1020070033832A 2007-04-05 2007-04-05 케이블용 다중관 KR10077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32A KR100773083B1 (ko) 2007-04-05 2007-04-05 케이블용 다중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32A KR100773083B1 (ko) 2007-04-05 2007-04-05 케이블용 다중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083B1 true KR100773083B1 (ko) 2007-11-02

Family

ID=3906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32A KR100773083B1 (ko) 2007-04-05 2007-04-05 케이블용 다중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0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30B1 (ko) * 2011-10-17 2013-09-11 주식회사 젠트로 케이블용 다중 관
KR101339378B1 (ko) 2012-06-26 2013-12-09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내관의 열융착을 위한 보조 가열기가 구비된 합성수지관의 제조장치
KR2017001431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내관의 접합부분이 표시된 케이블용 다중관
KR20170014316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케이블용 다중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63A (ko) * 1999-11-01 2001-01-15 변무원 통신선로용 다공관
JP2002335617A (ja) 2001-05-08 200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外装用の割れコルゲート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63A (ko) * 1999-11-01 2001-01-15 변무원 통신선로용 다공관
JP2002335617A (ja) 2001-05-08 2002-1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外装用の割れコルゲートチューブ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30B1 (ko) * 2011-10-17 2013-09-11 주식회사 젠트로 케이블용 다중 관
KR101339378B1 (ko) 2012-06-26 2013-12-09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내관의 열융착을 위한 보조 가열기가 구비된 합성수지관의 제조장치
KR2017001431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내관의 접합부분이 표시된 케이블용 다중관
KR20170014316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케이블용 다중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751B1 (ko)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KR100773083B1 (ko) 케이블용 다중관
KR20110108865A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JP2007040532A (ja) ダクト
US5694510A (en) Tub-aggregated optical cable
FI82160C (fi) Flexibel, sluten roerknippe.
JP2789091B2 (ja) 光フアイバケーブル分岐部構造体
KR101306630B1 (ko) 케이블용 다중 관
JPH10505149A (ja) 補強され、寸法可変である導管用カップリング
JP2010255671A (ja) 合成樹脂製可撓管
JP5567917B2 (ja) ケーブル用導管
JP5415408B2 (ja) 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およびこのケーブルの使用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JP6018156B2 (ja) 光ケーブル用保護具の装着方法
FI86763B (fi) Roerfoerband av polymerroer.
WO2021225062A1 (ja) ケーブル牽引端末構造
CN212080380U (zh) 一种frpe缠绕复合管
KR20070000825A (ko) 케이블용 다공관
JP2010172171A (ja) 架空ケーブル防護管
KR20230016136A (ko) 링형 복수 주름관의 고정형 부재
KR101794867B1 (ko)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KR200256917Y1 (ko)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JP2003116209A (ja) 多条ケーブル保護管
JP2003042347A (ja) 波付き管の結束体
JP4363588B2 (ja) 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